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과정과 임용시험 1차 문항의 연계성 연구

        송미희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95

        1992년 한중수교가 맺어진 이후 20년 동안 한국과 중국의 관계는 단순 우호협력관계로부터 출발하여 2008년 양국관계는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로 격상되었다. 이와 함께 중국의 경제가 급부상함에 따라 중국어의 수요자 역시 급증하여 국내 중국어 교육 관련 사업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현재 중국어 관련 도서는 한 대형 서점의 검색창에서‘중국어’라는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약 3,500여건이 나오며, 한 중국어 교육기관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중국어강좌 수강생이 2011년을 기준으로 전년보다 53%로 증가하고 2009년과 비교하면 224%나 늘어난 수치를 보여 중국어 열풍이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중국어와 관련된 시험도 HSK(중국한어수평고시), BCT(비즈니스 중국어시험), CPT(중국어실용능력시험), YCT(청소년중국어시험)등 그 종류와 응시율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중국어의 대표적인 시험 HSK를 주관하는 중국국가한반(中國國家漢班)에 따르면, 2011년 HSK를 응시한 외국인이 13만 1500명 가운데 한국인 응시자는 6만 5767명에 달한다고 한다. 이런 중국어 교육에 대한 변화는 사교육 뿐만 아니라 공교육 내에서도 살펴 볼 수 있다. 서울 지역 자율형 사립고(자율고) 13곳에서 동양문화권 제2외국어(일본어, 중국어)교육을 강화하는 내용을 반영한 특성화 교육과정 운영계획안을 내놓고 있다. 또한 교육과학기술부의 자료에 따르면 일반계 고등학교에서도 제2외국어로 일본어와 중국어를 선택한 학생의 비중이 전체의 90%를 넘었다. 특히 중국어는 2009년 27.2%에서 2010년에는 28.4%로 증가해 2년이 지난 지금은 그 비율이 더욱더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한다. 이러한 변화들을 살펴 볼 때 중국어 교육의 전문성 제고와 발전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특히 공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중국어 교육은 우리나라 국가의 중요한 국제 경쟁력이 되므로 이에 따라 공교육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중국어 교사의 역할도 더불어 중요해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현재 중국어 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은 일반대학의 교직과정과 교육대학원과정이 있다. 두 과정 모두 임용시험이라는 제도를 통해 교사가 선발된다. 그러므로 우수한 교사를 양성하고 선발 하는데 있어, 각 교육양성기관의 교육과정과 임용시험은 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교육대학원은 교사양성 뿐만 아니라 교사의 재교육 역할도 하고 있어 그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 둘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서로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겠다. 하지만 현재 중국어 교육과정과 임용시험에 관한 연구는 각각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만이 대부분이다. 특히 임용시험에 관한 분석은 임용시험 자체에 대한 문항 분석이 대부분이고, 교육과정과 시험간의 연계성에 관한 분석도 일반대학교 교직과정에 한해서만 연구되었다. 필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과 임용시험 양자 간의 연계성을 분석해 봄으로써 중국어 교사 양성기관과 그 시험제도의 현 상황을 파악해보고, 우수한 교사의 배출을 위한 앞길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교육대학원 과정과 교수 경험을 통한 예비영어교사의 정체성 발달에 대한

