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유아교육기관의 비대면 부모상담 유형에 따른 부모와 교사의 인식

        최유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영유아교육기관의 비대면 부모상담 유형에 따른 부모와 교사의 인식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기관에서 비대면으로 실행되는 부모상담 현황과 비대면 부 모상담을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각 비대면 부모상담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 하였다. 연구문제 1.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비대면 부모 상담 현황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실행되고 있는 비대면 상담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실행되고 있는 비대면 상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실행되고 있는 비대면 상담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은 어떻게 다른가? 연구문제 5. 부모와 교사의 비대면 상담에 대한 어려움과 지원 요구는 무엇인가? 이를 위해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에 소재한 영유아교육기관에 만 1세부터 만 5 세 까지 연령의 연령의 자녀를 보내는 부모 177명과 교사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 을 배포하고, 불성실한 응답 또는 훼손된 설문지를 제외하여 부모 166명, 교사 177 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김진(2013)의 설문지를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설문지를 수정하여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및 일반적 사항, 비대면 부모상담 현황, 비 대면 부모상담 전반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선호도, 자신이 경험해 본 비대 면 부모상담의 각 유형에 대한 만족도, 비대면 부모상담의 어려움과 지원방안, 비대 면 부모상담 개선 방안에 대한 자유 서술란으로 구성하였다. 자신이 경험해 본 비 대면 부모상담의 각 유형에 대한 만족도의 척도는 유아교육 전문가 4인의 검토를 받아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 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 교사가 느끼는 비대면 상담 실행 현황 에 있어 부모와 교사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 교사 모두 평 일 오후와 야간을 선호하며, 비대면 상담은 11분-20분 소요가 가장 많고 정기적인 대면상담 보다 수시로 상담하기 원하는 부모들의 요구를 개선하기 위해 비대면 상담을 자주 실행 하고 있음을 연구하였다. 또한 부모가 비대면 상담을 주로 이용하는 이유로는 부모 의 경우 기관 방문을 원하지 않음, 교사의 경우 부모가 기관에 방문할 수 있는 상 황이 아님을 알 수 있어 비대면 상담의 주 실행 요인은 부모의 기관 방문에 대한 어려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는 사전 준비가 많지 않고 간단하게 참여할 수 있는 비대면 상담을 선호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그 중 전화를 이용한 상담을 가장 선호하였고 화상전화를 이용한 상담을 가 장 선호하지 않았다. 또한 부모는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비대면 상담을 경험 해보았으며, 대체로 비대면 상담에 대한 만족도가 높지만 그 중 전화를 이용한 상담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는 즉각적이고 간단한 이야기를 전달하기 용이한 비대면 상담을 선호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교사가 가장 선호하는 비대면 상담 유형은 전화를 이용한 상담이며 화상전화를 이용한 상담을 가장 선호하지 않음을 연구하였다. 교사는 다양한 비대면 상담 유형을 실행하 며 경험해보았으며 비대면 상담 전체에 대해 만족하지만 전화를 이용한 상담에 대한 만족도 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와 교사는 모두 전화를 이용한 상담을 가장 선호하고 만족해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부모와 교사 모두 상담에 참여하기 편하고 즉각적인 상담 실행을 중요하게 생각 하는데, 그 중 전화를 이용한 상담이 가장 빠르게 상담을 하고 질문과 대답을 즉각 적으로 교환할 수 있어 가장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비대면 상담 어려움에 있어 부모는 비대면 상담 실행과 준비로 인한 교사의 업무 과중을, 교사는 비대면 상담 실행 시간 부족과 비대면 상담 실행으로 인한 교사의 업무 과중 을 이야기하였다. 이는 부모와 교사 모두 공통적으로 비대면 상담으로 인한 교사의 업무 과중이 비대면 상담 실행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현재 실행되고 있는 비대면 상담이 개선되려면 부모는 비대면 상담 준비에 대한 부 담 완화 및 이에 대한 개선을 이야기하였고, 교사는 부모의 적극적인 상담 협조와 비대면 상담 실행을 위한 영유아교육기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영유아교육현장에서 실행되는 비대면 상담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비대면 상담을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각 유형별 부모와 교사의 인식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 는 비대면 상담 전체에 대한 연구 뿐만 아니라 비대면 상담을 세분화하여 연구하였다는 데 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부모와 교사 모두 네 가지의 비대면 상담에 만족하며 가 장 선호하는 비대면 상담 유형은 전화인 것을 밝혔으며, 이는 비대면 상담의 효율적인 진행 및 발전을 위해 부모의 적극적인 상담 참여, 비대면 상담 시간 확보 및 집중을 위한 기관의 배려, 다양한 비대면 상담 실행이 필요함을 밝혔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가 비대면 상담 계획 수립 및 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일반고 학생들의 진로상담유형과 진로설계역량 사이의 관계

        최원 아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일반고 학생들의 상담유형을 분류하고, 진로설계역량의 실행도와 요구도를 분석하여, 학생 진로상담유형에 따른 진로설계역량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고 학생들의 학생 진로상담 유형은 어떠한가? 둘째. 일반고 학생들의 진로설계역량 수준(실행도, 요구도)은 어떠한가? 셋째. 일반고 학생들의 진로상담 유형에 따라 진로설계역량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5개 지역 10개 일반고 1, 2학년 3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진로상담 유형은 4가지 유형으로 다양하게 나타났고, 유형별로 맞춤형 진로지도가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진로설계역량 실행도와 요구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인구통계학적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분석에서는 일부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학생의 진로상담 유형에 따라 진로설계역량 실행도와 진로설계역량 요구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일반고에서 학생 유형별 맞춤형 진로지도가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일반고 학생들의 진로설계 역량도 제고할 필요가 있다.

