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당통의 죽음 Dantons Tod』에 나타난 Georg Büchner의 이상주의적 세계관 비판

        박연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작가 뷔히너가 살았던 19세기는 위기의식과 불안감으로 가득찬 과도기였다. 작가임과 동시에 자연과학자로서, 사회운동가로서, 이른바 행동하는 지식인이었던 그는 철학의 영역에서 당시 정점을 이루고 있었던 이상주의에 대해 회의한다. 당시 이상주의의 근본을 이루던 ‘인간이 세계와 역사와 미래의 주체이고, 인간 스스로의 능력과 노력으로 유토피아적 이상세계를 창조해낼 수 있다는 믿음’은 작가 뷔히너에게는 ‘조작된’이야기일 뿐이었다. 본고에서는 뷔히너의 이상주의 비판에 주목한다. 주인공 당통과 그의 적대자 로베스삐에르, 그리고 또 다른 인물들을 통해 작가 뷔히너가 이상주의가 그려내는 형상들과는 대조적인, 그가 본 현실의 인간과 세계를 어떻게 사실적으로 그려내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당통의 죽음 에서는 이 작품이 혁명을 소재로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혁명 이데올로기의 문제, 거창한 정치적 이념이나 선과 악의 대립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작가는 등장인물들에 대한 어떤 판단이나 비판 혹은 저주, 찬양을 결코 하지 않는다. 파편적으로 흩어져 있는 에피소드들이 나열되어 있을 따름이지만 개별적 인간들의 심리묘사는 너무나 구체적이며 적나라 하다. 우선 주인공 당통의 적대자 로베스삐에르는 미래로 열려 있는 진보적 시간관을 가진 인물로서 등장한다. 작품의 표면상에서는 결코 퇴보하지 않으며 인간의 ‘이성’에 대해 무한한 신뢰를 보이는 그는 이상주의적 인물의 형상과 일치한다. 하지만 결정적으로 그 역시 순환하는 혁명의 법칙에 의해, 역사의 흐름속으로 사라질것임이 드러난다. 결국 그 역시 당통과 다를 바 없는 한낱 나약한 개인의 모습을 체현하고 있을 뿐인 것이다. 뷔히너는 그의 반이상주의적 사고를 당통에게 투영시킨다. 흘러가는 시간, 역사속의 개인의 무기력함을 인식한 당통은 개인의 시간뿐만 아니라 사회의 운영원리, 혁명의 흐름, 더 나아가 전 인류의 역사의 진행 모두를 순환하는 것으로 인식해버린다. 또한 그는 자신의 ‘개인적 체험의 시간’과 ‘역사적 시간’ 을 구분하면서 이 객관적, 역사적 시간에 의해 자신의 시간이 지배당하고 쫓기는 것을 체험한다. 당통과 로베스삐에르, 이 두인물 모두 미지에 힘에 의해 조종당하는 꼭두각시와 같은 개인의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는것 역시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자기의 인생과 세계를 제어하고 지배하는, 세계의 주인이어야 하는 이상주의적 인물과는 완전히 대비되는 반 이상주의적 인물로써 이 두 인물이 그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역사앞의 인간의 무기력함과 거대한 힘에 의해 수동적일 수 밖에 없는 인간의 본모습을 인식한 당통은 결국 권태의 감정으로 빠져들고 이를 쾌락이라는 감정으로 전이시킨다. 이러한 ‘본성’에 치중한 당통의 삶에서 역시 그가 근대 이상주의의 키워드 ‘이성’과는 대비되는 반이상주의적 인물로 나타나는것을 알 수 있음과 동시에, 현실을 미화시키는 이상주의자들에 대하여 적나라한 인간의 삶을 그려내는 작가의 의도를 발견 할 수 있다. 당시의 혼란스러웠던 시대 분위기와 나아지지 않는 빈곤한 민중들의 삶, 그리고 뷔히너 자신의 정치적 활동의 실패는 뷔히너에게 있어서 그것이 곧 지금의 ‘현실’이었고 ‘실제’였다. 이상주의자들은 그가 봤을때 이를 간과하거나 알지 못한 채 허구적 형상만을 그려낼 뿐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당통의 죽음에 나타난 등장인물들의 모습, 즉 뷔히너가 절망에 빠진, 허무주의적 주인공을 그리고 있는 것에 대해서 그를 단지 염세가라고 평가하기 보다는 그가 자신의 시대의 현실반영을 의도한 결과로써, 그를 철저한 리얼리스트로 평가하는 것이 더 옳을 것이다.

