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골의 골 결손, 내반 변형을 동반한 감염성 불유합 환자에서 항생제 시멘트 코팅 골수정과 Masquelet 술기를 이용한 내고정술의 치료 - 증례 보고 -

        장민구 ( Min Gu Jang ),송재황 ( Jae Hwang Song ),김대영 ( Dae Yeung Kim ),신우진 ( Woo Jin Shin ) 대한골절학회 2022 대한골절학회지 Vol.35 No.1

        골절 수술 후 발생한 감염성 불유합은 환자에게 지속적인 통증과 염증성 삼출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장시간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다. 감염성 불유합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 단계로 감염이 의심되는 뼈와 연부조직에 대한 철저한 변연절제술을 시행해야 하고 감염이 완전히 소실된 후 두 번째 단계로 안정적인 내고정과 골 이식으로 골 유합을 얻어야 한다. 또한 만성 골수염의 분류와 동반된 골 결손의 크기, 골 정렬의 상태, 연부조직 손상 정도에 따라 체계적인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본 저자들은 경골 골절 수술 후 경골의 골 결손, 내반 변형을 동반한 감염성 불유합 환자에서 항생제 시멘트가 코팅된 골수정과 Masquelet 술기를 이용한 내고정술의 치료를 시행하였고 이에 대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Infective nonunion after fracture surgery can cause persistent pain and inflammatory exudate in patients, requiring long-term treatment. To treat infective nonunion, radical debridement of infective bone and soft tissue should be performed, followed by stable internal fixation and bone graft. Multiple treatment strategies need to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chronic osteomyelitis, size of the bone defect, degree of bone malalignment, and severity of the soft tissue injury. This paper reports a case of a patient treated with an antibiotic cement-coated nail and a Masquelet technique to treat the infected nonunion of the tibia with a bone defect and varus deformity.

      • KCI등재

        요수근 관절의 골절-탈구에서 단요월상인대의 손상 형태에 따른 치료 결과의 비교

        허윤무(Youn Moo Heo),김태균(Tae Gyun Kim),송재황(Jae Hwang Song),장민구(Min Gu Jang),이석원(Seok Wo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1

        목적: 요수근 관절 탈구는 고에너지 손상에 의해 발생하며 요골 경상돌기 골절 및 단요월상인대 손상을 동반한다. 단요월상인대는 요골 부착부에서 파열되기도 하지만 요골 월상골와의 전방연에서 견열 골편을 동반하여 발생하기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요골 경상돌기 골절이 동반된 요수근 관절 탈구에서 단요월상인대의 손상 형태 및 치료 방법에 따라 결과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요수근 관절 탈구로 수술을 시행한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요수근 관절 탈구는 Dumontier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Group 1 (순순한 탈구 또는 요골의 작은 견열 골절)과 Group 2 (주상골와의 1/3 이상을 침범한 요골 경상돌기 골절)로 분류하였다. Group 2는 단요월상인대의 부착부가 파열되거나 작은 견열 골절을 동반한 경우를 2A, 비교적 큰 견열 골절을 동반하여 내고정이 가능한 경우를 2B로 분류하였다. 전자는 단요월상인대의 직접 봉합으로, 후자는 작은 나사를 이용한 견열 골편의 내고정으로 치료하였다. 최종 추시에서 통증, 관절 운동 범위와 파악력, 영상 검사를 확인하였다. 치료 결과는 patient-rated wrist evaluation(PRWE), modified Mayo wrist score (MMW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모든 증례는 Group 2 (2A 6명, 2B 12명)로 분류되었다. 굴신 운동 범위는 건측의 79%, 파악력은 72.9%를 보였다. Group 2A가 2B보다 신전/굴곡/회전에서 더 큰 운동 범위를 보였다. 요사위/척사위/회외전과 통증, 파악력 회복은 차이는 없었다. PRWE, MMWS에서는 두 군의 차이가 없었다. 합병증으로 외상성 관절염 7예, 관절 불안정 5예가 있었다. 결론: 단요월상인대가 손상될 때 요골 월상골와의 전방연에서 발생한 견열 골절은 치료 결과에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견열 골편이 전위되거나 회전되어 탈구의 정복을 방해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며, 골편에 부착하는 단요월상인대의 기능을 복원하기 위해 해부학적 정복과 견고한 내고정이 필요하다. Purpose: Radiocarpal dislocation (RCD), which is caused by high-energy trauma, often involves radial styloid fractures and short radiolunate ligament (SRLL) injuries. Although SRLL injuries may occur as a simple rupture at the attachment site of radius, it may occur with a relatively large avulsed-fragment in the volar rim of the lunate facet of the radius. This study aimed to differentiate the injury type of SRLL and assess the differences in the treatment results depending on the treatment methods that have been applied in RCD with radial styloid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Eighteen patients managed surgically with RCD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as Group 1 and Group 2 by using the Dumontier method. In this study, Group 2 was subdivided into 2A (purely ligamentous or small avulsion fracture of the volar rim of lunate facet) and 2B (large avulsed-fragment enough to internal fixation) according to the injury type of SRLL. Groups 2A and 2B were treated with direct repair and screw fixation, respectively. Pain, range of motion of the wrist joint, grip strength, and complications on final radiographs were examined. The outcomes were evaluated using patient-rated wrist evaluation (PRWE), and modified Mayo wrist score (MMWS). Results: All patients were Group 2 (six and twelve patients in 2A and 2B, respectively). The mean flexion to extension arch recovered 79%,and the mean grip strength was 72.9% of the uninjured side. Group 2A showed better recovery in extension, flexion and pronation than Group 2B,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radial deviation, ulnar deviation, supination, grip strength and pain. No differences in the PRWE and MMWS were observed between two groups. Complications included traumatic arthritis in seven patients and residual instability in five patients. Conclusion: When the SRLL was injured, the involvement of a large avulsion fracture on the anterior plane of the radiolunate did not affect the test results. On the other hand, it should be observed cautiously because avulsion fractures tend to disturb the joint’s reduction through rotation or displacement. In addition, anatomical reduction and sturdy internal fixation are important for restoring the function of the SRLL.

