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상력 학습에 기반한 시각적 문해력 함양 연구 : 대학교양 미술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이재경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오늘날 교육현장은 급변하는 시대상황에 따라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변화에 주도적으로 대응 할 수 있는 인재양성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21세기 교육은 창의성과 인성을 기본으로 갖추고 ‘융합형 사고’와 ‘통섭적 지식’, ‘비판적인 사고’와 ‘문제해결력’등의 역량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창의력과 상상력을 촉진할 수 있는 예술교육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있으며 영역간의 통합과 연계의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도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창의적이고 비평적인 사고를 고양시키기 위하여 구성주의적 인식론에 기반을 두고 Dewey의 예술교육이론과 Freire의 비평적 교수법을 바탕으로 한 Green의 상상력 학습(Imaginative learning)을 대학교양 미술수업에 적용하고 그 결과로써 시각적 문해력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상상력 학습은 질문하기, 맥락적 정보 수집하기, 창작하기, 성찰하기 등의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널리 깨어 있음, 깊은 관찰과 창의적인 참여, 공감, 사회적 실천이라는 교육적 효과에 이르도록 의도된 교육방법이다. 이와 같은 상상력 학습을 대학교양 미술수업에 적용한 이유는 대학교양교육이 과거의 교육에서 벗어나 오늘날에 적합한 통합적이고 융합적인 체계적 방법론의 필요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덧붙여 시각적 문해력은 현시대 학습자들에게 능동적이며 주체적인 삶을 살기 위한 필수 역량으로써 이를 대학교양 미술수업을 통하여 함양해야한다는 시대적, 상황적 필요성을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상상력 학습의 개념을 알아보고 시각적 문해력의 다양한 논의를 정리하여 시각적 문해력을 5가지 요소 즉, 시각적 인지, 비판적 수용, 적절한 활용, 능동적 제작, 창의적 조형능력으로 구분한 뒤에 세부요소를 추출하여 상상력 학습의 결과가 각각의 요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평가 근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타당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어서 상상력 학습의 역량요소와 시각적 문해력 요소와의 연관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상상력 학습이 시각적 문해력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모두 16주 동안 적용할 수업의 설계와 개발을 하였으며 이는 전문가의 검토과정을 통해 수정, 보완하였다. 셋째, 개발되어진 수업은 A대학교의 교양미술과목 ‘색채와 생활’을 수강하는 78명의 미술과 학생들을 제외한 다양한 전공의 1∼4학년 대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넷째, 적용의 결과를 학생들의 마인드맵, 성찰일지, 면담, 학습결과 작품들과 설명, 동료평가로부터 자료 수집을 하고 시각적 문해력 세부요소에 따라 분류하여 내용과 빈도를 삼각 측정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습자들은 시각적 문해력의 5가지 요소인 시각적 인지능력, 비판적 수용능력, 적절한 활용능력, 능동적 제작능력, 창의적 조형능력에서 모두 긍정적인 변화를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 요인으로는 상상력 학습의 방법적 특징과 많은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참여 학생들은 상상력 학습의 핵심활동인 질문하기, 맥락적 정보를 수집하기, 창작하기, 성찰하기의 활동을 통해 시각적 문해력의 다양한 요소들을 함양할 수 있었다. 또한 상상력 학습이 지닌, ‘구성주의 인식론’, ‘널리 깨어 있음’, ‘깊은 관찰과 창의적인 참여’, ‘공감’, ‘사회적 실천’ 등의 핵심 요소들은 참여 학생들로 하여금 친숙한 것들을 낯설게 하고, 기존의 것들을 새롭게 해석하고, 드러나 있지 않은 것들을 찾아내는 시도 등의 변화가 나타났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덧붙여 학생들은 주도적이고 협력적인 활동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담은 결과물을 창작하고, 소통하면서 의미들을 만들어 내었다. 이와 같은 과정은 상상력의 확대로 이어져 다양한 문화, 다양한 상황에 대해 공감하고 은유를 알아차리는 예술가적 상상력의 증진으로 이어졌다. 더불어 학습의 과정에서 상상력과 호기심이 증진됨에 따라 즐겁고 재미있게 수업을 할 수 있었다는 내용들도 많이 등장하고 있었다. 이는 교실 안에서만의 지식이 아니라 각자의 선 경험들과 새로운 경험들이 만나 다시 의미를 만들어 가는 반복적인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자신의 목소리와 자신의 색깔들을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대학교양 미술수업에서 상상력 학습 기반 수업을 적용해 봄으로써 시각적 문해력의 5가지 능력요소인 시각적 인지, 비판적 수용, 적절한 활용, 능동적 제작, 창의적 조형 능력을 함양하는데 매우 의미있는 교육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하여 학습자들이 주체자로서의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의식화와 다양한 문화를 포용할 수 있는 공감력과 작은 목소리에도 귀 기울일 수 있는 배려심과 예술이 가지고 있는 은유와 해학적인 감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이 시대의 체계적인 교육방법으로써 상상력 학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21st century education emphasizes on skils of integrated thinking, critical thinking, convergent knowledge and problem solving, creativity as required competencies for rapid social change. Acordingly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that intend to prompt general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to their students atempt to adapt new educational methods that suports the abovementioned competencies. One of the educational methods which are considered to enhance the creative, critical thinking is imaginative learning which is an aproach based upon constructivist epistemology, combined with Dewey’ art education theory and Freire’ critical pedagogy and has ben practiced as an art educational method in Lincoln Center Education. The imaginative learning usualy includes those activities of questioning, colecting contextual information, creating, and reflecting which intended to lead to the educational efects of wide-awakenes, dep observation and creative participation, empathy, social practice. The curent society is also characterized as a society ful of visual images in every aspect of life. In other word, students also are required to acquire visual litercy embeded in visual images, the literacy which indicates competencies of analysis, interpretation, and decision-making of given or noticed visual images. and usauly composed of five factors such as visual perception, critical- 163 - aceptance, proper utilzation, positive making, and creative artistic abilty to extract their sub-factors, Acording to literatures related to imaginative aproach and visual literacy, these two aproaches are closely related to as a methods and as a results respectively.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empted to practice an art clas in general education of university, aplying for the imaginative aproach as an educational methods, and then, examine how the imaginative aproach to the art clas has efected in improving visual literacy of the students. The total of 16 wek clas included 78 students from freshmen to seniors with various majors other than fine art. The research methods used for the case study was a case study aproach in which the first was to colect data from students’ mind maps, reflection journals, interviews, works and explanation on their works, and evaluations from felow students, and then to sort the colected data acording to the sub-factors of visual literacy for analysis on their contents and frequency by using the Triangulation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e learners’ positive change in al the five factors of visual literacy: visual perception, critical aceptance, proper utilzation, positive making, and creative artistic abilty. The factors that brought forth such results had much to do with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imaginative learning, which are questioning, colecting contextual information, creating, and reflecting by themselves.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core factors of imaginative learning such as ‘constructionist epistemology, wide-awakenes, dep observation and creative participation, empathy, social practice’ and etc, made the students defamilarize familar things, interpret the already known in a new way, and try to dig out what has not ben revealed and etc. Besides, they created works that contain their own thoughts and emotions through initiative and coperative activities, produced meanings in mutual communication, understanding which meaning led to expansion of imagination with which they- 164 - developed artistic, imaginative powers such as having empathy with situations in various environments, perceiving metaphors and etc. As more imagination and curiosity were exercised in the learning proces, more of them expresed interest and enjoyment in their clases. This was because participants could own their own voice and colors in the repetitive proces where the prior experiences of each one were respected and new experiences were met to produce meanings aga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by aplying imaginative learning aproach to an art clas in the general education of a university, imaginative learning as a very meaningful aproach in cultivating the five capacities of visual literacy: visual perception, critical aceptance, proper utilzation, positive making, and creative artistic abilty. Furthermore, imaginative learning using arts as an educational to to start a clas proved to be very efective in produce self-motivation over their learning, empathy, recognition of diference and diversity among the students, which are expected to give important insights to not only art education but also multicultural education. Key words: Imaginative learning, Visual literacy,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Aesthetic Experience, Constructionist art education, Art education, Maxin Grene, Qualitative case stud

