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ixed-state Hall effect of $MgB_2$ thin films

        김보연,정순길,문경희,강원남,최은미,김헌정,이성익,김형진,Kim, Bo-Yeon,Jung, Soon-Gil,Moon, Kyeong-Hee,Kang, W.N.,Choi, Eun-Mi,Kim, Heon-Jung,Lee, Sung-Ik,Kim, Hyeong-Jin The Korean Superconductivity Society 2006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Vol.7 No.2

        We have measured the Hall resistivity (${\rho}_{xy}$) and the longitudinal resistivity (${\rho}_{xy}$) on superconducting $MgB_2$ thin films in extended fields up to 18 T. We found a universal scaling behavior between the Hall resistivity and the longitudinal resistivity, which is independent of the temperature and the magnetic field. At a wide magnetic field region from 1 to 18T, a universal power law of ${\beta}=2.0{\pm}0.1$ in a scaling relation, ${\rho}_{xy}={A{\rho}_{xx}}^{\beta}$, was observed in c-axis-oriented $MgB_2$ thin films. These results can be well interpreted by using recent models.

      • KCI등재

        THP-1 세포주의 대식세포 분화과정에서 DICAM에 의한 제 1형 인터페론 시스템의 억제

        김보연 ( Bo Yeon Kim ),박인 ( In Park ),정연관 ( Youn Kwan Jung ),한민수 ( Min Su Han ),김건우 ( Gun Woo Kim ),한승우 ( Seung Woo Han ) 대한류마티스학회 2014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21 No.3

        Objective. We have previously shown that DICAM inhibits LPS-mediated macrophage differentiation. However, less is known about the exact action mechanisms of DICAM on the macrophage function and differentiation. Methods. To induce differentiation into a resting M0 macrophage, THP-1 cells were cultured with 100 nM PMA for 24 h, and then rested for 3 days. THP-1 cells were infected with 50 moi of control LacZ- or DICAM-containing adenovirus. The RNA expression profile associated with DICAM during THP-1 differentiation was analyzed with a microarray chip and in silico analysis with Ingenuity Pathway Analysis (IPA) program. Results. A disease and function analysis of the microarray data in DICAM-overexpressed THP-1 cells revealed a suppression in the expression of multiple genes involved in the response of myeloid cells and phagocytes, and an increase of genes associated with apoptosis of fibroblast cell-line, and viral infection and replication. The canonical pathway analysis also showed the most prominent changes of signaling pathways that involve inflammation responses. An upstream regulator analysis identifyingmolecules upstream of the genes that potentially explain the observed expression changes revealed that IRF7 and the genes in type 1 interferon system, such as IFNA2 and IFNAR,was significantly attenuated by DICAM. A mechanistic network analysis confirmed a direct causal association between IRF7 and type 1 interferon system. A real-time RT-PCR analysis validating the microarray data verified the significant suppression of IRFs, IFNA2, and IFNB1.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CAM can be a critical regulator of type 1 interferon system, which is an essential mediator in the process of intracellular infection an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 SCOPUSKCI등재

        유아 어머니의 유아식사에서 가정간편식 이용 빈도에 따른 유아 자녀의 식사의 질 평가

        김보연(Bo-Yeon Kim),김미현(Mi-Hyun Kim) 한국영양학회 202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4 No.3

