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주 방문 중국인 개별 관광객 대상 제주 향토음식 인지도 및 기호도 실태 조사

        오요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중국인 개별 관광객들이 제주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 제주 향토음식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고 중국인 관광객에게 보다 나은 제주 향토음식의 효율적인 홍보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2016년 11월 22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제주도를 방문하는 중국인 개별 관광객 30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면접조사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총 307명 대상자 중 여자는 73.9%, 남자는 26.1%이었다. 나이는 20대 77.5%, 학력은 대학교 졸업 75.9%, 소득은 5,000-10,000위안 49.2%, 5,000위안 미만 25.1%, 10,000-15,000위안 19.5%이었다. 거주 지역은 동부지역 79.5%, 직업은 사무/관리직 26.4%로 가장 많았다. 둘째, 96.1%의 대상자는 제주를 처음 방문했고, 여행경비는 5,000-10,000위안(51.1%), 식사비율은 11-30%(64.6%)가 가장 많았다. 방문 목적은 99.0%가 ‘관광 및 휴가’를 선택하였으며, 제주에 체류한 기간은 3박-4박(78.2%)이 가장 많았다. 재방문할 의사가 있는 사람은 59.3%이었으며, 가장 좋아하는 활동으로는 체험(33.9%), 음식(32.9%), 쇼핑(21.2%)이었다. 셋째, 제주특별자치도 선정된 20대 제주향토음식 중에서 인지도가 가장 높은 음식은 해물뚝배기(76.2%)였으며, 전북죽(67.8%)과 갈치구이(58.6%)가 50% 이상의 인지도를 보였다. 몸국(5.5%)은 인지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0대 제주 향토음식 외의 향토음식에서는 흑돼지구이 95.4%로 인지도가 가장 높았으며, 모든 회 종류는 30% 이하의 인지도로 나타났다. 조사한 음식 중에서 흑돼지구이(67.1%), 해물뚝배기(45.0%)와 전복죽(32.2%) 이외의 대부분 음식들은 먹은 경험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는 제주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가 낮아서 먹은 경험도 없는 경우가 많아 기호도에 대한 무응답이 많았다. 이로 인하여 제주 향토음식에 대한 전체적인 기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먹은 경험이 있는 대상자들의 향토음식에 대한 기호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제주 향토음식에 대한 만족도는 ‘음식의 신선도’(4.16±0.63), ‘음식의 청결성’(4.04±0.61), ‘음식의 맛’(3.85±0.65), ‘식재료의 다양성’(3.54±0.77), ‘음식의 가격’(3.15±0.75)의 순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제주 향토음식에 대한 이미지는 ‘식재료가 신선한 음식’(4.18±0.66)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격이 적절한 음식’(3.42±0.84)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다섯째, 조사대상자 중에서 73.6%는 제주 향토음식에 대한 관심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알게 된 경로는 ‘인터넷’이 65.5%로 1위를 차지하였다. 식당을 선택할 때 ‘음식의 맛’이 가장 결정적인 요인이었고, 1인 기준 한 끼 식사의 적당한 가격으로 ‘10,000-15,000원’이라고 하였다. 46.6%의 대상자는 이번 여행 중 다시 먹고 싶은 음식이 있었으며, 다시 먹고 싶은 음식은 흑돼지구이가 가장 많았다. 또한 다시 먹고 싶은 음식이 없는 주요 원인은 ‘찾기 힘들다’, ‘맛이 없다’와 ‘비싸다’는 것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제주 향토음식에 대한 설명을 들은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22.1%이었으며 주로 인터넷으로 알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69.4%의 대상자는 제주 향토음식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고 81.1%의 대상자는 제주 향토음식을 홍보해야 한다고 하였다. 앞서 내용을 종합하면 조사대상자는 제주향토음식 중에서 흑돼지구이, 해물뚝배기, 전복죽 등의 일부음식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가 낮았다. 그러나 먹은 경험이 있는 대상자들의 제주 향토음식에 대한 기호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주 향토음식에 대한 관심도 높으므로 인터넷 뿐만 아니라 안내 서적이나 홍보책자 등의 배포 등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한다면 좀 더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제주 향토음식 관련 관광코스를 개발과 제주 향토음식 체험관 등의 설치를 통하여 제주를 경관 위주의 관광도시뿐만 아니라 음식관광도시로도 발전시키면, 제주 향토음식은 세계의 유명한 음식이 될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individual Chinese individual tourists' awareness, preference, and opinions of regional cuisine in Jeju and seek an effective plan to promote regional cuisine in Jeju to them better. The survey was arranged by interviews with questionnaires targeting 307 individual Chinese visitors who visited from November 22, 2016 to December 31, 2016.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men were 73.9% and men were 26.1% among the total 307 subjects. For their ages, the persons in their 20s were 77.5%. For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the persons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were 75.9%. For their income, 5,000 to 10,000 yuan was 49.2%, less than 5,000 yuan was 25.1%, and 10,000 to 15,000 yuan was 19.5%. For their residential districts, the eastern area was 79.5%. For their jobs, office jobs/administrative positions were highest as 26.4%. Second, the subjects of 96.1% first visited Jeju. For the travel expenses, 5,000 to 10,000 yuan(51.1%) was highest and for the meal rate, 11 to 30%(64.6%) was highest. For their purposes of visiting Jeju, 99.0% selected 'tourism and vacation'. And for the period that they stay in Jeju, three to four days (78.2%) were highest. The persons who are willing to revisit Jeju were 59.3% and the activities that they liked most were experience(33.9%), foods(32.9%), and shopping(21.2%). Third, among 20 local foods in Jeju selected b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the most recognizable local food was seafood stew in a hot pot(76.2%), in addition abalone rice porridge(67.8%) and grilled beltfish(58.6%) were more than 50%. Gulfweed soup(5.5%) has found that recognition was lowest. Among local foods except the 20 local foods in Jeju, the most recognizable local food is grilled black pork as 95.4%. All sliced raw fishes has found that recognition is less than 30%. Among all the foods, most of foods except grilled black pork (67.1%), seafood stew in a hot pot (45.0%), and abalone rice porridge(32.2%) have found that their eating experience is low. For the subjects of the survey, the non-response rate about preference was high because there are many cases that they did not experience local foods in Jeju as their recognition is low. Due to this, overall preference about local foods in Jeju has found to be low. However, the subjects who experienced eating local foods have found that their preference about them is high. Fourth, the subjects' survey on satisfaction with local foods in Jeju have been shown in order of ‘foods' freshness’(4.16±0.63), ‘foods' cleanliness’(4.04±0.61), ‘foods' taste’(3.85±0.65), ‘food ingredients' diversity’(3.54±0.77), and ‘foods' prices’(3.15±0.75). The subjects' image about local foods in Jeju have found that ‘foods with fresh food ingredients ’(4.18±0.66) are highest and the scores of ‘the foods that the prices are very reasonable.’(3.42±0.84) were lowest. Fifth, Among the subjects of the survey, 73.6% is investigated to be interested in local foods in Jeju. The route that they get to know them has found that 'internet' took first place as 65.5%. When they select restaurant, 'foods' taste' is the most crucial factor. The reasonable price of a meal perserving has found to be ‘10,000 to 15,000 won’. 46.6% of the subjects had the food that they wanted to eat again during the trip. And the food that they want to eat again has found that grilled black pork is highest. And the main cause that they do not want to eat any food again has found to be ‘difficult to find’, ‘not delicious’ and ‘expensive’. Among the subject of the survey, the subjects who experienced listening to explanations about local foods in Jeju were 22.1%. And they responded that they got to know the local foods in Jeju. 69.4% of the subject thought that explanations about local foods in Jeju are required and 81.1% of them responded that local food in Jeju should be promoted. Putting the above contents together, the subjects' awareness of most of local foods was low except partial foods including grilled black pork, seafood stew in a hot pot, and abalone rice porridge among the local foods in Jeju. However, the subjects who experienced eating the local food in Jeju have found that their preference about them is high. And because Chinese tourists are interested in local foods in Jeju, active public relations through internet or guides will be effective. And if Jeju will be developed as the food tourist city as well as the landscape-centered tourist city by developing tourist routes related to local foods in Jeju and installing their experience centers, the local foods in Jeju will be the famous foods in the world.

