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요양병원 상사의 특성과 통제가 상사신뢰에 미치는 영향

        이석재 한북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55

        노인 요양 병원 내 직원들의 상사특성을 알아보며, 통제에 따른 상사신뢰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분석하여 향후 노인요양병원의 돌봄 환자안전관리 활동이 보다 효과적이며 체계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요양병원의 상사특성은 직원의 능력통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62.3%였다. 상사특성의 하위변인별로 살펴보면, 배려성, 업무능력, 회계 및 재무능력 도전성 순으로 직원의 능력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사의 배려성이 높을수록, 업무능력이 높을수록, 회계 및 재무능력이 높을수록, 도전성이 높을수록 직원의 능력통제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노인요양병원의 상사특성은 직원의 활동통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설명력은 47.8%였다. 상사특성의 하위변인별로 살펴보면, 업무능력, 도전성, 회계 및 재무능력 순으로 활동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사의 업무능력이 높을수록, 도전성이 높을수록, 회계 및 재무능력이 높을수록 직원의 활동통제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노인요양병원 상사의 배려성은 직원의 활동통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요양병원 상사의 통제수준은 직원의 상사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설명력은 66.5%였다. 상사의 통제수준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능력통제, 활동통제 순으로 상사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사의 능력통제와 활동통제가 높아질수록 직원의 상사신뢰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상사 특성과 상사신뢰의 관계에서 상사통제의 매개역할을 분석한 결과 능력통제와 활동통제는 상사특성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사의 업무능력, 회계/재무지식, 배려성, 도전성과 상사신뢰 간의 관계에서 능력통제와 활동통제는 부분매개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상사의 업무능력과 회계 및 재무지식, 배려, 도전에 대한 조율안내, 지도의 능력에 맞는 활동통제는 상사신뢰를 높여 주는 변수임이 판명되었으며, 또한 상사의 특성에 따른 매개에 따라 상사의 신뢰를 높여주는 매개요인임을 입증시켜 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노인요양병원에서의 상사의 직무특성에 따른 배려와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한 적당한 통제가 제공될 때 상사의 신뢰 또한 높아져 노인요양병원 서비스의 개선과 환자 지향적인 돌봄 서비스를 통해 수준 높은 서비스 실현이 가능한 변수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노인요양병원에서의 상사의 업무적 관심과 지도를 통한 적절한 직무특성에 맞는 역할과 함께 수행직원의 능력과 활동역할에 맞는 통제는 오히려 상사의 거부감이나 권위적인 일반 생각보다 적절한 통제와 조율이 상호신뢰를 높여주는 기제로서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됨을 시사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 노인여가 프로그램의 운영효율성과 이용만족도 간의 관계