        현대 가정에서 가정간편식 (HMR)의 이용은 점점 늘어나고 있으나, 식습관이 형성되고 음식섭취에 있어서 자기 주도적 성향을 나타내는 만 5세 유아자녀를 둔 어머니의 유아식사에서 HMR 이용 실태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상황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아식사에서 HMR 이용 실태와 유아의 식사의 질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내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 337명을 대상으로 2020년 6월 부터 7월까지 유아 식사에서 가정간편식 이용 실태, 미취학 아동대상 영양지수 평가를 위한 식습관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 식사에서 HMR 이용빈도를 조사한 결과 주 3회 이상 섭취가 62명 (18.4%), 주 1–2회 섭취 145명 (43%), 주 1회 미만 섭취 130명 (38.6%)의 분포를 보였다. 이에 유아 식사에서 HMR 이용빈도에 따라 대상자는 ‘주3회미만섭취군’, ‘주1–2회섭취군’, ‘주1회미만섭취군’의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유아 어머니의 평균 나이는 38.3세였으며, 어머니의 직업은 세 군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이 전업주부가 가장 많았다. HMR을 구입 하는데 드는 한 달 평균 비용은 주3회섭취군은 20–30만원, 주1–2회섭취군은 5–10만원, 주1회 미만섭취군은 5만원 미만의 비율이 높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p < 0.001). 자녀의 식사에서 HMR 이용 빈도에 따른 식습관은 세 군간에 콩이나 두유, 생선, 육류, 채소류 반찬, 흰 우유 섭취 빈도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과자 또는 달거나 기름진 빵 (p < 0.01), 가공 육류 (p < 0.001), 가공 음료 (p < 0.001), 피자나 햄버거 (p < 0.001)의 섭취 빈도는 세 군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여 HMR 이용 빈도가 높은 군일수록 섭취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유아 자녀의 영양지수를 평가한 결과 영양지수 총점은 주3회이상섭취군 60.5점, 주1–2회섭취군 63.0점, 주1회섭취군 64.5점으로 HMR 이용 빈도가 높은 주3회이상섭취군이 다른 두 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p < 0.01). 영역별 점수에서 균형과 환경은 세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절제 영역은 주3회이상섭취군 44.1점, 주1–2회섭취군 51.3점, 주1회미만섭취군 57.5점으로 HMR 이용빈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01). 이상의 결과를 통해 유아 어머니가 유아의 식사에서 HMR의 이용빈도가 높은 경우 전체 및 절제 영역의 식사의 질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유아 자녀의 식사는 주 양육자 어머니가 준비하는 음식에 의존하게 되므로 자녀의 건강을 위한 균형 잡힌 영양섭취 및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해 어머니의 올바른 식품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식습관 형성기에 있는 유아 자녀의 식사에서 지나친 가공식품의 사용을 절제할 필요성이 제시되었고, 이를 위해 유아 식사의 주된 관리자가 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이 매우 높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mothers" use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in their children"s meals and the diet quality of their young children. Methods: Three hundred and thirty-seven mothers with five-year-old kindergartners in Sejong city participated in the survey from June to July 2020.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status of HMR use in children"s meals and questions for assessing the nutrition quotient for preschoolers (NQ-P).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HMR use in children"s meals: using HMR more than three times a week (high-frequency group; [HG], n = 65), one–two times a week (moderate-frequency group; [MG], n = 145), and less than once a week (low-frequency group; [LG], n = 130). Results: The mothers" mean age was 38.3 years. The average monthly cost of purchasing HMRs was highest at 200,000–300,000 won in HG, 50,000–100,000 won in MG, and less than 50,000 won in LG (p < 0.001). The consumption frequency of processed meats, fast foods, processed beverages, and sweet & fatty snack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G group than the other groups. The mean NQ-P score was 60.5 in HG, 63.0 in MG, and 64.5 in LG,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01). In the sub-score according to the three a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lance and environment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moderation area, however, the score was 44.1 in HG, 51.3 in MG, and 57.5 in LG Group,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001). Conclusion: The increase in HMR use was related to the decreased diet quality in the overall and moderation areas of children"s diet. These results support the importance of nutrition education for mothers, which aims to reduce their children"s access and exposure to processed foods, such as HMR.

