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숙자쉼터 입소자들의 입소 기간별 특성 및 입소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허준수 서울대학교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02 사회복지연구 Vol.19 No.-

        IMF 경제외환위기로 노숙자 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의 하나로 부각되었다. 경제외환위기 이전의 노숙자의 숫자는 400명에 지나지 않았으나 경제외환위기 이후로 노숙자의 숫자는 5000명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의 정부의 노숙자대책의 핵심은 노숙자들의 진정한 재활과 자립보다는 단지 노숙자들을 거리에서 노숙자 쉼터에 입소시키는 것이 전부였다. 이 때문에 탈노숙보다는 노숙자쉼터에 장기적으로 체류하고 쉼터를 전전하는 문제들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노숙자쉼터 입소자들의 입소기간별 특성 및 입소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노숙자쉼터에 거주하고 있는 입소자들 중에서 327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내용들은 사회 인구학적 변수, 건강실태, 쉼터환경 및 생활, 재활프로그램의 참여도와 선호도, 서비스 욕구, 퇴소 계획, 자립 계획, 사회적 관계, 자아 존중감, 무망감 및 입소 기간 등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의 신체적인 건강과 정신적 건강상태를 조사해 본 결과 심각한 수준에 놓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그들이 생활하고 있는 쉼터 환경과 생활에 대하여 불만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노숙자 쉼터에서 제공되는 재활프로그램의 참여도와 선호도는 입소 기간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응답자들의 사회 인구학적인 변인들에 따라서 입소 기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연령, 교육수준, 입소전 소득, 신체적 건강 및 정신적 건강 등이 입소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노숙자쉼터의 입소 기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연령, 육체적 건강상태, 입소전 월 소득, 총 저축액, 자립계획 유무, 재활프로그램참여유무, 사회적 관계 및 자아 존중감 등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노숙자쉼터를 단순히 의식주를 제공에서 탈피하여 입소기간을 고려한 재활 및 자립지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쉼터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체계적인 점검과 종합적인 대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Since IMF economic crisis of 1997, the problem of the homelessness was intensified in Korea. The homeless population was very few, and the majority of homeless people were mostly vagrant before IMF economic crisis. However, lots of low income unemployed persons were faced with the problem of homelessness after the IMF economic crisis. The Korean government tried to develop various policies and services for the homeless since the end of 1997. Even if many homeless persons were placed into the homeless shelters, there was no extensive study on the duration of shelter residency of the homeless shelter residents. 327 respondents from homeless shelter were interviewed. The major questions are regarding to socio-economic variables, shelter's environments, rehabilitation programs, future plan, social relationship, self-esteem, hopelessness, and the duration of shelter residency. This study explored the living situations and the duration of shelter residency among the homeless shelter residents.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were in serous physical and mental health conditions. Second, the most of respondents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homeless shelters' physical and living environments. Thir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ir participations and preferences on rehabilitation programs depending on the duration of shelter residency. Fourth, age, education, income before homeless, physical health status, and mental health status were related to the duration of shelter residency. Fifth, age, income before homeless, saving, planning for the independent living, present savings, participation of rehabilitation programs, social relationship, and self-esteem were major determinant factors that influenced on the duration of shelter residency. Finally,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more individualized social services and rehabilitation programs for the homeless shelter residents based on their needs and the duration of shelter residency.

      • KCI등재

        여성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개선방안: 피해여성의 시설 이용 경험을 중심으로

