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번역뉴스의 가독성 적용에 관한 고찰

        강수정(Kang, Su Jung) 중국문화연구학회 2014 중국문화연구 Vol.0 No.25

        The focus of texts moves from a source text to a target text, as the focus of translation studies has shifted from ‘translation as a text’ to ‘translation as a cultural behavior.’ Therefore, a source text is just one of various information sources for translators, not the overriding basis for translation. Today, the success of translation depends on the level of readers’ acceptance of translated texts. The perspective that a translated text should function properly in a target culture according to its purpose (skopos) is well established in studies on translation of news texts. By nature, ‘readability’ is a critical feature of news texts, which are designed to deliver information in written or oral forms to the public. At issue is that the abundant information of news texts in foreign media may have negatively affect readability for the audience, due to time (for broadcasting) or space (for newspaper) constraints, when source texts are literally translated in target languages. Consequently, most media simply preserves the value of the news and changes a source text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audience. This is especially common in Chinese media. This study suggests characteristics of changes from source texts for ‘readability’ in Chinese media, and explains translation in China using predictable theorie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various translation perspectives. In general, Chinese scholars employ functionalism while Korean scholars use an ideology approach in studies on translated news texts. However, this study focuses on readability as a factor to changes of translated news texts, and explores how readability is achieved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how it is related to journalistic factors in China.

      • KCI등재후보

        상하이협력기구의 확장과 중국의 제도적 전략

        강수정 ( Kang Su-jeong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2024 중국사회과학논총 Vol.6 No.1

        중국의 지역 다자외교에서, 상하이협력기구(SCO: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는 중국이 그 설립과 발전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온 대표적인 지역 다자기구로서, 중국이 자국의 이익과 목표에 부합하도록 지역 질서를 변화시키기 위해 어떠한 제도적 전략을 활용해 왔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SCO의 설립 및 제도화 과정에서 중국의 참여와 전략에 관한 연구는 많이 있었지만, 최근 SCO의 발전 및 확장 과정에서 중국이 자신의 이익을 수호하고 장기적인 전략적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어떠한 제도적 전략을 활용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따라서 기존 연구를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은 제도균형이론에 기반하여 최근 SCO의 발전 및 확장 과정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어, 중국이 그 과정에서 어떠한 제도적 균형 전략을 통해 지역 질서를 자신의 이익과 목표에 더 잘 부합하도록 변화시키려고 하는지를 분석하고, 그러한 중국의 제도적 균형 전략이 어떠한 도전에 직면해 있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중국과 러시아가 상호 협력과 경쟁을 통해 SCO의 발전 및 확장 과정을 주도해 왔다는 점에서, 중국이 역내 자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리더십 역할을 추구하기 위해, 어떠한 제도적 전략을 통해 러시아와의 관계를 조율해 왔는지도 분석한다. 더 나아가서, 중국과 러시아가 SCO에 기반하여 구상한 새로운 지역 질서의 전망과 관련하여 ‘비서구 유라시아 공동체’ 구축 가능성을 강화하고 실현하는 데에 SCO가 직면한 도전 과제들을 살펴본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지난 20여 년간 SCO의 발전 및 확장 과정에서 중국의 전략적 계산과 제도적 전략들을 설명하는 데에 제도적 균형의 분석 틀이 가지는 유용성과 한계를 논의한다. In the realm of regional multilateral diplomacy, the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SCO), as a prominent regional multilateral institution in which China has actively participated in its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represents a significant case to examine the institutional strategies employed by China to reshape the regional order in alignment with its interests and goals. While there has been extensive research on China’s participation and strategies during the establishment an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CO, there has been a relative scarcity of studies regarding China’s employment of institutional strategies in the recent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SCO to safeguard its interests and achieve its long-term strategic objectives. Therefore, to complement the existing studies, this article, grounded in the theory of institutional balancing, focuses on the analysis of China’s institutional balancing strategies during the recent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SCO. It aims to explore how China utilizes institutional balancing strategies to better align the regional order with its interests and goals, analyzing the challenges faced by such strategies. Furthermore, considering the leadership roles played by China and Russia through cooperation and competition in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SCO, this article also examines how China, in expanding its influence within the region and pursuing its leadership role, harmonizes its relationship with Russia through institutional strategies. Additionally, it delves into the prospects of a new regional order envisioned by China and Russia based on the SCO and analyzes the challenges that the SCO faces in enhancing and realizing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a non-Western Eurasian community. Building upon these analyses, this article discusses the utility and limitations of the institutional balancing framework in explaining China's strategic calculations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in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SCO over the past two decades.

