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과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자경(Kim, Jakyoung),신보희(Shin, Bohee),장성욱(Jang, SungW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4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과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과 경상도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의 장애대학생 91명을 대상으로 장애수용, 대인관계능력, 대학생활적응 설문을 실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pearson 적률상관,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대인관계능력과 대학생활적응 수준은 보통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대학생의 장애 수용과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 하위영역 중 비교가치에서 내적가치로 전환이 학업적 적응에유의한 영향을, 장애의 부정적 효과 차단, 가치영역확대 순으로 사회적 적응에 유의 한 영향을, 장애의 부정적 효과 차단이 개인정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가치영역확대, 비교가치에서 내적가치로 전환 순으로 대학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장애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하위영역 중 처음관계맺기가 학업적 적응과 사회적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권리주장, 정서적지지 순으로 개인정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처음관계맺기, 정서적지지 순으로 대학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과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college adjustment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91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B city and K Provinces were surveyed their disability accepta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ollege adjustment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A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disability acceptance was low but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ollege adjustment were normal, and all three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disability accepta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re an important factor for college adjustment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 24시간 장애인활동지원체계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서해정 ( Suh Hae-jung ),김재근 ( Kim Jae-geun ),전지혜 ( Jeon Ji-hye ),서욱영 ( Seo Wook-young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5 장애인복지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24시간 장애인활동지원 사례를 분석하여 한국에 적용 가능한 토대를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문헌검토 및 일본을 직접 방문조사하여 최중증장애인 활동지원의 대상, 급여, 전달체계 그리고 재정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24시간 상시 활동지원 적용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장시간 활동지원이 필요한 대상자를 단순한 ‘요양이 필요한 환자’ 정도로 단정하지 말고 사회활동이 필요하면 실질적인 상시 활동지원이 필요한 대상자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상자 선정에 있어서는 장애인의 의료적 측면과 아울러 지역생활, 직업, 주간활동, 주보호자의 상황, 거주 환경 등을 고려하면서 장애인 당사자의 서비스 이용의향을 청취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현재 한국에서 이용률이 매우 낮은 ‘방문간호’ 급여의 개선이 필요하며, 최중증장애인의 욕구에 의한 전문적인 의료적 처치를 위한 급여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특히 루게릭병, 진행성 근디스트로피 등의 장애유형에 대한 대상자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활동보조인의 전문성 교육과정과 관리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전달체계는 기존의 국비사업과 동일하나 장시간 활동지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활동보조인 매칭, 이용자의 상황 등에 대한 각별한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며, 제공기관에서의 응급상황 대처에 대한 조치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최중증장애인에 대한 장시간 서비스를 위한 재정마련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부분이며, 지자체별로 심각한 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현행 지자체의 추가급여를 유인하는 방안을 마련하거나, 별도의 기금을 재원으로 확보하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n applicable foundation in Korea through analyzing the case of 24-hour assistance ser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Japan. By reviewing literatures and visiting research to Japan, we suggest about target population, payment system and delivery system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 to make several application plans for 24-hour personal assistance system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actual assistance needs to be distinguished between care and activity support. Second, with regard to selection of target people, medical aspec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environment, job, daytime activities and protector's situation should be considered with direct person's willingness to use. Third, payment for professional medical treatment based on the needs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should be supported, and 'visiting care' service that shows low utilization rate in Korea should be improved. Especially, there needs to be a series of education course and management system for activity assistants considering people with Lou Gerig's disease, progressive muscular dystrophy, etc. Fourth, though delivery system is identical to previous government funded service, extra precautions on activity assistants matching or user's situation are required and there needs to come up with emergency response at providing organizations. Last, public consensus is necessary in a sense of financing for a long track of time assistance service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To avoid serious deviation by local governments, the plan to attract additional payment or to obtain separate funds needs to be prepared.

