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도서관의 정보활용능력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 H대학교 학부학생 사례를 중심으로

        이병주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대학 학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도서관에서 시행할 수 있는 정보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모형을 제안하고, 제안된 모형을 적용하여 정보활용능력 교육을 시행한 후 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미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에서 제시하는 정보활용능력 기준과 모형을 조사하였으며, 최근 정보활용능력 교육을 주제로 발표된 국내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교육내용을 조사하였다. 또한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샘플링서비스를 통하여 국내의 일부 대학도서관을 선정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정보활용능력 교육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조사를 기반으로 정보요구영역, 정보자원영역, 정보접근영역, 정보분석·평가영역, 정보관리영역, 지식창출영역, 정보이용·윤리영역으로 7영역으로 구분하였다. 그러나 교육모형에서는 시공간적인 제약으로 실제 교육에서 적용하기 어려운 지식창출영역은 제외하였으며, 각 영역에 따라 적합한 교육내용을 적용하여 교육모형을 개발하였다. 교육 효과와 만족도 검증을 위해 4가지 가설을 수립하고 질문지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가설검증결과 실험집단은 교육전후 정보활용능력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분석되었으며, 단위실험집단별 정보활용능력 교육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보활용능력 점수와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만족 관계는 점수와 만족도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교육전후의 점수변화와 교육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단위실험집단별 정보활용능력 교육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정보이용·윤리영역 점수가 마이너스 성장을 보이고 있어 교육자의 역량강화와 더불어 교육내용이나 프로그램의 수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교육 전 도서관 및 정보자료에 대한 낮은 기초지식과 교육 후 높은 만족도는 등을 통해서 도서관의 소극적인 교육태도를 짚어 볼 수 있었다. 이를 위한 개선점으로 교육담당사서의 양성 및 교육사서의 역량 강화와 도서관의 적극적인 교육태도 등 도서관에서 정보활용능력 교육영역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와 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 한·인도 FTA의 원산지 결정기준에 관한 연구

        김기영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9631

        인도는 한국의 11번째 교역 국가이며 한국의 주요 교역 파트너이다. 또한 한국과 인도는 상호 보완적 산업구조를 가져 한국은 공산품에, 인도는 농수산물과 원재료 등에 우위를 가지고 있다. 양국은 이러한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2004.10월 공동연구그룹 설치에 합의한 이래 2006년 3월부터 FTA 체결을 위해 2008.9월까지 12차에 걸친 협상을 완료하였으며 주요 부분에 대하여는 합의가 마무리되었다. FTA는 체약국간 거래되는 물품에 대하여 배타적으로 관세특혜를 주는 것이며 그 특혜의 대상은 체약국에서 생산되는(원산지가 체약국인) 물품이다. 그러나 global sourcing이 일반화되고 거래방식이 다양한 현대에 그 나라의 산업의 특성과 생산구조 등을 반영하여 수많은 상품의 원산지기준을 설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한·인도 FTA 원산지 규정에 대하여는 그 중요성에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정부 무역통계를 사용하여 2007년 기준으로 한국과 인도간에 실제로 교역이 이루어진 수출 1,634개 품목과 수입1,324개 품목을 HS Code 6단위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전체 교역품목이 속하는 기계산업, 농산물 및 가공식품산업, 철강산업, 석유제품 및 석유화학산업, 자동차산업, 전기전자산업, 섬유산업, 제1차 금속산업, 광학기기산업의 9가지로 구분하였다. 산업별 원산지 결정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종전의 개별적 분석과는 달리 여러 변수를 고려하였다. 첫째, 한·인도간 2007년도 산업별 평균관세율을 분석하였다. 둘째, 2007년도 한·인도간 무역이 일어난 산업 전체의 무역규모 및 상품수지 규모를 분석하였다. 셋째, 각 산업별로 한·인도간 발생한 무역규모 및 상품수지 규모를 분석하여 원산지 기준을 결정할 때 반영하였다.넷째, 한·인도간 산업별 수출경쟁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무역특화지수(TSI)를 이용하였다. 이러한 4가지 지표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원산지 결정기준을 강화하여야 할 품목과 완화시켜야 할 기준과 그 정도를 제시하였다. 각 산업별로 우선 원산지 강화품목으로 볼 수 있는 것은 무역20대 상품으로 전체무역과 대 인도무역에서 일치되는 품목과 상품수지 적자 20대 품목으로 전체무역과 대 인도무역에서 일치품목, 그리고 TSI 기준 비교열위 20대 품목으로 전체무역과 대 인도무역에서 일치되는 품목이다. 또한 각 산업별로 우선적으로 원산지 완화품목으로 볼 수 있는 것은 무역20대 상품으로 전체무역과 대 인도무역에서 일치되는 품목과 상품수지 흑자 20대 품목으로 전체무역과 대 인도무역에서 일치되는 품목, 그리고 TSI 기준 비교우위 20대 품목으로 전체무역과 대인도무역이 일치되는 품목이다. 다만 한·인도 FTA에서 각 품목별로 원산지기준의 강화나 약화여부 및 그 정도는 당해 산업이나 품목의 특성과 함께 한·인도 무역규모와 상품수지, 그리고 한·인도 무역에서 TSI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5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 범위와 방법 및 논문의 구성을 기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과 인도의 무역현황과 특징, 한국에 대한 인도의 관세정책 현황 그리고 한·인도 FTA 추진현황 및 전망을 개관하였다. 