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아정체성, 가족응집성,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중국어머니를 둔 다문화가정청소년과 한국어머니를 둔 일반가정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case for Multicultur

        Liu, Fei-Fei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self-identity, family cohesion and social support on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ability betwee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with a chinese mother and general family adolescents with a korean mother. The sample of this study is 94 general family Adolescents with a korean mother and 76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with a chinese mother who have responded the inquiries for measuring self-esteem(Rosenber, 1979), school life adjustment ability(김아영, 2002), self-identity(박아청, 1996), family cohesion(Olson, 1986) and social support(Fulgini, 1997). The sample data was analyzed by Cronbach's α, two-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s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ther's nationality is revealed to affect on self-esteem and the network of friends in the sub-area of school life adjustment ability. General family adolescents with a korean mother have higher self-esteem tha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with a chinese mother. And the general family adolescents with a korean mother have the better network of friends than multicultural adolescents with a chinese mother.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elf-Identity(subjectivity, self-acceptance, future certainty, goal orientation, initiative, intimacy), family cohesion, and social support on self-esteem, self-acceptance and subjectivit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elf-esteem of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with a chinese mother and self-acceptance, subjectivity, intimacy, and family cohesion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elf-esteem of general family adolescents with a korean mother.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elf-Identity, family cohesion, and social support on school life adjustment ability, subjectivity and family cohesion has posi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of mu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and general family adolescents and make the adolescents of muticultural family and general family obey school rules. From the viewpoint on the network of friends, the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y with high subjectivity and intimacy but low initiative and the adolescents of general family with high subjectivity, intimacy, self-acceptance but low initiative have good relations among friends. subjectivity only makes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do the good performce in their class on the other hand subjectivity and family cohesion make general family adolescents carry out their role well in their class. Therefore independence is very important for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ability of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with a chinese mother, meanwhile independence and family cohesion are highly important for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ability of general family adolescents with a korean mother.

      • 자아정체성 형성을 위한 추상적 자화상 수업연구 :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노솔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 사회에서 인간은 수많은 사람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작용하고 관계를 맺으면서 살아간다. 자아정체성이 제대로 확립되지 않은 학생들은 이러한 현실에서 정체성 혼란을 겪으면서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일으키고 있으며, 그에 따라 자아정체성 확립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자아정체성의 형성 시기는 개인마다 다르지만, 그동안 자아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시기라고 일컬어지던 청소년기는 사회·문화의 영향으로 사춘기가 빨라지면서 그 시기가 더욱 앞당겨지게 되었다. 따라서 청소년기 이전인 초등학생 시기의 자아정체성 형성 또한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시기의 자아정체성 형성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그들의 자아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한 추상적 자화상 수업을 개발하였다. 자화상은 자기표현과 자기 탐색을 할 수 있는 수업 주제이다. 따라서 미술교육에서는 자화상 수업이 자아 표현을 위한 수업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자화상 수업 연구는 표현기법에만 차이가 있을 뿐 외적인 모습을 똑같이 묘사하는 연구로 한정되어 있었다. 