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ETS 차량의 교량 통과 가능성에 관한 연구

        강영철,이필재,Kang, Young-Chul,Lee, Pil-Jae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09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2 No.2

        In Korea, the driving system restriction criteria is strictly applied(gross weight 400kN, axial load 100kN). Especially after the Seoungsu Bridge accident, safety factor has been strictly applied. The Safety factor is applied to the cumulative results for each steps like design, construction, maintenance of the Bridge. Because of it, the bridge is undervalued compared to its capacity. So, this generates loss for both private and military sector(eg. logistical delays, structural damage, etc.). But analyzing data from many existing researches we have confirmed that the military heavy vehicle may pass through the first class bridges. In consequence, this study have focused on determining whether HETS vehicles can pass over the first class bridge, without safety issues, using MIDAS structural analysis program. The results have confirmed that the military heavy vehicle may pass over the bridge.

      • KCI등재후보

        정부지원사업 평가지표 구성의 적절성에 대한 논의: 사회서비스 바우처 사업을 중심으로

        강영철 ( Young C Kang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社會科學硏究 Vol.26 No.2

        본 논문은 상대적으로 다른 사업 분야에 비하여 경제적인 효율성이나 효과성을 중심으로 사업의 성과를 가시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운 정부지원사업 중 사회서비스 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시스템 및 모델에 대하여 논의한다. 특히 최근 들어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다른 분야에 비하여 사업에 대한 성과가 다각적으로 검토하여야 되는 분야인 사회복지사업 중에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바우처 사업을 중심으로 평가 및 성과관리 모델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서비스 사업 중 바우처 사업은 전통적인 정부중심의 지원 시스템과는 달리 해당 사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사용자와 제공기관, 정부에서의 지원이 연결되어 나타나는 새로운 형태의 정부지원사업으로 이에 대한 평가 및 성과에 대한 논의 역시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행정기관 중심으로 논의된 전통적인 복지정책과는 달리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서비스 수혜자 간의 다층적인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사회서비스 사업을 대상으로 향후 정부지원사업에 대한 평가와 성과관리에 대한 적절한 모델에 대하여 논의한다. 또한 사업의 특성 및 방향을 고려한 평가지표의 필요성 및 개선점 도출을 위하여 바우처 사업 중 지역투자 사업을 대상으로 특정 지역의 사업제공자와 업무담당자에 대한 조사를 실시, 바우처 사업 평가에서의 적절한 지표구성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uggest possible evaluation model in welfare services focus on voucher system. As public services contain many sub-fields and recipients, the one-size-fit-all approach in evaluation system does not fit into each policy field, it is need to reconsider evaluation model that includes diverse stakeholder and recipients in welfare program.. As there is huge demands of participation in the policy process, the costs and effects of social services preoccupy main stakeholders. Many local governments need to meet with regards to welfare services, and the demands of social services increase. Because welfare is no longer domain for the socio-economic base, there are basic, diverse requirements the local governments and the public sector to fill with.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model in welfare system suggests that possible set of evaluative criteria should be considered. The public sector or the general public service facilities and other performance-based service management objectives and methods are required. As governments spending on welfare increases, the needs to make a comprehensive model of welfare program evaluation is also required. However, the diverse and complex set of welfare cannot be solved as one approach of evaluation model. Therefore, evaluation system in welfare program should include possible sets of dashboard to fit into each environment and surrounding in detailed programs.

      • KCI등재

        성과관리제도의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강영철(Young C. Kang)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8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8 No.3

          The adaptation of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mpacts on its utilization in organizations. This article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aptation of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organizational culture, performance-based communication, performance indicators and leadership. The results find out that autonomy, rational and developmental culture, performance indicators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authors discusses government should concern the role of structural autonomy and how enhance the usefulnes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formance indicators in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공공조직 구성원의 성과평가결과 활용에 대한 인식과 영향요인 분석 : 조직특성적 요인을 중심으로

        강영철(Young C. Kang) 한국정책과학학회 2008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2 No.3