      • 제주시 지역 일부 초등학생의 체중군별 식행동과 가족 식생활 관련 요인

        강신애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examined the dietary behavior of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family’s dietary lifestyle. To understand children’s general conditions and their dietary behavior and habits (which vary depending on the features of their parents as well as their overall family dietary lifestyles), a survey was conducted for 706 fourth and fifth graders enrolled in four elementary schools in Jeju C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Of the total 706 student respondents, 356 (50.4%) were boys and 350 (49.6%) were girls. By body weight groups, 151 (21.4%) students were classified as underweight, 344 (48.7%) normal, 98 (13.9%) overweight, and 113 (16%) obese. The average height, weight, and BMI of the children were 145.7㎝, 42.1㎏, and 19.6㎏/㎡, respectively. The student respondents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ight by body weight groups, while the BMI rose significantly from the underweight to obese groups (p<0.001). The positive respondents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have a large appetite’ took up 42.5% of the obese group, 39.8% of the overweight group, 25.3% of the normal group, and 23.2% of the underweight group, exhibiting a significant increase in heavier groups (p<0.001). No noticeable difference by body weight groups was found in eating speed nor in other dietary behaviors. In terms of dietary habits, underweight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positive response to the questions of whether they ‘have three meals a day regularly’ and whether they ‘have breakfast regularly’(p<0.001). On the contrary, obese children gave relatively more positive answers to the questions of whether they ‘binge-eat after skipping meals’ and whether they ‘eat whatever food they can find regardless of appetite,’ showing worse dietary habits than other groups(p<0.001). Most children answered that they eat out at least once a month, with the ratio of those who ‘rarely eat out’ staying at only 14.7%. However, the student respondents showed no noticeable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dining out by body weight groups. The 88.2% ratio of the children who had ‘meat including pork belly and ribs’ when dining out implies that their dietary option for dining out is weighted much toward meat. Looking at their family’s dietary lifestyle, the families of underweight children showed the highest ratio of having breakfast regularly than other family groups, corresponding to the individual dietary habit of the children (p<0.001). However, the families of obese and overweight children ate significantly more and faster than those of other body weight groups (p<0.001). The frequency of dining out and the ratio of selected food types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by body weight groups. 88.5% of the families of the children respondents chose ‘meat including pork belly and ribs’ when dining out, which was the same result as shown in the responses by children. This implies that the dietary option of the families for dining out was weighted toward meat just as that of their children was. The general conditions of the parents of the children respondents showed a significant relevance between the BMI of the parents and the obesity of their children (p<0.05). The consumption of meat including pork belly and ribs when dining out differed in the family groups by paternal age, while maternal age resulted in different consumption amount of snack food. Paternal academic ability was related to the different consumption level of meat including pork belly and ribs, while the difference by maternal academic ability was found in wider food options such as meat including pork belly and ribs, fast food (including hamburgers and pizza), and snack food. The families also showed different intake levels of meat including pork belly and ribs, Chinese food, western food, as well as Korean food by paternal occupations, while maternal occupations led to different intake levels of meat including pork belly and ribs as well as snack food. By paternal BMI, the consumption levels differed in meat including pork belly and ribs, fish, fast food (including hamburgers and pizza), and Korean food, while the maternal BMI was related to the different consumption level of western food. When it comes to the parental financial status, the families take in different levels of meat including pork belly and ribs, fish, western food, and Korean food when dining out. In conclusion, obese and overweight children and their families responded that they had a greater appetite and ate faster and more than other groups, while having breakfast less regularly. The reason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body weight group’s response to their frequency of and selected food type for dining out may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food options for dining out were biased toward meat. However, the respondent families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dining out if the parents are younger in age, more educated, and financially more stable. The families with working mothers or higher paternal BMI levels also showed a higher frequency in dining out. The survey results suggest that the general family conditions are related to the dietary behavior of children. Particularly, the dietary conditions of the families with younger aged fathers were mo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dining out. It is essential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parental and family dietary behaviors in changing children’s dietary behaviors and habits and to educate not just children but also their parents on their diet and nutrition. 본 연구는 제주시 지역 일부 4개 초등학교 4, 5학년 706명(남자 356명, 여자 350명) 아동 및 학부모 대상으로 초등학생의 식행동 및 가족 식생활 관련 요인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사항, 식행동 및 식습관, 부모 관련 특성에 따른 아동의 식행동, 가족의 식생활 태도 등을 설문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아동은 남자 356명(50.4%), 여자 350명(49.6%)이며, 체중군별 분포는 저체중 151명(21.4%), 정상 344명(48.7%), 과체중 98명(13.9%), 비만 113명(16%)으로 조사 되었다. 조사대상 아동의 평균 신장, 체중 및 BMI는 각각 145.7cm, 42.1kg 19.6kg/㎡로 나타났다. 신장은 체중군별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저체중군에서 비만군으로 갈수록 체중 및 BMI는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조사대상 아동 중 ‘식욕이 많다’고 응답한 비만아동은 42.5%, 과체중 아동은 39.8%, 정상체중 아동은 25.3%, 저체중 아동은 23.2%로 아동들의 체중이 무거울수록 ‘식욕이 많다'고 응답한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아동들의 식사속도 및 식사시 행동에서는 체중군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식습관 조사의 경우 ‘하루 3번 규칙적으로 먹는다’와 ‘아침식사를 규칙적으로 한다’는 식습관은 저체중군이 다른 체중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이에 비해 비만 아동은 ‘안 먹다가 한꺼번에 몰아서 먹는다’ 와 ‘음식이 있으면 배가 고프지 않아도 무조건 먹는다’ 는 식습관 점수가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나쁜 결과를 보였다(p<0.001). 14.7%의 아동들만이 ‘외식을 거의 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여, 대부분의 아동들은 한달에 한번 이상 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체중군별 외식빈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또한 외식할 때 선택하는 음식으로 조사대상 아동들의 88.2%가 ‘삼겹살, 갈비 등의 육류’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제주지역 아동들의 외식음식이 육류 위주로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사대상 아동들의 가족 식행동을 보면 저체중 아동들 가족이 다른군 가족에 비해 아침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것은 아동들의 개인 식습관과 일치 하였다(p<0.01). 그러나 비만 아동들과 과체중군 아동들의 가족의 식사량이 다른 체중군 아동들 가족의 식사량보다 유의적으로 더 많고 식사속도도 더 빠르다고 응답하였다(p<0.001). 조사대상 가족의 외식음식 빈도와 외식음식 선택 비율은 체중군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사대상 가족들도 88.5%가 ‘삼겹살, 갈비 등의 육류’를 선택하고 있고, 이는 아동들이 거의 다 육류를 선택하는 것과 같아 가족들도 선택하는 외식음식이 육류에 편중되어 있었다. 조사대상 아동 부모의 일반특성 중 부모 BMI가 아동 비만 여부에 유의적으로 나타났다(p<0.05). 조사대상 아동 부모의 일반 특성에 따른 가족의 외식음식 섭취수준의 차이를 보인 음식으로는 부 나이 경우는 ‘삼겹살, 갈비 등의 육류’, 모나이 경우는 ‘분식류’이다. 부학력 경우는 삼겹살, 갈비등의 육류, 모학력 경우는 삼겹살, 갈비 등의 육류, 햄버거, 피자등의 패스트음식, 분식류로 나타났다. 부직업 경우는 삼겹살, 갈비 등의 육류, 중국음식, 양식, 한식, 모직업 경우는 삼겹살, 갈비등의 육류, 분식류로 나타났다. 부 BMI 경우는 삼겹살, 갈비등의 육류, 생선류, 햄버거, 피자등의 패스트음식, 한식이며, 모 BMI 경우는 양식으로 나타났다, 부모 경제수준에서는 삼겹살, 갈비등의 육류, 생선류, 양식, 한식에서 외식음식의 섭취수준의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비만아동과 과체중아동들과 그 가족은 식행동에서 다른군에 비해 식욕이 많고 식사속도가 빠르고 식사량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아침식사는 덜 규칙적이었다. 외식빈도나 외식 음식선택에 있어 체중군별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은 아동들이나 가족들의 외식 음식이 육류에 편중되어 있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가족 외식빈도는 부모나이가 젊을수록, 부모학력이 높을수록, 어머니 직업이 있는 경우, 아버지 BMI 가 높을수록, 부모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는 가족 환경과 아동들의 식행동이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젊은 나이의 아버지일수록 외식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동의 식행동 및 식습관 변화에 부모와 가족의 식습관 역할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실천할 수 있도록 아동뿐만이 아니라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영양 교육도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 제주 수눌음육아나눔터의 공간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배순옥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급격하게 변화하는 산업화에 따라 여성들이 산업화에 동참하면서 가사노동까지 분담하는 사회에서 늦은 결혼과 저출산 및 영유아의 보육문제는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불러일으킴으로 가족친화 사회환경의 조성촉진에 관한 법률이 만들어졌다. 이 법을 바탕으로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여성의 사회진출, 저출산문제, 가족친화적 사회환경 조성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2016년도에 수눌음육아나눔터 10곳을 개소하게 되어 제주 수눌음육아나눔터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수눌음육아나눔터의 정의를 ‘자녀 돌봄이 필요한 이웃들이 언제나 모일 수 있는 공용공간으로 부모들이 함께 모여 수눌음육아 활동을 하는 장소’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품앗이육아를 지향하는 제주지역 수눌음육아나눔터 10곳의 공간사용실태 및 실내환경 분석을 통해 제주 수눌음육아나눔터의 공간사용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수눌음육아나눔터의 사업 확장과 이용공간 및 환경개선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제주 수눌음육아나눔터를 연구하게 된 배경과 필요성에 대하여 서술되었고, 구체적인 연구목적과 연구범위가 설정되었다.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에서는 영유아기 아동발달 특성과 보육시설의 공간구성 및 보육시설의 실내공간구성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가 검토되었고 공동육아나눔터 및 가족품앗이 정의, 가족품앗이 운영실태와 공동육아나눔터의 실내공간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연구의 이론적 근거가 마련되었으며, 개념의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또한 연구내용에 따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연구의 필요성, 연구범위, 연구방향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었다. 제3장 연구방법에서는 현장조사와 설문조사 및 심층면담조사를 채택하였다. 현장조사에서는 공간실측을 하였으며 진입로 접근성, 건물 내 수눌음육아나눔터의 위치, 실내공간의 구성, 각 공간 면적, 공간배치 관계, 조명시설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영유아를 동반한 부모를 상대로 자녀수, 최종학력, 연령, 이주여부 주거형태, 육아경험, 육아기간, 취업형태, 참여자녀수, 참여경로, 참여동기, 이동수단, 공간구성만족도, 물품만족도, 물품활용만족도, 프로그램필요도를 조사했으며, 심층면담 조사는 비치물품현황, 비치물품의 활용도, 운영중인 프로그램과 참석인원을 조사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한 평가자료의 분석방법이 제시되었다. 또한 연구흐름도가 제시되어 논문의 전체적인 구성이 파악될 수 있으며 각 장의 주요내용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었다. 제4장 연구결과에서 현장조사와 설문조사, 담당자와의 심층면담 및 부모님과의 면담을 통해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현장조사에서는 수눌음육아나눔터가 제주시 8곳, 서귀포시 2곳에 2016년 11-12월에 개소하여 운영되고 있었다. 운영주체는 종합사회복지관이5곳, 사회단체 3곳, 아파트관리시설이용 1곳, 작은도서관 1곳에서 운영되고 있었다. 평균 면적은 57㎡로 수눌음육아나눔터 권장 최소면적 33㎡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공간현황으로는 놀이실은 10곳 모두 설치되어 있었고 그 외에 도서실, 수유실, 사무공간, 어린이 화장실 순으로 나타났다. 