      • KCI등재

        직장인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질적 지표 개발: 장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구체적 기준

        박승희,양여경,이현주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6 No.56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장애인복지법과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의해 요구되는 ‘직장인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의 향상을 위해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질적 지표’ (quality indicators)를 개발하는 것이다. ‘직장인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이 법제화된 것에 비해 질 높은 프로그램의 구성요건, 실행 실태조사, 정기적 점검 및 효과 평가에 대한 엄격한 연구는 미미한 경향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식개선 관련 문헌연구와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수정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질적 지표를 개발하였다. 델파이 조사지 문항은 연구자들의 선행문헌 분석 및 예비문항 작성과 전문가 협의를 통해 추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1차와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질적 지표가 4가지 하위영역의 25개 지표로 최종 개발되었다. 둘째, 최종 25개 질적 지표의 내용타당도 값(CVR 값)이 모두 0.73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수렴도는 0.00-0.50, 합의도는 0.77-1.00으로 전문가들 사이의 25개 질적 지표 내용에 대한 높은 타당도와 합의도가 도출되었다. 이는 국내에서 연구에 기초해 최초로 개발된 25개 질적 지표로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현재와 미래의 질 높은 장애인식개선교육의 개발, 선택 및 실시를 위해 최소한의 질적 기준과 지침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직장인의 장애인식개선교육을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가에 대해 전문가 패널로부터 최소한의 합의점을 처음으로 이끌어낸 의의가 있다. 이에 직장인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4가지 하위영역: ‘교육목표 및 기대효과’, ‘장애에 대한 관점’, ‘교육내용’, ‘교수방법 및 평가’의 25개 질적 지표에 기반해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최선의 실제(best practices)를 향한 프로그램 질 제고를 촉구할 것이 기대되며,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성과로 기대하는 장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란 과연 ‘무엇인지’ 구체적 기준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제시하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영역별 중요도에 대한 부모의 인식

        김두영,고등영 국립특수교육원 2016 특수교육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current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and establishing policies on lifelong progra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uture. For the purpose, a survey about the importance of perceptions o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was implemented with parents of peopl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could be major decision-makers(Kim & Park, 2013). For this survey 590 parents, living in Seoul were participated.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rder in the 6 broad areas’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ulture & art education,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liberal arts education, basic literacy education,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and academic ability supplement education respectively. Among 18 middle areas’ of the programs, the culture & art enjoyment program, the leisure sport program, the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the professional occupation education, the living knowledge program were appeared as high ranking orders. Seco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such as variables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The finding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parents such as gender, age level and academic career. As well as meaningful differences were appeared in the variables of children such as life-cycle, gender, age level, types of disabilities and ratings of disability. Finally the discussions about support plans and establishing policies on lifelong progra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addressed based on the results. 이 연구는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김두영, 박원희, 2013)에 따른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발달장애자녀의 주요 의사결정권자인 부모를 대상으로 조사․분석함으로써 향후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서울지역의 발달장애자녀를 둔 부모 590명이 응답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들이 인식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6개 대영역별 중요도는 문화예술교육, 직업능력향상교육, 인문교양교육, 기초문해교육, 시민참여교육, 학력보완교육의 순으로 나타났고,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18개 중영역별 중요도는 문화예술향유 프로그램, 여가스포츠 프로그램, 기초직업교육 프로그램, 전문직업교육 프로그램, 생활소양 프로그램 등이 상위순위를 나타냈다. 둘째, 부모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부모의 성별, 연령,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발달장애자녀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자녀의 생애주기, 성별, 연령, 장애유형 및 장애등급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방안에 대하여 몇 가지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애관련동화의 번역 양상 고찰