루켄스(Hermann T. Lukens, 1865~?)의 아동의 주기별 발달과정을 살펴보면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는 예술 발달의 황금기로 자신의 심상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창의력을 기를 수 있는 시기이다. 하지만 이 시기에 학생들에게 형태를 똑같이 묘사하기를 요구한다면 그들의 풍부한 상상력과 표현능력은 사라지게 된다. 그러므로 기존의 자화상 수업은 아동의 발달을 저해할뿐더러, 자신의 내적인 감정과 정체성에 상관없이 거울에 비친 얼굴의 모습을 똑같이 그리는 데에만 열중하여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인 자아정체성을 형성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들이 내면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추상적 자화상 수업을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추상적 자화상 수업은 자신의 외적인 모습만을 그려왔던 기존의 자화상 수업과 달리 얼굴 없이 표현하는 자화상으로 추상적인 표현을 통해 내면의 정체성을 자유롭게 표현함으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탐구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자아정체성 형성을 위한 추상적 자화상 수업을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연구·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생들이 자신에 대해 생각해보고 정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나’ 자신에 대해 탐구해봄으로써 그것을 자유롭게 표출하도록 하였다. 둘째, 수업 전과 후를 비교했을 때, 학생들의 자아정체성이 통계적으로 상승세를 보였으므로, 추상적 자화상 수업이 초등학생의 자아정체성 형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존의 자화상 수업이 아닌 추상적 표현을 활용한 새로운 자화상 수업을 고안하여 학생들의 표현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줌으로써 진정한 자기표현을 할 수 있었고, 다양한 표현기법을 수업에 활용해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자아정체성 형성을 위한 수업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기를 바란다. In modern society, humans live by inter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with numerous people. In this reality where identity confusion is likely to occur, students who fail to establish correct self-identity are causing various social problems, an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self-identity is emerging. The period of formation of self-identity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but adolescence, which has been called an important time for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has been accelerated by the influence of social cultur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fore adolescence is very important. Accordingly, this stud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forming self-identity in the elementary school period when personality and personality began to be established, and developed a self-portrait class of abstract expression for self-identity formation. Self-portrait is a class that enables self-expression and self-discovery, and is frequently used as a class for expressing self in art education. However, the existing self-portrait instructional study was limited to studies that describe the external appearance the same, with only differences in expression techniques. According to Lukens' children's cycle-by-cycle developmental process,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s are the golden age of art development, allowing students to express their images freely and develop their creativity. However, students' abundant imagination and expressive abilities will disappear if they are asked to describe the same form. Therefore, existing self-portrait classes hinder children's development and cannot focus on self-identity,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by focusing on drawing the face regardless of one's inner feelings and identity.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n abstract self-portrait class that students can freely express the inside and applied it to actual classes, and analyzed the results. Abstract self-portrait is a self-portrait that expresses without a face, unlike traditional self-portrait classes that have only drawn one's own external appearance. This class will help you think about yourself and explore your identity by giving you the opportunity to freely express your inner identity through abstract expression. As a result of developing an abstract self-portrait class for self-identity development, applying it to the class, and conducting research analysis on i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it provided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think about and organize themselves. By exploring self, they were free to express themselves. Second, as compared with before and after classes, the self-identity of students showed a statistically upward trend, so the self-portrait class of abstract expre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by devising a new self-portrait class that utilizes abstract expression rather than the existing self-portrait class, students were able to express themselves without feeling difficult, and by using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in the class, students are actively interested in class Showed an attitude to participate i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ope that class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more actively to form self-identity that can be applied in elementary school classes.

