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기업 기업가 및 종사자의 문화예술적 경험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창업지향성과 예술적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재형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711

        In the current era of multi-complex industrial environment, companies are developing strategies with innovation and renewal. More over, the direction of technologies focuses on satisfaction of customer’s taste and desire. These technologies are including not only computing services such as big data and block chains, but also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is represented by biotechnology, virtual reality(VR), artificial intelligence(AI). Even social economy projects, Adding to that, management activities to increase the value of creativity are becoming important. Recent demands of these companies have been to find new items, and to make artistic interaction and co-creative strategy so that they can directly utilize art and sublimate into creation-based business or indirectly contribute to organizational change. In the cas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unlike big corporations with large-scale capital, it is necessary to create competitive market opportunities with original technology and innovative business strategies, and to achieve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customers' valuable consum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jor causal relationships from the process of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to the performance of the company as a factor affecting the firm in the artistic dimension among the overall organizational activities of the corporation,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mutual cooperation and exchange activities with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o expand the scope of quantitative research by developing measurement tools that directly affect the corporate econom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were conducted for entrepreneurs and employees of domestic SMEs. In this study, we use factor analysis to determine how artistic orientation that pursues artistic experience and artistry from an artistic point of view has an effect on business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based on innovation,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In this paper, we have designed a differentiated research model using the leading variables that were introduced to further emphasize artistry and analyzed the cognitive-based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management. Through this process, we were able to construct the variables and to derive the following results and implications. First, if experience and activities are centered on creation and appreciation, artistry is directly applied to management activities, or innovative, enterprising, and risk-oriented. Second, the artistic orientation that strongly pursues artistry and the orientation toward entrepreneurial organiz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In the case of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it has been proven that even in-house variables such as prior research and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influence corporate performance, but there is little research showing that artistic orientation can affect job performance. As a basic research on the tendency of artistic orientation to reflect artistry in the management activities of the whole company, it seems to be a subject to be studied deeply in terms of corporate performance even in the recent trend of innovation business. Third, it has prov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imple and multi-mediated role of artistic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is is because, although the precedent research is similar, the fact that the artistic orientation and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re intrinsically linked to the secondary mediating effect has led to a strategic research result that cooperation between art and management can create synergy. In conclusion, this study derives meaningful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differentiated cause behavior by assigning new artistic dimension to the influence of art on management. It is also confirmed that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and artistic orientation can be utilized and applied as valuable strategies for enhancing corporate performance and combined with other strategies. 현재의 융복합적 산업환경의 시대적 흐름에서 기업은 혁신과 쇄신을 번갈아 가면서 전략을 구사하고 발전해 가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의 컴퓨팅 서비스외에도 바이오, 가상현실(VR),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으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과 사회적경제에 기반한 사업들이 소비자의 취향과 문제해결, 그리고 욕구를 만족시키는데 초점을 두고, 창조성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경영활동이 중요시 되어가고 있다. 최근 이런 기업의 요구는 새로운 아이템을 찾는 과정으로 예술을 직접적으로 활용하여 창조에 기반한 사업으로 승화시키거나 간접적으로 조직차원의 변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기업과 예술의 상호작용과 공동의 창조적 전략을 만들려 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경우 대규모 자본력을 가진 대기업과 달리 경쟁적 시장을 독창적인 기술과 혁신적 사업전략으로 기회를 만들고, 고객들의 가치있는 소비를 통해 경영성과를 이뤄내야 하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기업의 전반적인 조직구성원 활동중에서 예술적 차원에서 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문화예술적 경험이라는 과정에서부터 시작하여 직무성과에 이르기까지의 주요한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중소기업과 예술의 상호협력과 교류활동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의 질적 연구과제로 삼고 있다. 더 나아가서는 기업경제에 직접적인 효과를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양적 연구의 과제로 확대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조사는 국내 중소기업의 기업가 및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예술적 관점에서 실질적인 문화예술의 경험과 예술성을 추구하는 예술적지향성이 경영적 관점에서 혁신적이고 진취적이며 위험감수성을 바탕으로 하는 창업지향성과 기업성과의 한 측면인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원인행위와 요인을 분석을 통해 기초연구 자료로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는 여러 선행연구들을 통해 부분적으로 일치하거나 입증된 관계가 있지만, 본 논문에선 예술성을 좀더 부각하고자 도입된지 얼마 안된 선행 변인을 활용하여 차별화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예술과 경영의 인지적 기반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변인을 구성하고, 아래와 같은 결과 및 시사점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창작과 감상을 중심으로 경험과 활동을 하는 경우 예술성을 경영활동에 직접 적용하거나 혁신적이고 진취적이면서 위험감수성을 지닌 창업지향성을 띄게 된다는 것이다. 둘째, 예술성을 강하게 추구하는 예술적지향성과 기업 조직차원의 창업지향성은 직무성과에 유의적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창업지향성의 경우 기업가정신, 창업가정신 등으로 제시된 유사 선행연구 및 창업지향성 자체적인 변인으로도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입증해 왔으나 예술적 지향성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은 기업전반의 경영활동에 예술성을 반영하려는 성향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최근의 혁신 비즈니스의 흐름에서도 기업성과 측면에서 깊이있게 연구되어야 할 주제로 보여진다. 셋째, 예술적지향성과 창업지향성이라는 단순·다중 매개역할에 대해 긍정적 영향관계을 입증했다는 것이다. 이는 선행연구에서도 맥을 같이 하기는 하나 예술적지향성과 창업지향성이 본질적으로 2차 매개효과로 강하게 연결 된다는 점은 기업차원에서 예술과 경영이 협력하는 것이 시너지를 만들 수 있다는 전략적 연구결과를 얻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예술이 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새로운 예술적 차원의 변인들을 대입하여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원인행위의 분석을 끌어내는데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문화예술적 경험과 예술적지향성들이 기업성과를 높이는데 있어 가치있는 전략으로 활용, 적용 및 결합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하였다.