        김수연(Kim, Sooyoun) 한국통합교육학회 2021 통합교육연구 Vol.16 No.1

        이 연구는 서구권에서 쓰인 장애관련동화의 한국어 번역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2권의 초등학생용 장애관련동화를 대상으로 제목, 표지, 장애범주 설명, 그리고 원작 도서에 비해 번역서에서만 나타난 시각적 장치와 텍스트를 찾아내어 분석하였다. 제목의 번역 양상을 보면, 장애인 주인공의 이름은 생략한 채 누나, 동생 등의 관계 호칭으로 표기하고, 장애인임을 분명하게 알 수 있도록 장애 범주명을 추가하여 번역하는 창작 전략을 사용하였다. 표지의 경우 대부분 원작의 표지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그렇지 않은 번역서도 있었는데, 이 경우 장애인이 등장한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도록 창작하였다. 그리고 원작 도서에는 없는 시각적 장치인 문장 부호(……, - )를 삽입하여 장애아동의 말투를 어눌한 것처럼 표현하였다. 결론적으로 장애관련동화의 번역 과정에서 관련 종사자들의 장애인관이 드러날 수 밖에 없다는 점을 제시하였으며, 장애인식개선을 목적으로 출간되었지만 번역, 편집, 홍보 과정에서 관련인들의 장애인관에 따라 오히려 장애에 대한 고정관념이나 편견이 더 강화될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Korean translation of twelve children’s stories of disability written in the West.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analyzed their titles, covers, and disability diagnosis name, and compared the visual devices and texts that are only found in the translation to those in the original books. In the translation of the title, the disabled character was marked as someone s sister or brother without being directly revealed. In addition, the disability diagnosis name was added to make it clear that the main character is disabled. Most of the covers used the original cover, but some did not. In the latter, the cover was created to make it clear that disabled people appear in the books. Translated texts include visual devices such as ellipsis (……) or hyphen (-) that are not found in the original book. These visual devices were frequently used to express the speech of disabled people as if they were unable to speak clearly. In conclusion, the translation process of children s stories about disabilities revealed the disability perspective of those who work in the business. These translation books were publish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awareness of the disabled, but they may increase the dangers of further strengthening stereotypes and prejudices about the disabled.

      • KCI등재

        장애부모가족을 위한 지원 방안 연구

        김소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A Study on Support for Families with Disabled ParentsSojin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organize support measures for families of parents with disabilities. The researcher reviewed previous literature and analyzed interview dat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Exposing one’s situation, finding strengths, and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were necessary at the individual level. 2) Acceptance of children for parent’s disabilities,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parents, and recognition of family member’s efforts were necessary at the family level. 3) Legal basis for support, customized services for each family member’s life cycle, and efforts to change the social percep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necessary at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level. These results will be helpful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practice that is struggling to find a way to intervene in the family of parents with disabilities. Key Words: Disabled Parents, Disabled Parents Family, Disabled Family, Support for Disabled Damilies, Qualitative Research 장애부모가족을 위한 지원 방안 연구김 소 진** 요약: 본 연구는 장애부모가족에 대한 지원방안을 탐색하여 정리하는데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에 보고된 문헌과 인터뷰 자료를 검토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크게 세 차원으로 정리되었다. 첫째, 개인적 차원으로 보편성을 통한 자신의 상황노출, 강점찾기, 장애부모의 사회참여가 필요하며, 둘째, 가족적 차원으로 부모의 장애에 대한 수용, 부모상담 및 교육, 가족구성원의 노력을 인정하는 것, 셋째 사회・환경적 차원에서 이들 가족을 지원하기 위한 법적근거 마련을 비롯하여 가족생활주기별 맞춤형 서비스, 장애인식 변화를 위한 노력 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런 점에서 이 연구는 장애부모가족이 겪는 어려움에 사회적 공감이 있음에도 지원방법을 두고 고민하는 사회복지 실천현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핵심어: 장애부모, 장애부모가족, 장애가족, 장애가족지원, 질적연구 □ 접수일: 2022년 4월 26일, 수정일: 2022년 6월 4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이 논문은 2021년도 중부대학교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 ** 중부대학교 사회복지전공 조교수(Professor, Joongbu’s Univ., Email: sojinkim@joongbu.ac.kr)