      • EV sharing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사용자 패턴분석을 활용하여

        박연정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유경제 의미로서 Car Sharing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가 일반 Car Sharing을 위주로 한 연구였으며, EV Sharing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유경제, Car Sharing, EV(Electric Vehicle) 등의 기존 문헌고찰을 통하여 EV Sharing의 현황을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향후 EV Sharing의 보급 및 확산을 위하여 실제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회원들의 이용패턴을 분석하여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패턴분석 결과,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이용률을 보였으며연령별로는 젊은 층이 중장년층에 비해 이용률이 높았다. 또한 시간대별로 보았을 때 젊은 층은 야간에, 중장년층은 주간에 이용률이 높았고, 지역에 따른 이용시간별 이용건수는 전체의 38%가 2시간 미만으로 젊은 층의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역세권에 위치해 있었다. 연령대별 주행거리는 20대와 30대에 비해 40대의 주중 평균 주행거리가 주말보다 높았고, 이들의 직업군을 분석해 보니 대부분 회사원과 자영업 종사자로써 업무용 장거리 이용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점별로는 주거 밀집 지역이나 역 주변의 상위거점 지역이, 대중교통 연계성이 낮은 하위거점 지역에 비해 이용률이 높았다. 회원 수 대비 이용률 분석결과는 가입 회원 중 실제 이용자 수가 1/3 밖에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예약과 사용이 편리하다는 점과, Second Car로 활용 또는 대중교통이 불편하거나 단시간 차량이 필요할 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 만족도가 크게 나타났다. 반면 일반차에 비해 전기차의 주행거리가 짧은 이유로, 충전인프라 부족과 긴 충전시간은 불만 요소로 나타났다. EV Sharing 활성화를 위한 개선점 조사에서는 ‘편도서비스’ 제도가 도입되어야 하며, ‘차량의 청결상태 유지’ 등도 Sharing 이용에 중요한 요소로 파악되었다. 전기차 보급의 정책 현황을 분석해 본 결과, 정부의 보조금 지원정책에 의존하고 있는 선도 사업 중심의 전기차 보급이 특정 지역에 집중됨으로써 해당 지역에서 보급에 차질을 빚으면 그 여파가 전체 전기차 보급 계획에 여파를 미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또한 아직 전기차 시장이 확대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환경부가 4월 11일부터 시행하고 있는 급속충전요금 유료화도 지자체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전기차 보급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정부의 공격적인 전기차 보급 목표와는 상반되는 전기차 구매 보조금 축소와, 정부가 구축한 전국의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의 충전인프라 시설의 일반인 사용이 관리상의 이유로 제한되고 있는 것 또한 전기차의 민간 보급과 이용을 가로막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EV Sharing 이용자의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였다는 점과, 각 패턴별 분석결과에 대하여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편 한 개의 기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과 패턴분석을 위한 적은 모수집단으로 인하여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이 부족하다는 점은 본 연구의 한계로 남아 있다. Despite numerous research studies on “Car Sharing” in the concept of “Sharing Economy,” the majority of research has centered on the concept in the general sense. Hence, the research on EV sharing itself is lacking. This study, through a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on Sharing Economy, Car Sharing, EV(Electric Vehicle), among others, intends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us of EV Sharing and further propose ways to promote its dissemination as well as expansion by means of analyzing the client user patterns of EV Sharing subscribers. Pattern analysis has shown that men have a higher usage rate than women, and that the younger generation show higher use than the middle to senior generations. In terms of the usage time periods, the younger generation show a higher rate in the nighttime, while the middle to senior generations use EV Sharing mostly during the daytime. In terms of location, 38% of the total showed to be below 2 hours according to location-based usage times, and this was found to be located in subway-centered areas where much of the younger floating populations are found. In terms of age groups, drivers in their 20s and 30s displayed a higher weekday average mileage than drivers in their 40s. A closer look into the drivers’ occupation showed that the majority were employees with an office job and self-employed businessmen and showed higher use intended for work-related purposes. In terms of key location points, dense residential areas or dominant key locations near transportation stops had higher usage than lower ranked location points where public transportation connectivity is low. When viewing the number of clients, the actual usage rate turned out to be a 1/3 of the total number of subscribers to EV Sharing. Further results showed that users found it more convenient to reserve and use EVs online as well as through their mobile device and that user satisfaction was high for reasons including: the need of a second car, during times when public transportation was inconvenient or when a vehicle was needed for a short period. On the other hand, users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EV Sharing in terms of short mileage hours in comparison to the traditional vehicle, and were unsatisfied with the lack of sufficient EV charging infrastructure in addition to the long EV-charging hours required. It was concluded that a “One-way Service” system must be introduced and that “maintaining the cleanliness of the EV car” was a key factor for the vitalization of EV Sharing. Upon analysis of the present status of