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학사관리체제의 전산화에 따른 개선방안

        이미영 연세대학교 관리과학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에서 보유하고 있는 컴퓨터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최소의 비용과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학사 관리 체제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현행 중학교 조직 체제를 진단하였다. 둘째, 현재 중학교 학사 관리 체제에서 전산화 운영 실태를 조사·분석하였다. 셋째, 교육 정보화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중학교 학사 관리 체제의 전산화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중학교 컴퓨터 교육의 현황과 학사 관리 체제의 전산화와 관련있는 학위논문, 연구보고서, 단행본, 정부간행물과 같은 문헌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인터넷에서 여러 가지 자료를 검색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찾아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에 대한 컴퓨터 도입은 컴퓨터 교육, 컴퓨터를 이용한 교수학습, 그리고 학교업무의 전산화라는 세 측면에서 요구되고 있다. 학교 업무 특히 학사 관리 업무를 전산화하기 위해서는 업무 처리를 위한 충분한 컴퓨터가 학교에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재정적, 기술적 문제 때문에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예산지원과 학교 경영자의 관심, 그리고 전산인력의 양성을 위한 보완이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 업무 체제의 하위체계로서 학사 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에 의해 수작업과 전산화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 교사들은 수업 부담 이외에 과중한 업무를 안고 있어 시간적, 경제적 손실과 함께, 업무 처리의 신속성, 정확성, 신뢰성이 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학사 관리 업무의 처리 방식이 전산화되어야 하며, 이로 인해 교사들의 과중한 업무가 경감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된다면 교사의 시간이 학생 지도, 연구 활동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교육의 질 향상을 가져오게 될 것이고, 업무 처리의 과학화로 학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다. 셋째, 많은 경비의 소요, 전산 담당 요원의 확보 및·특정 교사가 이 전산업무를 담당할 경우 과중한 업무 분담의 문제, 자료에 대한 보완 및 관리 등과 같은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전문 전산 인력을 학교에 상주케 하거나 전산 담당 교사의 업무를 경감시켜 주고, 또한 자료파일의 취급자를 제한하여 보안의 유지하며, 화재 및 기타 재난에 철저하게 대비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오늘날 정보화 사회에서 컴퓨터의 역할은 지대하다. 그러므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의 적시 제공을 통한 학교경영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학사 관리 업무뿐만 아니라 모든 학교 관리 업무도 전산화되어야 할 것이며, 아울러 학교 경영 의사 결정에도 컴퓨터를 활용한 정보 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위와 같은 본 연구의 결론에 근거하여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중학교 조직은 설정된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짜여져 있다. 이러한 조직은 교장, 교감, 보직 교사, 교사로 이어지는 계선조직이다. 그러나 전체 교내의 직원회의, 기획위원회, 학년주임회의, 학사운영위원회와 같은 기능별 운영회를 통한 막료조직도 포함된다. 학교 조직에 있어서 경영의 측면으로 교육 목표를 달성하고자함은 지양되어야 할 앞으로의 과제이다. 현실적으로 계선조직이라는 line system과 막료조직이라는 step organization은 동일 교사가 두 조직에 모두 포함된 경우 학교 행정의 효율성은 기대할 수 있겠으나 교수 학습 활동의 중핵적인 전담업무에는 소홀히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둘째, 현행 중학교 전산화 작업은 학교 구성원 모두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되겠다. 왜냐하면 전산화로 인하여 교사의 수업 부담이외에 과중한 업무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교사들의 시간적, 경제적 손실과 함께 업무 처리의 신속성, 정확성, 신뢰성이 장기적인 정책 입안의 쪽으로 입안되어야 하겠다. 셋째, 중학교 교육의 실제에 있어 전산화의 능률적인 운영과 효율성의 제고가 필요하다. 그 이유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중학교 전산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과도기적인 현상으로서 소요되는 경비의 부족, 전산 담당요원의 미확보, 전산 업무 전담의 특정 교사라는 문제가 대비되어야 하겠다. Information Technology(IT), Internet, Computerization, Office Automation, etc.…. Those are the words that represent the 21C very much. All of them are related to the 'Information Society'. Our societies are also changing according to those trends. The schools can't be the exception. So called 'Computerization in Academic Affairs in Schools(CAAS)' is under processing in our country. In this research, I want to propose the devices to solve the problems that may result from CAAS. Therefore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diagnose the organizational systems in our middle school. Secondly, analyse the usages of CAAS in our middle schools. Thirdly, find the problems causing from CAAS and propose the answers to them.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literatures and survey data. In chapter 2, I expla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those topic. Usages of computer in school management, necessities of computer in middle school teaching, the aspects of the educational policy, were checked in row. In chapter 3, I reconsider the 'School Affair Systems(SAS)' in the middle school. Organizations and functions of 'SAS' were presented and the main processes of the School Affairs and its present conditions were described. Finally, the usages of computer and its present conditions were described. In chapter 4, I provided a full detail in CAAS in the middle schools. Firstly, the progresses of computerization of 'SAS' 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were explained. Secondly, the effects of CAAS was explained. The main problems in CAA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cost of CAAS is higher than the traditional methods. So, for the CAAS to be successful, the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s required. Secondly, if the teachers are in charge of computer works, overwork and too many kinds of job divisions are anticipated. So the jobs related to computer works should be distributed pertinently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of the teacher in charge of CAAS. Thirdly, computerization of school works means that most of the records are treated as a integrated files, and it is likely to infringe on privacy of the students if the files can be accessed by anyone who has intention to use the records in bad ways. So the security system must be established. Finally, good accessibility to the data is required. Though every works are computerized and automatized, if the data are hard to access, it's not useful and effective. So, as the way of improving the data accessability, the personal computer should be allocated to the individual teachers. This research concludes with two points. For the CAAS to be successful, the full financial support from government is required. And the CEO's interest should be induced continually. And there should be a parst who's in charge of computer works. We are on the turning point of CAAS. So hand works and CAAS are coexist in the scholarly works. This leads to overworks of the teachers. Therefore, job coordination is necessary.