        정인숙 한북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55

        【Abstract】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the User Satisfaction of the Leisure Programs for the Aged In-Sook Jeong Major of Social Welfare,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Knowledge and Social Welfare Hanbuk University Korean society is rapidly transforming into an aging society, and the sociological changes of population caused by it bring about substantial changes of the political view as well as the study. Furthermore the demand for the aged welfare is gradually increasing. In oder to meet this demand for the aged welfare, the government suggested that at least one senior welfare center be built in each city·county·borough in 2009. But the plan for the senior welfare center practically had many limitations on the finance, the location and the programs. Operating the senior welfare center for consumer-directed services is linked to the recent survey about the user satisfaction. The survey about the user satisfaction is inevitable to develop professional services and programs which meet the elderly's demand, and to provide a better environment.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the user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s for the aged , and to seek for solution to improve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the user satisfaction. In this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at three senior welfare centers in three cities (U, D, P) of Northern Gyeonggi Province. Of the leisure programs for the aged, three programs which had in common, the dance sports class, the singing class and the computer class,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operational efficiency, the effectiveness was measured using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based on input factors(the budget input, the number of staffs, the number of instructors, and the class hours) and output factors(the number of users). User satisfaction was investigated using the questionnaires about the dance sports class, the singing class and the computer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listed below. First, the programs in 'the situations that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user satisfaction are high' should make desperate efforts to prevent the breakaway of users in order to maintain relatively high present operational efficiency, and should not push forward with input factors such as the budget and staffs excessively in the name of increasing the user satisfaction. [U Dance] and [U Song] are the programs in this situation. Second, the programs in 'the situations that the operational efficiency is low and user satisfaction is high' need an endeavor at improvement to reduce input factors such as the budget, the class hours, the number of staffs, the number of instructors and so on. [D Computer] and [U Computer] are the programs in this situation. Then, the programs in 'the situations that the operational efficiency is high and user satisfaction is low' need increasing the input of factors such as facilities, the budget, staffs and instructors, and upgrading to improve the user satisfaction not reducing relatively high operational efficiency. [P Song], [P Dance] and [D Song] are the programs in this situation. Lastly, the programs in 'the situations that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user satisfaction are low' need the aggressive marketing strategies and public relations which can raise input factors such as the budget, the class hours, the number of instructors, the number of staffs and so on, increase the user satisfaction, and develop and attract potential users in order to enhance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user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P Computer] and [D Dance] are the programs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has the limits that there were no standardized criteria to measur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that some errors could be included in that the elderly subjects didn't understand exactly the intention of researchers and then gave ridiculous answers, and that although the programs were similar, the satisfaction levels could be different because of other various external factors(school fees, the running of shuttle buses and so 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suggests the ways to enhance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user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by measuring which situations the leisure programs of senior welfare centers are in, in terms of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user satisfac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한국사회의 급속한 고령화로 야기된 인구사회학적 변화는 학문뿐만 아니라 정책의 관점까지도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노인복지의 수요도 점차 커져가고 있다. 이러한 노인복지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2009년 정부는 각 시ㆍ군ㆍ구에 최소 1개소 이상의 노인복지관 건립을 원칙으로 내세웠으나, 현실적으로 노인복지관은 재정문제, 입지나 프로그램에 있어서 많은 제약을 나타냈다. 수요자 중심의 노인복지관 운영은 이용노인의 만족도에 대한 최근의 조사의 흐름에 연계되어 있다. 노인들의 욕구를 파악하여 욕구에 부합하는 전문적인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다 나은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만족에 관한 조사는 불가피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여가 프로그램의 운영 효율성과 이용 노인의 만족도의 관계를 파악하여 운영의 효율성과 이용만족도의 향상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자료조사는 경기북부 3개시(U, D, P)를 선택하여 그곳의 노인복지관 세 곳을 대상으로 노인여가 프로그램 중 성격이 유사하거나 공통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댄스 스포츠 교실, 노래 교실, 컴퓨터 교실의 3개 프로그램을 선정하였다. 운영효율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DEA(자료포락분석)방법을 활용하여 투입요소(프로그램에 투입된 예산, 프로그램 전담 직원수, 교ㆍ강사 수, 시간 수)와 산출요소(이용자 수)를 정하여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이용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노인여가 프로그램 중 댄스스포츠, 노래,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해 설문지 기법을 이용하여 이용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영효율성도 높고 이용만족도가 높은 국면’에 해당되는 프로그램들은 현재의 비교적 높은 상태의 운영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이용자들의 탈락방지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하고, 이용만족도를 높이는 명분으로 예산, 인력의 확충 등 투입요소를 과도하게 추진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 국면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에는 [U댄스]와 [U노래]가 있다. 둘째, ‘운영효율성은 낮고 이용만족도가 높은 국면’에 해당되는 프로그램들은 투입의 측정지표인 예산, 시간 수, 직원 수, 강사 수 등 투입요소를 줄이기 위한 개선노력이 필요하다. 이 국면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에는 [D컴퓨터]와 [U컴퓨터]가 있다. 셋째, ‘운영효율성은 높고 이용만족도는 낮은 국면’에 해당되는 프로그램들은 비교적 높은 운영효율성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이용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시설, 예산, 직원, 강사의 투입을 증가시키고, 프로그램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국면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에는 [P노래], [P댄스], [D노래]가 있다. 넷째, ‘운영효율성도 낮고 이용만족도도 낮은 국면’에 해당되는 프로그램들은 운영효율성과 이용만족도를 동시에 높이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에 투입되는 예산, 시간 수, 강사 수, 직원 수 등 투입요소를 상향조정해서 이용만족도를 높이고 잠재 이용자수를 개발하여 유치하는 적극적 마케팅과 홍보가 필요하다. 이 국면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에는 [P컴퓨터]와 [D댄스]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효율성과 만족도를 측정하는 표준화된 척도가 없다는 점, 조사대상인 노인 응답자들이 연구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함으로 인해 설문의 본래 의도와 다른 응답을 함으로써 발생한 오류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유사한 프로그램이라도 여러 가지 외적 요인들(수업료, 셔틀버스 운행 등)에 의해서 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 등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현재 노인복지관의 여가프로그램들이 운영효율성과 이용만족도의 측면에서 어느 국면에 해당되는지를 측정해 봄으로써 운영효율성과 이용만족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배우자 역할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조해선 한북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39

