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공지능 기술 활용 지구시민교육을 통한 지속가능성 소양의 함양

        조현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3341

        지구의 시스템이 이전과는 다른 차원으로 나아가 인류세라는 새로운 시대로 접어들었고 인류는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인류세에 접어든 지구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교육인 지구시민교육을 제시함으로써 인류세 시대의 시민성인 지속가능성 소양을 함양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지구 환경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들을 본 프로그램에 적용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고 교수·학습 방법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인공지능 기술 활용 지구시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연구자는 네 가지의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는 지구시민교육에 대한 정의와 지구시민교육이 이전에 이루어지고 있던 지구에 대한 교육들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문제이다. 둘째는 인류세 시대를 살아가야 하는 시민에게 필요한 소양으로서 지속가능성 소양이 무엇이며 지구시민교육에서 추구하고 있는 지속가능성 소양이 무엇인지에 대한 문제이다. 셋째는 지구시민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으로 인공지능 기술의 의의와 적용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문제이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성 소양을 함양시키기 위한 초등학교에서의 구체적인 지구시민교육 프로그램과 그 실행 효과가 무엇인지에 대한 문제이다. 지구시민교육이란 ‘인류세 시대의 시민을 양성하기 위해 고안된 시민교육’을 말한다. 지구시민교육 프로그램은 시민교육과 Marte의 지구교육이 융합된 형태의 프로그램이다. ‘지구교육’은 지구라는 행성(planet)과 개인이 좋은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지구시민교육’은 지구와 인간 사이의 관계와 인간 행동의 성찰에서 지구를 바라보고 실제 생활에서 지구를 위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역량 함양에 초점을 두고 있다. 지구와 인간 사이의 관계는 인간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과 지구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며 인간 행동의 성찰은 지구와 인간 사이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밑거름으로 작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지구시민교육에서는 지구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가치·태도와 행동 영역까지 모두 다루는 시민교육의 논리에서 접근한다. 또한, 지구시민의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는 장소로 산호초를 제시함으로써 지구의 복잡한 시스템과 리질리언스적 성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지구에 대한 장소감을 형성해 지구의 거주민 혹은 시민으로서 변화할 수 있었다. 지구시민교육의 교수·학습방법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방법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거나 이전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는 지구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많은 기업들이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기 시작한 흐름에 기인하였으며 교육의 관점에서 재조명하였다. 인공지능 기술 활용 지구시민교육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에 대한 타당도 검토 과정을 통해 수정하였다. 수정된 프로그램은 본 연구자가 학교 현장에서 자율동아리 학생 11명을 대상으로 실행하여 현장에서의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인공지능 기술 활용 지구시민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고 적용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기술 활용 지구시민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지속가능성 소양을 함양시켰다. 초등학생들의 지속가능성 소양은 지구시민교육 프로그램 수업 장면, 심층 면담, 사후 소감문을 분석하였다. 지속가능성 소양은 사회과교육에서 제시하고 있는 시민성의 요소와 같이 지식, 가치·태도, 행동으로 제시하였다. 학생들의 지속가능성 소양 증진의 변화는 프로그램 참가 이전 사전 심층 면담과 수업 장면의 대화, 사후 심층 면담, 사후 소감문을 비교하여 알아보았다. 학생들은 ‘어려운’, ‘복잡한’, ‘이상한’과 같은 표현을 활용하여 지구의 특징을 이야기하였으며, 지구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어 이해하기 어려운 장소로 파악하면서 지구를 복잡한 시스템으로 인식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다양한 인류세의 상황들을 접하면서 지구에 대한 연민의 감정을 느끼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감정은 지구에 대한 감각과 상호호혜성 회복으로 연결되었으며 이는 어스필리아(earth-philia)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디지털 탄소발자국과 같은 일상생활에서 초등학생들이 지구를 위해 실천할 수 있는 행동을 학습하였으며, 이는 학생들이 실천에 대한 부담 없이 자신의 삶 속에서 바로 실천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지구 위기에 대한 경각심을 바탕으로 수업에서 학습한 행동 이외에 지구를 위한 다른 행동을 스스로 실천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통해 본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지구 시민으로서 행동을 실천하도록 하는 데에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지구시민교육의 교수학습방법으로서 인공지능 기술 활용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인공지능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역량을 확대시켜 지구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학습방법으로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가지는 가능성을 수업 장면과 심층 면담 등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학생들은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학습하는 과정에서 높은 흥미를 보였으며 지구시민으로서 실천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먼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미지의 기술에 대한 흥미, 실감나는 자료 제시에 대한 흥미, 기술의 역량에 대한 흥미, 새로운 기술을 학습하는 과정에 대한 흥미로 나타났다. 다양한 관점에서의 흥미는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로 이어졌으며 이는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만족도와 수업의 효과와도 관련이 있었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는 것은 지구시민으로서 지구를 위한 다양한 행동의 실천 가능성을 확보하는 데에 영향을 미쳤다. 교실 안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은 직접적인 사회 참여 기능에서 한계를 보였지만 인공지능 기술은 교실의 범위를 지구로 확대하는 데에 의의가 있었다. 지구를 위해 행동한다는 것은 나의 경제적 이익을 포기하거나 귀찮음을 이겨내야 하는 어려운 결정이다. 하지만, 지구 온난화의 되먹임 효과가 나타나면서 더 이상 지구의 자정 능력만으로 지구의 시스템을 되돌리는 것은 어려워졌다. 지속가능성 소양을 갖춘 지구시민은 지구를 착취하고 파괴하는 심성보다는 지구를 보존하고 공존할 수 있는 시민성을 갖춘 존재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학생들은 지구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관계 회복을 통해 지구를 위한 행동을 실천할 수 있는 지구시민으로 성장하였다. 또한, 연구자도 인류세 시대의 시민 교육으로 지구시민교육을 설계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지구시민을 위한 교사로서 역량을 키울 수 있었으며 연구자 스스로도 지구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 창업가 역량이 지속가능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창업멘토링 활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오현주 중앙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26

