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남지역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의 교육과정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고용 형태에 따른 비교

        이성남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경남지역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자들을 대상으로 고용형태에 따른 교육대학원의 기능과 요구수렴, 교육과정의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설문조사는 경남지역 4개 대학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0년 12월 4일부터 12월 20일까지 실시하였다. 총 1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147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91.8%) 이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형태에서는 계약직 83명(56.5%), 직종은 비정규직 영양사 83명(56.5%), 근무지에서는 중학교 45명(30.6%), 연령은 25~30세 46명(31.3%)으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육대학원이 수행해야 할 기능은 정규직은 ‘현직 교원의 자질향상을 위한 계속교육, 재교육’으로 나타났으나, 비정규직(임시직, 계약직)의 경우 ‘교원양성기관으로서의 예비교사교육’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대학원의 현재의 기능은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학위 취득을 위한 기관’이 높게 나타났다(p<0.001). 셋째, 교육대학원의 진학 동기는 정규직은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수업관련 지식을 공부하기 위하여’로 나타났으며, 비정규직은 ‘영양교사가 되기 위하여’로 나타났다(p<0.001). 또한 교육대학원 선택에 있어 중요한 요인은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동료, 친구의 추천’과 ‘거리가 가까워서’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교육대학원 진학만족도는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그렇다’로 높게 나타났다(p<0.001). 넷째, 교육대학원의 요구수렴 여부는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그렇지 않다’와 ‘보통이다’의 응답이 높았으며, 요구수렴의 방법은 ‘하지 않는다’가 높게 나타났다(p<0.01). 교육대학원생의 적절한 요구수렴 방법은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정기적인 설문조사’로 나타났으며, 사회단체와의 상호교류수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정규직은 ‘그렇다’가 높게 나타났으나, 비정규직의 경우 ‘보통이다’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교과과정에서의 우선순위는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학문(이론) 능력 함양 면’이 높게 나타났다(p<0.01). 다섯째, 교육대학원 영양교육학과 학생들의 교과과정의 만족도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 ‘만족한다’와 ‘보통이다’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개설 교과목 수의 만족도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 ‘그렇지 않다’와 ‘보통이다’가 높게 나타났다(p<0.01). 또한 교육과정 내용의 수준에 대해 정규직은 ‘학부보다 심화 확장되지 않은 편이다’가 높게 나타났으나 비정규직은 ‘학부보다 심화 확장된 편이다’가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연구 결과로 대체로 정규직과 비정규직은 교과과정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으며, 식품영양학 전반적인 지식을 두루 함양하는 전문인 양성위주의 교육이 교과내용의 목표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교육대학원의 진학 목적이 달라 수요자에 맞춘 차별화된 교육과정이 필요하며, 교육대학원의 요구수렴 여부와 방법에 대해 질적인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여, 학생들의 교육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satisfaction on the function and demand collecting, and course of study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y the type of employment targeting graduate students majoring nutrition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Gyeongnam region.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nutrition education in 4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Gyeongnam region from Dec. 4th to Dec. 20th, 2010. Total 16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47 ones were returned (returning rate 91.8%),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ose questionnaires were as follows. First, 83 of contract workers (56.5%) as for type of employment, 83 of temporary nutritionists (56.5%) as for type of job, 45 people in middle school (30.6%) as for working place, and 46 people aged 25~30 (31.3%) accounted for the most. Second, as for the functions which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perform, regular workers answered ‘continuous education for enhancing qualification of current teaching staffs and re-education’, while non-regular workers (temporary workers and contract workers) selected ‘education of would-be teachers as an institute for fostering teaching staffs’. Also, as for current function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groups answered ‘an institute for earning a degree’ the highest (p<0.001). Third, as for a motive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gular workers answered ‘to study knowledge relevant to classes needed at school’,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to become a nutritional teacher’ (p<0.001). Also, as for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recommendation of co-workers or friends’ and ‘easy distance’ (p<0.05), and as for satisfaction of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yes’ (p<0.001). Fourth, as for wheth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llects their demands or not,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no’, and ‘so-so’, and as for a way to collect demands, an answer of ‘it does not collect demands’ accounted for the most (p<0.01). As for a way for appropriately collecting demands of student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conducting regular surveys’, as for the necessity of mutual exchange class with the social organization, most regular workers answered ‘yes’ while most non-regular workers answered ‘so-so’ (p<0.05), and as for the order of priority in the course of study,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to foster academic (theoretical) ability’ the most (p<0.01). Fifth, as for satisfa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nutrition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atisfied’ and ‘normal’ accounted for the most in both regular worker group and non-regular worker group (p<0.05), and as for satisfaction on the number of classes, ‘not satisfied’ and ‘normal’ accounted for the most in both regular group and non-regular group (p<0.01). Also, as for the level of the educational courses, regular workers thought ‘not to be intensified and extended compared with those of undergraduate courses’ the most while non-regular workers thoughts ‘to be intensified and extended compared with those of undergraduate courses’ (p<0.05). With the abov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re satisfied with the courses of study, and think that the goal of educational contents is to educate professionals who develop general knowledge on food and nutrition. In addition, as the purpose of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prepare differentiated educational courses appropriate for the demanders, and it should meet students' satisfaction by preparing an institutional strategy in order to secure qualified excellence about wheth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llects students' demands or not and its way.

