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창의 과정과 산물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과학 창의성 검사 도구 개발 -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

        김민주 ( Kim¸ Minju ),임채성 ( Lim¸ Chaeseong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초등과학교육 Vol.40 No.4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창의 과정과 산물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과학 창의성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과학 창의성 관련 논문을 분석한 후, 창의 과정과 산물의 구성요인에 근거하여 문항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과학 교육 전문가 9명의 검토를 마친 검사 도구를 파일럿 테스트하였다. ‘동물’, ‘식물’의 두 세트로 이루어진 검사 도구는 수정과 보완을 거쳐 최종적으로 5학년 학생 105명에게 투입되었다. 투입 결과는 WinSteps, SPSS와 AMOS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과학 영역에서 창의 과정은 과학 지식, 탐구기능, 창의적 사고기능(확산적, 수렴적, 연관적 사고)을 포함한다. 창의 산물은 새로우면서 과학적으로 유용한 아이디어가 어떤 형태로 나타난 것이다. 둘째, 이 연구에서 대표 탐구기능으로 선정된 관찰은 구성 타당도 측면에서 창의적 사고기능과 연관성이 없어야 했다. 셋째, 유용성 항목은 다른 항목 중 가장 낮은 평균치를 기록하였는데, 평가자인 교사의 관점에서 과학적 타당성과 유용성을 만족시키기 어렵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넷째, 동형검사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한 ‘동물’과 ‘식물’ 문항 간 스피어만 상관 계수는 독창성 항목을 제외하고 유의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검사 도구는 집중타당성, 판별타당성, 법칙타당성 세 가지 측면에서 구성 타당도를 대체로 만족시켰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 과정과 산물의 관계를 탐색하고 학교 현장에서 실제적인 평가 도구로 역할을 할 검사 도구의 유용성을 논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tudents’ creative process and product. For this, the researcher reviewed the literatures of scientific creativity and developed the items based on the constructs of creative process and product. After a review conducted by nine science education specialists, a pilot test, and additional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of observation test, the test, consisting of two sets-“animals” and “plants”-was finally conducted on 105 fifth-grade students.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statistical analysis software. WinSteps, SPSS, and AMOS. The main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it comes to scientific creativity, creative process consists of science knowledge, inquiry skills,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divergent, convergent, and associative thinking skills). Creative product in science is a new and scientifically useful idea realized in a certain form. Second, observation, which was selected as a representative inquiry skill in this research, should not be related to creative thinking skills. Third, among the rest of the items, usefulness had the lowest averages, as it was, perhaps, difficult to satisfy the teachers’ criteria for the scientific validity and usefulness. Fourth, the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items of “animals” and “plants” to find out the parallel-form reliability were significant, except for the item of originality. Fifth, the test was satisfactory with regard to the three aspects of construct validity―convergent, discriminant, and nomological. This study concludes by discussing the usefulness of this test, which has the possibility of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process and product and of playing a role as an authentic evaluation tool in school.

      • KCI등재

        제초제 포장지 색상이 소비자들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

        김민주,송지은,김성문,Kim, Minju,Song, Jieun,Sowndhararajan, Kandhasamy,Kim, Songmun 한국잡초학회 2018 Weed & Turfgrass Science Vol.7 No.2

        The colors of packaging of herbicides and non-selective herbicides on the market in Korea are defined as brown and red,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DA. The present study aimed to understand consumer's electroencephalographic (EEG) response when looking at brown and red colors of herbicide and non-selective herbicide packaging papers. The EEG cap was placed on the scalp of each participant (men and women, 10 to 20 years old) and white (control) - brown - white - red colors were sequentially displayed for 5 seconds using the computer monitor. The EEG was measur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For the brown color of the herbicide, men showed a decrease in concentration and a distracting response due to a decrease in the ratio of mid beta to theta (RMT) and the spectral edge of frequency (SEF90). In women, an increase in the ratio of SMR to theta (RSMT) and the spectral edge frequency 50% of the alpha (ASEF) was observed in different brain regions and these EEG changes may enhance the relaxation, stabilization and awakening states of the brain. For the red color of the non-selective herbicide, ASEF increased psychological stability in men. In women, a decrease in absolute high beta (AHB) may associate with a decrease in attention state of the brain. Overall data of the present study clearly revealed that the colors of two herbicide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EEG response and gender difference.