        이인선,김보화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4 사회복지연구 Vol.55 No.1

        본 연구는 여성폭력 피해자 보호시설을 이용한 피해여성의 경험을 바탕으로 보호시설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위해 보호시설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가정폭력, 성폭력, 성매매 피해여성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 분석결과, 보호시설은 피해자에게 매우 중요한 지원체계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낯선 사람들과 공동생활의 어려움, 개인 차이와 자율성을존중하지 않는 시설 규칙, 너무 많은 프로그램과 의무적인 참여, 경제활동의 제한 등이 피해자가 보호시설에서 생활하기를 꺼리는가장 큰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보호시설을 퇴소하면서 피해자들은 갑자기 자원과 지지체계와 단절되는 경험을 하고 있었으며, 퇴소 후 자립적인 생활을 위한 준비가 부족했다고 느끼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설 환경 개선 방안, 비공개 자율적인 시설모델, 퇴소자 지원 확대 방안, 프로그램 운영 방식의 변화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improve shelters for women victims of violence based on women’s shelter experiences.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women victims of violence against women who had used shelters.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s confirmed that shelters are a very important support system for victims. However, the difficulty of living with strangers, rules that do not respect individual differences and autonomy, and too many programs and mandatory participation were identified as the main problems that made victims reluctant to live in shelters. In addition, upon leaving the shelter, victims were suddenly cut off from resources and support systems and felt unprepared for independent living after leaving the shelter. Based on the findings, recommendations include improving the housing environment, setting up shelters with autonomous rules, expanding support for those leaving shelters, and changing the way programs operate.

      • KCI등재후보

        산불진화대원용 방염텐트의 개발 및 성능비교

        노호성(Ho-seung Ro),박서원(Sewoon Park),이병두(Byung Doo Lee),권춘근(Chun Geun Kwon),박평규(Pyoung-Kyu Park),김로(Lu Jin) 한국위험물학회 2018 한국위험물학회지 Vol.5 No.2

        To develop of wildland fire fighter fire shelter, currently marketed domestic fire shelter and overseas fire shelter analyzed performance and compared performance of developed fire shelter. developed fire shelter is two type. one is basic fire shelter and the another type was light weight type fire shelter. primary focus was thermal protection performance of fire shelter. Thermal protection is RPP(Radiant Protective Performance) and TPP(Thermal Protective Performance). Thermal protection performance of domestic fire shelter, overseas fire shelter, and developed fire shelter was assessed and compared in accordance with ISO 15025, ISO 9151, ISO 6942, ISO 17492, in additional test, ISO 13506 was carried out. ISO 13506 was burn predict test of protective cloth. The results showed that developed basic type of fire shelter was equivalent to overseas fire shelter and superior to domestic fire shelter. but light weight type of inferior to overseas fire shelter.

      • 경기도 택시 운수종사자 쉼터시설 개선방안

        송제룡,김현주 경기연구원 2021 정책연구 Vol.- No.-

        A number of 39,929 taxi drivers are working in Gyeonggi-Do. There are 27,174 taxi drivers, and 12,755 company taxi drivers for 37,787 taxis, which are composed of 27,174 private taxis and 10,613 company taxis. Most taxi drivers have usually been operating over 10 or 11 hours in their cars. They do not usually satisfied for their works because of the hard working environment. That is why they are suggested to visit taxi shelters to take a rest while working. In Gyeonggi-Do, the 14 number of taxi shelters are built with the financial support of Gyeonggi-Do and each city’s authorities. Taxi drivers would like to take a rest or exercise with various fitness facilities in the shelters whenever they visit taxi shelters.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for them to strengthen body physically because of the shortage of fitness facilities. Insufficient parking lots also make it difficult for taxis to access shel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facility service of taxi shelters, and increase the number of opportunities for taxi drivers to visit the shelters. Therefore, taxi shelters should be built with sufficient parking lots and the fitness facilities. Most taxi drivers also want that many taxi shelters should be built to reach easily in Gyeonggi-Do. A survey was conducted for 300 taxi drivers to analyze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problems on taxi shelter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axi drivers have been suffering a kind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appealing the deterioration of their health. Therefore, most taxi drivers would like to visit often the taxi shelters for managing their healths if possible. This study suggests that taxi shelters should furnish the fitness tools such as belt massage, running machine, bench press preferred by taxi drivers, and new shelter buildings should take more than 10 parking lots for easy parking according to the parking demand. The authorities related to the taxi shelters should also provide sufficient funds to shelter managers to install more fitness tool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axi shelters should be opened for 24 hours a day for people to use the facilities of shelters whenever they visit taxi shelters. The various regulation enacted by cities related to taxi shelters should be standardized for the efficient shelter management. Administrative process should be also simplified for the fast building proceeding of taxi shelters.