        Abstract Phenomenological Study on Spouse Role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Cho, Hae-seon Dep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Knowledge and Social Welfare Hanbuk University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 for successful marriage and adaptation improvement to stable rural community as deeply examining husband and wife role and experience recognized by female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It is ultimately to establish social support system as providing basic material for stable early adaptation of rural multicultural family wife as a rural community member, policy and system for improve quality of life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 This study performed quality study to examine cognition and experience as it is about wife role of female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Specifically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13 female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was analyzed through phenomenological method. The summari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At first, as the results of analysis on wife's cognition about husband role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they were 'nice and warm man', 'no special thought', 'clean and cool looking man', 'man without straitening wife', 'husband taking care of housekeeping', 'having independent family' and 'strong responsibility to children'. Female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did not deeply think about husband's role at international marriage, but it could be known that vague longing for rich country, Korea by Korean wave and its expectation continued to expectation on husband. Also, because of lack of prior investigation and understanding about Korea culture, it could be known that they considered own country's social mood, family and marriage culture to be existed in Korea. At second, as the results of analysis on experience of husband role by females in rural multicultrural family, they were 'good-tempered and nice to me', 'adjust to me', 'irresponsibility and apathy', 'cannot lean to him', 'no housekeeping', 'intermediate role between his family', 'more taking care of children, parents and relatives', 'drink, gambling and violence'. The experience of husband role was little different from cognition of husband role by females in rural mulitcultural family. It could be known that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co-existed in experience of husband role cognized by females in rural mulitcultural family, At third, as the results of analysis on cognition of wife role by females in rural multicultrural family, they were 'nice to husband', 'not full responsibility of housekeeping', 'child birth and raising', 'equal relation with husband family', 'never think about it'. They were recognizing that the wife role is to be nice to husband and birth and raise children, and they also thought that they should be nice to husband family such as well preparing basic food, clothing and shelter and traveling own country with husband's parents, etc. At fourth, as the results of analysis on experiment of wife's role by female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in this study, they were 'keep staying at home', 'must adjust to Korea (husband and his family)', 'must accept husband and Korea culture', 'my responsibility of children', 'conflict with husband family', 'farming and economic activity', 'I waive more frequently'. Based on above results and discussion, this study concluded as follows. At first, as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cognition of husband role and wife role by female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it could be known that most female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had weak cognition on wife role of what should provide to husband as a wife but they rather thought more frequently about what kind of husband can be good or husband role expecting that he provided this to me. At second, as examining the experience difference between husband role and wife role, it was found that both husband role and wife role experienced by female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is relatively big in weights on husband family. The rearing and education of children was definitely wife role and emotional interaction necessary for intimate couple relations was made. At third, as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experience and cognition of husband role, females considered personal,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husband and relations with herself as a wife before marriage, but after marriage in Korea, they were greatly affected by the relations with husband family and relatives and husband role was more biased on taking care of husband family and relatives.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family range in Korea society is wider than thoughts of females in multicultural family and accordingly role of couples is more diverse. At fourth, as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cognition and experience of wife role, female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had weak cognition and did not deeply think about wife role. On the other hand, they were forced to accept husband, husband family and Korean culture as wife roles in Korea and deeply participated in farming and economic activities. Wife role showed changes with time and it was directly and indirectly forced to keep staying home, give birth and raise children and adjust to husband and husband family at early marriage. They had conflicts with husband family but showed to be gradually given up. Afterwards, they actively changed to be adapted to Korean society and showed to become attached to husband and Korean culture and accept them in mind. This study has meaning of providing basic materials for successful marriage of female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and improvement of stable rural community adaptation as deeply examining the experience and cognition on wife role which is the reason for female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to emigrate to Korea and the most core factor. 국 문 요 약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배우자 역할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이 인식하는 남편, 아내의 역할과 경험을 있는 그대로 심도 있게 탐색함으로써 성공적인 결혼생활과 안정적 농촌사회 적응능력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이 농촌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안정적인 조기 정착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및 제도,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지원체계를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배우자 역할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있는 그대로 살펴보기 위하여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 13명을 심층면접한 결과를 현상학적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착하고 따뜻한 남자’, ‘그냥 별 생각 없었음’, ‘깨끗하고 멋있게 보이는 사람’, ‘아내를 고생 안 시키는 남자’, ‘가사는 내 몫이 아닌 남편 몫’, ‘독립된 가정 꾸리기’, ‘자식에 대한 책임감이 강함’ 이었다.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들은 국제결혼을 하면서 남편의 역할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는 않았지만 막연하게 잘 사는 한류의 나라 한국에 대한 동경과 함께 그에 대한 기대가 남편에 대한 기대로 이어져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의 문화에 대한 사전 조사와 이해가 부족하여 자신의 출신국에 존재하는 사회분위기 및 가족과 부부문화가 한국에도 존재할 것이라고 여기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에 대한 경험을 분석한 결과 ‘마음이 좋고 잘 해줌’, ‘나에게 맞춤’, ‘무책임과 무관심’, ‘마음을 기댈 수 없음’, ‘집안 일 별로 안함’, ‘시댁과의 중간역할’, ‘아이와 부모, 친척 먼저 챙김’, ‘술과 도박, 폭력을 함’이었다.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에 대한 경험은 남편역할에 대한 인식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들이 지각하는 남편역할에 대한 경험은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이 함께 공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아내역할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신랑에게 잘 함’, ‘가사는 내 몫이 아님’, ‘아이 낳아서 키움’, ‘시댁과 대등한 관계’, ‘그런 생각 한 적 없음’이었다. 신랑에게 잘 해주고 아이를 낳아서 키우는 것이 아내의 역할이라고 인식하며, 기본적인 의식주를 잘 준비해 주고 시부모와 자신의 출신 국으로 여행도 가는 등 잘 해 드려야 한다는 생각도 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아내역할에 대한 경험을 분석한 결과 ‘계속 집에 있음’, ‘한국(남편, 시댁)에 맞춰야 함’, ‘남편과 한국문화를 수용함’, ‘아이는 내 몫임’, ‘시댁과의 갈등’, ‘농사와 경제적 활동’, ‘내가 많이 포기함’이었다. 이상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과 아내역할 인식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 대부분이 아내로서 남편에게 무엇을 해줄까 하는 아내역할에 대한 인식에 대한 내용은 상당히 빈약하였으며, 자신이 담당해야 할 아내의 역할보다는 남편이 어떤 사람이면 좋은가, 나에게 이런 걸 해주면 좋겠다고 바라는 남편역할을 상대적으로 더 생각을 많이 해 본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남편역할과 아내역할 경험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이 경험한 남편역할과 아내역할 모두 시댁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이 밝혀졌다. 아이의 양육과 교육은 확실히 아내의 역할이었으며, 부부간의 서로 친밀한 부부간에 필요한 정서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남편역할 인식과 경험 간의 차이를 비교해 보면, 여성들은 결혼 전에는 배우자로서 남편의 개인적, 정서적 특징과 아내인 자신과의 관계만 생각하였다면, 한국으로 결혼해서 이주한 후의 결혼생활은 시댁과 친척과의 관계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으며 남편의 역할도 시댁과 친척을 돌보는 것에 많은 부분이 치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한국사회의 가족의 범위가 다문화가정 여성이 생각했던 것보다 넓다는 것이며 이에 따라 부부의 역할이 더욱 다양해짐을 의미한다. 넷째, 아내 역할 인식과 경험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앞에서도 언급하였지만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은 아내역할에 대한 인식은 빈약하고 깊이 생각하지 않았다. 반면 한국에서 아내의 역할 중 남편, 시댁과 한국문화를 수용할 것을 강요당하고 농사와 경제적 활동에 많이 참여하고 있었다. 아내의 역할은 시간적 흐름에 따라 변화를 보이는데 결혼 초기에는 계속 집에 있고 아이를 낳아서 키우며, 시댁과 남편에 맞춰야 한다는 것을 직접적, 간접적으로 강요받았다. 시댁과 갈등을 빚기도 하지만 차츰 포기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아이를 위해 한국사회에 적극적으로 적응해가려고 변화하며, 점차 남편과 한국문화에 정이 들고 마음으로 수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이 한국으로 이주해 온 이유이자 가장 핵심적인 요인인 배우자역할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심도 있게 살펴봄으로써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성공적인 결혼생활과 안정적 농촌사회 적응능력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자원봉사자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관여도, 만족도, 직무충실도 간의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이영춘 한북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39

