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이현정 건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를 위해 10대 고등학생부터 50대의 모든 소비자 3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조사 하였다. 화장품 사용제품 수 조사 결과, 303명 중 44.6%가 1∼10가지, 24.1%가 20∼30가지 제품을 사용하였다. 연령별 10대∼20대는 1∼10가지, 30대는 11∼20가지를 사용하고 있었다(p<0.001). 화장품 유해성을 살펴본 결과, 유해성 우려에 57.1%가 의심을 보이고 방송프로그램 37.6%와 뉴스‧기사 25.4%를 통해 유해성에 문제의식을 불러일으킨 것으로 보였다. 천연, 유기농 화장품이 일반유통 화장품 보다 더 안전할 것이라고 생각을 한다. 화장품 유해성분 중 우려되는 성분의 1순위 항목은 파라벤류 38.6%, 옥시벤존=벤조페논 24.4%, 계면활성제 17.5%, 합성착색제 14.2%, 합성착향료 4.6%, 순으로 이혜진(2015)의 화장품 성분 인식이 제품 판매에 미치는 영향 연구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화장품 유해성 인식을 살펴본 결과, 대상자의 54.1%가 화장품 트러블 경험이 있으며 화장품 관심성분으로는 자외선차단 21.7%, 미백 성분 19.6%, 주름개선 성분 17,6%로 화장품 유해성분 보다는 기능성에 관심이 더 많은 것을 보여주었다. 화장품 유해성분에 대한 인식은 이해하기 어려운 전문 용어로 인식과 이해도가 윤수현(2014)의 화장품성분에 대한 인식 수준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같이 매우 낮았지만 10대의 경우 다른 연령층에 비해 관심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소비자의 알권리와 본인의 체질과 맞지 않는 성분으로 인한 부작용에 대한 원인규명을 위해 시행된 전성분표시제의 활성화를 높여 화장품 유해성으로부터 대처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이 무엇보다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o analyze consumers' perception of harmfulness of cosmetic product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340 consumers in their 30s to 50s.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total number of cosmetics in their use, the consumers who used 1 to 10 types of products accounted for 44.6% of 303 persons, and 24.1% were found to use 20 to 30 types of products. Regarding to the number of cosmetic products by sex, 42.9% of female consumers used 21 to 30 types of products, and 93.2% of male products 1 to 10 types of products. Regarding to the number of cosmetic products by age,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10s and those in their 20s used 1 to 10 types of cosmetic products, and those in their 20s with consumption power used 11 to 20 types of products, and therefore there was the most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harmfulness of cosmetic products, 57.1% were concerned about harmfulness, and 37.6% and 25.4% raised their awareness of harmfulness through TV programs, and through news and articles, respectively. They thought that natural and organic cosmetic products free of preservatives, flavor, and color are safer than generally distributed ones. Of the harmful ingredients of cosmetic products that they are concerned about, paraben accounted for 38.6%; oxybenzone-benzophenone 24.4%; surfactant 17.5%; synthetic dye stuff 14.2%; synthetic dye flavor 4.6%. The result was similar to that of the previous study (Lee Hye-jin, 2015). Consumers' perception of harmfulness of cosmetic products was analyzed. As a result, 54.1% experienced cosmetic trouble. Although they thought that the all ingredients display system is generally helpful, they had more interest in cosmetic functionality than cosmetic harmful ingredients. UV blocking accounted for 21.7%; whitening 19.6%; and wrinkle-care 17,6%. Their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cosmetic harmful ingredients were very low as shown in the previous study (Yoon Su-hyeon, 2014), because of the cosmetic terms hard to understand. Nevertheless,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10s were more interested in those in other age groups. Given that, it seems to be necessary to offer consumers' right to know to prevent any side effects caused by improper ingredients, to promote the all ingredients display system to find the causes of side effects quickly, and to provide continuous promotion and education to deal with cosmetic harmfulness.

      • 한방화장품 구매행동 요인

        김경미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의 자연주의 열풍이 사회 전반적으로 퍼지면서 자연성 원료를 이용한 화장품, 특히 한방약재추출물을 원료로 사용한 제품 등을 선호하는 방향으로 고급화, 개별화 되어가고 있다. 한방화장품은 화학·광물성 원료 보다는 천연 약재를 피부생리기능에 맞게 복합처방 하여 기와 혈의 흐름을 원활하게 촉진시켜 피부를 곱게 활성화시키므로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한방화장품 구매행동요인을 알아보고 소비자에게 한방화장품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고 다양한 소비자 욕구변화에 대한 화장품업계의 적절한 대응이 가능한 제품개발과 판촉 등 마케팅 전략에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부산시내와 양산, 울산, 경남 지역의 20-50대 여성 441명을 대상으로 2003년 4월 8일부터 4월 27일까지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도구는 일반적인 특성, 외모관심과 외모스트레스의 정도, 한방화장품 사용도, 한방화장품 구매행동 요인 등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관련문헌 고찰에 근거하여 연구자에 의해 작성되었다. 수집된 설문지는 빈도, 백분율, t-검정, ANOVA 등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 구매행동 특성에서 한방화장품 사용 유무에 대하여는 응답자의 60.1%가 사용경험이 있다 로, 37.6%가 없다 로 응답했다. 한방화장품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사용해본 경험이 없어서(37.2%), 잘 몰라서(23.7%), 가격이 비싸서(19.9%), 필요성이 없어서(7.1%), 잘 맞지 않아서(5.8%), 부작용이 우려되어서(4.5%) 순으로 나타났다. 한방화장품 구매행동 특성에서 구매동기는 친구나 친지의 권유로(27.16%), 판매인의 권유로(24.4%), 선물로 받아서(22.5%), 본인이 필요성을 느껴서(21.49%), 충동적으로(1.5%) 순으로 나타났다. 정보원은 미용강습회(39.0%), 친구·이웃·친척(17.84%)이 높게 나타났고 구입 장소는 방문판매가 63.8%로 월등히 높았다. 월 구입비용은 5-7만원이 25.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 구매량은 2-3개 46.0%, 4-6개가 23.2%로 나타났다. 한방화장품 제품별 사용 도는 로션(51.8%), 에센스(48.0%), 영양크림(47.0%), 화장수(46.8%), 아이크림(34.5%), (폼)크린싱(29.7%), 팩(28.3%)의 순이었다. 