      • Bachelard의 상상력과 그 도덕교육적 의의

        황 석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theoretical meanings of Bachelard's imagination in an educational field. The main focus is to study the theory of imagination, based on his epistemology. Western philosophy is the reason which is based on rationality of thought. From Plato to Kant, all the practices and the thoughts of human being built their own rationality of thought. It is simply an expression of the given by realism to the independent world. It exists outside our life. It existed before we were born and continues to exists beyond where our senses can reach in field. The education theory by the reason which is governed the order of rationality made a standard framework of the life and fixed the only solution on the problems of life. Modern educational theory gave itself an absolute power on the individual and society. And the educational knowledge as a prescientific obtained the justification for cutting and relocating the cognition on the education field. The human being lost the natural place and time of the life completely. Reason is the only part of what makes us human being. Until very recently, it describes the highest level of human being. Most education theorists continuously study what they believe fundamental logic and reasoning. Even then, western enlightenment humanism emphasized the divine nature of humanity. The human being became a sort of God. But, grand narratives of reason and the canon of philosophy do not lead toward truth, moral virtue and good life. Bachelard's epistemology defines the fundamental features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as a prescientific thought. Explaining Bachelard’s imagination provides more than intellectual satisfaction. It will lead to a more sound society, and will enhance the imaginative potential of our world. Bachelard’s imagination is not only important to school learning but also to the lifelong education. In spite of its importance, Bachelard’s imagination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education theorists. Only a few researchers had studied his imagination. In modern educational theory, knowledge gained through scientific effort can itself define. But, the scientific explanation of Bachelard's imagination has found that many our beliefs about his imagination are inadequate. There are three main reasons why scientific theory doesn't explain his imagination. First, Bachelard's scientific theory present the different stages―the prescientific stage, the scientific stage, era of the new scientific mind. The prescientific theory might seem to be better at explanatory some theoretical systems at first. The prescientific mind's activity is consequently reversed and blocked. It's called epistemological obstacles. An epistemological obstacles will emphasis any knowledge that is cannot accepted question. The prescientific mind forbids us to have an opinion about the questions we cannot understand and formulate clearly. However, Bachelard's imagination can be clarified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scientific theory and also in educational field. If there has been no question, there can be no scientific knowledge. We can't explain his imagination unless we focus on the new scientific spirit. It is essentially a way of rectifying knowledge. It could be very precisely dated from 1905, when Einstein's relativity theory made original concepts revised, that could be forever in our fixed thought. And studying Bachelard's scientific theory can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all his imagination, because the new scientific spirit is important in his imaginative yield. When one scientist introduces a new scientific idea, the other persons evaluate it immediately, determining if the performance will shift to incorporate the proposed new idea. The evaluation of new scientific spirit is a imaginative process. Second, Bachelard's imagination is envelopment philosophy. Once we realize that his theory is like a cooperative conversation, we understand that it's not created by any one of the individual. The individualist approach can partially explain what's going on, but it can't provide the complete explanation of Bachelard's envelopment imagination. Euclidean geometry then becomes non-Euclidean model of a special case. The existence of many geometries helps to make each particular geometry less restrictive. Bachelard's imagination applied to one geometry but to whole set. A geometer requires an entire non-Euclidean ensemble-for example, Lobachevskii's post-Euclidean synthesis. The geometer enhances collaborative working that Euclidean geometry can be imaginative in real aspects. It is much more suitable that we consider post-Euclidean geometry as envelopment of Euclidean geometry. And Bachelard's imagination is not a simple sum. His imagination's activity is greater than the sum of its parts. To explain Bachelard's imagination, we can't limit our focus to fixed theory. We must also consider dynamics. Third, Bachelard's imagination is not only the scientific theory but also the real life style. His imagination can help all of us to be better problem solvers. We each face problems in our everyday lives that require imaginative response. Our society faces challenges like moral leprosy and terrorism. Some of these problems can be solved simply by a single individual having a good idea. Others will require groups of individuals to work together imaginatively as a synthesis. If we hope to solve all of the moral problems facing our society, we must take advantage of the imaginative abilities of everyone. The meanings of moral education that the Bachelard's imagination is related with the alternative principles of education that the moral imagination of envelopment performs. In particular, the study on Bachelard's imagination has a meaning that a new system and a valuable creation in the theory of education are universalized in a deeper life style of moral philosophy. The moral practice of the his imagination can dissolve the collision and tension between 'justice' and 'caring' that are a endless issue in the moral education. We need to keep studying how these thoughts can be discussed together in a practical education field.

