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부 농어촌지역 치과위생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에 관한 조사

        선정 ( Moon Seon-jeong ),가경환 ( Ka Kyung-hwan ),김은희 ( Kim Eun-hee )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3

        본 연구는 접수부터 진료, 예방, 구강보건교육 및 상담, 병원관리 등 다양한 업무를 직접 수행하는 일부 농어촌 지역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임상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치과 내의 올바른 환자안전문화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2017년 7월부터 8월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작성이 미완성되거나 응답이 불분명한 자료를 제외한 총 512부의 설문지를 회수, 분석하였다. 설문 문항은 일반적 및 직무 관련 특성, 환자안전문화인식, 환자안전관리활동으로 구성하였다.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 측정 도구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행렬을 이용, 주축인자법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방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안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서 25~29세가 25세 미만보다 높았고, 부서 간의 팀워크에서는 25~29세, 30~39세가 25세 미만보다 높았다. 결혼여부는 직원배치에서 기혼이 미혼보다 높았고, 학력에서는 안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직속상관/관리자의 태도, 부서 간의 팀워크 모두 대졸이 고졸보다 높았다. 직위는 직속상관/관리자의 태도에서 팀원, 실장급이 기타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1주일 근무시간에서 직속상관/관리자의 태도는 20~39시간, 40~59시간이 60~79시간보다 높았으며, 직원배치는 20~39시간이 60~79시간 보다 높았다. 월평균 급여에서 부서 내 팀워크는 250만원 이상이 200만원 미만, 200~250만원 미만 보다 높았고, 안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부서 간의 팀워크에서는 250만원 이상이 200만원 미만 보다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에서 연령은 방사선 관리에서 40세 이상이 25세 미만 보다 높았고, 학력에서 진료전달체계, 안전보장체계, 감염관리, 방사선 관리 모두 대학교졸업이 전문대졸업 보다 높았다. 직무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에서 직위는 감염관리에서 실장급이 팀장급보다 높았고, 월평균 급여는 안전보장체계에서 200~250만원 미만이 200만원 미만 보다 높았고, 방사선 관리에서 200~250만원 미만, 250만원 이상이 200만원 미만 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 치과 내의 환자안전문화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안전대책 수립, 안전 교육의 실시,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부서 내 원활한 의사소통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의료사고의 보고체계에 관한 인식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o collect basic data that could help create good patient safety culture within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from clinical dental hygienists personally doing diverse types of service, including reception, treatment, prevention, oral health education and counseling, and hospital management, at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in rural communities, a survey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as performed from July to August 2017 and a total of 512 legitimate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analyzed. Questionnaires consisted of questions pertaining to general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patient safety culture awareness,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measurement too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rrelation matrix and the principal factor method. Cronbach’s α method was us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The respondents aged 25-29 had higher levels of general awareness of safety than those aged <25; the respondents aged 25-29 and those aged 30-39 showed better inter-department teamwork than those aged <25. The respondents were more likely to be married than unmarried; the college graduates had higher levels of general awareness of safety, attitudes of an immediate supervisor/manager, and inter-department teamwork than the high school graduates. The team members and the chief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attitudes of an immediate supervisor/manager than the others; the respondents working 20-39 hours a week and those working 40-59 hours a week had higher levels of attitudes of an immediate supervisor/manager than those working 60-79 hours a week, and the respondents were more likely to work 20-39 hours than 60-79 hours a week. The respondents earning ≥2.5 million won a month showed better intra-department teamwork than those earning <2 million won or 2-<2.5 million won a month, and the respondents earning ≥2.5 million won a month had higher levels of general awareness of safety and inter-department teamwork than those earning <2 million won a month. As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pondents in charge of radiation control were more likely to be aged ≥40 than <25; those in charge of the treatment delivery system, the security system, infection control, and radiation control were more likely to be university graduates than college graduates. As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by the job-related characteristics, the respondents in charge of infection control were more likely to be chiefs than team leaders; the respondents in charge of the security system were more likely to earn 2-<2.5 million won than <2 million won a month, and those in charge of radiation control were more likely to earn 2-<2.5 million won or ≥2.5 million won than <2 million won a month.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devise specific safety measures, provide safety education, build a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activate good communication within departments and to develop a plan for improving awareness of the malpractice reporting system with the objective of improving patient safety culture within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 VAE 기반 범죄자 변장 모습 예측 모델 연구