외모관련요인과 한방화장품 사용여부 관련성은 외모스트레스(F=1.557, 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외모관심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방화장품 사용경험이 있는 사람이 외모스트레스를 덜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속성 요인은 피부강화 중시 형, 적합성 중시 형, 미백기능 중시 형, 이미지 중시 형, 모공관리 · 슬림 기능 중시 형, 서비스 · 편의성 중시 형으로 나타났으며 한방화장품 사용여부 관련성은 유해환경 피부보호, 주름방지·개선, 눈·입가의 주름개선, 피부탄력강화 요인(F=4.494, p<0.05)과 기미 개선·완화, 잡티 개선·완화, 피부를 희고 깨끗하게 하는 요인(F=12.232, 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Recently, herbal cosmetics is being preferred, being influenced by 'a gale of naturalism' widespread in every part of life. Herbal cosmetics intends to keep one's skin vital, shiny, and healthy by using herbal plants adjusted well to the skin physiology function according to Chinese medicine. Herbal cosmetics has many advantages such as no side effects after a long period of using, its lasting effects, and overall skin caring effe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factors of women's purchasing behavior of herbal cosmetics, providing cosmetics companies with basic data that help them develop new products and construct marketing strategies. Data were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subjects were 441 female consumers in Busan, Ulsan, Yangsan and other areas in Kyoungnam Provi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general purchasing features, it showed that 60.5% of the subjects had used herbal cosmetics, while 37.6% of them had never used . 2. They didn't use herbal cosmetics, for the reasons they had never used herbal cosmetics before(37.2%), they didn't know much about herbal cosmetics(23.7%), herbal medicinal cosmetics was rather expensive(19.9%) comparing with other cosmetics. And some(7.0%) didn't need to use herbal cosmetics, while others(5.8%) were after using herbal cosmetics, etc. 3. About purchasing motives of herbal cosmetics, they purchased by their friends and relatives(27.16%), by cosmetics selling counselors(24.4%), by using herbal medicinal cosmetics given as a gift(22.5%), by their own needs(21.49%), by impulsive purchase(1.5%), in the right order. 4. The usage of herbal was of the decreased other(51.8%), essence (48%), moisturizing cream(47.0%), skin lotion(48.6%), eye cream (34.5%), cleansing products(29.7%), and skin pack products(28.3%). 5. About their interest rate of their appearances, 82.3% of the subjects were very interested in their appearances, and about their appearance stress rate, 68.2%of them responded they were under stress because of their appearances. The relation between appearance factors and the usage of herbal cosme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oth in factor1(F=4.494, p<0.05, skin strengthening type) and Factor 3(F= 12.232, p<0.05, whitening type). Our own herbal cosmetics are positively encouraged and are preferred by the consumers against foreign cosmetics. 'Herbal cosmetics new material development group will be constituted and 'national herbal development methods' are to be set and revision of herbal medicinal related new material test laws are to be made within this year. But explicit definitions and criteria of herbal medicinal cosmetics are not still ready, and there are many problems about herbal cosmetics, for example, lack of publicity and preconception of expensive cosmetics, etc. Therefore various to help cosmetics companies enlarge the specialized market of herbal cosmetics will be developed.

      • 化粧品 産業의 顧客 滿足 決定 要因에 대한 硏究

        김현정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흔히 오늘을 무한 경쟁의 시대라고 일컫는 데 이는 기업의 국적과 규모에 관계업싱 경쟁을 계속해야 한다는 뜻이다. 특히 최근 몇 년 기업은 열악한 경영 환경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어느 때보다 치열한 노력을 경주해야 했다. 이와 같은 환경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경쟁 상황에서 기업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고객을 중시하는 전사적인 마케팅적 경영 방식인 고객 만족 경영을 받아 들여야 한다. 경쟁이 치열해지고 기업의 경영 환경이 어려워 질수록 내 물건을 사주는 손님, 즉 고객의 중요성이 더 커지고, 고객을 만족시키며 지속적인 충성심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장 우월한 전략으로 평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고객 만족 경영과 그 성과로서 얻어지는 고객의 재구매는 안정적인 수익성의 확보와 기업의 사회적 반응이라는 측면 모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장기적이고 효과적인 경쟁력의 원천으로서의 고객 만족 경영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화장품 산업을 통하여, 고객 만족의 주결정 요인을 밝혀 국내 화장품 기업의 고객 만족 경영을 위한 품질/서비스 체계의 재설계 근거 및 기준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즉, 화장품 산업에 있어 고객 만족을 형성하는 요인이 무엇이며, 더불어 고객 만족은 반드시 고객들로 하여금 재이용, 구전 전파, 사용량 증대 등의 충성 고객으로 이어지는가도 함께 분석해 냄으로써 충성 고객의 확보를 위한 전략 수입에 필요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객 만족의 결정 요인을 품질, 판촉, 불만처리, 가격, 광고, 기업 이미지, 유통, 포장/외형의 8가지 요소로 나누어 측정하고, 각 요소별 고객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고객이 느끼는 화장품의 전반적인 만족도와 고객 반응(향후 구매 행동)간의 관계를 측적하기 위해 전반적인 만족도, 지속 사용 여부, 타인 추천 의도, 사용량 증대 여부 등 4개 항목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연구 조사로서 설문지를 이용하여 대상 고객은 화장품을 구입 사용하는 최종 소비자로서 조사일 현재 서울에 거주하는 20세 이상~50세 이상의 여성으로, 편의 표본 추출 방법을 통하여 고객 만족에 대한 설문 자료를 250부를 배포197부를 회수하였다. 그러나, 잘못 작성되었거나 분석에 사용하기 불가능한 설문지 23부는 제외하고 최종 분석에는 174명의 응답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이용한 통계 기법으로는 연구 변수 들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 분석을 통해 고객 만족의 구성 요인의 고객 만족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 만족도와 고객 반응 (사용량 증대, 재구매 지속, 타인 추천 정도) 간의 관계를 알아 보았다. 연구 내용별로는 다음과 같은 통계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표본으로 선정된 집단의 특성과 응답자의 특징을 정리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2) 각 항목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 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요인분석은 Principal Components 분석방법으로 하였으며, 회전방법은 직각회전인 Varimax retation을 실시하였다. 3) 요인분석된 측정변수에 대한 내적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분석은 Cronbach's Alpha값을 사용하였다. 4) 화장품 구입실태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5) 만족 결정요인과 만족도와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6) 만족도와 만족 후 행동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단계를 통해 분석한 자료의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제품 만족 결정요인에 대해서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품품질, 판촉, 포장/외형은 2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유통, 광고, 불만처리, 기업이미지는 1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추출된 요인의 신뢰도 분석 결과 Cronbach's Alpha가 6이상으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구입실태에 대한 분석 결과, 화장품 구입장소로는 일반 화장품 할인점이 가장 많았으며, 사용하던 화장품 브랜드를 재구입하여 사용하는 사람이 많았다. 