      • 자아정체성과 하나님이미지와 신앙성숙의 관계연구

        최재희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청소년의 자아정체성과 하나님 이미지와 신앙성숙에 대해 알아보고 기독청소년의 자아정체성과 하나님이미지와 신앙성숙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밝혀 보고자 하는 데 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자아정체성이란 한 개인이 자기가 누구이며, 어디에 있으며, 어디로 향하여 가고 있는가에 대한 과거, 현재, 미래의 연속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독특한 의미를 지닌 존재로서 인지하여 여러 가지 동일시와 자신의 능력, 사회적 역할을 융합하여 하나의 자아를 찾으려는 자아 통합적인 과정인 동시에 그와 관계있는 어떤 집단과의 동일시와 어떤 이념, 신념, 직업에의 의존을 통해 자신의 규정하려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 이미지란 하나님의 실재에 대한 느낌, 즉 실제로 존재하고 살아있으며 각개인과 서로 상호작용하는 하나님에 대한 느낌이다. 또한 신앙성숙이란 하나님에 대한 신뢰가 더 강하여지고,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순종이 더 완전하여 지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기독청소년의 자아정체성과 하나님 이미지와 신앙성숙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정체성과 하나님 이미지는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자아정체성과 하나님 이미지와의 관계는 자기수용성, 미래확신성, 친밀성, 주도성, 주체성, 목표지향성 순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미래에 대한 계획을 가지고, 타인들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자신을 일을 스스로 해결하고, 자기가 누구인지를 알고 있으며, 주어진 과업을 수행하려는 의지를 가지고 있는 기독청소년이 긍정적인 하나님이미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자아정체성과 신앙성숙은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자아정체성이 확립된 기독청소년은 자신의 삶의 목적이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삶임을 분명히 알고 있으며, 신앙의 대상을 오직 그리스도에 두고 그를 아는 지식에서 자라가야 함을 아는 사람이며, 하나님의 임재 가운데 염려와 근심을 하나님께 맡김으로써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자신의 구원에만 관심이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타인에게까지 관심을 갖게 되고, 자발적으로 기독교적 행동규범과 사회의 규율과 규칙을 잘 지키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셋째, 하나님 이미지와 신앙성숙은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하나님 이미지와 신앙성숙과의 관계는 신앙성숙의 인지, 정의, 의지 순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긍정적인 하나님 이미지를 가진 기독청소년은 신앙의 대상이 오직 삼위일체이신 하나님임을 알고, 타인의 구원에도 관심을 가지며 타인을 위한 구제에도 힘쓰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신앙생활에도 열심을 보이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이를 요약해보면, 기독청소년의 자아정체성과 하나님 이미지와 신앙성숙은 정적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즉 자아정체성이 확립된 청소년은 긍정적인 하나님 이미지를 가지고 있고 성숙한 신앙을 소유하고 있는 것이다. 하나님은 이 천지를 창조하신 창조주 하나님이심을 아는 것과 내가 그 창조주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하나님의 자녀임을 아는 것, 그리고 그것을 믿음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하나님께서 나의 몸과 영혼에 필요한 것은 무엇이나 공급해 주시리라는 것을 믿는 것이다. 이러한 믿음을 통해서 우리의 신앙은 성숙되고 성숙된 신앙은 우리의 삶의 문제들을 온전히 하나님께 맡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하나님의 전능하심과 신실하심을 아는 것과 내가 그러한 하나님의 약속하신 백성임을 아는 것은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다스리시고 계심을 인정하는 것이다. 성숙한 신앙인은 하나님의 통치를 인정하므로 세상을 살아갈 때 세상적인 방법으로 자기의 삶을 이끌려고 하지 않는다. 오직 신실하신 하나님의 약속을 붙들고 하나님의 나라를 소망하며 살아가는 것이다. 이처럼 하나님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자신에 대한 올바른 지식은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해주며, 세상에서 빛의 역할을 감당해 낼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하나님에 대한 지식과 자신에 대한 지식이 삶에 반영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신앙이 요구된다. 하나님으로부터 선물로 주어진 신앙은 하나님과 자신에 대해 성경적으로 알아 가면서 성숙되는 것이다. 성숙한 신앙인은 창조주이신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그의 전능하심으로 창조하셨으며, 지금까지 보존하시고, 통치하시며, 섭리하고 계심을 알고 또한 믿고 있기 때문에 성경적인 자아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다. 성숙한 신앙인은 자신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존귀한 존재이며, 하나님의 통치에 순종하며 의지할 수밖에 없는 나약한 존재이기도 하며, 그러나 신실하신 하나님께서 자녀 삼아주시고, 영원히 함께 하신다는 약속을 받은 존재이기도 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이러한 성숙한 신앙인은 결코 자기의 방식대로 삶을 살아가려고 하지 않는다. 삶의 목적을 하나님께 두고, 하나님의 섭리하심을 따라 순종하며 살아간다. 그렇기 때문에 삶에 어려움이 닥친다고 하여도 하나님의 통치와 섭리를 믿으며 소망을 품을 수 있는 것이다.