      • KCI등재

        국소 마취하 배액관 삽입 및 세척을 통한 화농성 슬관절염의 치료의 효용성

        이진웅(Jin Woong Yi),오병학(Byung Hak Oh),허윤무(Youn Moo Heo),장민구(Min Gu Jang),민영기(Young Ki Min),서경덕(Kyung Deok Seo)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4

        목적: 화농성 슬관절염은 조기 진단과 신속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정형외과적 응급 질환이다. 본 연구는 국소 마취하에 배액관 삽입 및 세척을 통한 화농성 슬관절염 치료의 효용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7년 9월부터 2020년 2월까지 화농성 슬관절염을 진단받고 국소 마취하에 배액관 삽입과 세척을 통해 치료를 시행 받은 총 9예(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상외측 삽입구에서 상내측으로 관통하는 방식으로 배액관을 넣은 후 약 3 L의 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매일 세척하였다. 나이, 성별, 기저질환, 화농성 슬관절염의 원인, 골관절염의 정도, 진단 후 수술까지 소요된 시간, 재원기간, C-반응성 단백이 정상화되는 기간, 배양 균주 등을 확인하였다. 결과: 진단 당시 혈액검사에서 혈청 백혈구 수치는 평균 9,211±2,912개/㎣ (6,100–16,300개/㎣), C-반응성 단백은 평균 12.1±11.2 mg/dl (3.9–35.4 mg/dl)였으며, 초기 관절 천자액 검사상 평균 백혈구 수치는 71,472±51,667개/㎣ (32,400–203,904개/㎣), 평균 다형 백혈구 분율은 평균 91.1%±2.6% (86%–95%)였다. 진단 후 수술까지 소요된 시간은 평균 8.3±1.3시간(6–10시간)이었고, 평균 세척 기간은 8.2±3.2일(4–15일), 평균 재원 기간은 20.8±8.7일(9–37일)였다. 도말 및 배양 검사로 원인균은 동정되지 않았다. 결론: 화농성 슬관절염의 치료에서 국소 마취를 통한 삽입관 삽입과 세척술은 비교적 빠르고 간단한 방법으로 조기에 관절 내 삼출물을 제거하여 통증을 줄이고 반복적으로 세척할 수 있어 전신 또는 척수 마취의 위험성이 높은 환자에게 치료의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Purpose: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is an orthopedic emergency that requires early diagnosis and surgical treatmen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drain insertion and irrigation in the treatment of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under local anesthesia.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nine cases (eight patients) diagnosed with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from September 2017 to February 2020 and treated with drain insertion and irrigation under local anesthesia. After penetrating through the superolateral portal to the superomedial portal and inserting the drain, daily irrigation of approximately 3 L of normal saline was done. The following were investigated: age, sex, underlying disease, cause, degree of osteoarthritis, time from diagnosis to surgery, duration of hospitalization, duration of normalization of C-reactive protein, and smear and culture. Results: The initial white blood cell count of joint fluid was 71,472±51,667/㎣ (32,400–203,904/㎣), and polymorphic leukocytes were 91.1%±2.6% (86%–95%). The average time from diagnosis to surgery was 8.3±1.3 hours (6–10 hours), and the irrigation period was 8.2±3.2 days (4–15 days). The average length of hospitalization was 20.8±8.7 days (9–37 days). There was no reoperation or recurrence. Smear and culture tests were not identified. Conclusion: In the treatment of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the insertion of a drain tube and irrigation under local anesthesia is a relatively fast and simple method to reduce pain by repetitive draining of purulent joint fluid and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a risk of general or spinal anesthesia.