      • 상상력 중심의 시적 이미지 해석 연구

        최영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이미지와 상상력의 관계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이미지 해석에 작용하는 상상력을 단계별로 분석하고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상상력을 중심으로 하는 시적 이미지 해석 모형을 구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 7차 교육과정 이후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상상력’과 관련된 내용이 문학 교육과정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문학 교육에 대한 학계와 교사 및 학습자의 요구가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 교육 현장에서는 학습자의 주체적인 상상력을 바탕으로 시를 이해하고 감상하는 교육보다는 전문가들의 상상력에 의해 해석된 결과물을 전달하는 식의 교육이 아직도 행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학습 독자가 주체적으로 이미지를 해석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때, 학습독자가 이미지를 해석하는 능력을 상상력으로 보고, 시 텍스트 전체를 해석하기 보다는 이미지를 중심으로 시를 해석하는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단순하면서도 학습 독자의 주체성을 드러낼 수 있는 해석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상상력을 시 창작 과정에서 발현되는 이미지 생성의 능력으로 국한하지 않고, 코울리지와 칸트의 정의를 바탕으로 이미지를 수용하는 인식적 능력 및 바슐라르가 언급한 이미지 자체의 변형 능력(가동성)의 개념까지 상상력의 영역으로 포괄하여 다루고자 했다. Ⅰ장에서는 교육과정에 수용된 상상력의 개념을 바탕으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인식하고 칸트, 코울리지, 바슐라르가 언급한 이미지와 상상력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Ⅱ장에서는 이미지 해석 과정에 작용하는 상상력을 ‘이미지 수용의 상상력, 이미지 생성의 상상력, 이미지 변형의 상상력’으로 구분하여 단계를 설정하였다. 실제 시적 이미지의 해석 과정에서는 이러한 상상력이 단계적으로 작용하기 보다는 통합적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이미지 해석 모형에서는 이들 상상력의 작용 과정에 단계를 설정하여 학습 독자로 하여금 체계적으로 시의 다층적 의미를 구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그리고 야콥슨의 <의사소통모형>과 김창원의 <시 텍스트 해석의 일반 모형>을 참고하여 새로운 이미지 해석 모형을 구안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상상력 중심의 시적 이미지 해석 모형>을 구안하였다. 이를 통해 시 교육 상황에서 학습 독자가 상상력을 바탕으로 어떻게 이미지를 해석해 나가야 하는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드러내었다. 또한 기존 학습 환경에서 이루어져 온 ‘고정적 의미’의 구성에 머무르지 않고, 바슐라르의 이론을 바탕으로 ‘유동적 의미’의 구성까지 나아가 학습 독자가 시 텍스트를 다층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앞서 구안한 상상력 중심의 이미지 해석 모형을 바탕으로 백석의 시 「여우난골」을 단계적으로 해석하여 보았다. 우선 이미지 수용의 단계에서는 이미지 수용에 작용하는 맥락 요소를 ‘어휘 목록 스키마, 이미지 관련 문맥(문장 구조 스키마), 감각적 지각, 음운 및 문법 요소가 주는 뉘앙스’로 보고 이를 고려하여 시 텍스트의 이미지들을 분석하여 의미를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이미지 생성의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해결하지 못한 해석의 한계를 중심으로 ‘미학적 맥락, 작가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상호텍스트적 맥락’을 이미지 생성 단계의 맥락적 요소로 상정하여 이와 관련하여 해석의 실제를 구현해 보았다. 이미지 수용과 생성의 상상력을 통해 구성된 의미는 기존 교육과정에서 주로 다루었던 ‘고정적 의미’임에도 불구하고 학습 독자가 주체가 되어 해석 텍스트를 직접 만들어 낸다는 점에서 기존의 의미 전달식 교육과의 차별성과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학습 독자의 해석이 보편성과 타당성을 잃은 해석이어서는 안 되며 해석공동체로부터 보편성과 타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의미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마지막 단계인 이미지 변형의 단계에서는 이미지와 해석 독자 사이에 관여하는 맥락 요소가 없다고 보고, 독자와 이미지가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통해 의미가 구성된다고 보았다. 이 때 구성되는 의미는 ‘이미지 수용과 생성’의 단계에서 구성된 의미와 달리 독자의 상상력과 이미지가 가진 가동성에 의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의미로서 ‘유동적 의미’이다. 본 연구를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시 교육 현장에서 시 텍스트의 의미를 고정적으로 보는 관점이나 유동적으로 보는 관점에서 모두 중요한 것은 그 의미를 구성하는 주체가 학습 독자이어야 하며 의미를 구성하는 능력을 신장하는 것이 시교육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구성된 의미는 고정적 의미를 바탕으로 유동적 의미로 나아가야 함을 확인하였다. 고정적 의미를 구성해내는 과정을 통해 해석 결과의 보편성과 과정의 타당성을 체험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유동적 의미를 구성해야 해석 결과의 ‘무의미함, 공허함’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미지 변형의 상상력을 통해 시적 의미를 구성하는 것이 해석 공동체로부터 보편성을 인정받을 수는 없지만, 그 과정에서 시 텍스트 해석의 타당성을 신장할 수 있고 학습독자의 이미지 소통 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교육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 물질적 상상력을 통한 우연적 형상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하여

        한혜정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예술은 다양하고 다원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하나의 패러다임을 현대 예술에 요구한다는 것 자체가 예술가 정신에 위배된다고 본다면 다양하게 표현되는 현대예술은 당연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현재를 인지하고 파악하고자 하는 철학적 사유와 창조적 예술형식에 이론형식을 더하여 현대 속에서 현실을 바르게 평가하고 올바른 방향설정을 할 때, 좁게는 연구자의 앞으로 나아갈 초석을 마련하는 길이 될 것이며 넓게는 현대예술의 변화까지 꾀하는 일이라 하겠다. 본인은 내적인 세계와 외적인 세계의 통합, 의식과 무의식의 대립 되는 접점을 조화롭게 풀어나가 상상력의 힘을 통한 감성을 자유롭게 하여, 그 자체의 생명을 획득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보고자 하였다. “상상력은 어떤 하나의 상태가 아니라 인간실존 그 자체이다”라는 가스통 바슐라르 (G. Bachelard1884-1962)의 말처럼 물질은 작업수행의 오랜 경험으로 쌓여 무의식의 결과물로서 자리 잡는다. 예술가들의 작품 속에는 그들의 근저를 흐르는 심층구조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이런 예술가의 심층구조의 기초를 이루는 것을 상상력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상력이 예술가로 하여금 작품화하는데 충분한 일관성을 가지고 계속되기 위해서는 자신의 물질을 찾아내야하며 어떤 물질적 원소가 자기 자신의 실체나 규칙 또는 특별한 담론으로서 상상력에 부과되어져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의 물질은 ‘불’이다. 하지만 단순한 불이 아닌 물질적 상상력을 통해 연구자의 상상의 세계를 거치고 나면, 불이지만 불이 아니기도 하다. 물질적 상상력을 통하여 본인의 심상이 투영된 내적 형상 작품은 인간의 삶과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불꽃이 가지고 있는 수직성은 인간의 의지나 현실세계를 초월하려는 인간의 내면세계를 상징하고 있다. 이처럼 인간의 흥망성쇠(興亡盛衰)를 모두 대변할 수 있는 것이 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불을 소재로 택하게 된 이유가 인간운명의 확대의 의미로 받아들여지는 이유도 있다. 불을 닮아 있는 인간의 삶을 본인의 작품에 내면의 얼굴에 담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작품에서 나타나는 시각적 특성이 아닌 물질적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심리적 특성에 그 중점을 두고 있다고 하겠다. 단순히 보이는 것만이 아닌 그 내면의 해석에 있어서 다양한 이미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법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상상력학습 기반 가족 참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참여자의 상호작용적 특성을 중심으로

