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칭리더십이 팀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피드백 수용도와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권경숙(Kwon, kyung-sook),오상진(Oh, Sang-Jin)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최근 기업들이 수평적 조직으로 전환하는 흐름에 맞춰 코칭리더십이 팀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피드백 수용도와 창의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실증하고, 팀창의성의 향상을 위한 현실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국내 기업에 근무하는 다양한 업종의 구성원 총 45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381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코칭리더십, 피드백 수용도, 창의적 자기효능감, 팀창의성과 관련된 이론 및 선행 연구를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통계 도구로는 CFA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SPSS 25, AMOS 25, Macro Process 3.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모형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코칭리더십은 피드백 수용도, 창의적 자기효능감, 팀창의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드백 수용도와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다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코칭리더십이 피드백 수용도와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거쳐 팀창의성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자기결정성이론 관점에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특히 혁신을 통한 성과를 얻고자 하는 기업에서 피드백 수용도와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높여 팀창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리더들이 코칭리더십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oaching leadership on team creativity, demon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eedback acceptance and creative self-efficacy,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team creativity. [Methodology] Data were collected from 381 members. Hypothesis was set based on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oaching leadership, feedback acceptance, creative self-efficacy, and team creativity. The collected data were review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CFA, and hypothesis ver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SPSS 25, AMOS 25, and .Macro Process 3.0 by Bootstrap. [Findings] Coaching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eedback acceptance, creative self-efficacy, and team creativity, and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feedback acceptance and creative self-efficacy were also significant. [Implic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process of coaching leadership is linked to team creativity through feedback acceptance and creative self-efficacy in term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In order to increase team creativity, this study suggests that a program that can improve coaching leadership of leaders is requir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 이중언어 사용에 대한 영유아 교사들의 이해와 지원

        권경숙(Kwon, Kyung-Sook)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 이중언어 사용에 대한 영유아 교사의 이해와 이중언어 사용을 위한 교사의 지원은 어떠한지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연구참여자는 다문화가정 영유아를 지도한 경험이 있거나 지도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 6명과 어린이집 교사 6명(총 12명)이다. 자료 수집을 위한 면담은 연구참여자당 2회, 1회 40분~1시간 10분씩 개별적으로 진행하였으며, 반복적 읽기와 범주화 과정을 통해서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사용은 한국어 기초 위에 이루어지는 두 개의 모국어 교육과 같으며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정서적 안정과 소통을 위한 교육, 자신감 형성의 근원이 되는 교육, 다양한 기회 선택의 근간이 되는 교육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자녀가 구사하는 부모의 모국어를 이중언어 경험 기회와 다문화 교육으로 확장하고 다문화가정 자녀의 상황에 맞는 방법으로 이중언어 사용을 지원하였다. 이는 이중언어 사용에 대한 교사의 긍정적 인식이 교육 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지원 체계가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d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 bilingua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how they support them for their bilingual educat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ix kindergarten teachers and six daycare center teachers who had experiences of working with young children multicultural families. Interviews for data collection were conducted two times per participant, 40 minutes to 1 hour and 10 minutes,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repeated reading and categor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ood children’s use of multi-languages as two mother tongue education on the basis of Korean language. They also believed that they should educate the children not only for emotional stability and communication, but also for building confidence and providing various opportunities.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supported them to use bilingualism in order to extend their mother tongue and their bilingual experiences in a way that is appropriate for the situation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uggests that a support system should be arranged so that teachers have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bilingualism in the field of education.

      • KCI등재

        영유아 권리존중에 관한 어린이집 원장들의 담론

        권경숙 ( Kyung-sook Kwon ),황인애 ( In-ae Hwa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영유아 권리존중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들의 이해와 영유아 권리존중을 위한 노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집 원장 10명을 대상으로 2015년7월에서 10월까지 집단면담과 개별 면담을 병행하는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어린이집 원장들은 영유아의 권리 존중은 영유아들이 권리를 가진 존재임을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하며, 적절한 놀이와 휴식, 의사표현에 대한 존중과 가정에서 부모와 함께 하는 시간과 공유되는경험이 영유아가 가져야 할 권리 존중이라고 생각하였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들은 영유아의 권리 존중을 위해 교사와 부모들에게 영유아 권리 존중에 대한 인식을 함양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영유아의 개별적 요구에 부응하는 일과 운영과 교사의 업무를 경감시키고 원장 스스로 교사를 존중해줌으로써 영유아의 권리가 존중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들의 담론을 통해 영유아 권리존중에 대한 이해와 노력이 어떠한지를 살펴봄으로써 어린이집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child care center directors felt about respecting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and what efforts they have made towards respecting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For this, an in-depth interview combined with a group interview and an individual interview of ten child care center directors from July to October, 2015 was carried ou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center directors thought that respecting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should begin by recognizing that young children are human beings with rights, and that proper play, rest, expressing oneself, time with parents at home and shared experiences are the rights that young children should have. Second, child care center directors were making efforts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respecting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and made efforts that ensure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are respected by reducing teachers`` task and meeting the individual demands of young children as well as respecting teachers.

