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기하」단원에서 수학적 증명 능력 향상을 위한 지도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을 중심으로

        조윤영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we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the formal thinking and the formal proof. According to the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of Piaget, middle school students can use formal thinking. Formal thinking is important in the mathematical proof. As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is thesis, the second and third grade "geometry" chapter in the middle school are without using contradiction. Contradiction i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among proof methods. Therefore, contradiction is desirable to be presented also in textbooks in the middle school level. And, proof ability improvement of students who do not use well formal thinking must be promoted through of preformal proof which using pictures or daily language.

      • 경성(京城)의 음악회(1920-1935) : 식민지 일상과 근대의 경험, 그 다양한 시각에 대하여

        조윤영 이화여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식민지경성이 근대문화도시로 변모해 가는 과정을 경성인들의 일상 속 음악회라는 도시 경험과 연결하여 들여다본다. 근대화와 식민화가 공존하며 급변했던 도시 경성은 조선인과 재조일본인의 중심지가 뚜렷하게 구분되어 이중도시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다양한 이분법 안에서 두 민족은 같은 공간, 그러나 다른 문화생활을 영위하였고, 이러한 현상은 음악문화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식민지경성의 1920-30년대는 일제의 문화정치와 일본 유학을 시도한 젊은 음악가들의 귀국 시점이 맞물려 서양음악이 확산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음악회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1920년부터 1935년까지 16년 동안 경성에서 개최된 음악회를 살펴보면, 공연장에서 드러나는 지역 간 서로 다른 음악문화는 이중도시 경성의 면모를 명백하게 보여준다. 종로의 조선인 중심 음악회는 음악의 심미적 기능보다 근대 도시경험을 체현하고 유흥을 즐기며 조선인들끼리 모여서 우리만의 정서와 감정을 공유하는 민족의 단결 공간으로서 기능하였다. 반면에 일본인 중심지인 혼마치(本町)에서 개최된 음악회는 대부분 조선인보다 경제적·문화적으로 우위에 있던 재조일본인들이 ‘음악을 위한 음악’을 지향하며 일본식 서구 음악문화를 도입하고 향유하는데 주력하였다. 이 연구는 식민지경성이 근대도시로 재탄생하는 과정에서 음악의 역할이 중요했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음악활동에 관한 중요성을 간과하여 근대의 일상에 대면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한다. 특히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재조일본인들의 음악활동을 그들이 기획하고 향유했던 음악회를 분석하여 살펴본 이유는 경성인으로 함께 살아갔던 그들의 활동에 대한 이해를 통해 경성의 음악문화를 총체적으로 그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의 궁극적인 목적은 근대 음악회의 수용과 그 중심지인 경성 문화를 확인하고 그동안 잊혀져 있던 ‘음악과 일상’의 담론을 복구하여, 현재 우리의 음악문화와 일상과의 관계를 다시 생각해 보는 것이다. この論文は、植民地の京城が近代文化都市へと変貌していく過程を京城人の日常においての音楽会という都市経験とつなげて考えてみる。近代化と植民地化が共存し、急変した都市・京城は朝鮮人と在朝日本人の中心地が明確に区別されて、二重都市の性格を帯びていた。様々な二分法の中で二つの民族は同じ空間、しかし、異なる文化生活を営み、このような現象は、音楽文化にもそのまま反映された。 植民地・京城の1920〜30年代は、日本の文化・政治と日本留学を試みた若い音楽家の帰国時点が相まって、西洋音楽が広がる重要な時期である。音楽会が急激に増加する1920年から1935年までの16年間、京城で開催されたコンサートを見ると、会場であらわれる地域間の異なる音楽文化は二重都市・京城の姿を明らかに示している。鍾路の朝鮮人中心の音楽会は、音楽の審美機能よりも近代都市の経験を体現して楽しみながら朝鮮人同士が集まって彼らだけの情緒や感情を共有する民族の団結空間として機能した。一方、日本人中心地である本町で開催された音楽会は、ほとんど朝鮮人よりも経済的∙文化的に優位にあった在朝日本人が「音楽のための音楽」を目指し、日本式の西洋音楽文化を導入して享受することに力を入れた。 この研究は、植民地・京城が近代都市に再誕生する過程で音楽の役割が重要であったにもかかわらず、当時の音楽活動に関する重要性を見落とし、近代の日常に対面していないという問題意識から始まる。特に、これまで分からなかった在朝日本人の音楽活動を、彼らが企画して享受した音楽会を分析し研究した理由は、京城人とすぃて一緒に生きていた彼らの活動に対する理解を通じて京城の音楽文化を総体的に描くことができるからである。この論文の最終的な目標は、近代音楽会の受入とその中心地である京城文化を確認し、これまで忘れられていた「音楽と日常」の談話を取り戻し、現在の私たちの音楽文化と日常との関係を再度考察してみることである。 This dissertation traces the transformation of colonial Seoul (‘Gyeongseoug (Keijo)’ under Japanese rule) into a city of modern culture by examining the Seoulites’ everyday experience of music concerts. Colonial Seoul functioned as a double city, a site of both modernization and colonialization where Chosunites (colonial-period Koreans) and residential Japanese had their own cultural centers of gravity. The two peoples lived distinct cultural lives in the same space and the musical culture of the time reflected this dichotomy. The 1920-30s in colonial Seoul was an important period when Japanese adoption of ‘Rule of Culture’ converged with the repatriation of young musicians returning from their studies overseas. The sixteen-year period between 1920 and 1935 witnessed a dramatic increase in the number of music concerts taking place in Seoul and the distinct musical cultures at work in them clearly demonstrate the nature of Seoul as a double city. Korean-centered concerts held in Jongro functioned more as sites for experiencing modern urban culture than for musical aesthethic contents. They were venues for Chosunites to solidify national fortify by enjoying leisure and sharing their ethnic sensibility and sentiments. By contrast, at Japanese-centered concerts held in Honmachi (modern day Chungmuro), the resident Japanese population, mostly superior to Chosunites in socio-economic terms, concentrated on adopting and enjoying Japanese style western music under the banner of ‘music for music’s sake.’ This study originates from the notion that music played a major role as colonial Seoul was being reborn into a modern city and that the scarcity of prior research on the importance of music of the period has led to an under-appreciation of the modern everyday. In particular, this research uncovers the hitherto obscured musical activities designed and enjoyed by the resident Japanese population in the belief that a fuller, more comprehensive picture of the musical culture of colonial Seoul can only emerge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musical culture of the Japanese Seoulites.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naturalizing process of modern music concerts and the urban culture surrounding them; to recover the nearly forgotten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the everyday of the period; and to reconsider the relations between musical culture and the everyday of our own times from a historically informed perspective.