        본 논문은 성과관리제도에서 업무개선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성과평가결과의 활용에 대한 공무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중앙행정기관 공무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성과평가결과 활용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결과는 합리ㆍ발전문화, 성과중심의 의사소통, 성과지표의 유용성, 조직 관리자의 리더십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조직문화 중 합리 및 발전문화가 상대적으로 성과평가결과의 활용과 연계되며 성과에 대한 조직구성원 개개인의 자율성과 판단이 얼마나 조직내에서 보장되는지에 따라 성과평가결과로 얻어진 각종 성과정보의 활용이 더욱 활발하게 나타남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성과중심의 의사소통은 성과평가결과의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고려하여, 어떻게 조직 전체적인 차원에서 활성화할 것인지를 검토하여야 한다. 셋째, 성과지표의 유용성은 성과평가결과의 활용과 연계되는 점을 인식하여, 성과지표에 대한 이해 및 참여여부가 평가결과의 활용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성과지표의 구성 및 운영에서 조직구성원과의 지속적인 의사소통이 중요하며, 목표치 수정 및 지표개선에 조직차원에서의 관심이 필요함을 고려해야 한다. 넷째, 관리자 리더십의 역할을 인지하여야 한다. 우리나라 정부부처의 관료제적인 특징을 고려할 때 관리자의 성과관리제도에 대한 이해와 운영상의 문제점 등에 대한 파악과 관리자층의 지속적인 지원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are commonly recognized as important recourses in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This article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and organizational factors based on survey of Korean central government employees, The conclusion find out that rational, developmental culture, performance-based communication, usefulness of performance indicators, and organizational leadership shows statistically signifiant results. The author finds that comprehensive approaches for enhancing the usefulness of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are necessary to manag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n government.

      • KCI등재

        제도 확산의 영향요인으로서 동형화와 탈정치성에 대한 이해

        강영철(Young Choel Kang),이철주(Cheoul Joo Lee) 한국정부학회 2009 한국행정논집 Vol.21 No.3

        본 논문은 공공부문에서 새로운 제도의 확산요인으로서 동형화적 성격(강제성, 모방성, 규범성)과 탈정치적 성격에 대하여 주목하여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가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BSC기반 성과관리체제의 확산과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부문의 제도적 확산은 강제적, 모방적, 규범적 압력 등의 동형화적인 성격과 탈정치적 성격으로 인하여 더욱 가속화되는 측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의 시사점은 첫째, BSC가 처음부터 공공부문에 사용되는 것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각 조직에 어떻게 적용하여야 할 것인지 그리고 같은 질문을 깊이 고려하는 것보다는 시행자체에 의미를 두고 진행된 것은 아닌지, 또한 그러한 논의조차 될 수 없었던 것은 아니었는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 공공부분에 있어서의 효율성은 주어진 정치적인 상황이나 목표 내에서 달라지는 경우가 다수 존재하는 점을 인식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효율성과 같은 탈정치적 성격이 강한 개념 내에서 정치적인 가치를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효율성의 구성과 적용은 공공조직의 업무특성 및 운영상의 한계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셋째, 공공부문에 BSC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많은 경우 각 조직에 맞는 성과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운영상의 장점을 살리고자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BSC 도입 자체`가 목적이 되는 가능성에 대하여 생각해 봐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성과관리 제도의 운영을 위한 최선의 도구로서 BSC를 도입하는 것이 어떠한 운영상의 장점이 나타날 것인지를 재고려할 필요가 있다. Organizations analyze and are trying to minimize the impacts and influences of external environments. Public organizations, like private organizations, choose many strategic policy to enhance their institutional standpoints. One of the common strategy is related with isomorphic strategy that absorbs and benchmarks the policy and practices of other organizations. This article explains isomorphic practices and the impact of apolitical reason in the public sector. With the focus on the BSC practices, we analyzes the logic and reasons of isomorphic practices and apolitical reasons. The authors explain that isomorphic practices and apolitical reasons behind the institutionalization are important factor in the public sector.

      • KCI등재

        성과관리 제도운영 효과성 영향요인 연구: 경찰조직에서 투명성을 중심으로

        강영철 ( Kang Young C ),최낙범 ( Choi Nakbum ) 한국거버넌스학회 2016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3 No.3