        국문초록 자원봉사자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관여도, 만족도 및 직무충실도 간의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 본 연구는 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지속을 위해 재교육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는데 재교육 프로그램 관여도의 하위요인별 동기유발, 대인관계 기술, 문제해결 능력은 재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사회적 책임감, 사회적 활동,개인적 생활, 자아실현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충실도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교육 프로그램 관여도가 사회적 책임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결과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책임감의 향상을 위해서는 재교육 프로그램 관여도의 하위요인별 동기유발, 대인관계 기술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재교육 프로그램 관여도가 사회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4.3%이고, 회귀분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활동의 향상을 위해서는 재교육 프로그램 관여도의 하위요인별 대인관계 기술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재교육 프로그램 관여도가 개인적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0.8%이고, 자원봉사자의 개인적 생활의 향상을 위해서는 재교육 프로그램 관여도의 하위요인별 대인관계 기술, 문제해결 능력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넷째, 재교육 프로그램 관여도가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4.8%이고, 자원봉사자의 자아실현의 향상을 위해서는 재교육 프로그램 관여도의 하위요인별 동기유발, 대인관계 기술, 문제해결 능력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재교육 프로그램 관여도가 직무충실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8.7%이고, 자원봉사자의 조직충실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재교육 프로그램 관여도의 하위요인별 대인관계 기술, 문제해결 능력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자원봉사자의 직무충실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사회적 책임감, 개인적 생활, 자아실현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자원봉사에 참여하고 있는 자원봉사자들은 재교육에 대한 관여도와 만족도가 높을수록 높은 직무충실도가 있으며, 조직에 대한 존중감과 지속적 봉사의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자원봉사자들이 인지하는 재교육의 필요성과 만족도와 그에 따른 관여도가 직무충실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결론지었다. 자원봉사활동을 더욱 체계적으로 개인 성향에 맞도록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을 하며 재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원봉사자가 원하는 활동을 배울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자원봉사활동이 민간운동으로 전개하고 지속적 봉사활동을 위하여 자원봉사자들에게 기초교육을 실시하고 전문적인 재교육을 활성화하여 전문화되고, 계획적인 자원봉사자가 많이 양성되도록 재교육 프로그램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제언 하는 바 이다.

      • 다문화가정남편의 부부갈등 경험에 대한 질적사례 연구

        장은경 한북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39

        국 문 요 약 다문화가정 남편의 부부갈등 경험에 대한 질적사례 연구 본 연구는 국제결혼으로 이루어진 다문화가정의 부부갈등을 남편의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남편이 경험한 부부갈등의 결정적 사건, 전개과정, 대처방법을 있는 그대로 탐색해 봄으로써 다문화가정을 이해하고 지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에 대한 정책 및 제도,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국제결혼으로 다문화가정을 형성한 남편을 대상으로 부부갈등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한 후 자료를 질적사례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남편이 경험한 부부갈등의 결정적 사건은 ‘남편과 시부모의 무시’, ‘신뢰하지 않는 남편’, ‘친정과 친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 부담’, ‘결혼에 대한 현실성 부족’으로 나타났다. 남편은 다문화가정을 이루면서 이러한 아내의 결혼동기와 기대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여 부부갈등에 대한 내재적 요인을 갖고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부부갈등의 결정적 사건이 일어나는 계기가 되고 있었다. 둘째, 남편이 경험한 부부갈등의 전개과정은 ‘부부와 가족의 문화 갈등의 심화’, ‘비난과 분노 조절의 어려움’, ‘헤어짐과 이혼에 대한 예고와 아내의 가출’, ‘대화와 소통의 한계’로 나타났다. 국제결혼한 남편은 아내 나라의 언어나 문화를 배우려는 노력이 매우 미약하며 이는 부부간의 의사소통의 문제로 발전하였다. 부부갈등 시 감정적인 부분들을 해결하지 못하여 분노가 쌓이고 오해를 만들었다. 갈등이 고조됨에 따라 이혼과 가출을 할 수 있는 기회들이 만들어졌으며 부부갈등 상황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었다. 셋째, 남편이 경험한 부부갈등의 대처방법은 ‘참고 달래줌’, ‘함께 경제활동하기’, ‘몰두할 대상이 생김’, ‘종교와 모임’, ‘국가기관의 이용’, ‘믿음과 규칙이 생김’, ‘아내의 활동 범위 제한’으로 나타났다. 국제결혼으로 한국에 온 다문화가정의 여성들이 최근에 이혼률이 높고 가출을 하는 주변의 이런 상황들로 어려움을 겪는 가정들을 많이 본 다문화가정의 남편들은 경제상황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아내의 경제활동을 가출로 연관지어 생각하여 항상 불안한 마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마음은 갈등 상황에서 참고 달래줌으로써 아내의 가출에 대한 의식적, 무의식적인 불안감에 대한 대처방법으로 나타내고 있었다. 남편이 경험하는 부부갈등의 대처방법은 서로 참고 달래주고 믿음을 갖고 아내를 인정하는 것이 부부갈등을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갈등을 혼자 해결하기 보다는 국가기관의 도움을 받거나 종교나 다른 다문화가정의 모임을 통해 지혜롭게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모습들을 보여주고 있었다. 넷째, 부부갈등 경험이 다문화가정 남편의 삶에 대한 의미는 ‘나 하나 믿고 왔는데 참아요’, ‘언제 도망갈까 내재된 두려움’, ‘나를 내려놓고 아내에게 맞춤’, ‘시간이 약이죠’, ‘국가와 다문화 관련 기관에 대한 경험과 생각’이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남편이 참고 달래주고 아내에게 맞추는 것이 부부관계와 적응에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가정 부부갈등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부가 동등하고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관계를 형성하면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을 만들 수 있는 측면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남편의 부부갈등을 남편의 경험을 통하여 있는 그대로 살펴보았다. 부부갈등의 결정적 사건, 전개과정, 대처방법 및 부부갈등의 의미를 탐색해 봄으로써 이를 통하여 다문화가정에 대한 정책 및 제도,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주5일 수업제에 따른 중ㆍ고등학생의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차상운 한북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39

