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수어와 미국수어의 비교문화학적 차이

        서중현 ( Joong Hyun Seo ),유은정 ( Eun Jung Yoo ),안성우 ( Seong Woo Ah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2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일종인 제스처 등이 나라마다 다른 이유를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문화적인 차이를 반영하기 때문이라는 학자들의 주장을 살펴보고,제스처 등에 비해 더욱 복잡한 언어체계를 갖춘 수어가 각 나라마다 다른 이유를 문화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특히 나라별로 문화 차이를 설명하는 준거를 바탕으로 문화적 차이가 한국과 미국의 수어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를 찾아보고자 했다.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수어단어 중에 같은 뜻을 나타내지만,다른 수어동작으로 표현되는 단어를 5가지 유형으로 설명하였다.분석결과,미국과 한국의 수어 동작 차이는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등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인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수어가언어로서 문화적인 산물인 만큼 한국과 미국의 수어가 문화적 차이를 보인다는 것은 수어가 언어라는 측면에서 당연한 결과이지만,본 연구에서는 당연시 되는 수어의 문화적 차이를 처음으로 살펴본 연구로서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그러나 본 연구는 적은 수의 수어단어를 대상으로 한 점과 미국과 한국의 수어만으로 대상으로 하는 점 등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으므로 앞으로 연구과제는 여러 나라의 많은 수어를 대상으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Nonverbal communication includes gesture which meanings are different according to countries. A lot of study on inter-culture approach to investigate gesture differences among countries showed the differences were attributed to cultural differences of countries. Using the criteria for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gesture in the studies, the differences between American sign words and Korean sign words were analyzed. Results indicated that many sign words selected in this study reflected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su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mplicated sign language ha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rue language. However,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selecting few sign words and comparing the sign words of only two countries, America and Korea.

      • KCI등재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인도적 개입유형의 적용: 국제법상 접근을 중심으로

        홍성후,양승환 한국동북아학회 2011 한국동북아논총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to force the government of the North Korea which has no intent or capability on its human rights for itself, to improve human rights problems. First, this study focused on exploring meaning of means other than an existing compulsory intervention mainly fixed on the use of force. Second, the study also focused on analyzing types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that are able to force the government of the North Korea to have a will to solve its human rights problem on its own. On this process, the study considered three factors; problems of permission under the international law, coerciveness, inductive accessibility. There are five intervention types deducted from this study; military, political, economical, socio-cultural, institutional intervention. This study evaluates the utility of these humanitarian intervention types separately at a viewpoint of theory and reality, also mutually compares their applicability and order of priority by a method of comparison. In its final analysis, military intervention which replaces the notion of existing humanitarian intervention was assessed to be an approach that has the least applicability and an order of priority. This is because of two factors. One is a controversy over a permissible range under the international law ,and the other is that existing military force of the North Korea is dangerous level at a threatening conditions. This shows the limitation of intervention policy that military intervention should function as a last resort to North Korea. In a sense, besides the use of force, economical, institutional intervention and partially socio-cultural intervention were evaluated as useful humanitarian interventions. This evaluation shows that not only policy under the permission of the international law but also forcibleness and accessibility should be regarded as an important way of approaching to the problem of human rights in the North Korea at the same time. Also the category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includes various means without the use of force. So this study considers humanitarian intervention as an available way of approach to solve human rights problems in the North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인권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나 능력이 결여된 북한정권에 대하여, 이를 강제할 수 있는 ‘인도적 개입’의 유형들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중점은 첫째, 기존의 무력사용 위주로 국한된 강제개입보다 무력사용 이외의 수단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며, 둘째, 북한 인권문제에 대해 북한정권의 자발적인 해결의지를 강제할 수 있는 접근방법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연구과정에서 국제법상 허용문제, 강제성, 그리고 유도적 접근성 등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개입유형들은 군사적․정치적․경제적․사회문화적․제도적 개입 등 다섯 가지이다. 이러한 개입유형에 대하여 이론과 실제의 관점에서 개개의 유용성을 검토하고, 적용 가능성과 우선순위를 단순비교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인도적 개입 개념을 대신하는 군사적 개입은 이론과 실제 모두에서 적용성과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접근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제법상 허용범위에 대한 이견 그리고 북한의 실존 군사력이 위험수준이라는 변수들이 주요 이유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즉 군사적 개입은 최후의 수단으로서만 기능해야 한다는 한계를 보여 주는 것이다. 그러나 무력사용 이외의 수단인 경제적․제도적 개입, 그리고 일부지만 사회문화적 개입은 유용한 접근으로 평가하였다. 이는 북한 인권문제를 접근하는데 있어서 국제법상 허용을 준수하되, 강제성과 접근성을 모두 중시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인도적 개입의 범주를 무력사용 이외의 수단적 의미들을 포함한다면, 본 논문은 인도적 개입정책이 북한 인권문제 개선에 유용한 대안이라고 평가하였다.

