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상승된 경악 반응에서의 내측 슬상핵의 역할

        김재일,김현택,김기석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4 No.1

        많은 이전 연구들은, 청시상의 일부인 내측 슬상핵의 손상이 청각 CS에 대한 조건화된 차별서맥반응, 동맥반응, 동결반응 등을 차단시킴을 보고하고, 내측 슬상핵이 청각 CS를 사용한 정서 조건화에 관여하는 신경구조물임을 밝혀왔다. 그러나, 내측 슬상핵에서 조건화 동안 MUA가 발달하고, 기억의 신경 생리학적 기제로 인정되고 있는 LTP가 일어나며, 해부학적으로 청각 CS와 전기쇼크 US를 모두 입력받는 등 단순한 출력 구조물이 아닌 가소성의 장소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실험 1은 상승된 경악반응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내측 슬상핵을 전해질 손상시켰을 때에도 조건화된 정서반응인 상승된 경악반응이 일어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청각 CS와 발바닥 전기쇼크 US를 짝지워 제시하는 조건화시행을 이틀에 걸쳐 실시한 후 내측 슬상핵을 전해질 손상받은 집단은, 모의 손상 집단이나 무처치 집단에 비해서, 차후의 검사시행때 경악반응의 상승률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실험 2는 내측 슬상핵이 정서 조건화에 있어서 단순한 회로의 일부가 아닌 가소성의 장소임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는데, 조건화 시행전과 검사시행전에 LTP를 차단하는 NMDA 수용기 길항제인 AP-5 혹은 saline을 쥐의 내측 슬살핵에 주입하였다. 실험결과 조건화전 AP-5 주입된 집단(AP-5/AP-5 집단, AP-5/saline 집단)은 조건화전 saline이 주입된 집단(saline/saline 집단, saline/AP-5 집단)에 비해서 경악반응의 상승률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내측 슬상핵이 청각 CS를 사용한 정서 조건화에서 가소성 구조물임을 시사한다. In many previous studies, it has been reported that lesions of the medial geniculate nucleus (MGN) which is the part of acoustic thalmaus blocked conditioned emotional response, such as differential bradycardiac response, blood pressure, and freezing response. So, it has been suggested that MGN is a neural structure that is involved in conditioned emotional responses. But, considering MUA and LTP are developed in MGN during conditioning and MGN receives convergent acoustic CS and electrical US input, it may be regarded that MGN is a structure of plasticity, not simply a neural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was to indentify the roles of MGN whin the neural circuit involved in fear when it used fear-potentiated startle response as a measure of fear. In experiment 1, after the conditioning that paired acoustc CS with electrical shock US, electrolytic bilateral lesions were administered to the MGN. Results were that the unoperated group and the sham surgery group showed fear-potentiated startle response, but on the other hand the lesioned group did not. In experiment 2, AP-5, which blocks LTP as a NMDA receptor antagonist, was microinjected to MGN before conditioning trials and test trial. Results revealed that the animals which AP-5 was microinjected before conditioning trials did not show potentiated startle response, but the animal which AP-5 was microinjected before test trial did. These observations consist with previous reports that NMDA receptor antagonist blocked acquisition not performance of learning. So it can be concluded that these findings indicate MGN is a structure of neural plasticity as well as a neural structure in emotion conditioning using acoustic CS and electrical shock US.

      • 고정식 초점형 SPECT에 있어, 선예도와 감도의 공간 균일성에 대한 평가

        김재일,임정진,조성욱,노경운,Kim, Jaeil,Lim, Jeongjin,Cho, Seongwook,Noh, Kyeongwoon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9 핵의학 기술 Vol.23 No.1