policies on EV dissemination, it was found that as EV cars were promoted as lead industries through government-subsidized support policies, they were centered in certain regions and hence, should any problems arise in the said region, it would have repercussions for the entire dissemination plan for EVs. Furthermore, at a point when the EV car market has not fully expanded into the entire countr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s April 11th enforcement of fees for fast-charging EVs is acting as a hindrance to local government-centered efforts for EV expansion. Reduction of government purchase subsidies, combined with limitations to the general public’s use (for maintenance reasons) of local government-owned as well as public institutions’ EV charging infrastructure built by the government, which are contrary to the government’s aggressive goals for EV dissemination all serve as obstacles to the civilian dissemination and use of EV car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view of its analysis of actual user data of EV Sharing clients and in terms of its proposal of detailed measures in response to each pattern-based analyzed result. Nevertheless, limitations to the study exist in view of the analysis being subject to a single EV Sharing company and the resulting small scale parameter group for pattern analysis, thus enabling a generalization more unlikely.

      • 한국무용참여가 노인여성의 웰빙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연정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무용참여가 노인여성의 웰빙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구명함으로서 한국무용이 여가 활동의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현재 부산지역 사회복지관 및 노인대학 등에서 한국무용에 참여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여성 23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여성의 배경변인에 따른 웰빙과 삶의 질의 차이에 있어 웰빙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연령, 학력, 생활수준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삶의 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한국무용참여가 노인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여성의 한국무용 참여에 따른 웰빙인식과 삶의 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한국무용 참여기간, 참여빈도, 참여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한국무용참여가 노인여성의 웰빙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볼 때 노인여성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나라 노인여성의 정서에 알맞은 한국무용의 참여가 평생교육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사료된다. 또한, 노인여성의 한국무용참여에 따른 웰빙과 삶의 질의 차이에 있어서 한국무용에 참여한 경력이 길수록 웰빙에 대한 효과와 삶의 질의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미루어본다면 노인여성의 한국무용 참여는 총체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노인여성들이 한국무용 참여를 통하여 정신적․신체적․사회적인 웰빙 효과를 얻게 되고, 이러한 생활이 인간의 삶을 변화시켜 삶의 질과 만족감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되며 이것이 바로 웰빙의 가장 큰 결과물이라 사료된다.

      •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따른 과제중심 학습방법이 웹을 활용한 정보탐색 결과에 미치는 영향

        박연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격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을 통한 지식기반 사회의 도래는 사회, 경제, 문화, 법, 제도 등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서 다양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래의 학습자 군은 끊임없이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고 활용하여, 무수히 많은 정보 가운데서 자신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올바르게 판단하고, 이를 지식창조의 기반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하는 정보탐색능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정보탐색능력은 탐색 기법을 안다고 획득할 수 있는 능력이 아니며, 수 많은 정보 속에서 정보를 비판적으로 선별하고, 수집된 정보를 종합하여 자신의 정보 문제를 해결하는데 활용·평가할 수 있는 능력인 정보 리터러시(Information Literacy)가 가장 기본적이다. 따라서 학습자의 정보탐색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적절한 학습방법의 모색으로서, Eeisenberg와 Berkowits(1992)가 제안한 'Big 6 모델'을 바탕으로 과제중심 학습방법을 설계하고 실제 적용해 보는 것은 현재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교육과 활용교육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과제중심 학습방법은 1980 년대 중반 이후 외국어 교육 분야의 연구자들에 의하여 연구·적용되어온 학습방법으로 문법 및 문형을 중심으로 언어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일정한 과제를 학습자에게 제시하고 학습자가 그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의사소통을 하도록 유도하는 학습방법이다. 이러한 과제중심 학습방법이 가지고 있는 특징은 구성주의 학습이론에서 강조하고 있는 '실제적인 과제(authentic task)의 해결', '다양한 학습상황', '통합 교과적인 문제의 해결', '학습자의 독립적 과제 수행' 등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7 차 교육과정에서 제안하고 있는 교육방법인 '학습자 중심 탐구활동 및 자기주도적 학습'에도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정보탐색능력은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상황을 조절하고 관리하며 자율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하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필요로 하고 있는데, 지금까지의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 관련 연구들은 자기조절 학습전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자기조절학습전략과 모형의 개발, 자기 조절학습의 동기적 요소 및 학습환경에 관한 연구 등이 꾸준히 있어 왔으나, 자기조절학습을 학습자의 학습 능력으로 보고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정보탐색 능력의 관련성에 관해 탐구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자의 인지적 정서적 특성 변인에 해당하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정보탐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 정보탐색 학습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과제중심 학습방법과 그에 대비되는 기법중심 학습방법이 정보탐색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 세부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웹을 활용한 정보탐색 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은 정보탐색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 웹을 활용한 정보탐색 학습에서, 학습방법(과제중심 학습방법과 기법 중심 학습방법)은 정보탐색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3. 