손을 씻거나 분유를 탈 수 있는 정도로 간단한 공간으로 설치된 탕비실은 5곳, 어린이 화장실은 2곳만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있었다. 둘째, 담당자와의 심층면담에서는 수눌음육아나눔터의 비치물품 목록현황과 비치물품 활용도를 조사함으로 장난감, 책상, 도서, 놀이매트, 음용수기, 냉난방기, 청소기, 수납시설의 활용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수눌음육아나눔터에서 소화기와 의약품은 안전과 관련된 물품으로 상시 사용할 수 있도록 반드시 비치되어져 있어야 하는 물품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활용도가 낮게 나타났다. 그 원인은 건강한 아이가 오는 것뿐 아니라 머무는 시간이 짧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눌음육아나눔터 이용실태 및 프로그램현황을 보면 전체 36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었으며 부(모)-자녀 대상 프로그램이 21개로 가장 많았으며 가족 품앗이는 21개 팀이 운영되고 있었다. 셋째, 부모님의 설문조사에서 이용자의 현황은 2명의 자녀가 있고 대학교를 졸업한 30대로 아파트에 거주하며 1~5년의 육아경험이 있으며 제주로 이주(52%)해 온 전업주부가 많았다. 프로그램에 참여동기는 자녀 교육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와 또래의 아이를 만나게 해주기 위해서가 많았으며 대부분 자가용으로 이동하였다. 수눌음육아나눔터는 또래의 아이들과 엄마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집 가까운 곳에 있는 안전한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제5장 결론 및 제언에서는 건축용도는 복지시설 6곳, 아동시설, 보육시설, 사무실, 단독주택이 각 1곳이었다. 건축적특성으로는 실내공간구성으로 놀이방 10곳, 도서실 9곳, 탕비실 5곳, 수유·수면실 2곳 전용화장실 2곳이었다. 관리형태로는 자체 관리와 무급봉사자가 각 1곳, 전담직원 2곳, 관리담당자 있는 곳이 6곳 있었다. 비치물품현황과 활용도에서 안전관련 물품은 반드시 비치되어 있어야 하는 물품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활용도가 낮게 나타난 것을 볼 때 건강한 아이가 올뿐만 아니라 머무는 시간이 짧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눌음육아나눔터의 공간은 부모와 아이가 함께 사용하는 공간이었으나 너무 다양해서 공간활용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다. 실내공간에서 흥미 영역간의 통합공간 구성과 놀이 장소는 자연 친화적인 것으로 계획해야 하며 벽의 마감재로는 안전을 위하여 부드러운 색채의 매트로 마감하고 전체적으로는 자연채광이 잘 들도록 구성해야 하며, 한 공간 안에서 다양한 프로그램과 다양한 연령대의 아이들이 사용하므로 다양한 공간의 변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커튼, 파티션, 이동용가구 등으로 용도에 맞는 공간의 변화로 융통성 있는 공간 사용이 필요하며, 어린이 화장실과 씽크대가 있는 탕비실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향후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운영되고 있는 수눌음육아나눔터의 포괄적인 조사와 우수사례 분석을 통해 공간 및 이용환경 모델 제안과 가이드라인 매뉴얼 작성 제시에 필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향후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주 수눌음육아나눔터는 육지의 품앗이육아와 공동육아를 접목해서 제주에 새롭게 정착시키려고 하는 제주만의 이름으로 처음 시행되는 수눌음육아나눔터에 대한 연구자료의 축척으로 수눌음육아나눔터 공간계획의 가이드라인 작성을 위한 세부항목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rastic changes that accompanied industrialization led to women’s participation in the workforce, in addition to their traditional responsibility of housework. Therefore, late marriages, low fertility, and childcare have become important social interests and laws were introduced to promote a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In response to these law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established 10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in 2016, all of which are still in operation, as one of the methods to establish a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to encourage women’s entry to the workforce and overcome the low fertility issue. In this study,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are defined as “a communal place where parents in need of childcare can come at any time and a place where parents gather together for conducting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In this study, space utilization and indoor environment analyses on 10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in Jeju region, where communal cooperative childcare is desired,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problems with space usage, to suggest expansion of the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 project, and to recommend improvements to its space and environment. Accordingly, the study was conducted as described below. The first chapter describes the background and the need for research on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it also defines the research purposes and scope. The second chapter includ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child development during infancy and early childhood, as well as the space composition and indoor space organization in cooperative childcare facilities. Further, previous studies on definitions of communal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and cooperative childcare provided by family members, as well as the operational conditions of cooperative childcare provided by family members and indoor spaces of communal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were described. This led to the theoretical base of the study and validated the concept of this study. Further,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research contents suggested the need, the scope, and the direction of the study in detail. The third chapter discusses the research methods: field investigation,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For field investigation, measurement on each cooperative childcare center space was conducted, which includes accessibility of approach path, the location of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 in the building, the composition of indoor space, the area of each space,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rrangement, and the lighting. In the survey, parents with infants or young children were interviewed on the number of children they have, level of education, age, migration status, residence, cooperative childcare experience, childcare period, employment, the number of children in the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 motivation and procedure for participation, transportation, satisfactory levels of space composition, products and product usage in the centers, and their need for the program. In the in-depth interview, status and usage of equipped items, operating programs,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were investigat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 analysis method for evaluation material using SPSS ver. 18.0 program is suggested. Further, the study flow drawing is presented to describe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tudy, and the main contents of each chapter are described in detail. The fourth chapter includes research findings from field investigation, a survey on parent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taff, which are as follows. First, field investigation revealed that 8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were established in Jeju-si and 2 centers in Seogwipo-si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6. Five centers were operated by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s, three by social organizations, one by apartment management facilities, and one by a small library. The average area was 57㎡, which is larger than the recommended minimum for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of 33㎡. In terms of physical space status, a playroom was established in all 10 centers and the most frequently established spaces were the library, nursing room, office, and lavatory for children, in that order. Five centers had a pantry and a simple space to wash hands and to prepare formula, while only two centers had independent toilet facilities for children. Seco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aff allowed investigation of equipped item lists and the use of these items in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which revealed high usage of toys, desks, books, play mats, water dispensers, air conditioners, vacuum cleaners, and storage facilities. Fire extinguishers and medicine were recognized as essential safety items to be equipped for use at any time, but were not frequently used. The reason could be that healthy children tend to visit the center and for a relatively short time.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 usage and program status revealed that a total of 36 programs are currently in operation, of which parent-child programs were the most frequent with 21 programs, while 21 teams were operated by other family members. Third, the survey on parents showed that on average, the user is a full-time stay-at-home mother in her 30s, a college graduate, living in an apartment, having two children and 1-5 years of childcare experience, and moved to Jeju island (52%) from other areas.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to gather information on education for children and to allow their children to meet friends in their age. The users tend to use their own cars for transportation. This suggests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are perceived as a safe space near home where mothers and children of similar age can be together. The fifth chapter includes the conclusion and discussion. Of the buildings in which the centers were established, 6 were welfare facilities, 1 was a facility for children, 1 was a childcare facility, 1 was an office space, and 1 was a detached house. In terms of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indoor space organization, 10 centers had playrooms, 9 had libraries, 5 had pantry rooms, 2 had nursing rooms, and 2 had toilet facilities for children. In terms of management, 1 center was self-managed, 1 was run by unpaid volunteers, 2 had expert staff, and 6 had management staff. In terms of equipped items status and their usage, safety related items were recognized as essential items that must be in place and the infrequent use of safety items was analyzed to be due to the fact that healthy children tend to come to the center and for a short time.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were a place shared by parents and children, but the centers were so diverse and in need of a standard for space usage. Integrated space composition between interest regions and play areas in indoor spaces needs to be planned with the environment-friendly space, the finishing material for the wall needs to be made of soft color mat for safety, the area needs to have ample natural light overall, and there is a need for various changes in space since diverse programs for children of different age groups occur in one spac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flexible use of space which could be accomplished through the use of curtains, partition, and portable furniture. In particular, the needs for toilet facilities for children and a pantry room with a sink were highlighted. These research findings, which come from the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run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the outstanding case analysis, will be necessary materials to advise the space and usage of environmental models, and to prepare a guideline manual in the future.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re is a need for accumulation of research material on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which was the first researh operated by Jeju with the aim of permanent establishment by integrating the communal childcare and the exchange childcare on the islands, to prepare detailed articles for spatial plan guidelines for Sunulum Cooperative Childcare Centers.