      • KCI등재

        국공립어린이집 초기 운영과정에서 나타나는 원장의 어려움과 극복과정 탐색

        권경숙 ( Kyung Sook Kw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6

        본 연구는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이 처음으로 어린이집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이를 극복해 나가는 과정을 탐색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을 대상으로 참여관찰을 실시하였고 심층면담, 저널쓰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공립어린이집을 처음으로 운영하는 원장의 어려움은 부모와 교사, 지역사회로부터 들려오는 전임원장과의 비교, 모든 일을 민원으로 해결하려는 학부모와 기존 체제만을 고수하려는 교사, 예산 집행에 대한 부담감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어려움은 복합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어린이집의 바람직한 운영을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한 교육과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의 어려움을 극복해나가는 과정을 분석한 결과 친밀감과 신뢰감 형성을 위해 노력하기, 기존체제에 순응하는 변화 추구하기, 봉사활동을 통해 공감대 형성하기로 나타났다. 즉, 원장은 원아,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와의 상호교류를 통해 관계를 형성하고 신뢰받는 교육자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하여 나가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o examine the difficulties directors of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center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operating a center for the first time and second, to explore the process of overcoming those difficultie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directors of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centers and from journals kept by them. Analyses results reveal firstly, that the difficulties first-time directors face derive from comparisons to previous directors made by parents, teachers, and the community; from parents who try to resolve all problems through complaints and from teachers who cling to the existing system, and, as well, from the pressures of budget execution. It must be noted that most of these difficulties could be avoided if an education and support system were in place to prevent them, since their effects are multiple and complex and interfere with a desirable operation of any center. This being said, part two of this study, analyzing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difficulties described in part one, relates to preventative measures as much as it does to remediation. Secondly, with regard to the processers involved in overcoming difficulties, the results indicate the newly appointed directors made great effort to build closeness and credibility, pursuing changes within the existing system, and developing bonds of empathy through volunteer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 newly appointed directors tried to build the image of a trusted educator by developing relationships through mutual exchange with the children, teachers, parents, and the community.

      • KCI등재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아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수업 수강 경험과 인식 탐색

        권경숙(Kyung-sook Kwon),황인애(In-ae Hwang),이승숙(Seung-suk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수업 수강 경험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어떠하며, 교사 공동체 활동을 통해 세계시민교육을 실천하며 경험한 과정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재한 S대학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아교사 24명을 대상으로 2022년 1학기에「유아교사 세계시민교육역량 강화 세미나」 교과를 개설하여 15주 동안 수업을 운영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교육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집단면담 및 전문가 특강과 현장학습 진행 후 개별 후기, 수강 후 수강생들이 기술한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세계시민교육 수업을 통한 유아교사의 경험은 ‘나로부터의 변화와 실천’을 시작하기, ‘함께, 같이’의 중요성 인식하기, 다양성과 역지사지의 의미를 되새기기로 구분되었다. 이와 함께 본 수업을 통해 가지게 된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인식은 상호책임과 성장을 위한 필수 교육, 유아기부터 이루어져야 할 기본 교육, 좋은 세상 만들기 교육으로 구분되었다. 결론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세계시민교육은 교사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세계시민교육역량을 높이고자 하는 동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교육대학원이나 고등 교육기관에서 현직 유아교사 예비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세계시민교육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과목 편성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으며, 유아교사가 세계시민교육을 교육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교원 연수 및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사 학습 공동체 운영 등 다각적인 차원에서의 교사 지원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is about how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has changed throughou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 classes and to explore GCE experience in teacher community activities. Methods For this study, ‘A seminar to empowerment early childhood education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d opened for 15 week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This seminar was targeting 24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studying 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is in the metropolitan area. All the data had been collected and analyzed by individual student reviews of a group interview, a field trip, a special lecture, and an open questionnaire made by previous students. Results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 class experience is divided into ‘Start to change from me first’, ‘Recognition of togetherness’, and ‘Reciting diversity and putting oneself in someone else’s shoes. The meaning of GCE has been defined in three sections through this study: essential training for growth and mutual responsibility; basic education, which needs to be taught since infancy; and education for making a better world. Conclusions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arge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the meaningful output of improving understanding of GCE and encouraging a global citizen mindset. Therefor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need to organize a lecture to reinforc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current and future children’s educators.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for a support plan from various perspectives so that children’s educators can keep practicing GCE in the education field, such as training teachers and running a teacher community for GCE.