      • KCI등재

        위기청소년 보호시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서울소재 청소년 일시쉼터를 중심으로 -

        김나리,유영재,최은하 한국공안행정학회 2015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ty problems of residential care facilities for youths at risk and present efficient improvement measures against them. First, this study specified operational realities, trends, and problems of youth shelters through relevant literature research. In addition, through the research of interviewing experts currently working for youth shelters,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operational and functional problems that residential care facilities for youth are actually faced with and seek feasible improvement measures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Interview research was carried out to two employees working for fixed-type shelters located in Seoul on January 9 and 12, 2015. Problems with establishing and managing youth shelters included the shortage of shelters, the inequality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of operational expenses for each shelter, the management of improperly-run shelters, the inadequate maintenance of nationwide shelters, and the unestablished communication system for youths in shelters. As for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above problems, first, each of temporary, short-term, and middle-and-long-term shelters should restore their original functions. Besides, they should not be limited to a monolithic self-supporting program and instead be reformed into shelters which have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a variety of needs of youth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deem loopholes of welfare for youths over twenty years old by adjusting the self-reliance period of youths. Final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system of unifying and managing youth information, which embraces diverse management institutions for youths at risk. In particular, because runaway teenagers often move, it is difficult to trace them in certain regions or some institutions. In addition, currently institutions for managing youths at risk are sporadically divided rather than being integrated into o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collect and manage information under the supervision of a central department in full charge. In order to identify problems which take place in the actual management of shelters and reflect opinions of workers in shelters, the research of interviewing employees working for shelters was carried out. However, the research has limits in that survey targets were limited to employees working for temporary shelters located in Seoul and it could reflect views of youths using those shelters. 이 연구는 위기청소년 보호시설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다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연구를 통해 청소년쉼터의 운영 실태와 동향, 문제점을 정리하였으며, 현재 청소년쉼터에 재직 중인 전문가와의 면접조사를 통해 청소년 보호시설의 실제 운영 및 기능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실질적으로 현장에 반영 가능한 개선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청소년쉼터의 설치 및 운영상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으로는 쉼터 수의 부족, 쉼터별 운영경비의 빈부차이, 부실쉼터 운영문제, 전국적인 수준에서의 쉼터관리 미흡, 쉼터이용 청소년에 대한 정보전달 체계의 미확립 등이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일시-단기-중장기 쉼터가 각 유형별로 본래의 기능을 회복하고 단기-중장기 쉼터가 획일적인 자립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다양한 청소년의 니즈에 부합하는 특성을 가진 쉼터로 거듭나는 것이다. 둘째, 청소년 자립시기 조정을 통해 20세 이상의 청소년들에 대한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위기청소년 관리 기관을 통합적으로 아우르는 청소년 정보통합관리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특히 가출청소년의 경우 이동이 잦기 때문에 추적이 어렵고, 관련 기관이 산발적으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중앙의 전담부처에서 주관하여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쉼터 운영 현장에서 일어나는 문제점과 실무자들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실제 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으나 조사대상이 서울소재 일시쉼터 종사자로 한정되었다는 점과 쉼터 이용자인 청소년의 시각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 KCI등재

        위기청소년 보호시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유영재(Yoo Young Jae),김나리(Kim Na Ri),최은하(Choi Eun Ha) 한국공안행정학회 2015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4 No.4