제3장에서는 원산지의 개념과 원산지 기준의 유형, 특혜 원산지규정의 세계적 유형과 특징, NAFTA와 PanEURO 특혜원산지 규정을 개관하고 한국과 인도의 FTA규정을 비교분석하고 특혜원산지 결정기준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제4장에서는 한국 무역을 산업별, 분야별로 상품수지와 무역액, 무역경쟁력 등을 분석하고 각 분야별로 한·인도 무역을 동시에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그리고 각종 지표에 대한 분석에 의하여 원산지결정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줄거리를 요약하고 정책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기술하였다. India is Korea's eleventh largest trading partner and a major trading nation. In addition, the two nations have complementary industrial structure. Korea has comparative advantages of manufacturing products and India also has comparative edges on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and raw materials. Since the two sides agreed to establish a joint-study group to maximize such economic gains in October 2004, both sides began negoti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Free Trade Agreement(FTA) in March 2006. As of September 2008, Korea and India completed twelve-rounds of negotiations, reaching agreements on major points. A FTA grants an exclusive tariff preferential treatment on goods from contracting parties. Goods, of which country of origin are one of the parties, are subject to preferential treatments. As global sourcing becomes common and considering various trade methods, however, determining rule of origin of numberous goods which reflects industrial properties and manufacturing structure of a nation is extremely difficult. It is true that studies regarding rules of origin in the Korea-India FTA were not conducted sufficiently,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the issue was highly recognized. This study analyzed 1,634 export items and 1,324 import items by six-digit HS Code based on 2007 Korean government trade statistics. The overall trading items are classified by nine industries - machine industry,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and food processing industry, steel, oil and petro-chemical, automobile, electronics, textile, basic metal, and optical industry. In this treatise, various elements were considered to set up separate industrial origin criteria and that is quite different from previous individual analysis. First, an analysis of 2007 average tariff rates per industry between Korea and India; Second, measurement and reflection of trade volume and goods trade balance per industry in 2007; third, considering the amount of trade and trade balance with India per industry; fourth, an adoption of trade specialization index(TSI) to gauge export competitiveness per industry between the two nations. Based on those four indices, the study suggests items, criteria, and the scope for origin criteria to be enhanced and eased. To be specific, items on enhanced origin criteria lists are top 20 trading items, 20 items recording trade balance deficit, and 20 competitive disadvantage items by TSI basis. All three items are coincided in overall trade and trade with India. Items on eased origin criteria lists are top 20 trading items, 20 items recording trade balance surplus, and 20 competitive advantage items by TSI basis. As in the case of items on enhanced origin criteria lists, these items are identical between overall trade and trade with India. Under the Korea-India FTA, however, enhancing and easing origin criteria should be determined with consideration of properties of concerned items and industries and TSI volume in Korean and Indian trade. This treatise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1 states the purpose, scope and methods, and detailed contents of the study. Chapter 2 provides an overview of current Korea-India trade status and characteristics, Korea's tariff policy toward India, and ongoing Korea-India FTA negotiations and its perspective. Chapter 3 deals with general concepts of country of origin and origin criteria categories, classification and properties of preferential origin criteria of the world, and NAFTA and PanEURO preferential origin criteria. This chapter also presents a comparative analysis of FTA rules and regulations between Korea and India, and an analysis of precedent studies concerning preferential origin criteria. Chapter 4 makes an analysis on Korean trade - goods trade balance, trade volume, trade competitiveness by industries and sectors, and a comparison of Korean and Indian trade from a parallel analysis. This chapter also provides a basis for origin criteria based on analyses above from various indices. Lastly, chapter 5 summarizes the treatise and presents policy suggestions, limits of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진아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교육활동에 임하는 교사의 자질과 태도, 그리고 능력은 교육의 방향과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 중에서도 교사의 심리적인 소진 문제는 교육의 수혜자인 학생들을 위해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할 교육적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심리적 소진 문제를 교사의 개인적 문제로 국한하여 파악한 기존 