웹을 활용한 정보탐색 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능력 수준과 학습방법의 차이는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K 초등학교 5 학년 2개 학급의 학생 79 명을 최종 실험대상자로 사용하였고, 각각 과제중심 학습 방법과 기법중심 학습방법을 적용하여 개발한 "인터넷, 정보의 바다 여행하기" 정보탐색수업을 한 달간 총 5 차시에 걸쳐 실시 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컴퓨터와 인터넷 사용경험 설문 조사와 정보 문해 능력 검사, 그리고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를 사전에 실시한 후, 과제중심 및 기법중심 학습방법의 정보탐색 학습을 실시한 다음 마지막으로 정보탐색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정보 탐색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문제에 대한 자료 처리 및 결과 분석을 위해서는 두 독립표본 t-검정 및 공변량분석(analysis of covariance : ANCOVA) 그리고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이 정보탐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정보탐색능력 결과는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이 높은 집단(평균=20.06, 표준편차=8.62)이 낮은 집단(평균=14.68, 표준편차=9.40)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t=-2.37, p<.05). 더불어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3 가지 하위 구성 요소인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과 정보탐색능력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인지조절에서는 인지전략의 사용(r=0.40), 동기조절에서는 자아효능감(r=0.40)이 높은 관련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행동조절 중에서 도움 구하기 (r=0.43)가 전체 하위 변인 중 가장 높은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정보탐색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 중 인지전략의 사용, 자아효능감, 도움 구하기는 정보탐색능력과 좀더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웹을 활용한 정보탐색 학습에서 학습방법(과제중심 학습방법과 기법 중심 학습방법)이 정보탐색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과제중심 학습방법을 적용한 학습 집단(평균=19.80, 표준편차=9.13)이 기법중심 학습방법을 적용한 학습 집단(평균= 12.35, 표준편차=7.89)보다 정보탐색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t=3.86, p<.01).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보탐색 학습에 있어서 실제성(authenticity) 높은 과제의 제시가 중요하며, 학습자 스스로 과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에서 정보탐색의 기법을 학습하도록 하는 과제중심 학습방법이 학습자의 정보탐색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능력과 학습방법이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런 연구 결과는 기법중심 학습방법을 적용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낮은 학생의 경우 매우 낮은 정보탐색능력을 보였기 때문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상관없이 과제 중심학습방법이 정보탐색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결론적으로, 7 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과제중심 학습방법은 학습과제의 실제성을 요구하는 것으로 정보탐색능력을 요하는 학습에서는 기법 중심 학습방법보다 과제중심 학습방법이 좀더 효과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과제중심 학습방법과 같은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바탕으로 한 학습방법은 실제 학교 현장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는 지적이 일고 있지만, 사실상 학습자의 주도성을 요구하는 학습에서는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바탕으로 한 학습방법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과제중심 학습방법을 설계하고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전통적인 학습방법을 설계하고 적용 하는 것보다 더 많은 교사의 준비와 학습환경이 필요하다. 아울러 정보탐색능력은 다른 여러 변인 즉, 컴퓨터/인터넷 사용 능력, 정보 문해 능력, 학업성취도와도 밀접한 관련성이 있고, 이 중 학업성취도는 정보 탐색능력과 비교적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는데(r=0.50), 이는 정보탐색능력이 단순히 탐색기법을 알고 있다고 해서 향상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기존에 가지고 있는 지식이 기반 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advent of knowledge based society as a result of rapi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is demanding a sweeping change of all our social fabric ranging from society, economy, culture, legal system and institutions. To keep up with this changing time future learners must possess information seeking ability, which enables them to distinguish necessary information from various information correctly and build their own creativeness based on such information. Plus, learners must acquire new knowledge incessantly to use it to their own best interest. However, information seeking ability takes more than searching skill. Information literacy, an ability to screen out useless information constructively and gather all the valuable information to implement and evaluate solution on one's own information problem, is a prerequisite for information seeking ability. In that respect designing and actual application of task based learning using Eisenberg and Berkowits 'Big 6 Model'(1992) in search far an appropriate learning method to develop learner's information seeking ability is especially meaningful at a time ICT training is actively in progress. Task based learning, a learning method that have been studied and