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기를 이용한 백내장 절개창의 크기에 따른 창상치유과정의 형태학적 관찰

        김진형,김태임,김응권,이형근,Jin Hyung Kim,Tae Im Kim,Eung Kweon Kim,Hyung Keun Lee 대한안과학회 2013 대한안과학회지 Vol.54 No.6

        Purpose: To investigate wound characteristics and ultrastructural changes in the 2.2-mm and 2.8-mm main corneal incisions. Methods: Forty-four eyes of 34 patients undergoing cataract surgery were randomized to receive a 2.2-mm or 2.8-mm main corneal incision. All incisions were evaluated 1, 7, and 30 days postoperatively using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The angle, length, maximal thickness of the incision, and if present, corneal gap length and incision gap area were calculated. The existence of Descemet’s membrane detachment was recorded. Results: The mean endothelial gap length and gap area of the 2.2-mm wound were larger than the 2.8-mm, with th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on postoperative day 30 (p = 0.015 and 0.027,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incision angle, length, and corneal thickness between the 2 incision sizes. The ratio of Descemet’s membrane detachment increased with older age and low postoperative IOP, but not associated with incision size (p < 0.05). Conclusions: Both the 2.2-mm and 2.8-mm main corneal incisions showed excellent wound healing outcome without significant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lder patients with low postoperative IOP required a more careful wound care management. The incision parameters in the present study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the healing process to reduce wound-related complications.

      • KCI등재

        숙성온도와 기간이 한우 거세우 배최장근의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진형,조수현,성필남,하경희,김학균,박범영,이종문,김동훈,안종남,Kim, Jin-Hyoung,Cho, Soo-Hyun,Seong, Pil-Nam,Hah, Kyung-Hee,Kim, Hak-Kyun,Park, Beom-Young,Lee, Jong-Moon,Kim, Dong-Hun,Ahn, Chong-Nam 한국축산식품학회 2007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숙성온도와 숙성기간이 한우 거세우 배최장근의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숙성온도를 0, $4^{\circ}C$로 하여 2, 7, 14, 21, 28, 49일 동안 숙성하면서 한우 거세우 배최장근의 pH, 전단력, MFI, 가열 및 육즙감량, 전자현미경 관찰, 관능검사 및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pH는 숙성온도가 $0^{\circ}C$일 때 숙성 21일까지, 숙성온도가 $4^{\circ}C$일 때 숙성 14일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였다(p<0.05). 전단력 값은 숙성 14일부터 28일까지 $4^{\circ}C$에서 숙성한 배최장근이 $4^{\circ}C$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연도가 향상되었다(p<0.05). MFI의 경우 $4^{\circ}C$에서 숙성한 배최장근 보다 $0^{\circ}C$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고,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0^{\circ}C$에서 숙성한 배최장근의 가열 및 육즙감량이 $4^{\circ}C$보다 적은 경향이었고,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관능검사에서 연도와 다즙성은 $0^{\circ}C$에서 숙성한 배최장근이 $4^{\circ}C$ 보다 좋은 평가를 보였고, 숙성기간이 경과하면서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얻었다(p<0.05). 전자현미경에 의한 미세구조 변화는 $4^{\circ}C$에서 숙성한 배최장근이 $0^{\circ}C$보다 1주일 빠르게 Z-disk의 붕괴가 확실하게 관찰되었고, 숙성기간이 경과하면서 Z-disk의 붕괴정도가 많아졌다. 아미노산 함량 변화는 $4^{\circ}C$에서 숙성한 배최장근이 $0^{\circ}C$보다 높은 경향이었고, 숙성기간이 경과하면서 각 아미노산 조성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한우 거세우 등심의 최적 숙성 조건은 $0^{\circ}C$에서는 14일간, $4^{\circ}C$에서는 7일간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숙성기술의 산업적 적용을 위하여 한우의 부위 및 근육별 적정 숙성기간 설정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geing temperature(0 and $4^{\circ}C$) and time(2, 7, 14, 21, 28, and 49 days) on the meat quality of longissimus muscle from Hanwoo steer. The pH, Warner-Bratzler shear force(WBSF), myofibrillar fragmentation index(MFI), cooking and purge loss, sensory, morphological changes, and amino acid composition were assessed. The pH of longissimus muscle increased significantly(p<0.05) for 21 days at $0^{\circ}C$ and 14 days at $4^{\circ}C$, but decreased thereafter. Longissimus muscle aged from 14 days to 28 days at $4^{\circ}C$ had a lower WBSF than longissimus muscle aged at $0^{\circ}C$(p<0.05). The WBSF of longissimus muscle decreased significantly(p<0.05) with ageing time. The MFI, cooking and purge loss, tenderness, and juiciness scores were higher for longissimus muscle aged at $4^{\circ}C$ than at $0^{\circ}C$. As ageing time increased, the MFI, cooking and purge loss, tenderness, juiciness,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longissimus muscle increased significantly(p<0.05) with ageing at 0 or $4^{\circ}C$.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showed Z-disk degradation and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myofibrils correlating with increased tenderness during the ageing time.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oper ageing conditions of longissimus muscle of Hanwoo steer were 14 days of ageing at $0^{\circ}C$ or 7 days of ageing at $4^{\circ}C$. However, further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geing technology to this industry is necessary for the optimization of ageing conditions for the sub-primals or muscles from Hanwoo beef.