      • 기술기반창업기업의 기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박성주 中央大學校 産業.創業經營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51711

        This study tries to deduce academic, pragmatic, and policy implications by conducting empirical research about determinants of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venture in terms of entrepreneurship, resource, industry, and strategy(ERIS). The study has 5 chapters. First chapter i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background. The previous researches about ERIS and determinants of performance will be examined at the second chapter. At third chapter,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used in the study will be presented including data and analysis methodology. Analysis results by survey are presented at Chapter 4. At the last chapter,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ill be organized and explained totally and the weak points of the study and the proposal for future study will be discussed. The study used empirical data for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among entrepreneurship, resource, industry, and strategy focusing on technology venture. Using factor analysis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variables for ERIS are aggregating into several groups. At first, innovativeness, risk taking, proactiveness are conceptualized for the sub-variables of entrepreneurship likewise many previous studies has been presented. Technology management skill is conceptualized with technology human resource, technology strategy, technology collaboration, and technology organizational leadership which are not the same result of Jang et al. (2009). Also,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product competitiveness has no sub-variables and conceptualized into 1 dimensional variable. Before conducting regression analysis, F test(ANOVA) as industry differences was conducted for in-depth analysis of the technology venture's characteristic. Industries are divided into 4 categories such as advanced manufacturing, general manufacturing, software and IT, and the others. All the variables except entrepreneurship(risk taking), competitiveness of industry, technology human resource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verall, advanced manufacturing is higher than other industry, and the others has the lowest average. In the relationship of differentiation strategy between general manufacturing and software IT, general manufacturing has more number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hile software IT has higher in the level of R&D organization and human resource and collaboration with outside. These results show the industr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for determinants of technology venture, there are differences among finance, organization, product performance. We can understand the huge relevancy of product performance and the characteristic of technology venture. Specifically, finance performance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roactivess(β=.487), collaboration with outside(β=.308), technology human resource(β=.315). Whereas, risk taking, technology organization and leadership, and industry competitiveness has negative effects on performance. In the results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technology venture which is different from finance performance, technology strategy(β=.454), technology organization and leadership(β=.366), collaboration with outside(β=.204) are the main factor. Resource investment has negative sig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product performance, technology strategy(β=.368) is the main factor, and also technology organization and leadership(β=.315) and innovativeness(β=.298) is positive effects on product performance. However, there is no relationship with assets. Technology venture is the company making money with advanced technology.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technology venture conducted b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and the very first study using ERIS model and conducting empirical study in the multi-dimensional performance.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difference factors affect multi-dimensional performance. Overall, entrepreneurship and strategy is the main factor for the performance out of the entrepreneurship, resource, industry, and strategy. 본 연구는 ERIS Model을 기초로 하여 기술창업기반의 근간이 되는 기업가정신을 바탕으로 기업의 자원, 산업, 전략에 대한 통합적인 실증연구를 통해 기술기반창업기업(Technology based Start-up)의 기업성과 결정요인에는 어떠한 특성들이 영향을 연구하여 학문적·실용적·정책적 시사점을 도출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배경, 연구의 구성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기업가정신, 자원, 산업, 전략에 대한 선행연구(preceding research)와 기업의 성과 결정요인에 대한 선행연구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3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모형(research model)과 가설(hypothesis, 假說)의 설계, 본 연구에 이용된 자료의 분석 방법에 대해서 제시하고 있다. 4장에서는 설문분석에 의한 분석결과를 기술하도록 한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총체적으로 정리함과 동시에 시사점에 대해서 살펴보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제시한다. 본 연구는 기술기반창업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가 정신, 자원, 산업, 전략과 성과간의 관계를 실증하였는데, 측정도구의 신뢰성·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여 기업가 정신, 기술경영능력, 조직성과, 제품 경쟁력의 차원을 집단화하였다. 먼저 다수의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기업가 정신은 혁신성(innovativeness), 위험성(risk taking), 적응성(proactiveness)으로 집단화되었다. 기술경영능력의 경우 장성근 외(2009)의 연구와 달리, 기술인력, 기술전략, 기술협력, 기술 조직·리더십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조직성과와 제품경쟁력은 차원 구분 없이 1개의 요인으로 집단화되어 타당성을 확보했다. 기술기반창업기업의 특성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ERIS모델에 따라 업종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업종은 첨단제조업, 일반제조업, 소프트웨어 정보·통신업, 기타로 나누었다. 기업가 정신-위험성, 시장 내 경쟁, 기술인력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첨단제조업이 타 업종보다 높게 분석되었으며, 기타가 가장 낮은 평균값을 나타냈다. 차별화 전략의 일반제조업과 소프트웨어 정보·통신업 간의 관계에서는, 지적재산권 수는 일반제조업이 더 높았으나, 연구개발 전담조직·인력과 외부협력 정도는 소프트웨어 정보·통신이 더 높게 나타나 업종 특성이 반영되고 있다. 기술기반창업기업의 성과 결정요인 분석결과, 재무, 조직, 제품 성과에 대한 결정요인이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기술기반창업기업의 특성은 제품 성과와 가장 큰 관련성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무성과에 있어서는 기업가 정신-적응성(β=.487), 외부협력 정도(β=.308), 기술인력(β=.315)이 밀접하게 나타났다. 반면 위험성, 기술조직·리더십과 시장 내 경쟁이 성과에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기술기반창업기업의 조직성과 결정요인 분석은 재무성과 분석과 달리 기술전략(β=.454), 기술조직·리더십(β=.366), 외부협력 정도(β=.204)이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자원 투자는 조직성과에 음의 영향을 미쳐 투자의 정도가 조직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지 않음을 나타냈다. 제품성과(제품 경쟁력)의 분석은 조직성과와 마찬가지로 기술전략(β=.368)이 주요한 성과 결정요인으로 드러났다. 기술조직·리더십(β=.315)과 기업가 정신-혁신성(β=.298) 역시 성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자산은 성과와 큰 관련성이 없게 나타냈다. 기술기반창업기업은 첨단기술 등을 활용하여 창업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기업이다. 많은 선행연구들이 기업에 대한 성과를 연구하였지만 ERIS모델에 의거하여 다차원적인 속성을 실증한 연구는 거의 없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이론적 의의가 크다. 본 연구는 일반기업이 아닌 기술기반창업기업이라는 속성으로 대상을 한정하여 ERIS 모델을 검증하였다. 차이 분석 검증과 회귀 분석을 통해 성과에 따라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달라짐을 알 수 있으며, 결과 기업가 정신, 자원, 산업, 전략 중 더 우선적으로 중요한 변수를 선정할 수는 없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기업가 정신과 전략 중 기술경영능력이 보다 밀접한 성과 결정요인임을 입증하였다. 또한 성과를 하나로 간주하지 아니하고, 재무, 조직, 제품성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다차원적인 성과 결정과 그에 따른 연구가 세분화하여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재무성과에는 기업가 정신-적응성이, 조직성과에는 기술전략이, 제품성과에는 기술전략이 대표적인 결정요인이었고 그 외 유의미한 변수의 차이가 컸다. 기술기반창업기업의 특성에 있어서, 제품성과가 다른 성과보다 밀접하다는 것과 첨단제조업이 타 업종보다 전반적으로 평균값이 높다는 것을 파악한 것도 의의이다. 정책적으로는 본 논문의 결과를 활용하여 해당 업종의 기업이 목표하고자 하는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할 요인들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 주요 메가트렌드(Mega Trend)변화에 따른 미래의 자동차산업 영향요인 분석