      • KCI등재

        장애성인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역량

        권정숙,정여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The government has created a variety of disability support laws to suppor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various needs. In particular, Article 33 of the Special Education Ac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Lifelong Education Act」, Article 34 of the same Act stipulate support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addition, through the 4th comprehensive policy plan for the disabled (2013-2017), the main business content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are presented and the support is expanded.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it is trying to expand lifelong education suppor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various laws and system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Survey on the Statu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2014,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s 0.6%, which is lower than the survey result of 0.8% in 2011.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ow participation rate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s due to the lack of professionalism of the lifelong education specialist of the disabl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nhance the capacity of the social worker in the social welfare center for disabled people in order to revitalize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장애인구의 증가 및 다양한 욕구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장애인 지원법을 만들고, 특히 교육관련 법으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33조와 「평생교육법」, 동법 제34조에서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제4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2013-2017)을 통해 장애성인 평생교육의 주요 사업 내용을 제시하며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각종 법과 제도를 통해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확대를 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건복지부의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 경험은 전체 조사대상자의 0.6%정도로 이는 2011년 조사결과인 0.8% 보다 낮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장애인 평생교육 담당자의 전문성 부족으로 인해 사업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에 터하여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역량 제고를 통해 장애인 평생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장애인 가구의 재난적 의료비 결정요인

        서진숙 ( Seo Jin-suk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5 장애인복지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1차년도부터 6차년도까지 조사된 장애인고용패널을 활용하여 장애인 가구의 재난적 의료비 발생여부를 파악하고 재난적 의료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인 가구의 재난적 의료비 발생의 영향요인은 연령, 장애유형, 장애상태, 만성질환 유무, 현재 건강상태, 수급여부, 가구원수, 장애가구원수, 가구총소득, 가구주의 경제활동상태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구주의 연령이 많을수록, 만성질환이 있을수록, 장애가구원이 많을수록,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재난적 의료비가 발생하는 반면, 외부장애일수록, 장애상태가 고착되어 있을수록, 현재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수급자일수록,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가구주가 취업자일수록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 가구의 재난적 의료비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한다면 첫째, 건강보험에서 실시하는 생애전환기 건강검진의 대상연령을 낮추고 검진항목을 확대해야 한다.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40세 이전부터 체계적이고 정밀한 건강검진을 실시하여 장애로 변할 수 있는 질환을 초기에 발견하고 치료하여 장애로 고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만성질환 및 희귀난치성 질환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특히, 희귀난치성 질환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여 등록률을 높이고 지원액과 지원기간을 점차 확대하는 것도 재난적 의료비 발생을 방지하는 한 방법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factors of determination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for familie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employment panel of the disabled throughout the first to the sixth yea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ed. The influence factors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of families with disabilities are ages, the types of disabilities, the status of disabiliti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chronic diseases, current health conditions, whether recipients of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members of the household, disability family members, total household income, employment status of heads of the families. That is to say, the higher the age of the heads of the families, the more chronic disease of the household head, and the more disability family members, the more household incom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are occurred. On the other hand, the more physical disabilities, the more disability status is fixed, the better the current health status, the more beneficiaries, the more members of the household, and the families with more employed heads of the families, th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are less likely to occur. Therefore, I would like to make a couple of suggestions based on the study which would cut down on th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for families with disabilities. First, lowering the age of life turning point health checks carried out in health care should be expanded examinations items. Therefore, it is critical for the disabilities to carry out systematic and accurate health check-up from the age of 40-year-old and it so to be able to find the disease at an early stage and get proper treatments. Secondly, the support must be enlarged for chronic diseases and rare incurable diseases. In particular, to strengthen the promotion of a rare incurable diseases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rates of enrollment. And also gradually expand assistance benefits and support period would be one way to prevent a catastrophic medical expenses to occur.