        성과관리 제도는 개인과 조직의 성과를 정의하고 업무목표를 규정하며, 성과측정과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지속적으로 조직성과를 향상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성과관리 제도의 성공적인 운영은 조직전반의 관리, 운영 및 실제 업무와 관련된 여러 가지 요인들에 영향을 받는다. 그간 선행연구에서는 기관장의 관심, 결과의 활용가능성, 성과지표에 대한 신뢰, 업무 연관성, 제도이해와 같은 요인들이 기대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어왔다. 하지만 명확한 성과기준이 존재하지 않는 공공부문에서 어떤 요인들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찰조직의 맥락에서 성과관리 제도운영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투명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경찰업무는 일반 행정기능에 비해 더 복잡한 측면이 존재하며 명확한 성과기준이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엄격한 명령체계에 따른 위계적인 조직문화 내에서 성과평가와 제도 운영이 투명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은 제도효과성 인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경찰관 10,61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성과관리 제도 기대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투명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투명성, 결과활용, 지표신뢰, 제도이해, 업무연관성, 평가자 신뢰는 기대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투명성은 결과활용, 제도이해, 업무연관성이 기대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찰조직에서 성과관리 제도는 실질적인 운영과정에서의 투명성과 구성원 간의 신뢰확보, 의사소통 측면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PMS) aims to enha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systematic measurement and sustainable management of performance and goals. Therefore, the success of PMS is determined by many factors relating overall operations and tasks of the organization.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that employee`s perception on operations and processes of the system can influence on effectiveness of it. However, empirical research on public organizations is still limited.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retest results of former studies and explore new influencing factor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influencing factors on employees` perception on expected effectiveness of PMS in police organization focusing on transparency. Measuring police performance is more complicated and difficult than that of other pubic organizations. Therefore, understanding multifaceted features of the police activities is crucial for the success of PMS. Especially, operating the system with transparency can be very influential in an organization like police which has rigidly hierarchical culture. In this study, we examined key factors influencing an individual`s attitude to the PMS using a survey data which was collected from 10,619 police officers. We also tested moderating effects of the perception of transparency. Results show that transparency, applicability, trust on indicators, understanding the system, job relevance, and trust on evaluators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s on the dependent variable. Results also show that transparency have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n relationship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pplicability, understanding, job relevance- and the dependent variable. Based on the results, this article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for our understanding of PMS in the police organization.

      • KCI등재

        정책집단의 다양성과 정책오차에 대한 연구 - 학교전담경찰관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강영철 ( Kang Young Cheoul ),최낙범 ( Choi Nak-bum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8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2 No.1

        본 연구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의 역할에 관하여 정책도구의 선택과 정책도구에 대한 정책집단의 인식 간의 차이가 당초 정책목표와 집행에서 의도되지 않은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학교폭력에 대한 정책도구로서 현재 시행중인 학교전담경찰관 제도를 대상으로 이와 관련된 각 정책 집단들에게서 학교전담경찰관의 역할에 대한 어떠한 인식상의 차이가 나타났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인식차이가 제도 시행 초기부터 제기되었으며. 이는 비의도적인 정책오차가 나타날 가능성이 제도운영 초기부터 포함되어 있었음을 분석하였다. 실증적인 분석을 위하여 각 정책집단에 대한 표적집단면접을 수행한 결과, 각 정책집단별로 학교전담경찰관의 역할에 대한 인식차이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인식차이는 학교전담경찰관들로 하여금 정책 집행에서 명확한 우선순위나 판단기준이 모호한 상황에서 업무를 수행해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학교전담경찰관의 제도 시행에서 각 정책집단이 갖고 있는 고유한 이해관계와 역할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제시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각 학교별 차이 및 정책환경, 교육과정 상의 차이, 이해관계자들 간의 정책적 연계성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 the role and functions of School Police Officers on behalf of policy instrument that emphasiz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on the perceptions of each policy population toward their implications. In order to examine whether differences in perception can lead to unintended policy outcomes or police failure, we interviewed school police officers, teachers, students, and their par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ocus Group Interview, these differences among policy populations make School Police Officers to perform their roles in unclear guidance in implementations, no work priorities of work environments. This indicates that policy makers and mangers of police organization failed to set clear task priorities for SPOs. As a result, we can assume that SPO policy might have a high possibility that it could end up policy errors when it was first implemented. These results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clear guides and role-definition for School Police Officers. In addition, in the context of SPOs, different school context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onnections between policy populations are needed to be considered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 KCI등재

        경찰 중요직무급 기대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강영철 ( Kang Young Cheol ),최낙범 ( Choi Nak Bum ) 한국경찰학회 2017 한국경찰학회보 Vol.19 No.5

