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지원의 졸업 작품 「COSMOS」의 해설

        김지원 동덕여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63

        「COSMOS」라는 주제로 칼 세이건이 우주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 인류에게 전하고자 하는 바를 이 논문을 통하여 다시금 고찰하며 각 주제를 기반으로 작곡하여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이 뇌졸중환자의 상지기능, 자세조절 및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김지원 삼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이 뇌졸중환자의 상지기능, 자세조절 및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성인 뇌졸중 환자 24명이며 대상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 실험군 12명, 대조군 12명으로 진행하였다.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실험군은 30분씩 가상현실 환경에서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동일한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였다. 훈련은 주 3회 총 4주간 진행되었다. 훈련 전과 후에 상지 기능의 평가를 위해 MFT, BBT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세 조절 평가를 위해 BBS, PASS, K-TIS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우울감 평가를 위해 K-GDS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지기능에서 MFT와 BBT 항목은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며(p<0.05), 자세조절에서는 BBS, PASS 항목에서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그러나 K-TIS, K-GDS 검사에서는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본 연구를 통해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자세조절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기반 체간 중심 안정화운동이 뇌졸중 환자에게 효과적인 운동 방법이며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고, 임상에서 전통적 물리치료에 더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지르코니아 코어의 글라스 용융침투 후 적합도 평가

        김지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글라스 양과 글라스 처리면에 따른 글라스 용융침투가 지르코니아 코어의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지르코니아 코어의 적합도 평가를 위해 상악 우측 중절치 커스텀 어버트먼트 (Customized abutment; Dentium, Seoul, Korea)를 지대치로 사용하였다. 커스텀 어버트먼트는 6°의 경사와 1㎜ deep chamfer margin이 되도록 밀링(Cincom, Citizen, Tokyo, Japan)하고, 복제용 실리콘 인상재 (Elite Double 22; Zhermack SpA, Badio Polesine, Italy)를 사용하여 음형 몰드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음형 몰드에 치과용 초경석고 (Implant/scanning die stone, Talladium, Valencia, USA)를 주입하여 총 56개의 석고모형을 제작하고, CAD/CAM 시스템(3Shape's CAD Design software, 3Shape, Copenhagen K, Denmark)을 통하여 지르코니아 코어를 밀링(Zenotec select hybrid, Wieland Dental, Pforzheim, Germany)하였다. 대조군(Control)은 글라스를 용융침투 처리하지 않은 지르코니아 코어이며 실험군은 글라스와 증류수를 1:300, 1:100의 비율로 제조한 현탁액에 침지한 지르코니아 코어이다. 글라스 양에 따른 각 군은 글라스 용융침투 처리면에 따라 외면 처리, 내면 처리, 양면 처리 군으로 나누었다. 글라스 용융침투 후 최종 소결한 지르코니아 코어는 제작된 석고 모형에 합착 후 절단하여 협측과 설측의 변연 오차(absolute marginal discrepancy)와 내면 간격(internal gap)을 각각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협측 변연 오차는 1:300 비율의 글라스 용융침투 군이 1:100 비율의 글라스 용융침투 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 (p < 0.05). 협측 변연 오차는 글라스 처리면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 > 0.05). 2. 설측 변연 오차는 글라스 용융침투 양과 글라스 처리면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p > 0.05). 3. 협측 내면 간격은 글라스 용융침투 양과 글라스 처리면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p > 0.05). 4. 설측 내면 간격은 글라스를 외면에 처리한 경우와 내면에 처리한 경우, 1:300 비율의 글라스 용융침투 군이 1:100 비율의 글라스 용융침투 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 (p < 0.05). 설측 내면 간격은 글라스 처리면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 > 0.05). 이상의 실험 결과, 본 연구의 한계 내에서 글라스를 용융침투한 지르코니아 코어는 평균적으로 120㎛ 이내의 적합도를 보였으며, 이는 임상적 허용 범위를 만족한다.

