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칼빈의 ‘조직신학서’ 『기독교 강요』: 필자의 1559년 라틴어 최종판 번역에 즈음해서

        문병호(Byung-Ho Moon) 신학지남사 2023 신학지남 Vol.90 No.4

        칼빈은 목회자, 주석자, 설교자였으되 ‘성경의 교사(doctor Scripturae)’ 즉 ‘신학자(theologus)’로서 그러하였다. 칼빈은 성경 교리 전체를 종합적 ·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변증하는 데 일생을 바쳤으며, 『기독교 강요』는 그 최고의 열매였다. 『기독교 강요』는 1536년 초판부터 신학적 체계를 갖추었으나, 처음에는 십계명, 사도신경, 주기도문 해설을 중심으로 한 신앙교육서로서의 성격이 강했고, 교리서 혹은 조직신학서로의 면모를 갖춘 것은 1539년 제2판부터였으며, 이후 판을 거듭할수록 성경 각 권의 주해(expositio) 및 주요한 신학 주제 대부분을 아우르는 다양한 신학 논쟁(disputatio)에서 심화한 교리적 고찰이 반영된 증보(augmentatio)가 이루어져 그 ‘조직신학서’로서의 면모가 더욱 뚜렷해졌다. 그 1559년 마지막 판은 4권 각 권이 성부, 성자, 성령, 교회를 핵심 주제로 삼아 사도신경의 구조를 취한다는 점에서 신경적(creedal)이며, 제1권에서 계시론(신학서론)과 신론, 제2권에서 인간론(죄론)과 기독론, 제3권에서 구원론과 그 완성으로서의 종말론, 제4권에서는 성례론을 포함한 교회론을 다룬다는 점에서 신앙교육서적(catechetical)이다. 그러고 옳고 그름을 따져 신학의 정통성을 자리매김 하고 있다는 점에서 변증적(apologetical) 이었다. 칼빈은 주해에 기초한 교리 해석을 수행했지만, 그 주해는 교리적 해석에 기초하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진정 “신앙의 유비(analogia fidei)’에 따른, 성경으로 성경 읽기의 ”성경의 유비(analogia Scripturae)가 구현되었다. 그의 『기독교 강요』는 단지 개혁신학의 기초를 놓은 선구적 의미를 갖는 데 그치지 않고, 그 자체로서 개혁신학의 정점에 서 있는 백미(白眉)라 평가받음이 마땅하다. Calvin was a pastor, commentator, and preacher, as ‘doctor Scripturae,’ that is, as ‘theologus.’ Calvin devoted his life to establishing and defensing all Biblical doctrines not only instructively but also systematic-theologically, and his opus magnum Institutes presents this characteristic tendency most succinctly and prominently throughout its continuing Latin and French editions. The final 1559 edition of Calvin’s Institutes is composed of 4 books, each of which deals with God the Father, God the Son, God the Holy Spirit, and the Church. This reminds us of the structure of the Apostles’ Creed. Book 1 refers to the doctrines of revelation, which pertains to the so-called theological prolegomena or instruction, and the Trinity, Book 2, to those of the Fall and Christology, Book 3, to those of salvation and its final fulfillment(eschatology), Book 4, to the church and sacraments. This order of teaching(ordo docendi) agrees with that of the typical Reformed systematic theology, which is based on reading the Bible by the Bible, secundum analogiam Scripturae, and by the faith, which is given as a divine gift gratuitously and irresistably, secundum analogiam fidei. In this respect, Calvin’s Institutes deserves not only the first systematic-theological book, which embodied the truly Biblical theology and set the foundation of the Reformed theology, but also its masterpiece, which has influenced it most significantly generation by generation.