      • 중학교 체육교사들의 보건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 서울에 소재하는 중학교 체육교사를 중심으로

        함기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학교 체육교육에서 체계화 되어있지 않은 보건교육에 대하여 보건교육에 참여하는 중학교 체육교사들의 보건교육에 대한 인식과 보건교육의 실태 등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우리 나라 실정에 맞는 효과적인 중학교 보건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99년 현재 서울에 소재한 중학교 중에서 40개 중학교를 단순 무선 표집에 의하여 추출하고, 표집된 40개 중학교의 체육교사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중학교 체육교사들의 보건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는 보건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 - 배원환(1983), 김동근(1989), 김요한(1991), 이인구(1992), 김재희(1996) - 자료들과 여러 문헌 고찰을 기초로 작성하였다. 제작된 설문지는 본 대학의 체육계열 교수님들의 검토와 논평을 통하여 수정 보완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사전 검사를 통해 얻은 30부의 설문지를 토대로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hronbach'α 계수를 산출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통계기법은 SPSS 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일원분산분석, Chi-Square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절차를 거쳐 얻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교사들의 성별에 따른 보건 교육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② 교사들의 연령 및 교직 경력에 따른 보건 교육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③ 교사들의 근무 학교에 따른 보건 교육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④ 교사들이 근무하고 있는 학교의 설립 주체의 차이에 따른 보건 교육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⑤ 교사들의 연령 및 교직 경력에 따른 보건 교육의 실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⑥ 교사들의 근무학교에 따른 보건 교육의 실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보건수업의 방법에서 남자중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과 여자중학교와 남녀공학 중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보건영역의 평가 실시에 있어서 남자중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과 여자중학교와 남녀공학 중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보건교육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⑦ 교사들이 근무하고 있는 학교의 설립 주체에 따른 보건 교육의 실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보건수업의 방법과 보건영역의 평가실시에 있어서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education in middle schools setting. First, we will try to find out the realities of the health education in schools and the ideal of health education of which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ink about. We selected 40 middle schools in Seoul by random sampling, and handed out the questionnaires to 199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f the selected schools. The survey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were invented after study survey used in previous studies concerning the health education - By Bae Wonhwan(1983), Kim Dongkeun(1989), Kim Yohan(1991), Lee Inku(1992), Kim Jaehee(1996) - and the various related books. Professors of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at Yonsei University reviewed and commented on the questionnaires. They also helped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questionnaires. They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s. Researcher could verify the reliance of this study by using SP 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8.0 version to get Chronbach's a of the 30 preliminary survey questionnaires. Researcher performed T-test, oneway Anova test and Chi-Square test by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in order to test this study's hypothe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procedur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in terms of physical education, the sex of teachers does not make any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ir recognition of the health education. Second, the age and the career of the teachers do not make any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ir recognition of the health education. Third, the schools work do not make any statistical differences in teachers' recognition of the health education. Fourth, the fact whether the schools are public or not, does not make any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teachers' recognition of the health education. Fifth, the schools where the teachers work do not make any statistical differences in teachers' health education at their schools. Sixth, the fact whether the schools are boys' schools or not, does makes a statistical difference. The teaching methods of the health education in the boy's school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co-ed schools and in the girls' schools. And in the area of the health test, the same difference was be found. These differences can help us to find out what is impeding the development of health education. Seventh, whether the schools are public or private, it makes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 health education which is going on these days. The public and the private schools are distinguished themselves from teaching methods and the tests of the health education.