        송기석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는 자동차 산업의 환경변화가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특히, 자동차 산업의 핵심 Mega-Trend가 자동차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 하였다. 이에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자동차 산업의 환경변화가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였으며 특히, 자동차 산업의 핵심 Mega -Trend가 자동차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자동차기업의 경영성과 극대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미를 둘 수 있다. 본 연구는 가설 검증을 위하여 국내 자동차 기업 임·직원(연구소, 관리직, 마케팅), 대학교수, 자동차산업 전문가 및 대학원생 등을 표본으로 하여, 2014년 3월 10일 부터 4월 4일까지 4주간 실시하였으며,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51부를 회수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설문지는 3개의 측정기준을 바탕으로 총 5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총 2개의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연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 하였다. 첫째, 자동차산업 환경변화는 자동차기업의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환경변화 중 자동차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 특성으로는 정책·제도적 변화, 경제적 변화, 사회적 변화, 기술적 변화로 확인 되었다. 상관관계분석결과, 자동차산업의 경영성과 중 매출증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기술적 변화이며, 고용증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사회적 변화 그리고 마지막으로 시장선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정책·제도 변화로 분석 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최근 글로벌시장의 자동차 안전규제 강화, 유럽의 탄소배출량 규제,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에 대응한 주요국의 자동차 환경규제 강화 그리고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저탄소차 협력금제도 도입 등이 향후 자동차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사실을 입증해 주고 있다. 둘째, 자동차산업 핵심 Mega-Trend는 자동차기업의 경영성과에 정(+)의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산업 핵심 Mega-Trend 중 자동차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 특성으로는 친환경화 요인, 고효율화 요인, 고감성 소비자 부상, 스마트화 요인, 안전성강화 요인으로 확인 되었다. 상관관계분석결과, 자동차산업의 경영성과 중 매출증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고효율화이며, 고용증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안전성 강화 그리고 마지막으로 시장선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친환경화로 분석 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최근 고유가 및 원유고갈에 따른 전기, 수소, 태양열 등 대체에너지 개발에 대한 관심 증가와 배기가스 규제에 대한 관심이 반영되었음을 입증해 주고 있다. 또한 유가의 지속적 상승 전망에 따라 고효율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연비 향상 및 탄소배출량 감소를 위한 노력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hange of auto industry for business performance of enterprise and especiall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uto core industry, Mega-Trend. Based on advanced researches, this study studied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hange of auto industry for business performance of enterprise. This study is very meaningful in suggesting ways to maximize business outcome of auto industry by analyzing the effect of auto core industry, Mega-Trend. This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 research on each variable for four weeks from March 10th, 2014 to April 4th, 2014 to test hypothesis, distributing 300 questionnaires and collecting 251.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58 questions based on 3 measuring criteria. This study sets up two hypothesis and deducte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 by analyzing empirical research. First, the environmental change of auto industr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auto industry. Factors effecting on the business outcome of auto industry are changes of political, institutional, economical, social, technological situation. Based on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 factor effecting on the sale increase is technological change and the factor on the employment increase is social change. Finally factor on the occupation of market is political and institutional change. This analytical result supports that there are close relationships among the reinforcement of auto safety regulations in global market, regulations on carbon emission of Europe, the reinforcement of auto environment regulations against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especially imposting cooperative fund for low carbon emitting car,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of auto industry in the future. Second, auto core industry Mega-Trend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business performace of auto industry. Factors of Mega-Trend effecting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auto industry are echo-friendly factor, high efficiency factor, emerging high sensitive consumers, smart factor and safety reinforcement factor. Based on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 factor effecting on the sale increase is high efficiency and the factor on the employment increase is safety reinforcement. Finally factor on the occupation of market is echo-friendly factor. This analytical result supports that the interests in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y such as hydrogen, electricity, solar heat against exhausting oil and high oil price and regulations on emitting gas. As the oil price is getting higher, the interest on high efficient car is getting increase, this is the result reflecting the effort for improving fuel efficiency and decreasing carbon emission.