        최근 지속가능 경영발전의 중요성이 지속하여 대두되고 있지만 인적, 재정적 자원이 제한된 창업 기업은 무엇보다도 창업가의 역량이 가장 중요한 자원으로 자리하며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지속가능 경영에 영향을 미치는지 고려할 필요성이 나타난다. 이때 우리나라 창업환경은 정부와 지자체 중심의 창업 지원 시스템이 구축되어 자금, 교육, 컨설팅 등 창업 단계별, 분야별, 지역별로 다양한 지원이 이뤄지고 있는데, 창업 멘토링은 멘토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창업 기업을 지원하여 비교적 적은 예산으로도 창업 기업의 실패를 줄일 수 있는 측면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업가 역량이 창업 멘토링을 활용하여 지속가능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서는 설문지를 구성하여 중소벤처기업부 산하의 창업진흥원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서 지원하는 예비창업패키지, 초기창업패키지, 창업성공패키지(청년창업사관학교), 창업도약패키지 등의 창업 기업 육성프로그램에 참여한 창업 기업의 창업가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지 수집은 해당 설문조사 진행 간 창업가에게 변수에 관한 충분한 설명과 이해를 통해 양해를 구하여 자기 기입법에 따라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또한, 설문지의 배포와 회수 방법은 직접방문, E-mail 등을 활용하여 온/오프라인 방식이며 설문조사 기간은 2023년 3월 10일부터 5월 4일까지이다. 해당 기간동안 설문지는 약 1,000부를 배포하여 창업가를 중심으로 190부를 회수한 후 불성실한 12부를 제거하고 178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설문자료는 도출한 측정요인을 중심으로 리커트 7점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분석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SPSS 28.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수집된 연구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하여 분석한다. 둘째, 설문자료에 대한 기술통계량을 파악하여 평균, 왜도, 첨도 등을 검토하여 정규성에 관한 검토를 한다. 셋째, Smart PLS 4.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외부측정모델을 검정한다. 외부측정모델 검정 간에는 교차요인적재량를 통한 변수의 변별타당도와 내적일관성 검토를 위한 신뢰도, 수렴타당도를 파악한다. 넷째, 구조모델 검정을 시행한다. 구조모델 검정은 예측타당도 검정, GoF(Goodness of Fit) 모형적합도 검정, 판별타당도 검정을 시행한다. 다섯째, 구조방정식 모델링 검정을 시행하여 변수 간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연구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가 역량은 멘토링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 멘토링 활용은 경제적 성과와 지역환경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가 역량은 지속가능 경영성과 중 사회적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적, 지역환경 성과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창업가적 역량은 경제적 성과, 지역환경 성과에 대하여 창업 멘토링 활용을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recent times, there has been a growing recognition of the significance of sustainable management development. However, for start-up companies that possess limited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the most crucial asset is the entrepreneur's capacity. It becomes essential to examine whether this capacity influences the management of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the start-up ecosystem relies on the establishment of a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centered support system, offering various forms of assistance such as funding, education, and consulting tailored to different stages of start-up development, sectors, and regions. This comprehensive support network has the potential to mitigate the risks of start-up failure, even when operating on a constrained budget. Consequently,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y on sustainable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the utilization of entrepreneurship mentoring.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entrepreneurs participating in various start-up fostering programs such as the preliminary start-up package, initial start-up package, Youth Start-up Success Package (Youth Startup Academy), and start-up leap package. The entrepreneurs were given a comprehensive explanation of the survey variables, and their consent was obtained prior to completing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using both online and offline methods, including direct visits and email.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March 10 and May 4, 2023. Out of the approximately 1,0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190 were collected from entrepreneurs. After excluding 12 incomplete or insincere responses, a total of 178 valid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survey data utilized a 7-point Likert scale and focused on derived measurement factors. The data analysis process was as follows. Firs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ample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8.0 statistical package. Seco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examined, including mean, skewness, and kurtosis, to assess the normality of the survey data. Third, the Smart PLS 4.0 statistical package was employed to test the external measurement model. This included assessing discriminant validity through cross-factor loadings, evaluating reliability for internal consistency, and confirming convergent validity. Fourth, a structural model test was conducted, which encompassed a predictive validity test, GoF (Goodness of Fit) model fit test, and discriminant validity test. Fif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explore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present th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was observed that entrepreneurial competency positively influenced the utilization of mentoring. Second, the use of entrepreneurship mentoring demonstrated a positive impact on economic performance and regional environmental performance. Third, while entrepreneurial competency directly affected social performance as part of sustainable management performance, it did not directly influence economic performance or regional environmental performance.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entrepreneurial competency had a mediating effect on economic performance and regional environmental performance through the utilization of entrepreneurship mentoring.