      • KCI등재

        「고전과 윤리」의 교수-학습 방향성 제언 - 수용자 중심의 고전읽기 방법과 고전텍스트의 재구성 -

        강수정 ( Kang¸ Su-je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1 윤리교육연구 Vol.0 No.59

        본 연구의 목적은 ‘고전 교육’을 실시한 대학들의 사례와 국어과의 「고전」교과의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고전과 윤리」가 나아갈 교수-학습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선행연구의 분석 결과 고전텍스트에 대한 접근의 어려움과 이로 인해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고전과 윤리」도 이러한 문제에 부딪힐 수 있다고 판단하여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두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는 율곡(栗谷)이 『격몽요결』에서 제시한 독서의 목적과 방법을 「고전과 윤리」의 고전 텍스트를 읽는데 적용하는 것이다. 둘째는 수용자를 중심으로 고전 텍스트를 구성하는 것이다. 수용자 중심으로 구성된 교재를 「고전과 윤리」교과서의 보조교재로 활용함으로써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고전 텍스트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이를 통해 능동적인 참여가 가능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This study presents a direction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lassics and Ethics’ by drawing on colleges that have implemented classics education and the practices within the ‘Classics’ subject. An analysis of earlier studies sheds light on the difficulties involved in approaching classical texts and in inducing the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Hence, this paper suggests two solutions to prevent this. The first is to apply the purpose and method of reading as presented by Yulgok, in his 『Gyeokmongyogyeol』to the reading of classics and classical texts in ethics. The second is to organize classical texts with a focus on the recipient. Using textbooks focused on the recipients as supportive materials can facilitate teachers and learners’ access to classical texts to enable their active participation.

      • KCI우수등재

        아버지의 유아기 양육참여가 초등학교 1학년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실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강수정(Sujeong Kang) 한국아동학회 2021 아동학회지 Vol.42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ongitudinal effects of father involvement in child-reaering during early childhood on first graders’ school adjust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By doing so,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fathers’ involvement in childcare during early childhood. Methods: This study used the 4th, 5th, and 8th data sets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 total of 1,711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bootstrapping were conducted. Results: Fathers’ rearing involvement during early childhood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first graders’ school adjustment by reducing levels in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with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ren’s gender being considered as a confounder. However, fathers’ rearing involvement during early childhood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first graders’ school adjustment.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fathers’ rearing involvement in early childhood is important for first graders’ cognitive development and school adjustment in the long ter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id not simply reveal the longitudinal influences of fathers’ rearing involvement on children’s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but also explained these influenc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executive skills.

      • KCI등재

        바이오디젤부산물인 폐글리세롤을 이용한 친환경 가소제의 개발

        강수정 ( Soo Jung Kang ),배성재 ( Sung Jae Bae ),진대언 ( Dae Eon Jin ),김진환 ( Jin Hwan Kim ) 한국산업보건학회 2014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24 No.3

        Objectives: The major objective is development of an eco-friendly non-phthalate plasticizer using crude glycol derived from the biodiesel process. Methods: Glycerol monolaurate(GML) was synthesized from glycol and triglyrcerides. Glycerol diacetomonolaurate(GDAL) was synthesized from GML and acetic acid. Results: The synthesis of the GDAL plasticizer was measured with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NMR). Mechan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by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and the experimental values were compared with phthalate plasticizers such as dioctyl phthalate (DOP). In particular, the values for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s with GDAL were higher than with DOP. Conclusions: We confirmed the development of an eco-friendly non-phthalate plasticizer by NMR. Based on our results, applicability for food and drug packaging materials was found.