        Abstract A study on the leisure activity in the five day a week schoolwork schedule in secondary education Sang-Un Cha Major of Social Welfare,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Knowledge and Social Welfare Hanbuk University Youth culture depends on the teenagers’ diverse cultural activities. In our country, most teenagers go to school(middle and high schools), and their culture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chool life. And their school life is extremely simple because it is carried on around college entrance exam for college-bound high school and around technology education for specialized-program high school. Currently, the content of teenagers’ leisure activities and present condition of their effect show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n positive aspect, teenagers’ leisure activities contribute to facilitate any activity for nurturing a sound character such as by developing their potential, cultivating insufficient learning ability, engaging in hobby or sports, etc. However, on its negative aspect, increased time for leisure, when not properly used, is leading to affect teenagers unfavorably with many kinds of juvenile crime of delinquency. What matters here is that teenagers attending school should be led to use given leisure time for building adaptability to cultivate character as well as independent schoolwork through stable emotional life and to become the right member of a future society. From March, 2012, 5-days-a-week school is going to be enforced giving teenagers two successive days of leisure time each week, on Saturdays and Sundays. This leisure time can be used in a desirable and healthy manner, while we cannot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it can expand the negative side such as juvenile crime or delinquency. This thesis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leisure activities and their understanding of leisure activities allowed by the 5-days-a-week school enforcement with an aim to find problems and present an improvement plan for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urvey of teenagers’ leisure activities by 5-days-a-week school system showed a big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a very poor reality in need for opening diverse Saturday programs. Second, a considerable dissention was found on understanding the current leisure activities by opening for 5-days-a-week school system among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d teacher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presented: First, pay more attention to the opposing opinions among students and teachers and among students’ parents on 5-days-a-week school system. Shed daringly the structure of subject-oriented school class against the problem of increasing number of required class hours and decreasing time of vacations. Second, education authorities and local communities should strengthen publicity on teenagers’ leisure program and spare no support for expanding facilities as well as providing sites so that diverse leisure activity programs may be developed to allow teenagers free activities with the minimum of their economic burden. Third, it is essential to look at all matters from the teenagers’ place, expand healthy leisure activities and quality facilities suited for teenagers, and dispose professional guides at schools, facilities and sites who can help teenagers to solve their problems on their own. 청소년문화는 청소년들의 다양한 문화 활동에 좌우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중ㆍ고등학생들인 청소년층의 대부분은 학교를 다니기 때문에 그들의 청소년문화는 학교생활의 영향이 크다. 그리고 중ㆍ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은 인문계고의 경우 입시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특성화고의 경우에는 기술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매우 단조롭다. 현재 청소년 여가활동의 내용과 그 영향의 실태를 보면,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공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긍정적인 측면에서, 청소년의 여가활동은 자신의 잠재력 개발, 부족한 학습능력의 배양, 취미활동이나 스포츠활동 등 건전한 전인격의 함양에 기여하는 제반활동을 촉진하는데 기여하는 측면을 말한다. 그러나, 부정적인 측면에서 늘어난 여가시간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오히려 청소년들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청소년 범죄나 청소년 비행 등이 산재되어 있다. 따라서 매우 중요한 청소년기를 중ㆍ고등학교 청소년들은 주어진 여가시간을 안정된 정서생활을 통해 학습활동은 물론 인격 수양을 함으로 올바른 사회로 갈 수 있는 적응력을 키워야 한다. 2012년 3월 부터 주5일제 수업이 시행됨으로 인해 토요일과 일요일 이틀을 연속하여 청소년들에게 여가시간이 주어진다. 이 여가시간이 바람직하고 건전한 방향으로 활용될 수 있는 측면도 있지만, 청소년 범죄나 비행 등 부정적인 방향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 중ㆍ고등학생인 청소년들의 여가활동 실태와 주5일 수업제 시행으로 인한 여가활동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찾아내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5일 수업제로 인한 초ㆍ중ㆍ고 청소년들의 여가활동 실태를 조사한 결과,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간에 지역별로 큰 차이가 있었고 다양한 토요 프로그램 개설이 요구되는 매우 열악한 현실에 처해 있음을 나타냈다. 둘째, 주5일 수업제의 실시에 대한 의견에 있어서 학생들과 선생님들, 그리고 학부모님들 간에 현재의 여가활동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상당한 의견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몇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5일 수업제에 대해 학생들, 선생님들, 그리고 학부모들 상호간에 상반되는 입장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고, 주5일 수업제로 인한 수업시수 연장문제와 방학이 줄어드는 문제에 대해 교과중심의 학교수업의 구조를 과감하게 탈피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청소년들이 즐겁고 유익한 휴무일을 맞이할 수 있도록 여가 프로그램 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다양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고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교육당국이나 지역사회에서 장소제공은 물론 시설확충에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셋째, 모든 사안에 대해 청소년들의 입장에서 바라보고 청소년층에 맞는 건전 여가활동과 질 높은 시설확충은 물론 청소년 스스로 문제해결을 할 수 있도록 학교나 시설이나 장소에 대한 전문지도자의 배치가 필수적이다.