      • 중학교 고전소설 교육 사례 연구 :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활용한 「김영철전」 수업을 중심으로

        황인경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중학교 고전소설 교육 사례 연구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활용한 「김영철전」 수업을 중심으로- 황인경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선보인 ‘한 학기 한 권 읽기’라는 독서 교육에 관한 내용을 바탕으로 중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고전소설 교육 제재로서의 「김영철전」의 가치를 확인하는 데 있다. 중학생이 되면서 고전소설에 대한 흥미도와 고전소설 읽기가 소홀해짐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여 고등학교 고전소설 교육을 할 때 학생들이 수월하게 고전소설을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영철전」은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 홍세태가 「김영철유사」를 읽고 지은 고전소설이다. 17세기 명·청 교체기를 배경으로 일어난 명과 청 사이에 전쟁에 조선군으로 동원되어 인생 역정을 겪는 김영철의 일대기를 전의 형식으로 다루면서도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사실주의 문학의 극치라는 평가를 받는 작품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들어 있는 ‘한 학기 한 권 읽기’는 온전한 책 읽기를 수업시간에 진행하고 생각을 나누고 표현하는 통합적 교수·방법으로 중학교 전 학년에서 시행 중이다. 교과서의 고전소설을 배울 때 고전소설의 묘미를 온전히 느끼게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전란 체험의 사실적 묘사, 전쟁 속에 흩어진 가족의 이산과 회복, 가혹한 군역의 문제, 효의 실천 문제 등 과거의 문제이지만 현재에도 유용한 삶의 문제가 담겨 있다. 이러한 주제 의식을 내재한 「김영철전」은 중학교 고전소설 교육 제재로서 충분히 가치가 있는 작품이다. 이렇게 교과서에는 실리지 않았지만 현재와 맞닿은 교육적 가치가 풍부하고 문학사적 의의가 있으며 전이라는 갈래를 가진 「김영철전」은 ‘한 학기 한권 읽기’를 통하여 교과서 고전소설의 단조로움을 해소해 주고, 초등학생과 중학생이 대체로 알고 있는 전형적인 고전소설 틀에 대한 인식전환을 해주면서 중학교 과정의 고전소설에 대한 관심을 유지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Ⅱ장에서는 초등학교 중학교에서의 고전소설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Ⅳ장에서는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식전환을 위한 「김영철전」의 교수·학습을 설계하였다. 한 학기 한 권 읽기 모형 중 질문으로 깊이 읽기를 적용하되, 전체 토론에서는 비경쟁 독서토론의 모형을 사용하여 수업을 설계하였다. 교수· 학습 단계는 읽기 전: 배경 열기, 읽기 중: 문학 탐구, 읽기 후: 문학 생활화로 진행하였다. 읽기 전: 배경 열기에서는 역사 교과와 융합 수업을 계획하였으며, 읽기 중: 문학 탐구에서는 질문으로 깊이 읽기를 활용하여 모둠별로 질문 만들기 활동을 하였다. 읽기 후: 문학 생활화 단계에서는 비경쟁 독서토론을 하여 학생들이 「김영철전」에서 다루는 문제들에 대하여 공감과 비공감의 의사를 표현해 보는 활동과 내면화하는 글쓰기 활동을 하였다. 학생들은 질문으로 깊이 읽는 과정과 모둠 토의 과정을 통해서 자신의 생각과 친구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줄거리를 추리거나 모르는 낱말을 익히는 과정에서 학생중심의 모둠학습이 효과적임을 경험하였다. 읽기 후 활동의 비경쟁 토론과 내면화하는 활동을 통하여 내용을 깊이 있게 이해하게 되고, 고전소설이 우리의 삶의 문제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학생들은 명확히 인식하였다. 이와 같은 읽기 경험은 고전소설에 대한 흥미와 관심으로 이어졌다.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기르고자 하는 역량 중 고전소설이 기를 수 있는 역량은 다양하다. 중학교 때 교과서에는 접하지 않지만 교과서 내용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고전소설들을 찾아내어 읽음으로써 고전소설에 대한 인식을 전환할 수 있으며,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역량을 가진 학생들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Case study of middle school classic novel education -Focusing on the class KimYeongCheol-Jeon using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In-kyung Hwang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value of KimYeongCheol-Jeon as an educational sanction for classic novels that can be applied to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content of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newly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purpose is to make it easier for students to access classic novels when they are in high school by recognizing that interest in classic novels and reading classic novels become neglected as they become middle school students. KimYeongCheol-Jeon is a classic novel written by Hong Se-tae from the late 17th to early 18th centuries after reading The History of KimYeongCheol(金英哲遺事). This work is evaluated as the pinnacle of realism literature by depicting the KimYeongCheol-Jeon who was mobilized as a Joseon army in the 17th century during the Ming and Qing transition period as a background and goes through life's hardships in the same way as before.