      • 시추코어를 이용한 암반분류법간의 상관관계 연구

        김지원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암반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암반에 대한 세밀한 관찰과 현장시험을 실시하여 여러 가지 요소를 복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하지만 설계 단계에서 굴착구간의 암반을 세밀하게 관찰할 수 없는 조건에서는 부득이하게 시추코어를 이용하여 암반을 평가할 수밖에 없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또한 암반분류법들마다 암반평가의 기준이 상이하고 정량화가 되어 있지 않아 두 방법을 같이 적용하거나,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유추하여 서로 변환하여 이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화강암 시추코어를 이용하여 암반평가가 이루어진 자료들을 대상으로 암반분류법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RQD, RMR, Q-system, GSI 각각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암반분류법간의 상관관계식을 도출하고, 선행연구결과와 비교하여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자들의 상관관계들을 비교하였을 때, 제안자에 따른 암반분류방법, 암종, 현장관찰 또는 시추코어자료 적용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이들 항목이 고려된 체계적인 분류에 의한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시추코어만으로 정량화 된 GSI값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관관계 및 강도정수와 관계된 추가적인 연구에 의해 지속적으로 자료의 축적이 이루어 질 때, 그 신뢰도와 적용성은 커질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assess the condition of the rock mass, we must determine by a combination of several factor as the detailed observation and field test data on rock mass. However, the conditions of rock excavation can not be observed carefully at the design stage. Therefore we have no choice but to use borehole core. Also, due to different evaluation criteria and unquantitative guideline, sometimes we use combined two way, or infer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other. This study provides the correlation with rock mass classification methods using the borehole core of granite and derived correlation equations through analyzed correlation with RQD, RMR, Q-system, GSI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y compared to the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orrelation of the previous studies showed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rock mass class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oponents, rock type, the borehole core data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o apply. Future more comparative studies are needed according to these items based on a systematic classification. The evaluation method of quantified GSI system used in this study can be determined GSI value by borehole core data only.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data about correlation and strength parameters of rock mass in order to increase its reliability and applicability.

      • Dietary factors related to hypertension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adults