applied by second language education researchers since mid 1980s, is aimed at not only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language mainly based on grammar and sentence pattern, but also leading learners to communicate with the task entrusted to them. This method can be characterized as 'solution of authentic task', 'various learning situations', 'integrated textbook based solution' and 'learner's undertaking of tasks by himself' that are underscored in constructivism. Information seeking ability requires self·regulated learning that enables a learner to self-regulate and self-manage learning situation and participates in learning activities whenever he wants. Until now, most of the studies on self-regulated learning have been on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on learning achievement, develop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model, and on motivated ele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environment. As self-regulated learning has rarely been seen as learner's learning ability, studies on a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information seeking ability are hard to come by.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checking the impact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hich is equivalent to learner's cognitive and emotional variation, on information seeking ability, and the effect of task based learning and its opposing skill based learning on information seeking ability. The detail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What impact will the level of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have on information seeking as for web based information seeking learning? 2. For web-based information seeking learning, how does task based learning affect information seeking? 3. For web-based information seeking learning, is there any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level and different learning method? To get the answers to the above questions, 79 fifth-graders from K Elementary School are surveyed and they were subject to 5 times of information seeking lesson named "Surfing of information trove, the Internet", which is developed by applying task based learning method and skill based learning method. The procedure of this study is; firstl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identify Internet and computer users so as to get information literacy measurement, secondly, information seeking learning using task based / skill based learning method was performed after checki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astly information seeking evaluation was pursued to measure information seeking ability.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and correlation analysis to handle relevant documents and analyzed the resul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shown below; First, experiment far the impact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level on information seeking capability shows that the group with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M=20.06, SD=8.62) instead of a group with lower ability(M=14.68, SD=9.40) has more impact(t=-2.37, p<.05). Second, experiment for the impact of (task based learning and skill based learning) method on information seeking ability for web based information search learning revealed that task based learning group(M=19.80, SD=9.13) displayed higher information seeking ability than skill based learning group(M=12.35, SD=7.89)(t=3.86, p<.01). This outcome should be able to show task of authenticity for information seeking learning, a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task based learning method (a method to allow a learner to solve the task by himself and learn information seeking skill during the process) helps improving information seeking ability. Third, as for an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different learning method, no significant interaction is found. This result is due to the fact that a student with low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ho is applied with skill based learning method has extremely poor information seeking capability and it indicates that task based learning ability is more effective than skill based approach in raising information seeking ability regardles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conclusion, task based learning method is much more useful than skill based learning method in the learning experience requiring information seeking ability. It is said that learning method based on constructivism learning theory, such as task based learning method is not applicable to the all kinds of subject but constructive learning method is more effective in learning tasks requiring learner's self-direction. Furthermore, teachers need more preparation and much suitable learning environment so that they apply task based learning approach in an effective manner.