        권지영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급격한 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창의성(creativity)의 발판이 되는 상상력이 미래교육의 중요한 변화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링컨센터에듀케이션(Lincoln Center Education)의 예술교육 또한 상상력을 창의성과 혁신의 기본적인 바탕으로 보고 있다. LCE의 상주철학자인 Greene이 착안한 이 예술교육은 핵심 목표인 ‘상상력’에 대한 효과가 두드러지면서 상상력 학습(Imaginative Learning)이라고 불리며, 상상력의 향상을 최대 목표로 하는 문화예술교육이다. 상상력 학습은 예술 강사가 예술작품에 대한 심층적 발문을 제시하고 학습자가 상상력을 발휘하여 대답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예술작품과 자신의 삶을 맥락지어 이해하게 된다. 또한 ‘마치 내가 작가처럼’상상하며 작품을 이해하고 작가의 창작과정을 따라가 보면서, 학습자가 새롭게 해석한 자신만의 작품을 창작해본다. 이러한 체험은, 학습자의 지각력을 더욱 민감하게 하거나 지각 방식의 변화를 가져와서 민감성을 기르게 되고, 학습자들을 열린 상태, 즉 세상을 이해하고 소통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꿈꾸게 한다. 상상력을 통한 소통과 상호작용을 연습하기 좋은 작은 사회는 가족이다. 가족은 함께 하는 시간이 길고, 정서적으로 친밀하며, 선지식이나 선경험을 공유하는 부분이 많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가족 관람객은 대화를 통해 가족 안에서 소통하는 동시에, 공통된 선지식을 활용하여 작품과의 소통을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상력 학습을 기반으로 가족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이끌어 나가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자 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상상력 학습의 역량과 핵심활동을 가족친화적 교육 프로그램과 어떻게 접목할지 알아보고, 설계원칙을 도출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지도안 및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후 총 2018년 4월에 대전시립미술관에서, 초등학교 3학년에서 6학년 자녀를 둔 8가족 16명을 대상으로 총 4차시의 수업을 적용하고 전시감상활동지, 성찰일지, 교사의 관찰일지, 면담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가지고 작품-참여자 간 상호작용,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 두 가지 측면에서 결과를 분석하였고,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작품-참여자 간 상호작용에서는 참여자들이 다양한 발문에 대답하면서, 작품을 묘사·분석·해석하고 개인적 맥락과 연결시키는 감상능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양한 관점의 감상과 비평’, ‘맥락적 이해 활동’, ‘상상을 통한 공감적 경험’이라는 특징을 작품-참여자 간 상호작용의 측면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에서 부모는 ‘마치 예술가처럼’ 상상하고 가족의 삶과 작가의 창작과정을 이어주는, 다소 어려울 수 있는 과정의 이해를 돕고, 자녀의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스캐폴딩을 제공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여가족들에게서 작품을 함께 만들었다는 성취감을 통해 유대감 증진을 관찰할 수 있었다.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의 측면에서는 ‘협력적 학습의 모습’, ‘서로에 대한 관심과 이해의 표현’, ‘대화와 소통을 통한 상호교감’등의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가족 친화적인 요소가 더해진 상상력 학습은 작품-참여자, 부모-자녀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이끌어내며, 이러한 상호작용은 학습 효과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상상력 학습 기반 가족연계 프로그램이 다양해지고 다양한 예술분야에서 발전시킨다면, 상상력 학습을 문화예술전문기관의 교육프로그램에서만 만나는 것이 아니라, 각 가정의 일상에서도 다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만 4세 유아의 상상력 발달을 위한 환상동화 그림책 읽기 실행연구

        박혜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s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fantasy picture books for the development of imagination for 4 year old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of young children and the changes of teachers. The research problems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1. How is the action research process of reading fantasy picture books for the development of imagination of 4 year old children? 2. What is the change of children through the action research process of reading fantasy picture books for the development of imagination of 4 year old children? 3. What is the change of teachers through the action research process of reading fantasy picture books for the development of imagination of 4 year old children? The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y 2019 to October 2019 on 20 infants in S kindergarten 4 years old class in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using a variety of methods, including participant observation, audio recording and photography,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outcomes from children's activities, and interviews with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action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action research of reading fantasy picture books for the development of imagination of 4 year old children was conducted in the first to third phases. In the first practice, the children's imagination was selected as a teaching medium for children's imagination, and the reading activities were planned and established, and the language domain for reading fantasy children's picture books was