      • KCI등재

        MR Imaging Findings of Patellar Tendon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with Bone-Tendon-Bone Autograft

        김진형,김형석,김형래,김백현,설혜영,차인호,이창희,임홍철,Kim, Jin-Hyeong,Kim, Hyeong-Seok,Kim, Hyeong-Rae,Kim, Baek-Hyeon,Seol, Hye-Yeong,Cha, In-Ho,Lee, Chang-Hui,Im, Hong-Cheol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6 No.1

        Purpose: To evaluate the postoperative changes occurring in the patellar tendon after reconstruction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using the central one-third of the patellar tendon together with patellar and tibial bony plugs. Materials and Methods: Ten patients with ACL injury underwent sagittal and coronal T1- weighted MR imaging of both postoperative and normal knee joints. In all cases, reconstruction of the ACL was performed using the central one-third of the patellar tendon, together with patellar and tibial bony plugs. During the follow-up period of 6-27 months, patient were clinically stable. We compared the length, signal intensity and contour of both patellar tendons, as seen on MR images. Results: No defects was found in harvested patellar tendons, and MR images showed high signal intensity within harvested tendons in six of the ten patients. In seven of ten, patellar tendons had irregular margins and were poorly delineated from adjacent tissue. The mean length of patellar tendons was 44.2${\pm}$2.9 mm in normal knee and 43.9${\pm}$3.1 mm in postoperative knee, while their mean thickness in postoperative knee, measured at mid-portion, averaged 4.3${\pm}$1.2 mm.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The greatest mean thickness of patellar tendon was 6.9${\pm}$1.2 mm and 4.3${\pm}$0.5 mm in normal and postoperative knee, respectively. Thus, on average, postoperative patellar tendon was 161% thicker than normal tendon (p<0.05). Conclusion: In clinically stable patients, patellar tendons after graft harvesting had a higher signal intensity, worse-defined margins and a greater thickness than normal. We suggest that these are the normal postoperative findings. 목적: 중앙부 슬개건 이식편을 이용한 외상성 전방십자인대 파열 복구 수술 후 슬관절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수술한 슬개건과 정상 슬개건의 소견을 비교하여 보았다. 대상과 방법: 외상성 전방십자인대 파열 소견을 보인 10명에서 슬개건의 중앙부분에서 이식편을 얻어 전방십자인대 복구 수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중 임상적으로 증상을 보이지 않았던 1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술 후 6-27개월(평균 16.7개월)후 반대편 정상 슬관절과 같이 양쪽 슬관절에서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였다. 자기공명영상은 시 상면과 관상면상으로 시행하였고,슬개건의 길이, 중앙부와 가장 두꺼운 부위에서의 두께 및 신호강도를 측정하여 양쪽 슬관절을 서로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한 슬관절에서 슬개건 내에 국소적인 고신호 강도가 6명(60%)에서 보였으며, 7명(70%)에서는 슬개건의 경계가 불분명하였다.길이는 건측 슬개건에서는 44.2 mm ${\pm}$2.9 mm이었고, 수술한 슬개건에서는 43.9 mm ${\pm}$3.1 mm이었다. 중앙부위에서의 두께는 양측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p>0.05).가장 두꺼운 부분에서의 두께는 건측이 4.3 mm ${\pm}$0.5 mm이고 수술한 쪽의 슬개건은 6.9 mm ${\pm}$1.2 mm로 측정되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수술한 쪽의 슬개건이 건측 슬개건보다 두꺼웠다(161%). 결론: 슬개건을 이용하여 전방십자인대 복구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시행한 슬관절 자기 공명영상에서 이식편을 얻은 슬개건은 정상 슬개건과 비교하여 경계가 불분명하며, 국소적인 고신호강도를 보이고,두께가 두껍게 보였고, 이는 정상수술 후 자기공명영상 소견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전산해석을 통한 키로플러스 사파이어 단결정 성장공정의 유동 및 remelting 현상 분석