      • 기독교 목회자들의 연령세대에 따른 상담유형 연구 : 한국교회 목회자들의 상담유형에 관한 연구

        이억희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기독교 목회자들의 연령세대에 따른 상담유형 연구 내가 상담학을 처음 공부할 당시인 1986년도에는 Jay E. Adams의 권면적 상담이 전부인줄 알았다. 합동 측 교단 신학교가 선택한 상담학 교재이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당시의 한국교회의 목회유형에서는 권위주의적 목회자가 선망의 대상이었고, 권면적상담은 당시의 목회유형과 유사했기 때문에 더욱 친숙했는지 모른다. 그러나 시대의 흐름과 함께 목회의 유형이 변하면서 인간중심 상담 즉 사람이 중심이 되는 상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 같다. 평신도중심 목회가 보편화 된 지금의 목회유형에서 상담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발견을 하게 되는 것은 다행한 일이다. 그것이 Adams의 권면적 상담, 지시적 상담과는 관점이 다른 Carl R. Rogers의 사람중심 상담, 내담자중심 상담이다. Rogers는 인간마다 현실을 각기 달리 지각하고 주관적인 경험이 행동을 지배한다고 믿었기 때문에 외부현실 보다는 오히려 내부적인 경험에 의해 상호작용하며 이끌어 진다는 것이다. 또 하나는 Lawrence J. Crabb의 성경적 상담과 격려를 통한 상담이다. Crabb은 효과적인 상담은 돌보는 관계(Caring relationship)와 인간 기능의 이해를 요구한다고 말하며 상처받은 사람에게 연민의 태도를 증가 시켜서 관심을 갖는데 달려 있다.는 것이다. Gary R. Collins는 '하나님께서 모든 진리의 원천이 되신다.'는 전제를 하면서도 지시적 상담과 비지시적 상담의 균형, 신학과 심리학의 통합과 같은 융통성이 있는 상담을 소개한다. 이렇게 서로 다른 상담유형이 목회자들에게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고 싶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상담유형에서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것이 있다. 그것은 상호작용과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이다. 나는 한국의 대표적인 교회 목회자들의 상담의식과 상담목회에 대한 관심을 알아보기 위하여 지난 2008년 9월22일(월)-9월25일(목) 제93회 제주 총회에 참석했다. 이 기간을 선택한 이유는 제주 100주년 기념 총회 이므로 합동, 통합, 합신, 기장 등 4개 교단의 대표들이 참석하는 현장이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한국교회 목회자들의 상담의식 조사조사’에 관련한 설문을 했다. 이것이 한국교회로서의 대표성이 있을지는 모르지만 연합예배에 참석한 목사 364명이 응답해 주었고, 그 응답에 대한 자료를 본 논문에 참고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설문에 참여한 대상은 합동 190명, 통합 129명, 합신 32명, 기장 13명 등 4개 교단이지만 주로 합동과 통합 교단의 총대중심으로 설문이 되었다. 여기서 한국교회 목회자의 상담유형이 목회상담의 요구인 상호작용과 인간관계 그리고 의사소통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싶었다. 목회방향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세대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쉽게 알아보기 위하여 도표를 그려 인용했다. 논문에서 질문된 배경으로는 먼저 40대, 50대, 60대로 세대 분류를 했다. 그 이유는 시대의 흐름과 세대의 관심에 따라 목회방향과 상담유형이 달리 나타나고 있는 만큼 세대가 상담유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먼저 알고자 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현재의 목회 현장에서 상담에 대한 관심이 얼마나 있는지, 그리고 상담의 우선순위는 무엇인지를 물었다. 그 결과를 통하여 과거의 신학교육과 현재의 신학교육의 차이가 목회의 방향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를 알고, 이것을 통하여 상담목회에 대한 구체적인 현실과 상담목회에 대한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세대에 따른 상담유형의 상관관계에서 목사 364명을 대상으로 설문해 본 결과 40대 목회자는 경청과 수용 즉 상호작용을 선택했고, 50대 목회자는 격려와 공감 즉 인간관계에 민감했다. 그리고 60대 목회자는 일방적으로 이끌어 가는 권면과 지시형태의 상담유형을 보면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목회상담의 요구가 상담유형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처럼, 세대별로 선택하고 있는 상담유형이 형성된 배경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래서 목회상담의 요구와 세대에 따른 상담유형을 서로 적용시키는 연구를 통하여 상담목회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 목회상담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해 보고자 한다. ABSTRACT A Study On The Counseling types Of Korean Pastors LEE, EUK-HEE Department of Pastoral Counseling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In 1986 when I started the consultation, I considered there was nothing but the Nouthetic counseling of Jay E. Adams. Probably, it might be familiar because authoritarian pastors were the object of envy and the Nouthetic counseling was similar to the pastoral types in Korean churches as well as that textbook was chosen by the joined religious fraternity's seminary. However, as the pastoral types have changed with time flows, it seems that the man-focused counseling, that is the counseling around people, is gathering much more interest. Since the pastoral activities around lay believers has been generalized, it is fortunate to get the new recognition and discovery from the nowadays pastoral type. That is the Nouthetic counseling of Adams, the People-centered counseling or the