      • KCI등재

        국내 베트남 유학생들의 쓰기 전략 연구

        강수정 ( Kang Su J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5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학습자 대상의 전반적인 쓰기전략에 대한 사용양상을 파악하여, 향후 쓰기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실마리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존 선행연구(Oxford, 1990)를 참조하여 5간 척도의 <쓰기전략 유형에 대한 41개 문항 질문지>를 구성하고 구글 URL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 결과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통해 보다 유의미한 통계결과를 얻고자 t-검정과 일원 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이후에 대응표본 분석까지 실시하였는데 그 주요한 전략사용상의 특징과 교수-학습 측면에서 제시한 몇 가지 개선점들은 다음과 같았다. 우선 <전체 전략>의 사용양상 결과에서는 ‘직접 전략이 간접 전략’보다 많이 사용하며, 그것은 ‘기억전략’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직접 전략과의 비교는 물론 간접 전략 내에서도 가장 사용률이 낮게 보이는 것은 ‘사회적 전략’이었음도 드러났다. 이어서 학습자의 다양한 변인에 따른 그 사용양상 등도 정리해 본 결과, 직접 혹은 간접 전략 간의 균형 있는 사용은 물론 여성에게 더 다양한 전략 사용을, 연령대가 올라가거나, 학습기간이 3년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특히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이라는 피드백을 통해 쓰기의 조절 능력 함양과 더불어 글쓰기의 개선 등도 꾀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외 교사는 학습자들이 대학원 진입을 희망하거나 숙달도가 중, 고급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들에게 정서적 지원을 통해 정의적 전략의 활용을, 쓰기 결과물에 대한 상위인지 전략의 적극적 활용을 통해 그 과정에서 학습자 스스로가 판단하고 다시 계획을 세워 관련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함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이번 연구는 그간 미흡했던 베트남 학습자 대상의 쓰기를 특히 전략적 측면에서 조명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usage patterns of the overall writing strategies of Vietnamese learners and to gain clues in developing future writing teaching-learning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is, a questionnaire of < 41 Questions on Writing Strategies > with 5 different scales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via Google URL. The collected survey answer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underwent response sample analysis after first undergoing t-test and one-way ANOVA test in order to better achiev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following we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usage of strategies and several points for improvements in teaching-learning methods. First of all, in respect to the usage of the < overall strategies >, the ‘direct strategy’ were used more often than the ‘indirect strategy’, and the most used strategy was the ‘memory strategy’. Furthermore, the ‘social strategy’ had the lowest usage in comparison with direct strategies and also within indirect strategies. Furthermore, the analysis on the usage patterns according to the different variables of learners suggests that more various strategies, as well as a balance of direct and indirect strategies, must be used to female learners; With increasing age or for more than three years of learning, it was found that, in particular, through the feedback of interaction among the learners, it is necessary to improve writing skills as well as to cultivate the ability to control writing. the teachers should instigate an active usage of the following strategies respectively- ‘definitive strategy’ by providing emotional support, and ‘high cognitive strategy’ so that they will solve problems through self-analyzing their works of writing and re-planning. Resulting in such findings, this study was a meaningful one for it shed light on the writing, especially on the usage of strategies, of the Vietnamese learners, on which research have been insufficiently done.