        지선(Ji-Seon Moon),구혜은(Hae-Eun Ku),김소연(So-Yeon Kim),정승도(Seungdo Jeong)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범죄자를 추적하기 위해 몽타주가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그러나 범인의 다양한 변장 모습까지 예측하고 고려하기에는 어려운 점들이 많다. 또한 빠른 시간내에 안경, 모자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변장한 모습을 예측하고 제공하려면 인적, 물적 소요 비용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몽타주 생성 및 제공의 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VAE 기반의 범죄자 변장 모습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한다. 본 모델은 범죄자의 사진에 다양한 변장 요소를 적용하여 빠른 시간에 다양한 모습을 예측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일부 농어촌지역 교육기관 종사자들의 피로도에 따른 생활습관행태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선정 ( Moon Seon-jeong ),가경환 ( Ka Kyung-hwan ),구인영 ( Ku In-young ),김은희 ( Kim Eun-hee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3

        본 연구는 교직원들의 피로도, 생활습관행태 및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를 조사하여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농어촌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5개, 중학교 3개, 고등학교 5개에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407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과 Duncan test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고, 상관 및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생활습관행태 차이는 여자, 초등학교 교사, 건강 및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생활습관행태가 좋았고, 피로도의 차이는 여자, 초등학교 교사, 건강 및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피로 수준이 높았다. 피로도가 높을수록 흡연과 구취, 구강자각증상 및 불편감이 높았고, 흡연이 높을수록 음주와, 구취, 구강건조 증상이 높았으며, 음주가 높을수록 나쁜 식습관과 구취, 턱관절 장애, 구강건조 증상이 높았고, 식습관이 나쁠수록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모든 요인이 높았다. 피로도가 높을수록 주관적 구강 건강상태가 좋지 않았으며, 주관적 건강상태 요인 중, 구취와 구강자각 증상 및 불편감이 높았고 턱관절이 좋지 않았다. 생활습관행태가 좋지 않을수록 주관적 구강 건강상태가 안 좋았으며, 주관적 건강상태 요인 중, 구취와 구강건조 증상, 구강자각 증상 및 불편감이 높았고, 턱관절이 좋지 않았다. 피로도는 전반적인 생활습관행태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생활습관행태 요인 중, 흡연에서 피로도가 높을수록 피로 수준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피로도와 생활습관행태,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는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직원의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 해소방안과 구강건강에 대한 교육,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필요한 기초자료 수집에 활용하고자 한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samples for the survey were collected from teachers working at five elementary schools, three middle schools and five high schools located at the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Degree of fatigue, life pattern and oral health condition of the teaching staff were collected in order to promote and maintain their oral health. In total, 407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the collected data, a post-test was conduct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 test, using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for the difference in lifestyle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emale responden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in good health and perceived better oral health status showed better lifestyle. In comparison,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in bad health and perceived poorer oral health status showed higher levels of fatigue. The higher level of fatigue resulted in higher level of smoking, halitosis, perceived oral symptoms, and discomfort. Higher level of smoking was correlated to higher level of alcohol intake, halitosis, and xerostama symptoms. The higher level of alcohol intake showed higher level of bad eating habits, halitosis,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xerostama symptoms. Also, higher level of bad eating habits led to higher level of every factor for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The higher level of fatigue was related to poorer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higher level of halitosis, higher level of perceived oral symptoms and poorer temporomandibular joint. Poorer lifestyle was related to poorer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higher level of halitosis, xerostama symptoms, perceived oral symptoms, discomfort and poorer temporomandibular joint. While the level of fatigue had no impact on lifestyle in general, the higher level of smoking showed higher level of fatigue. Judging from the above findings, it seems that the degree of fatigue, life pattern and oral health condition had an impact on each other. Such results can be used to reduc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of teaching staff. In addition, education on oral health and the collection of basic data are essential for the formation of proper eating habits.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관의 근무환경은 가족친화적인가?

