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의 우울, 인지기능, 사회적 지지가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정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87

        노인의 우울, 인지기능, 사회적 지지가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 정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간호학과 (지도교수 : 서 성 희)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우울, 인지기능, 사회적 지지가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해 서술적 조사연구의 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G 광역시 D 구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135명이었고, 자료 수집 기간은 2020년 8월 15일부터 8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Yesavage 등(1982)이 개발한 도구를 Geriatric Depression Scale을 기백석(1996)이 수정한 한국어판 단축형 노인 우울척도와 Folstein과 McHugh(1975)가 인지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도구를 김태희 등(2010)이 수정, 보완한 치매선별용 한국어판 간이정신상태검사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는 박지원(1985)이 개발한 사회적 지지 척도를 임주영(2002)이 수정한 사회적 지지척도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수행능력은 Lawton과 Brody(1969)가 개발한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도구를 원장원 등(2002)이 한국형으로 번안한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우울은 4.67점, 인지기능은 26.14점, 사회적 지지는 2.42점,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11.25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수행능력은 연령(F=3.92, p=.022)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은 인지기능(r=-.31,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결과, 모형 1에서는 연령그룹 변수와 인지기능 변수를 투입하여 F 통계량은 6.18(p<.001)으로 회귀모형이 적합하였고, 설명력은 12.4%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2에서는 모형 1에 우울과 사회적 지지를 추가하여 F 통계량은 4.02(p=.002)로 회귀모형이 적합하였고, 설명력은 13.5%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영향요인으로는 연령과 인지기능으로 확인되었다. 즉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일상생활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연령이 낮고 인지기능이 높을수록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르는 의존도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서 인지기능 유지 및 증진을 위해 연령대에 맞는 체계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

        박은경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87

        국문초록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 박 은 경 실버복지경영학과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본 연구는 급변한 현대사회 속에서 심각해지고 있는 가족문제 해소와 예방 및 건강가정기본법의 구체적 실현을 위해,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공통필수 사업내용과 방법 및 프로그램들을 조사·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2013년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공통사업은 가족돌봄나눔사업, 가족교육, 가족상담, 가족친화, 다양한 가족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연계로서 6개 영역으로 나누어 운영되고 있다.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돌봄영역 중에서 모두가족봉사단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가족자원봉사자를 위한 별도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해야하고, 실질적이고 체계화된 교육과 정기적인 훈련이 필요하며, 자원봉사활동에 관련되는 모든 상황(사회적 욕구의 발견, 분석, 개발에서부터 자원봉사자의 발굴, 모집, 교육(훈련), 배치, 관리, 육성)에 대하여 관계변수를 중심으로 과학적이고 치밀한 계획아래 전문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각종 포상제도도 활성화하여야 한다. 