연구들과 달리, 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학생에게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상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학생의 학교생활적응,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는 어떠한지, 둘째, 교사의 소진이 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 셋째,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교사의 심리적 소진의 영향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탐색하기 위해, 대전과 충남 지역에 있는 3개 초등학교의 5, 6학년 담임교사 36명과 그 교사들이 담당하고 있는 학급의 학생 8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높아질수록,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의 정도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교생활적응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교사 소진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개인적 성취감 저하는 교사-학생관계, 규칙준수, 학습활동에, 비인간화는 교우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여학생들이 남학생.에 비하여 교사 소진으로 인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남학생의 경우, 교사의 개인적 성취감이 감소하는 것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중 자신감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영향력이 매우 미약해, 교사가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크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학생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과, 교사 소진 문제 대처에 있어 교사의 개인적 성취감 저하 및 비인간화 경향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에서 교사의 소진이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미비하였다는 점에서 교사의 지도력 약화의 가능성을 예상해 볼 수 있어 교사의 학생에 대한 올바른 영향력 회복을 위한 노력과 제도적 마련의 필요성을 주장해 볼 수 있겠다. 본 연구는 비확률 표집과 횡단설계를 함으로써 일반화와 인과관계의 추론에 많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교사의 심리적 소진 문제를 교사 개인에게 국한하여 그 필요성을 주장하는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학생에게 미치는 교사 소진의 부정적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새로운 방향에서 교사 소진 문제의 중요성을 조명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As teachers' burnout is an educational issue that must be treated importantly for the benefit of students who are beneficiaries of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possible negative effects of teachers' burnout on students, contrary to the prior researches that confined the issue of teachers' burnout to their personal problems. To do thi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First, how is teachers' burnout related to students' school life adjust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second, how much does teachers' burnout affect students' school life adjust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in effects of teachers' burnout 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by gender? The greater teachers' burnout, the poorer students' school life adjustment; academic self-efficacy had ver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chool life adjustment, but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eachers' burnout. Teachers'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had negative effects 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regulation observance, and learning activities; and depersonalization negatively affected peer relations. In general, girls were more affected by teachers' burnout than boys. For boys, teachers'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led to a drop in self-confidence among sub-factors of academic self-efficacy. However, its influence was too weak, which implies that teachers failed to have great influences on stude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in terms of teachers'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and depersonalization in coping with such issues as negative effects of teachers' burnout on students and its problems. As possibility of weakening teachers' leadership can be expected from the fact that teachers' burnout had very little influence on academic self-efficacy,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enable teachers to restore correct influences on students and make institutional arrangements. This study has lots of limitations in terms of generalization and causation inference because of non-probability sampling and cross-sectional design. Neverthel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by testing negative effects of teachers' burnout on students and by emphasizing importance of the issue of teachers' burnout in a new direction, contrary to the prior researches confining the issue to individual teachers.