      • 초등학교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교과교육학 지식 요소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 3˜4학년 물질 영역을 중심으로

        조윤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사용 지도서의 3~4학년 물질 영역에 나타난 PCK 요소를 분석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사용 지도서와 달리 상대적으로 PCK 요소가 균형적으로 제시되었다. 평균적으로 과학 내용에 관한 지식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과학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이 과학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보다 비율이 높게 다뤄졌다.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은 출판사 간 편차가 가장 컸으며, 학생에 관한 지식은 대부분의 출판사에서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하위요소로는 개념 및 이론보다 실험 및 탐구의 비율이 높았다. 수직 연계와 수업 목표에 비해 수평 연계의 비율이 낮았고, 수업 목표는 교과 역량, 성취기준 등으로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발문이 강조됨에 따라 지도 전략과 발문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동기 및 흥미, 오개념은 지도 전략, 발문과의 연계가 나타났다. 평가 문항과 평가 준거는 수준별로 제시된 경우가 있었으며, 이 두 요소를 중심으로 다양한 PCK 요소의 연계가 있었다. 출판사별 편차가 상대적으로 큰 요소는 보충·심화 개념, 교과서 탐구, 활동 순서 및 방식, 교과 특이적 전략, 평가 문항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추후 교사용 지도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CK components in the material units of the third and fourth grades of the elementary school government-authorized teacher’s guide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PCK components were presented in a relatively balanced manner compared to the teacher’s guides in middle school. Knowledge of subject matter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and knowledge of instructional strategies in science was a higher proportion than knowledge of science curriculum. Knowledge of assessment in science showed the greatest deviation among publishers, and knowledge of students was the lowest in most publishers. By sub-components, the proportion of experiments and inquiries was higher than that of concepts and theories. The ratio of horizontal articulation was lower than that of vertical articulation or lesson objectives, and lesson objectives were pres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science core competencies and achievement standards. As questioning was emphasized, teaching strategies and questioning appeared at a similar rate. Motivation and interest, misconceptions were linked to teaching strategies and questioning. In some cases, assessment items and assessment criteria were presented for each level, and various PCK components were linked around these two components. Components with relatively large differences among publishers were supplementary or in-depth concepts, inquiry in textbooks, instruction sequence and method, subject-specific strategies, and assessment item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s guides were discussed.

      • 학교 내 교사학습공동체 수준과 교수효과성과의 관계

        조윤영 서울교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teaching effectiveness based on the teacher's acknowledgement and to verify how the level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ffect teaching effectiveness. By doing this, this study can address the ideal way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hich can improve teaching effectivenes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goal, there are three distinctive research questions. RQ1. How teachers acknowledge with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RQ2. How teachers acknowledge with their teaching effectiveness? RQ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teaching effectiveness? For conducting this research, I researched the literature reviews and investigated the level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teaching effectiveness. I researched the theory about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e concept of teaching effectiveness and the standard referred to the literatures for teaching effectiveness estimation. I made use of questionnaires for the investigation study. In order to suit to the research direction of this study these questionnaires were used after being corrected and complemented from the estimative instrument that senior investigators had developed. I chose 11 elementary school at random; one at every District of Education in Seoul, and I conducted the survey on 312 teachers. I gathered statistics about their positions, careers and school size which were expected to make meaning differences. Within the method, the arithmetic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can be measured. Additionally I did T-test, One-way ANOVA F-test,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 summarized the study result attained through processes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cknowledg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Elementary school would be above average. The most frequent and higher indicators are community culture, learning share and backing system as order. Their gender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view, but those whose career was longer placed higher value on the way of making up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By school size, the teachers who worked in school with 43 classes or more viewed it most negatively and 36 to 42 classes took the best view of it.