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includ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an integrated teaching method that conducts full reading in class, shares thoughts and expresses ideas, and is being implemented in all grades of middle school. It is an effective way to fully feel the charm of classical novels when learning classical novels from textbooks. It contains the problems of the past, such as realistic descriptions of war experiences, separation and recovery of families scattered by war, harsh military service, and practice of filial piety, but also contains useful life problems in the present. KimYeongCheol-Jeon, which has such a theme consciousness, is a work of sufficient value as a middle school classic novel education sanctions. Although not included in textbooks like this, KimYeongCheol-Jeon which is rich in educational value that touches the present, has literary historical significance, and has a genre of Jeon relieves the monotony of classic textbook novels through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It will also be able to maintain interest in classical novels in the middle school course while changing the perception of the typical classical novel framework th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generally know. Chapter Ⅱ examines the perception of classic novel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chapter Ⅳ designs teaching/learning of KimYeongCheol-Jeon to change perception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deep reading model with a question was applied in the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but the class was designed using the non-competitive reading discussion model in the overall discussion. In the teaching/learning phase, before reading: opening the background, during reading: exploring literature, and after reading: literary life were carried out. Before reading: History and fusion classes were planned in Open Background, and in Reading: Literature Exploration, in-depth reading was used as a question to create a question by group. After reading: In the literary life stage, non-competitive reading discussions were conducted to express sympathy and non-sympathy for the issues addressed by the students in KimYeongCheol-Jeon and writing activities to internalize them. Through the process of deep reading with questions and group discus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ir own thoughts and the thoughts of their friends could be different. In addition, students experienced the effectiveness of student-centered group learning in the process of deducing the plot or learning unknown words. Through non-competitive discussion and internalization activities after reading, students can understand the content in depth, and students clearly recognized that classic novels can help with problems in our lives. This reading experience led to interest and interest in classical novels. Among the competencies to be nurtur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the competencies that classic novels can cultivate are diverse. By finding and reading classic novels that help them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extbooks more deeply, although they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textbooks in middle school, they can change their perception of classic novels, and also develop students with the competencies pursued by the curriculum.