        권예진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95

        This study is an autobiographical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dentity. The study explores how a pre-service English teacher develop her identity as a teach through the coursework and teaching experiences. The research subject,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er, is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was examined employing narrative inquiry. Narrative inquiry refers to an individual's experience with an epic structure in the form of comparatively long sentences or a story that has been told historically. Within the narrative inquiry, all the educational activities that the researcher targets to study are a series of experiences that are considered a narrative. By employing a self-reflective method of analysis, the researcher who was also the participant presented a more in-depth analysis and gained a deeper understanding of herself.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ree research topics through narrative inquiry: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dentity through the cours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he experience of teaching. Through this study, I concluded that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eaching experiences helped pre-service English teachers develop expertise. First, with what motive did you enter an education graduate school and what did you experience the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a nonprofessional educator before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 researcher will first have to develop her teaching identity and theoretical knowledge of English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she will need to go through all the course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will need teaching experience.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graduate school education on the growth of tutoring and after-school teacher identity? It examines the past and the current situation by comparing the teaching methods before and after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rough actual teaching examples and textbook analysis. This is the process of acquiring professional knowledge when developing as a teacher and its essential qualities. This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teacher responsibilit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ird, what are the effects of a graduate education course on the growth of ideal teachers pursued by the researchers and what kind of teachers did it help create? Not only did I develop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as a prospective teacher, but I also had the opportunity to learn teacher-pupil relations. Thus, I can keep in mi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and educator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presents a life story that reflects on both personal and professional key experiences. This provides a chance for researchers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who they are and establish their identity as a preliminary teacher. I strongly hope that what we experience within the course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ill help prospective teachers when they choose their careers in the field of research. Key Words: Narrative, Identity, EFL Pre-teacher, Autobiographic Case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과 교수 경험을 통한 예비영어교사의 정체성 발달에 관한 자전적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의 연구자는 영어교육 전공을 공부하는 학생임과 동시에 연구대상자인 예비영어교사의 중간적 위치를 경험한다. 이러한 경험을 기반으로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하여 보여주고자 함에 있다. 내러티브 탐구는 비교 장문의 형태로 이루어진 서사 구조를 갖춘 개인의 경험이나 역사적으로 전해 내려온 이야기를 의미한다. 질적 연구의 관점에서 보면, 내러티브는 연대기적 시간의 연결로 이어져 있으며 하나 또는 일련의 사건을 설명하는 발화나 기록된 텍스트를 의미한다. 이에 활용하여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방법이 내러티브 탐구이다. 내러티브 탐구 속에서 본 연구자가 연구하고자 하는 모든 교육 활동은 일련의 경험이고, 이러한 경험은 내러티브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과정과 교수 경험을 통하여 정체성을 확립해 나아가는 과정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하여 세 가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어떤 동기를 가지고 교육대학원에 입학했고 교육대학원에서 어떤 경험을 하게 되었는가? 교육대학원 입학 전 비전문 교육자로서 겪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입학하여 교육대학원 과정과 교수경험을 통해 영어교육의 이론적 지식뿐만 아니라 교사정체성을 키워나가게 된다. 둘째, 교육대학원 과정이 튜터링과 방과 후 교사로서의 정체성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것인가? 교육대학원 입학 전·후의 수업 방식을 비교하며 과거를 분석하고 현재에 보완하는 모습을 실제 수업 사례와 교재분석을 통해 보인다. 이러한 과정은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필요한 자질을 계발해 가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교사가 지녀야 할 책임감과 전문성 발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육대학원 과정을 통해 연구자가 추구하는 이상적 교사로 성장해가는 데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고 어떤 교사로 성장하였는가? 예비교사로서 이론적·실천적 지식을 키웠을 뿐만 아니라 사제관계라는 새로운 인간관계를 배워가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학습자와 교육자 간의 상호관계에 유념하게 된다. 본 연구자는 이번 연구를 진행하면서 개인적·직업적 핵심 경험을 모두 반영하는 이야기를 제시한다. 이는 예비교사로서의 정체성 확립뿐만 아니라 연구자 자신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얻을 기회를 제공한다. 교육대학원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는지 또한, 연구자와 같은 진로를 선택할 예비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주제어: 내러티브, 정체성, 예비교사, 자전적 사례연구