        직무에 기반을 둔 인사관리는 공공부문의 경쟁력과 생산성 향상, 개인 동기부여와 성과향상 측면에서 강조되어오고 있다. 하지만 주로 금전적 보상과 연계되는 일련의 제도는 공공부문의 목표불명확성으로 인하여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부문의 직무기반 보상은 직무의 고유한 특성과 가치를 적절하게 반영한 필요가 있다. 특히 경찰조직의 경우에는 사회의 안녕과 질서유지를 위한 다의적인 목표를 추구하는 만큼 중요직무급의 도입에 있어서 구성원들의 인식과 판단기준, 의사소통 구조를 반영한 제도의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찰조직에서 중요직무급의 도입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인들과 그것이 제도에 대한 기대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경찰관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354명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업무의 중요도와 난이도, 상관의 지시수준을 살펴보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기대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요도, 난이도, 상관의 지시는 모두 기대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중요도×상부지시가 부(-)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요직무급의 운영에 있어서 직무의 중요도와 난이도, 상부지시와의 연관성이 높은 업무 위주로 중요직무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부지시는 중요도의 긍정적인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는 만큼 업무 자체가 내포하고 있는 중요도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것이다. A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reflecting a job-based payment has drawn attention in the public sector as means to raise productivity, competitiveness and performance. However, a series of HRMSs focusing on the monetary and external rewards has faced its limitations because of goal ambiguity in the public sector. Therefore, many researchers stressed that a job-based payment should appropriately assess and reflect innate features and value of the job. Police organization pursues multiple goals in order to maintain public security and social order.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job-based payment system need to be designed reflecting police officers’ perception of their duties and a way of communication among them. This study examined the several influential factors and their impacts on the expected effectiveness of the job-based payment system. The impacts of independent variables were inspected by apply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ll the independent variables had a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dependent variable. Additio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teraction term ‘job importance × instructions from the upper part’ turned out to be negative,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empirical test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책임운영기관 성과평가 제도와 운영 효과성 간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 지방 통계청 공무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강영철(Young Cheoul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는 정부 내 조직 관리상 자율성 증진 및 성과 중심 관리를 위하여 현재 운영 중인 책임운영기관에 대한 평가제도와 운영 효과 간 연계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책임운영기관 중 지방통계청 공무원 510명을 대상으로 평가제도 운영에 대한 의사소통, 평가지표의 타당성, 기관장의 관심, 평가결과의 활용, 평가과정의 투명성, 책임운영기관 제도 운용상 효과성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결과에 의하면 평가지표의 타당성과 기관장 관심이 높을수록 평가결과의 활용과 평가과정의 투명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며 제도운영에 효과성 또한 높게 인식하였다. 하지만 의사소통의 경우 평가 과정상 투명성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으나, 평가결과의 활용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책임운영기관 평가제도의 운영에 있어서 평가와 관련된 조직 내의 의사소통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 and managerial effectiveness of responsible administrative agencies. Previous studies mainly emphasize the institutional changes of evaluation system and its impacts. This study articulate important factors in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 like interactive communications the credibility of performance indicators top manager’s concern. A survey was conducted by 510 employees of local statistical office agencie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in order to test hypotheses. Results show that the credibility of performance indicators and top manager’s concern about evaluation are positively related to performance results and procedural transparency and to managerial effectiveness. Interactive communication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managerial effectiveness. The empirical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teractive communication about the evaluation system of responsible administrative agencies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공자의 교육사상을 바탕으로 한 초등 도덕과 교수방법 연구

        강영철(Kang Yung Chul)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5

        이 연구는 도덕의 개념, 교수의 개념과 원리, 도덕 교과의 성격과 교수의 일반원리를 살펴보고 도덕과 교수의 형태와 공자의 교육사상을 알아보았다. 도덕교육은 가정이나 학교에서는 물론 사회 전반에 걸쳐 항상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것은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는 데 있어 도덕교육이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또 인간실존에 있어서 최대의 선으로 이끌기 때문이다. 도덕 교과의 교육적 역할은 학생들로 하여금 건전한 도덕성을 함양하게 하는 것이다. 초등학생들의 도덕성은 대체로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과의 성격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공자의 교육사상은 인간의 자아완성과 올바른 인격실현에 역점을 두고 있다. 도덕교육은 올바른 인격의 완성을 실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교육에 그 핵심을 두고 있으므로 그의 교육사상을 초등도덕과 교수방법과 관련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현대사회에서 소홀하게 되는 교육적 부분이 있다면 삶에 대한 도덕적 본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찾기 위한 방안으로 필자는 유교사회에서 존중되었던 가족도덕의 입장을 지지한다. 공자의 교육사상에서 기저가 되는 “인(仁)”과 “예(禮)”는 이것의 실현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The importance of moral education is emphasized wherever we are, whether at school, home or in society. Because moral education plays a necessary role in men living like men. Moral education is more important because morality leads to the highest good. The mor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much affected by the essence of the subjects they learn at school. The educational role of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s to cultivate sound morality and, as a result, complete sound personality of students. Confucian thoughts on education, emphasizing the realization of sound personality, provide us with valuable materials in researching the teaching methods in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idea of "Benevolence" and "proprieties," the key concept of Confucian thoughts on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to the teaching method in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