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한예수교 장로회(합동) 소속 목사/장로 대상 “정년 관련 설문조사” 결과 및 분석 연구서

        양현표(Yang, Hyunphyo) 신학지남사 2021 신학지남 Vol.88 No.2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교단은 제75회 총회(1990년)에서 만 70세 정년제도를 확정함으로 지금까지 약 30여 년 동안 유지해 왔다. 그런데 오늘날 사회적으로 그리고 교단 내적으로 정년제도와 관련된 많은 이슈가 제기되었으며, 따라서 정년제도에 관한 논의는 현재 뜨거운 사회적 이슈가 되었으며, 합동 교단 안에서도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두 진영으로 나뉘는데, 정년제도를 유지하자는 진영과 정년제도를 폐지해야 한다는 진영이다. 당연히 양쪽 진영 모두 나름대로 그들 주장에 대한 타당한 근거를 갖고 있다. 따라서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산하 특별위원회인 “정년연구위원회”는 2021년 4월 전국 140개 노회의 봄 정기 노회를 기점으로 하여, 각 노회에 참석한 목사와 장로들을 대상으로 〈정년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총 1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설문조사에 목사가 2,638명, 장로가 787명으로, 총 3,425명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이 설문조사를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설문조사의 결과만 놓고 보면, 정년을 상향하자는 의견이 40%이고 정년을 현행대로 유지하거나 하향해야 한다는 쪽이 60%로서, 전체적으로 정년 상향에 대해 부정적임이 사실이다. 연구자는 본 설문조사를 다양한 방향에서 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다음 세 가지 교단 차원의 대안을 제시한다. 첫째, 신학대학원 지원자가 줄어들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교단 차원에서 세워야 한다. 둘째, 정년을 연장 내지는 아예 폐지를 고려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목사 연장 교육을 제도적으로 정착해야 한다. The denomination, the general assembly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Hapdong), has decided the 70-year-old retirement system at the meeting of the 75th General Assembly (1990), and has maintained it for about 30 years so far. However, many issues related to this retirement age system are being raised both socially and within the denomination today. Therefore, the discussion on the retirement age system is a hot social issue, and at the same time, it has become an important concern in the denomination. As a result, it is divided into two camps: the camp to maintain the current retirement age and the camp to abolish the retirement age. Both sides have their own valid reasons. Therefore, the “Retirement Study Committee”, a special committee under the General Assembly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Habdong) conducted a 〈Survey for Retirement Research〉 for pastors and elders attending their regular spring Presbytry meeting in April 2021, thtal 140 presbyteries nationwide. The survey consisted of a total of 10 questions, and a total of 3,425 people responded to this survey, with 2,638 pastors and 787 elders. This study was prepared to analyze this survey and suggest alternatives. Simply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survey, 40% said that the retirement age should be raised, and 60% said that the retirement age should be kept as it is or lowered. The researcher analyzes this survey and proposes the following three denomination-level alternatives. First, a plan must be established at the denomination level so that the number of applicants to the seminary does not decrease. Second, the retirement age should be extended or abolished altogether. Finally, the continuing education for pastors should be institutionally established.