그리고, 지금 브랜드를 구입한 이유에 대해서는 유행보다는 자신에게 맞는 화장품이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셋째, 고객 만족 결정 요인과 만족도의 회귀 분석 결과, 고객 만족 결정요인을 독립변수로 하나씩 투입하였을 때는 품질, 가격, 유통, 판촉, 광고, 포장/외형, 기업이미지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불만처리만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고객 만족 결정 요인을 모두 독립변인으로 투입하였을 때는 품질, 기업이미지는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고 있었으며, 할인정책(판촉)은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그 외의 변수들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았다. 넷째, 만족도와 만족 후 행동과의 분석 결과, 지속사용, 타인추천 의도, 사용량 증대 모두 만족도에 영향을 매우 많이 받고 있었으며, 만족도가 클수록 지속사용, 타인추천 의도, 사용량 증대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이상의 고객 만족 요인에 대한 연구 결론은 화장품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다소 지엽적인 결론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결론들이 보다 광범위하게 인정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제품에 적용시켜 특정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자료에 있어서 연구 표본은 화장품을 사용하는 서울 거주 총 174명을 대상으로 분석되었으나, 이러한 표본 수가 어느 정도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가 제시된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표본 대상의 수와 지역을 넓혀 고객의 만족도를 더 정확하게 측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What is the best strategy for company to survive in the serious economic situation in which is more and more intensified the competition among enterprises? Most of companies are thinking of this issue and seeking for a reasonable solution to survive in the current circumstances where the demands of consumers are increasingly diversified whilst on the other hand, the competition conditions are getting difficult. The customer satisfaction means the marketing oriented management method to operate enterprise activities to realize the customer satisfaction in all processes of management and to maximize customer satisfaction as preferential objective. However, the actual activities that enterprises effectuate in the real field to achieve Customer Satisfaction do not completely perform, and there could be many reasons. It is true, however, that many firms consider now days Customer Satisfaction as an essential factor which can lead the business to a profitability in long term, but most of them think also that it costs too much in reality to develop and implement diverse means related with Customer Satisfaction. Therefor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important reference to Korean cosmetics companies in regard to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the results obtained by empirical study which assumes that Customer Satisfaction gives the company higher profits than what they are actually investing on diverse A&P activities so as to get the level of new consumers. The other purpose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To make a stress again on the importance of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as a long term, effective source competitive power - To discern the main determinant factors for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Cosmetics Industry : which factor is most influential on the formation of Customer Satisfaction? - To go over if Customer Satisfaction leads Customer to repurchase, Good word of mouth, and increase of amount of use. In this study, the determinant factors for Customer Satisfaction are being divided to eight factors such as product quality, sales promotion, after sales service for customer complaints, price, advertising, brand( manufacturer ) image, distribution, and package and the empirical study was performed to know which one of the above 8 factors is the most determinant in forming Customer Satisfaction. To respon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both literary and empirical studies were carried out. In empirical study throughout questionnaires which were distributed in April, 2000, to 250 women between 20 and 50 years old using cosmetics in daily life, only 197 women responded and returned the documents. Then, with the exception of 23 documents which were not faithfully replied, the responses of the rest 174 women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nsequent results are as follows: - Following the analysis of overall purchase behavior of consumers, it is proved that most of them purchases products with experience of already having used them is much bigger than new purchaser. For the reason of purchase, most of consumers cite the adaptiveness to their skin rather than the current fashion. - Following the regression analysis to distinguish the determinant factor for Customer Satisfaction, when considering each 8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all 7 variables including product quality, sales promotion, price, advertising, brand ( manufacturer ) image, distribution, and package were proved to be significant to the degree of Customer Satisfaction with the execption of after sales service for customer satisfaction. However, when considering all 8 factors as one independent variable, both product quality and brand image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degree of customer satisfaction, whilst sales promotion( price discount )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The rest of variables, however were proved to be little significant. - Following the regression analysis to know about the relation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after purchase behavior, it was proved that intention of repurchase, good word of mouth, and the increase of amount of use was all atrongly influenced by the degree of saticfaction.