      • 기혼 여성의 기독교 신앙 활동과 가족생활 만족도의 관계

        고순자 한북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39

        Social welfare is based on the quality of a personal life, and this quality is in close connection to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A family in modern society does not maintain its traditional form but continues to change in various ways. In this aspect, anticipation of family member’s roles has changed, and each individual’s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is not likely to be shared in a uniform way. As women actively participate in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and have more opportunities for education and cultural life, family members have less time to spend together. Since there are more social activities than life in family ties,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is relatively different from each members of family. The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yet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which effect religious activities have on family ties in modern society.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can vary according to the ages of married women and family members, an income level, the unity of religion between family members and support, and the degree of religious activities. The present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ristian activities of married women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as the basis of social welfare. It shall also examine how their religious activities should be faring to improve such satisfaction. Furthermore, it shall define the way in which both the unity of religion and religious support ha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to solve the suggested research problems, it shall suggest hypotheses by analyzing theoretical data from precedent studies that are relevant to the them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ristian activities of married women and their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For experiential verification of the suggested hypotheses,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married women with Christian faith.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14 married women, regardless of their ages, of churches in Seoul, Euijeongbu, Yangju, Dongducheon, Yeoncheon, and other areas. The results of this statistical analysis were suggested through used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that are necessary for hypothesis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analysi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re is found a plus relationship between the women’s religious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Therefore, as there is much involvement in religious activities, there is also much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It is more likely to be involved in religious activities more actively for an improvement in such satisfaction. Second, the degree to which married women are involved in religious activities has a plus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when there is religious unity among family members. It is thus significant to remove disunity in religion among them, in order to allow the women’s religious activities to make a direct contribution to an improvement in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Third, the degree to which married women are involved in religious activities has a plus relationship with such satisfaction, when there is a high level of religious support from the family members. Their support is thus most important to have this plus relationship. It is anticipated tha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all be more generalized through extensive and in-depth studies, which take more diverse variables to support the outcomes. 사회복지는 개인의 삶의 질을 바탕으로 하며, 개인의 삶의 질은 가족생활의 만족도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현대사회의 가족은 더 이상 전형적인 형태의 모습을 유지하지 않고 매우 다양한 모습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족구성원들의 역할기대 또한 변화되었고 구성원 개인들의 가족생활 만족도도 획일적으로 공유된다고 볼 수 없다. 오늘날 여성의 사회활동에의 참여가 활발해졌고, 취업을 통한 경제활동 이외에도 교육이나 문화생활의 기회가 많아져서 가족구성원들이 함께 하는 시간은 그만큼 줄어들게 되었다. 가족 내의 생활보다는 사회활동이 많아져서 상대적으로 가족생활에서 느끼는 만족도 또한 가족구성원 개개인들에게 있어서 다를 수밖에 없다. 가족생활 만족도는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신앙 활동이 현대사회의 가족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기혼여성과 가족구성원들의 연령이나 소득수준, 가족 상호간 신앙의 일치성 여부와 가족의 지지도, 그리고 신앙 활동의 정도에 따라 가족생활만족도는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기독교 신앙 활동의 정도와 사회복지의 기반을 이루는 가족생활만족도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규명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더 나아가 가족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혼여성의 기독교 신앙 활동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가족의 신앙활동 일치도와 신앙활동 지지도가 그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제시된 연구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기혼여성의 기독교 신앙 활동과 가족생활만족도의 관계와 관련된 선행연구들로부터의 이론적 자료들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하여 가설들을 제시하고 제시된 가설들에 대한 경험적 검증을 위해, 기독교 신앙을 가진 기혼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자료 수집을 하고자 한다. 설문지는 서울, 의정부, 양주, 동두천, 연천, 기타지역의 교회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나이에 제한을 두지 않고 5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분석은 가설검증에 필요한 correlation, regression 등으로 하여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의 기독교 신앙 활동정도와 가족생활만족도는 서로 정(+)의 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기혼여성의 신앙 활동 정도가 클수록 가족생활만족도 또한 크기 때문에, 가족생활만족도의 향상을 위해서라도 신앙 활동을 활발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기혼여성의 신앙 활동의 정도는 가족들의 신앙생활의 일치도가 있는 경우에 가족생활만족도와 정(+)의 관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기혼여성의 신앙 활동의 정도가 보다 직접적으로 가족생활만족도를 고양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가족들 간에 신앙의 불일치를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기혼여성의 신앙 활동의 정도는 가족들의 신앙 활동 지지도가 높은 경우에 가족생활만족도와 정(+)의 관계를 형성한다. 기혼여성의 신앙 활동의 정도가 가족생활만족도와 정(+)의 관계를 가지기 위해서는 가족들의 신앙지지도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후속연구들에서는 좀 더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폭 넓고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짐으로써 본 연구의 결과들이 더욱 일반화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이영주 한북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39

