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건계열 대학생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와 호스피스 인식

        이성화,강효정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2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와 호스피스 인식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연구이다. P광역시와 경상남도 2개 지역에 소재한 4개 대학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165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independent t-test, χ²-test,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계수를 통해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정도의 문항별 정답률은 ‘환자는 치료를 허락하거나 거절할 권리가 있다.’가 159명(96.4%)으로 가장 높았고,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정도의 전체적인 평균은 46.87±0.27점으로 가장 평균 점수가 높은 문항은 ‘나는 사전의사결정을 작성할 만큼 그렇게 아프지 않다’로 3.40±0.63점으로 나타났다. 호스피스 인식 정도의 전체적인 평균은 31.23±0.72점이며, 가장 평균점수가 높은 문항은 ‘호스피스는 질병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대상자들이 가능한 편안하게 살아 갈 수 있도록 지지하여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간호이다.’로 3.62±0.51점으로 나타났다. 졸업학년과 비졸업학년에 따른 호스피스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사전의향성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비교 결과, 호스피스는 질병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대상자들이 가능한 편안하게 살아 갈 수 있도록 지지하여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간호이다’(F=7.34, p=0.004)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전의료의향서 지식정도에서는 ‘사전의료의향서를 작성하려면 반드시 변호사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F=7.66, p=0.02)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전의료의향서 태도 정도는 모든 문항에서 졸업학년과 비졸업학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호스피스 간호를 포함한 의료가 확대되고 있는 만큼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사전의료의향서 지식 및 태도와 호스피스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를 위해서 관심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descriptiv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advance directives and the perception of hospice care among health-related university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65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in P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nam-do.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s, χ²-tests,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for reliability. The study found that the highest correct response rate (96.4%) for knowledge about advance directives was for the statement, 'Patients have the right to accept or refuse treatment.' The overall average score for attitudes towards advance a directive was 46.87±0.27, with the highest average score (3.40±0.63) for the item 'I am not sick enough to make an advance directive.' The overall average score for the perception of hospice was 31.23±0.72, with the highest average score (3.62±0.51) for 'Hospice nursing supports individuals in the final stages of illness to live as comfortably as possible, thereby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aduating and non-graduating students in the perception of hospice and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advance directives.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positive changes in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advance directives and perception of hospice care among health-related university students as medical education, including hospice nursing, expands.

      • KCI등재

        일 지역 성인의 호스피스 인식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관계

        박경란,장선희 대한통합의학회 2019 대한통합의학회지 Vol.7 No.4

        본 연구는 일 지역 성인의 호스피스 인식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C시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이 221명을 대상으로 2018년 7월 5일부터 7월 15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10명을 최종자료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호스피스 인식 정도는 4점 만점에 평균은 3.05점이었고,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9점 만점에 평균 7.49점이었으며,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4점 만점에 평균은 2.82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 인식 정도는 경제적 수준, 종교의 중요성, 호스피스에 대해 들어 봄,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해 들어 봄,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정도는 연령, 입원경험, 종교, 집안에 문제가 생겼을 때 최종 결정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결혼상태,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호스피스 인식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47, p<.001),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간에( =.20, p=.005)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호스피스 인식과 사전의료의향서 태도는 양적 상관이 있음이 확인되어 호스피스 인식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및 범국민적 공감대를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 This narrative research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hospice awareness and knowledge of and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5 to July 15, 2018 with 210 adults in ​​C city, Gyeongsangnam-do.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data analysis methods utilized were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 The degree of hospice awareness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hich were as follows: heard about economic level, importance of religion, heard of hospice, heard about advance directives, and intention to execute advance directives. The knowledge of advance directiv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y age, hospitalization experience, religion, and being the final decision maker for a family problem. The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differed significantly by marriage status and the intention to write an advance directives.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ce awareness and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showed a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r=.47, p<001).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of and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also indicated a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r=.20, p=.005). Conclusion :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to inform promotion of hospice awareness and an educational intervention about advance directives.

      • KCI등재

        지역사회 노인에게 적용한 사전의료의향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강보람(Kang Boram),현미열(Hyun Miye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사전의료의향서 교육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사전의료의향서 지식, 사전의사결정 효능감, 사전의사결정 의도,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J시의 지역사회 노인을 53명(실험군 26 명, 대조군 27명)을 편의추출하여 자료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t-test와 independent t-test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의료 의향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는 사전의료의향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사전의료의향서 지식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6.87, p<.001). 둘째, 사전의료의향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는 사전의료의향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사전의사결정 효능감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4.14, p<.001).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전의료의향서 교육 프로그램은 실험군의 사전의료의향서 지식 점수를 증가시키고, 사전의사결정 효능감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들을 대상으로 사전의료의향서 교육이라는 새로운 중재의 시도로 평가되며 향후 지역사회 에서 노인의 존엄한 죽음과 자기결정권 보장을 위한 간호중재로 활용된다면 간호실무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dvance directives education program for community dwelling elderly on advance directives knowledge, advance directives efficacy, advance directives intention and good death concept.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53 elderly(experimental group=26, control group=27) from J c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the education program for 2-week(4-session).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advance directives knowledge(t=6.87, p<.001), and advance directives efficacy(t=4.14, p<.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suggest the way for future research on advance directives education program, and it seems that this program can widely be used as one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임종의료결정 도움 경험 등에 관한 비교 연구 -노인요양병원과 장기요양 입소시설을 중심으로-