      • KCI등재

        보호책임의 개념과 이행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태도

        강수정 ( Kang Su-jeong ) 대한정치학회 2021 大韓政治學會報 Vol.29 No.2

        거부권을 가진 UN 안보리의 상임이사국이자 신흥강대국인 중국의 보호책임에 대한 입장과 태도는 이러한 규범의 발전과 이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보호책임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면서 다음 두 개의 연구 질문에 분석의 초점을 맞춘다. 첫째, 중국은 보호책임의 개념화와 이행에 어떻게 관여해왔고, 그러한 개념이 등장한 이후 그 규범적 발전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왔는가? 둘째, 보호책임에 대한 중국의 입장과 태도에서 다른 국가들과 구분되는 특징이 나타나는가? 그렇다면, 그 특징을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들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질문을 다루는 데 있어서, 본 연구는 주로 UN에서의 보호책임에 대한 주제 토론이나 특정 국가의 대량인권침해사태에 대한 UN 차원의 대응과 관련한 중국의 공식적인 발언과 행동에서 얻어진 경험적 증거에 근거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보호책임의 규범적 발전과 실행에서 중국이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As a rising power and a veto-wielding permanent member of the UN Security Council, China’s position and attitudes towards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R2P) ca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norm’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In this sense, this study examines China’s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s the R2P, focusing on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has China been engaged with the conceptual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R2P and influenced the concept’s normative development since its emergence? Second, do China’s position and attitudes towards the R2P show distinctive features? If so, what are their key elements? In addressing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draws primarily on empirical evidence gleaned from China’s official statements and practice at the UN level, both in thematic discussions on the R2P and in responses to specific cases of large-scale human rights violations. Through this analysis, this article shows which role China plays in the normativ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the R2P.

      • KCI등재

        통합사회 교과서의 불평등 단원에 대한 내용 분석 및 제언

        강수정 ( Kang Su-je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1 윤리교육연구 Vol.- No.61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사회 교과서에서 불평등 문제가 통합적 관점에서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 대상은 5종의 통합사회 교과서이며, 분석 단원은 “사회 정의와 불평등”이다. 해당 단원의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교과서 내용 등을 분석하여 통합성의 정도를 살펴보았으며, 교과서 내용 서술에 있어 몇 가지 문제점을 찾아 밝혔다. 주요 분석 결과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기준과 교과서 본문의 통합성은 상당히 약하였고, 불평등 문제를 사회적 관점과 공간적 관점에 치중해서 서술하고 있었다. 이에 윤리적 관점과 시간적 관점의 보완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둘째, 불평등하다는 사실적 현상이 왜 불평등을 해소해야만 하는지 당위로 전환되는 데 매개의 원리나 근거가 제시되어 있지 않거나 매우 빈약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불평등 문제를 왜 해결해야 하는지에 대한 당위성을 제시해야 한다. 윤리적 관점의 보완을 통해 사실과 당위로 이어지는 매개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당위성을 주장하는 적절한 예시로 롤스의 차등의 원칙을 제언하였다. 셋째, 우리 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불평등 현상의 양상과 이를 해소하기 위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도에 대한 소개 위주로 구성됨으로써 나아갈 방향성에 대한 청사진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시간적 관점의 보완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과거의 역사이지만 미래의 청사진을 보여줄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로 동학의 유무상자(有無相資)를 제시하였다. 동학의 유무상자의 정신과 실천의 역사는 우리 사회의 구성원들이 어떻게 서로 연대하고 협력할 수 있는지에 대해 보여주는 사례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whether the issue of inequality is dealt with from an integrated viewpoint in the textbooks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To this end, the unit on “Social Justice and Inequality” in five different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was analyzed. The major results and suggestion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chievement criteria and the textbook content have a very weak integration, and the issue of inequality is described mostly from social and spatial viewpoin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complementing ethical and temporal viewpoints. Second, the principle or ground of mediation for the transition of the factual phenomenon of inequality toward the justification for solving inequality is not provided or insufficien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justification for redressing inequality should be presented. It is expected that adding an ethical viewpoint will provide mediating grounds that lead to facts and justifications. This study presents the “difference principle” of John Rawls as a proper example to give such justification. Third, the textbooks only focus on the aspects of inequality in our society and the current systems implemented to solve it, failing to provide a blueprint for the future direction. Such a problem can be addressed by adding a temporal viewpoint. This study suggests Yumusangja (meaning "the rich and poor helping with each other") of Donghak as a concrete historical example serving as a blueprint for the fut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