reconstructed. In the second implementation, the fantasy picture book is fixedly placed in the language domain to provide time and space for children to fully understand the fantasy picture book, and the fantasy based on the teacher's recall-interpretation questionnaire to stimulate the imagination of the child. Reading of fairy tale picture books was performed. In the third practice, children read the fantasy picture book repeatedly so that children can fully immerse themselves in the fantasy fairy tale picture book and feel the joy and joy of imagining and provide abundant related experiences. This process followed the process of circularly linked performance studies, which observed positive changes in 4 year old children and teachers. Second, through the action research of fantasy picture books for the development of imagination of 4 year old children, the infants are transformed into children who feel emotional catharsis in the process of imagination, growth of imagination, and imagination. Third, through the action research of fantasy picture books for the development of imagination of 4 year old children, the teacher has a new perspective on the imagination of children, the teacher who communicates with the children through imagination, The teacher has been transformed into an effort to organize educational activities. This action research is based on the difficulty of imagining children's imagination in the classroom and the importance of imagination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research process conducted.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의 상상력 발달을 위한 환상동화 그림책 읽기 실행연구로써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상상력 발달을 위한 활동을 하면서 발견된 문제점을 인식하여 개선하고, 상상력 발달을 위한 실행과정과 실행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변화 및 교사의 변화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만 4세 유아의 상상력 발달을 위한 환상동화 그림책 읽기 실행연구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연구문제 2. 만 4세 유아의 상상력 발달을 위한 환상동화 그림책 읽기 실행연구를 통해 나타난 유아의 변화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3. 만 4세 유아의 상상력 발달을 위한 환상동화 그림책 읽기 실행연구를 통해 나타는 교사의 변화는 무엇인가? 실행연구는 2019년 5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경기도의 S유치원 만 4세 학급의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는 참여 관찰, 오디오 녹음 및 사진, 교사의 반성적 저널, 유아들의 활동 결과물, 유아와의 면담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을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4세 유아의 상상력 발달을 위한 환상동화 그림책 읽기 실행연구는 1차에서 3차에 걸쳐 이루어졌다. 1차 실행에서는 유아의 상상력 발달을 위한 교수매체로 환상동화 그림책을 선정하여 읽기 활동을 계획하여 수립하고, 환상동화 그림책을 읽을 수 있는 언어영역을 재구성하였다. 2차 실행에서는 유아들이 환상동화 그림책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시‧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환상동화 그림책을 언어영역에 고정적으로 비치하고, 유아의 상상력을 자극시키기 위해 교사의 회상-해석적 발문에 기반한 환상동화 그림책 읽기를 실행하였다. 3차 실행에서는 유아들이 환상동화 그림책에 충분히 몰입하여 상상하는 즐거움과 기쁨을 느낄 수 있도록 환상동화 그림책을 반복적으로 읽어주었고, 관련된 사전 경험을 풍부하게 제공하였다. 이 과정은 순환적으로 연결된 실행연구의 절차를 따랐으며 이를 통해 만 4세 유아들과 교사의 긍정적인 변화를 관찰하였다. 둘째, 만 4세 유아의 상상력 발달을 위한 환상동화 그림책 읽기 실행연구를 통해 유아는 심리적 부담감에서 벗어나 상상하는 과정을 즐기고, 상상력이 성장하며, 상상하는 과정에서 정서적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유아로 변화하였다. 셋째, 만 4세 유아의 상상력 발달을 위한 환상동화 그림책 읽기 실행연구를 통해 교사는 유아들의 상상력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가지게 된 교사, 상상력을 매개로 유아들과 소통하는 교사, 유아의 상상력 발달을 위해 다양한 교육활동을 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교사로 변화하였다. 본 만 4세 유아의 상상력 발달을 위한 환상동화 그림책 읽기 실행연구는 유아들이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에서 상상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과 유아기 상상력 발달의 중요성에서 출발하여 이에 대한 개선과 변화를 위해 교사가 주체적으로 탐구하며 실행한 연구과정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 상상력과 창의력의 관계 분석을 통한 자존감 기반의 애니메이션 캐릭터 창작 방법론(SE&I -C)

        유빙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애니메이션의 창작 과정에서 상상력과 창의력은 필수적인 개념으로 다 양하고 새로운 창작물을 창조하는 원천이 된다. 애니메이션의 창작은 다 양한 창작 요소들을 지니고 있으나 언제나 새롭고 신선한 아이디어를 통 한 시청각적 형태 요소와 아울러 의미 요소들이 이전에 창작된 작품과는 이질적으로 제작되어야만 관객들에 긍정적으로 소구되기 때문이다. 그러 므로 본고는 애니메이션 캐릭터 창작에서 상상력을 풍부히 할 수 있는 창작자의 기본적인 태도와 창의력을 활용할 수 있는 창작 과정에 대한 방법론을 제안한다. 애니메이션의 창작은 창작자의 심리적 영향이 중요 한 요인 중에 하나이지만, 선행연구에서 나타나듯이 대부분의 애니메이 션 창작에 대한 연구는 창작 과정이나 내용에 대한 연구에 편중된 실정 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자존감과 상상력과 창의력의 영향 성에 대해 플리스(Fleith)와 렌쥴리(Renzulli)와 웨스트벌(Westberl)(2002) 과 스미스(Smith)와 테가노(Tegano)(1992), 그리고 루이스(Lewis)와 스 캐넬(Scannell)(1995)의 연구에서 영향을 유의미하게 평가하였으므로 이 와 관련하여 애니메이션 창작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자존감의 향상을 위한 6요소와 창의력 향상 을 위한 6요소를 추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자존감이 상상력과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따라 자존감 향상을 통한 애니메이션 창작 방법론 (SE&I–C)을 제안하고 이를 활용하여 애니메이션 캐릭터 창작 수업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가설에 대한 증명을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는데 실험Ⅰ은 자존감의 영 향 관계와 실험Ⅱ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창작 비교로 구분됐다. 