      • 플라스틱 백의 서피스 디자인 개발연구 : 지속가능한 활용을 중심으로

        장우희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324

        Industrial development has followed the direction of providing a convenient and rich life to people. In the field of textiles, a variety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provide rich clothing life to people, as well. Continuous development has, however, caused the contamination of the environment and resulting issues. Many researchers have investigated sustainable design to take the environment into consideration and fulfill economic and social responsibilities. Plastic bags are one of the daily materials that people have used in familiar ways. They are found in every modern society. It has a bunch of advantages including lightness, water resistance, and various colors and textures, thus making life convenient. It is, however, causing serious damage to the environment as it will not decompose for hundreds of years and emit harmful matters during combustion. The investigator thus decided to utilize the sustainability of plastic bags that had caused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issues, conducting research on surface design in textile craft techniques to create textures of various colors and forms. The study first examined sustainable design and requirements and methods that should be included in sustainable textile design. It reviewed papers on sustainable textile design in the nation and classified and analyzed them in content by the year, type, and topic. Sustainable design has been a research topic in many design papers, but the number of such cases is relatively small in the field of textile design. Secondly, the study examined the types of plastic bags and also their mater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Plastic bags are thermoplastic and thus alterable under heat, but they emit harmful gas during processing. It is thus important to choose and use plastic bags made of materials that cause no harm to the human body. Thirdly, the study divided design researches with a plastic bag into the cases of textile art with prominent formativeness and those of textile products. It then classified and analyzed the cases according to techniques and types, having contemplation over a direction for creativity in design through its differentiation from other studies. Finally, the investigator created her own surface design in the Heat-bonded technique by taking advantage of thermoplastic nature of plastic bags based on the theoretical examination and case studies mentioned earlier. Plastic bags made of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which emit no harmful matters during combustion and cause no harm to the human body, were used and combined with such materials as polyester, Angelina film that was a plastic film containing glitters, nylon, and thin plastic spangles. The design work was done in the Heat-bonded technique with a range of fused devices including a Heat press machine, iron, hair iron, and sealer since the plastic bag materials were thermoplastic and thus changed in various forms and colors under heat. In addition, cutting, weaving, and machine stitch techniques were also used to ensure the diversity of forms and textures. This surface design based on the fused technique had improved durability and thus expanded to clothes, fashion accessories, and various textile products as well as artwork in formative forms. By applying craft techniques, the present study proposed fusion with plastic bag materials with environmental value for sustainable design beyond the uniform textile product designs and thus established profound relations with sustainable design. In today's modern society where value is granted to the consumption culture and individuality in expanding ways, the investigator plans to keep developing and investigating sustainable design and plastic bag materials by expanding the plastic surface materials developed in it even to the lifestyle realm in order to increase people's perceptions of them. 산업의 발전은 인간에게 편리하고 윤택한 삶을 제공하기 위한 방향으로 진행되어왔고, 섬유 분야 또한 인간에게 풍족한 의생활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발전이 지속됨에 따라 환경이 점점 오염되고 이에 따른 문제들이 발생하면서, 환경을 고려하고 경제적, 사회적 책임감을 가지는 지속 가능한 디자인에 대한 많은 연구가 선행되어왔다. 플라스틱 백은 우리 일상에서 친근하게 쓰여 온 일상 소재 중 하나로, 현대사회 어디에나 존재하고 있다. 가볍고 내수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색상과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었지만 몇 백 년 동안이나 썩지 않고 연소 시 유해물질을 발생시켜 심각한 환경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사회적·환경적·경제적으로 문제가 되어온 플라스틱 백의 지속가능성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색상과 형태를 지닌 텍스츄어를 얻기 위해 섬유공예 기법을 이용한 서피스 디자인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지속 가능한 디자인에 대해 고찰하고 지속 가능한 텍스타일 디자인이 포함하고 있어야 할 요구조건과 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국내에서 연구된 지속 가능한 텍스타일 디자인 논문의 사례에 대해 파악하고, 연구 내용에 대해 연도별, 유형별, 주제별로 분류·분석하였다. 지속가능한 디자인은 많은 디자인 논문에서 연구의 주제가 되어왔으나, 텍스타일 디자인 분야에서는 비교적으로 적었다. 둘째, 플라스틱 백의 종류에 대해 조사하고, 소재적·환경적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플라스틱 백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열을 가할 시 변형이 가능하지만 가공 시 유해가스가 배출될 우려가 있어 인체에 무해한 소재의 플라스틱 백을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셋째, 플라스틱 백을 활용한 디자인 연구를 조형성이 두드러지는 섬유예술 작품과 텍스타일 제품 사례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그리고 그 사례들을 기법과 종류에 따라 분류·분석하여 타 연구와의 차별화를 통해 디자인의 독창성을 얻을 수 있는 방향에 대해 고민하였다. 넷째, 앞선 이론적 고찰과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플라스틱 백의 열가소성을 활용한 열 압착 기법을 중심으로 본 연구자만의 서피스 디자인을 제작하였다. 소재로는 연소 시 유해물질을 배출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한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 플라스틱 백을 사용하였고, 폴리에스테르 섬유, 글리터를 함유한 플라스틱 필름인 안젤리나 필름, 나일론사, 얇은 플라스틱 스팽글 등의 소재를 함께 결합하여 제작하였다. 기법으로는 플라스틱 백 소재가 가열할 경우 여러 가지 형태와 색상으로 변형이 가능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이라는 특성을 활용하여 열전사기와 다리미, 헤어 아이론, 실링기 등 다양한 열 압착 기구를 이용한 열 압착 기법을 중심으로 디자인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 외에도 형태와 텍스츄어의 다양성을 위하여 커팅, 위빙, 머신 스티치 기법 등을 함께 사용하였다. 위와 같이 디자인한 서피스는 열 압착기법이 적용되었기 때문에 내구성 또한 향상되므로 조형적인 형태의 아트워크 뿐만 아니라 의류와 패션 액세서리에 적용, 다양한 텍스타일 프로덕트로도 확장하여 제작하였다. 공예기법의 적용을 통해 획일화 된 텍스타일 제품 디자인에서 벗어나, 지속가능 디자인의 환경적 가치를 지닌 플라스틱 백 소재와의 융합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지속 가능 디자인과 깊은 연관성이 있다. 소비문화와 개성에 대한 가치 부여가 확대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본 연구자는 개발된 플라스틱 서피스 소재를 라이프 스타일의 범위까지 확장하여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플라스틱 백 소재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제고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개발·연구하겠다.

