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픈플로우 네트워크를 위한 QoS 서비스 모듈 개발

        강동훈(Dong-Hun Kang),송왕철(Wang-Cheol Song),최덕재(Deok-Jai Choi),허지완(Jee-Wan Huh),석승준(Seung-Joon Seok)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40 No.1

        오픈플로우(OpenFlow) 기술은 개별 네트워크 장비들에 제어부(Control Plane)를 중앙의 컨트롤러 디바이스가 대신하도록 함으로써 컨트롤러에서 소프트웨어 모듈 구현을 통해 새로운 미래인터넷 아이디어들을 쉽게 네트워크 상에 구현할 수 있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도 최근 오픈플로우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미래인터넷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원활한 망 시험을 위해서는 시험 데이터들의 대역을 보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KREONET(Korea Research Environment Open NETwork) 2에 구축된 오픈플로우 기반 테스트베드에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 QoS 기능을 개발하고 그 시스템을 구축한다. 개발한 시스템은 오픈플로우 컨트롤러의 모니터링 및 라우팅 모듈과 웹서버 시스템의 관리자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모니터링 모듈은 링크의 가용대역폭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라우팅 모듈이 이를 고려하여 대역폭을 보장하는 경로를 계산한다. 웹 기반 관리자 시스템은 컨트롤러와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 상황을 사용자에게 보여 준다. 실험을 통하여 개발된 시스템을 검증하며 그 실험 결과는 대역폭 요구사항이 잘 관리됨을 보여 주고 있다. New contributions to future Internet can be easily implemented in real networks through OpenFlow technology where a centralized OpenFlow controller manages all network elements instead of the control plane of each device. Researchers can implement their ideas through developing software functions and inserting them into the centralized controller. NIMS is working on developing future Internet technologies and deploying a OpenFlow based future Internet testbed. However, it is needed how to guarantee and manage the bandwidth of test flows for efficient experiments. This paper develops QoS functions to efficiently operate the OpenFlow based future Internet testbed which is deployed on KREONET2. The system consists of monitoring and routing modules in OpenFlow controller and an administration module at a web server. Monitoring module checks the available bandwidth of link and routing module calculates bandwidth guaranteed path for experimental flows according to user requirements or application types. Web-based administration system presents the network situation to user. We verify the developed system through some experiments, and the results are shown that the bandwidth requirements are satisfied within OpenFlow testbed.

      • SCOPUSKCI등재

        비장 경유 색전술을 이용한 출혈성 십이지장 정맥류의 성공적인 치료

        강동훈 ( Dong Hun Kang ),박지원 ( Ji Won Park ),전의용 ( Eui Yong Jeon ),김성은 ( Sung Eun Kim ),김종혁 ( Jong Hyeok Kim ),권영석 ( Young Seok Kwon ),박승아 ( Seung Ah Park ),박충기 ( Choong Kee Park ) 대한소화기학회 2015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6 No.5

        Variceal bleeding occurs primarily in the esophagus or stomach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but can also occur rarely in the duodenum. Duodenal variceal bleeding has a high mortality and poor prognosis due to heavy blood flow originating from the portal vein (PV) and the technical difficulty of hemostatic procedures. Treatments including endoscopic sclerotherapy, endoscopic ligations, endoscopic clipping and transjugular intrahepatic portosystemic shunt have been tried, with only moderate and variable success. A percutaneous transsplenic approach offers another way of accessing the PV. Here we report a case of successfully treated duodenal variceal bleeding by percutaneous transsplenic embolization. (Korean J Gastroenterol 2015;66:286-290)

      • KCI등재

        2009-2010년 봄철 심한 황사 사례에 대한 에어러솔 크기 분포와 광학적 특성

        강동훈(Dong-Hun Kang),김지영(Jiyoung Kim),김경익(Kyung-Eak Kim),임병숙(Byung-Sook Lim) 한국기상학회 2012 대기 Vol.22 No.3