      • 초등학생 정보과학영재 교육과정 분석 및 개선 방안

        김인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79

        정보과학영재 분야는 오랜 전통을 가진 수학과 과학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수·학습내용, 영재 판별도구와 선발과정 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정보과학영재 교육은 컴퓨터나 인터넷 이용, 응용 소프트웨어의 활용,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과 같은 기능 습득 중심의 교육으로 잘못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학습자의 지적능력에 상응하는 상위수준의 사고과정 계발, 창의력 배양, 논리적 사고력 신장, 문제 분석 및 해결능력 신장과 같은 궁극적인 영재교육의 취지에 맞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대학과 교육청 산하 영재 교육기관의 초등 정보과학 영재 교육과정을 조사 분석하여 초등 정보과학 영재교육과정을 위한 현실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area that deals with the elementary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is in shortage of research on curricula,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and discrimination tools and selection processes for the gifted compared to the traditional areas of mathematics and science with a long history of research. Thus education of the elementary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has often been mistaken as teaching skills of using computers, Internet, application softwares, and programming languages. The misconception does not reflect the ultimate goals of the gifted education which include cultivating higher-level thinking processes that correspond to the intellectual capability, nurturing creativity, and enriching logical thinking abilities and problem analysis and solving skills. This study aims to propose feasible improvement measures of the curricula for the elementary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through surveying and analysing the curricula of the gifted education institutes of universities and education offices.

      • 중등 정보과학 영재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김소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79

        정보과학 영재 교육과정은 그들의 높은 학업성취 욕구를 충족 시켜줌과 동시에 사고력신장, 특수능력습득, 특정지식습득, 적성강화, 일반능력신장 5가지 교육목표를 골고루 신장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실시되고 있는 정보과학 영재교육기관의 교육내용과 교육일정을 분석하여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정보과학 영재의 잠재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미래형 중등 정보과학 영재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A curriculum for the gifted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has to satisfy their desires for academic achievement, and to reach five education targets for acquiring ability to think, specific knowledge, specific skills, strengthening aptitude and increasing general ability. In this thesis, we analyze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schedule of institution for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introduce their problems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who can bring out their latent force.