        김진형,박용호,이영철,Kim, Jin Hyung,Park, Yong Ho,Lee, Young Cheol 한국결정성장학회 2013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23 No.3

        사파이어($Al_2O_3$) 단결정 웨이퍼는 청색 LED(light emitting diode) 제작을 위한 핵심 소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사파이어 단결정의 품질에 따라 LED의 성능이 크게 좌우하게 된다. 여러 가지 사파이어 단결정 제조방법 중 키로플러스(Kyropoulos)법은 도가니 직경에 근접한 크기로 잉곳 생산이 가능하며, 내부 전위밀도가 낮아 고품질의 대구경 사파이어 잉곳 제작이 가능하다. 키로플러스법 공정에서 용융 알루미나의 유동은 seed의 성장 형태, 도가니 및 단열재의 형상에 영향을 받으며, 유동양상에 따라 단결정 사파이어 잉곳의 품질이 좌우된다. 특히 온도구배는 hot-zone 내부의 히터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도가니 단위표면적당 하부와 측면 히터의 발열비율에 따른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해석을 실시하고, 해석결과를 토대로 각각 용융 알루미나의 유동 및 remelting 현상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이상적인 히터 발열비율을 도출하였다. Sapphire wafers are used as an important substrate for the production of blue LED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LED's performance largely depends on the quality of the sapphire single crystals. There are several crystal growth methods for sapphire crystals and Kyropoulos method is an efficient way to grow large diameter and high-quality sapphire single crystals with low dislocation density. During Kyropoulos growth, the convection of molten melt is largely influenced by the hot zone geometry such as crucible shape, heater and refractory arrangements. In this study,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bottom/side ratios (per unit of the crucible surface area) of heaters. An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the molten alumina flows and remelting phenomena were analyzed.

      • KCI등재

        동부 Diallel Cross$ F_2$세대의 유전분석에 관한 연구

        김진형,고미석,장권열,Kim, J.H.,Ko, M.S.,Chang, K.Y. 한국작물학회 1983 한국작물학회지 Vol.28 No.2

        신 두과작물 증산의 중요성에 비추어 동부의 육종상 기초자료를 얻고자, 품종중 특성이 뚜렷한 6개품종을 2면교잡하여 교배친 6개품종과 $F_2$세대 15개 조합을 재료로 각 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분포상태 및 우성정도 그리고 조합능력 등을 추정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Vr-Wr Graph에서 개화일수, 분지수, 협장, 주당협장, 주당립수, 백립중 및 구당립중의 7개형질은 불완전우성이었고, 성숙일수, 생육일수, 절간장 및 협당립수는 초우성으로 각각 나타났으나 경직경은 완전우성에 가까운 불완전우성이었다. 2. 각 형질의 우성정도를 본바, 개화일수, 성숙일수, 생육일수, 절간장, 주당협수, 협당립수, 주당립수, 구당립중의 8개형질은 그 값이 1이상이었고, 그 중 개화일수, 생육일수, 주당협수, 주당립수, 구당립중의 5개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에서는 D < H로서 우성효과가 더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평균우성정도는 성숙일수, 분기수, 주당립수의 형질들이 부의 값을 보여 타 형질과는 다른 경향이었으며, 우성열성유전자평균빈도는 성숙일수, 절간장, 분기수, 협당립수에서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3. 일반조합능력(GCA)과 특정조합능력(SCA)을 검정한 바, 전 형질에서 일반조합능력의 값이 특정조합능력 보다 컸으며, 그중 구당립중이 일반조합능력과 특정조합능력에서 가장 높았다. 4. 조합능력의 효과에서, 일반조합능력의 효과는 J78이 개화일수, 생육일수, 주당협수, 주당립수, 구당립중의 5개형질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정조합능력의 효과는 대체로 조합과 형질에 따라서 상이하였으나 TVu 1857$\times$TVu 2885, TVu 2702$\times$J78의 조합에서 그 효과가 크게 평가되었다.dica${\times}$Japonica 품종들은 $17/9^{\circ}C$에서만 고사되고 $20/12^{\circ}C$에서는 초기등숙이 정체되었다가 2주일후부터 등숙이 서서히 시작되었다. 7. 온도조건에 따른 복백미의 형성은 최적온도$(26/18^{\circ}C)$로부터 최저나 최고조건에서 많았고 사미 및 적미도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8. 현미립의 길이 및 두께 폭에 대한 영향을 보면 저온조건$(17/9^{\circ}C\;20/12^{\circ}C)$에서 짧거나, 얇고, 좁은 편이었다. 9. 온도별 립중분포의 빈도를 보면 IR36은 최고온도조건이나 $(32/24^{\circ}C)$ 최저온도$(23/13^{\circ}C)$에서 동일한 립중분포를 보였고 최적온도조건에서는 $(26/18^{\circ}C$ 높은 립중분포를 보였고 진흥은 최고, 최저, 최적온도 순으로 립중증가의 빈도를 보였으며 Indica${\times}$Japonica 품종들은 진흥과 IR36품종의 중간 영역에 머물고 있었다.mite처리구가 8.6%, 유황첨가구가 5.7~7.4% 증수되었음을 보이었다. 7. 식물체중의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구, 5%, 10% 유황첨가구가 3.31~3.50%로서 비슷하였고 15% 유황첨가구는 3.94%, Dolomite첨가구는 5.38%였다. 아미노산도 15%유황첨가구와 Dolomite첨가구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현미중 조단백질은 15%유황첨가구가 10.14%로서 최고이었으며 10%유황첨가구와 Dolomite첨가구는 9.85%로서 다음이었다. 아미노산도 대조구의 현미에는 유황처리구보다 작았으며 유황처리구에서는