      • 채널 브랜드 개성에 형성된 이미지에 대한 CATV Station ID 구성요소의 인지효과 : 시지각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임효영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범람하는 CATV 채널에서 Station ID의 시지각 인지요소와 채널 브랜드 개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현재 노출되고 있는 채널브랜드의 Station ID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서 효과적인 인지적 효과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우선Station ID에 대한 정의와, 현재 그래픽 표현방법의 다양화로 인한 시각적인지의 변화, Station ID가 갖는 모션그래픽요소 등에 대해 검토하고, 채널브랜드의 의미분석을 시작으로 시각적인지의 변화로 인한 수용자 태도변화에서 미디어 발전에 의한 표현방법의 변화와 TV채널 브랜딩요소를 정의하여 Station ID에 나타난 시지각인지적 요소들을 종합하였다. 그 결과 ‘카메라의 역동성’, ‘커트 연결에 의한 시간변화’, ‘조명의 지향성’, ‘화면의 색상’등이 선정된 Station ID 선호의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효과적인 브랜딩 모델을 가진 CATV Station ID의 제작방향을 제언함으로 시지각인지의 형태적 요소를 제한적으로나마 예측해 볼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searche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sual perception recognition elements in Station ID of overflowing CATV channels and the channel brand personality, and focused on researching the effective recognition effect through preceding analysis on the exposed Station ID of the channel brand. First of all, we examined the exact definition of Station ID, the change in visual perception recognition due to the diversity of graphic expressing method, and the Motion graphic element of Station ID. Starting on analyzing the meaning of channel brand, we connected the reaction of the audience due to the change of the visual perception recognition and the visually perceptional expressing element showed on the Station ID. We were able to find out the represented form of visual perception recognition by focusing on the visually perceptional expressing elements which are dynamic of camera, times by scene connection, directivity of light, and hue of screen. Also, by proposing the manufacturing direction of CATV Station ID which has an effective branding model, we were able to make a limited prediction on the formal element of the visual perception recognition.

      • 전단벽 해석을 위해 사용가능한 유한요소의 거동 특성 고찰

        이채린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일반적인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건물구조해석을 수행하는 경우, 유한요소망으로 모형화하여 건물구조의 해석모형이 복잡해진다. 따라서 건축구조설계 실무에서는 일반적인 유한요소해석과 다르게 건물의 구조체를 단순한 해석모형으로 모형화하며, 이러한 단순해석모형을 작성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 중 전단벽은 다양한 유한요소를 이용하여 하나의 전단벽을 두 기둥열 및 슬래브 사이에 있는 하나의 유한요소로 모형화하고, 슬래브를 강체격막으로 모형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해당 모형화 기법을 이용하는 경우, 해석결과의 신뢰성을 담보하기 위한 전단벽의 합리적인 모형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무적 상황을 고려한 전단벽의 모형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전단벽 해석을 위한 유한요소의 공식화 이론의 발전과정과 공식화 방법을 고찰하고, 이를 근거로 면내회전강성을 갖지 않고 적합모드 평면응력요소와 면내회전강성을 갖지 않고 비적합모드를 고려하는 평면응력요소 및 면내회전강성을 갖는 평면요소로 나누어 구분한다. 여기서, 면내회전자유도를 가지는 평면응력요소의 경우에는 Allman-type의 면내회전자유도를 포함하는 적합모드 평면응력요소의 형상함수를 기본으로 비적합모드 또는 추가변형률 고려 여부, 비적합모드(또는 추가변형률)의 함수 차이, 회전에 대한 G 행렬 수정 여부, 페널티 함수 고려 여부에 따라 공식화 방법을 구분한다. 이후, 해당 공식화 방법들의 적용 가능성 검토를 위해 캔틸레버보의 해석을 수행하고 이론해와 SAP2000, MIDAS의 해석결과와 비교한다. 이를 통해 도출된 멤브레인요소 공식화 방법의 실무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CSI(2022)에서 제시하고 있는 ETABS 프로그램의 검증 해석 예제를 이용하여 일반적 전단벽 해석을 수행한다. 그 결과, 모든 프로그램별 해석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며, 비적합모드를 고려하지 않는 멤브레인요소의 공식화 방법은 다른 프로그램들과 유사한 변위와 부재력을 출력하므로 실무에서 적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Wilson, Ibrahimbegovic의 비적합모드를 고려하는 멤브레인요소의 공식화 방법은 다른 프로그램들과 다른 양상을 보이므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6층인 해석모형의 경우 모든 프로그램의 횡변위가 5% 이하의 오차율이 나타나며, 층수가 증가할수록 변위와 부재력의 오차율이 감소하므로 6층 이하의 전단벽 모형화 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멤브레인요소 사용 시 가장 작은 오차율을 보이므로 전단벽 해석을 위한 모형화 시 멤브레인요소를 사용하여 모형화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 우리나라 대학생의 glutathione s-transferase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산화적 DNA 손상 평가