      • 중국 내 한국어 교육 환경의 변화와 중국 대학의 한국어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연구

        김연란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79

        과거 1940년대에는 중국의 대학 중 한국어학과가 개설이 되어 있는 대학교가 5개 정도에 불과했다. 70여년이 지난 오늘, 중국 내 대학교 중에서 한국어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대학교는 이미 세 자리 숫자를 넘긴 지가 오래되었다. 이와 같이 한국어학과가 빠른 속도로 성장하게 된 계기는 여러 객관적인 환경 요인이 작용하였다고 본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한국의 경제 성장과 더불어, 많은 한국 기업이 중국으로 진출하면서부터 한국어 교육은 중국에서 더욱 폭발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으며, 이는 대학교에 한국어학과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또 중국의 개혁 개방, 경제 성장과 더불어 한류 전파 등 다양한 객관적인 요인은 한국어 교육에 대한 다양한 요구로 분화되었으며 과거의 획일적인 교육과정은 더 이상 오늘날 새로 나타난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에 비추어 이 논문은 중국 내 한국어 교육의 환경 변화에 대해 분석해 보고, 현재 중국 대학의 한국어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해 봄으로써 문제점을 지적하고 앞으로 개선 방안을 제시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교육과정의 일반론과 현재 한국어 교육 전반의 이론적인 배경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에서 개발된 여러 이론을 중국 대학의 한국어학과 교육과정 개선에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중국 내 한국어 교육 환경의 변화를 통하여 오늘날 대학 한국어 교육이 해결해야 할 시대적인 과제가 무엇인지 분석하여 이를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연구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현실적으로 한국어학과의 교육과정의 구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지역 별로 대표적인 한국어학과를 분석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한국어 교육과정 이론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얻은 분석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대학교의 한국어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중국 대학의 한국어학과의 공통점 및 문제점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또한 중국 대학교 교육과정 구성의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중국 대학의 한국어학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이 제도적으로 가능한 범위를 알아보았다. 끝으로 지금까지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의 체계를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주로 중국 내 한국어학과의 교육 목표와 교과과정의 구성을 둘러싸고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e 1940's there were less than five Universities that had Korean language departments. Since that time, a few departments have multiplied into more than one hundred departments. Many changes have occurred during the last 70 years between China and Korea that have helped determine how the curriculums should change. For example, starting in 1992 after diplomatic relations formed between Korea and China, Korean businesses in China have continuously grown. The amount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China has also grown to help meet this demand, but the curriculums are outdated and only designed to meet part of this demand. This paper examines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curriculums from a sample of representative universities in China. Both the common and uncommon aspects of the curriculums are isolated and examined in order to find methods to improve the curriculums. The ultimate solution to this dilemma is complex and requires the restructuring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curriculums, which goes beyond the scope of this paper. But how can the current curriculums help meet the current demands? In short, Korean language curriculums should go beyond language training and integrate the acquisition of other useful skills during language training; skills that focus on the current job demands, in the trade industry, tourist industry, or translation industry for example. Many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s still teach language using outdated, useless subject matter making language the only useful skill learned. Countries have no real need for people that only have intermediate to advanced language skills. Language takes a lot of time and energy to learn. Unfortunately, simply knowing a language is not enough. It must be paired with a certain skill set.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a direction towards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curriculums so as to incorporate such skill sets.

