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관 실무자의 이용자중심실천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실무자 요인과 조직 요인의 영향력 확인을 중심으로

        변주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and agency level indicators factors on client-centered practice of social welfare center practitioners. To that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03 social workers at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lient-centered practice of social workers in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s was hig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verage difference of client-centered practice level according to demographic sociological factors of social workers at social welfare centers, it was foud that relig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lient-centered practice. Third, the relevance and extent of client-centered practice, social worker's and agency factors, and control variables were analyzed. As a result, religion, social welfare value suitability, creativity,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in client-centered practice. In addition, social welfare qualification criteria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 client-centered practice.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client-centered practice, the higher the religious practitioners, the more appropriate the social welfare values, the more creative the social welfare values, the better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the better the relationship with the supervisor, and the higher the level of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Fourth, as a major problem in this stud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injecting demographic, social worker and organizational factors into social welfare center practitioners' client-centered practice. In the final analysis model 3, individual variables that affect the client-centered practice level were shown in the order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bility of the person in charge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person in charge. Th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be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suggests that the better the social welfare center practitioners' communication skills, the more significant the client-centered practice, the mor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and super vision should be supported to enhance social welfare workers' communication skills. Second, based on the result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the higher the degree of client-centered practice, it suggests the need for experience and leadership education that can promote creativity to form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an realize flexible thinking and ideas. Third, it suggests that understanding of users, ethical attitudes, education and self-development on the identity and responsibilities of social workers, and systematic super vision should be actively attempted based on social welfare values. 본 연구는 실무자 요인과 조직 요인이 사회복지관 실무자의 이용자중심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내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이용자중심실천 수준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 이용자중심실천 수준의 평균 차이를 확인한 결과, 종교 유무가 이용자 중심 실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이용자중심실천, 독립변수인 실무자 요인 및 조직요인, 통제변수 간 관련성 여부와 정도를 분석한 결과, 통제변수인 종교와 독립변수인 사회복지 가치적합성, 창의성, 대인의사소통능력, 수퍼바이저-수퍼바이지 관계, 혁신적 조직문화가 이용자중심실천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통제변수인 사회복지 자격기준은 이용자중심실천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종교를 가진 실무자일수록, 1급 사회복지 자격기준을 갖출수록, 사회복지 가치와 적합할수록, 창의적일수록, 대인의사소통능력이 좋을수록, 수퍼바이저와 관계가 좋을수록, 혁신적 조직문화 수준이 높을수록 이용자중심실천 정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넷째, 본 연구의 주요 문제로서 실무자 요인과 조직 요인이 사회복지관 실무자의 이용자중심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인구사회학적 요인, 실무자 요인, 조직 요인을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분석 모델3에서 이용자중심실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변수는 실무자 요인의 대인의사소통능력과 조직 요인의 혁신적 조직문화 순으로 영향력을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로 제시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관 실무자의 대인의사소통능력이 좋을수록 이용자중심실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무자의 의사소통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훈련 프로그램과 수퍼비전을 지원해야함을 시사해준다. 둘째, 혁신적 조직문화의 수준이 높을수록 이용자중심실천 정도가 높아진다는 결과를 토대로, 유연한 사고와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창의성이 촉진될 수 있는 경험과 리더십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셋째, 사회복지가치를 기반으로 이용자에 대한 이해, 윤리적 태도, 사회복지사의 정체성과 책무성에 대한 교육과 자기개발, 체계적인 수퍼비전이 적극적으로 시도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

      • 실천활동중심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저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타인존중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논 문 요 약 실천활동중심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저학년의 자아존중감 및 타인존중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 지 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사회과교육전공 (지도교수 허 종 렬) 오늘날 사회는 개인의 권리의식 향상과 극단적 이기주의로 인해 공동체의식이 약화되어 화합과 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사는 지식, 기능, 태도가 요구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초등학교 입학시기부터의 인권교육에 대한 요구가 이어오고 있다. 하지만 초등 저학년 대상의 인권교육 활동에 대한 연구와 실천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는 초등 저학년 대상의 실천활동중심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자아존중감(self-esteem) 및 타인존중태도(respectful attitudes of others)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의 자아존중감 및 타인존중태도를 고취하는 데 적합한 실천활동중심 인권교육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둘째, 실천활동중심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자아존중감 및 타인존중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시 G시 K초등학교 1학년 1개 학급 24명 학생이다. 활동중심 인권교육 활동을 실시하기 전과 후의 자아존중감 및 타인존중태도 모습을 비교하기 위하여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모형으로 실험을 설계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Statistics 20.0 프로그램으로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결과를 산출하였다. 실천활동중심 인권교육 프로그램은 저학년 학생의 흥미와 발달수준에 맞도록 상호작용과 구체적 조작활동이 강조된 활동들로 구성하였고 10회기(22차시)로 계획하였다. 자아존중감 검사는 쿠퍼스미스(Coopersmith, 1967)의 자아존중감 척도(Self Esteem Inventory, SEI)를 최보가, 전귀연(1993)이 번안한 것을 박선미(2009)가 초등 저학년 수준에 맞게 수정한 검사지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타인존중태도 검사는 이현숙(2005)의 타인존중 검사지를 측정도구를 초등 저학년 수준에 맞게 3점 척도로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이것은 황희란(2001)이 제시한 타인존중의 지도 요소를 재구성한 것으로, 타인존중태도를 7개 영역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활동중심 인권교육 활동은 초등 저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학생의 자아존중감 변화를 알아본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점수 차이를 보았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자아존중감 3개 영역 중 ‘일반적 자아존중감’, ‘학교 자아존중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둘째, 실천활동중심 인권교육 활동은 초등 저학년 학생의 타인존중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학생의 타인존중태도 변화를 알아본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점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타인존중태도 7개 영역 중 5개 영역 ‘입장변화’, ‘친절’, ‘관용’, ‘봉사(도움)’, ‘의견존중’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셋째, 실천활동중심 인권교육 활동에 대해서 학생의 만족도가 높았다. 