Client-centered counseling of Carl R. Rogers with the different point of view of the Directive counseling. Because Rogers believed that every person recognizes reality by their relative viewpoint and their objective experiences control behaviors, he considered that there is interaction effect by the interior experience, rather than exterior reality. The other thing is the counseling through the Biblical counseling of Lawrence J. Crabb and encouraging. Crabb insists that the effectiveness of counseling depends on counsellor's interest with the increased sympathy toward the hurted person, considering that the effective counseling requires the Caring relationship. Gary R. Collins introduces the adaptable counseling such as the balance between the directional counseling and the non-directional counseling, with the premise of that 'God is the source of all truth,' and the integration of theology and psychology. I have wished to find out how it is adapted by pastors with different types of counseling. There is commonly required factor in these various counseling types. That is, the interaction,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To find out the interest of representative pastor in some representative Korean churches toward counseling awareness and counseling pastoral duties, I have participated in the 93rd Jeju Assembly through September 22(Monday)-25(Thursday), 2008. The reason why I have chosen this period was that it was the moment that the represents from 4 different religious fraternities including Joint, Integration, Hapsin, Gijang etc. since it was the assembly celebrating the 100th anniversary of Jeju. As explained about the research for the pastoral counseling as one of the alternatives for the growth of Korean churches to the sponsors, the questionnaires related to 'the research for the counseling consciousness of pastors in Korean churches' were distribute to 1,500 pastors. Even though whether this assembly would have the representative features or not is not clear, the data from that questionnaire is going to be utilized for this essay as reference since 364 pastors of them replied to that sincerely. The survey has been around the general assembly of Joint and Integration mainly, even though there were 190 from the Joint, 129 from the Integration, 32 from the Hapsin and 13 from the Gijang. Through this survey, the relation of pastoral counseling types of Korean churches with the interaction of the pastoral counseling request and even communication were needed to be found out. To understand the relation with the pastoral direction and the relation with generation, a table has been drawn to be utilized. For the surroundings asked in the essay, the classification with generation in 40's, 50's and 60's has been executed. Because the influence of generation on the counseling type should be understood, since the pastoral direction and counseling types are presented differently along with the flow of age and the interest of generation. And also, the degree of their own interest on counseling at the present pastoral site and their priorities in counseling has been asked. It was the goal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n the pastoral direction wit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ast theological education and the present one and to suggest the detailed reality for the counseling pastoral work and the new prospect for that. In the co-relations of the counseling types with generations, the pastors in their 40's chose the listening and acceptance, that is interaction, and the pastors in their 50's were found out to be sensitive at the encouragement and sympathy, that is relationship as the result of survey with 364 pastors. And as examining that the pastors in their 60's shows their encouraging and directional tendency as the counseling type, the necessity of communication has been assured. As the requirement toward the pastoral counseling affects different influences on the counseling types, the background for those different types of counseling would be studied. Therefore, through the study adapting the needs for the pastoral counseling and the counseling types with generations mutually, it will suggest new alternative idea on the counseling pastoral activities and positive prospect for the pastoral counseling.