      • 슬로리딩 기반 독서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박창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develop a Read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Slow Reading Method to understand educational effect about an attitude of reading books. The Slow Reading method is a process of reading a book slowly with many exercises related to the points of the book. Most of all, applied to lessons in the classroom, the Slow Reading Method needs to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target grade. After that, it is necessary to select a book applied to a Reading program. Reading a book many times, a teacher makes an exercise list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book and organizes a subject curriculum related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ubjects. Making progress in this research, The 24 fifth grade students who go to J elementary school in Gyeongsangnam-do are selected to apply to a Reading program based on the Slow Reading method. The book students read is the 『Shelter Train』 about a family in the Korean War. The Reading program is composed of a total of 29 lessons integrated in many subjects; Korean, Society, Ethics and Arts. Finishing the Reading program, I did a survey to understand interests in the Unification of Korea and changes about the reading attitude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re are 3 conclusions to this research. First, a Reading Program based on the Slow Reading Method makes students a lot more interested in studying. Second, a Reading Program based on the Slow Reading Method gives affirmative effects on Reading attitude of students. Third, a Reading Program based on the Slow Reading Method affects changes of inner consciousness related to the subject of book. 본 연구는 슬로리딩 기반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학생들의 독서 태도 변화에 미치는 교육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도서들을 활용하여 주제중심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교과연계형 독서교육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슬로리딩은 한 권의 책을 읽는 도중 책 속의 내용 여러 지점에서 파생되는 활동들을 통하여 천천히 책을 읽어가는 과정이다. 슬로리딩을 교실 수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적용대상 학년의 교과 성취기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성취기준에 대한 분석이 끝난 뒤 프로그램에 적용할 책을 선정하고, 교사가 직접 책을 여러 번 읽으면서 책의 내용과 관련된 교수·학습 활동 목록을 만든다. 전체적인 구상이 끝나면 이를 과정 중심 읽기 지도 과정(읽기 전 활동, 읽기 중 활동, 읽기 후 활동)에 따라 교수·학습 활동을 분류하고, 교과 성취기준에 연결시켜 책의 내용과 교과 성취기준이 서로 연결·통합된 주제중심 교육과정으로 조직한다. 이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경남 지역의 J초등학교 5학년 2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슬로리딩 기반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선택한 책은『피난열차』이다. 『피난열차』는 통일과 관련된 주제도서로, 외할머니의 이야기 속에서 6.25 전쟁을 다루는 이야기책이다. 프로그램은 국어, 사회, 도덕, 미술 등 여러 교과를 통합하여 총 29차시로 구성되었으며 과정 중심 읽기 지도 과정에 따라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에는 책에 대한 흥미도, 수업에 대한 흥미도, 독서 태도의 변화와 관련된 설문을 통하여 슬로리딩 기반 독서교육 프로그램 운영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와 더불어 북한 및 통일 문제에 대한 관심, 통일의식과 관련된 설문을 실시하여 도서의 주제에 따른 학생들의 내면의식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알게 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슬로리딩 기반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습 흥미를 높여준다. 둘째, 슬로리딩 기반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독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셋째, 슬로리딩 기반 독서교육 프로그램에 적용된 도서의 주제에 따른 학생들의 내면의식 변화에 영향을 준다.

      • 지역주민의 미술관에 대한 인식

        강미선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창원시 지역주민의 미술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성별, 연령대별, 거주지역, 현재 미술관련 종사자여부를 배경변인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미술관의 역할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전시공간으로서의 미술관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교육프로그램 운영 공간으로서의 미술관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휴식공간으로서의 미술관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관의 역할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에서 청소년층과 청장년층은 예술을 즐기는 휴식처로, 노년층은 찾아가는 미술관과 같은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곳으로, 연령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미술관의 방문횟수에서는 청소년들의 42.6%가 학업과 빈틈없이 짜여진 학교생활로 미술관을 일 년 중 전혀 가지 않았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와 연계한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래의 미술관의 기능에 대해서는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인식에서 45.7%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지역주민들이 전시만 관람하던 미술관의 역할에서 다양한 휴식공간과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미술관의 모습을 인식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시공간으로서의 미술관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에서는 미술관의 방문횟수가 높을수록 전시 관람 시 작품에 대한 인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상 깊었던 전시 프로그램의 이유에서 원하는 작품을 볼 수 있었던 것과 문화 예술 생활을 향유할 수 있다는 것이 다수의 의견이었다. 전시 관람 시 작품 해설자의 필요성에 대하여 응답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결과는 도슨트의 교육과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육프로그램 운영 공간으로서의 미술관에 대한 인식에서는 65.7%가 미술관에서 실시하는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다는 높은 응답을 하였으며, 미술관 방문 횟수가 많았던 노년층과 미술관련 종사자의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미술관의 방문과 교육프로그램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다양화로 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넷째, 휴식공간으로서의 미술관에 대한 인식에서는 지역주민의 93%가 미술관이 전시 외에 휴식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높게 인식하였으며 미술관속 산책길은 휴식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 반면 유아동을 위한 시설이 휴식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이런 이유로 소외계층과 여러 세대가 어우러진 휴식공간과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미술관이 변화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지역주민들의 문화향유 기회를 위한 다양한 미술품 전시 관람을 위해서 지역미술관들 사이의 협력이 필요하다. 둘째, 미술관 종사자들이 지역주민들의 인식을 알고, 소통을 통한 요구를 수렴하여 변화를 주도하기 위해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미술관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모든 연령층과 계층이 참가할 수 있는 문화예술 영역의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주도적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 넷째, 변화되고 있는 현대 미술관의 모습과 지역주민들의 의식변화에서 지역미술관도 전시 기능에서 벗어나 모든 연령층을 위한 복합문화공간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기초자료로 하여 창원 지역미술관이 복합문화공간과 평생교육기관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후속연구들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awareness of art museum of local residents. For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was to set the background variables as gender, age, place of residence, whether engaged in art-related. and Research subject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perceptions of local residents about the role of art museums? Second, what are the perceptions of local residents about museums as exhibition space? Third, what are the perceptions of local residents about museums as education space? Fourth, what are the perceptions of local residents about museums as relaxation spa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in awareness of role of the museum. Youth and the elderly are recognized as a relaxation area to enjoy the arts and the older people are recognized as a places to provide a new experiences. 42.6% of the adolescents did not ever visit the museum one years past due to tight school life.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chool-linked program. 45.7% of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 function of the future art museum is a complex cultural space. Local residents had shown a high awareness about the changing role of the museum as a relaxation area in the exhibition space. Second, in aware of local residents about the museum as an exhibition space, the more visits have found that a high impression of the exhibition. Reason exhibition program was impressive is that was able to enjoy the cultural life while watching the required work. During exhibition viewing, opinion that needs work commentator is there were many. This can be seen that there is a need for management and education of Docent. Third, in the perceptions of local residents about museums as education space, the answer did not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program to be carried out in a museum was 65.7%. Relatively older peoples and art-related workers showed a high degree of participation in the museum of the education program. This result, show that the museum visit there is a relationship of participation in museum education program. Fourth, in recognition of the museum as a break space, 93% of local residents was a favor response. Local residents, has been recognized as a must museum change as a complex cultural space of a relaxing space to match the hierarchy and generation.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nd make recommendations, such as the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cooperation of regional museums for a variety of cultural enjoyment of local residents. Second, converges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there is a need for continuing education of museum workers in order to lead the change of museums. Third, the museum developed by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for all ages should be a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of culture and the arts. Fourth, to match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and local art museum also be a complex cultural space. Based on this study, to provide a follow-up study for Changwon regional art museum vary in a complex cultural space.