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ought that their teaching effectiveness was relatively high. The most frequent and higher indicator is controlling student behavior but the lowest indicator is the organization of lessons. Depending on the analysis about the difference of their background fields, organization of lesson, the strategy of class development, triggering motivation to learn, giving chances to learn, controlling student behavior all indicators were different meaningfully depending on their teaching careers. Specially, high career teacher who taught student more than 25 years recognized their teaching effectiveness high. Finally, the level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had a very strong positive correlation to their teaching effectiveness. The explanation degree of teaching effectiveness through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s 40.0% and in the following order, learning share, community culture and backing system influenced the teaching effectiveness were high.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 내 교사학습공동체 수준과 교수효과성의 수준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교사학습공동체 수준에 따라 교수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밝혀서 교수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교사학습공동체의 역할에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가 지각한 학교 내 교사학습공동체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가 지각한 교사의 교수효과성은 어떠한가? 셋째, 학교 내 교사학습공동체 수준과 교수효과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와 조사연구를 활용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에서는 교사학습공동체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고 다음으로 교수 효과성의 개념 및 성격, 구성 요인, 교수 효과성 측정 준거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교사학습공동체와 교수효과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헌 연구를 토대로 교사학습공동체 수준을 구성하는 공동체 문화, 실천의 공유, 지원적 환경 3가지 요인으로 정했으며, 교수효과성을 수업의 구조화, 수업 전개 전략, 학습 동기의 유발, 학습 기회 부여, 학생 행동 관리 5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조사연구는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설문은 교사학습공동체 특성을 바탕으로 문항을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교수효과성에 대한 설문은 송인록(2002)이 작성한 설문지를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 11월 현재 서울시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 386명을 무선 표집하여 설문을 하였으며 312부를 통계 처리 하였다. 분석방법은 연구문제 1과 2를 위해 t-test와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고 연구문제 3을 위해 Pearson r 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내 교사학습공동체 수준은 대체적으로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학습공동체 수준 하위변인 중에서는 공동체 문화를 가장 높게 지각하고 있으며 실천의 공유가 그 다음이었으며, 지원적 환경에서 가장 낮은 수준인 것을 알 수 있다. 배경 변인별 교사학습공동체 수준을 살펴보면, 교직경력별 구분에서는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낮게 지각하고 있으며, 교직경력이 길어질수록 교사학습공동체 수준을 높게 지각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직위에 따라서는 공동체 문화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보직교사의 평균이 교사의 평균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학교규모별 구분에서는 36~42학급인 학교에서 가장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35학급 이하의 학교로 나타났고 43학급 이상인 학교에서 가장 낮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교수효과성은 상당히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효과성의 하위요인별로는 학생 행동 관리를 가장 높게 지각하고 있으며, 수업의 구조화가 가장 낮게 지각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배경변인별 교수효과성 수준을 살펴보면, 직위와 학교규모별 구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교직경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직경력별 구분에서는 교직경력이 5년 미만인 교사의 교수효과성 지각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교직경력이 길어질수록 교사효과성 지각이 점점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학습공동체 수준 변인이 교수효과성을 설명하는 설명력의 정도는 40.0%로 초등학교 내 교사학습공동체 수준이 교수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학습공동체 수준 변인이 교수효과성의 각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실천의 공유, 공동체 문화, 지원적 환경 순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수 효과성의 수업 구조화, 수업 전개 전략, 학습 기회 부여, 학생 행동 관리의 4개 영역에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공동체 문화, 실천의 공유, 지원적 환경 변인이 모두가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통계 결과를 나타냈으며, 학습 동기 유발에서는 지원적 환경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음악, 근대 그리고 계몽 : 백우용(白禹鏞, 1883-1930)은 누구인가

        조윤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백우용(白禹鏞, 1883-1930)은 근대 초기(19세기 말에서 1930년까지) 서양음악이 수용되기 시작할 당시 다양한 분야에서 초석을 다진 선도적인 음악가로, 악기 연주부터 지휘, 교육, 작곡, 채보에 이르기까지 여러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무엇보다도 우리 문화의 근대 서양음악 수용과 정착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이해해야 하는 인물이다. 그는 외면적으로 보여지는 군악대 지휘자로서의 역할을 뛰어넘어 여러 영역에서 우리 음악계의 ‘근대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음악인으로, 현재 우리가 하고 있는 음악활동의 기초인 서양과 우리 것의 조화의 기반을 마련했다. 그의 업적은 단지 지휘와 연주, 그리고 교육 영역의 음악적 실천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창작을 통해서 애국과 남녀평등의 계몽적인 생각을 심어주는 인식의 변화까지 추구했다. 우리 음악계는 아직도 서양과 우리 사이에 갈등을 완전히 해소하지 못한 상태가 지속되고 있기에, 그 해결점을 찾기 위한 시도는 다각도에서 심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 논문은 바로 그 문제의식을 갖고 시작한 것이다. 이 연구는 1차 자료를 중심으로 백우용이 활발하게 활동했던 시기를 연구범위로 한정지어 근대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서양음악의 수용과 정착의 과정이 이루어지는 여러 과정을 그의 다양한 음악활동과 병치하여 분석하고 해석하여 그가 우리 음악의 근대화 과정에 미친 영향을 확인한다. 세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는 그의 음악활동은 민족/국가 상징인 악대에서의 연주자와 지휘자, 민중의 계몽/문명개화를 위하여 만든 작품들, 일반 학생들을 위한 음악교육과 학교 취주악대 창설, 아악부에서의 오선채보와 양악교육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개화기 서양음악은 주로 학교와 교회를 통해서 수용되고 정착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근대 음악연구 역시 주로 그런 방향에서 이루어져왔다. 