        Capillary tube 10개를 $^{99m}Tc$로 채워서 고정식-초점형 SPECT와 회전식-평형 SPECT 장비를 이용하여 선예도와 감도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출-조사야 내에서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균일도를 나타내는 변동계수를 평가하였다. 고정식-초점형 SPECT의 선예도 균일도와 감도 균일도는 회전식-평형 SPECT 에 비해 각각 68%, 110% 높게 평가되었다. Purpose At now, there are many kind of dedicated heart SPECT machine in clinical nuclear medicine. Among those, the fixed focusing type SPECT can make a good quality, quantity image because a detectors of this SPECT arranged forward a special ROI and didn't rotate around of body. So, in this paper, we will evaluate a spatial uniformity about resolution and sensitivity at a same plane of a fixed focusing type SPECT. Materials and Methods We used D-SPECT as a fixed focusing type SPECT and Cario MD as a rotated parallel type SPECT to comparing each other. We injected $^{99m}Tc(14.8MBq/1cc)$ to 10 capillary tube (diameter=1mm), and we set those line sources a tfield of view of each SPECT. And then we acquired SPECT date, we applied are construction by recommended methods. By using two tomography images, we calculated a full width of half maximum as a resolution and total counts as a sensitivity, and we compared a CV (coefficientofvariation) values between two images as a spatial uniformity. Results In case of D-SPECT, a CV of resolution and sensitivity are 7.45%, 12.34%. In case of Cario MD, an CV of resolution and sensitivity are 12.49%, 21.84% Conclusion As a results, CV of resolution and sensitivity of a fixed focusing type SPECT is 67.75%, 77.00% higher than ones of a rotated parallel type SPECT. It means that a fixed focusing type SPECT is more uniformed, because this new SPECT can reduce a motion blur artifact by rotating detector around body, also all of detector that made by semiconductor arrange forward a special FOV like heart.

      • Gamma Camera에 있어 측면 선란선의 영향에 대한 평가

        김재일,이은별,조성욱,노경운,강건욱,Kim, Jae-Il,Lee, Eun-Byeol,Cho, Seong-Wook,Noh, Kyeong-Woon,Kang, Keon-Wook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8 핵의학 기술 Vol.22 No.1

        검출기 외부에 강한 선원은 collimator와 상호 작용으로 산란선이 만들어지게 되는데, 그 산란선이 영상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SKY LITE를 사용하여, phantom study의 경우, $^{99m}Tc$ 1.11 GBq를 점선원으로 만들어 검출기 주변을 $10^{\circ}$ 간격으로 돌아가면서 측정하여 각 각도에서의 산란선의 정도를 계수율과 스펙트럼으로 분석을 하였다. Patient study의 경우, 3-phase bone scan을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blood flow와 blood pool 영상을 획득하면서 산란선의 양과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추가로 blood pool 검사 시, 환자의 손위에 납가운을 올려놓고 영상을 획득하였고, 환자의 몸에 납가운을 입히고 영상을 획득하여 각 영상에서의 산란선과 스펙트럼을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phantom study의 경우, 후방에서는 산란선의 없었지만, 측면부터 전방 $50^{\circ}$ 까지는 산란선이 많이 검출 되었다. patient study의 경우 blood flow 영상과 blood pool 영상에서 환자 몸에서 나온 감마선으로 인해 생긴 산란선이 입사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납가운은 손 위를 차폐하는것 보다, 환자 몸을 차폐 하는 것이 산란선이 많이 줄었다. 그러므로 외부에 강한 선원이 존재하고, hand blood flow, blood pool 검사처럼 계수 자체가 낮을 검사를 할 경우, 몸에서 나오는 선원 자체를 차폐하는 것이 산란선을 줄이는데 보다 효과가 있으며, 영상에서도 배후 방사선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Generally, a collimator that installed in front of detector set a direction of gamma ray and remove a scatter ray. By the way, a lateral or oblique scatter ray is detected into crystal through collimator. At this study, we will evaluate a mount of count and spectrums of lateral scatter ray. Materials and Methods We used the SKY LITE (philips, netherlands) as a gamma camera, and $^{99m}Tc$, 1.11 GBq point source as a phantom. we put this point source at backside 50 cm of detector. After acquiring this for 1 min, we turned a detector next 10 degrees. Likely this, we acquired images at every 10 degrees from $0^{\circ}$ to $360^{\circ}$, analyzed images and spectrums. In case of patient study, we choose a 3 phase bone scan patient who had a hand disease, because scatter rays from body would detect on crystal. After acquiring blood flow and blood pool images, we analyzed images and spectrums. Additional, we put a lead gown on patient's hand, body. And then we compared and evaluated 3 type blood pool images (non lead gown, lead gown on a hand and on body). Results In case of phantom study, scatter ray counts at backside ($270^{\circ}-90^{\circ}$) are same with a background count. By the way, counts of scatter ray of oblique side ($0^{\circ}-50^{\circ}$, $220^{\circ}-270^{\circ}$) are 100-600 cps, furthermore, counts at frontside are over 4 Mcps. In case of patient study, a counts of hand blood pool scan are 1510 cps. But counts of hand with lead gown on hands and on body are each 1554 cps, 1299 cps. Conclusion Therefore, even though there is a collimator in front of detector, lateral scatter rays detect on crystal and affect to images and spectrums. Especially, if there is a high activity source at outside of detector when we examine low activity organs like hands or foot, we have to shield and remove the source at outside for a good image.