      • 평양 장로회신학교의 설립과 조직신학 교육 과정

        이상웅(Sangung Lee) 신학지남사 2024 신학지남 Vol.91 No.1

        평양 장로회신학교는 한국 장로교회 역사상 최초의 신학 교육 기관이었다. 그동안 여러 연구 문헌들이 공표되었지만, 본고에서는 신학교의 설립 과정부터 1938년까지 조직신학 교육 과정에 집중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구 작업을 위해서 다양한 문헌들을 참고하였지만, 특히 신학교가 간행했던 네 개의 학교 요람들(1916, 1923, 1928, 1931)을 참고했다. 신학교 초기에는 여러 선교사가 협의를 통해 과목들을 분담하여 가르쳤기 때문에, 조직신학 과목들도 마포삼열, 배위량, 소안론, 기일, 이눌서 등이 가르쳤다. 1916년에 전임 교수제가 확립됨에 따라, 조직신학은 이눌서 선교사가 전담하여 가르치게 되었는데, 당시 출간한 그의 교재들을 보면 교리 교육 교재 수준이었다. 이눌서는 1931년에 이르러 중국신학자 가옥명의 『조직신학』 6책을 번역 출간하여 신학교 교재로 삼았는데, 이 책들 역시 오늘날의 전문적인 신학 교재의 수준에 미치지는 못한다고 평가된다. 그러나 1931년에 전임교수가 된 죽산 박형룡의 강의와 저술을 통하여 더욱 더 전문적인 조직신학 교육이 펼쳐지기 시작하게 된다. Pyengyang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was the first theological education institution in the histor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Although many research documents have been published so far, in this paper I focused on the systematic theology curriculum from the seminarys establishment to 1938. For this examination, various documents were referred to, but in particular, the four Catalogues (1916, 1923, 1928, 1931) published by the seminary were referred to. In the early period of the seminary, various missionaries taught subjects by dividing them through consultation, so systematic theology subjects were also taught by Samuel A. Moffett, William Baird, William Swallen, James Gale, and William D. As the full-time professorship system was established in 1916, systematic theology was taught exclusively by Reynolds, and the textbooks he published at the time were at the level of doctrinal education textbooks. In 1931, Reynolds translated and published six books of Chinese theologian Jia Yumings Systematic Theology and used them as seminary textbooks. However, these books are also evaluated as not reaching the level of todays professional theological textbooks. However, more specialized systematic theology education began to unfold through the lectures and writings of Park Hyung Nong, who became a full-time professor in 1931.