      • Q 방법론을 활용한 청소년 비대면 상담에 대한 학교상담자의 인식 연구

        송선미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19

        In this study, the Q methodology was appli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the subjective type of perception of school counselors who experienced non-face-to-face counseling for adolescents. To this end, 29 statements on non-face-to-face counseling were extracted by synthesizing the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conducted with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who experienced non-face-to-face counseling for adolescents at school. After that, Q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on 21 school counselors who experienced non-face-to-face counseling for adolescent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program. As a result, there were four types of perception of school counselors for non-face-to-face counseling, Type 1 was the positive type of non-face-to-face counseling accessibility, Type 2 was the type of concern about non-face-to-face counseling unethical, Type 3 was the type that required non-face-to-face counseling skills, and Type 4 was the non-face-to-face counseling fatigue typ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nhancing the efficiency of non-face-to-face counseling operations in school counseling sites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Pandemic era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school counseling system.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비대면 상담을 경험한 학교상담자들의 주관적인 인식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과 학교에서 청소년 비대면 상담을 경험한 전문상담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비대면 상담에 관한 29개의 진술문을 추출하였다. 그 이후, 청소년 비대면 상담을 경험한 학교상담자 21명을 대상으로 Q 분류를 실시하고 QUAN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대면 상담에 대한 학교상담자 인식 유형이 4가지로 도출되었는데 유형 1은 비대면 상담 접근성 긍정형, 유형 2는 비대면 상담 비윤리성 우려형, 유형 3은 비대면 상담기술 요구형, 유형 4는 비대면 상담 피로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와 팬데믹 시대를 대비하는 학교상담현장에서 비대면 상담 운영에 대한 효율성을 증진하고, 체계적인 학교상담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초를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 고등학교 유형별 학생들의 특성에 따른 마음챙김 정도와 학교상담기대의 관계

        박소영 충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유형별 학생들의 특성에 따라 마음챙김과 학교상담기대가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더 나아가 고등학생들의 마음챙김 정도에 따른 학교상담기대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고등학교 유형별로 학생들의 학교상담 경험 유무 및 자발성 여부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2) 고등학교 유형별로 학생들의 특성(성별, 학년, 상담경험 유무, 상담자발성 여부)에 따라 마음챙김 정도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3) 고등학교 유형별로 학생들의 특성(성별, 학년, 상담경험 유무, 상담자발성 여부)에 따라 학교상담기대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4) 고등학교 유형별로 학생들의 마음챙김과 학교상담기대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 C시의 고등학생 492명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의 마음챙김과 학교상담기대를 측정하기 위해 질문지가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되었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학교유형 간 학교상담 경험 유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일반고등학교의 경우 상담에 자발적인 학생이 특성화고등학교의 경우 비자발적인 학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학교유형 간 마음챙김 정도에는 하위 요인(주의집중, 비판단적 수용, 현재자각, 탈중심적 주의) 중에서 ‘현재자각’ 요인에서만 일반고등학교 학생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일반고등학교의 경우 마음챙김에 남·여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특성화고등학교의 경우 ‘탈중심적 주의’ 요인에서만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있어서는 두 학교유형 모두에게서 마음챙김이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경험 유무에 있어서는 두 학교유형 모두에게서 상담경험이 없는 학생이 상담경험이 있는 학생보다 마음챙김의 정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상담자발성 여부에 있어서는 두 학교유형 모두에게서 마음챙김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교 유형 간 학생들의 학교상담기대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있어 두 학교유형 모두에게서 학교상담기대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고등학교의 경우 9개의 하위 요인(수용성, 직면성, 지시성, 공감성, 진실성, 호감성, 전문성, 신뢰성, 구체성)에서 1학년이 3학년보다 기대감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3개 하위 요인(직면성, 지시성, 구체성)에서는 2학년도 3학년보다 기대감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반면 특성화고등학교의 경우 학년에 따른 학교상담기대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경험 유무와 자발성 여부에 있어서는 두 학교유형 모두에게서 학교상담기대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등학교 유형별로 마음챙김과 학교상담기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일반고등학교의 경우 마음챙김 총점과 학교상담기대 총점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게 나타났다. 