        김지원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Association between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risk of hypertension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adults Abstract Background: High fruit and vegetable (F/V) intake may be beneficial for hypertension prevention. However, a prospective association has not been investigated in a Korean population, and differences exist between typical diets in Korea and those of Western populations. Objective: The aim of this prospec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F/V intake and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adults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Design: The KoGES is a large community-based cohort study of Korean adults aged 40 to 69 years, which began in May 2001. Questionnaires on demographic information and lifestyle factors were completed at baseline. Anthropometrics and biochemical measurements were conducted biennially.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was assessed with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Hypertension was defined as a systolic blood pressure ≥ 140 mmHg or diastolic blood pressure ≥ 90 mmHg. Participants and setting: A total of 4,257 participants (2,085 men and 2,172 women) without hypertension at baseline were evaluated. Main outcome measures: The primary outcome was incident hypertension. Statistical analysis performed: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were used to examine hazard ratios (HRs) and 95% CIs for incident hypertension according to F/V consumption. Results: During the 8-year follow-up, 1,158 participants (606 men and 552 women) developed hypertension. Among men, frequent fruit consumers (≥ 4 servings/day) had a 56% lower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than did infrequent consumers (< 1 serving/day) (HR=0.44, 95% CI=0.32 to 0.60, P for trend <0.0001). Among women, frequent fruit consumers had a 67% lower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than did infrequent consumers (HR=0.33, 95% CI=0.24 to 0.45, P for trend <0.0001), after adjustment for potential confounders. However,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vegetable consumption and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in either men or women. Conclusions: A higher intake of fruit was prospectively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adults, regardless of sex.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attern and the incidence of hypertension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bstract We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the risk of hypertension, using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data. A total of 5,090 participants (2,457 men and 2,633 women) aged 40–69 years without hypertension at baseline were selected. Dietary patterns were obtained using factor analysis based on 26 food groups, evaluated by a validat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t baseline. Hypertension was defined as systolic blood pressure ≥140 mmHg or diastolic blood pressure ≥90 mmHg, or the use of antihypertensive medication using the biennial measurements.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were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hypertension. Four dietary patterns were extracted: Coffee, fat, and sweets; prudent; whole grains and legumes; and traditional (men)/Western (women). Women in the highest tertile of whole grains and legumes pattern scores showed a lower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compared with those in the lowest tertile (hazard ratio = 0.77, 95% confidence interval = 0.59–1.00, P-trend = 0.0480). Other dietary patterns were not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in either men or women. A diet rich in whole grains and legumes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hypertension in Korean women, suggesting a gender difference in the association between diet and hypertension. 고혈압은 전세계적으로 주요 공중 보건 문제 중 하나로 뇌졸중, 심근 경색, 울혈성 심부전, 신장질환, 말초혈관질환과 같은 심뇌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고혈압의 발병률이 증가 하고 있으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30세 이상 성인의 고혈압 유병율 이 2007년 남자 26.5%, 여자 23.8% 에서 2015년 남자 35.1%, 여자 29.1%로 증가하였으며, 단일 질환으로는 가장 높은 유병율을 보였다. 고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가족력, 비만, 흡연, 음주, 운동부족, 식 습관 등 다양한 요인들이 있다. 이러한 많은 요인들 중 식품군이나 식이 패턴을 포함하는 식이 요인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 여러 논문을 통해 밝혀지면서 서구를 중심으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에서 식이 요인과 식사 패턴을 포함하여 고혈 압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향성 추적 연구로, 질병관리본부에서 제공하는 한국인 유 전체 역학 조사 사업(KoGES)의 안성•안산 코호트 자료를 기본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건강조사, 검진조사, 영양조사 등에 모두 참여한 중 년 성인(40-69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식사 섭취 평가는 KoGES 자료의 103개 식품항목으로 구성된 식품섭취빈도조사를 활용하였다. 식품섭취빈 도조사에는 총 9개 항목의 1년간 평균 섭취 빈도 (거의 안 먹음, 월 1회, 월 2-3회, 주 1-2회, 주 3-4회, 주 5-6회, 일 1회, 일 2회, 일 3회)로 구 성되어 있으며, 평균 1회 섭취 분량 (더 적음, 기준량, 더 많음)으로 구성 되어 있다. 과일, 채소 섭취 및 다른 식품군의 섭취는 빈도와 양을 곱한 값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과일과 채소 섭취의 카테고리는 “거의 안 먹음”, “1 - <2회/일”, “2 -<4회/일”, “≥4회/일” 로 나누었다. 두 번째 연구 에서는 패턴 분석을 위하여 총 103개의 식품항목들을 26개의 식품군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고유값(eigenvalue)이 1.3 이상이 되는 요인을 추출하였고, varimax rot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요 인 적재량(factor loading)이 0.3 이상인 요인들을 추출하여 총 4개의 패턴 으로 추출하였다. 한국 성인에서 식이 요인 및 식이 패턴과 고혈압 위험의 관련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간-종속 Cox 비례 위험 회귀 모델(time- dependent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을 통해 위험률(hazard ratios, HRs)과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고, 성별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학적 분석은 SAS version 9.4 (SAS Institute, Cary, NC)를 이용하였다. 첫 번째 연구에서, 조사에 참여한 대상자 중 과일의 섭취가 많은 그룹 이 거의 먹지 않는 그룹에 비하여 고혈압의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 졌다. 그러나 채소 섭취와 고혈압의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남성 에서는 과일을 하루에 4번 이상 섭취한 그룹이 거의 먹지 않은 그룹에 비 하여 고혈압의 발병률이 56% (HR = 0.44, 95% CI = 0.32-0.60, P for trend <0.0001)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여성에서는 과일을 하루에 4번 이상 섭취한 그룹이 거의 먹지 않은 그룹에 비하여 고혈압의 발병률이 67% (HR = 0.33, 95% CI = 0.24-0.45, P for trend <0.0001)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남녀 모두에서 채소 섭취와 고혈압의 관련성은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여성에서 과일 채소를 모두 하루에 4번 이상 섭취한 그룹이 거의 먹지 않은 그룹에 비하여 고혈압의 발병률이 38% (HR = 0.62, 95% CI = 0.41-0.91, P for trend 0.0916)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남 성에서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두 번째 연구에서, 식사 패턴 추출을 위하여 26개의 식품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요인 분석을 통하여 한국 성인이 섭취하고 있는 대표적인 네 가지의 식사 패턴을 확인하였다. 추출된 네 가지 식사 패턴은 다음과 같다. 1)커피, 지방, 설탕 패턴 2)건강 패턴 3)잡곡, 콩 패턴 4)전통 식사 패턴(남성) / 서구 식사 패턴(여성). 본 연구에서는, 여성에게서만 잡곡류와 콩류를 포함하는 식사 패턴에서 고혈압과의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다. 잡곡 류•콩류 식사 패턴의 섭취가 높을수록 여성에서는 고혈압 발병률이 25% (HR = 0.75, 95% CI = 0.58-0.97, P for trend = 0.029) 낮아지는 경향을 보 였다. 그러나 남녀 모두에서 잡곡, 콩류 패턴 외 세 가지의 식사 패턴과 고혈압의 관련성은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중년 성인에서 식이 요인과 고혈압과의 관련 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과일, 잡곡, 콩류 섭취와 고혈압의 관련성이 유의적인 역의 관련성을 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일 섭취와 잡 곡, 콩류의 섭취가 강조되며, 고혈압의 효과적인 예방 및 관리를 위하여 식사 전략 및 가이드라인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추후 연구에서 다양한 무작위 대조군 중재 연구 및 메타 분석의 기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 단어: 고혈압, 채소, 과일, 식이 패턴, 한국 중년 성인