      • 제주지역 공공미술의 조형적 특성 연구 : 제주시 지역을 중심으로

        이명철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공공미술은 미술과 일상을 연결하는 가교이며 그 역할에 따라 공공성의 확보는 물론, 일반인들의 미술에 대한 인식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그리고 미술은 사회의 여타 장르나 영역보다도 도시의 시각적 환경에 참여해 미술과 도시, 시민과의 관계를 풍요롭게 만들 수 있다는 역할 등으로 인해 공공미술에 대한 발전적 논의를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지점에 와 있다. 공공미술의 설치근거인 건축물 미술장식제도는 우리나라에 공공미술을 정착시키기 위한 첫 ‘걸음마’ 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공공성을 기본으로 설치 되어지는 미술영역인 만큼 건축물 미술장식제도에서 다룰 수 없는 부분인 일반대중과의 소통 문제는 지역마다 각기 다른 양상을 띠고 나타난다. 제주지역의 공공미술 또한 단순히 작가의 개성과 기호를 반영하는 수동적 형태에서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현재 제주지역에는 다수의 벽화, 조각작품 등을 비롯한 공공미술 작품이 제작․ 설치되어 있지만 모든 작품들이 대상 건축물이나 주변 환경, 시민들과의 긴밀한상호 연관성을 갖췄다고 보기는 어렵다. 특히 벽화의 경우는 공공미술의 범주를 벗어나 환경미화의 일부로 전락한지 오래이며, 전문성을 확보하지 않은 제작방법과 부주의한 구성들로 인해 오히려 보는 이로 하여금 시각적 피로감을 느끼게 하는 사례도 있다. 이러한 인식에서 시작된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도시공간을 바람직한 미적인 환경으로 조성하고 일반대중과의 긴밀한 소통을 위한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국내‧외의 공공미술의 변화과정과 관련제도를 전반적으로 고찰하고, 제주도의 공공미술품 설치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유관기관의 관련문헌 조사를 실시한 후 설치현황의 기초자료로 삼았으며, 이를 토대로 제주시 지역(서귀포 지역 일부포함)을 중심으로 현장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수집한 자료를 세분화하여 제주시 지역 공공미술의 긍정적인 사례와 문제점을 파악한 후 이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제주지역 공공미술 발전을 위한 참고자료가 되어 공공미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발전적 모색이 전개되기를 기대한다. Public art plays a bridging role in connecting art and the daily lives of people, which could help secure publicity as well as have not an insignificant effect on how much ordinary people are aware of art. Because art can permeate more positively in visual urban environment than other genres or scopes in society and then enrich the relations among art, city and citizens, the constructive discussions on public art should not be delayed. The enactment of the Artistic Decoration of Building Program—a ground of public art installation—can be said ‘the first step’ to settle public art in Korea. Although architecture with artistic decoration—belonging to the field of fine arts—is based on publicity, there is a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ith the rank and file so that it cannot to be handled in Artistic Decoration of Building Program and shows different tendency from each local society. Public art in Jeju shows itself as no more than a passive phenomenon to merely reflect personality and preference of artists. Even in Jeju, a plethora of wall paintings and statues are manufactured and installed, but it is not to be deemed that all of which are closely associated with subject buildings, surroundings and citizens. In particular, wall paintings have long ago degenerated into an attempt to beautify the environment rather than to promote public art; rather, a non-professional, careless constitution of so-called art imposes on the audience visual fatigue. From this perception, the study focuses on transforming the largest urban area of the island a desirable aesthetic environment and seeking means to develop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he public. The author studies the changing procedure and relevant institutions of public art at home and abroad on a comprehensive basis and reviews relevant literature of related agencies in order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art installation as a basic material, and accordingly, conducts on-the-spot investigation focusing on Jeju-si (as well as part of Seogwipo-si). The classification of materials collected also helps the author to seize positive cases and isolate problems pertaining to local public art, toward suggested improvements. The author hopes that the study will become a reference work to encourage diverse debate and which will engender a social dynamic for public art in the development of Jeju’s future.

      • 약관규제법상의 고객 보호의 법리 연구 : - 몇 가지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 -