      • KCI우수등재

        한국형 소비자 의사결정 연구를 위한 서설 (序說)

        하영원(Young-Won Ha) 한국경영학회 2017 經營學硏究 Vol.46 No.5

        This essay examines the feasibility of the Korean style consumer decision research. The author argues that cross-cultural research involving Korean consumers and non-Korean consumers needs to be conducted as a foundation for the Korean style consumer decision research. The author explored the meanings and necessity of the Korean style consumer decision research. As a result, the author came up with the conclusion that such research (1) needs to be able to contribute to solving problems confronted by Korean firms and society, (2) should be able to explain and predict Korean consumers’characteristic decision behaviors without sacrificing theoretical as well as empirical rigor, (3) should be able to obtain worldwide recognition. For such research to be feasible, it seems necessary to conduct preliminary cross-cultural studies that clar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onsumers’ decision behaviors and psych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them. With these things in mind, the author reviewed consumer decision making articles published either in Korean Management Review or in Korea Business Review during the period of 2011-2017. The articles either directly compares Korean consumers with non-Korean consumers or deals with issues that are likely to be interesting topics for crosscultural comparisons. The author also examines conceptual frameworks that can systematically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onsumers’decision behaviors. Based on these reviews and discussions, the author proposed a desirable research direction for laying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style consumer decision research.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비교문학을 활용한 현대시 교육 연구

        오지혜,윤여탁 한국어교육학회 2010 국어교육 Vol.0 No.131

        This study proposes the contents of Korean poetry teaching and an teaching method in the comparative literature approach in order to improve learners’ Korean language competenc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area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literature education has been discussed dividedly in the aspects of language education, culture educa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and recently it is dealt with in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In literature education, learning literary works in connection to their socio-cultural contexts such as history, politics and psychology, and through this, learners can understand not only literary works themselves but also the target culture and the world. And it is based on the view that literature is life or culture as well as an art. Contemporary comparative literature emphasizes common and different points between two or more countries’ literature, literature within the home country, and literature and its adjacent art areas. Comparative literature as a methodology of literary research can be take into account as one of teaching metho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poetry education through the comparative literature approach, learners understand literary works as Korean culture in a general or special context in the world. And also they learn universal sentiment throughout the world and the peculiarity of their own and Korean culture through comparison with their home country’s literary works and their socio-cultural contexts. That is, the learners feel the joy of literature through the universality of world literature, expand their perception of other cultures and world culture through the peculiarity of Korean literature, and furthermore, establish cultural identity.

      • KCI등재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비교문화적 접근: 의학적 의사결정을 중심으로

        이상목 ( Sang Mok Lee ) 한국의료윤리학회 2007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0 No.1

        The supremacy of individual consent and autonomy in resolving bioethical problems and medical decision making is increasingly being called into question in Eastern cultures, where long-standing customs and traditions often clash with the Western principles of autonomy, self-determination, and individual rights. In order to strengthen and promote medical ethics and bioethics in the East, a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ethical traditions of both civilizations is needed. This study goes some way toward fulfilling that need by providing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Eastern and Western bioethics and examining Confucian and Western moral perspectives on medical decision making.

      • KCI등재

        서비스회복에 관한 비교문화적 접근- 항공운송서비스를 중심으로 -

        문성현,김정만 한국관광학회 2008 관광학연구 Vol.32 No.3

        This study propo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ervice recovery on customer's satisfaction, re-purchase intention and positive word-of-mouth, and to examine cross-cultural differences which mainly focus on individualism- collectivism in air service industry.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followings:First, the perceived recovery performance of procedur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for service recovery significantly effects on customer's satisfaction. They also showe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the higher purchase intention, positive word-of-mouth.Second, in an examination of perceived recovery performance, satisfaction, behavior intentions between two cultural contexts, individual and collective consumer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cept three hypotheses.Third,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mpensation and explanation, apology. In case of explanation and apology, customer's perceived recovery performance, satisfaction, behavior intention is higher than that of economic compensation.