      • 한국 노동안전보건운동단체들의 전문성의 정치

        김지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 노동안전보건운동단체들인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노동건강연대,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산재추방운동연합, 건강한 노동세상, 이 다섯 단체들의 보건사회운동을 사회학적으로 조명한다. 설립 배경, 회원의 구성, 주요 활동 분야는 다르나 다섯 단체들 모두 노동자의 건강 불평등 문제를 사회적 의제로 만들어왔다는 점, 산업 재해 노동자들의 사회보장 서비스를 개선하고자 시도해왔다는 점, 노동자의 아픈 몸을 증거로 기존 과학·의료 지식에 저항해왔다는 점은 동일하다. 이론적으로 이 논문은 다섯 단체들의 보건사회운동을 전문성의 정치의 틀로 분석하고자 한다. 다섯 단체들은 ‘노동환경’, ‘산업 재해’, ‘근골격계 질환’을 중심으로 법제화 및 노동현장의 실천적 변화를 시도해왔으며 그 과정에서 연대와 경쟁을 경험한다. 논문은 ‘노동자 건강권 수호’라는 공동의 목표를 둔 동맹으로서의 단체들의 활동과 노동자 및 사회로부터 신뢰를 얻기 위한 경쟁자로서의 이들의 활동을 동시에 포착하고자 한다. 논문은 단체들의 전문성의 정치를 노동안전보건을 둘러싼 주요한 네 주체인 노동, 과학, 정부, 기업과의 관계 속에서 포착하고자 한다. 연구를 통해 노동자 건강권 관련 법제화를 추구하는 단체들일수록 과학, 정부와의 연대가, 노동현장의 실천적 변화를 추구하는 단체들일수록 노동과의 연대가 보다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socially illuminates the social health movements of five organizations representative of Korea’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ovement groups. These include the Institute for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the Solidarity for Worker’s Health, the Korea Institute of Labor Safety and Health, the Industrial Disaster Campaign Union, and the Solidarity for a Healthy Labor World. The establishment background, member composition, and primary activity fields differ, but all five of these groups correspond with one another in that they have made issues such as the health complaints of workers into social agendas, attempted to improve social security services for workers who have been in industrial accidents, and have challenged existing scientific and medical knowledge with evidence of ill health among workers. Theoretically,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social health movements of these five groups under the framework of the politics of expertise. These five groups have focused on ‘working environments’, ‘industrial accidents’,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while making endeavors in the legislation and practical transformation of the workplace. In this process, they also experienced solidarity and competition. This study intends to capture the activities of these groups as an alliance that has established the common goal of ‘protecting worker health rights’ and as well as competitors to gain trust from workers and society. This study intends to capture the politics of expertise in these groups within the relationships of the four primary agents of labor, science, government, and enterprise that surround worker safety and health. This study verified that solidarity with science and government is ever more important for groups pursuing legislation related to worker health rights, and that solidarity with workers is ever more important for groups pursing practical changes in the workplace.