      • 제주지역 NIE 활동 지속가능성 요인 연구 : : 제주NIE학회 사례를 중심으로

        이현숙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311

        NIE(Newspaper In Education)는 신문을 교재로 활용하는 교육 활동이다. 제주에서의 NIE 활동은 학교와 신문사를 크게 두축으로 진행되고 있다. 학교에서 이뤄지는 NIE 수업과 신문사에서 추진하고 있는 NIE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이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이들은 NIE강사이다. 제주에는 대표적인 NIE 강사들로 구성된 제주NIE학회가 활동하고 있다. 제주NIE학회는 제주지역에서 자발적으로 구성된 NIE관련 단체로 2006년 NIE연구회로 출발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NIE학회의 지속가능한 요인을 가지고 제주지역 NIE 활동의 긍정적 요인과 저해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제주지역 NIE 강사에 대한 심층면접으로 진행되었다. 면접대상은 10명이었다. 연구결과는 면접 자료를 기초로 이루어졌다. 이번 연구에서 면접을 통해 강사들은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기준으로 3개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 번째 그룹은 NIE만으로도 지속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고 인식하는 그룹, 두 번째 그룹은 복합적 NIE 활동이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다고 인식하는 그룹, 세 번째 그룹은 NIE학회 회원 활동은 지속하고 있지만 NIE강사로서 활동을 지속적으로 하지 못하는 그룹이다. 이 연구에서는 면접결과를 바탕으로 제주NIE학회의 지속가능성 뿐 아니라 향후 제주의 NIE 활동의 지속가능성으로 확장할 수 있었다. 면접결과를 통해 분석된 제주지역 NIE 지속가능 요인은 다음과 같다. (1)강사 자신의 자아 성장을 통한 성취감 (2)지속적 신문 읽기의 필요성 (3)사회에 대한 관심과 지향 (4)신문사의 NIE 지원과 사업의 지속성 (5) NIE활동을 통한 경제적 성취 (6) NIE 지도자 활동을 통한 교육자로서의 보람 (7) 창의성 (8) NIE를 활용한 자녀교육 성과 (9) 강사들의 인간적인 네트워크 및 신뢰 (10) 다양한 교육과의 결합 용이성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저해요인은 (1) NIE 목적에 대한 지향점이 명확하지 않음 (2) NIE활동 강사들의 인간적 갈등 (3) 신문사의 NIE 지원 사업 약화 (4) 신문저널리즘의 신뢰도 하락에 따른 교육적 자료 활용도 떨어짐 (5) NIE를 통한 자신의 성장(자아실현)기회가 부족 (6) NIE 활동과 경제적 소득의 상관관계 (7) 신문 단일 매체활용 교육의 인기도 하락 (8) 시민교육 및 공동체 교육활동에 참여한다는 사명감 부족 (9)학교 현장의 NIE 효과에 대한 인식 미흡 등이다. 제주지역 NIE 활동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고 있는 긍정적 요인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지속가능성을 저해하는 요인들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과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 연구가 제주를 넘어 NIE의 지속가능성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추후 NIE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NIE 강사와 지도자 뿐 아니라 학교, 신문사, 교육현실, 제도적 변화 등이 필요하다는 것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NIE (Newspaper In Education) is an educational program that utilizes a newspaper as a textbook. A newspapers is a medium of long standing history. The refined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a newspaper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mocratic system by developing healthy public opinion in the middle of the new media age, in which a countless amount of information is abound. Although the NIE activities in Jeju are mainly run either in schools or newspapers, it is the NIE instructors and leaders wh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NIE programs promoted by schools and newspaper companies, link the two entities together. Jeju NIE Society is a voluntary research group that was established in 2006 in Jeju, composed of exemplary instructors of the field. In this study examined a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of the sustainability of NIE Society.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based on in-depth interviews of NIE instructors in Jeju, which were 10 in total. The result of the research was produced based on interview data. After the interview, the instructo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awareness of sustainability". The first group fully appreciated and took an optimistic view on its sustainability of NIE alone, whereas the second group considered NIE be sustainable by maintaining complex programs, and the third group continued as NIE Society members but not actively engaged as lectors. In this study, several factors of its sustainability, based on the interviews of members in NIE, are suggested as follows. There are several positive factors of sustainability of NIE activities: (1) the sense of accomplishment by the lector's personal development; (2) continuous reading of newspapers; (3) social interests and directions; (4) sustainability of the NIE support and business power; (5) financial achievement through NIE activities; (6) the sense of fulfillment as a NIE instructor; (7) creativity; (8) children's education using NIE methods; (9) human network and trust among the instructors; and (10) the ease of combination with various fields of education. Impeding factors include (1) uncertain directions of NIE; (2) relationship conflicts among the NIE instructors; (3) the weakening support of NIE projects in newspaper companies; (4) the decreased use of newspaper due to the lowered public trust of newspaper journalism; (5) lack of opportunities in personal development through NIE; (6) few financial benefit through NIE; (7) dropped popularity of newspaper-based media education; (8) lowered sense of mission in partaking civic education and community education; (9) low public awareness at schools. In order for NIE activities in Jeju to be sustainabl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efforts to maintain sustainable positive factors and to improve efforts to improve sustainability. I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help to study the sustainability of NIE beyond Jeju. This study was limited that it was short of the in-depth research of the need not only for the changes in NIE instructors and leaders but also in schools, newspaper companies, fields of education, and the overall system in order to ensure sustainability of NIE . It is believed that continuous researches and efforts are needed for the future.

      • 공공공간의 지속적인 활성화를 위한 민간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민간활용을 위한 제도를 중심으로

