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외 사장 개척은 '신뢰감' 구축으로 시작

        김주혁,Kim, Ju-Hyeok 한국정보통신집흥협회 2006 정보화사회 Vol.179 No.-

        소프트웨어 분야는 2~3년을 손해 보더라도 신뢰감을 쌓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원하는 비즈니스를 지속적으로 보여줘야지 고위층 인사와의 친분 등 '과시'만으로 비즈니스가 되는 건 아니다.

      • MPEG 동영상 컨텐츠 보호를 위한 양자화-적응적 워터마킹 알고리즘

        김주혁,최현준,서영호,김동욱,Kim Joo-Hyuk,Choi Hyun-Jun,Seo Young-Ho,Kim Dong-Wook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2 No.6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 컨텐츠의 위${\cdot}$변조, 불법사용 및 복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가시성과 공격에 대한 강인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blind 워터마킹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MPEG-2 동영상 압축시스템을 대상으로 하며, 이 압축시스템의 적응적 양자화에 부합하도록 양자화 스케일 코드에 따라 삽입할 워터마크 비트 수를 조절하도록 설계하였다. 워터마크의 삽입위치는 영상의 주파수 특성에 따라 삽입할 영상블록을 선정하고, 선정된 영상블록의 가로, 세로, 대각선의 주파수 특성과 블록내의 각 계수의 주파수 특성을 고려하여 계수를 선정하였다. 또한 각 계수에 삽입할 워터마크 비트 수는 양자화 스텝을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C/C++ 언어로 구현하였으며, 자체 제작한 MPEG-2 시스템을 테스트 베드로 하여 비가시성과 강인성을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삽입한 워터마크의 비가시성이 충분히 만족되었고, 일반적인 공격방법에 대해 추출된 워터마크의 에러율이 $10\%$ 이하의 강인성을 보였다. 따라서 제안한 방법은 MPEG-2 시스템을 사용하는 동영상 압축, 특히 네트워크 적응적 압축이 필요한 응용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is paper proposed a blind watermarking method for video contents which satisfies both the invisibility and the robustness to attacks to prohibit counterfeiting, modification, illegal usage and illegal re-production of video contents. This watermarking algorithm targets MPEG compression system and was designed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marking to be inserted according to the adaptive quantization scale code to follow the adaptive quantization of the compression system. The inserting positions of the watermark were chosen by considering the frequency property of an image and horizontal, vertical and diagonal property of a $8{\times}8$ image block. Also the amount of watermarking for each watermark bit was decided by considering the quantization step. This algorithm was implemented by C++ and experimented for invisibility and robustness with MPEG-2 system.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the method satisfied enough the invisibility of the inserted watermark and robustness against attacks. For the general attacks, the error rate of the extracted watermark was less than $10\%$, which is enough in robustness against the attacks. Therefore, this algorithm is expected to be used effectively as a part in many MPEG systems for real-time watermarking, especially in the sensitive applications to the network environments.

      • KCI우수등재SCOPUS

        더덕 속 식물의 구분을 위한 InDel 마커의 개발

        김주혁(Ju Hyeok Kim),정영훈(Young Hoon Jeong),이미선(Mi Sun Lee),김문교(Moonkyo Kim),조남수(Namsu Jo),길진수(Jinsu Gil),구성철(Sung Cheol Koo),이이(Yi Lee) 한국약용작물학회 2023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31 No.1

        Background: Three medicinal plants of the Campanulaceae, Codonopsis lanceolata, C. pilosula, and C. ussuriensis are perennial vines of the genus Codonopsis, and are widely disturbuted in East Asia. C. lanceolata, C. pilosula, and C. ussuriensis have been used as medicine to alleviate inflammation, increase red blood cell count and hemoglobin levels, and improve spleen and stomach functions, respectively. The three species have similar morphologies, although their pharmacological effects differ. Methods and Results: We identified polymorphic loci by comparing chloroplast and mitochondrial sequences of C. lanceolata, C. pilosula, and C. ussuriensis. We designed primers based on these polymorphic loci and conduc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alysis to verify the polymorphisms. Three insertion–deletion (InDel) markers were ultimately developed: CD-mt-02, which identified C. pilosula; CD-mt-06, which identified C. ussuriensis; and CD-cp-07, which identified all the three species. Conclusions: The three InDel markers developed in this study easily distinguished the three plant species based on a simple PCR test.

      • 공조기용 Corrugate Fin-Tube 열교환기의 냉난방 및 착상성능

        김주혁(Ju Hyok Kim),김홍성(Hong Sung Kim),이한춘(Han Choon Lee),사용철(Yong Cheol Sa),오세기(Sai Kee Oh) 대한설비공학회 2010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0 No.6

        An outdoor heat exchanger of heat pump is used as an evaporator during heating operations and frost on its surface can grow at low outdoor temperatures. Frost increases the thermal resistance and the air-side pressure drop of evaporators, which decrease system heating performance. In this study, the evaporation, condensation and frosting performance of corrugate fin having an uniform air velocity and heat transfer is examined experimentally. In addition, the heat pump performance with the corrugate fin heat exchanger is compared with the louver fin heat exchanger. Heating capacity and COP of heat pump using corrugate fin increase by 36% and 19%, respectively.