        Abstract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o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based upon Children's Perception Lee, Young-Joo Dep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Knowledge and Social Welfare Hanbu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o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based upon children's perception. A questionnaire was executed for this study by a total of 488 students consisting of 224 boys and 264 girls in thre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he Gyunggi-do. For the data analysis, the technical statistics and Cronbach's alpha were calculated by using SPSS 18.0,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execu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lso, in order to find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o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based upon children's perception,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method was executed by Baron and Kenny (1986), and the Sobel test was executed for the verification of statistical relev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cluded that social support had a relevant effect on the school adjustment by observing the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based upon children's perception. And the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that children perceived was in the orders of teacher support, friend support, and parent support. Secondly, it was concluded that social support had a relevant effect on the self-resilience by observing the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based upon children's perception, and they were in the orders of teacher support, friend support, and parent support. Thirdly, by observing the effect of the self-resilience on school adjustment based upon children's percept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self-resilience had a relevant effect on the school adjustment, and it has influenced in the orders of optimistic nature, activity and emotion control. Fourthly, by observ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o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based upon children's perception. the whole self-resilience and the sub-variables all showed the similar mediating effect. Also the result of observing the explanation changes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resilience and each sub-variables were in the orders of optimistic nature, emotion control, curiosity, activity and friend relationship. Fifth, it was concluded that the whole self-resilience and sub-variables all had a similar mediating effect on both boys and girls by observ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resilience depending on the sex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the school adjustment.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explanation changes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resilience and each sub-variables, for the boys, they were in orders of optimistic nature, emotion control, activity, friend relationship and curiosity, and for the girls, they were in orders of optimistic nature, curiosity, emotion control, friend relationship and activity. Through these resul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the school adjustment on children's precept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optimistic nature is very important mediating variable. Also, for boys, emotion control is a very important mediating variable, and for girls, curiosity is a very important mediating variable. This study of observ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resilience on the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children's percept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social support and the self-resilience that children have perceived are on very critical preventive source. Through this, in the important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for the preparation for the future social adjustment, this study attaches a great significance on the fact that it identified the role of the social support and the self-resilience, and a basic document that is meaningful in both theological and practical side of the Children's Welfare was presented. 국 문 요 약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3개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남학생 224명, 여학생 264명 총 488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Cronbach's α를 산출하였고, 각 변인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방법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도를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는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의 영향은 교사지지, 친구지지, 가족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는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며, 친구지지, 교사지지, 가족지지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이 지각하는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동이 지각한 자아탄력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며, 낙관성, 활력성, 감정통제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아탄력성 전체 및 하위요인 모두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 각 하위요인의 매개효과에 대한 설명력 변화를 살펴본 결과 낙관성, 감정통제, 호기심, 활력성, 친구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아탄력성 전체 및 하위요인 모두 남녀 아동에게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 각 하위요인의 매개효과에 대한 설명력 변화를 살펴본 결과, 남자아동은 낙관성, 감정통제, 활력성, 친구관계, 호기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자아동은 낙관성, 호기심, 감정통제, 친구관계, 활력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낙관성이 매우 중요한 매개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남자아동에게는 감정통제가 중요한 매개변인이며, 여자아동에게는 호기심이 중요한 매개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자아탄력성은 학교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중요한 예방적 자원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앞으로의 사회 적응의 준비를 위해 중요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있어서 사회적지지와 자아탄력성의 역할을 확인하고, 아동복지의 이론적, 실천적 측면에서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직업재활시설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기업의 지원 방안

        박서현 한북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39

        Abstract Support Measures of Social Enterprises for Activat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Park, Seo-Hyoun Major in Social Welfare Dep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Knowledge and Social Welfare Hanbuk University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support measures of social enterprises for activat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rough appreciation of satisfaction and utility regarding support measures about approved and disapproved facilities as social enterprises among the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Seoul, based on the supporting system for social enterprises according to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after 2007. In this study, 160 worke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ere participated,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program of SPSS 18.0.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 general managemen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s carried out primarily by social welfare corporations, and that the facilities are composed of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The duties of the teachers were overburdened in the facilities, which are managed based on the intellectually disabled. Motives for their choice of the work turned out to be in the order of governmental supports, easy work, and a small amount of facility costs. A management of facilities is relying highly on the governments, with the capability of work for the disable appears to be poor. It was examined that difficulty in sales growth was due to lacks of production capability and professionals. After the approval of a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as a social enterprise, it has obtained benefits in terms of a facility management for the support system, sales growth, manpower supplement, and development of overseas markets, but it showed a low level of satisfaction regarding support policies. A facility, which failed to be approved as a social enterprise, appeared to anticipate in case of the approval support for facility management, sales growth, manpower supplement, and overseas markets. These results demonstrate poor conditions and difficulty in managing the facilities. It was examined that the support system for social enterprises prioritizes its work in the order of manpower support, marketing and exploitation of markets, management support, network, and other support. This result points out the need of variety in the composition of workers who participate in managing the facilities, which seems to be an essential problem in management. After examining worke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o figure out the utility of the support system for social enterprises, a high level of necessity was in view in the order of manpower support, marketing and exploitation of markets, other support, and management support. In particular, manpower support, and marketing and exploitation of markets turned out to have the highest level of utility. Based 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it is likely that manpower support should be carried out for flexible manpower staffing as well as for professional workers in relevant products. Consistent support is in high demand for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support. Marketing and exploitation of markets need more active support on a systematic basis for the pay raise for workers with disabilities due to sales growth, and the facilities should make an effort to develop various products, apart from simple products in tall processing. In terms of other support, such as volunteers and publication support, an active network with the local community is necessary to improve both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disabled workers and recognition of them. The present study, therefore, has suggested that support measures for the disabled-based social enterprises, rather than for the vulnerable classes in general, are necessary to adopted to complete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 stable, economic activities of the disabled. 국 문 초 록 직업재활시설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기업의 지원 방안 본 연구는 2007년 이후 사회적기업육성법에 의한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지원제도를 중심으로 하여 서울시 소재 직업재활시설 중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 받은 시설과 인증 받지 않은 시설에서의 지원방안에 대한 만족도와 유용성을 파악하여 직업재활시설의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기업 지원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에는 직업재활시설 종사자 160명이 참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직업재활시설의 일반적 운영은, 사회복지법인이 주된 운영주체로서 인력구성은 시설장과 직업훈련교사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직업훈련교사의 업무의 과중함과, 대상 장애인은 지적장애인을 중심으로 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업종선택의 동기는 정부지원, 작업이 쉬워서, 시설비용이 적으므로 등의 순으로 조사 되었다, 시설운영은 정부의존도가 높고, 대상 장애인의 작업능력이 열악함을 반영하고 있다. 매출 증가에 힘든 점은 생산능력 부족, 전문 인력부족으로 조사되었다. 직업재활시설 중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 후 지원정책에 대한 시설운영, 매출증가, 인력충원 및 판로개척 측면은 도움이 되었다고 조사 되었으나 지원정책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 받지 않은 시설의 경우 인증 시 도움을 기대하는 내용은 시설의 운영에 관련된 지원, 매출증가와 관련된 지원, 인력충원과 관련된 지원 및 판로개척과 관련된 지원에 대해 높은 기대치를 보여 주었다. 이 결과는 시설운영의 열악함과 애로 사항을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사회적 기업 지원제도의 우선순위를 조사하여 본 결과는 인력지원, 마케팅 및 판로개척, 경영지원, 네트워크 및 기타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시설 운영에 참여 하는 인력 구성의 다양성이 요구 되고 있으며, 근본적인 운영 상 문제점이라 볼 수 있다. 직업재활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적 기업 지원정책의 유용성을 조사하여 본 결과는 인력지원, 마케팅 및 판로개척 지원, 기타지원, 경영지원순으로 높은 필요도를 보였다. 특히 인력지원과 마케팅 및 판로개척 지원에서 가장 높은 유용성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업재활시설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기업의 지원방안을 보면, 인력지원은 생산품에 대한 전문 인력 지원뿐만이 아닌 탄력적인 인력배치를 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경영지원은 업무의 효율성을 위해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마케팅 및 판로개척은 매출 증가로 인한 근로 장애인 임금 향상을 위해 제도적 기반위에 더욱 활발한 지원이 요구되며, 시설에서는 단조로운 임가공의 생산품에서 다양한 상품 개발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기타 지원으로서 자원봉사자나 홍보지원등은 근로 장애인의 직업재활서비스의 향상과 인식개선을 위해 지역사회와의 적극적인 네트워크 구성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적 기업 지원방안이 아니라 장애인의 안정적인 경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직업재활을 완성하기 위한 장애인 중심 사회적 기업 지원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제안하였다.