        조혜련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산화적 스트레스는 DNA, 단백질 및 지질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는 산화적 손상을 유도하게 된다. 산화적 스트레스가 일어나는 도중에 reactive species의 생성은 많은 질병의 pathogenesis 에 관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복합적인 항산화 방어 작용은 ROS를 중화시킬 수 있고 산화적 손상에 대해 우리의 몸을 보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glutathione s-transferase(GST)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DNA 손상정도와 항산화 영양상태를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건강한 대학생 245명을 대상으로 GST 유전자 다형성의 빈도를 구하고, 흡연자와 비흡연자로 나누어 유전자형에 따라 DNA 손상정도와 항산화 영양상태가 달라지는지 비교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대상자들의 일반 사항을 조사하였고, 혈액을 채취하여 GST genotype, 임파구 DNA 손상정도, 적혈구 항산화 효소 활성, 혈장 TRAP, 혈장 내 비타민 C 수준, 혈장 지질 수준, 혈장 conjugated diene(CD), GOT, GPT 수준을 측정하였다. 전체 245명의 대상자 중 GSTM1 present type은 23.2%, GSTT1 present type은 33.4% 였다. GSTM1 및 GSTT1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적혈구 항산화 효소 활성은 흡연자와 비흡연자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혈장 TRAP과 CD, GOT, GPT 수준 또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비흡연자에서 GSTM1 present type을 가진 대상자들의 혈장 비타민 C 농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4), comet assay로 알아본 DNA 손상 정도는 비흡연자에서 GSTM1 present type 일 때 GSTM1 null type 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HDL-C 수준은 흡연자에서 GSTM1 null type에 비해 GSTM1 present tpye일 때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34), LDL-C 수준은 비흡연자에서 GSTT1 null type이 GSTT1 present type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37). 본 연구 결과, 우리나라 건강한 대학생에서 GSTM1 유전자가 결손될 경우 DNA 손상정도가 더 크고 비타민 C 농도가 낮아져서 항산화 상태가 악화되며, GSTT1 유전자 결손의 경우는 LDL-C 수준이 상승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 흡연자의 경우는 GSTM1 유전자 결손될 경우 HDL-C 수준이 저하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앞으로 좀 더 많은 흡연자를 대상으로 GST 유전자 다형성과 항산화 영양상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Oxidative stress leads to the induction of cellular oxidative damage, which may cause adverse modifications of DNA, proteins and lipids. The production of reactive specie during oxidative stress is known to contribute to pathogenesis of many diseases. Antioxidant defenses can neutralize reactive oxygen species(ROS) and protect our health against the oxidative damag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ntioxidant status and the degree of DNA damage in college students by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polymorphisms. The genotypes of GSTM1 and GSTT1 were characterized in 245 healthy college students by smoking status, and their oxidative DNA damage in lymphocyte and antioxidant status were assessed by GST genotype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simple questionnaire. From the blood of the subjects, GST genotypes, degree of DNA damage in lymphocyte, the erythrocyt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plasma TRAP level, concentration of vitamin C, plasma lipid profiles, conjugated diene(CD), GOT, GPT were analyzed. Of the 245 subjects studied, 23.2% were GSTM1 present genotype and 33.4% were GSTT1 present genotype. There were no difference of erythrocyt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nd plasma TRAP level, CD, GOT, GPT level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by GSTM1 or GSTT1 genotypes. Vitamin C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non-smokers having GSTM1 present genotype(p=0.04). DNA damage that assessed by the Comet assay was higher significantly in non-smokers with GSTM1 null genotype. HDL 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smokers with GSTM1 present genotype than GSTM1 null genotype(p=0.034). Also LDL 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on-smokers having GSTT1 null genotype compared to the GSTT1 present genotype(p=0.037). In conclusion, the null type of GSTM1 genotype aggravate their antioxidant status through DNA damage in lymphocyte and decreased plasma vitamin C concentration. And the smoking with the null type of GSTT1 genotype decreases plasma HDL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smokers. Also further study might be necessary to confirm the antioxidant status of the smokers by GST polymorphisms with participation of significantly more number of the subjects.