      • HEVC Test Model의 변환 부호화 기술

        김재일,김문철 대한전자공학회 2011 전자공학회지 Vol.38 No.8

        ISO/IEC와 ITU의 비디오 압축 공동협력팀(Joint Collaborative Team on Video Coding - JCTVC)은 차세대 비디오 압축 표준인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를 표준화 중이다. JCTVC에서 제안된 핵심기술들 중 하나인 변환 기술은 크게 핵심 변환 커널 설계 기술과 선택적 변환 기술로 나누어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변환 방법과 관련된 채택된 기술들을 설명하고, 현재 진행 중인 변환관련 표준화 참여 기술들을 소개한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The Determination of Gold in Assay Process by Thermal Neutron Activation Analysis

        김재일,김종국,장원표,J.I. Kim,Chong Kuk Kim,W.P. Chang Korean Chemical Society 1963 대한화학회지 Vol.7 No.2

        시금공정의 시료중의 금의 정성 및 정량을 열중성자에 의한 방사화분석으로 조사하였다. 회수률은 81.0∼93.6%이고 결과는 재현성이 좋았다. 정양적 결과는 ${\gamma}$-Spectrometric photopeak-area counting으로 얻었으며 속중성자반응으로 인한 간섭은 무시할 수 있었다. 12 samples from an assay process chain were submitted to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neutron activation analysis for the determination of gold. Gold was detected and quantitatively determined in three samples after a chemical separation consisting of solvent extraction and precipitation steps. Recoveries ranged between 81.0 and 93.6% and results of duplicated determinations were reproducible. Quantitative data were obtained from gamma-spectrometric photopeak-area counting. Interference from fast neutron reactions was negligible.

      • KCI등재

        Artificial intelligence in breast ultrasonography

        김재일,김혜정,김찬호,김원화 대한초음파의학회 2021 ULTRASONOGRAPHY Vol.40 No.2

        Although breast ultrasonography is the mainstay modality for differentiating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breast masses, it has intrinsic problems with false positives and substantial interobserver variability. Artificial intelligence (AI), particularly with deep learning models, is expected to improve workflow efficiency and serve as a second opinion. AI is highly useful for performing three main clinical tasks in breast ultrasonography: detection (localization/ segmentation), differential diagnosis (classification), and prognostication (prediction). This article provides a current overview of AI applications in breast ultrasonography, with a discussion of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in the development of AI models and an up-to-date literature review of potential clinical applications.

      • 고종횡비 미세패턴 장비기술 개발을 위한 고속 정밀 위치 제어 스테이지 설계

        김재일,차동혁,전승원,이태영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1 제어로봇시스템학회 국내학술대회 논문집 Vol.2011 No.5

        TV를 비롯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속적인 대형화 및 고성능화 추세에 따라 작은 영역 안에 갈수록 더 많은 부품들이 실장되어야하며, 이를 위해서는 고종횡비와 미세패턴을 가지는 부품의 조립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종횡비 미세패턴을 가지는 부품의 조립이 가능한 플립 칩 본더의 개발을 위해 고속 정밀 위치 제어가 가능한 스테이지를 설계하고 다수의 모터, 드라이버 및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이를 제어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