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대상으로

        이현숙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the Group Art Therapy(GAT) i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children at a local child center and ultimately to help them lead better school life and improve social adapt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eight children who were using a local child center "H" in Hwaseong city, Gyeong-gi province. After a preliminary test, one-shot case study consisting of eighteen sessions was conducted with a researcher-developed GAT program for this study and with some extracts from the existing GAT programs. A post-test was done thereaf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self-expression at the local child center. The global self-expression showed an increase from 59.85 in the pre-test to 76.28 in the post-test.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paired-sample t-test results as t=-2.715(p<0.01). The self-expression, as a sub-domain of self-expression, displayed a meaningful change as t=-2.589 (p<0.05) in the paired-sample t-test with the scores of 26.88 in the pre-test and 32.01 in the post-test. The verbal self-expression showed a significant change with 20.45 in the pre-test, 27.45 in the post-test and t=-2.919(p<0.05) in the paired-sample t-test. Also in the nonverbal self-expression, a notable change was observed: 12.59 in the pre-test, 16.88 in the post-test and t=-5.508(p<0.01) in the paired-sample t-test. As above, the test results proved the effect of the GAT program at a local child center in the total self-expression and its sub-domains of self-expression, verbal self-expression and nonverbal self-expression, Secondly, the GAT proved to be notably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self-esteem at the local child center. The global self-esteem showed a notable increase from 97.55 in the pre-test to 107,84 in the post-tes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paired-sample t-test results as t=-4.643(p<0.01). As sub-conceptual domains of self-esteem, the general self-esteem had non-significant change: 21.12 in the pre-test, 22.98 in the post-test, and in the paired-sample t-test result of t=-2.408(p>0.05). The social self-esteem also did not show any notable change in the results as 27.41 in the pre-test, 28.55 in the post-test and t=-1.329(p>0.05) in the paired-sample t-test. In the home self-esteem, however, there was a meaningful change: 27.55 in the pre-test, 31.96 in the post-test and t=-3.215(p<0.01) in the paired-sample t-test. Also in the school self-esteem, a notable change was observed: 21.41 in the pre-test, 24.27 in the post-test and t=-3.869(p<0.01) in the paired-sample t-test. As for the self-esteem, the GAT prov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global self-esteem and its sub-conceptual domains of the home self-esteem and school self-esteem, while the general self-esteem and the social self-esteem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mak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GAT conducted for children at a local child center proved its effects as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achieved positive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they recovered from negative self-image caused by psychological weaknesses and frustration. Secondly, for the GAT in this study was the short-term program of only eighteen sessions, follow-up studies are necessary to develop many different long-term programs and more art therapy programs suitable for each age group Thirdly, art therapy competence as group workers should be enhanced by organizing a committee or association for art therapy programs as a way of realizing group social welfare.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보다 나은 학교생활과 사회에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화성시에 거주하고 H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아동 8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기존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서 발췌한 내용과 본인이 개발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총 18회기에 걸쳐 단일사례를 진행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기표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전체 자기표현 요소를 보면 사전점수 59.85에서 사후점수 76.28로 향상되었고, 대응 표본 t-검정 결과 t=-2.715(p<0.01)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자기표현의 하위요인인 자기표현요인은 사전점수는 26.88, 사후점수는 32.01이며 대응 표본 t-검정 결과 t=-2.589 (p<0.05)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음성적 자기표현요인은 사전점수는 20.45, 사후점수는 27.45이며 대응표본 t-검정 결과 t=-2.919(p<0.05)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비언어적 자기표현요인은 사전점수는 12.59, 사후점수는 16.88이며 대응 표본 t-검정 결과 t=-5.508(p<0.01)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연구결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전체 자기표현과 자기표현의 하위요인인 자기표현, 음성적 자기표현, 비언어적 자기표현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 자아존중감을 살펴보면, 사전점수는 97.55, 사후점수는 107,84이며 대응 표본 t-검정 결과 t=-4.643(p<0.01)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총체적 자아존중감요인은 사전점수는 21.12, 사후점수는 22.98이며 대응 표본 t-검정 결과 t=-2.408(p>0.05)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사회적 자아존중감요인은 사전점수는 27.41, 사후점수는 28.55이며 대응 표본 t-검정 결과 t=-1.329(p>0.05)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가정적 자아존중감요인의 사전점수는 27.55, 사후점수는 31.96이며 대응 표본 t-검정 결과 t=-3.215(p<0.01)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학교적 자아존중감요인의 사전점수는 21.41, 사후점수 24.27이며 대응 표본 t-검정 결과 t=-3.869(p<0.01)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자아존중감은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총체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지만 전체 자아존중감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가정적 자아존중감과 학교적 자아존중감은 집단미술치료가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효과성이 검증된바와 같이 자신들의 가치를 낮게 보던 심리적 위축감과 좌절감에서 긍정적인 자기표현 및 자아존중감의 향상으로 회복하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18회기라는 단기간에 규명 하였기에 추후 연구에서는 장기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과, 집단의 연령층 단일화로 단계에 맞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개발, 보충되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집단사회복지실천에서 미술치료사의 역량강화를 위하여 전문적인 미술치료 교육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위원회 또는 협회가 조직되어야 할 것이다.