        이슬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3310

        Although urban public spaces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people's lives, they have problems that are not relevant to the daily lives of people. These issues justify relying on the public sector to plan, design, and manage public spaces unilaterally and uniforml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 tried to understand the legal system in Korea and overseas advanced cities to utilize the public space as the central space of life. I also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to Korea. <Chapter 2. Theoretical considerations> have summarized the concepts of terminology used in combination with public spaces. As a result, this study defined public spaces as 'a spaces that includes both public and private spaces that can be easily accessed and used by an unspecified citizens'. And through various prior studies the public spaces have been searched on the functionality, characteristics, roles, and values of public spaces in modern cities. In addition, the scope of public spaces was limited to roads and streets, urban parks, urban plazas, and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Finally, by identifying trends in the advanced cities of the world to see the need for the private sector to play a leading role in the use of public spaces in the cities to sustain the vitality of the city. <Chapter 3. Analysis of current legislation to civic utilization among the public> analyzed the legal system that applies to four types of public spaces. For this purpose, I tried to understand the problem by analyzing the legal system related to civil use by type of public spaces. <Chapter 4. Analysis of advanced cases> analyzed advanced overseas cases to improve the problems of Korean laws and systems as found in Chapter3, and thus derived the implications. The reason why I chose New York, San Francisco, and Tokyo as our cases is that the public spaces in which various private actors cooperate, operate, and manage are utilized in a variety of ways compared to the unilateral way of hiking. In addition, these cases show strong persistence in therms of operation and management. I examined the criteria for managing public spaces in the three cities and analyzed the legal system in terms of 'sustainability,' 'usability,' and 'flexibility' of public spaces. As a result, the following was the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legal system for the continuous revitalization of public spaces in Korea. First, the extent and scope of utilization of public spaces need to be extended. Second, managemen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at the area level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maintenance an management. Third, the possibility among those who manage public spaces should be ensured. Fourth, it is necessary to change public perception about public spaces by expanding civic engagement and promoting them. As shown above, trends from abroad were reviewed for continued revitalization of public spaces and analysis items were derived from the point of private us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for improvement in legal system so that the public spaces of the advanced overseas cities can be used by the private sector. 도시에서의 공공공간은 도시민들의 생활환경을 비롯한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시민들의 일상적인 생활과 밀착하지 못하는 문제를 지니며, 이러한 문제는 공공부문에 의존하여 일방적이고 획일적인 계획·설계·관리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을 반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에서의 공공공간을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생활의 중심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공공공간의 역할 증대시키고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것에서 출발하였고, 그 해결방안의 하나로 우리나라와 해외 선진도시들에서의 공공공간 민간활용 관 련 법·제도를 파악하여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위한 효율적인 운영방안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2장 이론적 고찰>에서는 제일 먼저 공공공간과 혼용되어 사용되는 용어의 개념을 정리하고 법적 정의와 선행연구를 통한 개념적 정의를 통하여 공공공간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공공공간은 ‘공적·사적인 공간을 모두 포함하여 도시민들을 위하여 조성되고 개방되어 불특정 다수가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이용이 가능한 외부 활동 공간’이라 정의하였다. 그리고 공공공간에 대한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현대 도시에서 공공공간이 가지는 기능과 특성, 역할과 가치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또한 법·제도상에 서 명확하게 범위를 제시하지 않는 공공공간 유형의 범위를 도로 및 가로, 도시공원, 도시광장, 공개공지로 한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시 활력의 지속화를 위하여 해외 선진 도시들에서는 어떠한 동향이 있는지 파악함으로서 민간이 주체가 되어 도시 내 공공공간을 활용하는 것의 필요성을 실감하였다. <제3장 현행 공공공간의 민간활용 관련 법·제도 분석>에서는 앞서 분류한 공공공간의 네 가지 유형에 적용되는 법·제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고찰에서 분류한 공공공간의 유형별로 민간활용 관련 법·제도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제4장 공공공간의 민간활용 관련 법제도 해외 선진사례 분석>에서는 제3장에서 확인한 우리나라 법·제도의 문제점 개선을 위하여 해외 선진 우수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해외 선진사례는 다양한 민간참여주체가 협력하여 운영·관리가 이루어지는 공공공간은 관주도의 일방적인 방식에 비하여 다양하게 활용된다는 점과, 운영·관리의 측면에서 지속성이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미국 뉴욕 및 샌프란시스코와 일본 도쿄를 선정하였다. 세 도시에서 공공공간을 어떠한 태도로 다루고 있는지, 공공공간 별로 어떠한 기준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공공공간의 ‘지속성’과 ‘활용성’, ‘유연성’ 이라는 시점에서 법·제도 및 지침을 분류하여 각 항목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도출된 추후 개선사항들을 종합하여 우리나라 공공공간의 지속적인 활성화를 위한 민간활용 관련 법·제도의 개선방향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이 네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공공공간의 활용 범위와 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유지·관리의 지속성 확보를 위하여 지구적 차원에서의 관리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공공공간을 관리하는 주체 간 개연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넷째, 무엇보다 시민참여의 확대와 홍보를 통하여 공공공간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위와 같이 본 연구는 공공공간의 지속적인 활성화를 위하여 해외의 동향을 살펴보았고, 이를 토대로 민간활용의 시점에서 분석항목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와 해외 선진 도시의 공공공간을 민간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를 법·제도 및 지침을 분석한 후, 우리나라의 추후 가능성과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유휴산업시설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공간 재생 방안 연구 : 광주광역시 상무소각장을 중심으로