        이선형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9647

        현대사회의 거래는 다양화·대량화 되고 있다. 개인과 기업은 많은 경우에 사업자가 미리 마련한 약관을 이용하여 계약을 체결한다. 그런데 사업자는 거래 영역에서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약관의 내용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작성하는 속성이 있다. 반면에 고객은 사업자가 일방적으로 작성한 약관의 내용을 잘 모르거나 그 내용이 자신에게 불리하더라도 그대로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약관이 지배하는 거래영역에서 사업자는 능동적으로 명령의 자유를 누리고, 고객은 수동적인 지위에서 계약내용결정의 자유가 제한된다. 약관에 의한 계약체결을 강요받는 고객에게는 오로지 계약체결의 자유만 있을 뿐이다. 따라서 약관에 의하여 체결되는 계약에는, 당사자의 대등을 전제로 하는 계약자유의 원칙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고, 이에 대한 일정한 수정이 필요하다. 약관에 의하여 체결되는 계약을 규제하여 약관내용의 공정성을 확보하고 고객을 보호하고자 하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며, 우리나라는 약관규제법의 제정과 시행을 통하여 약관에 대한 내용통제를 실현하고 있다. 약관규제법은 약관사용자인 사업자의 상대방을 특별히 ‘고객(顧客)’이라고 표현한다. 고객은 재화와 용역의 최종 구매자인 소비자는 물론, 우월한 지위의 사업자가 제안하는 약관에 의한 계약의 청약을 거절하지 못하는 영세 상인이나 하청기업과 같은 경제적 약자까지 모두 포함한다. 약관의 내용통제는 약관 조항의 내용을 공정하게 하여 이러한 경제적 약자인 고객을 보호하고 거래의 공정성을 담보하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그런데 입법목적과 달리, 약관규제법에는 추상적이고 모호한 규정이 많다. 이를 적용하는 법원도 경제적 약자인 고객 보호 이념에 충실하지 못한 결론에 이르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점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자는 고객 보호의 시각에서 약관규제법상의 기본 법리와 외국 주요국가의 입법례를 살피고, 편입통제·해석통제·불공정성통제의 단계적 방법에 대한 유기적인 연구와 검토를 통하여, 그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석론과 입법론적 시각에서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검토한 약관규제법의 내용통제에서 야기되는 문제점과 그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서 해석론 및 입법론의 주요 내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해석론을 본다. 첫째, 약관규제법상 약관이란 사업자가 고객과의 계약체결을 위하여 계약의 내용이 될 사항을 미리 마련하여 둔 것 일체를 말하는 것이다. 약관의 개념을 엄격히 하는 것은 고객이 약관규제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결과가 되어 고객 보호의 법리에 부합하지 않는다. 반대로 개별약정은 약관의 개념을 축소시키는 기능을 하므로 그 요건과 증명책임에 대한 판단은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약관이 계약내용으로 되기 위해서는 약관을 계약의 내용으로 하자는 당사자 사이의 채용합의가 필요하다. 또한 사업자의 공정한 약관 작성을 유인하기 위해서 사업자의 작성의무를 단순히 선언적인 것으로 보아서는 아니 된다. 설명 의무의 대상이 되는 약관 조항의 중요한 내용은 급부의 내용, 사업자의 면책, 고객의 책임 가중에 관한 내용 등을 들 수 있다. 셋째, 근로기준법이 적용되는 근로관계나 특별한 거래 분야에서의 약관에 대하여도 약관규제법의 규정과 상호 모순·저촉되지 않는 경우에는 약관규제법의 중첩적인 적용을 통하여 고객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해석통제 단계에서 신의성실의 원칙은 불공정성통제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일반 사법에서의 신의성실의 원칙보다 강화하여 적용되어야 한다. 객관적 해석원칙은 고객의 개별적 사정을 고려하지 않아 고객 보호에 미흡한 점이 있다. 따라서 해석통제에서는 고객유리의 해석원칙의 적용을 통하여 이를 보완하여야 한다. 다섯째, 약관규제법 제6조 제1항과 제2항의 규정은 체계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또한 약관규제법이 규정하는 불공정성통제의 판단 대상과 기준은 명확하지 않다. 한편 불공정한 약관에 대한 일반적인 효과만으로는 공정한 약관 사용을 기대하기 곤란하여 고객 보호에 충분하지 못하다. 여섯째, 약관규제법 제8조의 위약금에는 위약벌이 포함되는데, 법원은 이를 감액할 수 없고, 동조에는 효력유지적 축소해석도 적용되지 않는다. 약관규제법 제14조의 부당한 소송제기의 금지에는 부당한 중재합의도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또한 고객에게 증명책임을 전가하는 약관 조항은 그 불공정성의 정도가 심하다. 일곱째, 불공정성통제의 단계에서 개별적 통제에 직접적으로 포섭되지 않는 경우는 불공정성 판단이 유보된 경우로 보아 일반적 통제의 적용을 받아야 한다. 약관 조항이 계약에 편입되지 못하거나 불공정하여 무효인 경우에는, 무효로 된 부분에 대하여 임의법규를 적용하여 계약내용을 정하면 된다. 효력유지적 축소해석은 고객 보호를 위한 내용통제 수단으로 보아야 한다. 한편 행정적 통제와 사법적 통제는 그 구조적 차이와 특성에 따라 불공정성 판단의 기준이 다르므로 고객의 예측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상호 보완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입법론을 본다. 첫째, 약관규제법 제2조 제1호에 약관의 개념요소로 규정되어 있는 ‘일정한 형식’이라는 문구는 삭제하고, ‘다수의 계약을 위하여’라는 요건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약관규제법 제4조는 개별약정의 요건으로 ‘개별적인 교섭’을 명문화하고, 개별약정에 실질적인 교섭이 있었는지 여부는 사업자가 증명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약관규제법 제3조 제3항의 본문은 설명의무의 대상이 되는 약관 조항의 중요한 내용으로 ‘급부의 내용’, ‘사업자의 면책’, ‘고객의 책임 가중’ 등을 예시할 필요가 있다. 다만 동항 단서는 고객 보호 이념과 친하지 않으므로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성의무 위반의 경우에도 편입통제의 효력을 규정한 약관규제법 제3조 제4항을 적용할 수 있도록 개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약관규제법 제30조 제1항에서 근로기준법을 삭제하고, 동조 제2항은 약관규제법이 약관에 관하여는 우선 적용되는 특별법임을 명시하되, 다른 법률을 적용하는 것이 고객에게 유리한 경우에는 그 법률을 적용할 수 있도록 개정하여 고객을 중첩적으로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약관규제법 제5조 제1항 후문을 “고객에 따라 불리하게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로 개정하여 통일적 해석원칙의 독자적 의미를 반영하고, 고객의 개별적 사정을 고려하지 않는 객관적 해석원칙의 문제점을 보완하여야 한다. 다섯째, 약관규제법 제6조 제1항은 “공정성을 잃은 약관 조항은 신의성실의 원칙에 위반하여 무효이다”로 개정하는 것이 조문의 체계상 합리적이다. 약관규제법 제6조 제2항 제2호는 불공정성통제의 판단 기준으로 ‘계약체결의 목적’, ‘계약의 내용’을 고려하도록 하되, 동조 제3항을 따로 두어 임의규정을 기준으로 불공정성통제의 대상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한편 불공정한 약관을 사용하는 사업자에 대하여 징벌적 손해배상의무를 부과하는 규정을 두는 것도 고객 보호에 일조할 수 있다. 여섯째, 약관규제법 제14조에 부당한 중재합의도 포함되도록 명시적으로 개정하고, 고객에게 증명책임을 전가하는 약관 조항은 절대적 무효조항으로 할 필요가 있다. 약관에 의한 계약체결에서 발생한 분쟁에 대하여 고객의 주소를 기준으로 전속관할 규정을 신설하는 것도 고려해 보아야 한다. 일곱째, 약관규제법 제17조가 규정하는 불공정약관조항을 “제6조부터 제14조까지의 규정에 해당하거나 해당할 우려가 있는 불공정한 약관 조항”이라고 개정하여 행정적 통제의 불공정성에 대한 심사기준을 명확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논문은 현행 약관규제법이 안고 있는 고객 보호에 미진한 몇 가지 문제점을 중심으로 비교법적인 연구 및 판례 분석을 통하여 상세한 해석론을 전개하고, 입법론까지 개진하였다. 다만 국제거래계약에서의 약관과 행정적 통제의 절차적 문제 등은 논의의 대상으로 삼지 않았고, 본 논문에서 개진한 몇 가지 입법론은 고객 보호의 관점에서 개별입법으로서의 입법론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둔 것이다. 향후 약관규제법의 개정이나 민법으로의 흡수·통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본 논문의 연구를 바탕으로 국제거래의 현실 및 사법의 일반원칙까지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구체적인 논의가 전개되기를 희망한다. Trading of modern society is becoming highly diversified and large-scale. In most cases, Individuals and a company use contractual terms and conditions that the company pre-composed. But For that reason, Usually Pre-made contractual terms and conditions work to company’s advantage. On the other hand Most customers don’t know about the meaning of contractual terms and conditions and Even if they knew it and the terms are against customers. They don’t have any chance to change Pre-made contractual terms and conditions. As such, In the trading field of governing by terms and conditions, Providers have much freedom of command. It limits the freedom of contract decisions to customers who are in passive position. Customers forced to sign by the terms and conditions have only the freedom of contract. So, In the formation of contracts by the terms and conditions, Liberty of contract should be restricted and require a modification. For the customers protection, It is a global trend that We should emphasis fairness in the contract contents by regulating the terms and conditions. For this reason in Korea, We legislate 「ACT ON THE REGULATION OF TERMS AND CONDITIONS」. The opponent of business operator is expressed as a ‘Customer’ by the law. The ‘Customer’ means not only the final buyer but also the financially challenged like the petty merchant or Subcontractors who can’t say no to pre-made contract. Controls of “CONTENT OF THE TERMS” are an important tool to protect the financially challenged and to guarantee the fairness of the transaction. But Unlike the legislative purpose, There are too many provisions that are vague and abstract in 「ACT ON THE REGULATION OF TERMS AND CONDITIONS」. There are many cases that could not reach a conclusion that didn’t protect customers in the court’s decisions. At these points, I try to find ways of resolving by studying the basic legal principles, foreign similar laws and theoretical reviews. Especially I review in The transfer control, interpretation control and unfairness Control. I will make a De lege ferenda offer. Remarked as above, The thesis includes interpretations and de lege ferenda that compensate the defect. A summary of major matters is as following. First of all, I sum up the thesis about interpretations. First, The terms and conditions on 「ACT ON THE REGULATION OF TERMS AND CONDITIONS」are every details in which the providers prepares matters to be the contents of the contract in order to conclude the contract with the customer. If we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s and conditions strictly, the customer will not be protected by the law. On the contrary, Individual agreements function to reduce the concept of the contract, so the judgment of the requirements of individual agreements and the burden of proof must be made with cau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agree to be made under the terms of the contract between the providers and customers. Terms and Conditions In order to become a contractual agreement, it is necessary to agree on the employment contract between the parties to the contract. In addition, the providers’ obligation to make a contract is not merely declaratory in order to induce the contractor to create a fair contract. The important objects of the Liability for explanation are content of payment, exemption of providers, contents about responsibility of customer. Third, The regulation of terms and conditions could limit or exclude liability in many cases because of Some special laws like labour law. But If Provisions of each law were not contradictory, inconsistent, We have to make a application of 「ACT ON THE REGULATION OF TERMS AND CONDITIONS」for protection of customers. Fourth, In the interpretation and control provisions, The Principle of good faith should be more strengthened as compared with general civil law’s principle. The objective interpretation principle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individual circumstances of the customer, which is insufficient to protect the customer. Therefore, In the interpretation and control provisions, it should be complemented by ‘Contra Proferentem’. Fifth, The provisions of Article 6 Clause 1 and Clause 2 of 「ACT ON THE REGULATION OF TERMS AND CONDITIONS」need to be improved systematically. In addition, the criteria and standards for the control of unfairness, as regulated by the Law, are not clear. On the other hand, the general effect of the Law is not enough to protect customers because it is difficult to expect fair use of the terms. Sixth, The penalty for breach of contract under Article 8 of the Law includes the punishment, which can not be reduced and maintained effect by the court. The prohibition of filing an unfair suit, as stipulated in Article 14 of the Law, should be considered to include an unfair arbitration agreement. In addition, the provision of transferring certification responsibility to the customers is severely unfair. Seventh, In cases where unfairness control i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ndividual control, it should be subject to general control because the judgment of unfairness is presumed to be reserved. If the terms of the contract are not included in the contract or are unfair and invalid, the contract may be determined by applying voluntary law to the invalidated parts. Restriktive Interpretation for maintaining effect should be seen as a means of controlling content for customer protection. On the other hand, Administrative control and judicial control differ from each other in terms of unfairness judging by their structural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complement each other in order to guarantee the predictability of customers. To the next, I sum up the thesis about De lege ferenda. First, It is necessary to delete the phrase ‘certain form’, which is defined as the conceptual element of Article 2, Paragraph 1 of the Law, and to establish the requirement ‘for multiple contracts’. Article 4 of the Law stipulates “individual negotiation” as a requirement of individual agreement, and it is desirable that the providers prove whether there has been substantial negotiation of the individual agree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illustrate each case in details like ‘Contents of payment’, ‘Exemption from responsibility of providers’, ‘Addition the customer’s responsibility’ in Article 3, Paragraph 3 of the Law. However, it is preferable to delete provisory clause in Article 3, Paragraph 3 of the Law because it is not familiar with the customer protection idea. It is also necessary to revise Article 3, Paragraph 4 of the Law, which stipulates the effect of incorporation control, even in the event of breach of the duty of writing. Third, In Article 30, Paragraph 1 of the Law, We shall be deleted “the Labor Standards Act” as applied law. In Paragraph 2 of the Law, 「ACT ON THE REGULATION OF TERMS AND CONDITIONS」is fixed as Special Priority Act. If applying other laws is favorable to the customer, It is desirable to protect customers in an overlapping manner. Fourth, We shall revise Article 5, Paragraph 1, thereinafter of the Law as “not to be interpreted as disadvantaged by customer”, We reflects the original meaning of the principle of unified interpretation and compensate the defect of objective interpretation principle. Fifth, Article 6, Paragraph 1 of the Law shall be revised as “A provision that has lost its fairness is invalid in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good faith”. In Article 6, Paragraph 2, Subparagraph 2 of the Law, We shall take into consideration ‘the purpose of the contract’ and ‘the contents of the contract’as the criterion for the control of unfairness, We need to specify the object. On the other hand, the provision of punitive damages to providers who use unfair terms can also help protect customers. Sixth, Article 14 of the Law requires that the provision explicitly amend to include an unfair arbitration agreement and It is regarded as not valid that unfair terms and conditions shift responsibility on the burden of proof to the customer. Consideration should also be given to establishing exclusive jurisdiction rules based on the customer's address for disputes arising out of contractual agreements. Seventh, the unfair terms and conditions stipulated in Article 17 of the Law shall be amended as “unfair terms and conditions that fall under the provisions of Articles 6 to 14” and It is desirable to clarify the screening criteria for the unfairness of administrative control. In this way, this thesis develops the detailed interpretation theory and the legislative theory through comparative legal research and precedent analysis focusing on some problems which are not in the protection of the customer which is under the current Law. However, the terms of the contracts in international trade custom and the procedural issues of administrative control were not discussed, Some of the legislation introduced in this thesis focuses on the provision of legislation as individual legislation in terms of customer protection. In the future, I hope that the revision process of the Law and the absorption and integration of the Law into the civil law will be reflected in a comprehensive discussion of the reality of international transactions and the general principles of the judiciary.