가족돌봄영역 중 모두가족품앗이 활성화 방안으로는 건강가정지원센터 내 공동육아 나눔터를 설치·운영 확대하여야 하고, 전담인력을 배치해야한다. 또한, 자녀양육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사업담당자의 안정적 고용 및 근무환경을 보장해야 한다. 가족교육영역 중에서 먼저 생애주기별 활성화 방안으로는 자녀발달 연령별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맞춤형 프로그램(가족특성, 지역, 부모의 특성 등)으로 세분화하며, 전달체계를 확대하고(건강가정지원센터, 학교 등), 온라인 교육 이수제 도입, 부모교육 전문 강사 양성 및 연계를 해야 한다. 그리고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예비부모교육의 실시 및 결혼 전 준비교육 이수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건강가정지원센터 내 부모를 위한 온라인 서비스 체계 구축, 컨설팅 전문 인력 배치를 통해 상담을 실시하고, 정보 획득, 문제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소개를 통해 콜센터를 구축해야한다. 가족교육영역 중 남성대상 교육 활성화 방안으로는 남성의 가족생활 참여를 위한 휴직· 휴가 제도를 활성화하고, 가정 내 역할 교육을 강화하며, 가족생활 참여 확산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 가족상담영역 활성화 방안으로는 상담서비스 제공기관으로서의 지역주민의 접근성을 제고하고, 예산 확보를 통한 인력을 보충하며, 전문지식과 기술습득을 위한 교육훈련 및 프로그램 개발기회를 확대해야한다. 그리고 상담서비스에 대한 전문 수퍼비전 기능을 활성화해야 한다. 가족문화영역 활성화 방안으로는 가족상담 인력확충과 예산을 확보해야하고, 생활문화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문화교육과 전수, 운영, 가정의 친밀감 증진과 문화선도적인 사업을 진행해야한다. 그리고 교육프로그램과 연계한 프로그램들을 개발하고, 문화사업의 경우 다양한 프로그램 관련 세미나 및 워크숍의 개최가 필요하며, 지역주민의 접근의 용이성, 적합한 장소 및 시설, 기자재를 확보해야 한다. 다양한 가족 통합서비스 영역 중 한 부모 가족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으로는 단회기로 끝나는 프로그램이 아닌 장기간의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사업비의 적절한 배분으로 참여의지가 강한 대상자를 선정해야하며, 향후 한 부모 여성 가장을 대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해야 한다. 다양한 가족 통합서비스 영역 중 조손 가족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으로는 키움보듬이 파견을 통한 생활, 가사를 지원하고, 학부모를 활용한 협력 사업을 기획 및 추진하며, 지속적인 상담 및 방문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다양한 가족 통합서비스 영역 중 북한이탈 가족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으로는 하나센터․한국건강가정진흥원․건강가정지원센터 및 지역 유관 기관과의 협약을 통한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사업기간의 확대 및 구성․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서비스 제공․사업운영 매뉴얼 개발 등을 체계화해야한다. 또한, 사례관리 및 사후관리 프로그램을 적극 개발해야 한다. 지역사회 연계 영역 활성화 방안으로는 네트워크에 대한 인식제고·개선과 협의체(네트워크 전담팀)를 구성해야 한다. 그리고 지역사회복지 정보네트워크 구축운용, 프로그램 주체적 발굴 및 개발해야 한다. 또한, 공동 사업 개최를 통해서 사업 중복을 방지하고, 질적인 상호보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문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주제어 :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족돌봄, 가족교육, 가족통합서비스, 모두가족품앗이.

      •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환경이 이용아동 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

        윤정희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환경이 정서서비스의 질에 28.9%의 영향을 미치고, 프로그램 서비스의 질에 24.6%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록 경제적 환경으로 인한 서비스의 질에 대하여는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왔지만, 이는 지극히 개인적인 경제적 환경이며, 실질적으로 업무적 환경(종사자와 이용자의 비율, 쾌적한 환경, 업무수행에 필요한 지원, 문서양의 적절성, 업무분장의 적절성, 학습준비의 시간, 학습 자료의 적절성)과 사회적 환경(직원간의 조력, 직원간의 관계, 직원간의 친밀도, 직원간의 배려, 직원간의 협조, 직원간의 이해)으로 인하여 서비스의 질에 영향이 미치는 이유는 낮은 보조금으로 인하여 업무적환경과 사회적환경이 개선이 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지역아동센터는 소수의 종사자가 수행할 업무가 너무나 많고 수시로 요청되는 관공서의 업무요구가 많다. 더 나아가 중복되는 불필요한 행정업무들로 인해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아울러 업무적환경과 사회적환경이 개선되기 위해서는 행정업무의 간소화와 관공서의 협조가 필요하다.