      • 청소년 문화축제 참여가 자아정체성과 사회공존지수에 미치는 영향

        송은미 조선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2004년 여수 국체청소년축제에 참가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축제참여유무가 자아정체성과 사회공존지수에 미치는 영향력과 축제참여에 따른 감정적 견해와 타인과의 상호작용시 갖게 되는 감정적 견해가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의 표집방법은 무작위표본 추출법을 이용하여 문화축제참여자 250명과 비참여자 250명으로 총 500명을 표집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작성은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ion)으로 작성, 회수하였으며, 이 가운데 421(84.2%)부 만을 유효 표본으로 얻었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2.0.1 package 통계프로그램과 LISEL 8.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성 타당성 검증은 탐색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LISREL을 이용하여 확인요인분석으로 설문의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축제참여유무에 따른 자아정체성과 사회공존지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고, 청소년 축제참여에 따른 감정적 견해와 타인과의 상호작용시 갖게되는 감정적 견해가 자아정체성과 사회공존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과 자료 분석 방법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설 검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를 얻었다. 첫째, 축제참여 유무에 따른 자아정체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주체성, 자기수용, 미래확신, 주도성, 친밀성요인에서는 축제참여자가 비참여자에 비하여 높은 자아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목표지향요인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축제참여 유무에 따른 사회공존지수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네트워크 자본, 네트워크 유지, 네트워크 배려, 네트워크 자질, 네트워크 확장 요인에서는 축제참여자가 비참여자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사회공존지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네트워크 마인드 요인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청소년의 축제참여에 따른 감정적 견해(자기개발, 자신감, 긴장완화, 의무감)는 자아정체성(주체성, 자기수용성, 미래확신성, 목표지향성, 주도성, 친밀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타인과의 상호작용시 갖게되는 청소년들의 감정적 견해(타인의식, 일원감, 독립감)는 자아정체성(주체성, 자기수용성, 미래확신성, 목표지향성, 주도성, 친밀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청소년들의 문화축제참여는 청소년들의 자아정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문화축제참여를 통한 감정적 견해와 타인과의 상호작용시 갖게 되는 감정적 견해는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참여자간의 복잡 다양한 상호작용을 매끄럽게 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participation in the festivals on the development of the self identity and the network quotient and the influence of the emotional outlooks based on the participation in the festivals and the emotional outlooks produced by the interaction with others on the development of the self identity with the young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2004 Yeosu International Youth Festival as the subjects. The sampling of the subjects of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by using Random Sampling, with the 500 people in all, a group of 250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cultural festival and the other group of 250 people who did not participate in it, as the subjects. The questionnaires were written and collected by the method of self-administration, and 421 questionnaires(84.2%) were accepted as valid samples. The materials were analyzed by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 WIN 12.0.1 package and LISEL 8.30. In terms of the verification of the construct validity,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s were confirmed after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LISREL and the reliability was verified by Cronbaqch's a. And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self identity and the social network quotient on the basis of the participation and non-participation in the festival, and the Con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emotional outlooks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the young people in the festival and the emotional outlooks produced by the interaction with others on the self identity and the social network quotien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es for the realization of the purpose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se ways of the study and analysis of the materials. First,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self identity based on the participation and non-participation in the festival have shown that the participants have the higher self identity than the non-participants in terms of subjectivity, self acceptance, future certainty, initiative and intimacy factor. However, they have shown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oal-oriented factors. Second, the finding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social network quotient based on the participation and non-participation in the festival have shown that the participants of the festival have significantly higher social network quotient than non-participants in the factors of network capital, network maintenance, network consideration, network quality, and network expansion. However, they have shown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tor of network mind. Third, it has been shown that the emotional outlooks(self-development, self-confidence, relaxation of tensions, sense of obligation)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the young people in the festival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self identity(subjectivity, self acceptance, future certainty, goal-oriented factor, initiative, and intimacy). Fourth, it has been shown that the emotional outlooks of the young people in the interaction with others(other-consciousness, belongingness, and independence)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self identity(subjectivity, self acceptance, future certainty, goal-orientedness, initiative, and intimacy). Putting these findings together, it is shown that the participation of the adolescents in cultural festival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ir self-identity, and, in particular, it is also shown that the emotional outlooks produced by the participation in cultural festivals and the emotional outlooks obtained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other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f-identity of the adolescent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tudy those programs producing no oppositions and the methods of particip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self-identity of the adolescent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natural programs and incentives to smooth the complex and diverse interactions among the participants.