      • 박용묵 목사의 생애와 부흥 사역

        김주혁(Kim, Juhyuk),양현표(Yang, Peter Hyunphyo) 신학지남사 2021 신학지남 Vol.88 No.1

        한국교회 역사를 살펴보면 많은 부흥사들이 등장했었다. 부흥사들은 다양한 모습으로 자신의 시대에 맞게 활동하였다. 박용묵은 1950년대 한국교회 무대에 등장하여 1960년대와 1970년대 큰 영향력을 미친 부흥사이다. 그는 1974년 설립된 “한국기독교부흥협의회” 초대 회장으로 추대되었고, 여러 대형 전도집회에 힘을 집결시켰다. 이처럼 박용묵은 한국교회의 성장시기에 큰 역할을 감당하였기에 그의 생애와 부흥 사역을 연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연구자가 박용묵의 생애와 부흥 사역을 연구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문헌연구이다. 1차로 참고한 문헌은 박용묵의 저서들이다. 그는 28권의 책을 저술하였고 현재는 15권이 전해진다. 2차로 참고한 문헌은 박용묵에 대한 연구논문이다. 국회전자도서관에 등록된 논문들 중 “박용묵”으로 검색했을 때에 찾을 수 있는 글은 최찬용과 주강식의 글이다. 또한 박용묵에 대해 연구할 수 있는 자료들은 박용묵의 장남 박재천, 5남 박상은 그리고 6남 박상진이 저술한 단행본과 글들이 있고, 박용묵의 가족 중심으로 이루어진 영파선교회의 활동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박용묵을 원로목사로 추대한 대길교회의 50년사 또한 참고할 수 있는 자료이다. 본 소논문은 위의 자료들을 바탕으로 첫째로 박용묵의 생애를, 둘째로 박용묵의 부흥 사역을 연구하였다. 박용묵의 생애에 관해서는 유년 시절부터 목회자로의 부르심, 그리고 박용묵이 목회하였던 경북 덕촌교회, 박사교회, 대구 문화교회, 동신교회, 서울 대길교회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박용묵의 부흥 사역에 관한 것은 그가 강조하였던 사역의 원칙, 전도의 방법론, 사역의 특징 그리고 부흥 사역의 열매로 전해지는 것들을 연구하였다. 박용묵은 부흥사, 목회자 그리고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한국교회 목회자들에게 본이 되는 생애와 부흥 사역을 보여주었다. 오늘날처럼 한국교회가 세상으로부터 외면과 질타를 당하고 있는 때에 박용묵과 같은 목회자요 부흥사가 출현할 수 있다면 세상에 희망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소논문을 통해 그와 같은 부흥사들의 생애와 부흥 사역이 활발히 연구될 수 있기를 소망한다. Looking at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many evangelist have appeared. They were active in various ways to suit their times. Park Yong-mook is a the evangelist that appeared on the stage of Korean churches in the 1950s and had great influence in the 1960s and 1970s. He was elected as the first president of the “Korean Christian Revival Council” established in 1974, and he concentrated on several large evangelistic meetings. Like this, Park Yong-mook played a large role in the growth period of the Korean church, so it is meaningful to study his life and revival ministry. The method used by the researcher to study the life and revival ministry of Park Yong-mook is literature research. The primary references were Park Yong-mook’s books. He has written 28 books, and now 15 books are handed down. The second referenced document is a research paper on Park Yong-mook. Among the papers registered i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the ones you can find when searching for “Park Yong-mook” are those of Choi Chan-yong and Joo Kang-sik. In addition, there are books and articles written by Park Yong-mook’s first son, Park Jae-cheon, 5th son Park Sang-eun, and 6th son Park Sang-jin, and the others can be found in the activities of Youngpa Mission, which is made up with Park Yong-mook’s family. The 50-year history of Daegil Church, which elected Park Yong-mook as the elder pastor, is also a reference. The researcher first studied the life of Park Yong-mook, and the secondly researched Park’s revival ministry. Park Yong-mook’s life was described mainly from his calling as a pastor from childhood, and the Gyeongbuk Deokchon Church, Parksa Church, Daegu Moonhwa Church, Dongshin Church, and Seoul Daegil Church, where Park Yong-mook ministered. Through Park Yong-mook’s revival ministry, we studied the principles of ministry, methodology of evangelism, characteristics of the ministry, and the contents conveyed as the fruit of the revival ministry. As a evangelist, pastor and head of a family, Park Yong-mook showed the life and revival ministry that set an example for Korean church pastors. When the Korean church is being neglected and criticized from people like today, if a pastor like Park Yong-mook emerge, we can tell them hope. Also, through this essay, I hope that the life and ministry of such evangelist can be actively stud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