      • 웹 보안성 및 성능 향상을 위한 양자키 분배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김지원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advancemen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personal information and confidential data that are stored and accessed on the web is becoming more prevalent. The valuable information when either stolen or illegally acquired by others will not only exploit those individuals involved but also can bring about social chaos and turmoil. Recently, with the emergence of security threatening issues, such as malignant code, zombie PC, etc., information security has become a critical issue causing a grave public concern. Under such situation, today quantum cryptography system is being considered as one of the advanced alternatives to address the challenge. Current internet security technology, Secure Socket Layer(SSL) is most widely used web security protocols in the world; its cryptography system is designed, mostly based on the modern password, utilizing mathematical calculation. As such, one vulnerably for SSL is the public-key based cryptographic algorithm during the Handshake Protocol. In fact, the public-key based cryptography system has proven to be easily compromised when quantum computers are introduced. This study examines the vulnerability displayed during the handshake process and suggests encrypting MD5 and hash function after key distribution by utilizing BB84 protocols and GHZ states swapping for RSA based handshake protocol with Diffie-Hellman algorithm based handshake. The suggestion implies by applying the quantum key distribution protocol only for distributing the encrypted key while preserving the existing algorithm system, and accordingly, the quantum handshake has the advantage of being highly extensible. Furthermore, the enhanced protocol with its strengthened security makes it improbable for tapping or intercepting. There are limitations in applying quantum in web security for commercial use; howeve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hen technical issues are resolved, the quantum protocol will definitely demonstrate as an outstanding feature of highly impenetrable security.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웹상에 존재하는 개인정보보호나 기밀정보도 나날이 증가되어 가고 있다. 이런 신중하게 다루어야 할 정보들을 송·수신자와 관련 없는 제 3자가 가로채거나 불법으로 취득하면 사회적으로 엄청난 피해와 혼란이 일어날 수 있다. 최근, 악성코드, 좀비PC 등 각종 정보보안 문제가 대두되고 있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양자암호를 손꼽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인터넷 네트워크 보안 기술인 SSL(Secure Socket Layer)은 웹 보안 프로토콜로 현대 암호인 수학적 계산을 근간으로 암호체계이다. 이를 바탕으로 한 SSL의 핸드셰이크 과정 중에 사용되는 공개키 기반의 암호 알고리즘은 매우 취약하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다. 사실상 공개키 기반의 암호체계는 양자 컴퓨터 도입 시 쉽게 복호화 되는 것이 증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SL의 RSA 기반의 핸드셰이크 프로토콜과 Diffie-Helman 기반 핸드셰이크의 취약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양자의 특성을 이용하였다. BB84 프로토콜과 GHZ 상태 얽힘 교환을 이용하여 키를 분배하고 이것을 MD5와 해시함수로 암호화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은 기존 알고리즘 체계를 그대로 유지한 채 암호 키 분배만을 양자 키 분배 프로토콜을 적용하는 것으로 확장성을 용이하고 양자암호의 장점을 이용하여 도청이나 가로채기가 불가능한 보안성이 향상된 프로토콜이다. 아직까지는 양자암호를 웹 보안에 적용하는 것은 상용화에 한계가 있으나, 기술적인 문제만 해결된다면 웹 보안의 확장성과 보안성이 우수한 프로토콜임을 이 연구에서는 보여주었다.

      • 보건소 방문간호 서비스 경험 평가 도구개발 :

        김지원 인제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Development of Service Experience Evaluation Tool for Visiting Nurses of Public Health Center in Korea Jiwon Kim (Advisor: Prof. Nam-Hee Park, Ph.D.)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tool for clients’ experience of visiting nursing service provided by visiting nurses of public health center in Korea. Detailed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objective is to examine the components and dimensions of the service provided by visiting nurses of public health center. Second is to develop survey questionnaires for measuring clients’ experience of visiting nursing service. Third is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tool. Methods : This study is built upon Clark’s theory (2008) of community nurse role model and the 8-stage tool development methodology suggested by DeVellis (2012). Visiting nurse’s jobs and tasks were analyzed based on results from the preceeding studies including Nam & Cho’s study (2015) to construct the measurable components and domains of visiting nursing service through literature review followed by a series of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ith visiting nursing staff of public health centers, health policy experts and professors of community nursing discipline. Through FGIs and Delphi methods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classified and refined according to the five-dimension SERVPERF model suggested by Cronin & Tayler (1992), and then reviewed by a professor of education methodology. Data to validate the evaluation tool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administered to 200 visiting nursing service recipients from a public health center located in G city (148 persons or 74% responded), and its statistical analyse conducted using SPSS 28.0 program includ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test validity, reliability test with Cronbach’s alpha,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survey components. Results :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 tentative list of questionnaires with forty two measurable items were derived through several rounds of focus group interviews with nursing professors, health policy experts and visiting nursing staff, and later twenty five items were determined as a preliminary test set after a series of revision and removal from the aforementioned tentative set. Second, the 25-item preliminary survey tool comprised five 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which include 4 items for Tangibles, 9 items for Reliability, 3 items for Responsiveness, 7 items for Assurance, and 2 items for Empathy. Third, after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nly 14 items survived, being categorized into five dimensions of the SERVPERF model: 2 items for Tangibles, 3 items for Reliability, 3 items for Responsiveness, 4 items for Assurance, and 2 items for Empathy. However, three binary response items (including two items for Reliability and one item for Assurance) recommended by visiting nursing professionals and one more item with 11-point scale measuring general service experience were added to those statistically validated 14 items. The final version of evaluation tool to measure service experience for visiting nurse of public health center is comprised of 18 items. Conclusion : This study tried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tool for evaluating the clients’ experience of visiting nursing service provided by visiting nurses of public health center in Korea for the first time, and it would serve as a decent starting point to further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community nursing care. Key words : Public Health Center, Visiting Nurse, Visiting Nursing Servic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Service Experience,