        김선진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10

        Cultural consumption patterns have been diversified due to paradigm shifts in modern society following rapid economic growth. Accordingly, as various types of cultural spaces that can embrace all generations are required, the use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which have lost social value, has increased. As the existing cultural and artistic space is mainly composed of functional parts, there is a limit to accommodating the various demands of consumers according to social changes, so interest in the utility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is increasing. It is economically, socially and culturally meaningful to create new added value by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existing neglected facilities, rather than supplying development-oriented cultural facilities due to population decline. However, many idle industrial facility cultural regeneration spaces cannot b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facilities due to lack of program diversity and content update according to generational changes, and they cannot be operated continuous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a plan for continuous revitalization of space by properly harmonizing the specificity and operation of the facility. This study aims to restore cultural relationships by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ultural regeneration for continuously revitalized complex cultural facilities. To this end, cultural content is an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in order to recover the cultural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s by regenerating it as a differentiated cultural space away from the existing uniform cultural regeneration. Accordingly, it was theoretically considered through prior research on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cultural contents,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analyzing domestic and overseas cases that are continuously active. Based on these contents, as a visible example of the use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a complex cultural space using new tech art, the next-generation cultural content, was proposed for the Sangmu incinerator. In addition, the status of the site was analyzed, the final plan was presented, and the results of research for the sustainable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were derived. This is meaningful as a case because of the need to activate cultural facilities in various ways along with cultural regeneration, and I would like to suggest the applicability and direction of application as basic data that can be reviewed when there are similar cas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that can be referenced in the future for spatial composition and planning for sustainable cultural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급격한 경제성장에 따른 현대사회의 패러다임 변화로 문화 소비패턴이 다변화되었다. 이에 전 세대를 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문화공간이 요구되면서 사회적 가치를 잃은 공간인 유휴산업시설의 활용이 증가하였다. 기존의 문화·예술 공간은 기능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사회적 변화에 따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유휴산업시설의 활용성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인구감소에 따른 개발 위주의 문화시설 공급이 아니라 기존에 방치된 시설들에 대한 효용성을 타진해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많은 유휴산업시설 문화재생 공간은 세대 변화에 따른 프로그램 다양성과 콘텐츠 업데이트의 미흡으로 기존시설들과 차별화되지 못하며, 지속적으로 운영되지 못하는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시설의 특이성과 운영을 적절하게 조화하여 공간의 지속적인 활성화 방안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하여 문화적 관계성을 회복하고 지속적으로 활성화되는 복합문화시설에 대한 문화재생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화콘텐츠는 기존의 획일화된 문화재생에서 벗어나 차별화된 문화공간으로 재생하여 세대 간 문화적 관계성을 회복하기 위한 중요한 고려요소이다. 이에 따라 유휴산업시설과 문화콘텐츠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고, 지속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국내ˑ외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유휴산업시설의 활용에 대한 가시적인 예시로써 상무소각장을 대상으로 차세대 문화콘텐츠인 뉴 테크 아트를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을 제안하였다. 또한 대상지 현황을 분석하고 최종 계획안을 제시하였으며, 유휴산업시설의 지속가능한 재생을 위한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는 문화재생과 더불어 문화시설을 다양하게 활성화해야 할 필요성에 의해 하나의 사례로써 의미가 있으며, 유사사례가 있었을 때 검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적용 가능성과 적용 방향성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추후 유휴산업시설의 지속가능한 문화재생을 위한 공간 구성 및 계획 시 참고할 수 있는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보존과 활용 증대 방안 연구 : 돈암서원 사례를 중심으로

        김영숙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08

        2019년 7월 6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한국의 서원」을 세계유산으로 등재를 결정하면서 9개 서원을 포괄하는 통합 보존·관리방안과 함께 통합해설 마련을 권고하였다. 본 논문은 이에 따른 서원의 보존관리체계 현황과 보존·관리 및 활용과 관계된 법령과 정책, 지정 및 관리 체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유네스코 세계유산 돈암서원의 문화재 보존과 활용 증대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논지를 전개하였다. 첫 번째는 서원의 역사적 변천과 경관적 특성 및 기능, 조선시대 향촌사회에서 역할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서원은 단순히 교육기관으로 그치지 않았다. 체계적인 조직운영과 관리 제도를 바탕으로 선현제향과 학맥형성, 향음주례 등을 통해 향촌문화를 주도했음을 정리하였다. 두 번째는 서원의 보존과 활용현황 분석을 위해 관련 법령과 정책현황, 지정현황과 관리체계를 분석하였다. 문화재보호법과 관련지침,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를 통해 「한국의 서원」 통합관리를 위한 한국의 서원 세계유산센터 설립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출범이 지연되면서 연속유산인 9개 서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세 번째는 서원의 보존과 활용실태 분석을 통하여 9개 서원 연속유산에 대한 통합적인 활용프로그램의 부재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표적인 유학교육시설 활용사업인 향교·서원 활용사업에 있어서 진정성을 고려하지 않는 양적 성장과 향교·서원 활용사업 지원 건수의 불균형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민관산학 뉴거버넌스를 통한 영주 소수서원의 유교콘텐츠와 선비촌의 선비문화를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우수사례로 제시하였다. 네 번째 돈암서원의 통합적 보존과 활용 증대와 관련하여 유·무형문화재의 지속가능한 통합적 보존과 활용, 세계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와 완전성·진정성 보호 방안, 지속가능한 보호관리 체계와 모니터링 평가 방안, 서원 네트워킹과 주민참여를 통한 지속가능한 관광자원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서원」 돈암서원의 차별성 있는 활용프로그램을 위해 제향인물, 학문과 관련한 콘텐츠를 활용한 개별프로그램 제안과 다른 8개 서원 간 연계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을 제안하였다. 돈암서원 활용 증대를 위해 정부·지방자치단체·지역민 간의 뉴거버넌스를 통해 7년째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신축 체험시설인 예학관과 한옥마을 문제를 해결하고 한국의 서원 세계유산센터 유치 등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함을 강조하였다. 이 같은 간접자본 마련 후에는 돈암서원과 사계고택 등 연산-계룡을 잇는 사계 김장생 관광코스 개발로 활성화를 모색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원의 문화유산적 가치인식과 지속가능한 활용 증대를 위한 통합적 보존·관리 및 활용체계 구축의 필요성 강조하였다. 또한 지역민의 지역유산의 모니터링 및 활용프로그램 참여유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돈암서원의 활용 증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On July 6, 2019, the World Heritage Center, UNESCO decided to inscribe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as a World Heritage, it recommended to prepare an integrated explanation of nine Korean Seowons along with an integrated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covering the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conserv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and the analysis of the legislations, policies, and systems of designation and management related to con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thereof; this article set out the following thesis to suggest a measure on increasing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Donamseowon as the UNESCO World Heritage. Firstly, this study considered the historical change of seowon,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landscape, and the role and meaning in the country community of the Joseon Dynasty. Seowon was not just an educational institution. Based on a systematic organizational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it is summarized that the country community culture was led through the formation of veneration, the formation of academia, and the rite of drinking(Hyangeumjurye). Secondly, this study analyzed related legislations, current policies and designations, and management systems along with the current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Seowons. Based on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and its guidelines and also ordinances by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raised a need to establish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As the launch of World Heritage Center for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was postponed, there were difficulties with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serial heritage across many different areas. Thirdly, through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status analysis of the Seowon, this study suggested measures to overcome the problem of the absence of an integrated utilization program for the serial heritage of the nine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Also this study pointed out the problems of quantitative growth without considering authenticity of the Hyanggyo and Seowon utilization projects and the imbalance in the number of support for Hyanggyo and Seowon utilization projects. Besides, this study suggested the best practice of utilizing integrally the culture of Confucian scholars and Confucian content of Yeongju Sosu Seowon and the village of Confucian scholars based on the new-governance between private, government, industry, and/or academy. Finally, this study proposed a couple of plans to promote the integrated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Donamseowon including the integrated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e protection of World Heritage's remarkable universal value, integrity, and authenticity, plans based on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monitoring and evaluation plans, and sustainable tourism resources through Seowon networking and resident participation. Individual programs were proposed based on content about enshrined figures and studies to ensure a differentiating utilization program for Donamseowon as a Korean Seowon. Also proposed in this study were programs to connect eight Seowons in planning and management. It is critical to solve the issues of Yehakgwan, which is a new experience facility not in service for seven years, and Hanok Village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Donamseowon through the new governance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local residents. It was also highlighted to make active efforts such as the attraction of World Heritage Center. Once such indirect capital is funded, it is important to promote the vitalization of Donamseowon and Sagye's old house to develop a tourist course of Sagye Kim Jang-saeng between Yeonsan and Gyeryong. The present study puts an emphasis on an integrated con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system to promote Seowons' value as cultural relics and their sustainable utilization. It also proposed plans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Donamseowon by inducing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monitoring and utilization programs for local heritage and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 재활용 플라스틱 공공벤치 디자인 연구