      • 한·중 여대생의 화장품 구매행동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IMTBPT 모델을 중심으로

        증지수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Due to the horror of the "Korean Restriction Order" in 2017, the export growth rate of Korean cosmetics is slowing down. It is worth noting that due to the impact of the new coronavirus and channel reorganization, offline sales of Korean cosmetic brands have decreased, but online sales have shown a relatively strong growth momentum. The cosmetic purchasing environment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has undergone fundamental changes, so it is now necessary to theoretically explore and propose dire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urchasing behavior of skin care cosmetics through the external consumption environment and individual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from the above viewpoint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firstly, through collective interviews as the focus of preliminary research, the factors that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prioritize when purchasing cosmetics are derived. The following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and process the data. First, in order to analyze the purchasing experience of Korean an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e factors considered when purchasing, a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motivation of Korean an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to use cosmetics, the rationality of the composition of the scale was verified through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factor analysis.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s and the synchronous variables that affect it,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 25.0. Third, the validity of the concept was confirm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efore validating the research model. Fourth, in order to find out the behavior of Korean an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to purchase skin care cosmetics, the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was grasped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AMO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nly the information security service, quality certification service, evaluation of others, the process of easy access to information, and the process of confirming correct informa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Korean an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Second, Korean an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choose different ways to purchase skin care cosmetics. Thirdly, it i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isk factors and value factors of being late for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China. Fourth, the motivation of Korean college students to use skin care cosmetics is 4 factors of 15 items, and the motiva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to use skin care cosmetics is also 4 factors of 15 items. Fifth, subjective norms and attitudes have a direct impact on the purchase of skin care cosmetics by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and cognitive behavioral control and collective norms have a direct impact on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purchase of skin care cosmetics. Sixth, the results of the Chinese marketing strategy proposal of Korean skin care cosmetics show that the strategy is divided into "cosmetic brand concept and awareness raising stage", "cosmetics purchasing channel selection stage", "cosmetics promotion platform and standard setting stage" , "Cosmetics sales experiment construction stage" and other 5 stages. On the contrary, the Korean marketing strategy of Chinese cosmetics is divided into 4 stages, namely, "Cosmetic Cooperative Brand Selection Stage", "Cosmetics Product Development Stage", "Cosmetics Promotion Platform and Purchase Channel Selection Stage", and "Cosmetics Operation Experiment and Construction Stage". 2017년 “한한령”의 공포로 한국 화장품의 수출 증가속도가 둔화되고 있다. 주목할 지점은 코로나19와 채널 재정비 여파로 한국 화장품 브랜 드의 오프라인 매출이 감소했지만 온라인 매출은 상대적으로 견조한 성 장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의 화장품 구매 환 경이 근본적으로 바뀐 만큼 이와 관련된 이론적 모색과 방향 제시가 필 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위와 같은 관점에서 한중 여대생의 외적 소비환경과 개인적 차이를 통해 스킨케어 화장품 구매행위의 차이를 고찰하는 목적을 지니 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먼저 예비연구로서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해 한중 대학생들이 화장품을 구매시 우선적 고려하는 요소를 도출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 처리했다. 첫째, 한중 여대 생들의 구매 경험과 구매시 고려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 시하였다. 둘째, 한중 여대생들의 화장품 이용동기를 고찰하기 위해 신뢰 도 검증과 요인분석에 의한 척도의 구성타당성을 검증했다. 종속변인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동기 변인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SPSS 25.0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연구모델의 검증에 앞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개념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넷째, 한국과 중국 여 대생들의 스킨케어 화장품 구매행동을 규명하기 위해 AMOS를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 여대생들의 정보 보장 서비 스, 품질인증 서비스, 타인의 평가, 정보를 쉽게 얻는 과정, 정확한 정보 를 확인하는 과정 요인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 한중 여 대생들의 스킨케어 화장품 구매경로 선택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셋째, 한중 여대생들의 지각된 위험 요인, 지각된 가치 요인이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넷째, 한국 대학생들의 스킨케어 화장품의 이용동기는 15개 항목의 4 개 요인으로 나타났고 중국 대학생들의 스킨케어 화장품의 이용동기 역 시 15개 항목의 4개 요인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다섯째, 한국 여대생들 의 스킨케어 화장품 구매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주관적 규범, 태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 여대생들의 스킨케어 화장품 구매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지된 행위통제, 집단규범으로 밝혀졌다는 것이다. 여섯째, 한국 스킨케어 화장품의 중국 시장 마케팅 전략 제안 결과 해 당 전략을 '화장품 브랜드 이념 및 인지도 제고의 단계', '화장품 구매경 로 선정의 단계', '화장품 홍보 플랫폼 및 기준 설정의 단계', '화장품 판 매 실험의 구축 단계'의 5단계로 제시했다는 것이다. 반면에 중국 화장 품의 한국 마케팅 전략은 4단계로 구분되었는데, '화장품 컬래버 브랜드 선정 단계', '화장품 상품 개발의 단계', '화장품 홍보 플랫폼 및 구매경 로 선정의 단계', '화장품 운영 실험의 구축 단계'가 그것이다.

      • 화장품법 개정에 따른 화장비누의 효율적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송지윤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화장품법 개정 시 이관되는 신규품목인 화장비누, 흑채, 제모왁스는 화장품으로 전환되면서 제조시설 재정비, 성분 표시사항 등 다양한 변동사항이 있다. 그 중에서도 소비자의 권리를 보장하고 부작용 피해를 막기 위해 전성분 표시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식약처에서 2019년 8월 게시한 『화장비누 등 화장품 전환물품 관련 다빈도응답집[FAQ]』에 따르면 화장비누는 기존의 화장품 전성분 표시지침을 따르기가 힘들어 제조업체 등에서 관리하는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장비누의 소비자 활용도 증진, 화장비누 소규모 생산업체의 유지를 목적으로 두고 화장비누의 속성과 제조과정 중 다른 화장품과 비교되는 점 등을 고려한 전성분 성분표시 지침 개선방안을 연구하는 등 화장비누의 효율적 관리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화장비누의 ‘사용감’과 ‘안전성’이라는 두 가지 기준을 설정하고 총 6가지 화장비누의 전성분 표시지침 개선방안 모델을 구축하였다. 연구를 통해 구축한 6가지 모델은 이론적 고찰과 화장품 전문가 8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검증한 후 수정·보완하였다. 연구결과 6가지 모델 중 5가지 모델의 실효성 및 유용성이 확인 되었다. 첫 번째, 기존 공산품으로 분류되던 때의 표시허용을 제한하여 규격을 정하는 것. 두 번째, 전성분 정보 활용을 돕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련 기관에서 직접 배포, 신뢰성 있는 기준을 정해 정보를 제공하는 것. 세 번째, 성분을 특성별로 분류하여 표기하는 것. 네 번째, 화장비누의 색소/향료로 혼용되어 사용되는 성분을 확실히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 다섯 번째, 화장비누에 쓰이는 유해성 성분을 재차 강조해서 써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다섯 가지 모델은 구매 이후에도 소비자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소비자를 보호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제조업체에서는 성분에 대해 더욱 경각심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유해성분의 사용을 줄이고 대체 성분을 개발하는 등 화장비누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When the cosmetics law is revised, the new items such as beauty soap, hair concealer, wax strip which are transferred to cosmetics, have various changes such as readjustment of manufacturing facilities and marking of ingredients. Among other things, the display of the whole ingredient is a very important suggestion to ensure consumers' rights and prevent side effects. However, according to "FAQ," which was post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August 2019,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is difficult to follow the guidelines for the whole ingredient of cosmetics.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consumer utilization of toilet soap and to improve the guidelines for marking the whole ingredient of toilet soap with the aim of maintaining small manufacturers. To this end, two criteria were set: 'sense of use' and 'safety' of toilet soap, and a model for improving the indication guidelines for the best portion of total six toilet soap was established. The six models established through the study were reviewed in theory and eight cosmetics experts were verifi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before being modified and supplemented. Research has confirmed the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of five of the six models. First, to set specifications by limiting the display permit when it was classified as an existing industrial product Second, information is provided by setting reliable criteria by distributing applications that help users utilize information of their peak. Third, to mark the components by their characteristics. Fourth, clearly indicating the ingredients used as the pigment/flavour of the beauty soap, and fifth, re-emphasizing the harmful ingredients used in the beauty soap. The five models proposed in this study are suitable for ensuring consumers' right to know and protecting them even after purchase. Manufacturers will also be more alert to ingredients. Furthermore,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toilet soap industry by reducing the use of harmful ingredients and developing alternative ingredients.