따라서 백우용이 활동한 군악대의 탄생자체가 국가의 부강과 관련하여 상징적인 의미가 있으며, 1920년대 최초로 여성을 위한 창가집을 발간한 그의 노력은, 근대 음악 연구에서 ‘민족’과 ‘여성’에 대한 새로운 담론을 형성하는 중요한 계기를 제시한다. 이 논문은 그에 대한 연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한 가지 영역이나 역할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 및 해석보다는 다양한 영역에서의 그의 음악활동을 탐색하여 백우용이 누구인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근대화 초기 연구는 음악 분야에서 아직도 시작 단계인 상황이다. 따라서 우리 문화에서 서양음악이 수용되기 시작한 시점의 여러 분야에서 초석을 놓은 그에 대한 연구는 근대 초기 우리 음악이 어떠한 과정으로 전개되었는지 분명하게 반영한다. 궁극적으로 이 논문은 한 음악인에 대한 연구이지만, 우리 근대음악의 시작을 새로운 시각에서 구체적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During the early modern period[近代] in Korea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1930s), western music was introduced into Korea and rapidly spread to Koreans by both foreign missionaries and native music professionals. It was considered in Korea as a means to make its nation ‘a strong and wealthy [富國强兵]’ one. Baek Woo-Yong(1883-1930), known as ‘the maestro of music’ at that time, paved a new way for the musical development during this period, leading various musical activities. He took several important roles, such as a conductor of the first Korean military band in the Western style, an inspiring educator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 composer who wrote songs with ‘enlightening’ themes in their lyrics about women and patriotism, and a transcriber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to five-line staff notations. He was definitely one of the musicians most influential on the modern development of music in Korea. Whereas Baek Woo-Yong’s effort for the establishment of a new music tradition in Korea was remarkable, his musical activities ended to be neglected in the studies on music of the modern era.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n music has not been fully analyzed and interpreted in our socio-cultural context.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can not only show the beginning stage of western music’s impact on Korean music, but also uncover the reasons for western biased music tradition of the current musicscape of Korea. This research examines one musician’s musical activities, but it certainly provides us with many important facts and evidences for the understanding on the music of the modern era. This research deals with Baek Woo-Yong’s various activities, (rather than focusing on one aspect in dept), in the beginning stage of the modernization process not only to understand his individual achievement but also to understand the musical activities and circumstance of Korea during the modern era as well as now. Our current music still hasn't overcome the conflict with western music. So it is imperative to examine various problems in depth, and this thesis has started with an awareness of this issue. This research is based on primary sources about Baek Woo-Yong's activities that have not been put together to be analyzed and interpreted within a moder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 divide his various activities into three phases. The first is his childhood and schooldays. He learned western ways of thinking while attending German School[德語學校], where he learned the German language, and he incorporated those thoughts into his compositions later. The second is the period when he worked as a professional musician. During this period, he played important roles as a member of a military band of Korea[大韓帝國] as well as an interpreter for the band and the German educator Franz Eckert, and later as a conductor of the band, the symbol of the nation and its people. The third phase can be called the period of ‘enlightenment’, when he worked as a music teacher and taught songs with patriotic lyrics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e also wrote songs, dealing with women’s issues. In addition, he transcribed Korean traditional music by using a Western notation system and taught the transcription skills at the Court Music Department at that time. Research on Korean music of the modern era has concentrated largely on the transmission of songs[唱歌] and Christian hymns[讚頌歌], and the research on the introduction and reception of Western instrumental music to Korea has been highly limited. Although some research on Baek Woo-Yong has been done, revealing some information about instrumental music of the time., those studies examined his activities limitedly by looking into his role simply as a conductor of the military band mentioned above. Baek Woo-Yong’s activities were much more prominent and significant. He was actually one of the leading musicians actively involved in many aspects of ‘modernizing’ Korean music of the time. He was not only one of the forerunners who developed new music culture in Korea as a performer, conductor, and educator, but he also created discourses on women and nationalism. In fact, the first collection of his songs for women, which was published in the 1920’s, was the first one of such that created important momentum for Korean women to make new discourses. Previous research has not fully revealed his diverse activities, and this study attempts to draw a picture of Baek Woo-Yong’s diverse musical activities as a whole, rather than analyzing and interpreting one aspect in depth. I hope this research that depicts a critical picture of the early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n music will provide us with a new perspective on music in the modern era in Korea.