        권미정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276

        The issue of sustainability regarding the environment, resources, and nature is deepening, and even in the public sector, consideration is being given to sustainable cycles. Despite the advantages of plastic, such as its lightweight and versatility, there are environmental pollution issues, and with mixed plastics, continuous recycling is difficult, making the use of single plastics important. The public bench recycling in Korea have an experimental nature aimed at improving citizens'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Moreover, since mixed plastics and concrete mixtures are common, there are limitations to continuous recycling.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proposes the design of a public bench using a single recycled plastic material that meets the existing public bench guideline conditions for sustainable plastic recycling and the sustainability of public goods. To achieve thi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ublic bench guidelines were analyzed using a universal design evaluation system. As a result, five key criteria—maintainability, simplicity, accessibility, safety, and convenience—were identified, and the priorities of these criteria were determined. The status of recycled plastic application in public benches was assessed through case studies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The results showed that mixed plastics were used in domestic cases, while abroad cases included examples of public benches made from single recycled HDPE plastic. To identify suitable materials for single recycled plastic public benches, the properties of HDPE used in abroad cases and PET, PP, and PS, which were confirmed to be recyclable, were compare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PP and HDPE were chosen as relatively easy-to-recycle materials. Subsequently, a comparative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ties of PP and HDPE was conducted, confirming that HDPE is more suitable for public benches. Furthermore, basic design considerations, including functionality, form, structure, material, color, and size, were proposed to establish a basic design for recycled plastic public benches while meeting existing guideline recommendations and considering recycled plastic material application. Simulation tests using FUSION360 were then conducted on the components forming the basic design—legs, seat, and connecting structures. Based on the safety factor of the derived structure, improvements were made to enhance structural stability. The simulation validation results suggested that an H-shaped structure for the legs was suitable for distributing loads, and an additional H-horizontal beam was added to the seat to distribute applied forces. This design conforms to the guideline recommendation of concealing structural joints. The thickness of the seat was determined to be between 30 to 50T, and a rib structure with minimal strength difference and economic benefits compared to solid seat was applied to the legs and seat. Additionally, to meet the guideline recommendation of easy drainage and drying during rain, a drainage structure was applied to the seat panel. The leg structure was divided into two parts for injection molding, with a cantilever snap-fit adopted for their connection, while an annular snap-fit connection method was applied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at and legs, ensuring sustainability by using recyclable materials for all components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This study proposes a structurally stable design using single recycled plastic, meeting the guidelines of existing public benches within the scope of sustainable circulation of public goods, without mixing with other material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fundamental data for public bench design using various recycled materials. 환경과 자원 및 자연에 대한 지속가능성 문제는 심화되고 있으며, 공공 분야에서도 지속가능한 순환을 고려하고 있다. 플라스틱은 가볍고 성형이 자유로운 장점에 비해 환경오염의 문제점이 존재하며, 혼합 플라스틱의 경우 지속적인 재활용이 어려워 단일 플라스틱 사용이 중요하다. 국내 재활용 플라스틱 공공벤치는 환경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 개선을 위한 캠페인과 같은 실험적인 성격을 띠며, 더욱이 혼합 플라스틱과 콘크리트 혼합사용이 일반적이기에 플라스틱의 지속적인 재활용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플라스틱 재활용과 공공재의 지속가능성을 목적으로 기존 공공벤치 가이드라인 조건을 충족하는 단일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의 공공 벤치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국내외 공공벤치 가이드라인을 유니버설 디자인 평가체계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유지 보수성, 단순함, 접근 가능성, 안전성, 편리성 다섯 가지의 주요 항목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주요 항목들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국내외 재활용 플라스틱 적용 공공 벤치 사례 분석을 통하여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현황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국내 사례에서는 혼합 플라스틱이 사용되고 있었고, 국외에서는 HDPE의 단일 재활용 플라스틱의 공공벤치 사례가 존재했다. 이에 단일 재활용 플라스틱 공공벤치에 적합한 소재 확인을 위해 국외 사례에서 사용된 HDPE와 앞서 재활용 가능함을 확인한 PET, PP, PS의 물성을 선행연구를 통해 비교하였고, 비교적 재활용이 수월한 PP와 HDPE로 범위를 좁혔다. 이후 PP와 HDPE를 대상으로 물성비교실험을 실시하여 HDPE의 물성이 공공벤치에 더 적합함을 파악하였다. 또한 재활용 시 소재의 물성이 달라질 경우 용도에 맞게 물리적 특성을 변경하여야하기에 선행연구를 재활용 HDPE의 물성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HDPE가 재활용 시 물성 변화가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으로 기존 가이드라인의 권장사항을 충족하면서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 적용을 고려하여 기본 디자인 고려사항과 기능, 형태, 구조, 소재 및 색상, 크기에 대한 디자인 기본 방향을 설명하였고, 이에 따라 재활용 플라스틱 공공벤치 기본 디자인을 결정하였다. 이어서 기본 디자인을 이루고 있는 다리, 좌판, 결합구조에 대하여 시뮬레이션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도출된 구조의 안전계수에 따라 구조적인 안정도를 판단하여 디자인을 개선해 나아갔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테스트 결과에 따라, 다리에는 하중을 분산하는 H형태를 채택하였으며, 좌판에는 가해지는 힘의 분산을 위해 H수평보를 추가하였다. 이는 가이드라인 권장사항 중 ‘구조(볼트 등의 접합체)를 드러내지 않는 디자인’에 부합하도록 한 것이다. 좌판의 두께는 30∼50T가 적당하였고, 다리와 좌판에는 통판에 비해 강도차이는 적고 경제적 이점은 큰 리브 구조를 적용하였다. 또한 가이드라인 권장사항 중 ‘우천 시 배수가 용이하고 건조가 쉬운 디자인’을 충족하도록 좌판에 배수 구조를 적용하였다. 다리 구조는 사출을 고려하여 두 파트로 나누었으며, 두 파트의 결합은 외팔보 형상의 Cantilever Snap-Fit을 채택하였고, 좌판과 다리의 결합에는 원형 고리 형상의 Annular Snap-Fit 체결 방식을 적용하였다. 이때 다른 소재의 결합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디자인된 공공벤치의 모든 부품이 재활용 가능하도록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추구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공공벤치의 가이드라인을 충족하는 범위에서 공공재의 지속가능한 순환적인 자원 활용을 위해 다른 소재와의 혼합 없이 단일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안정적인 구조 설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다양한 재활용 소재의 공공벤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중국의 역사문화지구의 활용과 지속 가능한 보존을 위한 도시재생모델 구축