      • KCI등재후보

        체육교사의 연수경험 유·무에 따른 통합체육교육에 대한 인식

        김보연(Bo Yeon Kim),조남기(Nam Ki Cho) 한국체육교육학회 2010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통합체육 수업을 참관하고, 이를 주도하는 통합체육 교사들을 면담함으로써 특수교육과 관련된 현직연수 경험이 장애아동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변화를 가져오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등학교에 4년 이상의 교육경력이 있는 교사 중 장애아동에 대한 교육경험이 있는 체육교사 7명을 준거 선정한 후 총 9개월간 관찰하고, 주요 연구문제에 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는 서술적 질문지 배부 및 개별 심층면담과 비참여관찰로 이루어 졌으며, 관찰이 진행되는 동안 연구주제와 관련된 상황들을 일지에 기록하였다. 통합체육교육에 대해 심도 있는 분석을 위해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내용 분석 후 녹취 내용을 전사하여 범주화 한 결과 ``통합체육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수경험 유·무에 따른 교사의 태도변화``, ``연수경험 유·무에 따른 교수법``, ``장애인에 대한 편견 최소화 방안을 위한 노력`` 이라는 4개의 주요 범주가 도출 되었다. 연구결과 교사의 연수경험이 장애아동에 대한 편견을 변화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이 나왔으며, 이와 같은 결론은 교사의 연수 참여에 관한 긍정적인 효과들을 규명해 주었다. 따라서 특수교육 관련 연수가 교사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하고, 학교 현장에 유용한 내용으로 연수 프로그램을 편성한다면 보다 질 높은 통합체육교육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ascertain whether on-the-job training experience related with special education (for the disabled) brings a change to the teachers` manner toward disabled children by sitting i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 taught by secondary teachers and having an one-on-one talk with the teachers who take the lead of it. Accordingly, I selected and observed for nine months as well as having a close interview with seve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of educating disabled children from whom that has been engaged in secondary school education for four or more years. The research was done by distributing descriptive questionnaire, having individual in-depth face-to-face talk and observing without participating. During the observation circumstances concerned in the research subject was documented as a daily report. As a result, it was categorized as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towards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Teaching Method based by In-Service Training Experience`` and ``Plan to Minimize Biases``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content based on the materials collected for an intensive analysis about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and transcribed and classified the recorded substances. This study drew a conclusion that teachers` experience of in-service training very much influences them to change their prejudice towards disabled children. These results investigated positive effects on teachers participating in In-Service training programs. Therefor, considering that on-the-job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affects to the attitudes of the teachers, In-Service training programs with substances that is helpful to school field should be organized and be able to anticipate a better quality of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학교 자체 평가 정책실행에 대한 연구

        김보연(Bo-yeon Kim),김미숙(Mi-sook Kim)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4 敎員敎育 Vol.40 No.3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학교 자체 평가 정책의 각기 다른 실행 맥락과 실행 동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5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핵심 행위자인 해설가(Narrator)를 주요 대상으로 면담하였다. 면담 질문과 분석은 Ball, Maguire와 Braun(2012)의 정책실행 개념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이 연구는 학교 자체 평가 정책실행 과정에서 ‘해설(Narration)’에 나타난 자율성 활용 정도에 따라서 연구 대상을 ‘수동형 정책실행’과 ‘능동형 정책실행’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정책 문서도 ‘해석’에 따라 자율성의 제약 또는 확장으로 이어졌고, 해설가의 특성에 따라 설명과 안내의 목적도 달랐다. 학교 구성원의 참여 양상에 따른 해설, 정책실행 범위와 관련된 자율 활용 방법, 평가 과정의 흐름에도 차이를 보였다. 학교의 정책실행에서 차이를 만든 주요 동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 해설가의 특징으로, 학교 안에서의 위치, 업무 경력, 정책 읽기와 관련된 경험 체계 등이 있다. 둘째, 학교의 해설 참여 양상으로, 해설에 ‘다자 참여’나 ‘연결된 참여’ 현상이 있었다. 셋째, 정책에 대한 의미 부여 방식으로, 학교의 전문적 문화 맥락이나 전문 분야와 큰 관련이 있었다. 결론 학교 자체 평가 정책실행은 학교의 자율성 활용 정도, 학교 구성원의 참여 정도, 그리고 전문성 문화 등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였다. 추후 교직원 간 관계나 공동체성의 문제, 학교의 자율성 강화 조건과 자율성 확대로 인한 학교 변화의 분석이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t enactment contexts and drivers of school self-evaluation policies. Methods: The study used in-depth interviews with key actors, namely narrators, in five elementary schools. The interview questions and analysis utilized Ball, Maguire, and Braun's (2012) concepts of policy enactment. Results: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subjects as ‘passive policy enactment’ and ‘active policy enactm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autonomy utilized by the narrator in the process of enacting the school self-evaluation policy. The analysis showed the same policy text led to the restriction or expansion of autonomy depending on the interpretation, and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guidance differ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o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arration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f school members, how autonomy was utilized in relation to the scope of policy enactment, and the flow of the evaluation process. The main drivers of the differences in school enactment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ey narrators, including their position in the school, their work history, and their experience with policy sense making. Second, the ways in which schools engaged with narration, including the phenomena of “multiparty engagement” and “connected engagement” in narration. Third, the way they made meaning of the policy, which was highly related to the professional cultures and schools’ specialisms. Conclusion: The enactment of the school self-evaluation policie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degree of autonomy utilized by the school,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school members, and the professional culture.