      • 실천중심 유아 인성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최은주 한북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39

        Abstract An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Practice-Focused Personality Program for Early Childhood Choi Eun - Ju Major in Social Welfare Dep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Knowledge and Social Welfare Hanbu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application and effect of the practice-foused early childhood personality program based on the standard curriculum of basic life for daycare centers suggested by the Nuri System of Ministry of Health & Welfare in 2012. The practice-foused early childhood personality program was conducted on 15 children in early childhood (i.e. 6 boys and 9 girls) at a daycare center located in Y city in Gyeonggi-do for 16 weeks from the first week of March to the second week of June in 2012, to identify the application and effect of the program. For this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to gain the views of their parents on comparison of children's characteristics of personalit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r a scale of child'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used was a modified scale of child'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prepared by Jeong Hyang-Mi in 2009 based on a Personality Questionnair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Kang Nan-Ki and Jeong Beom-Mo in 1987. Specifically, four sub-domains (i.e. stability, sociality, reflectiveness, and activity) were derived to use for the subscale for infant personality. For statistical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PC+Version 18.0. Further,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specific behavior change related to child'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ased on 15 participating teachers' observation reports of each child's behavior change related to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 results are derived from the research. First, resulting from comparison of child'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the practice-focused early childhood personality program, activity and reflectivene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ut of child's overal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he four sub-domains. Further, stability and sociality were increased as well, although they were not significantly observed. As such, a positive change can be identified in child'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fter the program, and for average differences, activity was observed highest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llowed by reflectiveness, sociality and stability, from high to low. Therefore, the practice-focused early childhood personality program was verified to be effective overall. Although the practice-focused early childhood personality program is a 52-week program a year, the 16-week program for this research was verified to be effective,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program to reinforce child'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econd,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6 boys, out of overal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he four sub-domains after the program. For average difference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r the boys, activity was observed highest, followed by stability, sociality, and reflectiveness. Third, reflectivene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9 girls out of the four sub-domains, although overal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ere not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program. For average difference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r the girls, reflectiveness was observed highest, followed by activity, stability, and sociality. Results observed that gender characteristics were reflected in the effectiveness of the practice-focused early childhood personality program on the boys and the girls. 국 문 요 약 실천중심 유아 인성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본 연구는 년 보건복지부 누리과정에서 2012 제시한 어린이집 표준 교육과정 기본생활영역을 토대로 한 실천중심 유아 인성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있었다. 실천중심 유아 인성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12년 3월 첫째주부터 6월 둘째 주까지 총 16주간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Y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만5세 유아 15명(남 6명, 여 9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천중심 유아 인성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유아의 인성특성 변화를 학부모가 프로그램 개입 전후를 비교하여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유아 인성특성척도는 강난기(1989)가 정범모(1987)의 초등학생용 인성특성문항을 토대로 작성한 유아인성특성척도를 재구성한 전향미(2009)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아인성의 하위척도는 안정성, 사회성, 사려성, 활동성의 4개영역만 도출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 분석은 SPSS/PC+Version 18.0 프로그램 의해 분석하였으며, 이와 함께 유아 인성 특성과 관련된 구체적인 행동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교사의 참여자 15명 각 유아의 인성특성 행동변화 관찰 보고서를 바탕으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중심 유아 인성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인성특성을 비교한 결과 유아의 전체적 인성특성과 하위 영역 중 활동성과 사려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안정성과 사회성도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유아 인성특성은 프로그램 실시 후에 유아가 긍정적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었으며 평균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활동성, 사려성, 사회성, 안정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실천중심 유아 인성프로그램은 전반적으로 효과가 있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실천중심 유아 인성프로그램이 1년 총 52주 프로그램인데 본 연구는 16주간의 프로그램 개입의 효과만 검증하였다는 것을 생각해 볼 때 본 실천중심 유아 인성프로그램은 유아의 인성발달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인성프로그램 실시 후 남자유아의 전체적인 인성특성과 하위영역 중 활동성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남자유아의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인성특성 평균변화량은 활동성, 안정성, 사회성, 사려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성프로그램 실시 후 여자유아의 전체적인 인성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지만 하위영역 중 사려성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여자유아의 프로그램 실시전과 후의 인성특성 평균 변화량은 사려성, 활동성, 안정성, 사회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실천중심 프로그램 효과에 대해 남자유아와 여자유아를 비교해보니 성별 특성이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