      • 설화수화장품의 중국 여성소비자 마케팅 고찰

        장징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Currently, China has a high economic growth rate of almost 9.5% each year. This rapid economic development improves consumer spending. As a result, the high interest in 'Beauty' has increased, and the cosmetics market in China is also developing day by day. In other words, as the demand for cosmetics has increased, cosmetics have become one of the necessities of life.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women's purchase of cosmetics in consumer spending is steadily increasing. In 2018, China's female population was 6.78 billion, accounting for 18% of the world's female population. And, consumption expenditure in Chinese families is largely driven by women. In addition, as the level of consumption is gradually increasing, personalized goods that gain more quality and empathy among women dominate the consumption market. The “women's economy” has become a major part of the Chinese economic system as the proportion of female consumers in the Chinese consumer market continues to increase. Emphasizing women's consumption demands and satisfying women's interests have become entrepreneurs' interests, and these days, they are gradually developing into a positive trend. As such,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the Chinese cosmetics market is so great that many international famous cosmetics companies and brands began to enter the Chinese market. And the Chinese cosmetics market competition is getting fierce. Korean cosmetics have also successfully entered the Chinese market, with European and Japanese companies, including Loreal and Boeul Cosmetic Groups, set foot around the world. Korean cosmetics were loved by Chinese consumers for their beautiful packaging and affordable prices. Also, Korea and China are traditionally similar in culture and geographically close. In particular, Korean cosmetics were loved in China a few years ago by the Korean Wave frenzy. As Chinese consumers are becoming more aware of Korean cosmetics, Korean cosmetics are in an advantageous position to compete with other products in the Chinese market. AMOREPACIFIC is a famous cosmetics group in Korea. The group has three premium herbal care brands: AMOREPACIFIC, Heoyeon and Sulwhasoo. Since entering the Chinese market in 2011, it has always been well received. However, according to a recent report, 2018 Korean cosmetics brands such as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and AMOREPACIFIC were not in the top 10 in the Chinese cosmetics market. As you can see from this, Korean cosmetics have problems in sales and marketing in the Chinese market. Therefore, in this paper, in order to improve the sales performance of Korean cosmetics in the Chinese market, it was tried to analyze the practical problems existing in the sales of cosmetic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elp Korean cosmetic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les in the Chinese market, such as preparing a sales plan suitable for product characteristics. The Chinese cosmetics market has entered a fierce competition. Accordingly, it is reasonable to prepare a way for Korean cosmetics to win the competi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s and the general problems that Sulwhasoo cosmetic brands face in marketing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s and their merits through in-depth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Korea's famous cosmetic brand 'Sulwhasoo'. After researching and discovering, Sulwhasoo cosmetic brands have found practical problems and lacks in marketing in China. The marketing strategy for these problems and insufficient parts is expected to be a major foundation for improving the market share and market competitiveness of the Chinese cosmetics market as well as the “Sulwhasoo” cosmetic brand. 현재 중국은 해마다 거의 9.5%에 달하는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급속한 경제 발전은 국민의 소비지출을 향상시킨다. 이에 따라 ‘미’에 대한 높은 관심이 증대함으로써 중국의 화장품시장도 날로 발전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화장품에 대한 수요량이 증가하면서 이제 화장품이 생활필수품의 하나가 되었다. 특히 여성들의 소비지출에 화장품 구매가 차지하는 비중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현실이다. 2018년의 경우 중국 여성인구는 6억 78만 명으로 세계 여성인구의 18%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중국 가정의 소비지출은 대체로 여성이 주도하고 있다. 아울러 소비수준이 점점 향상되면서 보다 고급화된 품질과 여성들의 공감을 얻는 개성화된 물품이 소비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이처럼 여성소비자들이 중국소비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계속적으로 높아짐으로써 ‘여성경제’가 중국 경제체계의 주요한 부분이 되었다. 즉 ‘여성을 얻는 자, 천하를 얻는다’는 말처럼 여성의 소비수요를 중시하고 여성을 만족시키는 것이 사업가들의 관심이 되었고, 최근 점점 긍정적인 추세로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중국 화장품 시장의 발전 잠재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많은 국제 유명 화장품 기업과 브랜드들이 중국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중국의 화장품 시장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로레아, 보결그룹을 비롯한 유럽과 일본기업들이 전 세계에 발을 디 딘 가운데 한국 화장품도 성공적으로 중국시장에 진출 했다. 한국의 화장품은 아름다운 포장과 적절한 가격으로 중국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또한 한국과 중국은 문화가 전통적으로 비슷하고 지리적으로도 가깝다. 특히 몇 년 전 한류열풍아 일어나 한국 화장품이 중국에서 많은 사랑을 받았다. 중국 소비자들이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좋아지면서 한국 화장품은 중국시장에서 여타의 상품과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에 서게 되었다. 아모레퍼시픽(태평양)은 한국의 유명 화장품그룹이다. 이 그룹은 아모레퍼시픽, 허연, 설화수 등 3대 고급 허브케어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2011년 중국시장에 진출한 이래 줄곧 좋은 평가를 받아왔다. 하지만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등 한국 화장품 대표 브랜드가 중국 화장품시장에서의 점유율에서 모두 10위권 안에 들지 못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한국 화장품은 중국시장에서의 판매와 마케팅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중국시장에서 한국 화장품의 판매실적을 높이기 위해서 지금까지의 화장품 판매에 존재하는 실제적인 문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제품특성에 맞는 판매 방안을 마련하는 등 한국 화장품이 중국시장에서의 판매에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함이 본고의 목적이다. 중국 화장품시장은 갈수록 치열한 경쟁에 접어들었다. 이에 이러한 경쟁가운데 한국 화장품이 경쟁에 이길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은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한국의 유명 화장품 브랜드 ‘설화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분석을 통해 제품의 특징과 제품의 장점을 파악하는 토대에서 제품의 특성과 설화수 화장품 브랜드가 마케팅에서 직면하는 보편적인 문제에 중심을 두고 연구하여 설화수 화장품 브랜드가 중국 시장 마케팅에서 존재하는 실제적인 문제와 미흡한 부분을 찾아내었다. 이러한 문제와 미흡한 부분에 대한 마케팅전략은, ‘설화수’ 화장품 브랜드는 물론 더 나아가 모든 한국 화장품 브랜드가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의 점유율과 시장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주요한 밑거름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중국 소비자의 한국 화장품 마케팅에 대한 지각과 구매의도