반면 특성화고등학교의 경우 마음챙김 총점과 학교상담기대 총점 간에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생상담봉사자의 성격유형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박정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학생상담 봉사자의 성격유형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지역 교육청산하 초?중?고등학교에서 현재 학생상담봉사를 하고 있는 251명을 대상으로 했다. 측정도구는 김정택, 심혜숙에 의해 한국어판으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MBTI검사지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설문지는 Herzberger의 2요인이론에 입각하여 제작된 Minnesota Stisfaction Questionnaire(1967)와 김용식(2007)의 설문을 인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2.0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특성과 성격유형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서 빈도분석을 하고, 직무만족의 유의한 차이를 보기 위해서는 ANOVA를 실시하였다. 또 각각의 개인 변인들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보기위해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생상담봉사자의 MBTI성격유형의 분포는 어떠한가? 둘째, 학생상담봉사자의 개인관련 변인에 따른 직무만족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넷째, 성격유형에 따른 개인관련변인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학생상담봉사자의 성격유형은 개인관련 변인, 직무만족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상담 봉사자의 MBTI 성격 유형 분포를 알아본 결과는 ISTJ 가 31.9%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ESTJ , ISFP가 많다. 기능별로는 SF유형(61.4%)이 기질별로는 SJ유형(64.5%)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개인 관련 변인에 따른 직무 만족도는 인구학적 요인 중 연봉의 경우, 연봉에 따른 차이가 직무만족의 내적 요인과 유의확률 0.022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연봉이 높으면 높을수록 상담직무에서의 내재적요인에 대한 만족과 가치적요인 만족에 대해 낮게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세째, 성격 유형에 따른 직무 만족도는 선호 지표와 기질, 기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외향형(E), 직관형(N), 사고형(T), 판단형(J)에서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왔다. 기능과 기질 모두 NT가 총점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모든 성향에서 내적 요인과 가치적 요인에 대한 만족도보다 외적인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 넷째, 상담 봉사자의 희망하는 일은 모든 선호지표에서 집단 상담을 제일 많이 선호하고 있다. 성격 유형에 따라 학생 상담 봉사자로서 희망하는 일에서, 선호지표에 따라 희망하는 일의 분포가 다소 다르게 나타나는데, 대체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감각형의 상담자 집단은 ‘봉사단체를 위해 일을 계획하고 조직하는 일’을 선택한 분포가 직관형 상담자 집단과 0.000의 유의확률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다섯째, 성격 유형과 학생 상담 봉사자의 선택 동기와의 관련에서는 학생상담 자원봉사의 봉사활동 지원 동기는 선호지표와는 무관하게 자녀교육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이유가 가장 높은 분포를 보이고 있고, 두 번째로는 자아실현이 높은 분포를 보이고 있다. 외향형이 자신의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서라는 항목에서만 내향형보다 높은 현상을 보이고 있다. 감각형 상담자의 집단은 직관형 상담자 집단에 비해 자아실현을 위해 상담봉사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사고형과 감정형 판단형과 인식형에서는, 각각의 동기선택에서 유의미한 결과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상담을 중단하고자하는 생각이 들었을 때 성격유형과 이유와의 관계에서 선호지표에 따라 다른 분포를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기 때문에 성격유형이 상담봉사를 중단하는 이유의 차이를 유발한다고 보기 어렵다. 다만, 선호지표 감각형의 상담자 집단은 직관형 상담자 집단에 비해 상담봉사 활동에 너무 많은 시간을 빼앗기기 때문에 중단을 고려했다는 대답이 0.090의 유의 확률이 나타남으로써 다소 다른 경향을 보일 수도 있는 해석의 여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가장 많은 중단 이유로 선택하는 기대 이하의 상담 효과와 연관 지어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감각형들은 투자하는 시간에 비해 눈에 보이는 결과와 만족감이 적을 때 중단 의사를 가질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type and job satisfaction of volunteer counselo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51 volunteer counselo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under the umbrella of local educational authorities in Gyeonggi province.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to assess their personality type was a Korean MBTI version that turned out to be reliable and valid(Kim Jeong-taek, Sim Hye-suk). The questionnaire used to evaluate their job satisfaction was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 naire(1967) based on Herzberger's two factor theory, and Kim Yong-sik (2007)'s questionnaire based on Go Su-jeong(2005) was cited in terms of values. For data handling, SPSS 12.0 program was employed to make a frequency analysis to find out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distribution of the personality types among them, and ANOVA was utilized to track any possible significant gaps in job satisfaction. Beside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look for connections between personal variables and job satisfaction. Fiv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distribution of the MBTI personality types among the volunteer counselors? 