      • 가상 물체의 표면 거칠기 표현을 위한 햅틱 텍스쳐 연구

        이현숙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에서는 햅틱 디바이스 PHANToM 한 대를 이용하여 실제 물체의 표면 거칠기 패턴을 확인하고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구성된 햅틱 텍스쳐를 생성하여 가상 물체에 적용시키는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그래픽스에서의 텍스쳐의 원의미가 물체면에 인위적으로 미세한 굴곡을 부여함으로써 재질을 형성하는 것이었던 사실과 같이 기본적인 햅틱 텍스쳐는 표면의 미세한 기하학적 정보를 모두 포함하지만, 이는 햅틱 렌더링 시간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어 사용자에게 사실적이고 세밀한 역감을 제시하기에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때문에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는 햅틱 텍스쳐의 연구는 가상환경에서의 경험을 현실과 같이 구현하려는 가상현실 분야를 포함하여 실제적인 촉감 제시를 목표로 하는 모든 햅틱 분야에서 빼놓을 수 없는 주제라고 여겨진다. 이전 연구인 ‘PHANToM 한 대를 이용한 물체의 표면 마찰력 학습 및 가상환경에의 적용’ 에서는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실제 물체의 마찰력을 학습하고, 가상 환경에서 학습된 데이터를 가상 물체에 적용하여 사용자게에 실제와 비슷한 느낌을 제공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 연구는 신경회로망의 학습 과정에서 각 재질마다 가지고 있는 특유의 마찰 패턴을 평균화시키게 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HANToM 한 대만을 이용하여 재질의 마찰 패턴을 조사하면서, 그 특성과 유사한 패턴을 가진 임의의 햅틱 텍스쳐를 생성한다. 각각 생성된 다양한 햅틱 텍스쳐는 가상 평면에 적용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각각의 다른 거칠기 느낌을 제공한다. 아주 정확한 실제 물체의 데이터 해석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실제 물체의 마찰 패턴과 유사한 패턴을 생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 데에 본 논문의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In this paper, som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find tactile characteristics of several real objects, and certain patterns of virtual haptic texture were generated and were applied to surfaces of virtual objects by using a desktop PHANToM, one of commercialized haptic devices produced by Sensible Technologies, Inc.. Original texture means making roughness by having detailed curves of a real object in graphics, so basic haptic texture had all detailed information of the object surface. It causes increment of the haptic rendering time, so that it is difficult to give user the sense of reality and detailed virtual force. Therefore, the study of creating haptic texture that make texture expression easier and simpler is very important subject in haptics. In the previous research [1] “Surface Friction Learning for Objects Using a PHANToM and It's Application in Virtual Environment," a method to give the user some feeling of friction like a real object is studied using neural networks learning, and the trained neural network is applied to virtual objects. But, this study has a limit that it can only represent an averaged friction of a surface, not roughness of the surface. So, in this paper, I performed some experiments on several real objects to get their surface friction patterns, and made haptic textures that have similar patterns with real objects using a PHANToM. Each haptic texture gives a user different feeling when it is applied to virtual surfaces. Although it was not completely successful to analyze data of real objects surface roughness patterns, it is worth showing that creating such patterns are possible which are similar to roughness patterns of real objects.