      • KCI등재
      • KCI등재

        잡초의 향기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민주,양병화,김성문,Kim, Minju,Yang, Byeonghwa,Kim, Songmun 한국잡초학회 한국잔디학회 2018 Weed & Turfgrass Science Vol.7 No.2

        The fragrance has a great influence on consumers' cognition, emotional response, attitude, memory, and behavior since the human sense of fragrance is physically and neurologically closer to the hippocampus of the brain. The fragrance materials are exposed to humans ranging from skin interaction to inhalation. We have lots of stories and literature on the usage of fragrance in everyday life in Korea from the Dangun myth to present K-beauty cosmetics. In Korean history, such archives as Dong-Eui-Bo-Gam and Gyu-Gak-Chong-Seo at Joseon Dynasty clearly recorded the application of many weeds for the manufacture of various fragrance products. In recent times, fragrances in weeds have been being applied to touch the consumer's feelings. The present mini-review is an attempt to introduce and discuss fragrant weeds in the archives and in science journals, effects of fragrant weeds on the human electroencephalographic activity, and effects of fragrance on the behavior of consumers. This review could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natural cosmetic and perfumery products from fragrant weeds.

      • SCOPUSKCI등재

        다양한 금속 이온을 이용한 카세인 단백질 나노입자 형성 및 약물 전달체 특성 연구

        김민주,이슬기,최준식,Minju Kim,Seulgi Lee,Joon Sig Choi 한국공업화학회 2023 공업화학 Vol.34 No.2

        Casein is a milk protein 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nutrients in milk. The composition is over 80% in cow's milk and about 20~45% in human's milk. Casein is highly biocompatible and biodegradable, so it has been studied for various biomedical materials applications as well as drug delivery systems. It is widely known that casein can be prepared as nanoparticles in the presence of the Ca<sup>2+</sup> metal ion. Because casein is amphiphilic, hydrophobic drugs could be loaded inside to form a protein-based drug delivery system.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optimum conditions for casein nanoparticle formation using natural metal ions present in the body, such as calcium, magnesium, zinc, and iron. It was confirmed that nanoparticles have a uniform size of around 150 nm and negative zeta potential values. In addition, it was demonstrated that casein nanoparticles have a cell viability of more than 80% and efficient intracellular uptake properties using confocal microscopy. From the results, it was also shown that the casein nanoparticles prepared using various metal ions have the potential to be biocompatible drug delivery carriers.

      • KCI등재SCOPUS

        다중시기 위성자료 기반 낙동강 하구 지역 갯벌 면적 분석을 통한 블루카본 저장량 변화 평가

        김민주,박정우,현창욱,Minju Kim,Jeongwoo Park,Chang-Uk Hyun 대한원격탐사학회 2024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40 No.2

        Global warming is causing abnormal climates worldwide due to the increase in greenhouse gas concentrations in the atmosphere, negatively affecting ecosystems and humanity. In response, various countries are attempting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numerous ways, and interest in blue carbon, carbon absorbed by coastal ecosystems, is increasing. Known to absorb carbon up to 50 times faster than green carbon, blue carbon plays a vital role i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Particularly, the tidal flats of South Korea, one of the world's five largest tidal flats, are valued for their rich biodiversity and exceptional carbon absorption capabilities. While previous studies on blue carbon have focused on the carbon storage and annual carbon absorption rates of tidal flat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linking tidal flat area changes detected using satellite data to carbon storage. This study applied the direct difference water index to high-resolution satellite data from PlanetScope and RapidEye to analyze the area and change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tidal flats over six periods between 2013 and 2023, estimating the carbon storage for each period. The analysis showed that excluding the period in 2013 with a different tidal condition, the tidal flat area changed by up to approximately 5.4% annually, ranging from about 9.38 km<sup>2</sup> (in 2022) to about 9.89 km<sup>2</sup> (in 2021), with carbon storage estimated between approximately 30,230.0 Mg C and 31,893.7 Mg C.