        이 연구는 위기청소년 보호시설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다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연구를 통해 청소년쉼터의 운영 실태와 동향, 문제점을 정리하였으며, 현재 청소년쉼터에 재직 중인 전문가와의 면접조사를 통해 청소년 보호시설의 실제 운영 및 기능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실질적으로 현장에 반영 가능한 개선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청소년쉼터의 설치 및 운영상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으로는 쉼터 수의 부족, 쉼터별 운영경비의 빈부차이, 부실쉼터 운영문제, 전국적인 수준에서의 쉼터관리 미흡, 쉼터이용 청소년에 대한 정보전달 체계의 미확립 등이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일시-단기-중장기 쉼터가 각 유형별로 본래의 기능을 회복하고 단기-중장기 쉼터가 획일적인 자립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다양한 청소년의 니즈에 부합하는 특성을 가진 쉼터로 거듭나는 것이다. 둘째, 청소년 자립시기 조정을 통해 20세 이상의 청소년들에 대한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위기청소년 관리 기관을 통합적으로 아우르는 청소년 정보통합관리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특히 가출청소년의 경우 이동이 잦기 때문에 추적이 어렵고, 관련 기관이 산발적으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중앙의 전담부처에서 주관하여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ㆍ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쉼터 운영 현장에서 일어나는 문제점과 실무자들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실제 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으나 조사대상이 서울소재 일시쉼터 종사자로 한정되었다는 점과 쉼터 이용자인 청소년의 시각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ty problems of residential care facilities for youths at risk and present efficient improvement measures against them. First, this study specified operational realities, trends, and problems of youth shelters through relevant literature research. In addition, through the research of interviewing experts currently working for youth shelters,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operational and functional problems that residential care facilities for youth are actually faced with and seek feasible improvement measures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Interview research was carried out to two employees working for fixed-type shelters located in Seoul on January 9 and 12, 2015. Problems with establishing and managing youth shelters included the shortage of shelters, the inequality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of operational expenses for each shelter, the management of improperly-run shelters, the inadequate maintenance of nationwide shelters, and the unestablished communication system for youths in shelters. As for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above problems, first, each of temporary, short-term, and middle-and-long-term shelters should restore their original functions. Besides, they should not be limited to a monolithic self-supporting program and instead be reformed into shelters which have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a variety of needs of youth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deem loopholes of welfare for youths over twenty years old by adjusting the self-reliance period of youths. Final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system of unifying and managing youth information, which embraces diverse management institutions for youths at risk. In particular, because runaway teenagers often move, it is difficult to trace them in certain regions or some institutions. In addition, currently institutions for managing youths at risk are sporadically divided rather than being integrated into o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collect and manage information under the supervision of a central department in full charge. In order to identify problems which take place in the actual management of shelters and reflect opinions of workers in shelters, the research of interviewing employees working for shelters was carried out. However, the research has limits in that survey targets were limited to employees working for temporary shelters located in Seoul and it could reflect views of youths using those shelters.

      • KCI등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helters for Elderly Abuse Victims Using AHP

        Kum Ju Kwon,Hye Sun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8 Crisisonomy Vol.14 No.11

        본 연구는 법정시설로 제도화된 학대피해노인 전용쉼터의 모델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모델(안) 을 제안하기 위해 먼저 기존의 학대피해노인 전용쉼터의 운영규정 및 현황을 조사하고, 쉼터 방문과 종사자 인터뷰, 쉼터 17개소 전수 설문조사, 쉼터 입소 경험이 있는 노인들을 인터뷰한 자료를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새로운 모델에 대한 논의사항을 도출해 내었다. 이러 한 과정을 통해 쉼터 사례관리 참여 여부와 쉼터 운영의 독립성 여부라는 두 축으로 한 4개의 모델, ‘사례관리 중심의 독립형 쉼터’, ‘사례관리 중심의 위탁형 쉼터’, ‘보호 중심의 독립형 쉼터’, ‘보호 중심의 위탁형 쉼터’을 구상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4개의 모델 중 가장 적절한 모델을 제안하 기 위해 노인학대 관련 실무 및 연구에 경험이 있는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효과성, 효율성, 전문성, 실행가능성, 종합평가 측면에서 AHP기법을 통해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사례관리 중심의 위탁형 쉼터’ 모델이 가장 적합한 모델로 선정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present the most appropriate shelter model for the abused elderly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operation regulations and the status of shelters for the abused elderly in Korea. We analyzed the interviews of shelter staff as well as the elderly who had experiences with the shelters based on the qualitative and survey data from 17 shelters. We derived four models, including ‘Independent Shelter Based on Case Management’, ‘Consignment Shelter Based on Case Management’, ‘Independent Shelter Based on Caring’, and ‘Consignment Shelter Based on Caring’. Furthermore, in order to determine the most suitable model, we used the AHP technique to ask 15 experts who had worked or studied on the abused elderly to evaluate the four shelter models by effectiveness, efficiency, expertise, practicability, and overall. Finally, the ‘Consignment Shelter Based on Case Management’ model was selected as the most proper mode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a shelter for the abused elderly and structuring systematically the functions to be performed.