      • 대학교 실용음악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연구

        홍민아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대학교 실용음악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연구 이 연구는 국내 2, 3, 4년제 대학교 실용음악과 교육과정 비교분석을 통하여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년제 대학교 교육과정의 경우, 실기과목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실기전공에게는 유익하다. 하지만 2년이라는 짧은 시간 내에 학점을 모두 이수해야 하기 때문에 음악이론이나 교양과목은 3, 4년제의 대학교 보다 수업과목양이 현저히 적었고, 한 학기에 많은 과목을 수강하고 이수해야하는 과정에서 수업의 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3년제 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대학교 교육과정의 경우, 2년제 교육과정에서 3년제 교육과정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전공필수 과목에서는 2년제 교육과정과 큰 차이점은 없었으며, 2년제 교육과정에 비해 이론과목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셋째, 4년제 대학교 교육과정을 살펴본 결과 2, 3년제 대학교 교육과정보다 4년 동안 평균 130학점 이상의 학점을 이수하는 4년제 대학교의 특성상 이론과목들이 세분화 되어서 더 많은 과목들로 개설되어 있었다. 넷째, 4년제 대학교에서는 8학기라는 시간을 가지고 있는 장점을 활성화 시키지 못하고, 각 대학교별 특색수업이 많이 개설되어 있지 않아서, 4년이라는 긴 시간에 비해 다양한 수업을 듣지 못하고 졸업을 이수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우리나라의 실용음악과 대학교들이 발전할 수 있도록 이 연구에서 제시된 미국과 일본의 2개 대학교뿐만 아니라 더 많은 외국대학교 교육과정의 사례를 찾고, 나아가서는 외국대학교의 교육과정의 장점을 실천하면서 우리나라의 실용음악과 발전과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본다.

      • 대중매체를 활용한 음악학습 동기유발 및 학습전개 방안에 관한 연구 : 중학교 과정을 중심으로

        유희숙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Study on Method of Learning Development and Motivation of Music Learning By Using Mass Media -Around the Junior High School Course- Yu, Hee Suk Major in Music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angmyung University In current society, the transition of meaning for music as well as the education of music in school in the direction of accepting the change and demand of society is needed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dustry and technology. This transition is being reflected through the method in which the music activity inside the school can be the meaningful activity even in the actual lives of students outside the school in the revised music and curriculum in 2007 Thus, from the observation of such a necessity,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an adolescent period and the influence of vidual media often contacted by them, and investigates the method of efficient learning development by using the visual media. The contents of study are as follow: First, TV is the most accessible visual media for juveniles in these days, and the visual media has much effect on them, which is found from the tendency that they are likely to imitate all features of stars shown on visual media. Since on the basis of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class using the visual media, materials are extracted from the subjects which students have interests in, it may draw the student's concern. And it also has the meaning in the practical aspect of music due to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lives. Second, in the revised music and education course of 2007, the fields of 'activiting', 'understanding', 'practicising', 'teaching/guiding method' suggest the possible application of visual media, specially teaching/learning method has the item : 'make the best use of various materials of digital media and traditional media such as photograph, film.', so it seems to directly encourage the use of visual media in music class. Third, In order to apply visual media in music instruction, visual records used in class and music materials used in movies, TV dramas, TV advertisements were divided into Korean classical music and western music. Fourth, By abstracting some items used in junior high school from the contents system of education course and revised music of 2007, in the music instruction focused on these items, application of visual media was suggested in the aspects of motivation, appreciation, concept guidance, creation. n the music instruction, visual media can be applied in several methods according to the learning subjects, and the influence of application can be extended to not only music field, but also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art. And also it can motivate students to participate actively in class, and effects to stimulate the creativity can be expected too. 국 문 요 약 영상매체를 활용한 음악 학습 동기 유발 및 학습전개 방안에 관한 연구 -중학교 과정을 중심으로- 유 희 숙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 지도교수 정 진 원 ) 현대사회는 산업과 테크놀로지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음악에 대한 의미의 변화와 더불어 학교에서의 음악교육도 사회의 변화와 요구를 수용하는 방향으로의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도 학교에서의 음악 활동을 학교 밖의 실제 학생들의 생활과 삶의 과정에서 의미 있는 활동이 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반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에 착안하여, 청소년기의 특성과 그들이 자주 접하는 영상매체의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고, 영상매체를 활용한 효과적인 수업전개 방법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늘날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영상매체는 TV이며, 영상매체 속에 나오는 스타의 모든 것을 따라하려는 성향으로 드러나는 것처럼 청소년에게 있어서 영상매체는 큰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또한 영상매체를 활용한 수업의 교육적 가치는 학생들이 관심 있어 하는 것으로부터 소재를 가지고 온 것이기 때문에 학생들의 흥미를 끌 수 있고, 자신들의 생활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생활 속에서의 음악이라는 실용적인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둘째,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 과정에서는 ‘활동’, ‘이해’, ‘생활화’, ‘교수·지도 방법’영역에서 영상매체 활용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특히 교수·학습 방법에서는 ‘사진, 영상과 같은 전통적 매체와 디지털 미디어 등의 다양한 자료를 최대한 활용 한다 ’의 항목을 두어 직접적으로 음악 수업에서 영상매체를 사용 할 것을 장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음악지도에서의 영상매체 활용을 위해 수업에서 사용 가능한 영상물 영화, TV 드라마, TV 광고에서 사용된 음악소재를 국악과 서양 음악으로 나누어 분류 하였다. 넷째,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중에서 중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항목들을 추출하였고, 그에 초점을 맞추어 음악지도에서 영상매체 활용을 동기부여, 감상, 개념지도, 창작하기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음악학습에서 영상매체의 활용은 학습목표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그 효과는 단지 음악 영역 뿐 아니라 문화 예술에 대한 이해로 확장 될 수 있다. 또한 적극적인 학생의 수업참여를 유발할 수 있으며, 창의력을 자극하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 인간소외를 주제로 한 현대미술 감상 지도 방안 연구