      • 경성중학교의 만주 수학여행

        김도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는 경성중학교의 『교우회지』를 통해서 경성중학교에서 실시한 만주 수학여행의 실제는 어떠하였는가를 밝히고, 만주 수학여행에서 경성중학교 학생들이 무엇을 느끼고 생각했는지를 드러내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식민지 당국이 在朝鮮 일본인 학생들에게 만주 수학여행을 실시한 의도를 살피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본고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교우회지』는 현재 국회도서관에 소장된 5권(1923년, 1924년, 1925년, 1930년, 1935년)이다. 『교우회지』 는 출판법(1909)에 따라 검열 대상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당시 학생들이 학교 활동에 대해 직접 기록으로 남긴 1차 사료이자,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기획, 구성, 발간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또, 교육활동에 대한 피교육자의 인식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경성중학교는 식민지 최초의 일본인 중학교로 설립 초기부터 식민지 당국의 기대를 받았다. 1910년 통감부가 경성중학교를 운영하면서부터 본격적인 엘리트 식민 지배자 양성을 위한 일련의 작업이 이루어졌다. 상급학교의 교장을 초대 교장으로 초빙해왔으며 校舍는 경희궁 자리에 마련되었다. 게다가 경성중학교의 졸업식은 중학교 가운데 유일하게 조선총독부의 총독이 참석할 만큼 중요한 행사였다. 이러한 기대 속에서 경성중학교 학생들은 경성제국대학으로 진학하여 식민지 조선의 지배자로 성장하였다. 따라서 만주 수학여행으로 경성중학교 학생들이 어떤 의식을 갖게 되었는가를 밝히는 작업은 일본의 식민지 지배자 양성 교육의 一面을 드러내는 작업이기도 하다. 『교우회지』의 기행문에서 학생들은 戰迹地에서 스러져 간 군인들의 넋을 위로하고, 나아가 이를 본받아 일본 제국을 위해 자신의 맡은 바 소임을 다할 것을 다짐하고 있었다. 이는 제국의 일원으로서의 자각이었다. 특히 1925년에는 大和民族과 大和魂을 강조하면서 이를 더 확장될 일본 제국주의의 정신적 도구로 사용하고 있었다. 또, 기행문에는 중국인에 대한 멸시와 차별의 시선도 드러났다. 중국인 쿨리의 노동현장을 보고 동정심은 물론, 문제의식을 갖는 학생은 찾아볼 수 없었다.『교우회지』의 기행문 중에는 조선인 학생의 글도 있었다. 그러나 다른 경성중학교 일본인 학생들과의 차이를 발견할 수는 없었다. 이상과 같이, 경성중학교의 만주 수학여행은 제국 일본을 재인식하는 행사였다. 경성중학교 학생들은 만주에서 만주를 느낀 것이 아니라 만주에 전시된 제국 일본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만주 수학여행을 통해 경성중학교 학생들은 스스로가 만주를 무대로 활동할 주역이라 생각하였다. 만주 경영의 필요성을 깨닫게 하고자 기획된 만주 수학여행의 목적이 경성중학교 학생들에게 그대로 관철되고 있었다. 결국, 경성중학교의 만주 수학여행은 在朝鮮 학생들을 장차 식민지 경영의 인재로 양성하고자 하는 의도로 시행된 것이었다.

      • 중학교 수학과 과학 교과 내용의 연관성 연구 :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영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 사회의 모든 분야는 과학 기술의 바탕 위에 이루어져 있으며, 과학 지식과 정보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과학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과학 교육을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이 요구되며, 학생들의 흥미와 수준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와 적절한 지도가 필요하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과학 교과를 어렵다고 말하고 있으며, 과학 교과에는 수학 교과와 관련하여 경험될 수 있는 장애들이 있다. 수학은 과학 교과 안에서 중요한 부분은 이룬다. 이와 마찬가지로 학교 수학 역시 추상적이고 논리적인 수학적 주체와 구조화되고 단순화된 응용 문제만을 다룸으로써 실제적으로 수학적 개념의 파악과 문제 해결력이 저하되고 있어 학생들이 수학 학습을 힘들어하고 있다. 전통적인 문장제의 결점은 그것이 다루는 주제가 현실성을 상실함으로써 응용의 필요성을 부각시키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로 무엇보다도 흥미롭고 유익한 수학의 응용 문제를 산출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를 연구할 필요가 있는 데 그 하나의 방법이 타교과와의 연계성이다. 또한 과학을 학습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중요한 점은 수학의 기본 기능을 갖추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이 두 교과에 대한 학습이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되기 위해서는 두 교과의 내용을 적절히 연관지어 사용할 줄 아는 것이 중요한 관건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상의 수학 교과와 과학 교과 내용 사이의 상호 관련성을 비교하고 교사가 구성할 수 있는 교사 수준의 교육 과정과 학습자의 학습 성과로서의 교육 과정상의 차원에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실태를 알아봄으로써 수학 교과와 과학 교과가 서로의 관련성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이용하면서 학습 성과를 극대화시키는 지도 방안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바탕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그리하여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 중학교 제7차 교육 과정에 의한 수학과 과학교과의 교육 과정 비교를 수학과 과학 교과서의 내용의 진도 시기 순서대로 분석하였다. 