      • 창업가 특성과 창업행동에 따른 창업 성공요인 분석

        박지혜 中央大學校 産業·創業經營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51711

        최근 들어 경제위기로 침체기가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세계경기 변동에 가장 민감한 국내경제도 성장률이 하락하고 기업의 구조조정에 따른 취업기회의 감소로 인한 실업이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창업활성화를 통한 新성장동력의 확보가 국가정책의 최우선 과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업가의 특성이 창업을 구상하고 실행에 옮기는 창업가 행동단계에서 창업 기회발견 및 기회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창업 활성화에 기여하고 경영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즉, 창업가의 특성이 창업행동을 매개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창업가의 특성 즉,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모두 창업 행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창업 행동 또한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뿐만 아니라, 창업가의 특성 또한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가장 역점을 두었던 매개효과 부문은 창업가특성이 창업행동을 매개로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수(연령, 창업가의 이전 직장 근무경험, 업종)에 따라서, 창업가 특성과 창업행동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가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연령, 창업가의 이전 직장 근무경험, 업종은 창업가 특성과 창업행동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둘째, ‘창업가 특성’은 ‘창업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가 특성 중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은 ‘창업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가 특성’은 ‘경영성과’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가 특성’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창업가 특성 중 ‘혁신성’과 ‘진취성’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위험감수성’은 경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창업행동’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행동의 ‘기회발견’과 ‘기회활용’ 모두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요인별로 살펴보면, 창업행동의 세부요인 중 ‘기회발견’이 ‘경영성과’에 가장 강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창업행동’은 ‘창업가 특성’과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행동(기회발견, 기회활용)’이 ‘창업가 특성’과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발생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즉, 창업가 특성이 바로 경영성과로 이어지는 것 보다는 기회발견과 기회활용과 연계하여 창업의 경영성과 향상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Recently economic recession is expected to be drawn out due to an economic crisis. As global business conditions are fluctuating, a rate of economic growth is falling and unemployment due to the restructuring of enterprises comes to the fore as a serous social problem. Thus job creation and vitalizing founding for economic growth is a high priority of the government. Thus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 on finding the opportunity of foundation and using the chance at the stage of entrepreneurial action of planning and performing the found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up practical measures to boost found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 through start-up action on the business performanc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 such as innovation, progressive spirit, and risk sensitivity has an effect on start-up action and start-up action also has an effe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Besides, the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 also is analyzed to have an effe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The focused meditated part of this study was confirmed that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 through start-up action has an effe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The detailed results are as followings. Frist, there is difference of entrepreneurs’ characteristic and behavior according to a demographic factor(age, entrepreneurs’ prior work experience, and type of business) Among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there are differences of age and entrepreneurs’ prior work experience according to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and start-up business behavior. Second, the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 has an effect on start-up action. The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 such as innovation, progressive spirit, and risk sensitivity has a positive effect on start-up action. Third, the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 partly has an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The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 has a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With the more detailed perspective, innovation and progressive spirit of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 has a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However, risk sensitivity doesn’t have a meaningful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Fourth, start-up action also has an effe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Finding the opportunity and using the chance of start-up 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In detail, finding the opportunity has a profound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Fifth, the meditated effect of start-up action happens in the relation between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 and business performance. The result shows that start-up action carries the meditated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 and business performance. It means that the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 through finding the opportunity and using the chance has a profound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 창업가정신 및 디자인사고가 디자인 경영자의 창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역량의 매개효과