        최아랑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사회는 오랜 시간 지속된 산업화와 계속적인 경제 성장을 통해 과학과 테크놀로지는 눈부시게 발전하고 풍요로운 생산과 소비의 사회가 되면서 도시는 거대해지고 점점 복잡해지며 다원화 되었다. 이러한 사회 상황 속에서 인간은 개인의 다양성 보다는 단지 사회의 일부분으로서 존재하는 ‘사회적인 인간’을 지향하게 되었다. 즉 상대적으로 한 개인은 축소되고 자신을 점차 상실해가는 소외의식을 경험하게 된 것이다. 현대인들이 겪는 소외의식과 같은 심리적 문제들은 학교라는 작은 사회 안에서 학생들에게서 학교폭력이나 왕따, 높은 자살률 등의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현대의 물질만능주의가 만들어낸 이기주의, 즉 남을 밟고 올라서야 성공한다는 경쟁심만을 강조하며, 타인과의 소통이나 서로에 대한 배려심 등의 인성교육이 학교교육 현장에서 미흡하게 다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을 현대미술 감상교육을 통해 그 실마리를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 이유는 현대미술은 과거와 달리 현대라는 삶 속에서 겪는 수많은 문제들을 그 표현의 소재로 삼고 있으며, 특히 앞서 말한 현대인의 불안한 심리현상이 현대 미술 작품에 반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인간의 소외문제를 표현한 미술가들은 소외의 아픔과 절망, 그리고 물질화에 지친 현대인의 모습을 작품을 통해 드러냄으로써 감상자로 하여금 감정을 정화하고 스스로 극복해 나갈 수 있는 힘을 기르도록 안내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미술은 그 개념자체가 난해하고 접근방식이나 작품을 보는 관점이 모호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지도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현대미술 교육이 학생들의 실생활과 연계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인간소외’라는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현대미술에 접근하여 감상 범위와 관점의 모호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앞서 언급한 청소년들이 겪는 심리적 문제들의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미술수업에서 이러한 현대사회 속에서의 인간의 소외의식을 주제로 한 현대미술 작품들을 감상함으로써, 일차적으로는 학생들이 현대미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음은 물론, 이를 통해 자신이 속한 현대사회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자신과 타인의 감정에 대해 공감하며, 깊이 고찰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소통과 배려의식을 배워 타인을 이해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나눔의 의식을 지닌 사회구성원으로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 제안한 인간소외를 주제로 한 현대미술감상방법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학생들에게 주제에 대한 내면화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반응 중심 학습법을 활용하였다. 총 4차시로 구성된 학습지도방안은 1차시에서 먼저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회 문제점들에 대해 인식하고 이와 연결해 인간소외 현상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하는 수업이다. 2차시는 소외를 표현한 대표적인 화가인 에드워드 호퍼의 작품을 감상한 후 작품 속에 담긴 상징성에 대해 토론하고, 3차시는 소외를 표현한 또 다른 작가인 프랜시스 베이컨의 작품을 감상한 후 그의 작품과 고전명화를 비교하며 토론하고 특징을 찾아보도록 하여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어떻게 인간소외 현상을 다루고 있는지를 고찰하게 하였다. 마지막 4차시는 이전에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퀴즈활동을 통해 복습한다. 퀴즈 활동이 끝난 후에는 다시 한 번 소외의식이라는 문제를 상기 시켜 앞으로 실생활에 적용하여 가져야 할 태도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하였다. 이러한 주제를 표현한 현대미술 감상교육을 실행한다면 첫째, 광범위하고 난해한 현대미술의 범위를 좁힐 수 있으며, 둘째, ‘인간소외’와 같은 주제는 현재를 살아가는 학생들이 실제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학습자의 실생활과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As the modern society becomes a society of abundant production and consumption where science and technology has been remarkably developed through sustained industrialization and continued economic growth, cities have become bigger, more complicated and diversified. In such social situation, people have been pursuing for “social human-beings” as a part of the society rather than individual’s diversity. In other words, people have experienced a sense of alienation of gradually losing themselves while relatively being reduced as an individual. The psychological issues such as a sense of alienation experienced by people in the modern times are emerging in a small society of school and influencing on students, in the forms of school violence, outcast and high suicide rate. It is considered that this is because the society only emphasizes selfishness created by modern materialism, that is, the competitive spirit to achieve success only by beating others, and character-building education including communications with others and thoughtfulness for others has been insufficiently provided in schools. Therefore, this research aimed to seek for a clue to address such issues through education of appreciation of contemporary arts. The idea behind this is that contemporary arts take many issues in the life in modern times as a material of expression unlike the past, and particularly, the uneasy psychological state of contemporary people has been reflected in contemporary artworks. For example, by picturing the image of modern people who are tired of pain and despair of alienation and materialization, the artists who expressed the issue of human alienation are serving as a guide to purify emotions and develop the power of the appreciators to overcome the hardship by themselves However, since contemporary arts have complicated concepts and ambiguous approaches and perspectives to appreciate the artwork, art teachers have many difficulties in actual education fields. In particular, contemporary arts education is not connected to the real life of the students.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aimed to improve the ambiguity of the range and perspective of appreciation by approaching to contemporary arts based on a particular theme of “human alienation” and at the same time to suggest the solutions to above mentioned physical issues of adolescents. This research aimed to offer an opportunity for the students to expand the range of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arts as well as to recognize the problems of the modern society where they belong, sympathize with and ponder the feelings of students themselves and others by appreciating the contemporary artworks with the theme of a sense of human alienation in the modern society in arts classes. In addition, during the process, students can learn a sense of communication and thoughtfulness that has been emphasized by the education course revised in 2009 and grow as members of the society who understand others and have a sense of sharing to live altogether in the society. The method of appreciation of contemporary arts with the theme of human alienation suggested by this research used the response-based learning method because it was targeted at middle school students and aimed to encourage students to internalize the theme. Among the four learning guide methods, the first period is a class to recognize the social issues emerging in the surrounding areas and think about the relevant phenomenon of human alienation. The second period is a class to enjoy the artworks drawn by one of the representative artists who expressed alienation, Edward Hopper, and discuss the symbolism in the artworks. The third period is a class to appreciate the artworks painted by another representative artist who expressed alienation, Francis Bacon, and compare his works with classical famous paintings, discuss, find the features and contemplate how such phenomenon of human alienation was treated during the process. The fourth period is a class to review the previously learned parts by taking the quiz. After the quiz, the class reminded students of the issue of a sense of alienation and encouraged them to think about the attitude to have that they can apply to the actual life. It is convinced that education of appreciation of contemporary arts with such theme can first, narrow the wide and complicated range of contemporary and second, provide education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actual life of the learners, since the theme of “human alienation” is an issue that the students in the modern days are actually experiencing.