      • 방사선 조사 식육에서의 Hydrocarbon류 검지기법

        이현숙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e method of detection of hydrocarbons in meat treated by irradiation using GC/MS analysis. The solid phase extraction (SPE) method was used as an alternative to florisil column chromatography to test beef, pork, chicken irradiated with a ^(60)Co source at 1, 3 and 5 kGy. Fat 1 g extracted from irradiated meat samples was weighed and eicosane (5 ㎍/㎖) was added to n-hexane.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after placing at -70℃, centrifuging, and repeating the process twice. The supernatant was cleaned up by SPE and concentrated to 1 ㎖ for GC/MS analysis. 1. The hydrocarbons standards which have 12~18 carbons were diluted to be between 0.2 ㎍/㎖ and 10 ㎍/㎖. The linear regression coefficients(r²) were above 0.999 2. The recoveries of 5 ㎍/㎖ standards of 16 hydrocarbons were between 90.51± 0.6 and 111.20± 0.7%. 3. The hydrocarbons determined in beef irradiated at 1, 3 and 5 kGy were 1-tetradecene, pentadecane, 1,7-hexadecadiene and 8-heptadecene. For pork irradiated at 1, 3 and 5 kGy, the hydrocarbons determined were pentadecane, 1,7-hexadecadiene and 8-heptadecene. For chicken irradiated at 1, 3 and 5 kGy, hydrocarbons determined were 1,7-hexadecadiene, hexadecane and 8-heptadecene. The detected hydrocarbons were dose dependent to the irradiated dose and concentrations and average regression coefficients(r²) were above 0.98. This study shows that these hydrocarbons can be used as markers for the determination of irradiation in meats and suggests that the deep freezer-SPE method would be a useful approach to detect the hydrocarbons in irradiated meats.

      • 활성화된 B 세포에 대한 중간엽줄기세포의 IgE 생산조절능력

        이현숙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47

        중간엽줄기세포 (MSCs) 의 선천면역 및 적응면역체계에 대한 전반적인 면역조절능력은 이미 알려졌으나 B 세포에 대한 면역조절능력 및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MSCs의 B 세포에 대한 면역조절능력, 특히 활성화된 B 세포의 IgE 생산에 대한 조절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C3H mouse의 골수로부터 단일클론 중간엽줄기세포 (cMSCs)를 분리하고, C57BL/6 mouse의 비장세포로부터 분리된 T 세포와 cMSCs를 함께 배양하여 T 세포의 증식과 IFN-γ의 생산을 측정하였다. BALB/c mouse의 비장세포로부터 B 세포를 분리하고 lipopolysaccharide (LPS)/IL-4 또는 CD40항체/IL-4로 자극하여 활성화시킨 후 cMSCs와 함께 배양하였다. 배양방법으로는 cMSCs와 B 세포를 함께 배양하는 co-culture 시스템과 트랜스웰을 사용하여 세포간 직접접촉을 하지 않고 배양하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cMSCs는 T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IFN-γ의 생산을 억제하였다. Co-culcure 시스템과 트랜스웰 배양 시스템 모두에서 cMSCs는 활성화된 B세포의 IgE, IgG1의 생산을 감소시켰고, IgD 하향조절을 억제하였으며, 세포분열을 억제하였다. 또한 cMSCs는 활성화된 B 세포의 세포사멸을 촉진하지는 않았고, ε germ-line transcripts (εGLT)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cMSCs는 활성화된 B 세포의 세포분열을 억제하고 면역글로불린계층전환(immunoglobulin class switch recombination)을 억제하여 IgE, IgG1의 생산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세포간 직접접촉에 의해서가 아니라 cMSCs가 분비하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수용성인자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측된다.

      • 실시간 의뢰자/제공자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가용도를 높이는 회복 기법에 대한 연구

        이현숙 공주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47

        It is very important that in a client-server environment a real-time database system manages transactions or actions submitted to clients dynamically. A recovery scheme with high availability of the system is necessary to the real-time database system, In this thesis I analyzed several recovery schemes in a disk-oriented database system and a main-memory database system, I proposed a structure of the system with efficient recovery in the client-server real-time database system, I designed a backup method and a checkpoint method in the system