      •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

        정미희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문초록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 정신건강전문요원은 지역사회 내에서 정신건강증진, 정신질환자 사례관리 및 자살예방 등 전반적인 정신건강업무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소진을 경험하지 않도록 돕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설계는 정신건강전문요원의 회복탄력성, 폭력경험, 사회적지지 및 소진의 수준과 이들 변수들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G광역시, J도 및 K도 소재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재직 중인 정신건강전문요원 122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2019년 8월 15일부터 8월 31일까지 본 연구자와 보조자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직접 조사하였다. 소진의 예상 영향요인으로는 회복탄력성, 폭력경험 및 사회적지지의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구하였다. 그 결과, 소진은 일반적 특성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폭력경험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소진에 미치는 요인은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폭력경험 순으로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소진에 대한 이들 변수의 총 설명력은 약 33.0%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정신건강전문요원의 회복탄력성, 폭력경험, 사회적지지는 소진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영향을 주는 주요변수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소진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도록 노력하여야 하며, 폭력경험을 낮출 수 있는 안전한 환경 시스템 개선 및 사회적지지를 높이기 위한 내·외적 지지체계 발굴과 접근을 통해서 소진예방의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ABSTRACT The Factors Affecting Burnout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Jung Mi Hee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of Kwangju Women's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Seo Sung Hee As mental health professionals handle matters concerning the overall mental health of the public in the community including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management of those with mental illnesses and prevention of suicide,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these experts do not experience burnout. As such,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burnout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s to reduce burnout. This study is a narrative investigative study to identify the resilience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experience violence,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and burnout, as well as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variables and the effect of such variables on burnout. Subjects were 122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orking at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located in G city, J province and K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5 to August 31, 2019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by the researcher and assistant. The factors expected to affect burnout are resilience, experience violence and social suppor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for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burnout in accordanc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and with social suppor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xperience with violence. The greatest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 descending order,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experience violence.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for burnout was approximately 33.0%. The study foun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burnout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nd their resilience, experience violence and social support. resilience was found to be a major variable affecting burnout. As such,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various intervention programs to prevent burnout by recognizing importance of burnout in mental health professionals. There should also be efforts to prevent burnout by eploring an internal and external support system to improve social support and a safe environment system that can reduce the experience of violence.