      • KCI등재후보

        교회의 원형으로서 “작은교회”의 회복 : 위기의 한국교회를 위한 대안

        양현표(Yang, Hyunphyo) 개혁신학회 2020 개혁논총 Vol.51 No.-

        한국교회가 위기에 직면했다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위기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한국교회의 위기는 어디서부터 연유되었을까? 많은 원인이 있겠지만, 필자는 모든 원인이 집약되어 나타난 교회의 대형화와 그 과정에 있다고 본다. 때문에, 필자는 위기의 한국교회를 살리기 위해 교회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작은교회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작은교회를“한 목사의 목양 범주를 벗어나지 않은 지역교회”라고 정의하며, 수치로는 100가정 정도까지의 교회를 작은교회로 규정한다. 그리고 그러한 작은교회는 ① 성경에 나타난 원래의 교회이며, ② 하나님의 창조 원리에 합당하며, 또한 ③ 현실의 대부분 교회가 작은교회라는 사실에서 그 합당성을 찾는다. 필자는 작은교회의 유익함을 ① 진정한 공동체, ② 참된 목양, ③ 양질의 제자화, ④ 한국교회의 미래라고 보고 있다. 이러한 작은교회를 잘 육성하기 위하여 필자는 ① 작은교회의 목사 자신이 우선 바른 신학과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해야 하며, ② 작은교회의 경제적 어려움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해결해야 하며, ③ 교회성장에 대한 성경적 패러다임을 확립해야 하고, ④ 작은교회로서 생존할 수 있는 작은교회만의 특화된 사역을 개발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⑤ 이 땅의 대부분인 작은교회 전문 목사들을 배출할 수 있는 신학교 교육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e Korean Church faces a real crisis. Where does this crisis come from? There may be many causes, but the root is in the model of the large church and, moreover, the processes that are necessary to become a large church. Therefore, this paper insists that a return to the small church as the prototypical church is needed in order to save the Korean Church from its crisis. A small church is defined as “a local church that does not go beyond the pastoral ability of a pastor” and has a numerical size of 100 families. This kind of church is ① typical of the early church as it appears in the Bible, ② is worthy of God’s principle of creation, and ③ is reflected in historical experience wherein most churches are small churches. The benefits of a small church are ① true community, ② true pastoring, ③ making high quality disciples, and ④ the recovery of the future of the Korean church. In order to develop such small churches well this paper suggests ① establishing a proper theology and identity of the pastor of a small church, ② addressing the economic difficulties of the small church, ③ establishing a biblical paradigm of church growth, ④ developing special ministries to resource small churches to sustain its survival, and ⑤ providing a seminary curriculum and education to develop small church specialists.

      • 김익두 목사의 부흥회와 그 특성

        양현표(Yang, Peter Hyunphyo) 신학지남사 2015 신학지남 Vol.82 No.1

        This article is focused on Pastor Ik Doo Kim"s 776 revival meetings and the reasons for their effectiveness. Two hallmarks characterized these revival meetings. First, they drew huge crowds, despite a poor infrastructure for transportation and public communication. Second, there was an emphasis on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which led to repentance and healing. In addition, Pastor Kim"s revival meetings contained two characteristics that led to its success: his sermons and his healing ministry. His preaching captivated his audience because he understood his audience’s context and had an ability to apply his sermons appropriately. This understanding led to several characteristics familiar in his sermons: 1) language familiar to the working class or the market place; 2) biblically sound and practically applicable points; 3) use of audiovisual and other engaging elements; 4) thorough spiritual preparation. His healing ministry also had several characteristics: 1) a three-stage progressive development of healing ministry; 2) orthodox and consistent theology; 3) immediate testimonies of any healing that occurred; 4) bold steadfastness in the face of fierce criticism and opposition; 5) true and genuine results of healing. Both contemporary and present day critics have criticized Pastor Kim. In particular, some present day church historians claim that Pastor Kim was instrumental in forming the foundation of the present day Korean church, which has often been though to be unrealistic and overly focused on success and prosperity. Despite such criticism, it is clear that God called Pastor Kim, empowered him, and used him for the birth of the Korean church during a crucial era.

      • KCI등재

        온라인 비대면 예배 수용 여부에 관한 실천신학 관점의 연구 : 온라인 비대면 예배는 정당한가?

        양현표 ( Yang Hyunphyo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2 성경과신학 Vol.101 No.-

        온라인 비대면 예배의 정당성을 두고 논쟁이 격렬하다. 정당하다는 진영과 부당하다는 진영은 각자의 근거와 논리를 갖고 있다. 온라인 비대면 예배에 관하여 가장 먼저 고려할 사항은 예배의 본질이 온라인 비대면 예배에 살아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중요한 사실은 예배의 본질은 예배의 형식과는 관련이 없다는 점이다. 수가성 여인과 예수님의 대화에서 예배의 본질이 형식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영과 진리로 드리는 예배의 대상, 즉 하나님을 향하는 데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질과 형식은 서로 구별하여 뗄 수 없다. 온라인 비대면 예배라는 형식만으로는 예배의 본질을 충분히 담지 못할 것이다. 교회는 가족 공동체, 식탁 공동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동시에 교회가 이 시대의 변화된 상황을 수용하지 못하고 예배당 대면 예배라는 형식만을 고집한다면 교회는 도태되고 말 것이다. 온라인을 통해서 오프라인으로 이끌고, 오프라인은 다시 온라인으로 확장되는 선순환의 고리를 형성해야 한다. 온라인 교회가 오프라인 교회를 결코 대체할 수 없다. 그렇다 하여 지금의 상황에서 오프라인 대면 예배만을 고집할 수 없다. 결국엔 대면에 기초한 비대면 예배의 시대를 열어가야 한다고 주장하고 싶다. 가능한 대면 예배를 더욱 공고히 하면서 비대면 예배 형식을 활용해야 한다. There is a serious debate over the legitimacy of online virtual worship. Both camps have their own rationale and logic. In considering these two views, one important question must be considered: is the essence of worship to God present and robust in online virtual worship services? Importantly, the essence of worship has very little to do with the form of worship. In Jesus’ conversation with the Samaritan woman in Sychar, Jesus makes clear that the essence of worship is not in its form but rather in the object of the worship (towards the one true God) and the manner of worship (in spirit and in truth). Still,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mode of worship from its essence. Indeed, form and function are inseparable. Given thi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form of online virtual worship services is not sufficient to capture the essence of worship because the church is, by nature, a communed community, centered around table fellowship. However, if churches fail to accommodate the changing context of this age and insist on a form of worship that is exclusive to gathering physically together, the church will decline. Thus, it is necessary for churches to form cycles that integrate and feed both virtual and physical modes of worship. To insist on exclusive models of one or the other will not be sustainable. Ultimately, this article argues that churches should work to usher in an era of virtual worship based on, and growing out of, physical worship. Virtual modes of worship should be utilized while strengthening and investing in physical modes of worship where was permitted and possible.