이는 학생들의 흥미와 발달수준에 맞게 스스로 판단하는 기회, 또래 상호작용, 구체적 조작활동을 강조한 다양한 교육활동이 학생의 높은 만족도에 기여한 것으로 추측된다. 넷째, 초등 저학년 대상의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초등학교 입학시기부터 인권교육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및 학교 현장의 요구에 비해 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고 비체계적이다. 이러한 막막한 상황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흥미와 발달수준에 맞는 본 실천활동중심 인권교육 활동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주요어 : 초등 저학년, 실천활동중심 인권교육, 자아존중감, 타인존중태도 *본 논문은 2020년 2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A B S T R A C T The Effects of Activity-oriented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on Self-esteem and Respectful Attitudes of Others in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Kim Ji Hyun Major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Hur. Jong Ryul Today many society members have many difficulties in harmony and communication of others because personal rights and ultimate selfishness seriously weaken cooperative spirit. According to society members, According to society members, necessary rights education is required elementary school adimission students, which includes : social mood of knowledges, skills, and attitude. However, practical researchers on rights education for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re not enoug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developed and applied an activity-oriented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ich activity-oriented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s are suitable for raising the self-esteem and respectful attitudes of others? Second, what effect does an activity-oriented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have on self-esteem and respectful attitudes in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are twenty-four students in one class of K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is study was designed with an on-group pretest-design model in order to compare the self-esteem and others' respectful attitudes before and after the activity-oriented human rights education was provided.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by SPSS statistics 20.0 and the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draw results. The activity-oriented rights education program composed with a variety of activities, puts great emphasis on interaction and concrete operation activities, fitted to student's interests and developing steps in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self-esteem Inventory(Coopersmith, 1967) translated by B. G Choi and G. Y Cheon,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S. M Park(2009) for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Respectful attitudes of others' test sheet used to study respectful attitudes of others' by H. S Lee(2005), was reformed and used in a 3-score Assessment of the contents for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above test tool is developed by H. R Hwang(2001), which reformed the others' respect guidance elements in the 7-sphere Respectful attitudes of other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tivity-oriented human education operations bring positive effects on the formation of self-esteem in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differences between scores of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that measured the self-esteem change of stud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3 domains of self-esteem,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ores appeared especially in the domains of 'General self-esteem', and 'School self-esteem'. Second, activity-oriented human education operation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respectful attitudes in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he difference between scores of the pretest and the protest measuring respectful attitudes of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5 domains of the 7-sphere respectful attitudes of others, the significant changes in scores appeared especially in the domains of: 'situation change', 'kindness', 'tolerance', 'service(help)', and 'opinion respect'. Third, according to the activity-oriented human education operations,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was high. It is guessed that education operations in various forms put emphasis on student's interest, opportunity judging in development steps, interaction of the same age, and concrete operation activities contributed to the high satisfaction of students. Fourth, the study was meaningful because it developed and applied the human rights education grades in elementary school. Since admission day to elementary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is needed for students in regards to the requirements of social scene and school field but the study in relation to those programs, is not enough or organized. Based on tho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promoting the human rights of individual students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activity-oriented human rights education operations regarding student's interest and development steps for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Keywords : Lower Grades of Elementary, Activity-oriented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Self-esteem, Respectful Attitudes of Others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 가족중심실천이 사례관리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빈곤가정을 중심으로

        정아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family-centered practices on the case management service satisfaction of the families in poverty. A survey was conducted for 138 adult subjects of families in poverty currently using case management services from 11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case management service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Jeolla region. The main outcomes from the analysis of the survey data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approximately 95.8% of the subjects receive financial support from the, and 81.6% of the subjects earn less than 1.5 million won, showing high percentage of poverty level. Second, the subjects showed the case management service satisfaction above normal, scoring a mean of 4.19 points. Third, the subjects showed the family-centered practices experience above normal, scoring an average of 3.98 points. These results are lower tha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case management based on family-centered practices, which indicates that continuous and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principles of family-centered practices to the social workers who provide users with services help raise the family-centered practices experience level of the users. Fourt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introducing demographic factors, service use factors, service quality factors and family-centered practices step-by-step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family-centered practices on the case management service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only the family-centered practices have significant effect.