      • 심리운동이 거주시설 중증장애인의 사회성 및 관계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찬미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거주시설 중증 장애인 중에서 의사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심리운동’이 사회성 과 관계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의사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거주시설 이용자 남. 여 각 5명 총 10명을 대상으로 2그룹 주1회 30회기 심리운동 프로그램 실시 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매 회기 수집된 영상과 강사의 진행일지, 지원자의 관찰일지를 특정 항목으로 계량화 하여 각 개인별 변화 정도를 질적 사례 분석과 함께 계량적 분석을 병행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운동이 거주시설 중증 장애인의 사회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사회성에서 과제 수행 태도, 집단 활동 참여 정도, 전반적인 참여 태도는 증가하였지만, 이탈횟수는 감소했다. 둘째, 심리운동이 거주시설 중증 장애인의 관계 형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용자 간의 관계 형성, 지원자와의 관계 형성은 증가했으며, 정서적으로 즐거움은 증가했고, 분노, 눈물, 두려움, 우울, 표정 없음은 감소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거주시설 중증 장애인에게 사회성, 관계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인식 제고와 심화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기혼 간호사의 감정노동, 일-생활 균형,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수현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기혼 간호사의 감정노동, 일-생활 균형,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기혼 간호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써, 2019년 8월 22일부터 8월 29일까지 G광역시의 100병상 이상 병원 간호사 12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감정노동은 Morris & Feldman(1996)이 개발한 측정도구, 일-생활 균형 은 신재열(2019)이 수정·보완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지지는 이상조 (2016)가 수정·보완한 측정도구, 삶의 질은 민성길 등(2002)이 표준화 한 것으로 한국판 WHOQOL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BREF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전체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37.3세이었다. 학력 은 ‘학사이상’이 62.1%,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63.7%였다. 전체 대상자의 근 무경력의 평균은 12년이었으며 근무형태에서는 주간 근무자가 58.9%로 교대 근무자 41.4%보다 많았다. 자녀수는 ‘2명 이상’ 57.3%, ‘2명 미만’이 42.7%였 다. 월평균 가계수입은 ‘500만원~600만원 미만’이 29.0%로 가장 많았고, 600만원 이 상’은 28.2%순으로 나타났다. 주 양육자는 ‘본인과 남편’이 73.4%로 가장 많았 고 ‘본인과 남편 이외’는 26.6%로 나타났다. 2. 기혼 간호사의 삶의 질은 5점 만점에 3.22±0.48점, 감정노동 3.18±0.55점, 일-생 활 균형 3.01±0.40점, 사회적 지지 3.68±0.42점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삶의 질은 일-생활 균형(r=.527, p<.000), 사회적 지지(r=.446, p<.000)와 통계적 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감정노동(r=-.219, p=.014)과는 통계적으 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일-생활 균형 (β=0.41, p<.001), 사회적 지지(β=0.26, p=.002)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2.0%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일-생활 균형, 사회적 지지가 기혼 간호사의 삶의 질에 유의 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일-생활 균형과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과 대책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삶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 자료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교정시설 수용 청소년의 재사회화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박종철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21세기에 들어오면서 정보의 홍수 및 소셜 네트워크 (SNS)의 발달 등으로 청소년의 범죄는 성인 범죄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청소년 범죄자들은 어린나이에 범죄를 경험하여 소년원 등 시설에 들어오기까지 여러 차례 비행을 반복하여 재범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적으로 다양한 차이는 있지만, 현재 운용 되고 있는 수용시설의 역할 또한 간과 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청소년 범죄로 인해 수용시설에 수용되어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비행 또는 범죄의 요인을 질적인 차원에서 분석함으로써 청소년 비행의 예방이 되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세부적인 연구문제로 첫째, 소년원 입소 전까지의 범죄환경을 파악하고 둘째, 소년원 수용 후 재사회화를 위한 적응 노력 등으로 분류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재사회화 과정’이라는 의미를 도출하고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의해 소년원에 수용된 청소년의 재사회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청소년 범죄자들에 대한 자료는 정부기관의 공식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인터뷰 대상자의 선정은 ㅇㅇ광역시에 소재한 소년원에서 담당관의 협조 하에 대화 가능한 인원을 선정하여 면담을 실시하고, 다음 적절한 면담자를 연결하는 눈덩이 표본후출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소년원 생활의 시작으로 재범에 의한 수용처분으로 초범자들의 재범 확률이 늘어난 점을 시사해주고 있으며 소년원 담당자와의 만남과 선생님의 상담 및 조언으로 소년원 적응에 도움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적응하며 살아가기에서는 시설수용 후 부정적인 인식이 자신의 현실을 인식하며 목표를 정하고 소년원 내 프로그램에 적응하면서 미래의 자신을 준비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노력하고 있었으나, 퇴원 후의 불확실한 현실에 대한 두려움도 나타나는 등 장애요인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공통점들을 극복하고 노력하기 위해 내·외부적 지원으로 가족, 선생님과 친구, 멘토, 이성친구의 지원 등의 다양한 방법과 대책이 강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소년원 프로그램에 적응하면서 스스로 범죄결과를 인식하고, 가족과 부모님 그리고 주변에 대한 미안함을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범죄 환경에서 벗어나기 위한 노력과 소년원 퇴소 후 범죄를 유발했던 친구와 주변 환경과의 단절을 통해 범죄 환경에서 벗어나고 사회에 적응하려는 의지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렇듯 재사회화하는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형태를 분석한 결과 이 연구의 한계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후속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가 생각하는 재범의 원인을 분석함으로서 재범의 예방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본 연구 참여자를 중심으로 출소 후 이들의 계획이 실천적으로 진행되었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소년원 수용 기간 동안의 각종 교육프로그램(직업교육, 검정고시, 기타)이 이들 청소년의 진로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가에 대한 심층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 일자리사업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