      • 무용학원 선택 동기 및 서비스 기대가 이용만족과 재등록 의사에 미치는 영향

        박연정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son for choice of the dance academy by members and students' parents using it and their expectation of service towards the dance academy, and their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enroll and clearly identify and analyze their causal relationship. To test the effect on use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to reenroll of the reason for choice of the dance academy by its members and students' parents and their service expectation toward the dance academy and the effect of use satisfaction on the intention to reenroll,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483 members and students' parents of the dance academy located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perceived service quality, reason for choice,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enroll among members and students' parents enrolled in the dance academy.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ason for choice, service expectation,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enroll among members and students' parents enrolled in the dance academy according to areas and subject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actors such as reliability, speciality, differentiation and empathy in relation to the difference in service quality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a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mpathy factor according to areas divided into Seoul and Kyonggi Province.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actors according to the subjects divided into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and students' parent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interaction among the difference in expected satisfaction, the subject and all the factors related to service quality. Third, it was found that in relation to the reason for choice, recogni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rvice expectation in the dance academy located in Seoul, and a good im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rvice expectation in the dance academy located in Kyonggi Province. And it was found that recogni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se satisfaction in the dance academy located in Seoul and good impression and recogni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se satisfaction in the dance academy located in Kyonggi Province. And it was found that good impression and recogni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enroll in the dance academy located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Fourth, it was found that in relation to service expectation, differentiation and empath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use satisfaction in the dance academy located in Seoul, and differentiation, empathy and speci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se satisfaction in the dance academy located in Kyonggi Province. And it was found that empathy, differentiation and reli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enroll in the dance academy located in Seoul and reli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enroll in the dance academy located in Kyonggi Province. Fifth, it was found that facility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se satisfaction in the dance academy located in Seoul, and both facility satisfaction and us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enroll in the dance academy located in Kyonggi Province.

      • 소리 탐색활동에 기초한 음악경험이 만 2세반 영아의 음악 적성 및 음악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박연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소리 탐색활동에 기초한 음악경험이 만 2세반 영아의 음악 적성과 음악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소리 탐색활동에 기초한 음악경험 여부에 따라 만 2세반 영아의 음악 적성에 차이가 있는가? 1-1. 소리 탐색활동에 기초한 음악경험 여부에 따라 만 2세반 영아의 리듬 발달에 차이가 있는가? 1-2. 소리 탐색활동에 기초한 음악경험 여부에 따라 만 2세반 영아의 음정 발달에 차이가 있는가? 2. 소리 탐색활동에 기초한 음악경험 여부에 따라 만 2세반 영아의 음악적 성향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양천구에 위치하고 있는 Y 어린이집 만 2세반 두 학급의 영아 28명이며 각 학급에 소속된 14명의 영아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검사, 사전검사, 실험 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집단에게는 6주 동안 16개의 소리 탐색활동에 기초한 음악경험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기존에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던 어린이집 교육활동을 그대로 실시하였다. 소리 탐색활동은 소리의 유형에 따라 일상소리 탐색, 말소리 탐색, 악기소리 탐색, 음악소리 탐색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활동에서 영아가 음악 개념과 음악 기술을 균형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활동은 발달에 적합하도록 대집단이 아닌 개별 혹은 소집단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영아의 음악 적성을 알아보기 위해 Gordon(1989)의 Audie를 사용하였으며, 음악적 성향을 알아보기 위해 방은영(2008)이 개발한 ‘유아 음악적 성향’ 검사 도구를 황인주, 김은정(2010)이 영아의 발달적 특성에 맞게 수정 보완한 ‘영아 음악적 성향’ 검사 도구를 재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각 집단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리 탐색활동에 기초한 음악경험은 만 2세반 영아의 음악 적성 중 리듬 발달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음정 발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리 탐색활동에 기초한 음악경험이 영아의 선천적인 음악 적성 중 리듬 발달에 영향을 미쳐 다양한 형태의 리듬을 인식하고 식별하는 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소리 탐색활동에 기초한 음악경험은 만 2세반 영아의 음악적 성향 중 음악적 가치를 제외한 음악적 흥미, 음악적 유능, 음악적 의지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리 탐색활동에 기초한 음악경험이 음악에 대한 선호도가 형성되어 가는 영아에게 음악에 대한 관심 및 흥미를 유발시켜 음악에 대한 유능감, 기대감 등의 다양한 음악적 성향 발달을 촉진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현장에서 교사는 소리 탐색활동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영아의 발달적 특성과 음악 개념을 고려한 음악경험을 계획 및 진행함으로써, 영아의 음악성 발달을 체계적으로 지원해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usic experiences based on sound exploration activities for toddlers on music aptitude and propensity. Accordingly the specific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1. Are there differences in music aptitude of toddler, depending on whether music experiences based on sound exploration activities? 1-1. Are there differences in rhythmic development of toddler, depending on whether music experiences based on sound exploration activities? 