실험Ⅰ 에서 '자존감이 상상력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라는 가설 1(H1), '상상력인 창의력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라는 가설 2(H2), 그리고 '자존감이 창의력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라는 가설 3(H3)을 중국 남경소장대학(南京晓庄学院), 천진공업대학(天津工业 大学), 황회대학(黄淮学院)의 애니메이션 전공 대학생 2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가설 H1, 가설 H2, 가설 H3 은 모두 채택되어 자존감, 상상력, 창의력 간의 영향 관계를 증명하였다. 실험Ⅱ는 '자존감 향상을 통한 애니메이션 창작 방법론(SE&I-C)이 학 습자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요소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라는 가설 4(H4), '자존감 향상을 통한 애니메이션 창작 이론(SE&I–C)이 학 습자의 애니메이션 창작 작품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라는 가 설 5(H5)를 검증하였는데 실험대상을 실험군과 비교군으로 구분하여 중 국황회대학교(黄淮大学) 2018학년도 애니메이션 전공 대학생 210명을 대 상으로 '자존감 향상을 통한 애니메이션 제작 수업'의 작품 결과를 비 교·분석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자존감 향상을 통한 애니메이션 창 작 방법론(SE&I–C)이 ‘학습자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요소에 유의한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4(H4)는 채택됐다. 그리고 작품 분석 결 과에 따라 '자존감 향상을 통한 애니메이션 창작 이론(SE&I – C)이 학 습자의 애니메이션 창작 작품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라는 가 설 5(5H)는 채택됐다. 즉 학습자가 창작에서 남을 모방하는 행위의 존재 가 상대적으로 낮게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 이론적 연구와 실험 연구 를 통해 자존감 향상을 통한 애니메이션 창작 이론(SE&I–C)이 애니메 이션 캐릭터 창작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했다. 본 연구를 통해 창작자의 심리적 태도인 자존감의 영향이 상상력과 창 의력에 직접적인 영향이 존재한다는 결과를 실험과 증명으로 확인하였 다.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창작은 물론이고 예술 창작의 전반에 걸쳐 확 대 적용이 가능하다. In the creation process of animation, imagination and creativity are essential concepts and are the source of creating various new creations. The creation of animation has various creative elements, but it is always positive for the audience only when the visual and visual elements through new and fresh ideas, as well as the semantic elements, are produced differently from previously created work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methodology for the creative process that can leverage the creators' basic attitudes and creativity that can enrich their imagination in creating animated characters. While the psychological impact of the creator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creation of animation, most of the research on animation creation is focused on the research of the creation process or content. In prior research, the impact of the study on self-esteem, imagination and creativity was significantly assessed, and the impact of the study was significantly assessed by Fleith, Renzuli, Westberl (2002), Smith and Tegano (1992), and Lewis and Scannell (1995). Therefore, we extracted 6 elements for self-esteem improvement and 6 elements for creativity, based on which we proposed an animation creation methodology (SE&I–C) through self-esteem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ination and creativity. This paper conducted an experiment to prove the hypothesis, and Experiment I was divid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Experiment II by the creative comparison of animated characters. In Experiment I, Hypothesis 1 (H1), Hypothesis 2 (H2), and Hypothesis 3 (H3) that Self-esteem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to creativity, it was tested for 206 students of University of Nanjing and University of Tianjin, and University of Hwanghai in Chin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statistical programs and hypothesis H1, hypothesis H2, hypothesis H3 were all accepted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between self-esteem, imagination and creativity. In Experiment II, hypotheses 4 (H4) and "Animation Creation Theory (SE&I–C)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earners' creativity" (E&I–C) and "Comment Creation Theory (SE&I–C)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to learners's animation creation" (H5).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hypothesis 4 (H4) was accepted that animation creation methodology (SE&I–C) through self-esteem improvement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to the factors of improve learners' creativity.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rt work for analysis, the hypothesis 5 (5H) was accepted that "Animation Creation Theory (SE&I–C) significantly has a positive influence to the learner's on animation creation." That is the existence of learners imitating others in creation has been found relatively low. In this paper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have identified the positive influence of self-esteem and imagination and creation to animation creation theory (SE&I–C) on animation character creation through improved self-esteem. Through this study, experiments and evidence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to the creator's psychological attitude as self-esteem exists directly in imagination and creativity. In addition this method of create animation characters, it can be applied extensively throughout art creation.