        Measurements of PM10 mass concentration, aerosol light scattering and absorption coefficients as well as aerosol size distribution were made to characterize the aerosol physical and optical properties at the two Korean WMO/GAW regional stations, Anmyeondo and Gosan. Episodic cases of the severe Asian dust events occurred in spring of 2009-2010 were studied. Results in this study show that the aerosol size distributions and optical properties at both station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dust source regions and the transport route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the PM10 mass concentration at both stations, the aerosol concentrations at Anmyeondo are not always higher than those at Gosan although the distance from the dust source region to Anmyeondo is closer than that of Gosan. The result shows that the aerosol concentrations depend on the transport routes of the dust-containing airmass. The range of mass scattering efficiencies at Anmyeon and Gosan was 0.50~1.45 and 0.62~1.51 m<SUP>2</SUP>g<SUP>?1</SUP>, respectively. The mass scattering efficiencies are comparable to those of the previous studies by Clarke et al. (2004) and Lee (2009). It is noted that anthropogenic fine particles scatter more effectively the sunlight than coarse dust particles. Finally, we found that the aerosol size distribution and optical properties at Anmyeondo and Gosan show somewhat different properties although the samples for the same dust_episodic events are compared.

      • KCI등재

        하지의 국소 신경 차단술에서 Ropivacaine 농도(0.5%, 0.6%, vs. 0.75%)에 따른 효과 비교

        강동훈(Dong Hun Kang),강찬(Chan Kang),황득수(Deuk Soo Hwang),송재황(Jae Hwang Song),장민구(Min Gu J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3

        목적: 정형외과 영역에서 하지 수술의 국소 신경 차단술의 비중은 증가하고 있으나 주사제의 최적의 농도(concentration), 투여량(dose), 용량(volume)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ropivacaine의 농도에 따른 효과를 마취 시간, 수술 중, 수술 후 통증 및 환자의 만족도의 관점에서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서 초음파 유도 신경 차단술(대퇴 및 좌골 신경 동시 차단)하에 하지 수술 예정인 환자를 무작위적으로 3군으로 분류하였다: A군(0.5%, 44 ml), B군(0.6%, 30 ml), C군(0.75%, 30 ml). 신경 차단술을 시행한 시점부터 완전히 마취 효과가 발생하는 시간(완전 마취 시간)을 조사하였다. 시각통증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이용하여 수술 중(수술 시작 10분 후) 및 수술 후(수술 종료 6, 12시간 후) 통증 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수술 종료 12시간 후에 환자의 만족도(0-10)를 조사하였다. 동일 투여량 및 동일 용량하에서 마취제 농도에 따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A, B군을 각각 C군과 비교하였다. 결과: A, B, C 군별 환자수는 108, 118, 113명으로 환자 수, 나이, 성별, 수술 종류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세 군의 평균 완전 마취 시간은 78.5, 76.4, 58.6분이었다. 평균 수술 중 VAS 점수는 2.04, 0.62, 0.24였고, 평균 수술 후(6/12시간) VAS 점수는 2.41/4.08, 0.27/1.24, 0.38/1.54이었다. 환자의 만족도는 평균적으로 8.53, 9.38, 9.40이었다. C군과 비교했을 때, A군은 유의하게 긴 완전 마취 시간(p<0.05)과 높은 수술 중, 수술 후 VAS 점수를 보였고(모두 p<0.05), B군은 유의하게 긴 완전 마취 시간(p<0.05)을 보였으나 수술 중, 수술 후에 유의한 VAS 점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모두 p>0.05). A, B군 모두 C군과 통계적으로 유사한 만족도를 보였다(p>0.05, p>0.05). 모든 군에서 특별한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하지의 국소 신경 차단술 시, 동일 용량(30 ml)하에서 0.75%뿐만 아니라 0.6% ropivacaine도 안전하고 효과적인 농도의 약물이다. 다만 완전 마취 시간이 더 길다는 점을 고려해서 수술 시작 시간을 조율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re have only been a few studies on optimal usage of injection material in the regional nerve block for lower extremity oper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ropivacaine.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39 patients underwent lower extremity surgery under ultrasound-guided nerve block (combined femoral and sciatic nerve block) at a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rch 2016 and February 2017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Group A (0.5%, 44 ml), group B (0.6%, 30 ml), and group C (0.75%, 30 ml). The interval between nerve block procedure and onset of the complete anesthetic effect (complete anesthetic time) was investigated. The degrees of intraoperative pain, and postoperative pain were evaluated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Patient’s satisfaction (0–10)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efficacy in accordance with the concentration under the same dose and same volume, group A and B were compared with group C respectively. Results: There were 108, 118, and 113, in groups A, B, and C, respectively;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he number, age, sex, and type of operation (p>0.05). The mean complete anesthetic times were 78.5, 76.4, and 58.6 minutes, respectively. The mean intraoperative VAS scores were 2.04, 0.62, and 0.24; and the mean postoperative VAS scores (6 hours/12 hours) were 2.41/4.08, 0.27/1.24, and 0.38/1.54. The mean patient’s satisfactory scores were 8.53, 9.38, and 9.40, respectively. Compared with group C, group A showed significantly longer complete anesthetic time (p<0.05) and higher intra, postoperative VAS scores (all p<0.05). Group B showed longer complete anesthetic time (p<0.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intra, postoperative VAS scores (all p>0.05). Patient’s satisfactory scores in both group A and B were similar to group C (p>0.05, p>0.05). There were no specific adverse reactions in all groups. Conclusion: Ropivacaine 0.6% as well as 0.75% are safe and effective anesthetics under the same volume (30 ml) for regional nerve block of the lower extremity. However, taking into account of the longer complete anesthetic time, the operation start time must be adjusted.