      • Quercetin, Apigenin 및 Myricetin이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의 전사체 발현과 대사 조절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윤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Flavonoids are effective antioxidants and may protect against several chronic diseases. This study investigated global transcriptional and metabolic changes in response to quercetin, apigenin and myricetin supplementation in diet-induced obese C57BL/6J mice. Male C57/BL6J mice (4-week-old)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and fed a normal diet (ND), high-fat (HFD, 20% fat), HFD+0.02% (w/w) quercetin (QU), HFD+0.005% (w/w) apigenin (AP) or HFD+0.005% (w/w) myricetin (MY) for 16 wee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Ⅰ. Effects of quercetin, apigenin and myricetin supplementation on lipid metabolism regulation in diet-induced obese C57BL/6J mice The body weight, body weight gain, food intakes and relative organ weight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hree bio-compound groups and HFD group. Plasma total-cholesterol and free fatty acid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three bio-compound groups compared to the HFD group. Plasma HDL-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whereas the atherogenic ind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MY group compared with the HFD group. Fatty acid synthase and malic enzyme activ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hree bio-compound groups and the HFD group. In contrast,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AP and MY groups, than in the HFD group. 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 and ACAT activit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three bio-compound groups compared to the HFD group. Hepatic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t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three bio-compound groups compared to the HFD group. Consistent with the hepatic lipid changes, LXRβ, SCD1, DGAT1 and HMGR mRNA level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the three bio-compound groups compared to the HFD group. Furthermore, in the three bio-compound groups hepatic lipid transport related LDLR, SCARB and ABCG5 mRNA levels were also significantly elevated compared to the HFD group, consistent with the reduced plasma tota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Ⅱ. Effect of quercetin, apigenin and myricetin supplementation on antioxidant activity and glucose metabolism regulation in diet-induced obese C57BL/6J mice Activity of hepatic paraoxonase, an antioxidant enzyme that hydrolyzes lipid peroxide in lipoprotein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Y group compared to the HFD group. Hepatic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QU, AP and MY groups compared to the HFD group. Hepatic CAT, GSH-Px2 and GR mRNA levels were markedly enhanced in the three bio-compound groups compare to the HFD group.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were attenuated in the three bio-compound groups compared to the HFD group. HOMA-IR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QU, AP and MY groups compared to the HFD group. Plasma GLP-1, IFN-γ and MCP-1 levels in the QU, AP and MY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HFD group. The three bio-compounds decreased hepatic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and glucose-6-phosphatase activity compared to the HFD group. Hepatic GK mRNA level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the AP and MY groups compared to the HFD group, while hepatic IRS-1 mRNA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QU, AP and MY groups compared to the HFD group. Ⅲ. Effects of quercetin, apigenin and myricetin supplementation on biological processes based on Ingenuity Pathway Analysis (IPA) and DAVID functional annotation clustering analysis Ingenuity Pathway Analysis revealed the top scoring network targeted by the three bio-compounds consisted of genes related to carbohydrate metabolism, lipid metabolism, gastrointestinal disease and hematological disease. Also, the three bio-compound supplements increased the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insulin resistance related diseases. The DAVID function annotation clustering tool was used for gene ontology analysis. The biological processes among the up-regulated genes in response to bio-compound supplementation in diet-induced obese mice, were associated with oxidation reduction, lipid biosynthetic processes, glucose metabolism processes, the innate immune response and cholesterol transport. In conclusion, bio-compound supplementation with QU, AP or MY may improve plasma lipid profiles as a result of altered hepatic lipid metabolism. Also, QU, AP and MY maybe effective for attenuating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via lowering hepatic glucose output by increasing glucose utilization or decreasing gluconeogenesis. Accordingly, these results suggest QU, AP and MY supplementation may help prevent the development of hyperglycemia and hyperlipidemia caused by diet-induced obesity.

      • 치매 환자 가족 돌봄자의 돌봄 평가 연구