      • 자아정체성 상태유형에 따른 대중음악수업의 설계 : 중학생을 중심으로

        조윤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most common consumers of current popular culture in this modern time are teenagers, and one of the most familiar form of popular culture to them is popular music, which has considerable influence over their self-identity. On the other hand, the status of the general teenager’s self-identity plays a major role on their attitude towards accepting popular music. As such, the current correlation between popular music and the teenager's self-identity is inextricably linked to educations related to popular music, and self-identity. However, even with the variety of characteristics in popular music, the education in general is mostly centered around the excitement of popular music. As su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re-design popular music education that can vary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self-identities in teenagers, which will guide teenagers to embrace a proper popular music culture and establish a proper self-identity in retur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r culture and the teenager's self-identity through referenced literatures, analyzed teenager’s popular music through popular music cultures, music sites, and official middle-school music textbook revised in 2015, and finally suggested a different purpose that popular music classes can take according to each individual self-identities established by psychologist James Marcia, in his ‘Ego Identity Status Theor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will conclude with suggestions of 8-step teaching method and learning plans of pop-music for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ego identity sta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paradigm of popular music education through the re-designing popular music classes suitable for James Marcia 's ego identity status types. In addition, it aims to re-vitalize popular music education and help follow studies about music education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positive self-identity. 현 시대 대중문화의 주요 소비자는 청소년층이며 그 중 청소년에게 가장 친숙한 대중문화 형태인 대중음악은 청소년 자아정체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반면 청소년 자아정체성의 상태는 대중음악을 받아들이는 태도에 있어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 이렇게 대중음악과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은 서로 영향을 끼치는 관계로 대중음악교육과 자아정체성 교육에 있어서도 뗄 수 없는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대중음악교육은 대중음악의 특성 중 흥미성만을 강조하는 수업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자아정체성 상태유형에 따른 대중음악교육을 설계하여 청소년들의 올바른 대중음악문화의 수용과 그로 인한 올바른 자아정체성 확립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문헌을 통해 대중문화와 청소년의 자아정체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청소년의 대중음악을 대중음악문화, 음원사이트, 2015 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마르시아의 자아정체성 각 상태유형에 따라 대중음악수업의 목표를 다르게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총 8차시의 자아정체성 상태유형에 따른 대중음악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마르시아의 자아정체성 상태유형에 알맞은 대중음악수업의 설계를 통해 본 연구는 대중음악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대중음악교육의 활성화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긍정적인 자아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는 음악교육에 관련된 후속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고등학생의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학 수업 모형 연구

        문태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motivation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ways to establish high school students' self-identity and to develop rightly their mental growth. The methodology for this study is that high school students will be given chances to read various literary works. In so doing, they will open their minds to their own egos and get their new world-views. This literary classwork for high school students' self-identity is focused to understand their egos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s of the literary therapy. With this literary classwork, they will get three kinds of effects. Firstly, they will be able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literary works. Secondly, on the basis of the understanding and the appreciation, they will be able to retrospect their lives, to understand their egos, and to dialogue their egos. Finally, in so doing, they will be able to establish their own self-identities. For the model of a classwork, I set up several necessary subjects for the establishment of high school students' self-identity, such as 'I', 'my life, 'my family', 'my friend', and 'my study'. I will apply these subjects to my literary classwork, and extend each subject as follows: 'telling myself', 'telling my life', 'telling my family', 'telling my friend', and 'telling my study'. According to these subjects, I also classify literary works I used. The literary works used in this study are come