      • 지역교회와 목회에 공헌하는 「신학지남」: 회고와 전망

        한동수(Dongsoo Han) 신학지남사 2023 신학지남 Vol.90 No.4

        본 소고는 「신학지남」 발간 105주년을 맞이하여 그 역사적 정체성을 평가하되, 특히 1918년 창간호와 1954년 속간호가 밝힌 「신학지남」의 의도와 방향성에 주목하여 「신학지남」이 지역교회와 목회에 얼마나 공헌했는지 공(功)과 과(過)를 객관적으로 비평함으로써 향후 방향성을 제안하는 데에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해 그동안 「신학지남」에 게재된 모든 논문을 계량서지학적으로 분석한다. 분류의 기준은 세 가지로, ‘당대의 정통신학에 대한 도전과 수호에 관한 논문,’ ‘당대의 교회와 목회 문제에 관한 논문,’ ‘당대의 사회 문제에 관한 논문’ 등이다. 이 분류와 분석을 통해 판단할 때, 「신학지남」이 시대마다 신학적인 이슈와 교회론적 이슈, 그리고 사회적 이슈들에 관해 여러 논문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응하려고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 그러나 「신학지남」의 수록 논문들에는 세 가지 면에서 비평적 한계도 드러낸다. 첫째, 신학적인 이슈들에 대해 시대를 막론하고 끊임없이 변증하고 우리 교단의 정통적인 신학을 지키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았지만, 최근 십 수년간 다룬 신학적인 주제들은 시대의 신학적인 도전과 이슈에 적극적으로 논박하고 변증하는 데에 충실하지 못했다. 둘째, 지난 105년간 게재된 논문들은 신학적인 이슈에 관한 논문이 지배적이었던 반면, 역사적 칼빈주의와 복음주의 정신이 소중히 여기는 대사회적인 책임으로서의 대응은 상대적으로 미흡했으며, 지역교회들이 분투하는 현장의 과제들에 대해서도 적절히 답하지 못한 점이 두드러진다. 셋째로, 더욱 심각한 것은, 교회 문제와 사회 문제에 대한 논문들이 21세기에 들어서 더 현저하게 감소했다. 이러한 한계로 인해 「신학지남」은 위기를 맞은 듯 보인다. 그러므로 다시 회복하여 본래의 정신으로 돌아가야 한다. 총신이 교단 신학교로서 지역 교회들에게 신학적 지남을 제공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엄중히 받아들여야 한다. 「신학지남」은 창간호와 속간호의 정신을 이어받아, 우리 시대에 교회와 사회가 직면한 중요하고 긴급한 이슈들에 관해 지남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This article aims to evaluate the historical identity of The Theological Review on the occasion of the 105th anniversary of its publication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by an objective assessment of its contributions to local churches and ministries,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its original intent and directions of publication as revealed in its first issue in 1918 and the resumed issue in 1954. To this end, all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Theological Review will be quantitatively and bibliometrically analyzed. There are three criteria for categorization: ‘articles on the contemporary theological challenges and defense of orthodoxy,’ ‘articles on contemporary ecclesiastical and pastoral issues,’ and ‘articles on contemporary social issues.’ Judging from this categorization and analysis, it is evident that The Theological Review has made efforts to actively respond to theological, ecclesiastical, and social issues in each era through various articles. However, the articles in the journal also reveal critical limitations in three ways. First, while the journal has been constantly engaged in apologetics on theological issues throughout the ages and has spared no effort to defend the orthodox theology of our denomination, the theological topics covered in recent decades have not been faithful to actively debate and apologize for the theological challenges and issues of our time. Second, the articles published over the past 105 years have been dominated by theological issues, with relatively little response to the social responsibilities cherished by historic Calvinism and the Evangelicalism, nor have they adequately addressed the on-the-ground challenges of local churches. Third, and more seriously, the number of articles on ecclesiastical and social issues has declined more markedly in the 21st century. With these limitations, The Theological Review seems to be in crisis. Therefore, it needs to be revitalized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spirit. As a denominational seminary, it must take seriously its responsibility to provide theological training to local churches. In keeping with the original intent of its first issue, The Theological Review should serve as an ongoing journal on important and urgent issues facing the church and society in our time.