        LIU XIMIN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중 수교 이후 양국 관계는 급속도로 발전했다. 한중은 고위층 왕래를 지속하고 상호 교류를 증진하며 협력 분야를 넓혀 나가며 협력 차원을 심화시키고 있다. 경제의 세계화에 따라 양국이 서로 우호적으로 왕래하며 무역 교류가 활발해지고 있다. 하지만 2017년 2월 27일 한국 롯데 그룹이 사드 배치를 빌미로 한중 위기를 촉발한 것은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이 때문에 양국 무역은 어느 정도 타격을 받았다. 한국 화장품도 양국의 위기로 인해 중국 시장에서 영향을 받았다. 근데 2018년부터 한국 화장품은 중국 소비자에게 점점 회복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 화장품도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소비자들의 인기가 많이 받고 있고, 점차 한국과의 격차를 줄였다. 그래서 본 논문은 일반적으로 한국(일본)화장품 제품의 품질지각, 가격지각, 광고지각, 서비스지각, 소비자의 태도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중국 소비자는 한국(일본) 화장품에 대한 어떤 영향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중국 소비자들의 한국 화장품에 대한 중국 시장에서 미래의 마케팅 전략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한국 화장품과 일본 화장품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야 한다. 본 논문의 연구는 2가지 있다. 첫째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중국 소비자 대상으로 설문지를 조사했다. 조사 시간은 2018년 5월 8일부터 5월 18일까지 진행하고 총 277부를 분석을 하고 이용했다. 둘째는 일본 화장품에 대한 중국 소비자 대상으로 설문지를 조사했다. 조사 시간은 2018년 6월 2일부터 6월 12일까지 진행하고 총 319부를 분석을 하고 이용했다. 그리고 조사된 설문지를 SPSS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표본의 인구통계학분석, 신뢰도분석, 타당성분석 등의 기초분석을 실시한 후에 연구가설을 검증하고, AMOS으로 연구 모형의 적합도를 도출했다. 그 결과에 따라서 중국소비자가 인지하는 한국 화장품의 품질지각, 가격지각, 서비스 지각, 광고지각과 소비자태도에 대하여 구매의도는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본 화장품에 대한 서비스 지각과 소비자의 태도는 긍정적인 영향은 안 나왔고 품질지각, 가격지각, 광고지각과 소비자 태도에 대하여 구매의도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 일 회장품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가격지각, 서비스지각, 소비자 태도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일본화장품은 한국화장품보다 더욱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품질지각, 광고지각, 구매의도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일본화장품과 한국화장품은 중국소비자에 대한 평가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일본 화장품이 미래의 중국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의 최대 경쟁자이다. 주제어: 화장품, 품질지각, 가격지각, 광고지각, 서비스지각, 소비자의 태도, 구매의도, 중국 소비자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ve developed rapidly since Korea and China established diplomatic ties. South Korea and China have continued to visit high-ranking officials, promote bilateral exchanges, expanded cooperation, and deepened cooperation. With the globalization of the economy, the two countries are making friendly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ncreasing trade exchanges. However, tens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escalating as the Korean Lotte Group launched the Korea-China crisis on February 27, 2017, citing the deployment of THAAD. As a result,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been hurt to some extent. Korean cosmetics were also influenced by the Chinese market due to the crisis between the two countries. However, since 2018, Korean cosmetics have been gradually recovering to Chinese consumers. And Japanese cosmetics have been popular with Chinese consumers in recent years, and have gradually narrowed the gap with Korea. Therefore, this paper conducted a study on the quality perception, price perception, advertising perception, service perception, and consumer attitude and consumer intention of cosmetics products in Korea (Japan). Chinese consumers want to find out how it affects Korean cosmetics. And it wants to provide future marketing strategies in the Chinese market for Korean cosmetics by Chinese consumers. And you need to know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osmetics. There are two studies of this thesis. First, the survey asked Chinese consumers about Korean cosmetic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y 8 to May 18, 2018, and a total of 277 copies were analyzed and used. Second, it surveyed Chinese consumers about Japanese cosmetic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2 to June 12, 2018 and a total of 319 parts were analyzed and used. The surveyed questionnaire was then analyzed with SPSS, a basic analysis of population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and feasibility analysis of the sample, and then a study hypothesis was verified with AMOS's. As a result, the purchase intention has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quality perception, price perception, service perception, and advertisement angle and consumer attitude of Korean cosmetics products. The service perception and consumer attitude towards Japanese cosmetics have not been positively affected, and the buying intention has had a positive effect on quality perception, price perception, and advertisement and consumer attitude. A study of Korean and Japanese products showed that Japanese cosmetics were higher than Korean cosmetics in terms of price perception, service perception and consumer attitude. However, when it comes to evaluating quality perception, advertising perception and buying inten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Japanese and Korean cosmetics in their assessment of Chinese consumers. So Japanese cosmetics are the biggest competitors of Korean cosmetics in the Chinese market of the future. KEY WORDS: cosmetics, quality perception, price perception, advertising perception, service perception, consumer attitude, purchase intent, Chinese consumer