      • KCI등재

        청각장애 및 비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경험과 비장애자녀를 위한 가족지원 요구 분석

        오혜정 ( Oh Hae-jeo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4

        이 연구는 청각장애자녀와 비장애자녀 어머니의 양육경험을 통한 어려움과 어머니가 생각하는 장애자녀와 비장애자녀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비장애자녀를 위한 가족지원의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청각장애자녀와 비장애자녀를 둔 어머니 3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분석을 통해 연구주제에 관련된 9개의 관련 범주가 도출되었다. 면담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에 참여한 어머니들은 청각장애자녀를 양육하는데 어려움이 큰 반면에 비장애자녀의 경우에는 양육의 어려움보다는 미안한 마음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이 인식하고 있는 청각장애자녀와 비장애 자녀의 관계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공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은 두 자녀를 동시에 양육하면서 비장애자녀에게 소홀할 수밖에 없는 안타까운 상황과 현실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 부모와 비장애자녀가 건강하게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받을수 있는 체계적인 가족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어머니들이 원하는 구체적인 가족지원의 유형은 비장애자녀의 심리 진단 및 상담지원과 비장애형제자매가 청각장애형제자매를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같은 상황에 처해있는 비장애형제자매들의 자조모임 프로그램, 그리고 장애인 돌보미 지원을 받아서 어머니가 비장애자녀와 함께 할 수 있는 가족 캠프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청각장애형제자매의 비장애형제자매와 부모들의 요구를 반영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도록 가족지원 정책의 확산에 대해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some difficulties the mothers rearing hearing-impaired and non hearing-impaired children are experiencing and how the mothers feel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children, and finally find the demand of family support for non hearing-impaired childre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ree mothers having hearing-impaired and non hearing-impaired children and nine categories related to the research subject were drawn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s showed that the mothers have more difficulties rearing hearing-impaired children and felt sorry rather than difficulty for non-disabled. As for the relationship the mothers recognize between hearing-impaired and non hearing-impaired , there ar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at the same time. The mothers confessed that they could not but to neglect the non hearing-impaired and this situation made them feel sorry for their children and they emphasized the need of systematic family support for the non hearing-impaired to cope with pitiful situations and practical problems wisely. As for the types of support, they suggested psychological diagnosis and counseling support for the non hearing-impaired, support program that non-disabled siblings can understand and accept hearing-impaired siblings positively, and family camp program that mothers can participate in with their non hearing-impaired children through the disabled care service support.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need of family support policies for non hearing-impaired siblings of hearing-impaired siblings and for their mothers was discussed.

      • KCI등재

        사회적 지지와 임파워먼트의 관계에서 장애정체감의 매개효과 연구

        이광원,정종화,장순욱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5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29

        장애인의 사회적 지지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장애정체감이란 변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장애인자립생활센터와 장애인종합복지관 이용자인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지지와 임파워먼트의 관계에 있어서 장애정체감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고, 사회적 지지를 가족 및 친척, 동료장애인 및 친구 그리고 사회복지사 등 전문가의 세 가지 제공원 별로 나눠서 분석해본 결과에서는, 동료장애인 및 친구의 사회적 지지가 임파워먼트와의 관계에 있어서 장애정체감의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장애인의 임파워먼트를 위해서는 장애정체감을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적 접근이 필요하다. 장애정체감의 완전매개효과로 인하여, 장애정체감을 고려하지 않은 채 사회적 지지만을 높이는 사회복지적 접근으로는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주기 어렵기 때문에, 임파워먼트를 위한 사회적 지지 향상 프로그램은 항상 매개요인인 장애정체감을 고려하여 기획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장애인 상담이나 원조방식에 있어서, 전문가의 상담이나 전문가의 원조보다도 동료상담이나 동료지원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proving the mediating effect of disability identity―a variable in this study―when assessing the impact that the social support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has on empowerment. For this study, the data collected from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are using an independent living center or a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is analyzed b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echniqu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proved that the perfect mediating effect of disability identity takes place i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empowerment.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nalyzes social suppor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ollowing 3 supporter groups: family and relatives; peers with disabilities or friends; and social workers. As a result, the social support from peers with disabilities or friends shows the perfect mediating effect of disability identity in the relation with empowerment. A social work approach that does not consider disability identity but only pursues social support could not affect empowerment. Thus, a program which is implemented to enhance the social support for empowerment should always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disability identity―a mediating factor in this study. Additionally, in terms of counseling and support, peer counseling and peer support should also be considered ahead of the counseling and support from expe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