또한, 제7차 교육 과정에 의한 교육 현장에서 두 교과 내용의 연관성에 관해 직접 느끼고 있는 교사와 학생을 상대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제7차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중학교 수학과 과학 교과의 내용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실제 교수 상황에서 연관이 있는 상대 교과의 내용이 선행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이용되고 있는 경우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본 논문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학교 제7차 교육 과정에서의 수학 교과와 과학 교과의 내용은 어떠한 연관성과 학습시기로 구성되어 있는가? 2. 학생들이 느끼는 수학과 과학의 연관성에 대한 인식 정도와 연관이 있는 상대 교과의 선행 학습 부재로 인한 학습 실태는 어떠한가? 3. 수학 교사와 과학 교사가 느끼는 두 교과에 대한 연관성의 인식 정도와 연관이 있는 상대 교과의 선행 학습 부재로 인한 교수 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중학교 제 7차 교육 과정에 의한 수학과 과학 교과의 교육 과정 비교를 위해 7종의 과학 교과서와 16종의 수학 교과서 중에 각각 임의로 한 종의 교과서를 선택하여 분석은 교과간의 내용에 대한 연관성을 교과별로 연간 지도 계획표를 참고로 하여 수학 교과서와 과학 교과서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수학과 과학 교과의 내용의 연관성에 대한 중학교 학생들과 교사들의 전반적인 인식과 두 교과가 관련된 장면에서의 실천 상황을 알아보고자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우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은 두 교과가 내용상 관련이 깊은 문제를 각각 2문제씩 선정하여 학생들에게 풀어보게 한 형태와 두 교과의 연관성에 대한 학생의 입장에서 느끼는 인식의 상태를 알아보고 질문을 하였다. 중학교 교사들에 대한 설문지는 수학과 과학 교과의 내용의 연관성에 대한의 전반적인 인식과 두 교과가 관련된 장면에서의 실천 상황, 제 7차 교육 과정에서의 변화에 대한 인식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학교에서의 수학과 과학 교과 내용은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특히 제7차 교육 과정에서 수학 교과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과학 단원은 중학교 2학년의 '여러 가지 운동', 중학교 3학년의 '일과 에너지'와 지구 과학 상식으로 나타났고, 과학 교과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수학 단원은 중학교 1학년의 '문자와 식', '함수', 중학교 2학년 단원에서도 '함수', '방정식'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학 교과에서 과학의 내용을 소재로 하기에 가장 적합한 단원이 물리 분야이고, 과학 학습을 하는데 있어서는 그래프와 문자의 변환이 기본적인 선행 요건임을 알 수 있게 한다. 2. 제7차 교육 과정의 수학과 과학 교과의 진도 순서를 비교해 본 결과, 제6차 교육 과정에 비해 문제로 지적되었던 부분이 상당 부분 해소되었으나 수학의 선행 학습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과학 학습에 이용되는 단원이 아직은 남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제7차 교육 과정이 제6차 교육 과정에 비해 진도 순서가 많이 고려되었다고 받아들이고 있는 교사는 거의 없었다. 3. 대부분의 학생들은 수학 교과와 과학 교과 내용간의 연관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상대 교과에 가장 영향을 주는 영역으로 과학은 물리 영역, 수학은 함수 영역을 뽑았다. 또한 학생들에게 내용상 관련있는 상대 교과의 선행 학습이 수업 당시에 안된 상태로 학습을 한 내용의 문제를 직접 해결하게 해본 결과 낮은 학습 성취를 보였다. 그리고 그 이유로 연관이 깊은 상대 교과의 내용 때문이라고 많은 학생들이 대답하였다. 4. 대다수의 교사들 역시 수학 교과와 과학 교과간의 내용상의 깊은 연관성이 있다고 느끼고 있으며 특히 과학 수업시 수학적 내용의 선행 학습 부재로 인해 겪는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수업에 가장 영향을 주는 수학 영역으로 과학 교사들은 '함수'와 '방정식과 부등식'을 뽑았으며 수학 수업에 영향을 주는 과학 영역은 단연 '물리' 영역이라고 수학 교사들은 응답하였다. 5. 교사가 할 수 있는 두 교과의 연관성을 고려한 수업이 사실상 힘들게 하는 이유로 교사 모두 충분한 설명을 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부족함을 들었으며, 특히 수학 교사는 과학 교과 내용에 대한 명확한 지식의 미비를, 과학 교사는 교육 과정 진도상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진도 순서를 충분히 검토하여 교과서 구성을 해야함과 동시에 상대 교과와 연관이 깊은 내용을 학습할 때 교사와 학생 모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참고자료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으로는 먼저, 교과서 편집시 과학과 수학의 교과서 내용과 진도 순서가 일치되도록 교육 과정 개정 때 심도 있게 논의하여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학교 현장에서 진도 시기의 부적절로 인해 선행 학습의 부재로 겪는 어려움을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에서 우선 최소화시켜 주어야 한다. 