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impact of family-centered practices at site and to contribute to provide case management services that suffice the users. Th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be presented as the study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shown that the factor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case management service satisfaction is the family-centered practice, so the social workers working in the field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family-centered practices, apply the principles of family-centered practices, respect leading involvement and decision of the children and families in the course of the case management practices, recognize themselves as an experts, and have attitude to work with the families regarding the whole family and kids as the intervention unit. Secondly, in order to perform good family-centered practices, efforts should be made to provide a variety of opportunities for the social workers to apply in their tasks, by participating in professional education in the individual level and by the education of the basic principles and practical guidance to the employees for family-centered practices in the institutional level. 본 연구는 가족중심실천이 빈곤 가정의 사례관리 서비스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서울과 경기, 전라도 지역에 위치한 11개의 지역사회복지관과 사례관리서비스기관에서 현재 사례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빈곤 가정의 성인 138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연구 대상자 중 약 95.8%가 국가로부터 경제적인 지원을 받고 있으며, 소득수준은 약 81.6%가 150만원 이하에 해당하여 빈곤 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사례관리 서비스 만족도는 평균 4.19점으로 나타나 보통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 대상자의 가족중심실천 경험수준은 평균 3.98점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중심실천에 기반을 두고 사례관리를 실천했던 선행연구의 결과보다는 낮은 수준이었는데, 이는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사에게 가족중심실천 원리를 토대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이용자의 가족중심실천 경험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본 연구의 주요 문제로서 가족중심실천이 사례관리 서비스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인구사회학적 요인, 서비스 이용 관련 요인, 서비스 질 요인, 가족중심실천 요인을 단계적으로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중심실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장에서 가족중심실천의 영향력을 알아보고 이용자가 만족하는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연구결과로 제시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관리 서비스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중심실천으로 나타나 현장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는 가족중심실천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가족중심실천의 원리를 적용하여 사례관리 실천과정에서 아동과 가족의 주도적인 참여와 결정을 존중하며, 아동과 가족이 그들 자신을 가장 잘 아는 전문가로 인식하며, 아동뿐만 아니라 가족 전체를 개입단위로 보고 가족과 함께 일하는 자세를 지녀야 한다. 둘째, 가족중심실천을 현장에서 잘 실천하기 위해서는 개인차원에서는 전문적인 교육과정에 참여하고, 기관차원에서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가족중심실천을 위한 기본원리와 실천지침에 관한 교육을 실시하여 사회복지사가 각자의 업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 실천중심 유아 인성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최은주 한북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An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Practice-Focused Personality Program for Early Childhood Choi Eun - Ju Major in Social Welfare Dep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Knowledge and Social Welfare Hanbu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application and effect of the practice-foused early childhood personality program based on the standard curriculum of basic life for daycare centers suggested by the Nuri System of Ministry of Health & Welfare in 2012. The practice-foused early childhood personality program was conducted on 15 children in early childhood (i.e. 6 boys and 9 girls) at a daycare center located in Y city in Gyeonggi-do for 16 weeks from the first week of March to the second week of June in 2012, to identify the application and effect of the program. For this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to gain the views of their parents on comparison of children's characteristics of personalit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r a scale of child'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used was a modified scale of child'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prepared by Jeong Hyang-Mi in 2009 based on a Personality Questionnair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Kang Nan-Ki and Jeong Beom-Mo in 1987. Specifically, four sub-domains (i.e. stability, sociality, reflectiveness, and activity) were derived to use for the subscale for infant personality. For statistical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PC+Version 18.0. Further,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specific behavior change related to child'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ased on 15 participating teachers' observation reports of each child's behavior change related to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 results are derived from the research. First, resulting from comparison of child'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the practice-focused early childhood personality program, activity and reflectivene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ut of child's overal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he four sub-domains. Further, stability and sociality were increased as well, although they were not significantly observed. As such, a positive change can be identified in child'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fter the program, and for average differences, activity was observed highest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llowed by reflectiveness, sociality and stability, from high to low. Therefore, the practice-focused early childhood personality program was verified to be effective overall. Although the practice-focused early childhood personality program is a 52-week program a year, the 16-week program for this research was verified to be effective,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program to reinforce child'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econd,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6 boys, out of overal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he four sub-domains after the program. For average difference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r the boys, activity was observed highest, followed by stability, sociality, and reflectiveness. Third, reflectivene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9 girls out of the four sub-domains, although overal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ere not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program. For average difference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r the girls, reflectiveness was observed highest, followed by activity, stability, and sociality. Results observed that gender characteristics were reflected in the effectiveness of the practice-focused early childhood personality program on the boys and the girls. 