      • 자유무역협정(FTA) 분쟁해결제도의 법적 분석 :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을 중심으로

        도현수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31

        WTO보다 많은 개방을 양허하고 있는 FTA는 국가 간 관계에 있어서 불균등한 손익을 발생시킴으로서 분쟁의 소지가 많다. 무역 분쟁 자체가 국가 간 외교적, 법적 문제뿐만 아니라 나아가 경제적으로도 큰 손익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분쟁해결제도를 마련하는지 혹은 얼마나 효율적으로 분쟁해결제도를 적용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국가 간에 적지 않은 분배적 손익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대외수출 의존도가 높은 경제환경으로 인해 잦은 무역분쟁을 겪어왔던 점을 감안하면 체계적인 분쟁해결제도의 마련은 그만큼 절실하다. 우리나라는 1967년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의 가입을 필두로 2004년 한-칠레 FTA가 발효됨으로써 수출주도형의 경제발전전략을 구사하며 세계 FTA 경쟁에 합류하였다. FTA 경쟁에 뒤늦게 진입한 우리나라는 GATT/WTO체제에서 국가 간 여러 분쟁에 개입되어 왔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GATT/WTO체제와는 다른 양자 간 또는 다자 간 지역무역협정인 FTA에서는 분쟁의 선례가 없으며 그 연구 또한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1994년 발효되어 현재까지, FTA체제에서 가장 체계적이고 세분화된 분쟁해결제도를 운용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NAFTA의 분쟁해결제도를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가 체결을 앞두고 있는 FTA의 체계적인 분쟁해결제도의 마련에 기여하고, 체결된 FTA의 분쟁해결제도의 효율적인 적용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는 현재 한-칠레 FTA와 한-미 FTA에서 NAFTA의 분쟁해결제도를 원용하고 있다. 이에 머무르지 않고 제도수립단계에서 충분한 협의를 거친 후 분쟁에 대비할 수 있는 훌륭한 인재를 양성하고 NAFTA와 더불어 다양한 FTA 분쟁사례를 수집,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 FTA 분쟁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제도수립과 제도의 효율적인 적용에 힘써야 할 것이다.