      • KCI등재
      • KCI등재

        ‘부모-자녀 동반자살’을 통해 살펴 본 동아시아 지역의 가족 관념

        이현정(Lee, Hyeon Ju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0 No.-

        본 논문은 소위 ‘부모-자녀 동반자살’이라고 불리는 자녀살해 후 부모자살이 동아시아의 유교주의적 가족 관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국, 중국, 일본 사회에 대한 비교문화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비교 작업은 관련 문헌과 신문자료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가족 관념과 연관된 정치적 경험, 사회경제적 조건, 가족 구조의 형태, 그리고 문화적 특성 등도 함께 고려되었다. 분석의 결과, 본 논문은 다음 세 가지의 결론을 제시한다. 첫째, 서로 다른 역사적ㆍ정치적 경험으로 인하여, 자녀살해 후 부모자살은 한국과 일본에서는 ‘가족동반자살’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중국 사회의 경우 타인에 대한 ‘살인’의 측면이 더 부각된다. 둘째, 한국과 일본에서 ‘가족동반자살’이 더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이유는, 일찍이 외부 사회로부터 독립적인 핵가족 제도를 확립해 온 두 나라에서 부모의 위기 상황은 곧바로 가족 전체의 존립 문제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반면, 핵가족 외부의 상호의존 관계를 지속적으로 활용 해 온 중국의 경우, 부모의 위기가 곧바로 자녀의 위기로 간주되지 않는다. 셋째, ‘부모-자녀 동반자살’ 현상은 무엇보다 제한적인 외부의 지원 속에서 남녀의 분리된 가족 내 성역할과 그러한 성역할에 기초한 정체성을 특별히 강조해 온 핵가족 구조와 이에 기초한 가족 관념의 위기를 드러내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ways in which the recent phenomenon of ‘parent-child suicide pacts’ is related to the family concepts in modern South Korea, particularly utilizing a comparative perspective with those in Japan and China. For this research, the existing studies and recent newspaper articles in these areas are reviewed. This paper proposes three findings. First, the traditional Confucius concepts of the family which emphasize the superior authority of the father and the child"s subordination have tended to continue in Japan and South Korea over the last millenium, while the social recognition of the child"s individuality has developed in China through its unique socialist experience. As a result, South Korea and Japan but China tend to regard a child murder followed by a parent"s suicide as a ‘familial suicide pact.’ Second, unlike China where extensive pseudo-familial social networks have often been utilized to solve an acute problem in the family, the institution of the nuclear family in Japan and South Korea since the early twenty century has made a parent"s crisis to be that of the whole family. Third, the frequent ‘parent-child suicide pacts" in South Korea suggest that the strong social ideology of the nuclear family, which urges the strict division of gender roles and the performative gender identities based on such roles, is no longer congruous with rapidly changing socioeconomic situations in recent decades.

      • KCI등재

        공유 텍스트를 통한 한국어교육의 한 방법

        김동환 ( Dong Hoan Kim ) 국어교육학회 2008 國語敎育學硏究 Vol.31 No.-

        이 논의는 일차적으로는 한국어교육에서 문학텍스트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논하는 맥락에 속하지만 넓게는 한국어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설계이기도 하다.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은 ``한국어생활 텍스트``, ``한국어문화 텍스트``, ``한국어예술 텍스트``라는 세 국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 본다. 그리고 이러한 국면들은 선택적인 것이 아니라 가능하면 단계성을 지니고 연계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 논의에서 전제로 삼고 있는 것은 학습자들이 이미 경험했을 법한 텍스트와 유사한 자질이나 요소를 지닌 텍스트 즉 공유 텍스트를 찾는 일이다. 학습자들이 교육이나 독서를 통해 모국어로 경험했을 텍스트와 견줄 수 있는 한국어텍스트가 있다면 학습효과가 매우 수월하고 생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기 때문이다. 공유 텍스트를 ``한국어생활 텍스트``라는 맥락에서 접근해 가는 일은 그것을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어휘, 문법 등의 기본적인 학습 활동의 자료로 삼는 것을 의미한다. 그 학습의 결과가 학습자의 한국어 생활을 이끌어줄 수 있으리라는 판단이다. ``한국어문화 텍스트``라는 맥락은 그것에 나타나는 한국어 사용원리와 같은 한국어문화를 학습하는 일과 그 자체를 향유대상으로 삼는 일의 두 가지를 아우르는 측면이다. ``한국어예술 텍스트``의 맥락은 한국어교육이 일상적 생활이나 문화 향유의 측면에서 나아가 한국어를 바탕으로 언어적 창조의 차원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학습자들을 위한 배려도 필요하다는 맥락이다. 이 논의에서 주목하고자 한 것은 텍스트에 대한 비교문화적인 접근의 생산성과 효용성이다. 지역적, 민족문화적 변이양상을 보이는 광포설화와 같은 텍스트를 통해 한국어문화 텍스트에 접근해가도록 한다면 수월성과 효용성이 높은 교육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낯선 문화에 대한 정서적인 거리감을 줄여줄 수 있다는 점은 한국어교육 설계 시 일차적으로 고려해야 할 문제가 아닌가 판단된다. 이에 대해서는 ``징검다리 문화``라는 방법적 개념을 통해 확장된 논의로 제시할 것이다. It will be desirable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utilizing a Literary Text to be accomplished on the three phase, treating a text as a Korean Language Culture text, a Korean Language Arts text, a Korean Language Living text. These phases are not selective, those are to be designed for a grade system In this article, the text means a co-experienced text by foreigner and korean teaching matter. The co-experienced text is very useful and productive matter for Language Education. Because the co-experienced text involves the properties and factors that is regarded as a already experienced objects in mother tongue of learner. Dealing with the co-experienced text as a Korean Language Living text means that teacher utilize it as a material of basic learning works, speaking, hearing, writing, reading, grammar, vocabulary. Dealing with the co-experienced text as a Korean Language Culture text means that teacher utilize it, as a material of using principle in korean language, and as a material for teaching of Korean culture. Dealing with the co-experienced text as a Korean Language Arts text means that teacher utilize it as a teaching media of creating literary works in Korean language by foreigner. In this article, the usefulness and productivity of approach based on the comparative cultural theory is also very importantly considered. In that respects, the co-experienced text shall be studied to the widening dimensions. This article will be connected with the methodological concept, ``stepping stones culture``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