2. What differences do the personal variables of the volunteer counselors make to their job satisfaction? 3. What differences does the personality type of the volunteer counselors make to their job satisfaction? 4. What differences does the personality type of the volunteer counselors make to their personal variables? 5. What is the relationship of the personality type of the volunteer counselors to their personal variables and job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distribution of the MBTI personality types, ISTJ was most prevalent among the volunteer counselors(31.9%), followed by ESTJ and ISFP. By function and temperament, SF(61.4%) and SJ(54.5%) types were widespread. Second, concerning connections between personal variables and job satisfaction, yearly salary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inner job satisfaction at the 0.022 probability of significance. Those whose annual salary was larger expressed less satisfaction with the inherent and value factors of counseling job. Third, regarding links between the personality type and job satisfaction, the personality type, temperament and psychological function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 The counselors who had E, N, T and J personality types expressed relatively better job satisfaction. Overall, those whose psychological function and temperament were both of NT type were most satisfied. They were less contented with the external factors of their job than the internal and value-related factors irrespective of the personality types. Fourth, concerning what they hoped to do as volunteer counselors, the largest group had the greatest preference for group counseling irrespective of the personality type. The personality type made a greater or lesser difference to what they wanted to do as volunteer counselors, but the difference was insignificant in general. Yet the counselors with S type preferred more to plan and organize in favor of the institutions for which they served than the counselors with N type, and the disparity between them was significant at the 0.000 probability of significance. Fifth, a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type and motivation of serving as a volunteer counselor, the largest group considered that experience to be of use for child education regardless of personality type, and the second greatest group had their sight set on self-realization. The extrovert counselors wanted to apply their knowledge and knowhow more than the introvert counselors The counselors with S type chose to become a volunteer counselor in pursuit of self-realization significantly more than those with N type. There was no significant disparity in the motivation between the counselors with T and F types and between those with J and P types. The personality type made some differences to the cause that made them feel like quitting counseling,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which implied that it's not advisable to think that the personality type make a difference to what makes them feel like quit counseling. However, one noteworthy finding was that compared to the counselors with N type, those with S type considered quitting counseling more because counseling was too time-consuming at the 0.090 probability of significance, which indicated the possibility of different result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type and the cause. Another finding that might lead to different results about that relationship was that the largest group considered quitting counseling since the counseling effect didn't meet their expectations. The counselors with S type who were down-to-earth and realistic seemed to have an intention to quit counseling when they were unsatisfied with counseling results even though they put a lot of time in it.