      • KCI등재

        기존 UCP 기반 유스케이스 복잡도와 위험영향도 상관관계 분석

        김보연(Bo Yeon Kim),손현승(Hyun Seung Son),김영철(R. Young Chul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4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0 No.2

        기존의 리스크 기반 테스팅은 프로젝트, 프로세스, 제품 리스크등 전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소프트웨어 개발에 최적화된 리스크 기반 테스팅 방법이 필요하다. 기존 논문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에 리스크 기반 테스팅를 적용하고자 리스크 결정 매트릭스를 제안하였다[1]. 리스크 결정 매트릭스는 리스크 요구사항과 유스 케이스 간의 상관관계 점수와 리스크 점수를 이용하여 유스 케이스 기반의 리스크 영향도를 측정하고 이를 우선순위화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유스 케이스 점수(UCP)와 제안한 리스크 영향도와의 상관관계를 보이고자 한다. 상관관계를 통하여 유스 케이스 점수가 높을수록 리스크 영향도 값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유스 케이스 단위의 리스크 영향도 우선순위화 방법이 소프트웨어 개발의 리스크 기반 테스팅에 적합성을 보인다. 제안한 이론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논문의 리스크 기반 테스팅 기법을 자동차 물품관리 시스템에 적용하여 유스 케이스 점수와 리스크 영향도의 상관관계성을 유추 확인하였다. As the existing risk-based tests are focused on only risks of project, process and product, so an optimized method for software development is necessary. In former paper, we proposed the Risk Decision Matrix for applying the risk-based testing to software development. The Risk Decision Matrix evaluate the Risk Impact(RI)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Risk Requirement(RR) and Use Case(UC), and Risk Point(RP). Then it prioritize the values of Risk Impact. In this paper, we show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existing Use Case Point(UCP) and proposed Risk Impact. Through analysis of the correlationship, we find that the higher the UCP is, the higher the RI is. According to this result,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of RI prioritization for use case is proper to the risk based testing for software development. For the example to verify the proposed theory, we apply it to the Car Appliances Management System and confirm our inference.

      • KCI등재

        한 여성공무원의 경력전환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김보연 ( Kim Bo-yeo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6 교육인류학연구 Vol.19 No.3

        이 연구는 낮은 진로정체감을 지녔던 한 여성공무원의 경력전환 경험과 그 과정에서의 정체성 변화를 통해 성장의 의미를 탐색하는 자문화기술지이다. 낮은 진로정체 감은 인생 전체를 좌우할 수 있는 직업의 선택, 그리고 삶의 방향과 목적에 맞게 구성되어져야 하는 직업에 대한 의미를 왜곡시켜 직업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자신감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생애전환기에 자신의 정체성을 다시 한 번 탐색하고, 나아가 제2의 진로를 선택할 때 더 강한 심리적 갈등을 겪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무원에서 강사로의 경력전환 과정에서의 자기성찰과 교육은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이자 의미 있는 성장통이 될 수 있다. 이는 직업의 선택과 인생의 방향 설정이 어느 누구의 강요가 아닌 자신의 선택과 결단에 의해 이루어질 때 보다 성숙한 인간으로서의 삶을 살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가 공무원이라는 직업에 대해 새로운 인식의 변화를 가져오는 마중물 역할을 하고, 경력전환을 고민하는 이들에게 자신을 더 깊이 만나도록 하는 데 참고가 되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is an autoethnography exploring the career transition experience of a female public servant with low career identity, and the meaning of growth experienced through changes in her identity during the transition. Low career identity may have a negative effect on confidence as a professional, by distorting the occupational choices on which one`s whole life may depend and the meanings that should be life`s directions and goals. In addition, more serious psychological conflicts may be experienced when exploring one`s identity once again at a transitional period in life and selecting a second career. However, a career transitional process from being a public servant to another, and the self-reflection and learning experience in the process may be significant to growth on the path to self-exploration, suggesting that individuals can be more mature when their occupations and directions in life are determined by their own will rather than external compuls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plays a key role in bringing about fresh recognition concerning public service as an occupation, and is used as a reference by those concerned about their career transitions when having in-depth self-encoun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