      • 경기도 보육서비스 전달체계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현숙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Study on The Child Care Service Delivery System of Gyeonggido Hyunsuk Lee Depart of Urban Scienc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This study has considerations of the Actual conditions and improvement of child care service delivery system of Gyeonggido. So this study divided child care service delivery system into three parts which are administration and support system, facilities and human resources, child care services and programs. The consideration about actual conditions and improvement of child care service delivery system of Gyeonggido are as follows: First, in the view of administration and support system, it has multi-pillar system so they had not enough efficiency on administration practice and support systems are not linked with community so it had not enough effectiveness. Second, child care facilities supplement has dependency on private sector but it has inappropriate qualities and quantities. also, professionals are not enough. Third, child care services and programs are not various and its benefits are not delivered to child who was raised at home. To improve child care delivery systems, supporting system have to link with community more than it before, re-training professionals to improve their child care practice skills and developing various child care services and programs. keyword : child care policies, child care service, child care service delivery system. 국문초록 본 연구는 경기도의 보육서비스 전달체계의 실태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경기도 보육서비스 전달체계를 행정∙지원의 조직의 면, 인력과 시설의 면, 서비스와 프로그램의 체계로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에 따른 경기도 보육서비스 전달체계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달조직에 대한 분석은 다음과 같다. 행정체계가 다원화 되어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며 지원체계가 지역사회와의 연계가 부족하다. 둘째, 보육시설의 민간의존도가 높으나 민간시설의 질은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시설이 소규모이고 이에 따라 도시와 농촌, 아동의 연령에 따른 수급불균형 현상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셋째, 보육 서비스 및 프로그램의 측면에서는 보육프로그램의 다양성이 부족한 것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또한 서비스가 재가보육아동에 대하여서 전달되지 않는 것도 문제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보육서비스 전달조직과 관련하여 보육정보센터 확대 설치 및 기능강화를 하여 지역사회와 보육서비스간의 연계를 강화시키고 보육정보센터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서 다양한 보수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해야 할 것이며 경기도의 행정조직에 의한 민간시설의 지원확대를 통하여 보육서비스 전달의 질을 높여야 한다. 둘째, 시설과 인력의 측면에서는 보육교사의 보수교육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여 보육서비스 인력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공공보육시설의 공급을 늘려 보육서비스의 전달의 지역 간 격차를 없애고 도내의 모든 아동에게 전달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평가인증제에 대한 유인책을 제공하여 아동이 안전하고 건강한 환경에서 보육이 이루어지게 하여야 한다. 셋째, 보육서비스와 프로그램의 측면에서 보육프로그램의 보급을 확대하고 다양한 대상을 위한 다양한 보육형태를 개발하여 보육서비스 급여가 보편적이고 적절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보육서비스가 전달되지 않는 시설미이용 보육대상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주요어 : 보육정책, 보육서비스, 보육서비스 전달체계

      •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의 지시사 연구 : 高等学校日本語教科書における指示詞の研究 : 이현숙

        이현숙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고등학교 일본어 수업에서 사용하는 교과서「日本語Ⅰ」과「日本語Ⅱ」의 12종과 각각의 교사용지도서 12종을 바탕으로, 지시어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또한, 어떻게 기술되어 있는가에 대해 조사 분석한 것이다 현장지시의 경우, 비교적 빠른 시기에 그 용법과 용례가 보이지만 고등학교 교과서「日本語1」・「日本語Ⅱ」와 교사용 지도서에서도 내용에 대한 설명이 불충분하였다. 지도의 형식에 있어서도 장소의「ここ」와 명사 수식의「この」은 거의 대부분 제시되어 있었지만,방향,양태,사물,부사의 성질을 가지는 지시사의 제시와 해설은 제각각이었다. 또한 모든 교과서에서 「融合型」・「対立型」의 형태가 제시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립형 중심의 내용과 용법은 많이 제시되어 있는 것에 반해, 융합형에 대한 설명이 충분하지 않았다. 문맥지시에서는, 「일본어Ⅰ」에서부터 그 용례가 다수 보이고 있고「일본어Ⅱ」에서는 현장지시 보다 많이 출현하지만, 그 내용에 대한 설명이 전혀 없었다. 게다가 교사용 지도서에도 문맥지시에 대한 설명이 기술되어 있는 것은 「일본어Ⅱ」의 2종에 한정되어 있었고, 그2종의 교과서도 용법 설명도 불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지시어를 설명하고 있는 내용에서는, 거리감을 무시한 삽화와 현실성이 낮은 표현의 사용 등의 문제점 밝혀졌다.이는 일본어 학습자에게 부적절한 이해를 전달할 수 있는 우려가 있기 때문에, 앞으로 교과서 개정에 있어서 정비, 확충의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결론 부분에 지시사 지도의 일안으로써 단계별(초급・중급레벨) 의 지시사의 지도안을 제시하는 시도를 하였다.