        은하(Eun-ha Moon),조정은(Jeong-eun Jo),장유다(Yu-da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기혼 여성사회복지사의 근무환경이 얼마나 가족친화적인지 분석하고 여성사회복지사들의 일-가정양립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와 인터뷰 조사를 병행한 혼합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고, 설문지 대상자는 전국 4개 도(서울, 경기도, 강원도, 경상도)의 지역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82명의 기혼 여성사회복지사로, 이 중 10명을 선정하여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산전 후 휴가는 긍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반면 유연근무제 및 육아휴직제도의 사용은 저조하였다. 이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 기관의 분위기, 대체인력 채용의 어려움, 휴직 시 동료에게 전가될 수 있는 업무량으로 인한 관계 우려 등이 나타났다. 또한 업무량의 과도한 집중화로 인한 출퇴근 시간의 불규칙성이 일-가정양립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복리후생제도로 자녀학비 지원 및 직장 내 어린이집을 비롯하여 어린이집 사용에 대한 기관의 지원에 대한 욕구가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family-friendly the working environments of Korean community welfare centers are and analyze work-life balance of married female social workers. We conducted a mix-method exploiting survey and interview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four provinces (Seoul, Kyonggi, Kangwon and Kyongsang). 82 participants were involved in the survey and 10 in the in-depth interview. According to our analysis, the take up rate of maternity leave was comparatively high while flexible working hours and parental leave were substantially low. Working atmosphere of the center, difficulties in hiring replacements and peer pressure were found to be related to the low take up rates. Also the working hours and concentration of work in certain periods negatively effected work-life balance satisfaction. Lastly, we found a high need for welfare service related to child care provided by community welfare centers where participants-female social workers- worked at.

      • KCI등재

        중학생의 프로젝트 기반 융복합교육 학습 경험 이해

        종은(Jong-Eun Moon),구하라(Ha-Ra Ku),김선진(Sun-Jin Kim),김시정(Si-Jeong Kim),박영석(Young-Serk Park),신혜원(Hye-Won Shin),안성호(Sung-Ho G. Ahn),유병규(Byung-Kyu Yu),이삼형(Sam-Hyung Lee),이선경(Sun-Kyung Lee),이은연(Eun-You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6

        본 연구에서는 약용식물 아트 북 만들기를 주제로 한 프로젝트 기반 STEAM 교육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이로부터 학생들이 경험한 성취와 어려움을 융복합교육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이 융복합교육에서 성 취한 경험은 식물에 대한 이해, 테크놀로지(사진기, 컴퓨터 등) 활용 기능, 발표하고 글로 표현하는 상호작용적인 도구 활용 역량, 모둠에서 협력하며 갈등을 해결해 나가는 이질적 집단에서의 상호작용 역량, 탐구 주제와 활동, 아트 북을 계획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의 행동과 인성의 변화를 통한 자율적 실천 역량의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동시에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성취가 상황에 따라 어려움이 될 수도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융복합교육의 실행에 있어서 학생 의 기대와 역량에 대한 이해, 다양한 학습자의 특성에 기반한 프로그램의 개발, 가정과 사회에서의 지원을 제안하였다. In this research, we interviewed 14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a project-based STEAM program and qualitatively interpreted students’ achievements and difficulties from the yungbokhap education perspective. The results include the following: In addition to acquiring knowledge on medicinal plants and how to use technical devices and the Internet, first, the students were quite sure that their skills in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heir levels of endurance and responsibility improved significantly, experiencing happiness and senses of success. At the same time,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ir projects, autonomy and collaboration could be experienced as the difficulties to the students depending on the situation.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suggested that students’ expectations and competences, program development driven by students’ interests, and family and societal support are necessary for yungbokhap programs to be more successful.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