      • 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플립드 러닝 모형을 적용하여

        송금랑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연구는 일반목적 초급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플래시 애니메이션 동화 콘텐츠를 활용하여 플립드 러닝 모형을 적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라고 할 수 있다. 동화는 실제적인 자료로서 학습자의 언어 수준에 적합한 텍스트이며, 플래시 애니메이션이라는 멀티미디어 매체로서 시청각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플립드 러닝은 자기주도적 학습과 개별화 수업을 지향하는 교수-학습 모형으로서 성인 학습자에게 적합하며, 플래시 애니메이션 동화 콘텐츠를 활용하기에 적합한 방법이다. 1장에서는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서 동화를 활용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논하면서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밝혔다. 선행 연구 검토 결과 전래 동화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다문화가정 또는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은 편이다. 플래시 애니메이션 동화 콘텐츠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며 한국어 교육계에서는 플립드 러닝에 대한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동화와 플립드 러닝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동화는 학습자의 언어 수준에 적합하며 자연스러운 언어 습득으로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자극하며 플래시 애니메이션 콘텐츠를 활용하여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플립드 러닝은 플래시 애니메이션 콘텐츠를 활용하기 적합하며 성인 학습자의 특성에도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3장에서는 동화를 활용한 플립드 러닝 수업을 설계하기 위하여 교수-학습 조건에 따라 설계 원리를 세우고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였다. 또한 수업 단계에 따라 교사와 학습자의 교수-학습 전략 및 모형에 대해서 살펴보고, 다문화 동화구연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플래시 애니메이션 동화 콘텐츠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실례를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플래시 애니메이션 동화 콘텐츠를 활용한 플립드 러닝 수업 실례를 제시하였다. 「색깔을 훔치는 마녀」를 대상으로 언어적인 요소와 문화적인 요소로 크게 나누어 교수-학습 내용을 선정하고 동영상 강의 단계와 교실 수업 단계로 나누어 교수-학습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플래시 애니메이션 동화 콘텐츠는 활용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다각도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다문화 동화구연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동화 콘텐츠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플립드 러닝 모형을 적용해 보았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n applying flipped learning model by using flash animation children's story contents to elementary-level adult learner. Ultimat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Children's story is a suitable text as practical material pursuant to a leaner's linguistic level and so, it can be used for audiovisual materials as multi-media of flash animation. As a teaching-learning model aiming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individualized instruction, flipped learning is suitable for adult learners and it is appropriate to use flash animation children's story contents. Chapter 1 discussed necessity of education through children's story for natural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it showed purpose and method of the study. According to review result, advanced researches mainly consisted of studies on traditional fairy tales, and there were many researches on multi-cultural families 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Researches on flash animation children's story contents were insufficient and almost no discussions were made about flipped learn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al circles. Chapter 2 looked into fairy tales and flipped learning as theoretical background. Fairy tale is suitable for learner's language level and has a merit to lead the learner to natural acquisition of language. In addition, it stimulates interest and motive of a learner and it can improve learning effect by using flash animation contents. Flipped learning is suitable to use flash animation contents and it also is a teaching-learning method suitable for a learner's characteristics. Chapter 3 established a design principle according to teaching-learning conditions in order to design flipped learning class through children's story and then, it designed a teaching-learning model. In addition, it investigated teaching-learning strategy and model pursuant to class level, and it suggested specific examples for flash animation fairy tale contents provided by fairy tale narration sites. Chapter 4 suggested an example of flipped learning class using flash animation fairy tale contents. Dividing 「A witch who steals the color」 into linguistic element and cultural element, it selected teaching-learning content, and it divided the content by animation lecture stage and classroom lecture stage to suggest a teaching-learning plan specifically. Potential for utilization of flash animation fairy tale contents is large an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onduct researches from various angles. This study investigated fairy tale contents provided from multi-cultural fairy tale narration site operated by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 and it applied a flipped learning model to utilize them.

      •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을 토대로 고찰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최시온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연구는 개인의 행복실현을 통해 공공의 선을 실현할 수 있다고 보았던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담긴 철학적 함의를 이해하고, 행복한 삶의 구현을 위해 학교 음악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니코마코스 윤리학과 다양한 논문을 토대로 연구하여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하는 행복이 무엇인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행복은 탁월성에 따른 영혼의 활동이다. 이는 개인의 고유한 기능을 탁월하게 발휘하는 것으로 실천적 지혜와 성격적 탁월성을 통해 중용의 정신을 실천하여 올바른 선택과 행동을 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교육의 목적을 행복을 실현할 수 있는 인간으로의 도야로 삼았으며, 음악 과목을 통해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 전인적 인간으로의 교육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철학적 이해를 토대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성과 핵심역량과의 연계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전인적 인간으로의 성장과 홍익인간의 정신을 실현하는 것을 통해 궁극적으로 행복실현에 목적을 둔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개인의 인격 성장을 통해 공동체의 행복을 구현하고자 한 행복론과 같은 방향성을 갖고 있었다. 핵심역량은 실천적 지혜와 성격적 탁월성과의 연계성이 보였다. 실천적 지혜의 의미 속에는 6가지의 핵심역량이 내재되어 있으므로, 핵심역량을 올바르게 함양하는 것은 인간의 기능을 탁월하게 수행하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핵심역량은 음악 교과를 통해 더 수월하게 발휘될 수 있는데, 음악은 이러한 역량 즉 탁월성을 신장시키는데 주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통해 2015 교육과정을 이해하여 올바른 학교 음악교육을 실천하는 것은 개인의 진정한 행복실현을 넘어 현대사회의 공공의 선을 구현하고 다양한 문제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아리스토텔레스, 행복론, 음악교육, 핵심역량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in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chool music education for the realization of happy life, based on the Aristotelian Eudemonics, which was deemed as the idea to realize public interest through the realization of individual happiness. For this, considerations were made as to what the Aristotelian Eudemonics refer to, based on studies on Nicomachean Ethics and various other studies. Happiness is the activity of a soul according to excellence. It refers to an individual who eminently wields his/her unique function where one’s practical wisdom and characteristic excellence are utilized to practice spirit of moderation to make right choice and action. Aristotle regarded the purpose of education as the cultivation of human to realize happiness. He viewed the education to build a holistic person capable of self-realization as possible through the education of music. Based on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ire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core competency was considered. As a resul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here the ultimate purpose is to realize happiness through the growth into a holistic person and the idea of humanitarianism, was in line with the Aristotelian Eudemonics, where the happiness of a community was to be realized through the character building of a person. Core competency seemed to have shown an association with the practical wisdom and characteristic excellence. Since 6 types of core competency are included inside the meanings of practical wisdom, having the correct core competency is the same as excellently performing the function of a human. Moreover, such core competencies can be expressed more comfortably through the musical curriculum. Therefore, through the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n the Aristotelian Eudemonics, understanding the 2015 curriculum and executing the right school music education will be of help in realizing the public interest in modern society beyond the genuine realization of individual happiness, as well as in resolving various problems. key words: Aristoteles, Eudemonics, Music Education, Core Competency