      • 김성태교수의 연구업적과 선교 신학사상

        정경호(Jung, Gyeong-Ho) 신학지남사 2020 신학지남 Vol.87 No.3

        하나님께서 특별하게 사용하신 한 사람의 생애와 업적과 선교신학사상을 기술한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그럼에도 필자는 스승이신 김성태교수님에 대해 글을 쓰게 되어 감사함과 아쉬움이 있다. 김성태교수님은 지난 46년간 신학을 탐구하셨고 그중에 30년은 교수로서 연구와 저술 그리고 논문과 실제 선교현장에서 사역을 실천하셨다. 이 과정을 통해 청죽은 독특한 개혁주의 선교신학사상을 형성하였다. 그의 선교신학은 성경과 현장을 연결하는 중심의 신학으로써 선교신학이 된다. 김성태교수님은 『현대선교학총론』을 필두로 해서 단행본저서들과 『신학지남』에 기고한 26편의 논문을 포함하여 41편의 글을 남기셨다. 청죽의 교수와 연구는 목사후보생들이 공부하는 총신대학교신학대원에서 개혁주의 선교신학을 발전시키고 확립시키는데 그게 기여하게 되었다. 또한 한국교회의 선교적인 성장과 북방선교, 북한선교, 이슬람권선교에 신학적이고 전략적인 측면에서 큰 기여를 하게 되었다. 김성태교수님의 선교신학사상을 집약하면 선교하는 책 성경에 기초하여 선교하는 신학과 선교하는 교회를 중심으로 주님의 지상명령을 성취하기 위해서 성경과 세상을 연결하는 신학으로 규명할 수 있겠다. 요약하면 김성태교수님의 선교신학사상은 그 출발점을 성경에 두고 있다. 청죽은 개혁교회가 표방한 분명한 성경관에 입각하여 선교의 책인 성경에서 선교를 도출하여 선교하는 신학으로써 선교신학을 정립하게 된다. 청죽의 선교신학은 선교현장에 실천하는 신학으로 규정할 수 있다. 즉 선교의 실천은 하나님의 신적 기관으로써 교회가 되며 그가 가진 교회에 대한 신학사상은 바로 선교적 교회론을 형성하였다. 청죽은 선교적 교회론에 입각하여 교회중심의 선교확장사관을 형성하고 이것은 현장에 사역으로 교회성장과 북한선교 이슬람선교로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이제 필자는 존경하는 스승님의 정년퇴임을 축하와 함께 부족함에 대한 아쉬움을 가진 채 김성태교수님의 선교신학의 유산을 이어받고자 한다. 김성태교수님은 강의실에서 말씀과 선교와 현장을 항상 강조하셨다. 김성태교수님이 선교신학의 실천과제로 삼은 것은 온 교회가 온 세상에 온전한 복음으로 주님의 지상명령을 성취하는 것이었다. 이 과업은 아직도 완성된 것이 아니다. 이제 후학들이 김성태교수님의 선교신학적인 유산을 이어 받아서 남은 미완성의 과업을 이루어가야 할 것이다. I say it is quite hard to write about someone’s life, achievements, and theological ideas whom God especially uses. Nevertheless, I feel very grateful and sad at the same time that I got this chance to write about Professor Sung-Tae Kim, who is my long and beloved teacher. Professor Kim had explored the field of theology for the past 46 years and of which 30 years, as a professor, he has carried out his ministry by doing research, writing dissertations, and working in actual mission fields. Walking this path, Dr. Kim formed a unique ideology of reformist mission theology. His theology of missions is a theology that connects the Bible and the actual mission field. Starting with Introduction to Modern Missiology, Professor Kim wrote 41 articles altogether, including several books and 26 theses contributed to Theological Review. His teachings and research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the reformist mission theology at the Chongshin Theological Seminary where lots of pastor candidates learn their ways. The contribution extends to the growth of the Korean Church and its mission works, the North Korean mission, and the missions towards Muslims in a strategic aspect. If dividing Dr. Kim’s idea of mission theology into two big parts, the first would be the missional theology based on the Bible, which is a book of missions. The second part would be the theology based on missional churches, which connects the Bible and the world to fulfill the Great Commission of our Lord. In brief, Professor Sung-Tae Kim’s mission theology has its starting point in the Bible. Based on the clear view of the Scripture advocated by the Reformed Church, Dr. Kim draws missions from the Bible, which is a book of mission works, and establishes his theology of mission as a ‘theology that carries out missions’. His mission theology can also be defined as a ‘practicing’ theology in mission fields. In other words, the practice of missions becomes the Church, God’s divine institution, and his theological idea of the church formed the idea of missional churches. Based on the missional church theory, he introduced a view of history of ‘church-centered mission expansion’, and attempted to make it affect church growth and Islamic missions and North Korean missions. Now, while congratulating my respected teacher’s retirement and being sorry for our coming days missing him, I would like to carry on the legacy of Dr. Kim’s mission theology. He would always emphasize God’s words, mission works, and mission fields in his lecture room. What he set as the practical task of mission theology was the whole church taking the whole Gospel to the whole world, to fulfill the Lord’s Great Commission. This task is not yet completed and the students will have to take over Dr. Kim’s legacy of practicing missionary theology and carry on with the remaining unfinished tasks.

      • 총신 120년의 역사, 신앙, 평가(I): 평양장로회신학교 설립, 발전, 폐교 (1901-1940)