또한 상대 교과와 연관이 깊은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다양하고 풍부한 참고 자료를 개발하여 교과서에 함께 구성해야 할 것이다. 교사는 수학과 과학 교과서 내용간의 상호 연관성을 깊이 인식하여 두 교과 교사들 간 상호 협력 속에서 서로의 관련 내용에 대해 명확한 지식을 습득하고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해 지속적으로 고민해야 할 것이다. 특히 수학 교사는 과학 교과뿐 아니라 다른 교과와도 연계학습이 가능한 다양한 교수 학습 자료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여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 할 수 있는 역동적인 수업이 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관련있는 교과간의 선행 학습의 부재로 인한 학습 장애를 최소로 할 수 있는 교과간의 내용상의 연관성을 고려한 다양한 수업 모형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The science and mathematics are deeply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In spite of correlation between mathematics and science, however, students might face difficulties by inconsistent teaching plan on curricula when they learn science. According to this thesis, it will be presented appropriate time to teach comparison and analysis of science and math and making out annual teaching plan focused on the 7th curriculum.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Movement and Energy and Work in science curricula at 2nd and 3rd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 is very closely related to math in 7th curriculum. Function and Letter and equation in math curricula at 1st and 2nd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 is very closely related to science in 7th science curriculum. It should be preceded understanding Transformation of Graph and Letter basically for them to learn science effectively. 2. Part of inconsistent teaching plan that caused problems in the 6th curriculum was mostly solved as a result of comparison and analysis of science and math centered on the 7th curriculum. But it isn't complete. 3. Most of students agree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math. They respond that the science class chapter that need great amount of mathematical contents are "Natural law", also. They respond that the math class chapter that need great amount of science are "Function". 4. Most of teachers agree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math. Especially, They respond that they experienced hard time in managing science class because of the preceding mathematical concept. They respond that The science class chapter that need great amount of mathematical contents are " Natural law". also, They respond that the math chapter that need great amount of science are "Function", "Letter and equation". 5. Learning to consider relation to science and math is faced difficulties because of shortage of sufficient time to explain concept. Hereby, refering materials is need to promote effect of science learning by reducing hindrance to the minimum resulted in lack of preceding mathematical concept. Also, refering materials is need to promote effect of math learning by reducing hindrance to the minimum resulted in lack of preceding scientifical concept.