      • KCI등재

        격자 볼츠만 방법에 의한 지반 내 오염물질의 거동 분석

        강동훈(Kang, Dong Hun),윤태섭(Yun, Tae Sup) 대한토목학회 201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C Vol.32 No.6

        오염물질의 거동은 간극 배열과 연결망에 의해 결정되지만 흙에서 오염물질의 이동을 계산하는 전통적인 접근은 거시 스케일에서 적용된다.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풀기 위해 소요되는 컴퓨팅 비용 때문에 간극 스케일에서 이동과 결과를 관찰하기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상 다성분 유체유동에서 국부적인 유속과 밀도를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격자 볼츠만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오염물질의 시공간적 거동은 유체 유동의 이송에 의해 명시적으로 결정된다. 두 가지 형태의 이상화된 간극은 유체의 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오염물질 이동, 유속장, 오염물질의 평균 농도는 정상상태의 유통에서 계산된다. 굴곡비와 같은 간극 형상은 오염물질 거동의 영향을 준다. 이는 흙이나 암반의 불연속면에서 동일한 간극률를 가져도 간극의 배열과 형상의 중요함을 강조한다. The conventional approach to evaluate the contaminant transport in soils adopts the macro-scale implementation while the pore configuration and network is a dominant factor to determine the fate of contaminant. However, the observation of fate and transport at pore scale may not be readily approachable because of the computational expenses to solve Navier-Stokes equation. We herein present the 2D Lattice-Boltzmann method that enables to assess the local fluid velocity and density efficiently for the case of single phase and multi-components. The solute fate spatio-temperal space is explicitly determined by the advection of fluid flow. Two different types of idealized pore space provides the path of fluid. Also, solute transport, the velocity field and average concentration of solute are computed in steady state. Results show that the pore geometry such as tortuosity mainly affect the solute fate. It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the pore configuration and shape in granular soils and rock discontinuity in spite of the equivalent porosity.

      • KCI등재

        무선 랜의 지터 성능 개선을 위한 DCF 개선 방안

        강동훈 ( Dong-hun Kang ),석승준 ( Seung-joon Seok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8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9 No.5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에서는 IEEE 802.11 무선랜의 처리량(Throughput)과 평균 지연 특성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DCF MAC 프로토콜에 대한 수정을 제안해왔다. 그러나 최근 점차 대중화되고 있는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핵심적인 품질평가 파라미터로서 지터(지연의 변화율)가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불행하게도 무선 랜에서 사용되는 기존 매체 접근 프로토콜은 지터를 조절하도록 설계되어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신측에 도달하는 멀티미디어 프레임들의 평균지터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DCF MAC 프로토콜을 개선한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그중 한 방식은 프레임 충돌이 발생한 후 백오프 시마다 CW(충돌윈도우) 크기를 절반씩 줄이는 한편 링크 사용률과 충돌발생 확률이 증가함에 따라서 CW 크기를 증가시키는 DCW-DCF 방식이다. 다른 한 방식은 백오프 단계가 증가함에 따라서 DIFS 시간을 줄이도록 하는 D-DIFS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논문에서는 ns2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평가결과 제안하는 두 가지 방식은 무선랜의 지터 특성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한다. Almost literature has so far proposed the modifications to IEEE 802.11 DCF MAC protocol to improve system throughput and average delay. Jitter(variance in packet delays) is, however, considered as an important QoS parameter for real-time streaming service which is popularized increasingly. Unfortunately, legacy access protocol for WLAN can`t support the jitter. This paper proposes two schemes modifying the DCF MAC protocol to reduce the average value of jitter for multimedia frames arrived at received nodes. The one scheme, referred to as DCW-DCF(Decreasing Contention Window-DCF), reduces CW(Contention Window) size by half whenever a transmitted frame collided against other frames and back-off happens. Also, it increase initial CW size according as the link utilization and the collision probability increase. The other scheme, referred to as D-DIFS(Differential-DIFS), assigns different values to DIFS. That is, the DIFS interval is deceased as the number of back-off for a frame increases. In this paper, the two schemes are evaluated through simulation using ns2 an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s are effective for improving the jitter property of standard WLAN.