      • 생태관광에 대한 인식과 방문 전 태도에 관한 연구 : 제주지역을 방문한 내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박미화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People’s desire to travel in order to find something different from their tedious daily lives creates a demand for tourism. This in turn enables the diversification of tourism forms, forming the fundamentals for new tourism products. In particular, interest in eco-tourism, which minimizes environmental damage, is increasing recently. In other words,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is emerging as a topic of interest in the tourism industry and the academia. As the interest in the environment rapidly increases in Korea, the number of tourists visiting natural areas with high preservation value is increasing every year. In order to meet such demand of ecotourism,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supporting ecotourism businesses. However, while most tourists go on ecotourism, they do not know the concept or purpose of ecotourism, resulting in the destruction of ecological resources that should be protected, theoretically bringing confusion about ecotourism. It is considered that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ecotourism are critical and are urgent in order to establish necessary policies for ecotourism and to develop, operate, manage and develop ecotourism sites so that such ecotourism can be established in a correct mann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cotourism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cotourism awareness and ecotourism behavio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literature reviews and empirical analysis were simultaneously carried out. For literature review,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oncept of ecotourism and its characteristics, ecotourism awareness, ecotourism behavior were explored using domestic and foreign books, articles, and other publications. For empirical analysis, a hypothesis related to ecotourism recognition and behavior was established and a survey was done for hypothesis testing. Frequency Analysis was used as a data analysis method to explore tourism behavior. T-test and ANOVA was used to explore the effects of tourism behavior by type on ecotourism recognition and ecotourism behavior.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cotourism awareness and ecotourism behavior. A total of 24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and 208 valid sampl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Hypothesis 1 that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eco-tourism awareness according to tourism behavior type was partially adopted because travel type, internet information acquisition and ag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on ecotourism awareness. Also, Hypothesis 2 that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ecotourism behavior according to tourism behavior was partially adopted as vacation period and ag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on ecotourism behavior. Analysis results of hypothesis 3 that ecotourism behavior will affect ecotourism behavior showed that risk perception awareness and quality awareness in ecotourism awareness have positive effects on ecotourism behavioral factors. As a result, the hypothesis that ecotourism behavior will affect ecotourism behavior was not rejected. Nevertheless, it was analyzed that ecotourism the value for money awareness on ecotourism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cotourism behavior. Therefore, proactive marketing on risk perception and quality on ecotourism may be utilized as a good means in order to induce ecotourism behavior. However as price does not affect ecotourism behavior, this implies that rather than low-price ecotourism marketing, marketing needs to be done with a high quality, low risk, and high price strategy. In conclusio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rom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research. First, in developing ecotourism programs or studying marketing strategies, it is necessary to target tourists who are free travelling rather than tourists who are using tourism packages. Price increase in order to reduce risk involved with ecotourism and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 product may be more effective. Second, as a marketing means for ecotourism, social marketing using internet or mobile is more effective than mass media such as TV or radio.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and promote the fact that tourists who perceive information through such social marketing channels are not greatly impacted by duration time or costs for ecotourism packages. Third, in developing programs or selecting the marketing directions, it is more effective to target the younger generation as the main target. Ecotourism packages with the younger generation as the target showed the need for a program that emphasizes the increase in the quality of life, or resting with nature without being bound to price. Fourth, the research showed the need for developing an ecotourism program that enables the participation of long term travelers rather than short-term tourists. When developing programs for long term travelers, it implies that it can have a positive impact including active environmentally friendly education such as activities and challenges. Fifth, the research showed the promising potential for programs that emphasizes the increase in quality of life or resting with nature when looking at the convenience of using tourism packages when experiencing ecotourism. In particular, the research showed potential that active environmentally friendly education programs such as activities and challenges may be more effective when advertised with the contents of experiential value of ecotourism in order to show the uniqueness of ecotourism. The following are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th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for ecotourism. First, when developing ecotourism products, convenience that can resolve risk perception such as reservation and information acquisition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as satisfaction and quality increase such as uniqueness. Price increase due to such factors do not have to be greatly considered. Second, there is the need to develop quality focused products as tourists are positive towards high priced products if quality increases or risk perception can be lowered with regards to the cost and time that is needed for ecotourism. Third, the younger generation have the most proactive and friendly attitude towards ecotourism, and social marketing means using the internet or mobile is the most effective. Though there is insufficient preceding research on ecotourism making it difficult for comparative research, this research has implications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laid out the definition and consisting factors of ecotourism awareness and behavior. This study has brought implications for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for sustainable ecotourism in that it has showed quality increase and risk perception elimination are mor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than low-cost strategies.