        조윤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caregiving appraisal(burden, satisfaction, mastery, demand, impact) of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dementia by identifying the their potential stressors and the efficacy of their coping efforts related to caregiving experiences.The sample consisted of 103 primary family caregivers recruited from two outpatient clinics at general hospital in Gyeonggi-province, Korea. The data was collected by the researcher between May and June in 2008.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Caregiving Appraisal Scale(K-RCAS) was used in this study and Cronbach's alpha, t-test, ANOVA, Duncan 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SPSS Win 12.0 program, were used for data analysis.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1. The mean score for K-RCAS for family caregivers was 72.43(±9.21), and the mean scores of 5 subscale were 'burden' (2.91±0.61), satisfaction (3.00±0.77), mastery (3.21±0.44), demand (2.40±0.80), and impact (2.70±0.84).2. The level of the burden of the 70-79 year-old family caregivers had the most score and the 20-29 year-old had the least score(F=3.272, P=0.006). The score of the satisfaction of the daughter who cared for the patient with dementia was the highest, the satisfaction of the son, the spouse, the son-in-law, the grand children were followed. The daughter-in-law's satisfaction had the least score(F=2.472, P=0.037). The scale of the satisfaction was th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amily caregiver of university graduates than in the family caregiver of high school or middle school graduates(F=3.177. P=0.027). The score of the burden(F=6.047, P=0.000) and the impact(F=3.265, P=0.015) of the family caregiver in bad health were th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good health. The level of the satisfaction(F=3.669, P=0.008) and the mastery(F=5.800, P=0.000) were higher in the family caregiver having good health condition than having a bad health condition.3. The burden(F=0.001, P=0.008) and the impact(F=2.318, P=0.026) of the family caregiver who residing with pati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residing apart from patient. The caregiver's deman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7-12 month, the duration of caregiving, than over 13 month or under 6 month. The burden scale of the caregiver with assistance from other family member or society was the higher score than without any assistance from others.4. The level of the burden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the mastery and correlation with the score of impact. The satisfaction score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astery score.This study shows that the demand of family caregiver who caring for a male patient for 7-12 month, and the satisfaction of the daughter who caring for a female patient were significantly high. In addition, the burden of the caregiver who living with 70-79 year-old patient with assistance from other source was high.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to decrease the burden from potential stressors and to strengthen the mastery and the satisfaction. 본 연구는 DSM-IV Criteria에 의해 치매로 진단받은 치매 환자를 가정에서 돌보는 가족 돌봄자의 돌봄 평가(부담감, 만족감, 숙련감, 요구감, 영향감)를 파악하여 그들의 상태에 필요한 간호중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도에 소재한 노인 전문병원과 대학부속병원에서 치매로 진단받고 외래치료를 받으며 집에서 돌봄을 받고 있는 환자의 가족 돌봄자 103명이며, 2008년 5월부터 2008년 6월까지를 자료수집기간으로 하여 설문조사하였다. 돌봄 평가를 측정하기 위해 Lawton et al.(2000)가 개발하고 개정한 Revised Caregiver Appraisal Scale(RCAS)를 Lee et al.(2007)이 번안한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Caregiving Appraisal Scale(K-RCAS)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 program을 이용하여 서술 통계,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를 통해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 돌봄자의 돌봄 평가는 총점 135점 만점에 평균 72.43(±9.21)으로 나타났으며, 돌봄 평가의 하부항목은 가능한 점수 범위 1-5점 사이에서 부담감은 평균 2.91(±0.61)점, 만족감은 평균 3.00(±0.77)점, 숙련감은 평균 3.21(±0.44)점, 요구감은 2.40(±0.80)점, 영향감은 2.70(±0.84)점 이었다.2) 가족 돌봄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가족 돌봄자의 돌봄 평가를 살펴보면, 부담감은 가족 돌봄자의 연령이 70-79세인 경우(F=3.272, P=0.006), 건강상태가 나쁜 경우(매우 나쁘다, 나쁜 편이다)(F=6.047, P=0.000)에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만족감은 가족 돌봄자가 돌보는 치매 환자가 여자일 경우(F=2.532, P=0.024), 환자와의 관계가 딸일 경우(F=2.472, P=0.037), 학력이 대졸 이상(F=3.177, P=0.027),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F=3.669, P=0.008)에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숙련감은 가족 돌봄자가 돌보는 치매 환자의 연령이 낮을수록(F=2.996, P=0.034),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F=5.800, P=0.000)에 높았고, 요구감은 가족 돌봄자가 돌보는 치매 환자가 남자일 경우(F=1.787, P=0.031), 돌본 기간이 7-12개월인 경우(F=2.870, P=0.040)에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영향감은 가족 돌봄자의 건강상태가 나쁠수록(F=3.265, P=0.015), 환자와 현재 동거하는 경우(F=2.318, P=0.026)에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3) 치매 환자와 가족 돌봄자의 돌봄 환경에 따른 가족 돌봄자의 돌봄 평가의 차이를 살펴보면, 부담감은 현재 동거하는 경우(F=0.001, P=0.008), 정기적으로 도움을 받고 있는 경우(F=0.140, P=0.008)에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영향감은 가족 돌봄자의 건강상태가 나쁠수록(F=3.265, P=0.015), 환자와 현재 동거하는 경우(F=2.318, P=0.026)에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4)가족 돌봄자의 돌봄 평가에 항목 중에서, 부담감은 영향감(γ=0.661, P<.01)과, 숙련감은 만족감(γ=0.571, P<.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담감은 숙련감(γ=-0.246, P<.05)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본 연구는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 돌봄자의 일반적 특성과 돌봄 환경에 따른 가족 돌봄자의 부담감, 만족감, 숙련감, 요구감, 영향감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 돌봄자의 스트레스원과 적응력의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가족 돌봄자의 잠재적인 스트레스원인 부담감은 완화시켜줄 수 있고, 적응노력인 만족감과 숙련감은 강화시켜줄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족 돌봄자의 특성에 따라 가족 돌봄자가 느끼는 부담감, 만족감, 숙련감, 요구감, 영향감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남자환자를 돌보며 돌본 기간이 7-12개월인 가족 돌봄자의 요구감이 가장 높고, 여성 환자를 돌보며 관계가 딸인 가족 돌봄자의 만족감이 가장 높으며, 연령이 70-79세이고 현재 동거하고 있으며 정기적인 도움을 받는 가족 돌봄자의 부담감이 높으므로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방안을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 전문대학 비서영어교재에 관한 교수자와 학습자 요구분석