      • KCI등재

        국내 콘택트렌즈 관련 합병증 양상에 대한 설문 조사: 한국콘택트렌즈학회

        김진형,송종석,현준영,정성근,김태진,Jin Hyoung Kim,Jong Suk Song,Joon Young Hyon,Sung Kun Chung,Tae Jin Kim 대한안과학회 2014 대한안과학회지 Vol.55 No.1

        Purpose: To investigate the epidemiology of contact lens (CL)-related complications in Korea. Methods: A questionnaire regarding CL-related complications including patient’s gender, age, causative factors, and signs and symptoms was distributed to members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by The Korean Contact Lens Study Society an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analyzed. Results: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written by ophthalmologists from 22 institutes and clinics were collected from 499 subjects over a 20-month period starting in October 2008 and analyzed. The mean age of respondents was 22.9 years and the male-to-female ratio was 1:8.1. The soft CL and cosmetic colored lens comprised the majority (46.6% and 42.1%, respectively) of the reported cases, followed by the rigid gas permeable lens (RGP lens; 10.6%) and orthokeratology lens (0.8%). In subjects using a cosmetic colored lens, 62.2% showed emmetropia and 89.1% of the lenses were prescribed by opticians. The main complications included corneal erosion, sterile corneal infiltrate, allergic disease, conjunctival injection, corneal ulcer, and dry eye syndrome. The most common causative factor of complications was excessive lens wear. Comparing main causative factors according to the RGP lens prescriber, the most common factor was poor lens fit. Conclusions: The number of cosmetic colored lens-related complications in the emmetropic eyes of young patients is increasing rapidly. Considering opticians are the main CL prescribers in CL-related complications, Korean ophthalmologists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CL fitting and constant education of patients regarding proper CL wear and care.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1):20-31

      • 경천사10층석탑 오염물 제거 방안 연구-레이저를 이용한 오염물의 제거 방안 중심으로

        김진형,김사덕,강대일,청목번부,Kim, Jin-Hyung,Kim, Sa-Dug,Kang, Dai-Ill,Aoki Shigeo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保存科學硏究 Vol.23 No.-

        It has been proved that pollutants stuck on the surface of stone architecture have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harmful effects on them. Among them some do not look evidently harmful, but they have potentials to ruin stone architecture as time goes on. Since the cultural assets have magnificent meanings as historical aspects, their future states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as well as that of the presence. The past method to get rid of the pollutants from the surface of cultural properties has been changed a lot till the present along with scientific development of technology on this field. Existing method to eliminating pollutants are based on physical and chemical processing, which can make damages on them too. Recently cleansing using LASER has been developed in Europe and proved as effective and relatively less harmful to remove pollutants, and it has been adopted widely. After the success of the way by LASER, there are several trials to adopt the way to our cultural properties which have similar materials. Those showed satisfactory results and studies for developing the securer and more dependable ways to apply. From now on the report will show the effective ways to apply the method using LASER on to the similar materials and different materials as well and discuss about the pros and cons about the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