        박용규(Yong Kyu Park) 신학지남사 2021 신학지남 Vol.88 No.2

        1901년 평양장로회신학교에서 출발한 총신대학교가 올해로 개교 120주년을 맞았다. 137년의 한국개신교 역사 속에서 총신대학교가 120주년을 맞았다는 것은 참으로 자랑스럽고 대단한 일이다. 지난 120년의 총신대학교 역사는 평양장로회신학교 40년, 장로회총회신학교 15년, 총신대학교 60년으로 대별할 수 있다. 본고는 1901년에 설립되어 1940년 폐교를 당한 평양장로회신학교의 설립, 발전, 폐교의 전 과정을 역사적으로 조명하였다. 필자는 이를 위해 평양장로회신학교를 형성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초기선교사들, 평양장로회신학교의 설립 이후 40년의 역사, 평양장로회신학교의 학제, 신학지남, 교수진, 교과과정, 신앙고백, 신학교 폐교와 「신학지남」 폐간, 그리고 평양장로회신학교의 영향과 평가에 이르는 평신의 전 역사를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필자는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선교사들의 편지, 보고서, 「신학지남」의 논고들, 신학교 소식, Korea Mission Field의 논고들을 포함한 1차 사료에 의존하여 연구를 진행했고, 맥코믹신학교 출신 선교사들이 평양장로회신학교의 태동, 형성,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는 사실을 설득력 있게 제시했다. 그들의 영향력은 1910-1924년까지 마포삼열이 교장으로 재직하는 동안 절대적이었고, 심지어 1924년 라부열이 교장에 오른 뒤 프린스톤 신학교 출신들의 영향력이 놀랍게 확대되었지만 맥코믹 출신들의 영향력은 여전히 대단했다. 마포삼열의 교장 시기 전형적인 평신의 신앙전통은 역사적 복음주의와 역사적 장로교 전통에 충실한 기간이었다면 라부열 교장 시기의 평신은 조직신학과 정통신학이 눈에 띄게 강화되었다. This year, 2021, marked the 120th anniversary of the Presbyterian General Assembly Theological Seminary (Chongshin), which began in 1901 as the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Pyengyang. In the one hundred thirty-seven year history of Korean Protestantism, celebrating the 120th anniversary of Chongshin is certainly a proud and great thing. At the most, 120 years might be divided into 40 years at the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Pyengyang, 15 years at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and 60 years at the Chongshin University. The goal of this dissertation is to use original materials to examine the full history of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Pyengyang, from its founding in 1901 to its closing in 1940. The entire history of the Seminary, including the early missionaries wh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ts formation, the school system, the Theological Review(Shinhak Jinam), faculty, curriculum, confession of faith, the Seminary’s closure, and the Theological Review and Seminary’s impact and evaluation, was thoroughly examined. The author drew on primary sources like as letters from missionaries, Annual and Personal Reports, papers from Theological Review, Seminary news, and articles from the Korea Mission Field while completing this research. This study will demonstrate how missionaries from 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eminary’s founding, formation, and progress. During Samuel A. Moffett’s stint as principal, from 1901 to 1924, their influence was undeniable, and even when S. L. Robert took over as principal in 1924, the McCormicks’ impact grew considerably. Under Moffett’s stint as principal, the seminary’s typical theological heritage remained faithful to historical evangelical and historical Presbyterian traditions, but during Robert’s stint as principal, the seminary was substantially strengthened in systematic and orthodox theology.

      • 총신 120년의 역사, 신앙, 평가(Ⅱ): 장로회총회신학교시대-평양장로회신학교 재건과 복구기간(1940-1960)