      • <구렁덩덩신선비> 설화를 통한 상상력 증진 교육 방안 연구 :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권예지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 설화를 활용한 상상력 증진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상상력 증진 교육의 모델로 채택한 설화는 <구렁덩덩신선비>이다. <구렁덩덩신선비>는 아르네-톰슨의 옛 이야기 유형 분류(Aarne–Thompson classification systems) 425번 ‘잃어버린 남편을 찾아서(AT. 425 The Search for the Lost Husband)’에 속하는 작품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에게도 낯설지 않은 유형의 옛이야기이다. 설화는 먼 옛날부터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오면서 인간 삶의 보편성과 원형성을 담고 있으며 이를 상상의 언어로 풀어낸다. 설화의 상상력은 생산적 상상력과 수용적 상상력으로 나뉘는데, 본고에서 상상력 교육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설화의 수용적 상상력이다. 설화가 언중 사이에서 향유되기 위해서는 수용자 개개인의 상상력이 더해져야만 한다. 설화는 수용자마다 다른 상상을 덧입히는 여백을 가진 문학 작품이기 때문이다. 본격적인 상상력 증진 교육 방안 제시에 앞서 설화 <구렁덩덩신선비>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구렁덩덩신선비>는 신화적 맥락, 인간 심리적 측면, 부부 관계적 특성, 계층적 관점, 그리고 다문화적 성격에서 연구되었는데 이를 각각 문화적 상상력, 내면적 상상력, 관계적 상상력, 사회적 상상력, 그리고 다문화적 상상력에서 시작한 논의로 보고자 한 것이다. 설화를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은 수십 년에 걸쳐 이루어진 철저한 분석과 사고의 영역이다. 본고에서는 그 깊은 논의를 바탕으로 수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구렁덩덩신선비>는 혼자 사는 할머니가 구렁이를 낳는 낯섦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그 낯섦은 한국어 학습자들을 흡입력 있게 상상의 세계로 인도할 것이다. 끝까지 평범하지 않은 서사는 학생들이 집중력을 끝까지 유지해 자기만의 상상력이 펼쳐진 세계를 완성하도록 도울 것이다. 본고에서 진행하고자 하는 것은 설화와 한국문화를 연계하거나 설화를 대상으로 비평적 지평을 넓히는 기존의 연구나 수업과는 차이가 있다. 설화에 대한 탐구의 일환이지만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이 흥미를 느끼게 하고 자발적으로 한국어를 사용하게끔 실효성을 추구하는 교육적 관점에서의 연구이다. 과거 <구렁덩덩신선비>를 해석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자기 상상을 창조할 수 있는 발판으로 삼고자 한다. 설화 <구렁덩덩신선비>를 활용한 상상력 증진 교육 방안을 구상하여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행해보았다. 학습자들이 설화라는 옛이야기를 텍스트로 접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호기심을 가질 수 있도록 열 두 문장으로 요약한 서사를 학습자들이 스스로 배열하는 활동부터 시작했다. 수업이 진행되면서 점차 더 큰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등장인물이 되어 편지를 쓰는 활성화 단계, 기존 논의들을 살펴보면서 상상의 길을 따라가는 맥락적 구조화 단계, <구렁덩덩신선비>와 TV 드라마를 연계해보는 다매체적 확장 단계, 그리고 펼쳐진 상상력을 다시 끌어 모아 자기의 이야기로 재구성해보는 자기화를 통한 재구성 단계까지 실행하면서 학습자들이 발휘하는 상상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교육 방안은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지만 교육 방법을 수정‧보완한다면 교육 대상을 확대할 수 있다. 누구나 설화를 통해 상상력을 발휘하기를 기대해본다.

      • 상상력을 활용한 이야기식 설교에 관한 연구

        손성근 목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시대에 하나님께서 요구하시는 설교자는 성도들의 상한 심령에 하나님의 안타까운 마음을 전하는 성경적이고 복음적인 설교자라고 본인은 확신한다. 성도들의 상한 심령과 하나님의 마음을 만나게 하는 도구가 상상력이고, 가장 성경적이고 복음적인 설교가 이야기식 설교라고 본인은 생각한다. 본 논문은 '어떻게 하면 청중들로 하여금 기대감속에 주의를 집중하며 들을 수 있고, 그들의 삶 속에서 효력을 발휘하는 설교를 할 수 있을까?'라는 근본적인 질문에서 시작하였다. 이 질문에 답해줄 설교가 상상력을 활용한 이야기식 설교이기를 간절히 기대하며 확신한다. 먼저 2장에서는 이야기식 설교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로서 성서와 이야기식 설교의 관계, 이야기식 설교의 다양한 정의 , 이야기식 설교가 갖는 특징과 목적 등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이야기식 설교를 한국 강단에 소개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되는 점들을 살펴보았다. 우선 이야기식 설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이야기식 설교를 이해하기 위한 자료들도 부족한 실정이다. 그리고 목화자의 소극적인 태도가 이야기식 설교를 기피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설교자의 청중에 대한 의식의 기대치가 낮은데서 오는 우려와 설교의 요점을 명확하게 전달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이유 때문에 이야기식 설교는 환영을 받지 못하고 있다. 4장에서는 이야기식 설교를 구성하는 요소와 그 구성단계를 살펴보았다. 특별히 구성요소는 인물, 사건, 배경 등이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이야기라는 문학 장르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다. 그리고 이야기식 설교의 구성단계에 대하여는 로우리의 이론을 근거로 서술하였다. 5장에서는 이야기식 설교에서의 상상력 활용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이야기식 설교에서 상상력은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상상력을 일으키는 설교 전달방법을 구체적으로 알아본 뒤, 상상력을 활용한 이야기식 설교가 가져오는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런 뒤 상상력을 활용한 이야기식 설교를 실제 구성하는데 있어서의 지침들을 살펴본 뒤 이야기식 설교에서 상상력을 활용할 때 문제가 되는 요소들을 알아봄으로써 가능한 한 오류를 범하지 않고 이야기식 설교에서 상상력을 활용하는 방안을 설명하였다.