        조윤영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생존 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21 세기가 요구하는 사무전문가로서의 비서직 위상 확립을 위해 다른 어떤 역할이나 역량보다 요구되는 것이 바로 영어 능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비서 영어 교육의 특정 영역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고 연구의 대상도 제한적인 경우가 많으며, 특히 비서 영어 교육의 주체가 되는 학습자나 교수자의 관점 및 요구는 고려되지 않고 있다. 영어 교재는 교수자와 학습자가 영어 과목을 강의하고 학습하는데 있어 가장 핵심적인 수단이기 때문에 현재 실시되고 있는 비서 영어 교과과정 안에서 사용되는 비서 영어교재에 관해 교재 수요자, 즉 학습자와 교수자의 의견이나 요구를 알아보는 연구의 필요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서 교육의 비중 면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전문대학 영어 교과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영어 교과에 사용되고 있는 비서 영어교재에 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향후 효과적인 비서영어교재의 선택과 개발에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 비서영어교재에 관하여 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만족과 불만족에 관련된 변인을 파악하고 교수집단을 대상으로 비서영어교재 선택기준을 파악한다. 둘째, 전문대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비서영어교재의 구성 측면에 관하여 학습자와 교수자의 요구를 파악한다. 셋째, 교재 만족, 불만족 변인 및 교재 내용 및 구성 측면 요구에 관해, 학생의 학년별 집단, 교수-학생 집단, 영어 학습 성향에 따라 구분한 집단의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본다.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질적조사와 양적조사 방법을 병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질적 조사로서, 학생 101명, 교수 7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 위주의 사전 조사를 실시하여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응답내용의 내용 분석을 통해 비서영어교육 상황에 알맞은 조사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양적 조사로서의 본조사에서는, 사전 조사 결과와 문헌 연구를 기초로 구조화된 설문 문항을 개발하여, 학생 424명, 교구 17명을 대상으로 교재 만족과 불만족에 관련된 변인과 교재 내용 및 구성 측면에 관한 요구를 조사하였다. 사전조사 분석 결과, 영어교재의 중요성에 비해 현 교재에 대한 만족도가 현저히 낮음으로써 본 연구의 필요성이 입증되었으며, 응답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함으로써 조사 대상 환경에 알맞은 측정 도구 개발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측정 도구를 가지고 실시한 본 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밝혀진 주요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재 만족 불만족과 관련된 변인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영어 원서에 대해 높은 호감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해석이 없거나 설명이 부족한 점에 대해서는 강한 불만을 나타내는 등 복합적이고 다양한 요구 내용을 보이고 있었다. 교수의 교재 선택 기준으로는, 비서 실무 적용이 가능하고 전공이 강조되는 점이 최우선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수준에 맞는 난이도는 교수들에 의해 가장 강조된 사항 중 하나이지만, 학생들은 교재 자체의 난이도 보다는 흥미로운 주제나 학습 활동 등을 통해, 그리고 부연되는 해석과 설명, 요점이나 단어 정리 등으로 난이도 측면이 보완되기를 바라고 있기 때문에 무조건 쉬운 교재로 접근하는 것 보다는 난이도의 높고 낮음을 조절하면서 중간에 충분한 해석이나 설명, 흥미로운 학습활동 등을 보충해주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학생의 만족 불만족 순위에서 최상위를 차지하고 있는 변인들이 교수의 교재 선택 기준에서는 가장 고려되지 않는 변인이 되고 있었다. 이는 학생들의 교재에 대한 낮은 만족도를 설명해 주는 것으로 앞으로 교수자가 비서영어교재를 선택함에 있어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점이라 하겠다. 둘째, 교재 내용 및 구성 측면 요구를 분석한 결과, 주제 및 소재와 관련하여 학생들이 가장 원하는 것은 외국인 대면 상황이었는데 이는 기존 교재의 단편적이고 추상적인 내용에서 벗어나 외국인과 직접 접촉하는 여러 상황에서 다양하게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표현을 포함하는 주제를 원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비서 전공과 관련된 내용이 대다수 포함되어 있었고, 스포츠나 연예, 방송 등 일반적으로 흥미를 가질 만한 주제는 모두 하위에 위치하고 있어 비서영어교재가 ESP 유형으로 개발되어야 함을 확인해주고 있다. 교수들은 비서 실무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전화 응대와 손님 응대 관련 주제를 가장 원하고 있었다. 교수-학생 집단 모두 비서 전공과 관련된 주제 및 소재를 선호하고 있으나, 교수 집단이 전형적인 비서 직무 관련 주제에 국한되어 있다면, 학생 집단은 비서 전공 영역 안에서 좀 더 다양하고 참신한 주제가 추가되기를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활동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가장 원하는 것은 그림, 테이프, 비디오 등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학습과 팝송으로 공부하는 활동이었다. 영어로만 진행되는 수업에는 아직 강한 거부감을 보였으나 무조건 암기식이나 전체 그룹 활동과 같은 구 시대적 학습 활동에 대한 요구는 매우 낮았다. 한편, 교수들이 가장 원하는 학습 활동은 실무에서 쓰이는 대화를 질문하고 답하기 형식으로 연습해 보는 활동이고, 요구가 가장 낮은 항목은 팝송으로 공부하기였다. 팝송으로 공부하기는 학생 집단에서 가장 요구가 높았던 항목 중 하나로, 이러한 결과는 학생과 교수 사이의 중대한 의견 차이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편집 및 디자인과 실용적 측면에 관련된 항목들에 대해서는 응답자 집단이 전체적으로 높은 요구를 보였고 순위의 변동만 있을 뿐 집단 간 차이도 거의 드러나지 않았다. 셋째,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구분한 학생의 학년별 집단과 교수-학생 집단 사이에서는 여러 영역에서 의견 차가 매우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교수-학생 집단 간 차이는 학생 집단 내의 학년 별 집단과 비교했을 때, 차이가 나는 항목의 수나 차이의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서영어교재 선택 시 학년과 같은 집단 특성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교재 학습 대상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가 매우 중요함을 확인해주는 결과이다. 또한 교수-학생 집단 간 차이는 교재를 선택하는 집단과 선택된 교재를 학습하는 집단간의 차이가 극명하다는 사실을 나타냄으로써 앞으로의 비서영어교재 개발과 선택에 있어 적절하게 절충되어야 할 문제인 것으로 보인다. 영어 학습 성향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영어 학습 성향은 특정 변인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한 순위에는 포함되지 않았거나 높은 불만족과 낮은 요구 정도를 보인 변인이지만 바람직한 영어 학습 성향에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특정 변인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어교재 선택 및 개발 시, 순위에 포함된 항목 뿐 아니라 바람직한 학습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까지 고려함으로써 학생 집단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한다면 매우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비서영어교재 대한 학생들의 요구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을 띠고 있어 몇 가지 항목으로 일반화 시키기 어려운 실정이었으며 교수 집단과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개인 특성이나 성향에 따라 요구의 내용은 더욱 세분화되고 복잡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서는 교수자나 교재 개발자들의 시기적절하고 세심한 주의와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대상 집단의 특성에 따라 요구의 차이가 두드러진 점으로 보아, 수요 대상의 특성에 대한 신중하고 철저한 분석을 바탕으로 선택된 교재가 교수와 학습의 성과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 비서 영어교재의 실제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사전에 질적연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제작된 조사 도구를 통해 본 조사를 실시한 단계적 연구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전문대학의 교육 목표와 교수자, 학습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효과적인 영어 교재를 선택하고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이면서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그리고 비서영어교재 뿐 아니라 비서영어교육의 다양한 영역에 폭 넓게 적용 가능하며, 학습자 중심 교육을 지향하는 교과 과정이나 교수법 개발에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요구 분석 항목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 수정 보완될 필요가 있는 본 연구의 한계점은 연구 대상과 관련하여, 학생 표본에 비해 교수 표본 비율이 현저히 낮았다는 것과 응답자와 교재와의 매치가 모호한 점, 영어 교과의 세부적인 목표나 교재의 종류에 따른 차이가 고려되지 않은 점, 1학년 학생들의 경우, 비서 영어 교육 수혜 기간이 조사 기간을 기준으로 볼 때 비교적 짧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에서 특정 비서영어교재로 학습을 하고 사회에서 비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졸업생의 의견까지 반영할 수 있다면 매우 통합적이며 깊이 있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Communication skills in English have been most desired qualification for the professional secretaries in the times when English is regarded as a survival strategy. In this respect, in- depth and focused researches for English