        박용규(Yong Kyu Park) 신학지남사 2021 신학지남 Vol.88 No.3

        1940년 평양장로회신학교가 강제 폐교를 당한 후부터 1960년까지 한국장로교회 안에는 평양장로회신학교를 재건하고 그 신학 전통을 회복하려는 일련의 움직임이 강하게 일어났다. 1945년 해방 이후 남한에 있는 조선신학교는 신학적으로 칼 바르트의 신정통주의 진보주의로 흘렀고, 1946년 설립된 고려신학교는 ICCC와 교류하며 분리주의 노선을 걸으며 총회의 인준을 받지 않았다. 고려신학교와 총회와의 갈등이 지속되었고, 1947년 10월 부임한 교장 박형룡 박사마저 고려신학교 교장직을 사임을 하고 그 학교를 떠났다. 1947년 조선신학교 재학생 51인 호소 사건 이후 총회는 조선신학교 개편안을 제시했으나 조선신학교가 이를 거부하였다. 박형룡 박사가 고려신학교를 떠난 후 경상노회는 고려신학교 인준을 취소하였고, 고려신학교와 총회 사이에는 갈등이 지속되었다. 그런 가운데 1948년 평양장로회신학교 회복을 갈망하는 이들이 중심이 되어 총회가 주관하는 서울장로회신학교를 설립했다. 남한에서는 조선신학교, 고려신학교, 장로회신학교 세 개의 신학교를 중심으로 세 개의 파벌이 형성되었다. 1951년 총회는 조선신학교와 서울장로회신학교의 인준을 취소하고 장로회총회신학교를 대구에서 개설하여 감부열이 교장을 맡아 운영하다 그 뒤를 이어 1953년 박형룡 박사가 교장직을 맡았다. 1951년 개편된 장로회총회신학교는 평양장로회신학교와 1948년 설립된 서울장로회신학교의 전통을 그대로 계승한 가장 영향력 있는 학교로 발전했다. 1952년 고려파가 분열하고 1953년에는 기장이 분열한 상황에서 장로회총회신학교는 평양장로회신학교 전통을 회복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모토로 삼았고, 1954년 「신학지남」도 속간했다. 하지만 WCC의 신학적 변천으로 인해 친 WCC 에큐메니칼 지지자들과 이를 반대하는 NAE 측 사이에 첨예한 갈등이 총회 안에 지속됨으로 인해 또 다시 한국장로교는 분열의 위기에 직면했다. 게다가 남산의 신학교 부지를 구입하려는 노력과정에서 3천만환 사건이 발생했고, 이어 발생한 경기노회의 총대 선출 사건은 WCC 에큐메니칼측과 이를 반대하는 NAE 측 사이의 대립과 갈등을 심화시켜, 결국 한국장로교는 1959년 예장통합과 예장합동으로 세번째 대분열을 맞고 말았다. 신학교도 장로회신학교와 총회신학교로 분열되었다. 본 논문은 1940년부터 1960년까지 평양장로회신학교의 재건과 복구 과정을 면밀하게 추적하였다. Between 1940 and 1960, there was a major push within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to rebuild the Pyongyang Presbyterian Seminary (PTS) and restore its theological heritage after it was forcibly closed. The Chosun Theological Seminary (CTS, 조선신학교) in South Korea shifted theologically to Karl Barth’s neo-orthodoxy after the country’s liberation in 1945, and the Korea Theological Seminary (KTS, 고려신학교), founded in 1946, walked the separatist line while having fellowship with the ICCC, but was not approved by the General Assembly. During this time, tensions between KTS and the General Assembly persisted, and the principal, Dr. Park Hyungryong, resigned after just six months and departed the school. The General Assembly submitted a plan to reform CTS in 1947 after the appeal of 51 students enrolled in CTS, but CTS rejected it. The Kyeongsang Presbytery canceled KTS’ accreditation after Dr. Park Hyung-ryong left, and the confrontation between KTS and the General Assembly continued. Meanwhile, in 1948, those who wished for the PTS to be restored founded the Seoul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SPTS, 서울장로회신학교), which was overseen by the General Assembly. Thus, three seminaries existed in South Korea: CTS, KTS, and SPTS, and factions formed around these schools. The General Assembly established the Presbyterian General Assembly Theological Seminary (PGATS, 장로회총회신학교) in Daegu in 1951, with Campbell as the first principal, followed by Dr. Park Hyung-ryong. Because it inherited the traditions of PTS, Pyongyang, and SPTS, which were formed in 1948, the PGATS has grown into the most influential school. In a scenario when the Koshin and Kichang denominations broke in 1952 and 1953, the PGATS adopted the most essential slogan of maintaining the PTS tradition, and republished Shinhakjinam(Theological Review) in 1954. However, after sending Kim Hyun-jung and Myung Shin-hong to the 2nd WCC General Assembly in Evanston in 1954, a sharp conflict between pro-WCC ecumenical supporters and NAE opponents remained within the General Assembly because to the WCC’s theological revision. As a result,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found itself in yet another schism. Furthermore, a case of misappropriation of 30 million hwan occurred during the process of attempting to purchase the site of a seminary in Mt. Namsan, and the subsequent election of commissioners by the Kyunggi presbytery intensified the confrontation and conflict between the WCC Ecumenical and the NAE side who opposed it. The seminary was also divided into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長神) and Presbyterian G. A. Theological Seminary(總神). This thesis closely traced the reconstruction and restoration process of Pyongyang Presbyterian Seminary(平神) from 1940 to 1960.