      • 12주간 라인댄스가 여성노인의 BDNF, DHEA-S와 에스트로겐, Apolipoprotein B에 미치는 변화

        김지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12주간 라인댄스가 여성노인의 BDNF, DHEA-S와 에스트로겐, Apolipoprotein B에 미치는 변화 김 지 원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스포츠과학과 본 연구는 60-70세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12주간 라인댄스 프로그램이 치매 예방인자 및 노화지연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대상자 선정은 자발적 참여를 동의한 60-70대 여성노인을 10명의 통제그룹과 10명의 라인댄스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운동기간 중 성실히 참가하지 않은 1명을 제외시킴으로 라인댄스그룹 9명과 통제그룹 10명, 총 1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12주간의 라인댄스 프로그램은 노인들이 쉽고 재미있게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경쾌한 음악(32count)에 맞추어 스텝을 밟는 동작으로 구성하여 주 3회 실시하였다. 매회 준비운동 10분, 본운동 40분, 정리운동 10분, 총 60분간 11-14 RPE 로 12주간 실시하였다. 분석항목으로는 BDNF, DHEA-S와 에스트로겐, Apolipoprotein B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12주간 라인댄스 프로그램 실시 후 BDNF는 라인댄스 그룹에서 증가하였으나 통제그룹과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12주간 라인댄스 프로그램 실시 후 DHEA-S는 라인댄스 그룹에서 증가하였으나 통제그룹과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12주간 라인댄스 프로그램 실시 후 Estradiol(E2)는 라인댄스 그룹에서 증가하였으나 통제그룹과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12주간 라인댄스 프로그램 실시 후 Apolipoprotein B(Apo-B)는 라인댄스 그룹에서 감소하였으나 통제그룹과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12주간 라인댄스 프로그램이 BDNF, DHEA-S와 에스트로겐, Apolipoprotein B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되며 치매예방 및 노화를 지연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 포용적 미술관에서의 사회문화예술교육 사례 연구 : 2017 아르코미술관 대표작가전 <강익중, 내가 아는 것> 중심으로