        한수연(Han, Soo-youn)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6 생명연구 Vol.42 No.-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과 장기요양 입소시설 사회복지 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임종의료결정 도움경험 등을 측정하고, 두 집단 간의 차이점을 분석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노인요양병원 사회복지사 104명, 장기요양 입 소시설 사회복지사 297명, 총 40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21을 사용하여 기술적 통계 방법인 평균, 표준편차,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 다. 또한 두 집단 간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과 임종의료 결정 도움경험 등의 평균 차이 검증, 사회복지사 개인 및 시설 변수에 따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의 평균 차이 검증을 위하여 T-Test 분석을 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중에서 의료지식 의 경우 노인요양병원(2.20±0.87)과 장기요양 입소시설 (2.26±0.91)간 서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를 보였다 (p〈0.05). 하지만 두 집단 간 통계적인 차이가 있음에도 불 구하고, 두 집단 모두 환자나 가족에게 사전연명의료의향 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정도의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 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회복지사의 도움경험에서 도 노인요양병원(1.80±0.30)과 장기요양 입소시설 (1.36±0.31)간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를 보였다(p〈0.001). 노인요양병원에서는 종교(p〈0.05), 교육경험(p〈0.001), 연 명의료 도움경험(p〈0.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도움경험 (p〈0.05), 근무규정이(p〈0.05)이 있다고 응답한 사회복지사 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이 높았으며, 장기요양 입소시 설에서는 교육경험(p〈0.001), 연명의료 도움경험(p〈0.05),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도움경험(p〈0.05)이 있는 사회복지사 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이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가 노인환자와 가족 에게 안전하고 정확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정보를 제공하 기 위하여 관련 교육을 강화하고, 표준 지침서를 개발하여 전문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제언하는 바이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a social worker s knowledge of advance life sustaining care directives and experience of aids in the process of end of life care decision making between geriatric hospital and long term care facility in South Korea. The study employed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of collecting data from 401 social workers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s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using SPSS 21.0 program. The find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p〈0.05) in their medical knowledge of advance life sustaining care directives between those who work at geriatric hospitals(2.20±0.87) and at long term care facilities(2.26±0.91). Even though the study found the statistic differences in their knowledge, their knowledge is not sufficient to provide secure service to elderly patients and their family in both setting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p〈0.001) in their experience to aid the end of life care decision making process between at geriatric hospital(1.80±0.30) and at long term care facilities(1.36±0.31). In geriatric hospital, the social workers level of knowledge significantly differed based on their religion(p〈0.05), education(p〈0.001), prior experience in assisting life 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making(p〈0.001), in giving information for advance life sustaining care directives(p〈0.05), and the existence of regulatory standards at an institution for end of life care decision making(p〈0.05). In long term care facility, the social workers level of knowledge significantly differed based on their education(p〈0.001), prior experience in assisting life 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making(p〈0.05), in giving information for advance life sustaining care directives(p〈0.05). This study proposed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workers knowledge in assisting elderly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in both setting, suggesting the higher requirement of education and the regulations to provide safe service for elderly patient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 KCI등재

        의료종사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정은,정미라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10

        본 연구는 의료종사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좋은 죽음 인식과 자아존중감이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Y시에 있는 3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종사자 292명을 대상으 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4월 2일부터 4월 23일까지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22.0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하였다. 다중 회귀 분석 결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여부, 사전의료 의향서 작성 시기, 좋은 죽음 인식이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23.5%(F=12.39, P=.000)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 로 의료종사자의 좋은 죽음 인식에 대한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올바른 태도확립을 위한 중재 프로그 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ealthcare workers'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recognition of good death, and self-esteem on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92 healthcare workers in the three general hospitals located Y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 to April 23, 2019 and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 22.0 program.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indicates the intention to awareness regarding advance directives, intention to execute advance directives, time to complete advance directives and recognition of good death predict 23.5% (F=12.39, P=.000) of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establish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by providing education on recognition of good death of healthcare workers.