        권오형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가정신과 디자인사고가 디자인경영자의 창업만족도의 관계에 있어 창의적 역량이 매개변수로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와 창업가정신과 디자인사고가 디자인경영자의 창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에 있다. 실증분석은 정정호(2013)의 연구에 근거하여 非디자인 전공집단보다 ‘창의성’이 높은 디자인 전공집단을 대상으로 현재 다양한 디자인산업분야에서 종사하고 있는 1인 디자인 경영자 또는 프리랜서 디자이너에게 온라인을 통한 설문지 배포 및 작성 방식으로 진행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227부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창업가정신과 디자인사고가 디자인경영자의 창의적 역량의 매개효과를 통해 창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각각의 가설들이 모두 채택되어 창의적 역량은 디자이너의 창업을 시도하는 동력이 되고 창업활동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통합적 사고를 통해 해결하도록 하여 창업만족도를 높여주었으며 창업가정신과 디자인사고, 창업만족도 각 변수가 갖는 매개효과를 통해 창의적 융합인재와 디자인 경영자로서 가치를 높여 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그 동안 연구가 미비했었던 디자이너를 경영자로서 적용하여 분석한 논문이라는데 차별적 가치가 있으며 교육 또는 훈련, 창의적 활동을 통해 디자인사고방식과 창의적 역량을 소지하게 되는 그들이 타 분야와의 지식융합을 통한 창의적 융합인재, 또는 디자인 융합인재로 도약하는 것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입증한데 의미가 있다 하겠다. 또한 창업가정신을 근간으로한 창의적 역량을 갖춘 더 많은 인재들의 창업의지를 높이고 디자이너 또는 디자인학과 학생과 디자인업 종사자들에게 창업 또는 타 학문과의 융합교육과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creative competence on entrepreneurship and design thinking to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of designers. This research also focuses on examining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and design thinking on entrepreneurship satisfaction of design managers. Based on the study of Jung(2013),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online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one man design owner or freelance designer engaged in various design industries in the field of design major with high 'creativity' And 227 copie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The result shows that entrepreneurship and design thinking influence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reativity capacity of design managers. It means that the creative competence acts as the source for designers to start their business, improves the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by solving the problems through integrated thinking, and enhances the value as a creative convergence talent and design manager through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entrepreneurship, design thinking, and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This research has distinctive value that it analyzes designers as a business owner who have not been selected as a subject in research in the past. Furthermore, it is meaningful that the designers who possessed design thinking and creativity through education, training, and creativity are proving positive and positiv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convergence talent and design convergence talent through the fusion of other fields and knowledge. It suggests that more talented people with creativity based on entrepreneurship should be encouraged to start up, and that designers or design students and design workers need to be provided with convergence education and programs with start-ups or other disciplines.

      • 아웃도어 매장 창업자의 개인특성과 경영관리가 창업 성공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권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1711

        국내 아웃도어 산업은 짧은 시간에 인구비례 세계 1위라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하였으며 더불어 아웃도어 의류매장 창업자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아웃도어 매장 창업과 관련한 연구 자료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중소 규모의 아웃도어 의류매장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과 경영관리가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한 연구로서 창업자의 특성을 배경적 특성, 행위적 특성, 심리적 특성으로 분류하였으며 경영관리요소는 수익전략, 운영전략, 고객 및 서비스 전략으로 나누어 이들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고 각각의 전략들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했다. 본 연구를 통해 아웃도어 의류매장 창업에 효율적 방안을 수립하는데 참고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매출 10위권 단일 아웃도어 브랜드를 표본으로 설정하고 전국 위탁 대리점 240곳에 우편설문과 인터뷰를 병행하여 91부를 회수하고 결측값인 11부를 제외한 80부를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고 아래와 같은 사실을 확인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수들 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관련업에 종사한 경험이 길수록 경영관리 전략요인인 수익전략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웃도어 의류매장 대표자의 성별에 따라 차별화된 서비스전략을 운영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셋째, 매장의 매출이 높을수록 창업자의 심리적 특성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창업자의 심리적 특성은 경영관리전략의 하위요인인 운영전략, 고객 및 서비스전략, 수익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창업자의 행위적 특성은 운영전략, 수익전략, 서비스전략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아웃도어 의류매장 경영관리전략 중 서비스전략은 사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domestic outdoor industry has achieved notable development of the 1st place in the world in proportion to population in short term. Further, the number of entrepreneur of outdoor wear shop is also increasing rapidly. However, the data related to the entrepreneurship of outdoor shop is scanty. Intending to analyze influence that personal property and management administration of entrepreneur of middle & small scaled outdoor shop has on the result of business, this study classifies the property of entrepreneur into the background property, behavioral property and psychological property and divided management administration factors into revenue strategy, operation strategy, customer & service strategy in order to verify their correlation and to clarify the influence that each strategy has on the result of business. The researcher intends to present reference to establish the efficient method to establish outdoor wear shop through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ingle outdoor brands in top 10 sales were selected as sample and questionnaire by post & interview were done with 240 consigned distributors nationwide. Out of the collected 92 copies, 80 copies excluding those with invalid values were corroboratively analyzed by using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Then, the following facts were confirmed. First, checking the difference among demographic and statistical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longer the experience in working in relevant business is, there is difference in the revenue strategy, the strategic factor of management administra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distinct service strategy was operated depending on the gender of representative of outdoor wear shop. Third, it is analyzed that the higher the sales of shop is, there is difference in the psychological property of entrepreneur. Fourth, it i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property of entrepreneur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bordinate factors of management administration factors, namely, operation strategy, customer & service strategy and revenue strategy. Fifth, it is analyzed that the behavioral property of entrepreneur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operation strategy, revenue strategy, service strategy. Sixth, it is found that service strategy out of management administration strategies of outdoor wear shop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sult of business.