from the lists of the seventh education course. On the basis of educational elements and principles in the literary therapy, I set up my classwork strategy for planning a model of my classwork for the establishment of high school students' self-identity. I also suggest a model of a classwork which will be able to be applied to a real literary classwork by reading three special texts, 'Self-Portrait' written by Jung-Joo Seo, 'The letter sent in a Place of Exile' written by Yak-Young Jung, and 'A Story of Yae-Duck Teacher' written by Ji-Won Park. One of the main methodology for this study is to read literary works in my literary classwork. I think that this study based on the methodology mentioned above may give an important contribu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high school students' self-identity by reading literary works. Most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mainly reading school texts have not have enough time to read literary works. In this current situation, classwork planned to read literary works may produce many extra useful benefits for high school students. I hope that this study may be a meaningful trial for a bright future of the establishment of high school students' self-identity. I expect that high school teachers will apply the principles of this study to their teaching method, and bear many good results for their students. 이 연구는 고등학생이 다양한 문학 작품과의 만남을 통해 자신의 마음을 열고 자아에 대해, 세계에 대해 새롭게 발견하면서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의 성장 과정을 더욱 긍정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출발하였다. 고등학생의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학 수업은 문학 치료의 원리를 활용하여 자아를 보다 잘 이해하도록 돕는 것에 초점을 둔다. 문학 수업에서 작품을 이해, 감상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작품 속에서 자신의 삶을 돌아보아 자기를 이해하고, 자신의 내면과 대면하여 자아정체성을 확립해 가도록 돕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업 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고등학생의 자아정체성 확립에 필요한 주제를 설정하고, 이를 실제 문학 수업에서 전개할 수 있도록 ‘나’, ‘나의 삶’, ‘나의 가족’, ‘나의 친구’, ‘나의 공부’의 영역으로 나누고, 이를 ‘나를 이야기하기’, ‘나의 삶을 이야기하기’, ‘나의 가족 이야기하기’, ‘나의 친구 이야기하기’, ‘나의 공부 이야기하기’의 유형으로 설정하여 7차 교육과정의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작품 목록을 분류하였다. 고등학생의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수업 모형을 설계하기 위해서 문학 치료에 담긴 교육적 요소와 그 원리를 활용하여 수업 전략을 구상하였고, 서정주의 ‘자화상’, 정약용의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박지원의 ‘예덕선생전’을 중심으로 실제 문학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문학 수업에서 전개하는 문학 작품을 통해 고등학생의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대다수의 고등학생들이 교과서 관련 문학 작품 외의 책을 읽는 시간이 부족한 상황에서 실제 문학 수업에서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전개하는 수업은 효과적인 활용이 많다고 본다. 이후 고등학생의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학교에서 교사가 실제로 문학 작품을 활용하여 수업을 전개하고 그 사례 연구가 많이 나와 그 효과가 나타나기를 기대해 본다.

      • 간호사관생도의 자아정체성과 스트레스 관련성

        이문숙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 is designed not only to grasp the meaning of stress in terms of identity, cause of stress and coping types, but also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these factors by studying the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cadets as participants.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are based on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that targeted the number of two hundred and sixty eight cadets,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in the following. Following is the results of the study ; 1. The result illustrates that the more rating the individual received from the leadership experience, the self-perceived health condition, the entrance motivation as military tendency or others, and the satisfaction questionnaire section, the clearer identity characteristics the individual held. The research show that seniors, who had the entrance motivation as an economic reason, scored a low satisfaction degree, demonstrated outstanding cause of stress factor. In addition, the result present that group had practiced the leadership experience were flexible in coping types. 2. Among the domain question of identity questionnaire, the self-acceptance was graded the highest as 3.93. In the area of the cause of stress factor, an organization-environmental factor was marked the highest as 3.73. In the coping types questionnaire section, hopeful perspective was scored 2.67 as the highest. 3. All six questions that are listed in the study of identity, proved the group who had the superior identity revealed lower stress scale compare to the group who generally had low identity. Moreover, variables such as private factor, group factor and organization factors depicted negative relationship with identity, while coping types such as problem-focused action and social-supported response portray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dentity. Consequently, the clearer identity the individual has, the lesser stress would tend to obtain, while having the better coping types. 