      • 스마트폰을 활용한 일본어 학습 실천 연구

        정수희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本研究ではスマート時代の代表機器でありながら普及率が非常に高いスマートフォンを使い、スマートフォンの機能性と検察して必要な情報を探し出せる情報力も積極的に活用する新しい日本語学習方案を提示する。そしてスマート教育に対する教師の不安感を減らすため、教授―学習指導案を提供する。スマート教育は相互作用を活発にするという特徴がある上に、日本語 教育にも大きく役に立つと思う。 研究の行う方法として、7月28日から8月19日までの4週間に祥明大学の日本語非専攻者の中、初級の6人を対象に週2回1時間ずつ授業を実施した。そして学習者のレベルテストと事前調査を実施及び分析し、カリキュラムと授業方案を作成した。毎授業が終わる度、授業に対する学習者と教師の意見を調べ、比較分析した。 実験授業のカリキュラムと授業方案は次の通りである。教材は特定の教材の影響がないように毎回の授業で違うものを選定した。カリキュラムは1~2次時に文字学習、3次時に挨拶ことば、4次時には自己紹介の表現を学習し、5次時に数字と時間表現、6次時にイ形容詞、7次時に位置名詞と存在動詞を、そして8次時に動詞のマス形を学習することに構成した。授業では日本語学習関連のアプリケーションと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アプリケーション、コンテンツ生成及び編集アプリケーションそして地域情報アプリケーションを使用した。スマートフォンを活用した活動としては、日本語学習アプリケーションを利用した仮名学習とマンガで仮名探し、日本の町で仮名クイズをした。文字入力活動、日本単語の辞書検索、友だちの名簿作り、世界の時間発表、広告制作、位置の聞き答え、ユーチューブの動詞の活用変形などの活動も行った。そしてスマートフォンを活用した授業運営方案も加えた。 この授業の事前調査、次別授業評価、成就度調査、事後調査を通じて出た結果、学習者は学習目標を相当な水準に達成した。そしてスマートフォンを使うことが授業雰囲気を害するとの心配とは逆に、学習者の参加を促進し、発話に自由な雰囲気を形成して学習者と教師間、そして学習者間の相互作用を活発にする要素になることが分かった。スマートフォンの使用は授業を興味深く、面白く作り、学習者の積極的な参加を誘導した。特に存在感のある学習活動にとても満足した。その活動は時々刻々情報を提供するスマートフォンの情報力を使った活動であった。そして費用の側面でスマートフォンの使用がスマート教育の定着を助けることができることを確認した。一方スマートフォンの情報力は、体系的なスマート教育システムがない状況では教師が繊細に準備しないと学習者の要求や水準に合わせにくいところがあった。そして授業中にスマートフォンによる突発的トラブルが生じ、授業を妨げる問題点が指摘され、教師の事前知識と事前準備が一層必要であった。 この研究は実験対象が6人だけであることから授業の効果成は測定できなかった限界があり、今後の課題として残っている。しかし、日本語教育で今までなかったスマートフォンの教育的活用方案を提示したことに意義があると思う。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 시대의 대표 기기이자 보급률이 매우 높은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스마트폰의 기능성과 검색으로 필요한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정보력도 적극 활용하는 새로운 일본어 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스마트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고자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공한다. 스마트 교육은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어, 이는 일본어 교육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7월 28일부터 8월 19일까지 4주 동안 상명대 일본어 비전공자 중 초급 수준의 6명을 대상으로 주 2회 1시간씩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의 레벨테스트와 사전조사를 실시 및 분석하여 커리큘럼과 수업방안을 작성하였다. 매 수업이 끝날 때마다 수업에 대한 학습자와 교사의 의견을 조사하였으며, 사후조사로 총괄평가와 만족도 조사, 인터뷰 조사를 실시해,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수업의 커리큘럼과 수업방안은 다음과 같다. 교재는 특정 교재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매 수업 다른 것으로 선정하였다. 커리큘럼은 1~2차시 문자 학습, 3차시 인사말, 4차시 자기소개, 5차시 숫자와 시간 표현, 6차시 イ형용사, 7차시 위치명사 및 존재동사, 8차시 동사의 マス形로 구성하였다. 수업에서 사용한 애플리케이션은 일본어 학습 관련 애플리케이션, 소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생성 및 편집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지역정보 애플리케이션이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활동으로 일본어 학 습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가나(仮名) 학습, 만화책에서 가나 찾기, 일본 거리 속의 가나 퀴즈를 하였다. 또한 문자 입력 활동, 일본단어 사전에 검색하기, 친구 명단 완성하기, 세계 시간 말하기, 광고 제작, 위치 묻고 답하기, 유튜브 속 동사 바꾸기 등의 활동도 하였다. 추가로 스마트폰을 활용한 수업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수업의 사전조사, 차시별 수업 평가, 성취도 조사, 사후조사를 통해 도출된 결과, 학습자들은 학습목표를 상당 수준 달성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스마트폰 사용이 수업 분위기를 해칠 것이라는 우려와는 달리, 학습자의 참여를 촉진하고 발화에 자유로운 분위기를 형성하며 학습자와 학습자, 교사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돕는 요소가 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스마트폰 사용은 수업을 흥미롭고 재미있게 만들어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특히 실재감 있는 학습 활동에 매우 만족하였다. 이는 살아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의 정보력을 활용한 활동이었다. 그리고 비용 측면에서 스마트폰 사용이 스마트 교육 정착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스마트폰의 정보력은 체계적인 스마트 교육 시스템 없이 활용할 경우, 교사가 섬세하게 준비하지 않으면 학습자의 요구와 수준에 맞추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업 중에 스마트폰으로 인한 돌발 상황이 수업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교사의 사전 지식, 사전 준비가 더욱 필요한 것으로 보였다. 이 연구는 실험 대상자가 6명뿐이고 수업의 효과성을 측정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어, 앞으로의 과제로 남았다. 그러나 일본어 교육에서 지금까지 없었던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 방안을 실천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난민 대상 한국어 교육 정책 연구