      • KCI등재후보

        일개 상급종합병원 의료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비교

        박정아 ( Jeong A Park ),정덕유 ( Duk Yoo Jung )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Health & Nursing Vol.25 No.2

        본 연구는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의료인의 인식을 비교하고 파악하여 의료인에게 정확한 인식과 가치관 확립을 도울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 하고자 시도 되었다. 연구 결과 의료인의 대부분은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은 아직까지 낮으나 제도화에 대해서는 대부분 찬성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최근 보건복지부(2010)에서 발표한 사전의료의향서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서도 의사가 97%, 간호사 95%가 찬성하여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사전의료의향서는 서면에 의한 작성을 원칙으로 하지만 예외조항으로 본인 의사임을 증명할 수 있는 경우 구두에 의한 의사표시도 사실상 인정된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하지만 본 연구에서 간호사, 의사 전체 62.2%가 구두 사전의료의향서의 효력이 없다고 보고 된 것으로 보아 아직까지 의료인들이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이 명확하게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새롭게 변화되는 법률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간호사의 경력과 근무부서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인 본 연구 결과를 보았을 때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은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대부분의 정보를 경험을 통해 습득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연령이 높을수록, 경력이 많은 수간호사나 주임간호사가 경력이 낮은 일반 간호사보다 연명치료 중단 결정에 있어서 간호사의 적극적 역할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보인 것과 비슷한 결과이다(Byun, Choi, Choi, Hong, Kim, & Kim, 2003).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는 임종을 경험하지 않더라도 기본적으로 의료인이 갖추어야 하는 사전의료의향서와 관련된 의료윤리와 법제나 변화 되는 합의내용에 대한 지속적 습득을 통해 임종환자와 그 가족들의 상담자와 옹호자로서 주체적 역할을 완성하여야 할 것이며 의료적 의사결정 과정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전의료의향서의 의사결정자로는 전체적으로는 ‘환자와 가족이 같이 결정해야 한다’가 가장 많았다. 이 결과는 Sun 등(2009)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치료결정의 중심에 환자 스스로의 결정도 중요하지만 가족참여 형태의 의사결정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Lee(2012)는 환자와 가장 밀접한 관계에 있고 환자를 잘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가족에게 의학적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의료인은 환자의 자율성을 존중하면서 가족과의 의학적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합의점을 찾아내어 그에 따른 치료과정을 준수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의료인들은 편안한 죽음에 대한 협조를 구하는 생전유언장에 대해 대부분 찬성하였고 말기 상황 지속적 치료에 대해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말기 상황 심폐소생술에 대해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대 이유에 대해 ‘무의미한 생명연장을 원치 않아서’라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 선행 연구에서도 ‘환자가 살 가망이 없다는 것을 알고 모든 치료를 거부할 때 환자의 뜻을 받아들이는 것이 옳다’라는 항목에 대해 간호사 79.5%, 의사 79.2%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무의미한 생명연장에 대해 반대하는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Lee, 2007). 이것은 의료인은 환자를 가까이 돌보면서 그들의 고통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무의미한 치료로 인한 고통보다 자신의 결정에 따른 존엄한 죽음에 대한 선택에 대하여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생각된다.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문제는 의료현장에서 많은 갈등을 초래하고 있지만 생명윤리와 직결된 문제로 쉽게 논의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임종 단계에서 환자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품위 있는 죽음을 맞이하기 위하여 사전의료의향서의 활성화와 제도적 정착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또한 이를 위하여 의료인은 환자와 가족들이 선의의 선택을 도울 수 있도록 정확한 윤리적 가치관을 확립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pplied the baseline data in order to develop an ethical education program that can help the establishment of accurate perception and values for health care provider by comparing perceptions about advance directives of intent of doctors and nurses in one general hospital. Method: Data collection period of the study was from April 30, 2012 to May 25, 2012 and it targeted 94 doctors and 154 nurses who work in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Incheon, were asked about ADs, including Do-Not-Resuscitate (DNR), medical power of attorney, living will and medical options. Result: 77 nurses(53.1%) and 61 doctors(64.9%) were unfamiliar with the perception of the advance directeves, after explaining it, 141 nurses(97.9%) and 86 doctors(91.5%) agreed with advance directeves. The majority of the nurses and doctors were not clearly perception about the advanced directives. But nurses and doctors wish to receive comfortable and painless care. Conclusion: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n ethical education program for health care provider in order to establish an accurate recognition about the changing medical treatment ethics and legalization content.