      • KCI등재

        Impact of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on Innovative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Goal Orientation Moderated by Coaching Leadership

        Kyung-Sook Kwon(권경숙),Sang-Jin Oh(오상진)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3

        본 연구는 애자일 조직의 등장,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등으로 기업들의 혁신이 절박한 상황에서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정피드백 추구행동과 혁신행동의 상관관계 및 이 두 변인의 사이에서 학습목표지향성이 코칭리더십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국내 기업에 근무하는 381명의 구성원으로부터 회수한 설문지를 분석하였으며, SPSS 25.0, AMOS 25.0, Process Macro 3.0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부정피드백 추구행동은 학습목표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리더의 코칭리더십은 구성원의 부정피드백 추구행동과 학습목표지향성의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목표지향성은 부정피드백 추구행동과 혁신행동 사이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업에서 부정피드백을 원하는 구성원들이 어떻게 혁신행동에 이르게 할 것인지에 대한 과정을 밝히고, 혁신행동의 활성화를 위해 코칭리더십에 대한 조직적 지원이 필요함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situations where innovation of the business is desperate in the face of the emergence of agile organizations and digital transformation. To do so, we tried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and whether the learning goal orientation of these two variables ha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by coaching leadership. It analyzed the collected questionnaire from 381 members working in domestic companies; SPSS 25.0, AMOS 25.0, and Process Macro 3.0 were used.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negative feedback seeking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the leaders coaching leadership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negative feedback seeking behavior and the learning goal orientation. Learning goal orientation has been found to have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between negative feedback seeking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reveals the process of how members seeking negative feedback in the organization could be led to innovative behavior and shows the necessity of organizational support for coaching leadership for the vitalization of innovative behavior.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영아 안전사고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경험 및 영아 안전교육

        권경숙(Kwon, Kyung Sook),박지영(Park, Ji 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일어나는 영아 안전사고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영아 안전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해 봄으로써 영아 안전사고 및 영아 안전교육의 실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영아반이 구성되어 있으면서 영아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원장과 교사 16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참여관찰을 통해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연간안전교육계획안, 안전일지 등을 보조 자료로 활용함으로써 분석과 해석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교사와 원장들은 ‘죄인이다’라는 죄의식과 부모가 사고에 대해 어떻게 수용할지에 대한 불안감, 사고로 인한 상처가 영아에게 영구적으로 남으면 어떻게 하나에 대한 걱정으로 괴로웠던 경험들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원장과 교사들은 안전사고를 당한 영아 부모의 속상함에 대한 공감과 모든 요구에 대한 무조건적인 수용으로 안전사고를 해결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여기고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들은 영아 안전교육의 주안점을 예방에 두었으며 유아안전교육의 내용을 단순화시키거나 언어사용의 수준을 낮춰 일상생활 속에서 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상황을 이용하여 수시로 반복하여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이를 원만하게 해결해줄 수 있는 중재 시스템이 지역별로 마련되어야 하고 어린이집에서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영아안전교육 내용 기준 마련 및 이를 실행할 수 있는 영아 안전교육 자료가 개발되어야 한다. In this study,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infant negligent accidents and safety education by investigating how directors and teachers have experienced the negligent accidents at daycare center and by examining what safety training for infants have been offered. Detailed and practical data have been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a director and 16 teachers who have already offered safety training to the infants at the center. Reliabilities for the analyses and the interpretations were secured by making additional use of yearly safety training plan and safety daily records. The results of the study in as follows. Firstly, most of the directors and teachers had painful experiences of sense of guilty, anxiety on the parents’ reactions, apprehension on the permanent injuries, and so on. They, consequently, considered it as thoughtful response to unconditionally accept every sympathy and request made by parents of the accident victims. Secondly, they put major stress on the prevention of the accidents during the safety training, and repeatedly practiced the training on a daily basis by simplifying the training contents and lowering the language levels as well. Therefore infant safety training is turned out to be inevitable at daycare centers, and it is highly recommended to prepare its guideline that is focused only on the infants themselves, to develop appropriate training material, and to have periodic leacher educations.