        김정주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문초록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 일자리사업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 한국 사회는 평균 수명의 증가로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급속한 인구 고령화 문제에 직면해 왔다. 이러한 현상으로 생애주기에서 노년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고령자들이 노년기에 보다 적극적인 사회참여의 중용성이 증대되고 있다. 2012년 인구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총인구의 11.8%로, 한국의 고령화는 매우 빠른 속도로 진전되고 있으며, 2018년에는 노인인구 비율이 14.3%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할 예정이며, 2026년에는 20.8%로 초고령 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본다. 이러한 고령사회의 도래는 단순히 고령인구의 규모가 커진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미 진행된 급속한 고령화는 현재 경제성장률 저하와 부양비 증가, 재정 지출 부담 확대 등 상당한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노인층의 규모만큼 경제활동인구도 유지되어야 하지만 출산율이 하락, 오히려 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들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지속적인 성장률 하락은 불가피하다. 앞으로 본격적인 고령사회의 도래와 함께 ‘백세시대’로 표현되듯 평균수명이 연장된다고 보았을 때 노인 일자리사업의 방향성에 대한 장기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추진되고 있는 우리나라 노인 일자리 사업의 전개과정 및 일자리사업 유형별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유형별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 향후 노인 일자리사업의 추진방향과 발전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상의 내용 연구에서 노일 일자리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일자리사업 수행체계의 개선방안이다. 노인 일자리사업은 다양한 사업이 수많은 수행기관에 의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지역 내 사업 참여주체인 지자체, 수행기관, 수요처 간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각 정부부처 간 협조체계를 마련하며 전산망을 통합하여 정보와 자료의 공유체제를 구축, 이를 통해 지역적 상황, 수행기관의 역량, 사업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사업을 기획 및 운영할 수 있으며, 지자체의 담당공무원, 수행기관의 담당자 혹은 수요처의 관련자가 변경되어도 매년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지역 내 운영체계를 확보할 수 있다. 둘째, 관련법규 정비와 제도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현 시행되고 있는 고령자 관련법 및 기준 고용율과 정년에 관한 사항들은 좀 더 정비하고 고령자 고용촉진법에 맞춘 제도적인 뒷받침이 선행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노인 일자리사업의 예산 확충이다. 노인 일자리사업에 배분되는 예산 재원의 총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정치적 노력도 필요하다. 넷째, 노인 일자리사업의 전문화이다. 노인 일자리사업의 실적을 보면 양적인 실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일자리의 질적 제고는 무엇보다 노인 일자리사업의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 그러한 목표에 부합하는 참여자 욕구에 기초한 사업유형을 재편성 할 필요가 있다.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자들은 대부분 계속해서 일을 희망하고 있다. 때문에 이들의 사업 참여 이후의 안정적인 일자리를 마련해 주는 것에도 정책적인 관심을 높여야 할 것이다. 좋은 일자리에 재취업 할 수 있도록 전문교육기관 설립이나 연계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노인 일자리사업이 일시적 사업이 아닌 지속적으로 더욱 확대 개발 되어질 수 있도록 인적자원 개발에 대한 사회적 투자를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주제어 : 고령화, 고령화 사회, 노인복지, 노인 일자리사업,

      • 가로시설물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한 표준디자인 개발 연구 : - 전라북도 공공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김상현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전라북도 내 권역별 공공디자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사 및 분석을 통해 권역별 표준디자인 가이드라인 부재를 밝히고, 권역별 공공디자인의 통합성과 정체성, 다양성을 반영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를 5대 권역별로 추출(컨셉, 컬러, 패턴)하여 권역별 특성을 반영한 통일되고 일관성있는 디자인을 강조한 가로시설물 표준디자인 개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권역별로 요구되는 규격화된 가로시설물 표준디자인의 방향성을 도출함으로써 통합성과 정체성, 다양성 등을 담을 수 있다는 점과 나아가 전라북도 공공디자인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이를 통해 품격 있는 공공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도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각 장별 연구의 흐름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장은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한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방법을 기술하였으며, 제2장에서는 선행연구 고찰 및 공공디자인의 일반적 특성 등을 통해 연구의 방향 및 변별성, 일반적인 특성 등을 포괄적으로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지자체별 공공디자인의 진흥계획 및 사례분석 등을 살펴보고, 제4장에서는 권역별 표준디자인 요소를 5개의 권역별로 추출하여 이를 반영한 전라북도 가로시설물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한 표준디자인 개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5장은 본 연구의 결론과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연구의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전라북도 내 가로시설물의 사례분석을 통해서 광역 단위의 통합적 디자인 가이드라인으로써(형태, 크기, 구조, 재료, 색채 등)는 활용이 되고 있었으나, 권역별 다양성을 반영하기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디자인 스폿존의 부재)은 제시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라북도의 가로시설물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해 표준디자인에 적용 가능한 디자인 요소(디자인모티브, 색채, 패턴)를 5개의 권역별로 나눠 분석해본 결과 중추도시권에서는 처마선과 용마루선, 기둥과 대들보 등 디자인 모티브로 직선, 세련됨, 품격 있는, 스마트함 등을 담은 패턴을 추출할 수 있었다. 