      • 창업자의 특성 및 창업가정신 그리고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이 기업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승현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1711

        Recent changes in the economic conditions have caused enterprises to reduce their forces in size and create small units of businesses through outsourcing. At this very moment of retiring baby boomers and of the increasing one-man businesses by young entrepreneurs who are enormously rising in number, the business incubator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success of emerging businesses at their initial stage, among many other business support policies.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very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businesses entering business incubators, the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with certain variables, which includ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entrepreneurship of new entrepreneurs, and the business support policies performed by the government.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revious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new entrepreneurs were defined in terms of demographical traits, such as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past work experience. The entrepreneurship of new entrepreneurs was defined as the combination of the sprit to innovate, the spirit to progress, and the spirit to take risks. The business support policies provided by the government included financial supports and the policies providing businesses with management and education, while we tried to define the business performance as the growth in the revenue and in the employment, each of which was given a corresponding assum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determining whether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new entrepreneurs set under certain assumptions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ir businesses, whether the entrepreneurship of new entrepreneurs and the business support policies provided by the government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businesses, and whether the support services provided by business incubators will have a regul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the entrepreneurship, the business support policies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The study conducted a relevant survey whose subjects were business representatives entering business incubators operated by local self-governments, universities, and private enterprise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7, 2014 until May 10, in the form of paper-based direct survey. Among the total 158 surveys collected, 146 were adopted into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new entrepreneurs revealed that women, rather than men,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ir business, along with the past work experience. Second, while the spirit to innovate and the spirit to progress of the entrepreneurship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a business, the spirit to take risks was identified to affect the growth in revenue and employment of a business. Third, the financial support provided by the government did not play a significant role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business, whereas the policies that provided the businesses with management and education did affect the growth in revenue and employment of the businesses. Finally, the support services provided by the business incubators did not show a regul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while on the other hand, the non-material supports that the business incubators provided did show a regul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prit to take risks from the entrepreneurship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and between the government policies that provided management and education,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As it may be concluded from this study, large reassessment for the various service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will have to be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businesses entering the business incubators, and above all, a new incubating system beyond mere space renting, such as a specialized incubation center, will have to be introduced. 최근 들어 경제상황의 변화에 따라 기업들은 기존조직을 슬림화하고 아웃소싱을 통하여 소단위의 기업을 만들고 있으며, 베이비부머의 은퇴시기와 청년창업가의 대거 등장으로 인해 1인 기업들의 숫자가 증가되고 있는 현실에서, 창업초기기업들의 성공가능성을 높이고 경영성과를 내기 위한 여러 가지의 창업지원정책 중에서 창업보육센터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한 기업들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해서 창업자의 특성, 창업자의 창업가정신, 정부의 창업지원정책 등을 변수로 설정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선행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하여 창업자의 특성은 연령, 학력, 과거의 근무경험 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정의하였고 창업자의 창업가정신은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으로 정의하였으며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은 자금지원정책과 경영, 교육지원정책으로 정의하였고 기업의 경영성과는 매출성장 및 고용확대로 정의하였으며 각각에 해당되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설로 설정한 창업자의 개인특성이 기업의 경영성과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창업자의 창업가정신과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는 창업자의 특성, 창업자의 창업가정신, 정부의 창업정책과 기업의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질 것인지의 여부를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제, 대학교, 민간기업 주관의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한 기업대표들을 대상으로 하여 2014년 4월 7일부터 5월10일까지 지면설문지를 통한 직접설문방식으로 조사하였고 총158부를 회수하여 14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창업자의 특성 중에서 남성에 비해 여성의 경우가 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과거의 실무경험도 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자의 창업가정신 중에서 혁신성과 진취성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위험감수성은 기업의 매출액증대와 고용확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부의 자금지원정책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영 및 교육지원정책은 기업의 매출증대와 고용확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는 창업자의 개인특성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지 못했으며, 창업가정신 중에서 위험감수성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 정부의 경영, 교육지원정책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 중의 비 물리적 지원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듯이,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한 기업들의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현재 지원되고 있는 각종 서비스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하겠고 무엇보다도 공간제공의 수준을 벗어난, 특화보육센터 등의 새로운 인큐베이팅 시스템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지원제도와 신뢰도가 예비 창업자의 가맹계약여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매업 프랜차이즈 중심으로