      • KCI등재

        미국에서의 법인용 택스 셸터 (corporate tax shelter)에 관한 연구

        이용우 한국세법학회 2009 조세법연구 Vol.15 No.2

        납세자라면 누구나 세금을 납부할 때 자신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돈이 빠져나간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기 마련이고, 특히 모든 생활영역에 걸쳐 과세관계가 형성되는 오늘날에 있어서는 일상의 작은 일을 결정할 때에도 세금이 얼마나 부과되는가를 고려하여 각자 수중에 남게 되는 세후이익을 극대화시키고자 노력하게 된다. 여러 거래형식 가운데 세부담이 많은 거래형식을 택하도록 납세자에게 의무를 과할 수 없는 이상, 세금을 줄이고자 하는 납세자의 이와 같은 노력은 원칙적으로 적법한 것이고, 국가는 납세자가 행한 거래의 효과를 그대로 받아들여 이를 기초로 세금을 부과하게 된다. 그러나 세금을 줄이려는 납세자의 시도가 때때로 부당한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납세자가 경제적 합리성이 없는 행위형식을 택하여 세부담을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조세회피행위로 인정되어 과세당국에 의해 그 조세법상의 효력이 부인될 수 있다. 납세자는 세법상의 흠결을 이용하거나 여러 세법규정들을 조합하여 입법자가 의도하지 아니한 조세법상의 효과를 도출하는 경우 과세당국은 이러한 조세회피행위의 효과를 배제하여 객관적으로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거래가 존재하는 것과 동일하게 세금을 부과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 미국에서 이러한 조세회피행위의 양상이 사뭇 달라지고 있다. 이전에는 납세자가 각자 자신이 처한 상황에 맞게 스스로 절세전략을 강구하여 이를 실행에 옮긴 반면, 오늘날에는 회계법인이나 로펌 등과 같은 세무전문가들을 동원하여 조세 설계행위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심지어 절세전략이 노골적으로 상품화되어 납세자들에게 판매되기까지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새로운 양상을 띤 조세회피행위를 널리 통틀어 택스 셸터(tax shelter)라 하고, 그중에서도 특히 법인을 대상으로 판매되는 것은 법인용 택스 셸터(corporate tax shelter)라 한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택스 셸터의 구체적 유형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물론이고, 그 개념조차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이를 놓고 택스 셸터에 대한 논의가 우리나라의 현실과는 무관하다고 쉽게 단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조세회피행위의 영역에 있어서 미국에서 구사된 조세전략을 응용한 조세회피행위가 우리나라에서도 얼마든지 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제발전과 함께 우리나라 기업들의 활동이 점차 다양화ㆍ국제화됨에 따라 택스 셸터가 등장할 여건이 미국과 마찬가지로 성숙되고 있고, 우리 세법에도 미국 세법에 못지않게 흠결사항이 적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 바로 이와 같은 관측을 뒷받침한다. 이러한 점에서 이 글은 미국에서의 법인용 택스 셸터에 관한 기초적인 사항을 소개함으로써 우리나라에 등장할 조세회피행위를 미리 조망해 본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택스 셸터의 개념과 함께 복잡하게 얽혀 있는 미국세법의 여러 규정들이 이러한 조세재정행위의 소재로 다각도로 유용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면서 미국의 택스 셸터는 “당기의 손금을 어떻게 과다계상할 것인가”의 관점보다는 “자산의 장부가액을 어떻게 과다계상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고 설계된다는 점을 상술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미국에서 실제 문제가 되었던 법인용 택스 셸터에 관한 한 가지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택스 셸터의 특징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택스 셸터의 구체적 태양은 너무나 다양한 관계로 택스 셸터의 사례를 망라하여 소개하는 것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지만, 자산의 장부가액을 과다계상하여 절세효과를 얻는 택스 셸터의 대표적인 예로 미국세법 제351조의 비과세 현물출자를 이용한 사례의 사실관계 및 조세법상의 효과를 설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택스 셸터 거래가 이루어지는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앞으로 새롭게 등장할 택스 셸터를 분석할 수 있는 기본 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axpayers have a negative perception that money will flow out of their pocket whether they want to pay tax or not. Today, in particular, when all areas of daily life are affected by tax, a taxpayer cannot but to try to maximize the bottom line by minimizing the amount of tax he or she has to pay. As long as a taxpayer is not obligated