1-2. Are there differences in tonal development of toddler, depending on whether music experiences based on sound exploration activities? 2. Are there differences in music propensity of toddler, depending on whether music experiences based on sound exploration activ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 toddlers who enrolled 2 classes for 2 year-old of the Child Care Center Y located at Yangcheon-ku, Seoul. 14 members of belonging to each clas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The proces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preliminary inspection,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post-test. The toddl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16 music experiences based on sound exploration activities for 6 weeks, the toddlers in the controlled group conducted existing education activites of the Child Care Center. Depending on the type of sound, the sound exploration activities were classified usual sound exploration, language sound exploration, instrument sound exploration, music sound exploration. Each activity was designed for toddler to give a balanced music experience including musical concepts and technology. These activities were progressed alone or in small groups rather than large group. Study tool used Gordon's (1989) Audie to test music aptitude. To test music propensity, the researcher revised and supplemented Hwang, In-ju & Kim, En-joung's (2010) 'toddler musical propensity', which revised and supplemented Bang, En-young's (2008) 'child musical propensity' to be appropriate for the developmental character of toddl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t verification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usic experience based on sound exploration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rhythmic development, and no effect on tonal development of music aptitude. This is interpreted that music experiences based on sound exploration activities affected rhythmic development of innate music aptitude and improve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identify various forms of rhythm. Secondly, music experience based on sound exploration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music propensity containing music interest, music competence, music volition except music value. This is interpreted that music experience based on sound exploration activity caused interest in music to toddler forming a preference for music, and promoted development of various music propensity containing music interest, music competence, music volition, etc. Thus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for sound exploration activity and support systematically musicality development of toddler by planning and progressing music experiences considering the music concept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

      •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도형의 변환에 대한 연구

        박연정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교 기하학습에서 변환기하학적 접근으로 전개 가능한 지도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다음의 연구를 통해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변환에 대한 지식이 보다 체계적으로 변해가도록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첫째, 변환에 관한 현대 수학에서의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았다. 둘째, 현행 교육과정에서 변환의 내용을 분석하고, 변환이 차지하는 위상을 살펴보았다. 셋째, 고등학교 수학수업에서 전개가능한 변환학습으로 생활속의 대칭과 정다각형과 정다면체를 이용한 대칭군을 다루었다.

      • 침투적 반추, 의도적 반추 및 자기자비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박연정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Calhoun 과 Tedeschi의 외상 후 성장 모델에 근거하여 외상 사건 후 나타나는 침투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 자기자비가 외상 후 성장으로 이행하는데 있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등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314명을 대상으로 외상경험 질문지, 사건관련 반추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 자기자비 척도를 포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271명의 자료를 통해 각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관분석결과 침투적 반추, 의도적 반추, 자기자비는 외상 후 성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자기자비는 침투적 반추와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으나 의도적 반추와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매개효과 검증결과 첫째, 침투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사이에서 의도적 반추가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침투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사이에서 자기자비와 의도적 반추는 순차적인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침투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사이에서 자기자비가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자기자비가 침투적 반추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킬 뿐만 아니라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에 이르는데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self-compassion after traumatic incidents on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 post-traumatic growth model of Calhoun and Tedeschi.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14 men and women aged over 19 who lived in Seoul and Gyeonggi-do including traumatic experience questionnaires, the Event-Related Rumination Inventory,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and Self-Compassion Scale. Among the results, data of 271 research subjects were us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self-compassion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t-traumatic growth. While self-compassio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rusive rumination, it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eliberate rumination. The investigation of mediating effect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deliberate rumination showed mediating effect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Second, self-compass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had sequen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self-compassion showed mediating effect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Such results of the research imply that self-compassion not only offsets negative effects of intrusive rumination but also affects reaching to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Last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were discussed.