4.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 about stress factor shows that explanation power of 5 variables, goal-oriented, intimacy, independence, self-acceptance, satisfaction is 35.6%.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 about coping types shows that explanation power of 2 variables, independence, experience leadership is 6.2%. In a brief, identity has a sturdy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experience leadership, entranc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level of identity illustrated as the primary factor of affecting response to the stress. In my point of a view, education and programs that would enhance individuals' ability to response to stress has to be exploited. 본 연구는 간호사관생도를 대상으로 자아정체성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파악하고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자료 수집은 국군간호사관학교에 재학중인 생도 268명을 대상으로 2011년 9월 18일부터 2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별 자아정체성은 자치지휘 근무활동 경험이 있고,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하고, 학교 지망 동기가 기타이거나 군인이 되기 위해서, 생도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높았다. 학교 지망 동기 중 기타 의견에는 간호장교가 되기 위해서로 기입하여 학교 지망 동기가 더욱 구체화 되었다. 일반적 특성별 스트레스 요인은 고학년에서, 학교 지망 동기가 경제적인 이유인 경우, 생도생활 만족도가 낮을 때 유의하게 높았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자치지휘 근무활동 경험이 있는 집단에서 높았다. 2. 간호사관생도 자아정체성 평균 점수는 자아정체성 하위요인 중 자기수용성이 3.93점으로 가장 높았고 스트레스 요인 중 조직환경적 요인이 3.7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 하위요인 중 소망적 사고가 2.67점으로 가장 높았다. 3. 자아정체성 수준별 스트레스 요인 점수는 자아정체성 6개 하위요인에서 자아정체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낮았고, 스트레스 대처방식 점수는 하위요인 중 주체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높았다. 스트레스 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상관관계에서 개인적, 집단적, 조직적 스트레스 요인은 자아정체성 하위요인과 음의 상관관계로 정체성이 높아질수록 스트레스가 낮아지며 문제중심적 대처, 사회적지지 대처는 자아정체성 하위요인과 양의 상관관계로 자아정체성이 높아질수록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하는 경향이었다. 4. 스트레스 요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단계별 다중회귀분석 결과 스트레스 요인은 목표지향성, 친밀성, 주체성, 자기수용성, 생도생활 만족도가 유의하였고, 이들 변수에 의한 설명력은 35.6%이었다. 목표지향성, 친밀성, 자기수용성, 생도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요인은 낮았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주체성, 자치지휘 근무활동이 유의하였고, 이들 변수에 의한 설명력이 6.2%이었다. 주체성이 높고 자치지휘 근무활동 경험이 있을수록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볼 때, 자치지휘 근무활동 경험, 주관적 건강상태, 학교 지망 동기, 생도생활 만족도는 자아정체성 형성과 연관성이 높으며 자아정체성 수준은 스트레스 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자아정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및 훈육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 생도 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적극적인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대처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을 기대해 본다.

      • 청소년기의 자아정체성 함양을 위한 미술교육프로그램 개발 : -그림 문자를 중심으로-

        김영진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청소년기의 자아정체성 함양을 위한 미술교육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청소년들의 자아정체성에 대한 연구는 이전부터 활발하게 진행되어왔으며 미술교육을 통한 자아정체성 함양 관련 교육프로그램 역시 다양하게 개발되어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미술교육프로그램들은 주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 위주이거나 일반적인 자화상 수업 및 순수미술과 관련된 수업으로 구성되어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진로 선택과 성장의 과도기를 겪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정체성 함양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그 중 시각디자인 영역의 하나인 ‘그림문자’를 제재로 하여 학습자가 선택한 단어를 형상화하는 수업을 시행하였고 이를 분석하였다. 총 8차시의 지도안을 중심으로 반응중심학습법과 창의적 문제해결법을 기본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수업에서는 학습자가 자신의 상징단어를 표현하는 과정에서 자신을 찾고, 타인을 이해하는 활동 수업을 계획하였다. 1차시에서는 그림문자의 기본적 이론 및 관련 작품 감상수업이 이루어진다. 2차시에서는 그림문자 표현활동을 위한 자신을 주제로 한 마인드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3,4차시는 상징단어를 선택하고 그림문자 도안을 제작하여 이미지를 구체화하는 과정이다. 5차시는 그림문자 표현활동을 위한 표현재료의 특징과 효과를 이해하는 단계이다. 6,7차시는 그림문자 표현활동을 위해 다양한 표현방법을 이해하고 실제로 적용하는 과정을 갖는다. 마지막 8차시는 서로 간의 작품을 감상, 평가하고 다양한 평가방법을 활용하여 수업을 종료한다. 자신만의 상징단어를 디자인하는 과정 속에서 자신을 드러낼 수 있는 색채와 표현방법, 글자의 배치, 그림의 의도 등을 생각하게 됨으로써 자연스럽게 그림문자 안에 ‘나’의 이야기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학습자들은 자신에 대한 정체성을 확인할 뿐만 아니라 언어를 이미지화 하는 표현활동을 통해 창의적인 능력까지 갖추게 된다. 학생들의 작품들은 주로 자신이 좋아하는 음식, 음악, 영화, 소설 등과 같은 사물이나 매체에 영향을 받거나 자신의 진로나 관심 있는 과목, 성격에 관한 표현을 하였다. 이는 학생들이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으며, 자신의 관심사에 대해 심사숙고함을 의미한다. 표현활동 이후 완성된 작품을 상대방의 작품과 서로 비교하고 자신의 사고를 명료화하는 과정을 통해서 자신과 타인의 이해 및 공감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 이후에 다양한 의견에 대한 발표와 토론을 진행하였다. 수업의 개선 방안은 그림문자 개념의 이해 부족 및 한정된 발상기법 등의 문제는 학생들에게 그림문자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와 발상방법을 제시하여 해결 될 수 있겠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들이 자아정체성을 함양하고 나아가 자신의 삶과 문화에 대해 지속적으로 탐색하여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인간으로 자라나길 기대하는 바이다. 