      • KCI등재후보

        노인환자의 사전의료의향서 태도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기능과 자기효능감 요인

        김미혜,전제란,홍성애 중소기업융합학회 2016 융합정보논문지 Vol.6 No.4

        본 연구는 노인환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충남 소재 요양병원 5곳과 종합병원 1곳에 입원한 65세 이상의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 다.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2.84점으로 평균이상 수준, 가족기능은 2.73점으로 평균 이하의 수준이었으며, 자 기효능감은 3.45점으로 평균 이상의 수준이었다. 연구 결과, 가족기능이 좋을수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가 부 정적(r=.-.324, p<.01)이었으며, 자기효능감이 좋을수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r=.340, p<.01). 본 연구는 사전의료의향서가 국내에 정착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influential factors in determining the advance directive attitudes of elderly patients. Structured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 the residents of long-term-care facilities. As a result, the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were accounted having 2.84 points, the functions of a family with 2.73 points, and the level of self-efficacy with 3.45 points. Participants who have higher family functions were found to have negative attitudes toward self-efficacy,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were in the negative correlation (r =-.324, p<.01). However, participants who have higher self-efficacy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 advanced directives as the two variables were in the positive correlation (r =.340, p<.01).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ettlement of the AD in Korea.

      • KCI등재

        강원도 거주 성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

        홍정주,이미옥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5

        This study was attempted to know the awareness of Advance Directives of adults in Gandwon-do province. Data was surveyed from 60 adults in Gangwon-do province by 42 item questionnaire for the awareness of Advance Directives. Subcategories of Advanced Directives questionnaire were knowledge, preference, experience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Advance Directives. The data was analyzed with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using SPSS 24.0. 45% of Participants replied they knew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exactly. They preferred CPR 78.3%, mechanical ventilation 63.3% and blood transfusion 51.7% for their future special life-sustaining treatments. They did not preferred hemodialysis 8.3%, artificial respiration 6.7%, intensive care unit 6.7%, 8.3 percent of participants said that they well aware of Advance Directives. 86.6% of them hoped to write their Advance Directives. Despite such low awareness of the Advance Directives, the intention to write Advance Directives was high.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of Advance Directives was very important for the intention to prepare Advance Directives. Therefore, regional programs and education on Advance Directives and periodic survey study for awareness of Advance Directives should be continued. 본 연구는 강원도에 거주하는 성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을 알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자료는 강원도에 거주하는 성인 60명을 대상으로 42문항의 구성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연구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분석하였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인식의 설문지는 연명치료와 사전의료의향서의 지식, 경험, 선호도로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연구 참여자의 45%가 연명치료에 대해 정확이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연구 참여자가 선호하는 특수연명치료는 심폐소생술 78.3%, 기계 환기 63.3%, 수혈 51.7% 이었다. 연구 참여자가 피하고 싶어 하는 특수 연명치료는 신장투석 8.3%, 인공호흡6.7%, 중환자실 입원 6.7%로 나타났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해서는 8.3%만 인지하고 있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응답자의 86.6%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호의적이었다. 본 연구 참여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준비하겠다는 의도는 높았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 수준이 사전의료의향서작성의도에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역 프로그램과 교육과 주기적인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

      • KCI등재

        중년기 성인여성의 좋은 죽음 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권영은,김선영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4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8 No.2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여성의 좋은 죽음 인식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경기도 및 충청남도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64세 이하의 성 인여성 154명을 대상으로 2022년 5월 10일부터 8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좋은 죽음 인식 50.29±7.92점,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는 9.24±3.16점, 42.22±3.92점이었다. 중년기 성인여성의 좋 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r=.34, p<.01)과 태도(r=.42, p<.01)는 모두 양의 상관관 계를 나타냈으며, 좋은 죽음 인식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중년기 성인여성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를 19.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중년기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사전연명의료 의향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며, 좋은 죽음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제공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ood death awareness and knowledge of advance directives on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in middle-aged adult women. Data was collected from May 10 to August 30, 2022, for 154 adult women aged 40 to 64 living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nam-d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good death awareness was 50.29±7.92 points, knowledge and attitude for advance directives were 9.24±3.16 points and 42.22±3.92 points. Good death awareness of middle-aged adult women and the knowledge(r=.34, p<.01) and attitude(r=.42, p<.01) toward advance directives were both positively correlated, and Good death awareness and the knowledge of advance directives explained 19.1% of middle-aged adult women's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ategies are needed to improve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for middle-aged adult women, and the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o increase knowledge of good death and advance directives are required.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은,정미라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6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effect of knowledge on advance directive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in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16 nursing students in the two colleges located Jeonnam..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indicates the intention to execute advance directives, influence of religion in one`s life, knowledge of advance directives, gender, nursing professionalism, and time to complete advance directives predict 22.3%(F=10.009, p=.000) of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establish positive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by providing knowledge on advance directives and right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전라남도 2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 216부를 분석하였다. 다중 회귀분석 결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여부, 종교가 삶에 미치는 영향,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성별, 간호전문직관,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기로 이들의 설명력은 22.3%(F=10.009, P=.000)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올바른 간호전문직관을 제공함으로써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확립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