      • 호텔 室內空間色彩이미지에 대한 利用者의 感情및 行動에 관한 硏究

        김수희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role of hotels today has expanded from offering accommodations for commercial purposes to providing the general public with leisure, cultural and community facilities.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s, as well as quantitative growth, including the space size. A hotel is a means to recover from the fatigue of a journey and enjoy leisurely life, and serves a key facility in the tourism industry. It is a comprehensive living and cultural space to satisfy the various needs of its users, and each space in a hotel expresses its unique characteristics.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customer needs for the purpose and function of hotels have also diversified. As hotel facilities become large and their spatial function becomes complex, there is a growing need to accurately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hotel construction plans and accordingly perform a systematic evaluation and analysis. In the past, a majority of tourists used accommodations offered in group tours through tourist agencies, but the types of hotel selection are also changing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individual travelers. As the number of solo travelers and online bookings rise thanks to the accommodations that could be selected based on personal preferences, the spatial image s of hotels offered online function as a key factor in selecting an accommodation. On the other hand, color is of the highest strength of stimulation in visually perceived information in indoor spaces, and it is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visual image of the space and the indoor atmosphere. According to the concept of S-O-R, such color stimulation in indoor spaces affects the emotions of users, and changes their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of color images and color distribution in a hotel’s indoor space. The color image palette was extracted from the typological analysis of color images, and to determine the user's emotion and behavior based on the color images in high frequency (elegant, natural, modern, delicate, and gentle.) A PAD emotion and behavior evaluation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emotion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nalyses above, the study aims to offer indoor color image data on accommodation facilities, including hotels, by providing the color image palette of a hotel’s indoor space. It also aims to provide the user-oriented color plan data for a hotel’s indoor space by determining the relation between color stimuli in the space and the user's emotion and behavior. Chapter 1 Introduction In this chapter, the background and the need for a theory of environmental behavior based on hotels, color and color image, the concept of S-O-R; the concrete research objectives and scope are described. Also discussed in this chapter is the research flowchart to determine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thesis, and the key points of each chapter. Chapter 2 Theoretical Background and Literature Review In this chapter, theoretical backgrounds and previous studies on five-star hotels and indoor spaces, color and color image in indoor space, and the theory of environmental behavior based on the concept of S-O-R are examined. Accordingly,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study is presented, and the validity of the concept is verified. In addition, an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ir content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need, scope and direction of this study. Chapter 3 Methodology In this chapter,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which consists of a case study and an experimental study, is discussed in detail. For the case study, the color image of a hotel’s indoor space is analyzed, and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types of color image, the analysis method of color distribution in color image, and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analysis results are presented. For the experimental study, an emotional and behavioral evaluation test on users was performed based on the CG color image produced by integrating the research results from the case study. The chapter also discusses the test method in detail, and analyzes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tool. The analysis method for the evaluated data using SPSS ver. 18.0 is also presented. Chapter 4 Characteristics of Color Image in a Hotel’s Indoor Space In this chapter, general characteristics of five-star hotels in South Kore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olor image are derived. The analysis of the color image characteristics was performed by determining the color distribution based on the image types of I.R.I. color image scale in the space of the lobby, food and beverage, and rooms, which were collected from the websites of five-star hotels. The analysis statistically verified differences in indoor spaces and in the color plan in terms of the dominant, complementary, and accent colors. Based on the analyses, the color palette for indoor space is proposed. Chapter 5 The User's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Color Image of a Hotel’s Indoor Space An experimental test was conducted on the user's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s to CG color images based on the color image of a hotel’s indoor space. The PAD evaluation tool was used for the emotional evaluation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perties of the evaluation items, emot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indoor spaces, and emotional factors. The behavioral evaluation used the behavioral evaluation tool derived from previous research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perties of the evaluation items, behavioral characteristics based on indoor spaces, and behavioral factors. Furthermore, this chapter analyzes the effect of emotions derived from indoor spaces on the user's behavior, identifies the relation between emotion and behavior by determining the control effect on the user characteristics (by gender and age), and presents a color plan for the color image of a hotel’s indoor space by integrating the research results and considering emotion and behavior of users. Chapter 6 Conclusion and Implications This chapter integrates the results from the case study and experimental study. It also presents a color image plan based on indoor spaces by analyzing the color image type and color distribution of indoor spaces in five-star hotels in South Korea and the users'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color image of indoor spaces. It is determin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could be used as data for color planning that considers the users' emotion and behavior in the interior design of indoor spaces for accommodation facilities in the future. Furthermore, it is believed that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evaluation tools for color stimuli in indoor spaces could be applied to research in related fields. Follow-up research is planned to analyze various visual and environmental stimuli in indoor spac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and the corresponding relation between emotion and behavior. 현대의 호텔은 영리적인 목적으로 일반 대중에게 숙식을 제공하는 기능 이외에 여가 및 문화시설, 커뮤니티시설로 호텔의 역할을 공공의 성격으로 확장하고 있으며, 양적 성장과 함께 공간 규모 및 서비스 등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지속적인 발전이 시도되고 있다. 호텔은 여행의 피로를 풀고 여가생활을 즐기는 수단이면서 관광산업의 핵심적인 건물로, 이용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종합적인 생활·문화 공간이며, 각 공간은 호텔의 개성을 표현하고 있다. 호텔에 대한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와 용도 및 기능에 대한 이용객의 요구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시설규모가 대형화되고 공간의 기능이 복합화가 진행되면서 호텔 건축 계획현황이 정확히 파악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체계적인 평가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과거에는 여행사를 통하여 숙박시설을 선택하는 단체 관광의 경우가 주를 이루었지만, 개별여행이 점점 증가하면서 호텔 선정의 방식이 달라지고 있다. 개별 여행객 수의 증가와 개인 취향에 따른 숙박시설의 선택으로 인하여 온라인 예약이 증가하게 되면서 온라인을 통하여 접하는 호텔의 공간이미지는 숙박시설의 선택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편, 실내공간에서 노출되는 시지각 정보 중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는 색채는 최초의 자극강도로 공간의 시각적 인상을 결정하고 실내분위기를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S-O-R 개념에 의하면 이와 같은 실내공간의 색채 자극은 이용자의 감정에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행동에 변화를 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호텔 실내공간의 이미지에 대한 색채이미지 유형과 색채분포가 파악되었다. 색채이미지의 유형 분석을 통하여 색채이미지 팔레트가 추출되었으며, 빈도가 높게 나타난 색채이미지(고상한․내추럴한․모던한․은은한․점잖은)에 대한 감정과 행동 반응을 파악하기 위하여 PAD 감정과 행동 평가에 대한 실험이 시행되어 감정 및 행동의 특성과 관계가 분석되었다. 이를 통하여 호텔 실내공간의 색채이미지 팔레트를 제시하여 호텔을 비롯한 숙박시설에 대한 실내공간의 색채이미지 자료를 제공하고, 호텔실내공간의 색채자극에 대한 감정과 행동의 관계를 파악하여 이용자를 고려한 호텔 실내공간의 색채계획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1장 서론 호텔, 색채와 색채이미지, S-O-R 개념에 근거한 환경행동이론의 배경과 필요성이 서술되었고, 구체적인 연구목적과 연구범위가 설정되었다. 또한 연구흐름도(Flow Chart)가 제시되어 논문의 전체적인 구성이 파악될 수 있으며, 각 장의 주요 내용이 서술되었다. 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5성급호텔과 실내공간, 실내공간의 색채와 색채이미지, S-O-R 개념에 근거한 환경행동이론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관련 선행연구가 검토되었다. 이를 통하여 연구의 이론적 근거가 마련되었으며, 개념의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또한, 연구내용에 따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연구의 필요성, 범위, 연구방향이 구체적으로 서술되었다. 3장 연구방법 사례연구와 실험연구로 진행된 연구방법이 구체적으로 서술되었다. 사례연구는 호텔 실내공간의 색채이미지가 분석되었으며, 색채이미지의 유형분석기준과 색채이미지의 색채분포 분석방법 및 분석 결과의 도출방법을 제시하였다. 실험연구는 사례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제작된 CG 색채이미지를 기준으로 이용자를 대상으로 감정 및 행동 평가실험이 시행되었으며, 구체적인 실험방법이 제시되고, 평가도구의 타당성이 분석되었으며, SPSS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한 평가자료의 분석방법이 제시되었다. 4장 호텔 실내공간의 색채이미지특성 국내 5성급호텔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색채이미지 특성이 도출되었다. 국내 5성급호텔의 웹사이트에서 수집된 로비․식음료․객실공간의 이미지에 대하여 I.R.I 색채이미지스케일의 이미지 유형에 따른 색채분포를 파악하여 색채이미지 특성이 분석되었으며, 실내공간에 따른 차이와 주조색․보조색․강조색의 색채계획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검증되었다. 이와 같이 실내공간 색채이미지의 분석자료를 기준으로 실내공간에 따른 색채팔레트가 제시되었다. 5장 호텔 실내공간 색채이미지의 감정과 행동 특성 호텔 실내공간의 색채이미지에 대한 CG로 제작된 색채이미지에 따른 감정과 행동 반응에 대한 실험연구가 분석되었다. 감정평가는 PAD 평가도구가 사용되었고, 평가항목 특성, 실내공간에 따른 감정 특성, 감정요인의 상관관계가 파악되었다. 행동평가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추출된 행동 평가도구가 사용되었고, 평가항목특성, 실내공간에 따른 행동특성, 행동요인에 따른 상관관계가 파악되었다. 또한, 실내공간의 감정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분석되었고, 이용자의 성별과 연령에 대한 조절효과가 파악되어 감정과 행동의 관계가 규명되었으며,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이용자의 감정 및 행동을 고려한 호텔 실내공간 색채이미지의 색채계획이 제시되었다. 6장 결론 및 향후과제 사례 및 실험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국내 5성급호텔 실내공간의 색채이미지 유형과 색채이미지의 색채분포, 실내공간의 색채이미지에 따른 이용자의 감정과 행동의 특징을 분석한 종합적인 결론과 향후 연구가 종합적으로 제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향후 숙박시설 실내공간의 실내디자인 계획에 있어서 이용객들의 감정과 행동을 고려한 색채계획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내공간의 색채자극에 대한 감정 및 행동평가도구가 관련 분야의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예측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건축물 특성에 따른 실내공간의 다양한 시지각적 환경자극에 대해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감정 및 행동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계획이다.