      • 세법교육과 세제 공평성 인지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박수종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대전지역의 전문대학과 종합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세법교육과 세제 공평성 인지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전 소재의 전문대학 2곳과 종합대학 2곳의 회계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400부의 설문지를 제시하여 최종적으로 249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기법으로는 Pearson 상관관계 분석방법과 T-test가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첫 번째, 세법교육에 따른 전반적인 세제 공평성 인지도의 차이 분석에서는 세법을 수강한 학생이 수강하지 않은 학생보다 현행 세제에 대하여 불공평하다는 인식을 보였으며, 전문대학과 종합대학 학생 간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세법을 수강한 학생과 수강하지 않은 학생 간의 세제 공평성 인지도에 대한 차이 분석에서는 필요경비, 소득공제, 세액공제, 비과세 항목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세법을 수강한 학생이 수강하지 않은 학생보다 세제 공평성 인지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세 번째, 세법을 수강한 전문대학 학생과 종합대학 학생 간의 세제 공평성 인지도에 대한 차이 분석에서는 필요경비, 소득공제 항목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세액공제와 비과세 항목에서는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전문대학의 학생과 종합대학의 학생 간에는 세제 공평성 인지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법교육과 세제 공평성 인지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분석한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현행 조세정책에 대해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세제 공평성 인지도를 증대시키려는 정책입안자들에게 기존의 정책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이들 정책에 대한 타당성이나 문제점의 보완 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paper, we take students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Daejeon area as subjects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ax law education and the awareness of tax fairness. For this research, we issued a total number of 400 questionnaires to the accounting students in 2 colleges and 2 universities in Daejeon area and 249 of these questionnaires can be used. The analysis benchmark of this researcher is th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Firstly, for the general awareness of the fairness of the tax system in tax law education, the awareness of student who have had tax law education recognised the system of taxation more unfair than the student who haven't the education. Ther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llege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on the general awareness of the fairness of the tax system. Secondly, about the requirement of the funds, income credit and tax credit and tax-free projects on the awareness of the fairness of the tax system, it's nearly the same before and after the tax law education. The awareness about the fairness of the tax system is higher in the educated groups. Thirdly, about the requirement of the funds, income credit and tax credit and the tax-free projects on the awareness of the fairness of the tax system, there'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s of tax law colleges and the students of comprehensive universities, but there's no big difference on tax-free. In the first part of the results, there's no big difference on the awareness of the fairness of the tax system between college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This paper can not only helps those policy draftsmen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base police accurately but also explain the awareness of the tax law through the theories like practicability assurance at the same time when increasing the awareness of the fairness of the tax law.

      • 아동생활시설 생활지도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양승미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아동생활시설 생활지도원들이 직무에 어느 정도 만족하며, 어떤 요인들이 직무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지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생활지도원들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아동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생활시설 생활지도원들의 직무만족 수준과 직무만족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전광역시, 충남, 충북, 인천, 경기, 서울 지역에 소재한 아동생활시설 35개 기관 생활지도원 333명이 응답한 설문지를 기초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빈도분석,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직무만족도는 5점 만점을 기준으로 3.89점의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아동생활시설 생활지도원들은 전반적으로 자신의 직무에 만족하고 있는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아동생활시설 생활지도원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요인, 기관근무환경요인을 통제한 5가지 모델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이 많을수록 직무에 만족하고 있었으며, 총직원수가 많을수록, 전체아동수가 적을수록 만족하고 있었다. 인간관계요인에서는 아동과 상급자가 정(+)적인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보상체계요인에서는 사회적 인정, 보수, 자기개발기회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업무내용과 업무역할도 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몇 년 사이 아동생활시설 근무환경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는 것에 주목하고, 변화된 근무환경에 따른 아동생활시설 생활지도원들의 직무만족 수준을 알아 본 결과 3.89점으로 만족하고 있었으며, 생활지도원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총직원수, 전체아동수, 아동, 상급자, 사회적 인정, 보수, 자기개발기회, 업무내용, 업무역할 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quality services to the children by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of the life counselors through analysis about their job satisfaction and the determinants affecting them. A survey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33 life counselors who worked at 33 children living facilities located at Daejeon metropolitan city, Chuncheonggnam-do, Chuncheonggbuk-do, Incheon metropolitan city, Gyeonggi-do, Seoul metropolitan city.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for this study, the SPSS 12.0 statistic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particularly for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got 3.89 out of 5. It shows that the satisfaction level is high. Second, in order to determine the affection of factors, it studied regression through 5 models with demographic and social variables, work environment variables controled. According the result of this study, as the age and the number of co-workers increases, the satisfaction increases, while they were less satisfied with many children. With reference to human relation variables, children and senior effect significantly the satisfaction in a passive way. As for compensation system variables, getting respect in social, pay, opportunity for train also effect. Finally, the roles and the contents work effect in a passive way. In conclusion,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work environment of the children living facilities have been changed a lot for recent few years. And it shows job satisfaction of life counselors got 3.89. Many factors such as age, the number of co-works and children, children, senior, respect in social, pay, opportunity for train, the roles and the contents of work re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s.