      • 총신에서의 헤르만 바빙크 수용과 연구사

        이상웅(Sangung Lee) 신학지남사 2021 신학지남 Vol.88 No.3

        본고에서 헤르만 바빙크 소천 100주년을 맞이하여 총신에서의 바빙크 신학의 수용과 연구에 대해 역사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해방 이후 총신에서 바빙크를 처음 수용한 이는 박형룡 박사이다. 그는 만주에서의 조직신학 강의를 시작하면서 루이스 벌코프를 통해 바빙크의 신학 사상을 간접적으로 수용하기 시작했고, 그후에는 베르까워의 저술들을 통한 간접 수용에 이르기까지 진전했다(2절). 그리고 박윤선 박사의 경우는 놀랍게도 이미 1930년대에 화란어를 깨치고 바빙크의 원전들을 읽고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그는 자신의 주석 전집과 개혁주의 교리학에서 바빙크의 원전을 자주 활용하고 있다(3절). 총신에서 바빙크 신학에 대한 직접적인 수용과 전파에는 차영배 교수의 기여가 컸다는 점을 4절에서 우리는 개관해 보았다. 죽산이나 정암에 비해 심산은 바빙크 신학에 대한 강조가 우세했고, 원전에서의 번역 소개하는 작업도 처음으로 시작했다는 점에서 심산의 바빙크 연구는 기여점이 크다고 본다. 심산의 제자인 최홍석 교수 역시 심산을 따라 바빙크 신학에 크게 의존하고 신학 작업을 했으며, 신학적인 주제들을 설명하면서 세밀하고 세밀하게 살피고 설명하려는 특이점을 보여 주었다. 반면 서철원 교수는 다양한 개혁신학자들과 현대 신학자들 연구에 조예가 깊을 뿐 아니라 화란 신학에도 정통했지만, 좀 더 비판적으로 바빙크 신학을 대하였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현재 총신에 재직 중인 여러 교수의 바빙크 연구 현황도 개관해 보았는데, 총신은 어느때 보다 바빙크 연구의 붐이 왕성하게 전개되고 있다는 점과 바빙크 원전을 읽고 연구하거나 번역 소개하는 학자들이 활동하고 있다는 점 등은 고무적인 일이라고 생각된다. 이들의 지도하에 앞으로 더 많은 바빙크 연구자들이 양성될 것으로 기대되기도 한다. In this paper, on the occasion of the 100th anniversary of Herman Bavinck’s death, the acceptance and study of Bavinck’s theology in Chongshin Theological Seminary are historically considered. It was Dr. Park Hyungnong who first received Bavink to Chongshin after liberation. He began to indirectly accept Bavinck’s theological thought through Louis Berkhof when he started lectures on systematic theology in Manchuria, and then progressed to indirect acceptance through Berkouwer’s writings (Section 2). And, surprisingly, in the case of Dr. Yune-sun Park, he had already learned the Dutch language in the 1930s and began to read and use Bavinck’s original texts. He makes frequent use of Bavinck’s original texts in his entire Bible Commentaries and Reformed Dogmatics (section 3). In section 4, we overviewed Professor Chah Young-bae’s contribution to the direct acceptance and propagation of Bavinck’s theology in Chongshin. Compared to his predecessors, Chah’s study of Bavinck has a greater contribution to it in that the emphasis on Bavinck’s theology prevailed, and the work of introducing translations from the original text was started for the first time. Professor Hong-suk Choi also followed Chah to heavily depend on Bavinck’s theology and work on theology, and he showed the singularity of examining and explaining the theological subjects in detail and meticulously. On the other hand, Professor Suh Cheol-won was well versed in the studies of various reformed and modern theologians and was well versed in Dutch theology, but he treated Bavinck’s theology more critically. In addition, I took an overview of the research status of Bavink by several professors currently working in Chongshin. It is said that the boom in Bavink research is being developed more vigorously than ever before and that scholars who read, study, or translate the original Bavink are active. It is expected that more Bavinck researchers will be nurtured under their guidanc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