      • 화장품 발명 디자인 교육에서 스캠퍼 기법 적용이 창의력 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현정 안양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Cosmetic design uses design thinking approach that has intangible expansion in the process of recognition and settlement of a problem and should be able to create even a new business model. Particularly, the role of Korean cosmetics design becomes bigger and continues to evolve on the strength of the popularity of content including K-drama and K-pop as well as in line with industrial changes caus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consequence, cosmetics container design is increasing in application and in importance. Creatively and newly designed cosmetics will play increasingly important roles in the future. Creativity is a highly crucial factor in the curriculum for designers’ ways of thinking. Unique design which can not only satisfy changing cosmetics consumers’ needs but als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smetics design is required. Creativity for an idea can be sufficiently enhanced by education that leads a person to have a logical mind which creates, develops, and creatively express a new idea rather than wait for one to suddenly come up. However, creativity education in cosmetics design education is not provided systematically in practice. Accordingly, systematic education for enhancing creativity in the cosmetics invention design class is required. In this study, theories regarding creativity, creative expressive power, and a variety of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were considered for the purpose of designing a cosmetics invention design program which can lead creative expressive power to be enhanced. Among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SCAMPER” is a technique to develop an idea by answering each question provided through a checklist. This SCAMPER technique enables a leaner to think from various angles and to easily have a creative and concrete idea. In this regard, this study tried to examine how a cosmetics invention design class applied by the SCAMPER technique has effects on both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creative expressive power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class. This study firstly carried out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d analyzed the system of contents of the class applied by the SCAMPER technique. Based on this, a cosmetics invention design class was provided. This study also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the SCAMPER technique to cosmetics design on lea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efficient cosmetics invention design edu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CAMPER technique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A survey was conducted for university students who attended the cosmetics design-related classes using the SCAMPER technique for one semester of 2017 and 120 copies of questionnaires which were available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inputted into the SPSS 18.0 program for analysis,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SCAMPER technique to cosmetics invention design education was evaluated using a paired t-test,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rresponding means in the satisfaction of leaners.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CAMPER technique on cosmetics design creativ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ariables relating to theme expression and expression method except formative elements among independent variables had huge significant effects on the creativity enabling cosmetics design learners to create ideas. Particularly, reconstitution was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creativity of students who learned the cosmetics design using the SCAMPER technique, followed by relevance and originality. Furthermore, among the SCAMPER technique, “Combine” had the greatest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cosmetics design education, followed by “Adapt.” After all, a new type of learning model or education system is required in order to enhance the design creativity of learners in cosmetics invention design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lan many-sided design teaching-learning programs which are available in order to improve creative expressive powers; and, more studies on cosmetics design education which can maximize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satisfaction of leaners need to be conducted. 화장품 발명 디자인은 문제 인식과 해결 과정에서 무형적 확장성의 디자인적 사고방식이 반영된다. 여기에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포함되어야 한다. 오늘날 화장품 용기 디자인의 역할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변화에 따라 한류 드라마, K-pop등의 콘텐츠 인기에 힘입어 확대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화장 품 용기 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화장품의 창의 적이고 새로운 디자인은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더욱이 화장품 발명 디자인에 있어 창의성은 디자이너의 발상을 위한 교육과 정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는 발전하는 화장품 소비자의 니즈를 만족시킨 다. 나아가 화장품 발명 디자인에 기여할 수 있는 독창적인 사고를 하게 만든 다. 아이디어의 창의성은 우연히 떠오르는 생각을 기다리기보다 논리적인 체계 를 갖추어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해내게 한다. 이러한 창의적인 사고는 교육에 의해서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화장품 발명 디자인 교육에서 창 의성 교육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화장품 발명 디 자인 수업에서 창의성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창의적 표현력 향상을 위한 화장품 발명 디자인 프로그램 설계 를 위하여 다양한 창의성 사고 기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 스캠퍼 기법을 도출 하였다. 앞서 언급한 기법 중에서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답을 하며 확장적 아 이디어를 발전시키는 것이 스캠퍼 기법이다. 이 기법은 학습자가 다양하게 발상 하며 창의적이고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쉽게 낼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연구에 서는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화장품 발명 디자인 수업을 하여 대학생들의 창의적 표현력 향상과 수업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에서는 스캠퍼 기법의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적 고찰 후 화장품 발명디자인에 이를 적용할 수업의 내용체계를 분석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화장품 발명 디자인 수업을 시행하였으며, 화장품 발명 디자인에 스캠퍼 기법을 적용을 중심으로 학습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스캠퍼 활용을 통한 효율적인 화장품 발명 디자인 교육에 공헌 과 이것이 학습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A대학에서 2017년 한 학기 동안 스캠퍼를 적용한 화장품 발명 디 자인 관련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에 는 120부의 가용한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8.0으로 분석 했다. 또한 화장품 발명 디자인 학습에 스캠퍼 기법을 적용하기 전과 후를 T-test 대응 분석으로 스캠퍼 적용 수업이 수업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 을 검증하였다. 이어 스캠퍼 기법이 화장품 발명 디자인 창의성에서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독립변수 중 조형요소를 제외한 변수 주제 표현, 표현 방식이 화장 품 발명 디자인 학습자의 아이디어 발상에 관한 창의성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스캠퍼 기법 적용 화장품 발명 디자인 학습 자의 창의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재구성이 그 다음은 적절성, 독창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캠퍼 기법 중에서는 “결 합하다”가 화장품 발명 디자인 학습 만족도에 가장 크게 미치며 그 다음으로는 “적용하다”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화장품 발명 디자인 학습과정에서 학습자의 디자인 창의성을 증가 시키기 위해 새로운 유형의 학습 모형과 교육방식을 도입해야 할 필요성이 제 기된다. 이러한 모습은 창의적 표현력 향상을 위하여 활용 가능한 다방면의 디 자인과 교수와 학습자의 프로그램의 설계가 요구되며 나아가 학습 성취와 학습 자 만족을 최대화하는 화장품 발명 디자인 수업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化粧品廣告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에 관한 硏究 : 2001년 1월부터 8월까지의 國內 女性雜誌媒體를 중심으로