      • KCI등재SCOPUS

        위성영상과 머신러닝 활용 도시열섬 지역 옥상녹화 효과 예측과 이산화탄소 흡수량 평가

        김민주,박정우,박주현,박지수,현창욱,Minju Kim,Jeong U Park,Juhyeon Park,Jisoo Park,Chang-Uk Hyun 대한원격탐사학회 2023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9 No.5

        고밀도 도심지의 열섬현상이 도시 기온을 더 높이고 있으며 이로부터 대기오염 악화, 냉방 에너지 소비 증가 및 온실가스 배출 증대와 같은 부정적 영향들이 발생한다. 녹지의 추가 확보가 어려운 도시 환경에서 옥상녹화는 효율적인 온실가스 감축 전략이다. 본 연구에서는 열섬현상 현황 분석에서 더 나아가 고해상도 위성자료 및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연구 지역 내 옥상녹화 가용면적 산정 후 옥상녹화가 가져오는 온도 분포 예측을 통한 열섬현상 완화도 및 이산화탄소 흡수량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WorldView-2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부산시 도시열섬 지역의 기존 토지피복을 분류하고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하여 옥상녹화 전 후 온도 분포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옥상녹화 면적 변화에 따른 열섬현상 완화도를 평가하기 위해 랜덤포레스트 기법을 통해 온도가 종속변수인 온도 분포 예측모델을 구축하였고, 이 과정에서 랜덤포레스트 모델의 훈련자료로 사용될 고해상도 지표 온도 도출을 위해 Google Earth Engine을 활용하여 Landsat-8과 Sentinel-2 위성자료를 융합하는 다중회귀모델을 적용하였다. 또한, 옥상녹화용 초본식생별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기반으로 녹화 면적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개발된 위성자료 활용 도시 열섬현상 평가 및 랜덤포레스트 모델 기반 온도 분포 예측 기술은 도시열섬 취약 지역에 확대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장소 기반 지역축제에 나타난 장소성 분석 : 연천전곡리구석기 축제를 중심으로

        김민주(Kim Minju)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소 기반 지역축제인 경기도 연천전곡리구석기 축제에서 나타나는 장소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장소성 분석은 장소성의 3가지 요소인 물리적 환경, 경험적 활동, 인식작용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진다. 물리적 환경이란 공간내에 위치하고 있는 물적 토대로서 한정적인 영역과 대상물 및 구조물 등이 해당된다. 경험적 활동은 가시적 행위를 동반하는 활동 기반의 프로그램이나 프로젝트 및 체험 등이 해당된다. 인식작용이란 의미 부여를 중심으로 하는 주관적 가치화, 의식화, 인지화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장소성은 ‘물리적 환경’에 놓인 장소에서 인간이 ‘경험적 활동’을 하면서 의미를 부여하는 등의 ‘인식작용’에 따라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축제의 소재가 장소인 연천전곡리구석기 축제는 장소성 요소 각각에서 장소성 구현을 위한 일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때 한 가지 특징적인 점이 발견되었다. 그것은 특정한 장소인 선사유적지를 기반으로 시작된 지역축제이지만, 그 장소의 범위가 지역 내 특정 장소에서 전곡리 지역 일대와 연천 지역 전역으로 점차 넓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장소 확장의 이유 중 하나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 전역을 축제 장소로 삼아서 축제를 지역경제 활성화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이 갖는 의미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지역축제는 결국 성과를 위한 ‘운영’의 대상이라는 점이다. 둘째, 그러나 비록 장소 기반 축제의 장소 확장 현상이 축제 운영의 관점에서는 나타날 수 있는 한 모습일 수는 있으나, 엄밀히 보면 이는 오히려 확장된 장소로 인해 본래 장소에서도 장소성 약화가 나타날 수 있어서 장소의 축소일 수도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장소 기반 지역축제인 경기도 연천전곡리구석기 축제에서 나타나는 장소성 분석을 통해 장소의 확장과 동시에 장소의 축소 가능성의 모습을 함께 살펴볼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placeness of the Yeoncheon Jeongok-ri Paleolithic Festival, a regional festival based on place. Placeness consists of three elements. These include the physical environment, experiential activity, and cognition. The physical environment is a material base located in place, and includes a boundary area and objects and structures within it. Experiential activities refer to activity-based programs, projects, and experiences that include visible actions. Cognitive action consists of activities that give meaning to a place. This study analyzes these three elements of placen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each of the three elements of placeness appeared in this regional festival. In particular, one characteristic point was found in the results. It is a local festival that started based on a prehistoric site as a specific place, but the scope of the place is gradually expanding throughout the Jeongok-ri and Yeoncheon regions. One of the reasons for the expansion of the place is that the local government is using the festival as a means of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by using the entire region as a festival venue. This study has two implications. First, for local governments, regional festivals are subject to management for performance. Second, the activities have been expanded outside the place, and thus the placeness may be weakened.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the expansion and shrinkage of place occur together in a place-based local festiv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