        공인원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1711

        2019년 현재 국내 프랜차이즈산업의 시장 규모가 120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명목GDP의 약 7%, 총 고용의 4.5%를 차지할 만큼 주요 산업 중 하나로 성장했다. 그러나 국내 프랜차이즈의 시장규모에 비해 질적인 성장은 매우 부족한 편이다. 그로인해 많은 예비창업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높은 폐업률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 현재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더욱 중요시 되는 요소가 바로 프랜차이즈 본사의 책임과 역할이며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프랜차이즈 지원제도 이다. 본 연구는 소매업 프랜차이즈 산업의 양적 성장을 넘어 질적 성장을 위해서 프랜차이즈 본부의 지원제도를 분석하고 업태에 맞는 지원제도 수립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예비창업자 관점에서 지원제도와 본부의 신뢰도를 바탕으로 창업의사결정시 필요한 요인에 대해 자세히 분석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소매업 프랜차이즈에 관심이 있는 예비창업자 178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23.0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모형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내용을 검증하였다. 주요 변수인 프랜차이즈 지원제도와 본부의 신뢰도, 예비창업자의 가맹계약여부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지원제도의 하위요인으로는 ‘점포개발지원제도, 교육·경영지원제도, 물류지원제도, 홍보지원제도, 신제품지원제도, 상품운영지원제도’ 총 6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랜차이즈 지원제도 중 교육·경영지원제도, 상품운영 지원제도, 신제품 지원제도가 예비창업자의 본부 신뢰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둘째, 프랜차이즈 지원제도 중 교육·경영지원제도, 상품운영 지원제도, 신제품 지원제도가 예비창업자의 가맹계약여부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셋째, 점포개발 지원제도, 물류지원제도, 홍보지원제도는 직접적인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본부의 신뢰도가 가맹 계약여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로는 본부에 대한 신뢰도는 예비창업자의 가맹계약 여부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된 연구를 통해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매업 프랜차이즈 가맹본부는 신제품개발, 상품운영지원 등을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상품지원제도 수립을 통해 예비창업자들에게 신뢰를 줘야 한다. 둘째, 본부의 적극적인 경영지도와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예비창업자들이 경영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원제도를 중점적으로 수립해야 한다. 셋째, 점포개발지원, 물류지원, 홍보지원 등의 지원제도는 차별화된 강점 보다는 안정적인 지원제도로써 전반적인 경영을 지원하는 제도로 운영해야 한다. 넷째, 본부는 예비창업자에게 사업역량 검증과 일관성 있는 태도로 신뢰를 보증함으로써 상호간의 관계를 더욱 밀접하게 해야 한다. Korean franchise market size appears to be almost 120 billion KRW in 2019. It has become one of the leading industries that take 7% of nominal gross domestic product and 4.5% of the total employment in Korea. However, the quality of growth seems to be insufficient compare to the quantity of growth. Low quality growth resulted pre-entrepreneurs suffer and many entrepreneurs ran out of businesse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franchise support system plays a very significant role with the responsible attitude of franchise headquarters. For more accurate research, the final analysis included 178 pre-entrepreneurs who have specific interests on retail franchise business. SPSS 23.0 was the main analytical method to deep dive into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veals main variations as the reliability with the franchise headquarters’ support system and the cause-effect relationship between pre-entrepreneurs and franchise headquarters. Total of 6 sub factors of the support system were analyzed which are store development, education-business administration, supply and chain, public relations, new product, product operation support systems. Below list is consisted of the final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the research confirmed that among many franchise support systems, education-business, product operation, and new product support systems have shown positive and meaningful effects on the Franchise headquarter’s trust Second, the research confirmed that among many franchise support systems, education-business, product operation, and new product support systems have shown that it has positive and meaningful effect on the decisions pre-entrepreneurs make. Third, Store development, supply and chain, public relations have shown relatively lower effects. Forth, the reliability in providing supports of the product operation and new product supply has some mediated effects on whether pre-entrepreneurs signing in franchise contract or not. Meanwhile, those sub-factors of the franchise support system were not satisfied in each level of the verification which means it was uncertain if the sub-factors have the mediated effects. Summaries of the key points based on this research are listed below. First, retail franchise headquarters must provide a systematical product support system to ensure reliable relationship with pre-entrepreneurs based on new product development and product operation supports. Second, establishing support system to amplify successful business performances of pre-entrepreneurs through active provision of management guidelines and trainings is crucial. Third, store development, supply and chain, public relations supports should be steady support systems throughout the whole business administration rather than differentiated strengths. Fourth, franchise headquarters must be consistent in support and verifying operational competence of the business that will build reliability assurance with pre-entrepreneurs.

      • 창업자 환경 전략 조직이 소프트웨어 벤처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전재수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기업이 지속가능한 기업으로서 영위하기 위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창업자 특성, 환경 특성, 전략 특성, 조직 특성이 재무적 성과와 제품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가설에 대한 실증분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재무적 성과에는 창업자의 경력특성이 영향력이 가장 크며, 다음으로 심리동기능력과 경영능력 순으로 파악 되었다. 첫째, 창업자의 경력특성 중 창업자의 연령과 학력이 높으며 기업경험이 있는 경우에 재무적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능력 중 조직화사업능력과 고객지향성이 높을수록 재무적 성과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지향성이 조직화사업능력보다 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특성 중 산업성장률이 높을수록 재무적 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경영전략 중 경쟁전략과 가격유통전략이 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이 되었으며 가격유통전략이 경쟁전략보다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직특성 중 위계적 특성과 위임적 특성, 조직문화중 개방적 문화가 높을수록 재무적 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창업자의 심리동기능력이 영향력이 가장 크고, 경력특성과 조직특성 순으로 파악 되었다. 첫째, 창업자의 경력특성 중 연령, 학력이 높을수록 제품 성과가 높으며 기업 경험이 있을수록 제품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능력 중 위험감수성은 낮을수록, 창업능력 중 조직화사업능력과 관리능력이 높을수록 제품 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지향성이 조직화사업능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특성 중 경쟁 진입장벽이 높을수록 제품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경영전략 중 시장화전략, 경쟁전략과 가격유통전략이 많을수록 제품 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이 되었으며 경쟁전략이 시장화전략보다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직특성의 위계적, 위임적 특성과 조직문화의 개방적, 개인적 문화 모두 제품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이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the characteristics of an entrepreneur, environment, strategies and organizations can affect financial achievement and product performance of software ventures, and ultimately lead them into successful corporations. In order to accomplish the research objective, the hypothesis was formed based on theoretical insights and preceding studies,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is analysis. The past career of an entrepreneur influences on financial performance most, and follows psychological motivation ability and management ability. Fir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an entrepreneur's career, financial performance is high when he has maturity, strong academic background and the experience in company management. Second, among the ability of entrepreneurship, organization ability, following customer orientation,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financial performance. Thir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 an industrial growth rate influences on the improvement of financial performance. Forth, among the strategies of management, price distribution strategy, following competition strategy, influences on the improvement of financial performance. Fifth, hierarchical and delegatory characteristic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an organization and open culture among the organization cultur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financial performance. The psychological motivation ability of an entrepreneur influences on product performance most, and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career and an organization. Fir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an entrepreneur's career, product performance is high when he has maturity, strong academic background and the experience in company management. Second, among the ability of entrepreneurship, low risk-taking and high organization ability and high customer orientation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product performance. Thir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 high barriers to entry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product performance. Forth, among the strategies of management, marketing strategy, competition strategy and price distribution strategy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product performance. Fifth, hierarchical and delegatory characteristic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an organization and open and personal culture among the organization cultur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product performance.