      • Physicochemical and Health Beneficial Characteristics of β-Glucans from Jeju Barley

        김효진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에서는 제주 지역에서 재배 및 생산되는 보리의 수용성 식이섬유인 β-glucan을 추출하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또한 추출된 β-glucan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bile acid binding과 starch digestibility를 측정한 것을 토대로 glycemic index 수치를 추정하여 제주 보리가 기능성을 갖춘 제품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β-glucan 추출은 45, 5 ,65 75°C 에서 추출되었고, 추출 수율과 β-glucan의 특성 모두 65°C 에서 우수하였다. 선행 연구를 토대로 겉보리, 맥주보리, 검정보리, 찰쌀보리, 쌀보리, 청보리를 이용하여 65°C 에서 β-glucan 추출을 실시하였다. 겉보리가 70.09% 추출 수율이 가장 낮았으며 이는 도정이 완전히 되지 않기 때문에 수율이 낮았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찰쌀보리의 추출 수율이 95.46%로 가장 높았다. β-glucan 수율이 높았던 찰쌀보리가 재용해율이 가장 높았고 β(1→3): β(1→4) 결합비는 모든 보리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추출된 β-glucan을 가지고 bile acid binding을 측정하였는데, β-glucang 함량이 가장 높았던 찰쌀보리가 bile acid binding 수치가 높았다. 도정 된 보리 현탁액의 GI를 측정했을 때 가열하지 않은 보리 현탁액은 low-GI에 속했고 가열한 보리 현탁액은 medium-GI에 속한 것으로 보아, 제주 보리가 다른 곡물보다 GI수치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감자 전분에 β-glucan을 첨가하였을 때 제주 보리 β-glucan에서 전분 소화율과 GI 수치가 낮아졌다. 감자 전분의 GI 수치는 100.50 이였지만 β-glucan을 첨가하였을 때에는 59.71-63.19로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여 전분의 소화율이 β-glucan의 영향을 받는 것을 입증하였다. 하지만 β-glucan 농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아 β-glucan의 구조나 추출된 β-glucan에 섞여있는 전분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판단되어, β-glucan의 구조와 보리에 함유되어있는 전분의 구조 및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토대로 제주에서 재배된 보리의 일반성분과 온도에 따른 점도 특성, 추출된 β-glucan의 이화학적 특성 및 건강기능성을 바탕으로 제주 보리를 활용한 새로운 기능소재 및 제품개발에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effect of different temperature (45, 55, 65, and 75°C) on the extraction of β-glucan and the properties of extracted β-glucan were investigated with four different varieties of barley. Jeju naked barley, blue barley, and beer barley and black barley contained 6.85, 5.13, 3.58, and 4.16% of β-glucan, respectively. β-Glucan in barley was extracted in the range of 64.88 to 93.84% depending on the extraction temperature and barley variety. The β-glucans in Jeju naked barley, Jeju blue barley, and black barley were highly extracted at 65°C for 3 h and that in Jeju beer barley was at 75°C. The extracted β-glucan resolubilized to 43.48-81.73% and the ratio of β(1→3) to β(1→4) linkage was in the range of 1:3.8-5.8. These results suggest that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β-glucan depended on not only extraction temperature of water but also barley variety. β-Glucan is a soluble dietary fiber from barle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ifferent varieties of barley and their β-glucan extracts and evaluated in vitro bile acid binding and starch digestibility for health benefits of barley. β-Glucan concentration of less-hulled barley, beer barley, black barley, waxy naked barley, naked barley, and blue barley were 3.44, 3.46, 6.08, 6.75, 6.45, and 5.91%, respectively. Viscosity of waxy naked barley flour was the highest when performed at room and heat temperature. Yield of β-glcuan from less-hulled barley after extraction process was the lowest as 70.09% and waxy naked barley was the highest as 95.46%. The extracted β-glcuan resolubilized to 29.89-56.56% and ratio of β(1→3) to β(1→ 4) linkage was in the range of 1.71-2.86. In vitro bile acid binding of extracted β-glucan was evaluated with cholestyramin, a positive control, and cellulose, a negative control. As the increase of purification, in vitro bile acid binding was increased. In vitro starch digestibility of barley flour and potato starch was increased by heat treatment and the concentration of β-glucan. The glycemic index (GI) was decreas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β-glucan. These result suggested that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arley were dependent on the variety of barley and especially β-glucan was involved to the barley properties and their health benefits.

      • 제주지역 대용량 태양광발전소의 발전특성 분석

        김수완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Korea Government enforced the RPS(Renewable Energy Portfolio Standard) system in 2012. And so, many PV(Photovoltaic) plants have been built in th e Jeju. PV plants have been increasing due to the RPS. However, since there is no actual reference information about solar power plants in the Jeju Island, in this paper the utilization rates of the PV plants being operated and weather informations related to their generation were investigated. The Jeju Island is located in the southernmost part of Korea, and surrounded by the sea. The Jeju Island has various climatic characteristics and meteorological phenomena because it has Mt.Halla(1950m), which is in the middle of the island, and mountainous terrain called ‘Orum’. Because of these characteristics, The Jeju regional meteorological office provides weather data about the 4 regions that the Jeju Island are divides into. Therefore, the MW PV plants in the Jeju Island are classified into four regions, northern region, eastern region, southern region and western region focusing on Halla Mountain. In this paper a total of 22 large-scale PV plants was surveyed. Using the actual power generation data of each PV plant and the meteorological condition data from the four meteorological offices in the 4 regions, this paper analyzed the utilization rates and the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V plants according to weather conditions in the 4 reg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1) The average annual utilization rate of solar power plants in the Jeju Island appears in order of 21% in the western area, 18% in the southern area, 17% in the northern area and 14% in the eastern area, and in the western area, except for winter, it showed high utilization rate of 20% or mo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tilization rate of PV plants in the Jeju and the duration of sunshine, it was found that utilization rates of all power plants follow the duration of sunshine in proportion. 2) The duration of sunshine were the longest in the south, followed by the eastern, western and northern regions. The utilization rate of PV plants in the southern region and the eastern region with relatively good sunshine hours was low. For this reason, another additional study is necessary. 3) the duration of sunshine, a kind of weather condition, will be similar to the long-term average,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utilization rate of PV plants in the last two years also decreases in the summer and increases in the fall. 4) Summer duration of sunshine in the southern region and the western region were about 200 hours, the average temperature was about 25 °C. the average wind speed was 4.7 m/s in the western region, about 1.8 m/s southern region. The utilization rate in the western region was about 23%, the southern region showed the utilization ratio of 19%, showing a difference of 4%. 세계 여러 나라들은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992년 유엔기후변화협약을 체결하고, 1997년 교토의정서를 채택하였으며, 이 의정서에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선진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도 대비 평균 5.2% 감축하도록 규정하였고, 2011년 교토의정서 공약기간을 연장하였으며 2015년 신기후체제의 기반이 되는 파리협정을 채택하였다. 파리협정에서는 감축 의무국가가 주로 선진국에서 모든 당사국으로 대상 국가 범위가 확대되었고, 주로 온실가스 감축에 초점을 두었던 교토의정서와는 다르게 온실가스 감축만이 아니라 적응, 재원, 기술이전, 역량배양, 투명성 등을 포함시켰다. 그리고 효력 종료 시점을 규정하지 않아 지속 가능한 대응을 가능하게 했다. 우리나라는 “2030 온실가스감축 로드맵”을 만들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전망치(BAU: Business As Usual) 대비 37%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워 UN에 제출하였다[1].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2012년에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RPS:Renewable portfolio system)제도를 시행하였는데,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란 50만kW 이상의 발전설비를 가지고 있는 발전사업자에게 총발전량의 일정 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원으로 공급토록 의무화하는 제도로서 기존 보급제도인 발전차액지원제도(FIT: Feed in Tariff)의 한계와 재정부담 완화를 위해 시행되었다. 공급의무화제도를 시행함에 따라 2012년 이후 2014년 9월말까지 전국에 건설된 발전설비(3,166MW, 6,873개소)의 건설이 이루어 졌으며, 기존 발전차액지원제도에 의해 10년간 건설된 발전설비 용량의 약 3배 수준이다[2, 3]. 2015년 제주지역 계통운영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부터 시작된 신재생 공급의무화제도에 따라서 공급인증서(REC) 거래시장에 가입한 제주지역 태양광 사업자가 급증하는 추세로 전년 대비하여 설비용량이 약 50.2%(24.3MW), 발전 단지의 수는 약 59.7%(108단지)로 증가하였다[4]. 제주특별자치도 지방정부가“Carbon-free island, Jeju by 2030” 정책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6년도 정책 사업으로 폐감귤원에 태양광발전소 건설을 지원하는 등 태양광발전소 보급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제주지역 내 새롭게 건설되는 태양광발전소의 안정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이미 건설되어 운영 중인 태양광발전소에 대한 지역과 연관된 월간, 연간 이용률 등의 실제의 참고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 제주도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섬이며, 국토 최남단에 위치하고, 섬 가운데에 1950m의 한라산이 있으며 주변에는 오름이라는 특수한 형태의 산악지형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섬은 면적은 좁지만 대륙과 해양으로부터 영향을 동시에 받으면서 다양한 기후특징과 기상현상을 나타낸다. 제주지방기상청은 관할 유인 관측소 4개소와 자동기상관측시스템 20개소, 총 24개의 관측지점에서 기상관측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으며, 기후변화 유사성에 따라 제주지역을 제주북부, 제주동부, 제주남부, 제주서부 지역으로 구분하여 기상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5]. 이 기상 데이터와 연관하여 태양광발전소의 발전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운영 중인 MW급 태양광발전소들의 위치에 따라 제주지방기상청에서 구분하는 4개 지역 그룹으로 분류한다. 또, 운영 중인 전체 MW급 태양광발전소 중에서 2년 이상 가동된 발전데이터를 갖는 22개의 태양광발전소만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다. 이 논문에서는 지역 별 일조시간, 기온, 풍속과 해당 지역 태양광발전소의 발전량과의 연관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2년간 지역별 태양광발전소들의 평균 이용률을 조사하여 제시하고 이 값이 어느 정도 변동 할지를 예상하기 위하여 각 지역의 월별 20년간 년 평균 일조시간과 최근 2년간 년 평균 일조시간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