      • 중학교 컴퓨터 교육목표의 성취도 연구

        이둘남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중학교의 컴퓨터 과목의 교육목표가 잘 성취되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보완,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행 중학교 컴퓨터 교육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이와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현행 중학교 컴퓨터 교과는 ‘인간과 컴퓨터’, ‘컴퓨터의 기초’, ‘PC통신과 인터넷’, ‘워드프로세서’, ‘멀티미디어’의 5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단원별 교육목표의 성취도를 조사한 결과, 운영체제 및 유틸리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의 내용을 다루고 있는 ‘컴퓨터의 기초’ 단원과 그림자료, 소리자료, 동영상 자료의 제작 및 편집 내용을 다루고 있는 ‘멀티미디어’ 단원은 학생들의 성취도가 아주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워드프로세서’ 단원의 경우 초등학교에서 이미 배웠던 내용인 표 작성 및 그림, 도형 그리기 등의 성취도는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합계나 평균 등의 계산능력은 낮은 성취도를 보여 주었다. 이는 현행 중학교 컴퓨터 과목의 교재 구성 상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컴퓨터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론 중심의 난해한 수업지도 방식, 컴퓨터 교육 시간의 부족, 컴퓨터 기종의 노후, 실생활에 도움이 안되는 교육 내용 등을 현행 컴퓨터 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중학교 컴퓨터 교육 발전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컴퓨터 교과가 선택 교과가 아닌 필수 교과로 선정되어 운영되어야 한다. 외국의 경우 유치원, 초등학교 때부터 컴퓨터 조기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도 급변하는 세계화 및 정보화 추세에 맞추어 필수 교육 과정으로서 컴퓨터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중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은 중학교 컴퓨터 과목의 교육목표 수준에 맞추어 체계화하여 목표 수준과 일치하는 교육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현행 중학교 컴퓨터 과목의 교과서에서 소개되는 내용들은 초등학교 5~6학년에서 기술?가정 교육 시간이나 재량활동 및 방과 후 학교를 통하여 대부분 배운 내용들이 중복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때부터 고등학교 때까지 연속적인 컴퓨터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컴퓨터 교과 구성에서 중복된 내용을 삭제하고 교과 내용을 재구성하여 현행과 같은 선택 교과가 아닌 필수 교과로 채택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셋째, 정보화 시대의 추세에 맞추어 중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을 재편성 하여야 할 것이다. 외국의 경우 이미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등의 내용을 컴퓨터 교육에서 다루고 있는 반면에 우리나라의 경우 위와 같은 내용들은 컴퓨터 교과 내용에서 배제되어 있으므로 학생들의 관심 분야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컴퓨터 교과 내용이 재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중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컴퓨터실의 노후화된 컴퓨터 교체, 컴퓨터 전공 교사의 확보, 컴퓨터 교육 시수의 확보, 그리고 교육용 소프트웨어 보급 등이 가능하도록 컴퓨터 교육과정 운영에 전반적으로 투자가 요구된다.

      • 소규모 중학교 체육활동이 학생들의 체육활동에 대한 정서에 미치는 영향

        안형진 영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 중학교 체육활동이 학생들의 체육활동에 대한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봄으로써 소규모 중학교 학생들의 체육활동에 대한 정서를 이해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경상북도 K지역 소규모 중학교인 K학교의 학생 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2016년 10월~2016년 12월까지 2개월 간 체육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연구를 위해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검사를 체육활동 전, 중, 후 실시하여 사전과 중간, 사전과 사후의 결과를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고, 학생들에게 체육활동 일기를 작성하도록 한 후, 일기에 표현된 학생들의 정서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규모 중학교 체육활동은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규모 중학교 체육활동은 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활동 일기에는 학생들이 체육활동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정서들이 표현되었다. 체육활동 일기에는 15개의 정서체험 유형이 나타났으며, 이는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로 구분되었다. 선행연구와의 비교 결과 일반 규모의 학교 체육활동에 비해 소규모 학교에서의 체육활동이 긍정적 정서를 더 많이 경험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규모 중학교 체육활동에서 학생들의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 요인, 과제 특성 요인, 개인 요인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소규모 중학교에서의 체육활동은 일반 규모의 학교에서의 체육활동에 비하여 학생들의 정서에 더 긍정적이며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소규모 중학교 학생들이 체육활동을 통해 행복한 학교생활을 해나가는 데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mall scal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on the emotions of students towards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For the study, five students who attend small sc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K city of Gyeongsangbuk–Do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an integrated study was conducted by combin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hysical education activity in small scale middle school showed positive effect on students' self–esteem. Second, physical education activity in small scale middle school positively effecte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students. Third, in the physical education activity diary, various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that students experienced through physical activities were expressed. In the physical education activity diary, 15 types of emotional experiences appeared, and these were classified into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The result of comparing with a previous study, revealed that physical education activity in small scale middle school cause students to experience much more positive emotions when compared to students from general scal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ity. The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emotions in small scal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were teacher’s, task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fac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hysical education activity in small scale middle schools is more positive and significant for students' emotions compared to physical education activity in general scale middle schools. It is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small scale middle school students to enjoy a happy school life through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