      • KCI등재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영아 양육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권경숙 ( Kyung Sook Kw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영아를 양육하고 있는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의 생활 세계를 들여다보고 그 속에서 발생되는 어머니들의 실제적인 양육 행동과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영아양육이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에게 지니는 의미는 어떠한지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영아를 양육하고 있는 다문화가정을 방문하여 참여관찰을 실시하여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다문화가정 어머니 면담과 동영상 촬영을 보조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자료수집 및 분석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자국어와 한국어를 혼용하여 영아와 소통하고자 하였으며 글자와 숫자 강조하기, 사물 세기, 영어 사용 등의 지식강조적인 상호작용 특성을 보였다. 또한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은 영아의 놀이나 행동을 가만히 지켜보거나 무반응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영아의 말을 단순하게 따라 하는 정도의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특히,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영아와 그림책을 볼 때나 한글과 관련된 상황 및 갈등상황이 발생했을 때 자신감 없는 태도와 영아의 말(언어)에만 의존하여 영아의 행동을 해석하여 상호작용하고자 하였다. 둘째,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에게 영아 양육은 낯선 한국 문화를 경험하고 한국 생활에 적응해 가는 실제적인 과정이었으며 주변의 다양한 사람들과 새로운 관계를 맺고 확고하게 다져나가는 기회로써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보여졌다. 또한 문화차이로 인한 만성적인 긴장과 스트레스를 가지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에게 영아양육은 자국에서의 문화경험을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실행하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To understand the unique needs of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Korea,this ethnographic study explores the daily lives of four nonnative-Korean mothers of mixed-heritage infants, 17, 18, 24 and thirty months old. This study uses participatory observation, videotaping and interviews which encouraging the mothers to reflect upon what childrearing means to them as they live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others try to communicate with infants by using both their native languages and Korean in their daily activities; 2) they emphasize active learning interactively, focusing on letters and numbers, counting things, providing names in two languages; 3) at times, the mothers seemed incapable of interactive communication: passively staring at play and other behaviors of their infants or timidly repeating an infant`s utterance, without any active elaborative communication. 4) The mothers` reflections on their experience revealed childrearing opened them up to experiencing unfamiliar Korean cultures and lives, provided opportunity to expand their relationships with various people, and to use, share and incorporate their past homeland experiences within a new context.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ng with multicultural parents in understanding and growing through their unique childrearing experiences and should be useful in devising intervention and assistance programs and policies.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수효능감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권경숙 ( Kyung-sook Kwon ),황은희 ( Eun-hee Hwang ),박정빈 ( Jeong-bin Park,)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교사 연령, 최종 학력, 교사 자격, 교직 경력)에 따른 교수몰입과 교수효능감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의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치원 교사 2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교수몰입, 교수효능감, 창의적 교수행동에 대한 내용이며, 자료분석은 PASW20.0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독립표본 t-test, One-way ANOVA, Scheffe검증,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수몰입은 교사의 배경변인중 교사 연령, 최종 학력, 교사 자격, 교직 경력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수효능감은 교사 연령, 최종 학력, 교사 자격에 따라, 창의적 교수행동은 최종 학력, 교사 자격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교수몰입, 교수효능감, 창의적 교수행동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수몰입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50.7%로 나타났으며 교수효능감이 추가되어 총 53.1%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유치원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는 교수몰입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치원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사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flow and teaching efficacy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s. Cluster random sampling of 244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 in Seoul and Gyeonggi-do have participated to a set of questionnaires measuring teaching flow,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alysis,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Here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eacher``s teaching flow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age, their education level, certification, and teaching experiences. Teaching 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age, their education level, and certification. Creative teaching behavior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education level, and certification. Second, the study show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flow,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ird, teaching flow, and teaching efficacy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creative teaching behaviors of teachers,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eaching flow, teaching efficacy and suggest several ideas for future study.

      • KCI등재

        영아를 양육하는 초보 어머니들의 양육 특성과 어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

        권경숙(Kwon kyung 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를 키우는 초보 어머니들의 양육 특성은 어떠하며 현대의 사회적 상황과 연계되어 나타나는 양육의 어려움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 참여자는 첫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초보 어머니 3인과 17개월, 18개월의 영아들이며 초보어머니들의 양육세계를 이해하고자 참여 관찰, 면접, 어머니들의 구술사 및 저널쓰기 등을 통해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보 어머니들은 '지식지향적인 해석과 반응' '친사회적행동 지향의 의미전환과 부정적 감정의 축소'의 양육특성을 보였다. 초보 어머니들이 겪는 어려움은 분리불안과 영아 요구에 대한 적정선 찾기 이유가 불분명한 부정적 감정표출 다루기, 체력적인 어려움, 사회적 흐름에 맞는 양육을 위한 선택 갈등으로 인한 어려움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처음으로 자녀를 키우는 부모들의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양육지원책 마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at taking a look at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inexperienced mothers' parenting are and their difficulties with an infant-nurturing shown in link with the social context in modern times.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date, I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mothers' oral history, and mother's journal in order to understand the upbringing world of theirs by selecting the three inexperienced mothers and 17 and 18-month-old infants as a survey target for this research.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nexperienced mothers showed a role characteristic of 'knowledge-oriented interpreter and response, 'a pro-social behavior-oriented converser of a meaning and reduction of negative emotion'. The difficulties inexperienced mothers had were separation anxiety from their infants, control for an infant's demand, dealing with an infant's negative expression of emotion tor vague reasons, physical strength, and selecting appropriate parenting style with newer social tre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offer basic data to support inexperienced infant-rearing mother by creating a plan to recognize their problems and to prevent tho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