      • KCI등재

        하지의 국소 신경 차단술에서 Ropivacaine 농도(0.5%, 0.6%, vs. 0.75%)에 따른 효과 비교

        강동훈(Dong Hun Kang),강찬(Chan Kang),황득수(Deuk Soo Hwang),송재황(Jae Hwang Song),장민구(Min Gu J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3

        목적: 정형외과 영역에서 하지 수술의 국소 신경 차단술의 비중은 증가하고 있으나 주사제의 최적의 농도(concentration), 투여량(dose), 용량(volume)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ropivacaine의 농도에 따른 효과를 마취 시간, 수술 중, 수술 후 통증 및 환자의 만족도의 관점에서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서 초음파 유도 신경 차단술(대퇴 및 좌골 신경 동시 차단)하에 하지 수술 예정인 환자를 무작위적으로 3군으로 분류하였다: A군(0.5%, 44 ml), B군(0.6%, 30 ml), C군(0.75%, 30 ml). 신경 차단술을 시행한 시점부터 완전히 마취 효과가 발생하는 시간(완전 마취 시간)을 조사하였다. 시각통증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이용하여 수술 중(수술 시작 10분 후) 및 수술 후(수술 종료 6, 12시간 후) 통증 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수술 종료 12시간 후에 환자의 만족도(0-10)를 조사하였다. 동일 투여량 및 동일 용량하에서 마취제 농도에 따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A, B군을 각각 C군과 비교하였다. 결과: A, B, C 군별 환자수는 108, 118, 113명으로 환자 수, 나이, 성별, 수술 종류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세 군의 평균 완전 마취 시간은 78.5, 76.4, 58.6분이었다. 평균 수술 중 VAS 점수는 2.04, 0.62, 0.24였고, 평균 수술 후(6/12시간) VAS 점수는 2.41/4.08, 0.27/1.24, 0.38/1.54이었다. 환자의 만족도는 평균적으로 8.53, 9.38, 9.40이었다. C군과 비교했을 때, A군은 유의하게 긴 완전 마취 시간(p<0.05)과 높은 수술 중, 수술 후 VAS 점수를 보였고(모두 p<0.05), B군은 유의하게 긴 완전 마취 시간(p<0.05)을 보였으나 수술 중, 수술 후에 유의한 VAS 점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모두 p>0.05). A, B군 모두 C군과 통계적으로 유사한 만족도를 보였다(p>0.05, p>0.05). 모든 군에서 특별한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하지의 국소 신경 차단술 시, 동일 용량(30 ml)하에서 0.75%뿐만 아니라 0.6% ropivacaine도 안전하고 효과적인 농도의 약물이다. 다만 완전 마취 시간이 더 길다는 점을 고려해서 수술 시작 시간을 조율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re have only been a few studies on optimal usage of injection material in the regional nerve block for lower extremity oper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ropivacaine.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39 patients underwent lower extremity surgery under ultrasound-guided nerve block (combined femoral and sciatic nerve block) at a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rch 2016 and February 2017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Group A (0.5%, 44 ml), group B (0.6%, 30 ml), and group C (0.75%, 30 ml). The interval between nerve block procedure and onset of the complete anesthetic effect (complete anesthetic time) was investigated. The degrees of intraoperative pain, and postoperative pain were evaluated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Patient’s satisfaction (0–10)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efficacy in accordance with the concentration under the same dose and same volume, group A and B were compared with group C respectively. Results: There were 108, 118, and 113, in groups A, B, and C, respectively;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he number, age, sex, and type of operation (p>0.05). The mean complete anesthetic times were 78.5, 76.4, and 58.6 minutes, respectively. The mean intraoperative VAS scores were 2.04, 0.62, and 0.24; and the mean postoperative VAS scores (6 hours/12 hours) were 2.41/4.08, 0.27/1.24, and 0.38/1.54. The mean patient’s satisfactory scores were 8.53, 9.38, and 9.40, respectively. Compared with group C, group A showed significantly longer complete anesthetic time (p<0.05) and higher intra, postoperative VAS scores (all p<0.05). Group B showed longer complete anesthetic time (p<0.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intra, postoperative VAS scores (all p>0.05). Patient’s satisfactory scores in both group A and B were similar to group C (p>0.05, p>0.05). There were no specific adverse reactions in all groups. Conclusion: Ropivacaine 0.6% as well as 0.75% are safe and effective anesthetics under the same volume (30 ml) for regional nerve block of the lower extremity. However, taking into account of the longer complete anesthetic time, the operation start time must be adju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