to choose a transaction method that will bring about the most tax, it is legal for a taxpayer to attempt to reduce the amount as much as possible. Government recognizes and considers this when levying tax. Sometimes, attempts to reduce tax become illegal. In particular, when a taxpayer reduces tax with an economically unreasonable means, it is regarded as tax avoidance. Then, the taxation authority can void the legality of the action. A taxpayer may use a loophole in tax law to avoid tax or combine several laws in order to make a favorable interpretation for himself though that might not be what the legislator might have intended. However, the taxation authority can prevent tax avoidance and levy fair and reasonable amount of tax on any given transaction. Recently, tax avoidance has begun to assume a new aspect. In the past, a taxpayer made his own avoidance strategy based on the specific situation, while today experts like accounting firms or law firms are consulted for a tax planning. Moreover, tax strategies have become commodities on the market for taxpayers. Such products are called “tax shelter";especially products sold to corporations are called “corporate tax shelter". Meanwhile, there is no meaningful study on specific types of tax shelter in Korea;even the concept is not clearly defined yet. We cannot say with confidence that the aforementioned cases in America will not happen in Korea. As we have witnessed repeatedly that an event taking place in a country spreads over the world in a matter of a minute, without a doubt, the tax strategies in America will find their way into Korea any time. This argument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economic activities of Korean companies have become diversified and globalize, making the circumstance for tax avoidance more ripe than ever before like in the US. Furthermore, Korean tax law has a lot of loopholes similar to those of America.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thoroughly discusses US corporate tax shelter and anticipates soon-to-come tax avoidance in Korea. The study scrutinizes the concept, history, and current state of tax shelter as well as basic method and principles thereof to get tax-saving effects. In particular, it explains that complexities in US tax regulations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for tax-saving effect. In addition, the study states that tax shelter in the US is designed with a focus on “how to drastically inflate the basis of assets", rather than “how to appreciate loss of current term". The basis of assets is used to reduce income by being included as loss, so that a taxpayer can save tax through a transaction that virtually appropriates basis of assets. Most of tax shelter induces a tax deferment or a non-taxable effect based on such manipulation of basis. This study explains the case using non-taxable investment in kind subject to the Internal Revenue Code section 351 and then analyzes the actual relationship and effects in the IRC of that case. It purposes to help understand the typical mechanism of tax shelter and to provide a basic frame enabling an analysis on tax shelter, which will soon appear in Korea.