      • KCI등재

        팀 켈러의 목회론 : 『팀 켈러의 센터처치』를 중심으로

        양현표(Hyun Phyo Yang)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2 갱신과 부흥 Vol.29 No.-

        본 연구는 뉴욕의 리디머 장로교회의 설립자요 오랫동안 담임목사로 사역했으며, 현재는 “리디머시티투시티”(Redeemer City to City) 운동에 전념하고 있는 팀 켈러 목사의 목회론을 주제로 한다. 본 연구는 『팀 켈러의 센터처치』를 중심으로 하여, 그의 다양한 저술 그리고 그가 주관한 다양한 세미나에서 사용된 자료들을 기초로 하였다. 켈러의 목회론은 크게 세 가지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것은 “복음”, “도시(문화)”, “사역(교회개척)”이다. 이러한 세 개의 축 아래서 다음 몇 가지의 목회론적 주제들을 연구자는 찾을 수 있었다. ①복음 중심의 목회론, ②도시 중심의 목회론, ③문화(상황화) 중심의 목회론, ④사회정의(구제) 중심의 목회론, 그리고 ⑤교회개척 중심의 목회론 등이다. 물론 이 밖에도 가정 중심의 목회론, 일터 중심의 목회론, 기도 중심의 목회론, 변증 중심의 목회론, 선교적 교회 목회론 등을 그의 목회론 등도 발견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다섯 가지만을 켈러의 핵심 목회론으로 간주하였다. 켈러의 목회론을 평가하자면, 첫째, 켈러의 목회론은 복음에 대한 분명한 인식 위에 구축되었으며, 둘째, 개혁주의 신학 위에서 포용적이요 융통성 있게 구축되었고, 셋째, 탁상공론이 아닌 목회 현장 위에서 구축되었고, 넷째, 지성을 기초로 하여 변증적으로 구축되었다고 하겠다. 하지만 그의 목회론에도 조그마한 약점이 있는바, 그의 목회론이 인간의 판단을 지나치게 신뢰하는 이상주의적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켈러의 목회론을 한국교회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인가의 과제가 남는다. 켈러의 목회론은 품질이 뛰어난 씨이다. 그런데 아무리 고품질의 씨앗이라고 하더라도 토양이 그 씨앗을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열매를 맺을 수 없다. 켈러의 목회론이란 씨앗은 미국 뉴욕이라는 토양에서 개발되었고 그 토양에서 발화되어 열매를 맺었다. 과연 그 씨앗이 대한민국이란 토양에서 발화하고 열매를 맺게 하기 위해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그것이 오늘 팀 켈러를 공부하는 우리의 과제라고 믿는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astoral theology of Rev. Tim Keller, the founder and senior pastor of Redeemer Presbyterian Church in New York, who is currently focusing on the “Redeemer City to City” movement. This study was based on Tim Keller s Center Church, his various other writings, and seminars he has hosted. Keller s theory of pastoral ministry consists of three main pillars. They are “Gospel”, “City (Culture)”, and “Ministry (Church planting)”. This writer was able to find the following pastoral ministry themes based on these three pillars. ① Gospel-centered, ② City-centered, ③ Culture/contextualization-centered, ④ Social justice/mercy-centered, and ⑤Church planting-centered. In addition to these, other themes such as family-centered, vocation-centered, prayer-centered, apologetics-centered, and missional church-centered. In this study, however, only the earlier five major themes are considered as comprising Keller s core pastoral theology. In evaluating Keller’s pastoral theology, this study finds the following: first, it is built on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gospel; second, it is inclusive, flexible, and coherent with Reformed theology; third, it is based on pastoral experience, as opposed to mere theory; fourth, it is committed to apologetics based on rationality. However, there is a small weakness as well: an idealistic tendency to trust too readily in human judgment. There is relevance to Keller’s pastoral theology on the Korean church. While Keller’s pastoral theology is a high quality seed, it cannot bear fruit if the soil is not ready to receive them. Keller developed his theology in the soil of New York, NY, USA, where it bore fruit. What clues are there for us to bear fruit in the soil of Korea? This is the task of our study of Tim Keller today.