      • 초등학교 아동들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한화숙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초등학생들이 원하는 진로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하여 파악하고 이러한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진로교육을 제공하는 기초 자료 제시에 목적을 두고 다음의 연구를 하였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진로교육의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 둘째. 초등학생들은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진로교육의 전반적인 내용과 방법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셋째. 초등학생들은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진로교육의 전반적인 운영방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넷째. 초등학생들은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진로 상담활동의 전반적인 내용과 운영방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본 연구를 위해 경남 김해시 장유면 소재 3개 초등학교 및 창원시 소재 3개 초등학교의 4,5,6학년 남녀학생 4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업을 파악하기 위해 진로교육이 필요하다고 남녀 모두 인식하고 있으며, 같은 학년의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들의 자아인식 및 진로탐색 욕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은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진로교육의 내용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년이 높아질수록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 실시한 진로교육의 내용 중 자신의 진로인식 향상에 도움을 준 내용으로 진로에 대한 적성·흥미·가치관 등에 대한 검사 및 테스트와 나의 미래 상상하여 체험활동하기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좀 더 심화하여 활동하고 싶은 것으로는 현장 답사 및 체험활동을 우선순위로 꼽았다. 셋째,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진로교육의 운영시기 및 시수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였으며 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은 담임선생님이나 학교안의 진로담당 선생님보다 다양한 직업을 가진 전문인들의 직업사례를 직접 접할 수 있는 외부의 진로전문가 선생님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에서의 진로상담활동은 남학생보다 여학생들의 많은 수가 진로담당 선생님과의 개별 상담을 원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자신이 원할 때 언제든지 상담할 수 있으며 자신의 고민을 다른 사람이 아는 것이 싫다는 이유로 사이버 상담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론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은 학교에서 실시한 진로교육에 대하여 학생 및 학부모에게 만족도 조사를 하여 그 결과를 다음 학년도의 진로교육 계획에 그들의 의견을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아동들의 진로탐색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아동들이 부모님과 함께 현장답사 및 직업체험활동을 한 내용을 진로교육 실적으로 인정하여 진로교육 이수 내용에 포함시켜 주어야 한다. 아동들을 다양한 체험의 장에 노출시켜 적극적인 진로인식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아동들의 요구를 조사하여 외부의 전문 직업인을 통한 전문 직업 사례 알아보기 기회가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아동 스스로 진로탐색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안내하고 활용도를 높여 아동들의 진로탐색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This study is for purpose to investigate the contents and methods for career education that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ant by examin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career education, and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to supply various career educations reflecting consumers’ demands. First, what d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nk of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Second, what d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nk of the overall contents and methods of career education to be conducted in the school? Third, what d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nk of overall operating system of career education conducted in the school? Fourth, what d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nk of entire contents and overall operating system of career counseling activities conducted in the school?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total 480 boys and girls students of 4th, 5th, 6th grades from 3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Jangyu-Myun, Gimhae and 3 elementary schools in Changwon, Kyungnam Province and survey was conducted. Surve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boys and girls in the elementary school realized that they needed a career education in order to figure out their vocational aptitude. Girls had higher self-awareness and desire for career exploration compared with boys at the same grade. Second, even i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conducted in the school, the degree of satisfaction got lower as the grade got higher. They picked tests for aptitude, interest and values, and future experience activities as the most helpful things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heir own career among career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in school. They picked field trips and experience activities as priority activities to be more intensified. Thir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ime and hours of career education conducted in the school. They preferred to expose themselves to specific career cases of diverse professionals from career experts outside the school. Fourth, more girl students want to have an individual counseling activity with a teacher in charge of career path. They preferred to have a cyber-counseling since they can have counseling whenever they want and they don’t want other people to know their anxieties. I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First,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should be updated for the next year in accordance with opinions of students and parents once survey about the degree of satisfaction is conducted in order to meet the desire and needs of career exploration of students. Second, since field trips and professional experience of students together with parents are part of performance of career education, it should be acknowledged and included in the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for students. Third, opportunities to see the professional career cases through outside professionals should be provided much more in order to enable career educations more active once needs of children are examined. Fourth, in order to enable career educations more active, various programs to encourage children to explore the career path by themselves should be introduced and utilized more to meet the desires for career exploration from children.