        최지원 계명대학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3261

        중국은 1979년 개혁개방 이후 급속한 경제발전을 거듭하는 동안 도시화비율이 1979년 20% 미만에서 2020년 60%를 넘을 정도로 도시가 빠르게 발전했다. 유럽 선진국이 100년 넘게 걸려 이룬 도시화를 불과 수십 년만에 이루게 된 셈이다. 그러나 도시화 과정에서 여러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도시 면적이 외부로 계속 확장되고 도시 경제구조가 변하고 도시 신시가지의 인프라가 더욱더 잘 갖춰지면서 도시에 원래 존재하던 구시가지는 쇠퇴하게 되었다. 인구가 신시가지로 유출되면서 결국 많은 도시에서 공동화 현상도 발생했다. 도시의 역사문화지구는 도시의 중심부에 위치해 도시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큰 피해를 받게 되었다. 역사문화지구는 재생 불가능한 자원이므로 도시 문화유산은 돌이킬 수 없는 손실을 피할 수 없었다. 오늘날 중국 정부는 구시가지의 개조와 재생에 대해 과거와 같은 “엄청난 규모의 철거 및 건축”을 해서는 안 된다는 인식으로 문화유산과 역사문화지구 보존을 위한 관련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여기에는 역사문화지구의 파괴를 개선하고자 하는 정책 또한 있다. 그러나 각 지자체의 통일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이 없어 역사문화지구에는 새로운 유형의“건설로 인한” 파괴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현실적 배경을 바탕으로 중국 역사문화지구의 보존 및 활용 방안을 연구해 중국 도시 역사문화지구의 도시재생 모델을 구축했다. 본 논문에서 구축한 재생모델은 역사문화지구와 역사 문화유산을 보존하는 동시에 도시화 과정에서 나타난 도심 쇠퇴와 공동화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 구시가지의 개조와 재생에 관한 구체적인 실행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정부의 주도하에 진행되는 도시재생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up in 1979, China’s economy has developed by leaps and bounds. The urbanization rate in China has grown from less than 20% in 1979 to more than 60% in 2020. In a few short decades, China has gone a long way in urbanization, which took more than a hundred years to achieve in the developed countries in Europe and America. Whereas, there were many problems in the process of urbanization. As the urban areas continue to expand, changes in its economic structure, and further improvement in the infrastructure in new urban districts, has given rise to the recession in old city centers, and migration to the new urban districts, leading to a hollowing-out of the old city centers in many cities ultimately. In the process of urbanization,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as often as not located in the old city centers, have suffered great damage. Since they are non-renewable resources, it has taken a irreparable toll on urban cultural heritages. At present, Chinese government has been aware that renovation and rehabilitation of old urban districts would not be blind demolition and reconstruction what it had ever been before. Therefore, the government has related policies and regulations in place to protect cultural heritage and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They are helpful to protec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from damaging in some extent. However, local governments are lack of inified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resulting into a new round of destructive construction in these areas. Based on the practical demands of th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Chinese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dissertation is to develop an urban renovation model which is suitabl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in Chinese cities. It can not only protect these areas and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areas, but also solve some problems in the process of urbanization, such as recession and a hollowing-out in old city centers. It suggests specific implementation of renovation and rehabilitation of urban old central areas for the government, so as to achieve the goal of urban reno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