        강민영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연구는 난민 대상 한국어 교육 정책에 관한 연구이다. 한국의 난민 대상 한국어 교육 정책 및 교육의 실제를 알아보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정부 지원 하에 난민이 한국어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은 난민 지원 시설의 이용과 사회통합프로그램 이수이다. 이외의 난민 대상 한국어 교육은 민간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육기관 및 교육 시간이 부족하고 교육 환경 등이 열악한 상황이다. 난민 대상 한국어 교육 정책 및 교육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난민 대상 한국어 교육 정책은 중앙행정기관의 독자적인 정책 시행으로 지방자치단체와 정책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해 난민은 지역 사회의 이주민을 위한 한국어 교육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난민을 위한 유일한 공식 교육 기관인 출입국·외국인지원센터의 비효율적인 운영으로 난민을 위한 제도권 하의 한국어 교육을 소수의 난민만 받고 있으며, 다수의 난민이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다. 난민의 특성을 고려한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재가 없어 학습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어 교육의 전문성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또한 민간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난민 대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없어 교육 환경이 열악한 상황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난민 대상 한국어 교육 정책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난민 대상 한국어 교육의 실태 조사를 실시하여 난민의 한국어 실력과 난민 대상 한국어 교육 현황에 대한 정보의 수집이 필요하다. 출입국·외국인지원센터를 가능한 많은 수의 난민이 이용할 수 있게 하여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을 받을 기회를 제공하여야 하며, 지방자치단체의 이주민 대상 한국어 교육 정책을 확대하여 난민 등 소수의 이주민도 거주 지역에서 가까운 한국어 교육 기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난민의 특수성과 출입국·외국인 지원시설의 교육 시수에 적합한 난민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민간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난민 대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이루어져 교육의 질이 보장되도록 해야 한다. 주요어: 난민, 한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 정책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lic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refugees by identifying the current educational policy and actual proble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refugees in Korea to suggest several ways of further improvement.  Currently, refugees can rece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under governmental support through the use of refugee support facilities and social integration programs. Othe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refugees is implemented in the private sector, lacking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time, under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Having examined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the educational status for refugees, the problems  are as follows.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for refugees has been autonomously executed by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so that the policy linkage with local government agencies has not been possible. Accordingly, refugees are not receiving any benefi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mmigrants in the community. Due to the ineffective management of Immigration and Foreigner Support Center, only a few refugees are receiv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under the system, and most refugees are not receiving systematic Korean Language education. Lack of proper educational curriculum and material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efugees caused inappropri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which resulted in lack of expertise in education. In addition, there is no governmental suppor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refugees in the private sector. Here are several improvement pla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for refugees. First, by conducting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refugees, it is necessary to collect overall information on Korean Language ability and educational status of refugees.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systematic Korean Language education opportunities to majority by ensuring that Immigration and Foreigner Support Center is made available to as many refugees as possible. Als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for immigrants of local governments should be expanded so that a small number of immigrants such as refugees can us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s near to their residential areas. The government should also develop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suitable for the refugees' specificity and education time for immigration and foreigner support facilities, and governmental attention and suppor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refugees in the private sector should be ensu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keyword: Refuge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