      • KCI등재

        다양한 지지면에서의 스쿼트 운동이 무릎관절 근력 및 위치감각 향상에 미치는 영향

        강동훈 ( Dong Hun Kang ),유일영 ( Il Yeong Yu ),이건철 ( Geon Cheol Lee ) 대한통합의학회 2013 대한통합의학회지 Vol.1 No.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Knee Extensor, Flexor Muscle Strength and Joint Position Sense in Squat Exercise on Variety Surface. Method : Subjuects were consisit of 30 male and female who had non disorder knee joint. we had devided 3 group(control group, balance pad group, and togu group) and we measured that knee joint 1155°/4455°proprioception(proprioception sense) and Peak Torque of knee extensor, flexor muslce at 6600°/sec, 118800°/sec angular velocity. Result : First, knee joint 1155° proprioception (position sense) of balance pad and togu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fter exercise(p<.05), but only balance pad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t knee joint 4455°. Second, knee extensor Peak Torque of balance pad and togu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t 6600°/sec, 118800°/sec angular velocity(p<.05). Third, knee flexor Peak Torque of balance pad and togu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t 6600°/sec, 118800°/sec angular velocity(p<.05). Conclusion : Squat quat exercises on the balance pad and togu were affects knee joint proprioception and muscle strength improv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quat exercise on the unstable surface is effective for prevention of knee joint injury and functional activity.

      • KCI등재

        덕트 팬-베인 형상의 제자리 비행 공력 특성 및 조종 성능 개선에 관한 수치적 연구

        강동훈(Dong Hun Kang),임진우(Jinwoo Yim),유흥철(Heung-Cheol You) 한국항공우주학회 2021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9 No.3

        본 연구에서는 덕트 팬-상/하부 베인의 제자리 비행 공력 특성에 관한 수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정한 회전 속도, 블레이드 콜렉티브 피치각에서 상부 베인 꺾임각 변화에 따른 시스템 구성요소별 공력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개별 베인 작동 메커니즘과 덕트-베인 공력 상호 간섭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베인의 조종 성능과 덕트 공력하중 분포를 상세히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전기체의 조종 성능 개선을 위해 상부 베인의 새로운 작동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상부 베인 꺾임각 변화에 따라 상부 베인 측력과 롤링 모멘트는 선형 증가하였으나, 전기체 측력은 덕트에서 작용하는 반력에 의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또한 덕트 수축부 가까이 위치한 상부 베인이 조종 성능 변화에 가장 큰 역할을 하였다. 덕트와 상부 베인 흡입면의 공력 상호 간섭에 의해 덕트의 음압이, 덕트와 상부 베인의 압력면 공력 상호 간섭에 의해 압력 회복이 발생하여 덕트의 비대칭 공력 증가의 원인이 되었다. 4개의 상부 베인을 0°로 고정시키거나 제거했을 때, 덕트의 비대칭 공력은 감소하고, 전기체의 롤링 모멘트는 80%까지 증가하여 공력 성능이 개선되었다. In the present study, numerical simulation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 ducted fan-upper/lower vanes system in hover. Sensitivity analysis of aerodynamic forces for a system component was conducted with the deflection angle of upper vanes varying but at the constant rotational speed and the collective pitch angle of fan blades. Then, vane control performance and duct airload distributions were analyzed in detail to physically understand operating mechanisms of individual vane and interference effect between duct and vanes. Finally, new control concept of operating upper vanes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control performance of the full configuration. It is found that the side force and rolling moment of upper vanes increase linearly with the variation of those deflection angle; however, the total side force is significantly small due to the reaction force acted on the duct. It is also found that upper vanes close to the duct contraction side have a key role in changing vane control forces. It is revealed that the duct suction pressure is induced by the interaction with the suction side of upper vanes, while duct pressure recovery by the interaction with the pressure side, leading to increase in duct asymmetric force. When four upper vanes are kept in situ at 0° deflection angle or removed, the total control performance was improved with duct asymmetric force reduced and the total magnitude of roll remarkably increasing up to 8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