동북권에서는 지리적 특성을 반영한 산등선을 모티브로 편안하고 온화하며 자연스러운 컬러를 담은 요소를 추출할 수 있었다. 동남권에서는 자연과 농경이 어우러진 곡선을 디자인모티브로 안전하고 생기가 있으며 평화로운 컬러를 적용 디자인 요소를 반영한 패턴을 추출하였다. 서남권에서는 다양한 문화재와 자연녹지를 모티브로 자연과 역사 문화가 돋보이는 디자인 패턴요소를 추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새만금권에서는 해양과 녹지의 흐름을 디자인모티브로 생동감 있는 맑고 미래지향적인 이미지를 권역별 디자인 스폿존에 반영하기 위해 요소화 할 수 있었다. 셋째, 전라북도 내 권역별 가로시설물의 표준디자인 개발을 위해 추출된 권역별 표준디자인 요소(디자인모티브, 색채, 패턴)를 기반으로 권역별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적용할 수 있는 통합존(형태, 구조, 재료, 색채, 기능적요소)을 배려하였으며 권역별 지역의 다양성과 정체성을 담을 수 있는 디자인 스폿존(시·군 단위의 패턴, 색채)을 지정하여 표준디자인 개발안 통합지주, 무단횡단방지울타리, 가로수 보호덮개, 가로화분대, 평벤치, 등벤치, 이용안내 시각매체, 개인형이동장치 주차존 등 7개의 표준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전라북도 공공디자인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권역별 도시의 정체성, 상징성이 반영되지 않는 점을 가로시설물 표준디자인 개발안을 통해 개선할 수 있었으며 권역별 도시의 특색을 반영한 조화로운 디자인 개발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 내 가로시설물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한 표준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영역 중 가로시설물에 한정하여 선진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전라북도로 한정을 지어 현황조사 및 분석하였다. 이에 문제점과 개선방안이 한정적일 수 밖에 없으나, 이를 통하여 전라북도 가로시설물이 발전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며, 공공디자인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출발점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공공디자인의 다양한 범위에서 연구가 이뤄줘야 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와 더불어 정책적인 검토와 제언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veals the absence of standard design guidelines by region t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centered on public design cases by region in Jeollabuk-do and design elements that can reflect the integration, identity, and diversity of public design in each region by five regions. By extracting (concept, color, and pattern), we intend to present a standard design development plan for street facilities emphasizing a unified and consistent desig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Through this, integration, identity, and diversity can be included by deriving the direction of the standard design of standardized street facilities required by the region. Furthermore, the public design of Jeollabuk-do is systematically established, and through this, a dignified public environment is created for the province's citizens. It is intended to be used as primary data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According to this purpose, the flow and method of research for each chapter are as follows. Chapter 1 describe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the scope, and the research method, and Chapter 2 describes previous research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public design. The research direction, distinctivenes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Chapter 3 examines the local government's promotion plan and case analysis of public design. In Chapter 4, standard design elements for each region are extracted for each of the five regions. Through this, A standard design development plan to improve the quality of street facilities in Jeollabuk-do is presented. Chapter 5 presen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tasks. The above research process Through this,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obtained. First,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street facilities in Jeollabuk-do, it was found that it is used as the integrated design guidelines (shape, size, structure, material, color, and the rest.) of the metropolitan unit. However, the design guidelines to reflect the diversity of each region ( Absence of design spot zone) were not present. Second, to improve the quality of street facilities in Jeollabuk-do, the design elements (design motif, color, pattern) applicable to the standard design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five regions. As a design motif, it was possible to extract patterns containing straight lines, sophistication, dignity, and smartness. In the Northeast region, it is comfortable