      • KCI등재후보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합동)의 목사 정년 제도에 관한 연구 : 목사의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양현표(Yang, Hyunphyo) 개혁신학회 2020 개혁논총 Vol.54 No.-

        대한예수교 장로회(합동) 총회에는 해마다 목사 정년연장 헌의안이 올라오고 있다. 하지만 목사의 정년연장은 단순히 하나의 교단이 쉽게 결정할 이슈라기보다는대한민국 전체 사회적 이슈이기도 하다. 때문에, 목사 정년연장은 현재 찬성과 반대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정년연장을 옹호하는 자는 평균수명의 연장, 저출산고령사회, 성경과 헌법에 위배 된다는 점 등을 내세우고 있다. 반면에 반대자들은불가피한 노화 현상(Aging Symptom), 시대의 공공성에 역행, 차세대 기회 박탈 등을 내세워 반대하고 있다. 하지만 정년연장 이슈를 다루기 전에 먼저 다뤄야 할 이슈는 더욱 근본적인 총회의 목사 수급에 관한 사항이다. 과연 목사의 수요와 공급 현황이 앞으로 어떻게 되겠느냐이다. 물론 현재는 목사의 수요보다는 공급이 더 많다. 그렇기에 사람들은일반적으로 목사 수를 줄여야 한다고 말하고, 정년을 연장해야 한다는 주장은 말이안 되는 주장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정말 그러한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현재의 정년을 유지할 경우 수년 내에 목사 부족 사태가 일어날 것이라는 결론을 제시한다. 현재 총회에 속한 목사 연령분포와 매년 신학생 배출 현황, 그리고 교단 내의 교회 수 증감 등을 고려하면 수년 내에 전혀 다른 상황이 전개된다는 것이다. 목사 부족 현상은 미국의 장로교에서 현재 심각하게 겪고 있는 난제이며,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역시 지금 이대로 간다면 머지않아 직면하게 될 문제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목사 수급 부족에 대한 대안이 만들어져야 하며, 연구자는 그 대안으로우선 정년연장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러나 정년연장은 단기적인 처방에 불과하며보다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대안은 신학교 입학생 수를 어떤 식으로든 유지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 제기하는 중요한 이슈는 아무도 예측하지 않음에도불구하고 분명 목사 수가 부족하게 되는 현실이 조만간 닥쳐온다는 바로 그 사실이며 그 대안을 총회 차원에서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The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of a pastor is not just an issue that one denomination can unilaterally decide; it is also a social issue for Korea as a whole. For this reason, the retirement age extension of the pastor invites sharp debate on both sides. However, this debate obscures a more fundamental issue that must be discussed prior to the issue of retirement age: the supply and demand of pastors of the General Assembly. What will happen to the supply and demand of pastors in the future? This study proposes that if the current retirement age is maintained, a shortage of pastors will result within several years. Several factors are considered: the age distribution of pastors who belong to the General Assembly, the current enrollment of seminary students, and changes in the number of churches in the denomination. In short, there will be a completely different situation within a few years. Therefore, a solution to the lack of pastors must be proposed, and this researcher believes that an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is needed. This study raises the issue of a coming reality in which there will be a shortage in the number of pastors, even though this is not anticipated by most, and calls for an alternative solutions that must be established at the level of the General Assembly.