      • 初等學校 美術 鑑賞敎育의 改善에 관한 硏究 : 慶南 地域 初等學校를 中心으로

        윤인숙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fine-art is a field of arts that express whose ideas and feelings which getting from various experience activities, and that understand self and out world through interchanging feelings each others about images. So, it's the purpose of art education for student to fertilize their happiness through enjoying the high leveled culture then cultivating an excellent artist. Therefore, they say that the role of teacher is very critical for this destination. The distinctive quality of 21th century is an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of various visual medias, and then it's very urgently required to educate children visual literacy for their independent lives. Now is the time for new waves which exchanging and new practical balances onto art education, because that severe criticism about art education which attached too much importance to expression field of inventiveness by owed to Victor Lowenfeld(1903-1960) whose idea have been thoretical foundation of modern art education idea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suggesting effective methods of art appreciation to make student improving their expressiveness, fertilizing their susceptibility from attending to desirable art appreciation activities. For accomplish this purpose, I analyzed research data of teachers and students of kyungnam province. And compared the result with that of Japan. It's been more emphasized then any other times in 7'th Education Process that the capacity of comprehension about art and importancy of education of art appreciation. But teachers have some problems in it. They have scarcely have tools for educate their student. Never the less, authorities, masters and especially teachers themselves have low awareness about changed Art Education Process. It's proved in my result of research that art appreciation lesson do not carry out efficiently in most cases though it's been understood fairly. They pointed out a part of repletion for the size, quantity, colors of reference art, and think that student so larely have chance for appreciate traditional art to highly concerned with traditional art, and they usually apply any internet contents because there isn't any museum in their nearby. Primary schools in Japan, they have Art Education process similar to korea, and they make good use lot of student's works, and use slid films more frequently then internet contents. Eventually, It show me that they uses more various materials then korean teachers in art appreciation lessons. I conclude as follows to try to inventive activity of art appreciation, and to achieve the aims of art comprehension, based upon my analysis about various causes that art appreciation lesson couldn't be carry out efficiently. The first, As are for comprehension of art, It's very important for teachers to study and training about art appreciation. they must have abilities to project on the spot lessons in a gallery with art specialist, to lecture on student about works of art in gallery. This can extend artistic inventiveness of student. The second, the authority have to increase chance for on the spot learning in various galleries by extension art curriculum, as much as emphasized to a part of appreciation in '7th Education Process, and have to provide complemented teaching materials which they could make good use to art appreciation lessons. The third, we can get an effect on inventive art appreciation lesson and can provoke interest to art appreciation lesson if we could apply various evaluation method, like ethnographic technique, assesment by portfolio, debate, etc. The fourth, we have to length a power of self-leading learning from making student to analyze, discuss contents of art unit by themselves. The fifth, the authority have to support traditional art education continuously from composing contents of art text wit balance, promote teacher's study and training about traditional art connecting with art study organizations. The sixth, the authorities have to support various materials for art appreciation lessons with long term project at same time master's cognition changes about art education is needed. It could promote teachers to try to use it into a art lesson. The seventh, We can achieve educational aims if we could provide to student a lot of chances for attending to various programs through constructing museum or making village galleries like Free School in U.S.A and art club activities of village gallery in Ger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