education in college secretarial curriculum need to be conducted actively. For most students and instructors in EFL context like Korea, English textbook is the main source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even in college-level education. Needs and demands, therefore, from learners and teachers currently using the textbook must be considered very high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sirable way toward the selection and development of English textbook for college secretarial curriculum by analyzing the needs of the students and instructors on the English textbook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wo different research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used in order to make a pertinent research tool suitable for the context in secretarial English education in college by reflecting various opinions from the informants. For the qualitative study, 101 students and 7 professors were chosen for open questionnaire. In the second stage, the quantitative research was done through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from the result of the first stage and literature review. For this stage, 424 students and 17 professors responded to a survey about the degree of their satisfaction and their needs on secretarial English textbook. By analyzing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variables related with the degree of the satisfaction on textbooks, students generally showed a strong dissatisfaction toward the lack of the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in spite of their good opinions on the original works of English education. For professionals, they regarded the practicality as a higher priority than anything else when choosing textbooks. Second, the situation of facing foreigners in the real world was most desirable among students related with the subject in textbooks showing that they strongly want subjects related with the practical expressions used in the real coimmunication with the real foreigners. Many topics related with the major were ranked higher than general topics such as sports, or entertainment suggesting that secretarial English textbook should be developed in ESP model. Among professors, telephone and guest controlling closely related to the practical uses for secretaries were the most desired topics. Although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want the topics close to the major, professors are differentiated by showing that they want more traditional topics on the real practices of secretaries from students who want to add more various and fresher themes in the textbook. Third, related with the classroom activities, the activities with the visual materials like pictures, tapes and videos and with pop songs were the most wanted among students. Although they showed the negative opinions about the English-only classes, but they also showed dissatisfaction with the conventional way of learning English such as memorizing and whole group activities. The most desirable activity among professors is practicing conversation used in the real business practice by questioning and answering and the least desirable activity is teaching with pop songs. On the other hand, study with pop songs was one of the most desirable among students showing that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opinion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About the focus on layout, design and practicality, all the items showed strong demand and the differences among study groups were almost ignored. Fourth, the opinion differences between the each grade group of students and the professor- student group appeared very obviously in various areas. Compared with each grade group in the student group, the differences between professor-student groups are much more noticeable. This result shows that group characters must be consider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especially in professor-student group must be compromised adequately in developing and choosing future secretarial English textbooks. The requirements of students assume very complicated and various aspects. Specifically, it appeared that the contents of requirement got more detailed and complicated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r preference. Therefore, more attention needs to be put to find out their needs in timely and sensible way, and the textbooks reflected those needs after thorough analysis will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arid learning process. On this research, the qualitative study was done on the purpose of grasping the reality of the context in secretarial English education in college, and based on the systematic way with the research tools developed from the study result, the very essential and practical data which meet the demands of the goal of education, professors, and students could be provided. This research could be applied to various areas of not only the English textbook selection and development for secretaries but also secretarial English education. Needs analysis item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very useful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secretarial English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teaching method toward learner-centered education. Related with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hich are considered to be complemented on the later study, first, the number of sample professors was much lower compared with the number of sample students, second, the match between respondents and texts was not clear, third, the period of English education for the first grade students was considered to be short whe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inally, the study result with synthesis could be gained if the opinions of students who graduated and are working at the present as professional secretaries were reflected on the following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