      •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의 정신건강 비교연구

        고진희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increasingly aggravated school violence and the mental health of school violence victims and injurers in an attempt to pave the way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geared toward promoting the mental health of injurers and victims and stepping up their problem solv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tudents from nine selected secondary schools in Daejeon and south Chungcheong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249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 mental health state of the school violence victims and injurers was SCL-90-R.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relationship of general characteristics to the reality of school violence, the girls who had ever used violence(65.7%) a little outnumbered the boys who had(61.8%), and the high schoolers who had the same experience(64.3%) outnumbered the middle schoolers who had. By academic standing and social class, those who were in the upper tiers and who were from the high class had more experiences to employ violence. In the event of victim experience, the boys who had ever been injured(38.2%) a little outnumbered the girls who had(34.3%), and the rate of the middle schoolers who had ever been injured(40.6%) was larger than that of the high schoolers with the same experience (35.7%). By school grades and social class, the students in the lower tiers and those from the high class had been more injured. Second, as to the reality of school violence by type, verbal and physical violence was more common among the boys, no matter whether they used violence or were injured. And more than half the girls resorted to verbal violence or got hurt due to verbal violence. By the grade of school, verbal violence was prevalent in both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ers. Third, regarding connection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ntal health among the injurers, the girls suffered from significantly more depression, hostility and psychosis than the boys, and the middle schoolers suffered from significantly more somatic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anxiety and hostility than the high schoolers. But living standard made no differences to their mental health. In the case of the victims, the girls suffered from significantly more fear, anxiety, paranoia and psychosis than the boys. The living standard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somatic,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anxiety and hostilit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gap between the middle and high schoolers. Fourth, as for the mental health status of the injurers and victims, depression was most common among the injurers, followed by hostility,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interpersonal sensitivity, anxiety, somatic, psychosis, paranoia, fear and anxiety. And depression was most rampant among the victims as well, followed by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interpersonal sensitivity, anxiety, paranoia, hostility, somatic, psychosis, fear and anxiety. There were significant disparity between the injurers and victims in all the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anxiety, fear, anxiety, paranoia and psychosis except somatic and hostility. 본 연구는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학교폭력 실태를 알아보고,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의 정신건강 상태를 분석함으로써 정신건강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가해자와 피해자의 정신건강 증진 및 문제해결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대전·충남에 소재한 9개의 중·고등학교를 선정하여 249부를 통계처리 하였다.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의 정신건강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 간이정신건강진단검사(SCL-90-R)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폭력 실태는 가해경험의 경우 여학생(65.7%)이 남학생(61.8%)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고, 고등학생(64.3%)이 중학생(59.4%)보다 높게 나타났다. 성적은 상위권의 학생이 경제적인 면에서는 상류층의 학생이 가해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피해경험의 경우 남학생(38.2%)이 여학생(34.3%)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고, 중학생(40.6%)이 고등학생(35.7%)보다 높게 나타났다. 성적은 하위권의 학권이 경제적인 면에서는 하위층의 학생이 피해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폭력 유형별 실태는 가해·피해경험 모두 남학생은 언어적 폭력과 신체적 폭력을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학생은 과반수이상이 언어적 폭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별로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 언어적 폭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해자와 피해자의 정신건강은 가해자의 경우 우울, 적대감, 정신증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신체화, 강박증, 대인예민성, 우울, 불안, 적대감에서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높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경제적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피해자의 경우 공포불안, 편집증, 정신증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경제적 수준에서는 신체화, 강박증, 대인예민성, 우울, 불안, 적대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의 정신건강 상태를 보면, 가해자의 경우 순으로 나타났고, 피해자의 경우는 우울, 강박증, 대인예민성, 불안, 편집증, 적대감, 신체화, 정신증, 공포불안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는 신체화, 적대감을 제외한 강박증, 대인예민성, 우울, 불안, 공포불안, 편집증, 정신증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