with the motif of the mountain ridge reflecting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it can be extracted elements that contain warm and natural colors. In the southeastern region, patterns that reflect design elements were extracted by applying safe, lively, and peaceful colors with the design motif of curves that blend nature and agriculture. In the southwestern region, design pattern elements that highlight nature, history, and culture were extracted with various cultural assets and natural greenery as motifs. Lastly, in the Saemangeum region, the ocean flow and greenery could be used as a design motif to reflect a positive, clear, future-oriented image in the design spot zones by region. Third, based on the standard design elements (design motive, color, pattern) by region extracted for the standard design development of street facilities in each region in Jeollabuk-do, an integrated zone(Form, structure, material, color, functional element) to which regional design guidelines can be applied. Third, an integrated zone (form, structure, material, color, functional elements) was composed. In addition, design spot zones (patterns and colors in city and county units) that can contain the diversity and identity of each region were designated. By designating design spot zones (patterns and colors in city and county units) that can contain the diversity and identity of each region, standard design development plans (integrated pillars, jaywalking prevention fences, roundabouts (urban type, rural type), street trees) Eight standard designs, including protective covers, street planters, flat benches, light benches, visual media for user guidance, and parking zones for personal mobile devices) were presente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improve the problem of not reflecting the identity and symbolism of cities in each region, which was pointed out as a problem in Jeollabuk-do's public design, through the standard design development plan for street facilities.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present a harmonious design development pla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ities in each region. This study aims to present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to develop a standard design to improve the quality of street facilities in Jeollabuk-do. However, this study investigated advanced cases limited to street facilities in the public design area and conducted a survey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limited to Jeollabuk-do. Although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are inevitably limited, this will be an opportunity to develop street facilities in Jeollabuk-do. It is considered a starting point for presenting a direction for public design. It is hoped that standard design development research in public design will be actively developed.

      • 통합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가영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통합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 가 영 본 연구는 통합미술치료를 활용하여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아울러 회기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통합미술치료를 실시하는 각 회기의 활동을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N시에 소재한 J장애인복지관 지적장애 1, 2급 청소년 3명을 대상으로 2013년 6월 27일부터 2013년 10월 24일까지 주1회 총 15회기를 실시하였으며, 각 회기별 소요시간은 70분이었다. 연구도구는 Rakos와 Schroeder(1980)가 제작한 자기표현 행동척도를 변창진ㆍ김성희(1980)가 우리나라 문화적 배경에 맞게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고, 사회성 기술 검사도구는 Gresham과 Elliott(1990)가 개발하고 김향지(1996)가 재구성한 사회성 기술 척도(SSRS)를 사용하였다. K-HTP그림검사는 Burns가 역동성을 부여하도록 만든 동적 집-나무-사람(Kinetic House-Tree-Person)기법을 사용하여 질적 분석 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통합미술치료프로그램의 처치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ㆍ사후로 비교ㆍ검토 하고, 매 회기별로 실험집단의 수행을 비교하기 위해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미술치료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미술치료를 실시한 후 자기표현 평정척도에 의하여 하위 척도인 내용적, 음성적, 비언어적 자기표현의 변화를 검증한 결과 대상자 모두에게서 증가하였다. 둘째, 통합미술치료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미술치료를 실시한 후 사회성 기술 척도에 의하여 하위척도인 자기주장, 협력, 자아통제의 변화를 검증한 결과 대상자 모두에게서 증가하였다. 이러한 점을 종합하여 보면 지적장애 청소년에게 통합미술치료는 자기표현과 사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 및 사회성 향상에 통합미술치료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서 향후 통합적 미술치료프로그램의 정립뿐만 아니라 양적ㆍ질적인 차원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제어 : 통합미술치료 , 지적장애 청소년 , 자기표현 , 사회성 향상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