주요어: 자아정체성, 그림문자, 청소년기, 미술교육, 에릭슨, 마르시아, 고등학생 This paper is a study of art guidance for cultivating ego identity during adolescence. The study for ego identity in the adolescence has been variously progressed before. Moreover, educational programs which are related to cultivating the ego identity through an art teaching have been developed diversely. In this paper, study is conducted to cultivate the ego identity particularly aiming at the high school students who suffer from a career choice and are in the transition period of growth. By using the pictorial letters that is one of the fields in visual design, the class embodying words which learners select is conducted and result is analyzed. By presenting total eighth period, the methods of Response-centered learn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re suggested. The class is planned, focusing on the learners finding out himself or herself in the course of expressing their symbolizing word and understanding others. In the first period, the class is conducted about the basic theory of pictorial letters and appreciation of a work of art related. In the second period, the class is conducted to make a mind map so that learners can do the expression activity of pictorial letters. In the third and fourth period, the class is a course of choosing the symbolizing word, making a design for pictorial letters and materializing an image. In the fifth period, the class is a course of understanding the features and effects of the expression materials. In the sixth and seventh period, the class concentrates on understanding various expression methods and applying to it practically for the purpose of expressing pictorial letters. In the eighty period, which is the last course, the class ends with appreciation and assessment for the work each other by capitalizing on a variety of evaluating means. Learners naturally build their story in the pictorial letters by thinking about colors and expression methods that can reveal himself or herself, arrangement of letters, and intention of the drawing through designing their symbolizing word. Learners will be able to have a creative ability throughout visualizing a language as well as confirm ego identity. Learners’works mainly focused on not merely food, music, movie and novel affected, but also career, personality and subject in which they have been interested. It means that they are influenced by outer environment and make deliberation on their interest. Learners can have an ability to understand each other and sympathize others through comparing his or her work which is completed after the expressing activity with others and clarifying their response. Afterward, learners make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about a variety of opinions. When it comes to revision methods, the problems with the deficiency in understanding the conception of pictorial letters and a limited idea technique can be solved by giving them a variety of data and means related with the pictorial letters. Throughout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learners cultivate ego identity, explore their life and culture steadily and thus grow more actively and independently. keyword: ego identity, pictorial letter, adolescence, art education, Erickson, Marcia , High school student

      •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자아정체성이 진로의식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연정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lations among self-identity, career consciousn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iate Tae Kwon Do athletes for helping their future career decision behavior by set up a hypothetical cause-effect model on the basis of precedent studies. The research subject were currently registered collegiate Tae Kwon Do athletes of KTA.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 which is composed of three parts. Consisted survey questions were reconstructed to better suited for this study. To achive the goal,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u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egiate Tae Kwon Do athletes showed different in consciousness and career preparation about independence, determinacy and career behavior by grade, Second, future assurance of personal identity effects on career consciousness. Third, self evaluation, have assure future plan and collecting more career information enhanc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career determinacy should be clear to achieve the established career goal, check the tasks, make a plan for future, collecting various information and career preparation. moreover, collegiate sports should meet the least requirement of athlete's needs, such as not only develop and supplement a athlete's ability to become a professional athletes, but also make them to have other abilities for preparing an ordinary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