      • 김익두 목사의 생애와 신학

        양현표(Yang, Peter Hyunphyo) 신학지남사 2014 신학지남 Vol.81 No.3

        This paper examines the life and theology of Pastor Ik Doo Kim who was used tremendously for the kingdom of God during a difficult era of Korean history. The writer will prove that Pastor Kim was not just a charismatic evangelist but also a Presbyterian minister who upheld orthodox theology and gave hope to a miserable people under Japanese imperialism and, soon thereafter, Communist domination in North Korea. Pastor Kim was an ordinary person who suffered through much wandering before he was called, which totally changed his life. He lived as a lay evangelist, a minister of a local church, and a professional evangelist before martyrdom. Even though there is not much substance to analyze through his writings and works, his theology (the Doctrine of God, soteriology, christology, pneumatology, and ecclesiology) was very conservative, orthodox, and Reformed. Despite some obvious and unavoidable criticism of Pastor Kim, he was a pastor who received God’s special calling on behalf of Korea, a preacher who urged reformation of a collapsed Korean society, and an evangelist who, with special spiritual power, gave hope and courage to the Korean people in a difficult time.

      • 이용도 목사의 신학과 그의 부흥회

        양현표(Hyun Phyo Yang) 신학지남사 2016 신학지남 Vol.83 No.3

        Despite a short life of 33 years, Yong-do Yi marked a milestone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He devoted himself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younger years of his life. However, after he experienced a mysterious healing of his own disease, he became a mystic evangelist. He was an evangelist who gave strength and hope by presenting the image of the suffering Jesus to those who suffered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During this time, he inexorably criticized the sleeping Church. As a hyper dualist, he insisted that the body was useless. Thus, he abused his own body. Additionally, he claimed undifferentiated love; thus, as a result, he accepted heresy. He was an evangelist of tears, a passionate preacher, and one who caused the repentance movement and prayer movement. He equated his suffering with Christ’s suffering, emphasized undifferentiated love due to his absence of theology, led unconventional styles of revivals due to a direct revelation from God, and completed his life in disgrace.

      • KCI등재

        사도 바울의 복음전파를 위한 전략 연구

        양현표 ( Peter Hyunphyo Ya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4 성경과신학 Vol.71 No.-

        기독교 역사에 있어서 입지적인 공헌을 한 사도 바울은 선교사요, 교회개척가요, 설교자요, 신학자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바울의 복음전파를 위해 사용한 전략을 연구하는 것이다. 바울에게 복음전파를 위한 전략이 있었는가는지금도 논란의 대상이다. 분명한 사실은 바울의 복음전파 사역을 살펴보면일종의 패턴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필자는 그러한 패턴들을 바울의 전략이라고 말하고 싶다. 오늘 교회들은 바울의 전략들을 발견해 내고 그것들을 적용하고 발전시켜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1) 성령의 인도하심에 철저한 의존,2) 복음전파 최우선, 3) 육체노동 활용, 4) 복음에 대한 수용성 고려, 5) 거점지역 중심의 사역, 6) 토착화교회 설립 등을 바울의 전략으로 다루고 있다. 오늘 한국교회는 복음전파라는 미명하에 감성주의, 인본주의, 실용주의, 그리고 물량주의에 기초한 전도방법이 성행하고 있다. 모든 한국교회가 지독히도 교회성장에 몰두해 왔지만, 결과는 오히려 한국교회의 쇠퇴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때일수록 한국교회는 성경적인 복음전파 전략으로 돌아가야만 한다. 그렇기에 사도 바울의 복음전파 전략이 절실히 요구된다 하겠다. Apostle Paul, who greatly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Christianity, was a missionary, church planter, preacher, and theologia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Paul`s evangelism strategies. Though whether Paul did or did not have pre-formulated evangelism strategies prior to his missionary journeys is up for debate, it is clear that there were consistent patterns in Paul`s evangelistic mission trips. This writer believes that these consistent patterns amount to a specific strategy that Paul used. The Church today must discover, develop, and utilize Paul`s strategies. This paper will deal with the six points of Paul`s strategy for evangelism: 1) thorough dependence on the Holy Spirit, 2) prioritization of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3) utilization of physical labor (tent-making mission), 4) consideration of the receptivity of the Gospel, 5) strategic point-centered evangelism, and 6) the establishment of an indigenous church. The Church in Korea, in the name of evangelism, has developed methods based on emotionalism, humanism, pragmatism, and Momonism. This has led to the decline of the Korean Church, though the focus on church growth remains strong. It is time for the Church in Korea to return to a biblical basis for evangelism and church growth, centering on Paul`s strategies in the Bible. Thus, an attention to Apostle`s Paul`s strategy is urgently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