      • 중산층의 일상생활을 위한 백화점의 지역시설 역할에 관한 연구

        박연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주요 백화점 브랜드가 도심이 아닌 압구정동에 위치하는 것과 백화점에서 중요한 입지요소인 교통인프라의 집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 그리고 일부 백화점에 세탁소와 같은 서비스들이 있음을 통하여 백화점이 아파트단지와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에서 출발하였다. 이 가설은 백화점과 아파트단지의 도시공간적 위치가 근접하다는 것과, 아파트단지 중산층의 일상생활과 백화점의 공간이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통하여 증명하고자 하였다. 1970년대 들어서면서 주거의 대량공급이 목표로 설정되고 영동지역(강남)의 개발이 시작되었다. 대량공급이라는 목표는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주거지를 형성시켰다. 또한 도시화가 미비한 상황에 주거지를 우선하여 계획하였기에 제도적으로 아파트단지 내에 일상생활을 위한 시설들을 설치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아파트단지 내에서는 복지와 관련된 일상생활시설인 어린이놀이터, 집회와 관련된 시설인 집회소, 환경위생에 관련된 시설이 공중목욕탕, 체육 스포츠시설에 관련하여 수영장, 정구장 등의 설치, 그리고 쇼핑에 관련한 일상생활 시설로 시장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관료적인 일상생활시설들은 민간건설사에 의해 축약되어 나타났다. 즉 압축된 아파트 단지 내 일상생활은 단조로움 해결에 대한 욕구와 다른 하나는 동질집단 속에서도 차이를 갈구하는 욕망은 ‘소비’라는 욕구로 변질되었다. 또한 쇼핑을 지원하기 위해 규정되어 있던 시장은 그 정의가 모호한 상태였기에 쇼핑센터, 백화점이라고 하는 시장보다 높은 수준의 쇼핑시설도 건립가능 하였다. 이로써 백화점이나 쇼핑센터이라는 광역생활시설이 아파트단지 일상생활권으로 침투하였다. 이런 배경 속에서 나타난 것이 한양쇼핑센터, 현재의 갤러리아백화점과 현대백화점이다. 결국 백화점에서 아파트단지 일상생활 시설의 일부분이 대체되었고, 광역생활시설들의 일부도 소비재로 대체되어 일상생활시설로 백화점에 포함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2000년 이후 중산층을 위한 새로운 아파트 형식들이 나타나게 되면서 백화점에는 몇 가지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게이티드 커뮤니티로 형성된 아파트단지들이었는데, 아파트가 중산층의 새로운 지위를 표현해주는 소비재가 되면서 단지 내의 일상생활시설들은 더없이 풍부해졌고, 외부공간은 공원으로 계획되기 시작하였다. 현대아파트와 한양아파트는 이러한 변화를 수용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그들의 일상생활권 내에 위치한 백화점이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였다. 옥상정원을 공원으로 변모시킨다던지, 문고의 역할을 수용할 있는 북카페 같은 것들이 생겨났으며, 게이티드 커뮤니티 강화에 대응하는 VIP라운지를 설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중산층의 일상생활 시설로 백화점이 이해되고 강남지역이 중산층의 집단적 거주지라는 특별한 사회적 경계를 형성하면서 결국 백화점에 대한 새로운 기호로 작용하게 되었다. 즉 상품의 지위도 이들 백화점에 있으면 새로워지게 되었으며, 백화점의 외관은 중산층의 지위를 표현하는 물적 대상이 되어 주거지역과 근접한 백화점에 동일한 외관이 그대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중산층의 일상생활과 백화점의 관계는 이후 다른 백화점 및 다른 지역시설에서도 영향을 미치고 있기에 중요하다. 이를테면 AK프라자 구로점에서는 주변 지역의 일상생활시설 가운데 체육스포츠 시설을 보완해주기 위하여 개점 당시에는 스포츠센터를 포함하고 있었지만, 인근 지역에 공공시설로 스포츠센터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이 생겨나고, 강남의 백화점이 영화관과 결합하는 양상을 보이자 스포츠시설은 영화관으로 대체되었다. 백화점에 나타났던 북카페는 이후 대부분의 도서관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백화점에 식음에 관련한 시설들이 증가하는 것은 미술관이나 박물관의 변화와 관계가 있다. VIP라운지는 백화점을 거치면서 카드사와 통신사 등의 마케팅 수단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백화점의 지역시설로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백화점은 아파트단지와의 관계 속에서 이들의 일상생활시설로 기능하기 위해 노력해왔고, 이로써 단순히 쇼핑기능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백화점은 문화적 학습공간이 되기도 하고, 운동을 하는 공간이면서, 모임을 가지는 공간이기도 하며, 장을 보러가거나, 외식을 하며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공간이 되었다. 백화점의 중산층의 일상생활을 위한 노력들은 다른 지역시설들에도 영향을 미쳐왔으며, 앞으로도 새로운 아파트단지 형식과 주변의 변화에 대응해 나갈 것이다. 결국 백화점은 겉으로는 폐쇄적이고 변화가 없어 보이지만, 내부에서는 끊임없이 중산층의 일상생활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변화하고 있으며, 도시에 요구되는 시설들을 먼저 수용하여 일상생활화 하는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