국 문 요 약 실천중심 유아 인성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본 연구는 년 보건복지부 누리과정에서 2012 제시한 어린이집 표준 교육과정 기본생활영역을 토대로 한 실천중심 유아 인성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있었다. 실천중심 유아 인성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12년 3월 첫째주부터 6월 둘째 주까지 총 16주간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Y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만5세 유아 15명(남 6명, 여 9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천중심 유아 인성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유아의 인성특성 변화를 학부모가 프로그램 개입 전후를 비교하여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유아 인성특성척도는 강난기(1989)가 정범모(1987)의 초등학생용 인성특성문항을 토대로 작성한 유아인성특성척도를 재구성한 전향미(2009)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아인성의 하위척도는 안정성, 사회성, 사려성, 활동성의 4개영역만 도출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 분석은 SPSS/PC+Version 18.0 프로그램 의해 분석하였으며, 이와 함께 유아 인성 특성과 관련된 구체적인 행동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교사의 참여자 15명 각 유아의 인성특성 행동변화 관찰 보고서를 바탕으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중심 유아 인성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인성특성을 비교한 결과 유아의 전체적 인성특성과 하위 영역 중 활동성과 사려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안정성과 사회성도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유아 인성특성은 프로그램 실시 후에 유아가 긍정적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었으며 평균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활동성, 사려성, 사회성, 안정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실천중심 유아 인성프로그램은 전반적으로 효과가 있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실천중심 유아 인성프로그램이 1년 총 52주 프로그램인데 본 연구는 16주간의 프로그램 개입의 효과만 검증하였다는 것을 생각해 볼 때 본 실천중심 유아 인성프로그램은 유아의 인성발달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인성프로그램 실시 후 남자유아의 전체적인 인성특성과 하위영역 중 활동성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남자유아의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인성특성 평균변화량은 활동성, 안정성, 사회성, 사려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성프로그램 실시 후 여자유아의 전체적인 인성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지만 하위영역 중 사려성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여자유아의 프로그램 실시전과 후의 인성특성 평균 변화량은 사려성, 활동성, 안정성, 사회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실천중심 프로그램 효과에 대해 남자유아와 여자유아를 비교해보니 성별 특성이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유아교사의 인성이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이아름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사용)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2

        유아교사의 인성이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인성이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역량에 미치는 영 향에서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인성, 교수창의성,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역량 간 상관은 어떠한 가? 2. 유아교사의 인성이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창의 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G시와 J지역에 소재하는 어린이집에 재직하는 유아반 교사들 을 임의 표집 방식으로 선정하였다. 해당 어린이집에 직접 방문하여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구한 후 5, 6, 7세의 담임 유아교사 350명 대상으로 설 문지를 배부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340부 중 연구내용 부실 또는 무응답 도구 16 부를 제외하고 최종 324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은 PASW 24.0으로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분석한 자료의 신뢰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Cronbach’s a를 산출하였다.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위해 동시 투입 방법에 따른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논의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의 인성이 놀이 중심교육과정 실천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인성, 유아교사 교수창의성,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역량 전체 및 하위요인 정적상관을 확인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인성이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창 의성이 높을수록 놀이지원 역량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즉 교수창의성 및 인 성이 높을수록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역량이 높으며, 유아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교사 스스로 인성 및 창의성을 높이거나 보완할 수 있는 부분을 알 고 노력해야 한다는 걸 알 수 있다. 또한 어린이집 및 관련 기관에서 교수창의성 및 인성 증진에 도움 되는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역량 이 향상될 수 있도록 전문성 강화를 위해 창의성 및 인성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 방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인성동화를 활용한 실천활동중심 놀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노규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practical activity-oriented play program using personality fairy tales to determine whether it is effective in promoting prosocial behavior and school adaptation of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Forty-one 6- and 7-year-old children from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 City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mong them, 20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1 to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study was conducted. Students in both classes have similar economic and cultural backgrounds. A practical activity-oriented play program using character fairy tales was implemen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play program was implemented for the comparison group. The program consists of a total of 14 sessions, and the activity time for each session is 50 minutes. The prosocial behavior of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as assessed using the prosocial behavior test scale adapted and modified by Wonyoung Lee et al. (1993). For school adaptation, the school adaptation scale developed by Ji Seong-ae and Jeong Dae-hyeon (2006) was us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Win 20.0 program.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implemented a practical activity-oriented play program using personality fairy tales and the comparison group that did not. A paired-samples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prosocial behavior and school adapt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implemented a practical activity-oriented play program using personality fairy tales and the comparison group that implemented the play program.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school adapt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implemented a practical activity-oriented play program using personality fairy tales and the comparison group that implemented the play program.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practical activity-centered play program using personality fairy tales is effective in promoting prosocial behavior and school adaptation.