      • 상상력에 기반 한 현대 융합 회화양식에관한 연구 : 구상성과 추상성을 중심으로

        김미화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icate the philosophical evidence of imagination that is based on the idea of painting art and clarify the relations to painting art on its application and analyze the expressing techniques and evaluate the convergence painting mode in the combination of concreteness and abstrac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rising idea of artists in their works and explain the ways how to make them, this paper tries to gain access not only to the relation of concreteness and abstraction based on imagination but also to the semi-abstraction mode as convergence of concreteness and abstraction. In the 21st century of knowledge convergence society, it is time of proliferation of recognition that every area is naturally applied to the subject we are meeting to solve the convergent problems in the best way. There is no exception in art either. Owing to the various factors, it is not only specific area limited to find out the solutions of problem and this is the reason we have to mingle them together. Semi-abstraction in painting art is the convergent problem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and coexistence between concreteness and abstraction. It is our desire to break the existing order and point out the possibility of new painting mode and finally represent many-folded expressions. Our internal desire is repeated by the recurrent phenomenon of art from concreteness to abstraction and vice versa to link the stream of art and at the same time aesthetic imagination has its greatest value when both are coexisted. Painting art is not simply represented only in its way and sometime it is responsibly left for the viewer's understanding so that concreteness in itself has abstraction as a symbol. In that case the painting art itself has an abstract aspect in a sense. It is our imagination that when an object has in eyes its existence we can see the object with a new point of view.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by the following convergence of concreteness and abstraction we can secure the new idea combining the universal embodiment from different things and integrating abstract concept on one hand and we can transfer new idea from painting art to aesthetic imagination on the other hand. When we estimate the appropriateness of painting mode, imagination causes the possibility to escape from the stereotype that the present painting art has. When we with the diversity of aesthetic imagination makes a decision on what the convergent painting art is revealed, it is said that the structure of convergence as semi-abstraction in painting art is applied to the mode. As concreteness and abstraction exist differently in a work we can imagine that it is the concreteness and abstraction in essence to stay in itself but we can see only the semi-abstraction. So to speak, the visible things of normal factors are destroyed and specific changeovers are happened to the fact. This is the point that the concreteness and abstraction coexist together keeping the essential aspect differently.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that the two notions are in a space when some viewers realize that these things are in a different situation in a second structure. The different things exist together inconsistently in a sense but when we think that concreteness and abstraction have reciprocally something in common at the moment they are affecting each other. The relation of concreteness and abstraction is like the ones of good and bad sides respectivel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on the fact that there are relative dimensions in the secondary and symbolic notions. In conclusion, both sides of concreteness and abstraction have the relations of independent and distinctive coexistence as a whole and we see the fact as semi-abstraction. Therefore we need to have a new idea to the artistic convergence. And this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have a rising concept to the expressions of image for the security and animation in art. 이 글의 목적은 회화예술에서의 발상에 토대가 되는 상상력에 대한 철학적 근거에 대해 제시한 후, 이를 바탕으로 그 적용이라는 측면에서 회화예술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에 대해 밝히고, 구상과 추상의 결합으로서의 융합회화양식 표현기법에 적용하여 이를 분석하고 평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예술적 상상력에 기반 한 구상성과 추상성의 상관관계는 물론 구상성과 추상성의 융합으로서의 반 추상양식에 대한 접근을 통해 예술작품에 예술가들의 발상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접근하였다. 21세기 지식융합사회에서 융합적인 측면들이 모든 분야에서 자연스럽게 적용되고 활용되는 것은 모든 학문 분야에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라는 인식의 확산이 그 중심에 자리하고 있다. 예술의 영역 또한 예외일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이 하나로 어우러져 문제의 해결 방안을 찾는 것은 비단 특정한 분야에만 한정될 수 없기 때문에 모든 분야가 융합함으로써 문제 해결 방안을 찾게 되는 것이다. 회화예술에서 반 추상은 구상성과 추상성의 결합이며 공존이며 이중적 구조로써 융합한다고 할 수 있으며, 내면적 심상 표현의 욕구에서 나오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회화예술에서 기존 질서를 파괴하고 새로운 회화양식의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다각적으로 그 표현이 이루어지는 것은 창작에서 심상표현을 다양하게 수용하려는 내면의 욕구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의 내면적 욕구는 구상에서 추상으로, 추상에서 구상으로의 반복되는 복귀현상으로 인해 미술의 흐름으로 이어지게 되며, 구상이든 추상이든 둘 다 공존하게 된다. 회화예술은 주어진 방식에 따라 단순히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감상자의 몫으로 남겨지기도 하는데 이는 구상자체가 상징으로서 추상성을 갖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회화예술 그 자체는 어떤 의미에서 추상적인 측면을 담게 된다. 대상이 새로운 모습으로 탄생되고 다시금 그 대상들을 새로운 관점에 비추어 볼 수 있게 하는 것은 결국 우리의 상상력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구상성과 추상성의 융합에 따른 새로운 관념의 확보는 보편적 구상성에서 이질적인 것과의 결합을 통해 추상적 관념이 집적되어 새로운 관념으로 회화예술에서 미적 상상력에 의해 전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회화예술에서 양식적인 적절성 여부를 평가하는 방식을 통해 기존의 미술에 대한 고정관념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은 결국 상상력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융합회화예술이 어떻게 드러나는지에 관한 것이 미적 상상력의 다양성에 의해 결정된다고 했을 때, 회화예술에서 반추상 양식으로써 융합하는 구조를 통해 적용되는 방식 역시 이에 따른 것이다. 구상과 추상이 개별적으로 존재하면서 한 작품 속에 공존하는 것은 서로 공존함으로써 구상과 추상이 지니는 본질 그 자체는 그대로 존속하지만 드러나는 방식은 반추상으로 드러나게 된다. 이른바 눈에 보이는 일반적인 구상성의 요소가 파괴됨으로 인해 일반적이지 않은 전환이 이루어진다. 이 점은 본질적인 측면을 유지한 채 일반적이지 않은 다름으로 인해 추상과 구상이 공존하기 때문이다. 구상성과 추상성이 한 공간 속에 공존함으로 인해 감상자로 하여금 구상성에 대한 감상과 함께 추상성에 대한 또 다른 감상의 이중적 구조를 갖게 만든다. 서로 상충되는 의미를 지닌다는 점에서 그것이 공히 존재하는 것만으로는 어울리지 않아 보이는 구상성과 추상성의 두 측면이 융화되어 상호보완적 관계를 지니게 되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게 된다. 구상성과 추상성과의 관계는 마치 선악의 관계와도 같이 상대적인 측면이 있다는 것을 함축한다. 그래서 여기에는 각각 이차원적인 상징적 추상성이 존재하게 된다. 양자는 각각 독립적이고 차별성을 지니는 동시에 서로 공존한다는 점에서 총체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반추상성으로 드러나게 된다. 이는 곧 예술적 융합에 따른 새로운 발상이라고 할 수 있다. 융합을 통한 새로운 관념의 도출은 그 자체적으로 생동감 있는 심상의 표현으로써 새로운 힘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