      • 1인 창조기업가의 자기효능감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창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수연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1711

        A one-person creative company is expected to be an alternative for creating jobs and the key of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21st century. Self-efficacy is the belief in one's own competency in successful performance of tasks and is said to be one of the key factors for human success in the psychological respect. For a one-person creative company with the key factors for company management and originality concentrated on one person, self-efficacy of the CEO, who leads the company, becomes a key factor for establishment, survival, and growth of the company. Previous studies obtained the result that self-efficacy positively affected management performance but failed to identify the process in which self-efficacy might affect management performance.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self-efficacy and management performance in one-person creative companies. Research on entrepreneurship as an independent area started in the 1990s. Entrepreneurship is not only an entrepreneurial process and phenomenon that may result in corporate performance but also an element essential to success or failure of a company that may affect survival and growth of the company. Entrepreneurship, which brings about changes in management strategies, can determine success or failure of a company. This means that it can be a process variable that explains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addition, previous studies only focused on the financial aspect of management performance, neglecting current value-creating performance. This study presented a new model with four areas of management performance for one-person creative companies in evaluating the effects of one-person creative company entrepreneurs'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ship on management performance: finances, customers, internal process, and learning and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empirical analysis of the associations among self-efficacy,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performance, which are presented as factors that determine success or failure of a one-person creative company and lay the theoretical ground for research related to one-person creative companies. A questionnaire based on operational definition was used to test hypotheses in addition to the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254 subjects, including one-person creative companies and one-person companies supported by the Incheon Integrated Startup Support Center that gives support to one-person startups across the country, and 249 questionnaires were finally analyzed, with the exception of 5 copies that were incomplete or insincere. Th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using SPSSWIN 24.0 and AMOS 24.0 program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performed for the path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variables on the model. Bootstrapping using an SPSS macro-process was performed fo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entrepreneurship, which is a multiple mediator. One-person creative company entrepreneurs'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ship were factors significantly improving management performance in those areas of finances, customers, internal process, and learning and growth. Progressiveness and risk taking among the sub-factors for entrepreneurship partially mediated between self-efficacy and management performance.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associ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management performance in South Korean one-person creative company entrepreneur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make suggestions necessary to improve the theoretical basis for research on one-person creative companies. 1인 창조기업은 21세기 신규 일자리 창출의 대안이자 국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기대되고 있다. 자기효능감은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개인의 역량에 대한 신념과 믿음으로서, 심리학적으로 인간의 성공에 핵심 요인으로 언급된다. 독창성과 기업 운영에 대한 핵심요소가 1인에게 집중되는 1인 창조기업의 경우, 기업의 주체인 CEO의 자기효능감은 기업의 설립·생존·성장의 핵심요소가 된다. 그동안 선행연구들은 자기효능감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으나, 자기효능감이 어떤 과정을 통하여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제시하지 못한다는 한계도 있었다. 또한 1인 창조기업 대상의 자기효능감과 경영성과 관련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창업가정신은 1990년대를 기점으로 독립적인 분야로서 연구가 시작되었다. 창업가정신은 기업성과로 귀결되는 창업가적 과정 및 창업가적 현상이자 기업의 생존과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 성패의 본질적인 요소이다. 창업가정신은 경영전략의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기업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할 수 있다. 이는 곧 자기효능감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과정 변수가 될 수 있음을 뜻한다. 아울러 지금까지 연구들은 경영성과의 재무적 성과에만 초점을 두어 현재의 가치 창조적인 성과는 누락이 된다는 문제점이 대두되어왔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1인 창조기업가의 자기효능감과 창업가정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1인 창조기업 경영성과의 평가를 재무,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성장의 4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측정한 새로운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1인 창조기업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는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는 자기효능감과 창업가정신, 경영성과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여 향후 1인 창조기업 관련 연구의 이론적 기초의 마련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모형과 가설검증을 위하여 조작적 정의를 기반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했으며 분석을 위한 자료는 전국에 분포되어있는 1인 창조기업과 1인 창업지원기관인 인천창업통합지원센터의 지원을 받는 1인 기업을 포함한 총 254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고, 미응답이 한 문항이라도 있거나 불성실하다고 판단된 설문지 5부를 제외한 249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 24.0과 AMO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고 연구모형에 대한 측정 변인들의 경로와 직·간접적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중매개인 창업가정신의 통계적 유의성은 SPSS 매크로 PROCESS를 사용하여 부트스트랩 방법으로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1인 창조기업가의 자기효능감과 창업가정신은 재무,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성장 영역의 경영성과를 유의하게 향상하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창업가정신의 하위요인인 진취성과 위험감수성은 자기효능감과 경영성과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직 국내에서 1인 창조기업가의 자기효능감과 경영성과간의 관계를 관련된 살펴본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1인 창조기업 연구의 이론적 기초를 발전시키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