      •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가 이용자 중심 실천에 미치는 영향과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이경화 목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가 이용자 중심 실천에 미치는 영향과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사회복지기관에서 이용자 중심 실천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조직문화 유형을 알아보고, 셀프리더십의 향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 사회복지 이용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중 유의표집 된 사회복지사 31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연한 조직문화(개발문화, 합의문화)로 인식할수록 이용자 중심 실천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용자 중심 실천을 높이기 위해서 사회복지기관들은 유연한 조직문화를 위해 노력해야 함을 의미한다. 둘째, 조직문화가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유연한 조직문화 중 합의문화가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 행위 중심 전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안정된 조직문화인 위계문화와 합리문화가 셀프리더십 하위요인인 자연적 보상 전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자신의 직무에 주의를 기울이며, 업무상 책임 영역을 넓히려는 노력은 유연한 조직문화에서 더 나타날 수 있고, 안정된 문화에서는 책임에 관한 생각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셋째, 셀프리더십은 이용자 중심 실천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인 행위 중심 전략과 건설적 사고 패턴 전략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스로 목표를 점검하고, 할 수 있는 긍정적인 변화들을 생각하는 사회복지사가 이용자 중심 실천 수준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겠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셀프리더십은 조직문화와 이용자 중심 실천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복지사들은 유연한 조직문화에서 셀프리더십이 향상되며 이는 곧 이용자 중심 실천 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해볼 때, 사회복지기관들은 보다 유연한 조직문화로 변화할 수 있도록 외부환경 변화에 유연해져야 하며, 사회복지사의 창의적 사고를 중시하고, 사회복지사들 간의 협조적인 업무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해서는 슈퍼비전 체계를 활용하여 사회복지사들의 동기를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겠다. 더불어 조직문화 이해를 위한 기관장과 사회복지사들의 교육이 필요하겠고, 타 기관과의 네트워크 및 자조모임의 활성화 등으로 이용자 중심 실천에 대한 공유 및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실천중심 인성지도 방안에 대한 참여관찰 연구

        이성준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study aimed to diagnose the current practice-centered moral education and present the alternative approach to improve moral education in schools.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alternatives to the current moral education? Second, what activities are required for the effective moral education? Finally, what are possible ways to strength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and school for the continuous moral education? In order to diagnose current contents and approaches of moral education, 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irty six students, four teachers and several parents. This study examined the following problems regarding the current moral education First of all, the current moral education is dependent on indoctrination methods, which are mainly based on delivering knowledge and values by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so that students have some limitations in understanding why and how those knowledge and values should be applied to their real life situations. Second, moral education classes were not able to stimulate students' learning interest, so that student were not willing to take parts in the moral education class activities. Finally, most parents were not interested in moral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and they were not eager to have partnership to guide and develop their children morally with teachers. Based on those problems,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make moral education interesting, activated and motivated; First, moral education should focus on microscopic and real-life moral rules which student can easily take, rather than macroscopic, and traditional and conventional moral rules. Second, moral education class activities should be able to make students participate actively and voluntarily in the courses of moral education. Third, it is required to develop various real-life centered programmes of moral education in which student can be allowed to test moral values in the context of real-life situations and create possible new moral values for their future world. Finally, it is required to strength the partnership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to make students have morally good habits and behave morally. And finally, all these suggestions were discussed for education, parents, and education policy ma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