      • KCI등재

        가출 청소년의 사회적응성 향상을 위한 쉼터 개선 및 가상현실(VR) 프로그램 활용 방안

        이윤수 ( Lee¸ Youn-soo ) 한국소년정책학회 2021 少年保護硏究 Vol.34 No.2

        This study has exploration of Virtual Reality Program element for adjustment resilience of review the readiness of independent living of runaway youths at the youth shelter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re haven’t been enough studies about the readiness for successful independent living of the runaway youth at those shelt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fact that the runaway youth have experienced youth misconduct for satisfying their needs and is to emphasis the necessity of youth shelter to protect the runaway youth for prevention of their misconduct and is to present the roles of youth shelter for the runaway youth misdeeds prevention and the right guidance through the facility extension of youth shelter the public relations and service improvement. Especially,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extent of the readiness of the runaway youth, the relevance with sub-variables and influencing factors for independent living at those mid & long-term shelters. community activities and supports from community showed all meaningful relevance to all self-management. this study have been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Focus group interview of 5 to Youths Shelter manager. Youths Shelters are operated according to three models building a systematic network among shelters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expertise are vital to the success of shelters. Shelters of each model type should be characteristically developed. This thesis shows that Viral Reality technique which make a per son be able to look, feel, hear and inter action in the computer generated situation can over come some of the difficulties inherent in the traditional treatment of phobias. Youths Shelter needed appreciated of the various establishment a peculiarity and they connectivity and exploration of Virtual Reality therapy, program, network for the improvement and synergy effect.

      • KCI등재

        현대미술에서의 쉘터(Shelter) 공간 연구

        고경호(Ko Kyung Ho),김정은(Kim Jeong E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조립식 건축 방식과 사물 인터넷 기술이 결합된 ‘스마트 쉘터’가 가까운 미래에 각광받는 주거 방식이 될 것이라는 예측을 전제로 하고, 예술의 차원에서 ‘쉘터’ 개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이를 위해 미국의 미술가 안드레아 지텔의 쉘터 작업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왜냐하면 지텔은 인간의 삶의 방식에 주된 관심을 두고 작업하는 작가이므로 그의 쉘터 작업은 인간의 거주 방식에 대한 고찰일 것이고, 지속적으로 제작된 쉘터 작업들은 일관된 맥락 하에서 어떤 의미를 공유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지텔의 쉘터 작업을 고찰한 결과, 본 연구는 지텔의 쉘터 작업이 일종의 마이크로 유토피아의 구현이라고 보았다. 이때 유토피아의 구현은 크게 세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졌는데, 그것은 첫째, 디자인 유형을 제시하는 유물론적 방식을 통한 자기 규제, 둘째, 가상공간을 설정하여 스스로를 고립시키기, 셋째, 제도의 틈을 발굴하여 임시 공간을 창출하기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작품 개념이 니꼴라 부리요의 관계미학과 관련성이 있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마이크로 유토피아의 구현은 관계미학 담론의 핵심 주제와 같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지텔과 부리요는 둘 다 예술 작품을 사회제도의 틈으로 여기는 공통된 관점을 가졌다. 이를 근거로 본고는 안드레아 지텔의 쉘터 작업에 있어서 관계미학적 특성을 구체화하려 했다. 그리고 쉘터라는 사물이 현대미술이라는 무대에서 하나의 작품으로서 등장했을 때 이를 통해 어떻게 공동체와 개개인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지는지 그 사례를 밝히고자 했다.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shelter” in art, premised on the forecast that the “smart shelter”, a combination between the methodology of prefabricated architecture and the Internet of Things, will soon become the popular way of housing. The paper focuses on American artist Andrea Zittel’s shelter works. The logic behind doing so was that as Zittel’s main interest lies in the ways of human life, her shelter works would be a contemplation of human living methodologies, and the constantly produced shelter works would share a certain meaning under a consistent context. Having examined Zittel’s shelter works for such reason, this study concludes that her shelter works are a realization of a sort of micro-utopia. The artist achieves this realization of utopia in three ways: self-regulation through a materialistic means of presenting a design pattern, self-isolation by designating a virtual space, and construction of temporary space by hunting the cracks of the system. Researchers of this study see this conclusion in relation to Relational aesthetics, which is an argument that has been developed by French art critic Nicolas Bourriaud. The reason of the connection between Zittel’s shelter works and Relational aesthetics is that ‘realization of a micro-utopia’ is also the key point of the Relational aesthetics. Furthermore, Zittel and Bourriaud have the same point of view about art, which is that ‘an art work exists as an interstice (or a crack) of the social system.’ Therefore researchers of this study try to make definite the elements of Relational aesthetics in the Zittel’s shelter works, and make specific how people consider community and individuals when a shelter comes into the contemporary art as an art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