      • 초등학생의 학교보건실 이용실태 분석과 학교생활 적응력 향상방안 연구

        이현숙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교 보건실 이용 실태를 분석하고 학교생활 적응력 향상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건실을 이용하는 4, 5, 6학년 아동 중 빈도별, 증상별로 30명씩 세 집단을 표집하여 보건실 이용실태와 학교생활 적응력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분석의 방법은 질문지 조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도구는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 부합되도록 제작한 ‘학교 보건실 이용실태와 학교생활 적응력’에 관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전 학년의 담임교사 31명을 대상으로 외형상 아픈 증상없이 보건실을 자주 이용하는 아동의 보건실 이용형태와 학교생활 적응도를 알아보기 위해 질문지 조사 방법과 면접법을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로 사용한 질문지는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보건실 이용형태와 학교생활 적응력 향상 방안’에 대한 질문지였다. 두개의 질문지는 SPSSWIN V14.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설문지 조사로 파악하기 어려운 심층적인 면을 알아보기 위하여 12명의 담임교사와 면담을 실시한 후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71%의 학급에서 외형상 아픈 증상없이 보건실을 자주 이용하는 아동들이 1~2명이상 있었다. 이러한 아동들은 일반 아동들에 전체적인 학교생활 적응력이 낮았고 그 원인은 학교문제와 가정문제로 인한 부담감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교사 간에 정보 공유가 잘 안되고 있었다. 학부모와 담임교사는 서로에게 부담감을 느끼고 있으며,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인한 시간적?공간적 제한 때문에 정보공유가 잘 안되고 있었다. 셋째, 학부모-교사 간에 정보공유의 필요성을 느끼고 모두가 있었다. 이에 보건교사는 담임교사와 학부모, 아동 사이에서 정보 제공 등의 중간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보건실을 자주 찾는 아동들의 내면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보건교사의 전문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부모와 담임교사, 보건교사의 협조가 필요하고 아동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개별화 된 지도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이를 위해서 보건교사의 자질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수개발과 우수 지도사례에 대한 정보교환이 필요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use of school infirmary by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o study on the method for improvement of adaptability to school life. To resolve problems in this research, three groups of school children, 30 children per group according to frequency and symptom, were sampled from 4, 5, and 6th graders who used school infirmary, and actuality of use of infirmary and school children’s adaptability to school life were measured and analyzed. As to method of analysis,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and as for the a tool included in this survey, questionnaires with respective to ‘Actual conditions of use of school infirmary and adaptability to school life’ which were devised so as to be suitable for the research purpose having referred to the preceding research works were used. In addition, to investigate actual conditions of using infirmary by school children who frequently called on the infirmary without shown any symptoms being sick by external looks, 31 homeroom teachers of all school year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and also interviewed. The questionnaire used as the tool in the survey that included questions with regard to ‘the pattern of using infirmary and method of improvement of adaptability’ was devised by the researcher directly. Two types of questionnaire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using SPSSWIN V14.0 program. And, to investigate in-depth issues that would not be easily discovered and grasped by means of questionnaire survey, 12 homeroom teachers were interviewed, then after, the resulting information and contents thereof were analyz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ore than one or two children in 71 and the results from survey revealed that such behavior was caused by the sense of burdens associated with school problems and family problems as well. Second, inform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was not shared properly. Parents and homeroom teachers had felt a burden toward each other and because of time and spatial restrictions due to increase of dual-income family, information sharing was not practiced in an adequate way. Third, all participants in this survey had felt a necessity of information sharing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nd it is necessary for school nurses to perform an intermediate role, like providing information, between homeroom teachers and parents, and children. Fourth, there was a necessity of professional assistance and roles of the school nurse so much as to grasp inner characteristics of school children who call on infirmary frequently. To improve school children’s adaptability to school life, close cooperation among parents, homeroom teachers, and school nurses are essential, and it is required to implement individualized guidance to fit in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nd every child in a systematic manner. To do this, strenuous efforts not only to develop variety of training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professional competency for school nurses, but also to promote information sharing with regard to the cases of excellent coaching and guidance among the parties involved shall b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