        김지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the social role of state and public art museums has been expanded as public social organizations by build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society. According to such changes, this research focuses on art museums providing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and exchange of new communities and explores directions for art museums in Korea in order to expand their social roles based on the concept of an ‘inclusive museum,’ which has been discussed in other countries. Additionally, it aims to discuss the necessity of various types of social participatory art museum programs reflecting the significance and purpos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using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as the tool for realization. Since inclusive museums include all museums including art museum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investigating the concept of an inclusive museum centering on art museums and drawing a conceptual definition of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understanding inclusive art museums and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it was discovered that the two have similar directions based on the same context and that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a very important device and direction for art museums to realize inclusive value by expanding the social role of art. Furthermore,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areas where the concept of an inclusive museum is applied in Korea and explored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choosing two state and public art museums in Korea that are considered to put their visions and strategies on inclusive value. However,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ere limitations for the operated exhibitions and education programs to be considered to completely reflect the significance and purpose of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As such, this research reviewed the form and appearance of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that can be realized in inclusive art museums and selected and analyzed the 2017 Arko Art Center's Representative Artist Exhibition, ‘Ik-Joong Kang, <Things I Know>’ based on the research purpose of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By drawing the following four characteristics of ‘social participatory art projects focusing on educational intention’ that can be seen according to the operational types of changed art museums through case analysis,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at inclusive art museums can be predicted: First, cooperation with participants determines cultural production. Second, the form of education is free, random, and open, and it pursues sustainability. Third, education is developed focusing on process; teaching is conduc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content and goal of the education; and the process of education itself constitutes the core of art activity and artwork. Fourth, as there are only common participants instead of teachers or students, the participants are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and they perform culture and art activity as active and autonomous learning. Through the change in operations of art museums that aim to put importance on ‘inclusive value’ and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art museums will be able to interact with various communities and be connected with them more closely. Moreover, people share and participate in culture and art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surrounding society, and exist as sound members in society by growing as participating citizens and improving community spirit. State and public art museums are required to provide the foundation for common social space for new communities by expanding their social role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carrying out relevant research activities. 오늘날 국·공립 및 공공 미술관은 공공의 사회적 기관으로서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사회적 역할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와 함께 이와 더불어 새로운 공동체들을 위한 참여와 교류의 장으로 기능하고자 하는 미술관에 주목하고 뮤지엄의 사회적 역할 확대를 위한 방안으로 국외에서 논의되고 있는 ‘포용적 박물관(Inclusive Museum)’ 개념으로 국내 미술관의 방향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그 실현으로서의 장치를 ‘사회문화예술교육’에 두고, 문화예술교육의 의의와 목적을 반영한 다양한 형태의 사회 참여적 미술관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포용적 박물관(Inclusive Museum)의 범주가 미술관을 포함하는 모든 뮤지엄을 대상으로 하고 있음에 따라 미술관(Art Museum)을 중심으로 포용적 박물관 개념을 살펴보고,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개념적 정의를 도출하는 것으로 연구의 진행이 이루어졌다. 포용적 미술관과 사회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통해 포용적 미술관과 사회문화예술교육은 그 맥락을 같이 하며 비슷한 지향점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사회문화예술교육은 예술의 사회적 역할 확장에 따른 실천으로 미술관의 포용적 가치 실현을 위한 매우 중요한 장치이자 방향임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포용적 박물관 개념의 국내 적용의 영역을 살펴보고, 비전과 전략을 포용적 가치에 두고 있다고 판단되는 국내 국·공립 미술관 두 곳을 선정하여 사회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운영된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들이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의의와 목적을 온전히 담고 있다고 보기에는 한계점이 있다고 판단됨에 따라 포용적 미술관에서 실현될 수 있는 사회문화예술교육의 형태와 모습을 살펴보고, 여기서 드러나는 특징과 의의를 찾아보고자 하는 연구 목적에 기반하여 2017 아르코미술관 대표작가전 <강익중, 내가 아는 것>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변화된 미술관의 운영 형태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교육적 의도에 중점을 둔 사회 참여적 예술 프로젝트’의 특징을 다음의 네 가지로 도출해봄으로써 포용적 미술관에서의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예측해볼 수 있다. 첫째, 참여자들과의 협업이 그 문화적 생산을 좌우한다. 둘째, 교육의 형식은 자유롭고 우연적이며 개방적인 성격으로 나타나며 지속 가능성을 지향한다. 셋째, 교육은 과정 중심으로 전개되고 교수법은 교육의 내용 및 목표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교육 과정 자체가 예술 활동 및 예술 작품의 핵심이 된다. 넷째, 교수자와 학습자가 아닌 공동 참여자만 존재함에 따라 참여자들은 수평적 관계 속에서 함께하며 능동적이며 주체적인 배움으로서의 문화예술 활동을 전개해나간다. ‘포용적 가치’를 중요하게 인식하고자 하는 미술관 운영의 변화와 ‘사회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미술관은 다양한 공동체들과 관계하며 그들과 더욱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람들은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참여함으로써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사회를 이해하고, 참여하는 시민으로서의 성장을 통해 공동체성을 함양함으로써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존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국·공립 미술관 및 공공 미술관은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사회적 역할 확장과 함께 이에 대한 연구 활동을 함으로써 새로운 공동체들을 위한 공동의 사회적 공간을 마련해 줄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