        최안나 誠信女子大學校 造形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 시각디자인은 예술의 영역을 넘어서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서도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특히 광고에서 쓰여지는 일러스트레이션은 광고 표현 전략에 있어서 독창적인 이미지를 창조해내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활용된다. 본 연구는 이런 일러스트레이션의 비중이 크게 작용하는 분야 중 하나로 무엇보다 제품의 이미지를 중요시하는 화장품광고를 실례로 들어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에 관해 분석한다. 화장품광고에 있어서 소비자의 욕구는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단지 곱고 아름다운 모델을 등장시켜 미적 욕구만을 자극하는 기존의 화장품 광고로는 더 이상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와 기호를 충족시켜주지 못하게된 것이다. 이는 화장품을 사용하는 연령층의 확대, 화장품종류의 다양화, 그리고 미의 기준에 대한 변화 등 여러 요인들이 작용하여 복잡하고 다양하면서도 참신한 경향을 새로이 창출해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고가 유행경향을 반영하는데 그치지 않고, 유행을 창조해내어서 소비자에게 패션을 제안할 정도로 크리에이티브(creative)나 표현방식이 첨단을 걷고 있다는 점이다. 결국 광고에서 일러스트레이션이 지니는 의미는 광고표현을 위한 도구를 넘어 하나의 유행을 창조해내는 생산적인 가치를 지니는 것이다. 그러나 국내 화장품광고의 경우는 아직까지 인물위주의 광고가 대다수를 차지하며, 브랜드이미지를 구축하는 데에도 모델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또한 일러스트레이션을 활용하는 측면에서도 전체적이고 독창적인 일러스트레이션보다는 의식없이 모방하는 광고나 부분적이고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일러스트레이션은 브랜드 이미지에 기여하는 바가 매우 낮다. 제품의 품질면에서 별 차이가 없고, 광고에 있어서도 인물위주의 광고 에서 이제 화장품광고는 새로운 브랜드이미지 창조와 크리에이티브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광고의 설득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일러스트레이션을 미적 가치를 최고로 추구하는 화장품 분야에 적용시키는 작업은 인물위주의 국내 화장품광고 현황에서 볼 때 차별화 전략으로써 의미가 있으며, 화장품광고에서 일러스트레이션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는다는 부분에도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2001년 1월부터 8월 사이에 국내에서 발간되는 여성잡지 4종류(우먼센스, 리빙센스, 에꼴, 쎄시)중 화장품광고 일러스트레이션을 대상으로 유형별로 분석, 일러스트레이션광고의 표현 현황 분석을 통계적인 수치로 제시하였고 결론과, 개선방향을 나타냈다. Modern visual design plays an important part in a marketing component of economy. Especially, Illustration which used an advertisement utilizes as an essential factor making an original image in advertisement expression stratagem. This study analyze about an expression of illustration. it take an example which is a cosmetic advertisement that considers object image as important in part which Illustration is important . A desire of consumer is getting various in a cosmetic advertisement. The existing advertisement which stimulate aesthetic desire by using a beautiful model can't fill up various desire and taste of consumer. Because, affecting several factor like extension of an age group which use cosmetic, diversification of cosmetic kinds and a standard of beauty so on creates a various , complex and novel trend. So, advertisement reflects fashion trend also creaive or the manner of expression is advanced to level which suggest a fashion to costumer by creating fashion. Finally, mean of illustration has productive value which create fashion over method for advertisement expression. But in internal advertisement case ,person-centered advertisement holds a large majority also a dependence of model is high in building brand image. Further, a contribution of an imitation advertisement without consciousness or illustration which use as partly and assistant is lower than it of whole and creative illustration. Without any difference in a quality of object, a cosmetic advertisement demands new brand image creating and creative in advertisement. At this actual, work applied to a cosmetic part which considers that illustration is the best of aesthetic value have means have mean as difference stratagem in person-centered internal cosmetic advertisement and find new possible of illustration. At this thesis , cosmetic advertisement analyzes by type and expression present condition analysis of illustration presents as the statistical result in 4 women's magazine womansense, livingsense, ecole, ceci which is publish in the interior between January of 2001 and August of 2001. also a conclusion and an a improvement direction is described.

      • 한국화장품 구매결정요인에 따른 중국시장 마케팅방안 연구

        郝天欢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국화장품 구매결정요인에 따른 중국시장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어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논문의 연구 내용은 네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 부분은 서론으로서 본 논문의 연구 배경 및 연구의 목적과 의미를 우선적으로 서술하였다. 중국내의 연구 현황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연구의 내용과 방법을 이해하고 프레임을 설계하는 등 진행하고자하는 연구에 대한 배경으로 삼았다. 본 논문은 마케팅전략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에 근거하여, 한중 화장품 시장의 현황과 마케팅 전략을 소개하였으며, 이론적 고찰과 중국현지 신문 자료를 통하여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일련의 마케팅 방안을 조사하였다. 또한 동시에 한국 화장품 기업들의 중국 시장의 마케팅 전략 및 효과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두 번째 이론 배경 부분은 중국 시장의 발전 현황과 한국화장품 시장을 알아보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그 현황을 통해 선행된 연구들에 대한 이론을 알아봄으로써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반으로 삼고자 하였다. 세 번째 부분은 앞부분에 서술한 내용을 근거로 하여 설문지를 구성하고 조사에 대한 설계를 통한 화장품 구매현황에 대한 중국인 대상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활용하였다. 네 번째 부분은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설문조사 대상자의 구매결정요인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 하였다. 본 부분의 주요 목적은 소비자 구매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중국 시장 공략을 위한 마케팅 전략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중국 화장품 시장 진출에 도움되는 결과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한국화장품은 기술, 품질, 문화, 가격에 대해 많은 우세를 가지고 있다. 반면에 경로 범위가 광범하지 않고 브랜드 영향력도 적으며 소비자들의 심리를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경제가 점점 발전하고 생활수준이 점점 높아져 가고 있는 중국에서 한류의 영향을 받아 한국화장품기업에게 많은 발전기회를 가져다 줄 것이라 판단된다. 동시에 위조품의 제작, 중국본토 브랜드제품과 기타 브랜드제품의 경쟁, 부동한 소비관념과 소비수준, 무역장벽 등은 모두 경영과정에서 홀대시하면 안되는 위협적인 요소들이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는 방침을 제작하여 이런 위협성과 미치는 영향들을 제거해야 만 좋은 발전을 가질 수 있을것이라 판단된다. 더불어 한국 화장품이 중국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려면 중국 소비자의 소비심리를 잘 파악하여 중국 시장에 잘 맞는 마케팅전략을 구상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한국기업 자신의 경쟁력 향상을 통해 중국 시장에서 더 많은 성공을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잘 구축된 서비스 시스템과 함께 중국 소비자들의 눈높이에 맞는 제품에 대한 품질향상에 중심을 둔 마케팅 전략으로 중국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둘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