      • 전화상담의 문제유형과 상담자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 대전 가톨릭 나눔의 전화를 중심으로

        최연화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2319

        전화상담은 사회가 점차 복잡해지면서 발생하는 내담자의 여러 가지 고민과 정서적 문제, 그리고 혼자 힘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다양한 문제들을 전화를 통해서 들어주고 조언을 주거나 대안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또한 당면한 현실을 객관적인 입장에서 바로 볼 수 있도록 해주고 자신의 문제 해결 능력을 찾아 그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이다. 그러나 과연 전화상담이 내담자가 만족할만한 상담을 해주었는지에 대해서는 그 답을 구하기가 힘들었다. 이런 현실적인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전 나눔의 전화를 대상으로 전화상담에서 나타난 문제유형을 분류하고 시대변화에 따라서 문제유형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파악하고, 문제유형에 따라 내담자의 호소유형, 상담자의 태도를 분석함으로써 전화상담의 효과성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화상담을 한 내담자 중 가장 많은 상담을 의뢰한 문제유형은 부부문제였고, 다음으로는 가정문제를 가장 많이 상담하였다. 그리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전화상담 문제유형의 변화를 파악하였더니, 가정문제에 대한 상담의 빈도는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보였다. 그리고 부부문제에 대한 상담의 빈도 역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다른 유형의 상담에 있어서는 시대에 따라서 크게 영향을 받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담자의 효소유형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면 전화상담을 한 내담자의 대부분은 지지호소형의 내담자였다. 내담자의 호소유형은 내담자의 성별, 연령, 결혼유형, 교육정도, 직업과도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는데, 성별에 따라서는 여자는 지지호소형과 문제해결호소형을 많이 사용하였고, 남자는 정보 및 조언요구형을 많이 사용하였다. 연령에 따라서는 20대·30대는 지지호소형을, 40대·50대는 문제해결호소형을, 20대 미만에서는 정보 및 조언요구형이 많았다. 결혼유형별로 보면 이혼인 내담자는 지지호소형을 미혼은 정보 및 조언요구형을 사용하였고, 교육정도별로 보면 대학교재학이상의 내담자들이 지지호소형을, 중졸이하에서 문제해결호소형을, 고졸이하에서 정보 및 조언요구형을 많이 사용하였다. 셋째, 전화상담의 문제유형에 따라 살펴보았을 때 신앙문제와 법률문제, 정보안내는 정보 및 조언요구형의 내담자가 많았고, 상담자의 전략 역시 정보 및 조언제공형의 상담자가 많았다. 가정문제, 부부문제, 이성문제는 지지호소를 한 내담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상담자의 상담 전략 역시 지지제공형의 빈도가 높았다. 청소년문제, 성문제, 의료문제는 지지호소형의 내담자가 많았지만, 상담자는 정보 및 조언제공형이 많았다. 넷째, 대전 가톨릭 나눔의 전화라는 상담기관을 이용하는 내담자의 종교는 다양한 종교를 가진 내담자가 보편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화상담의 문제유형은 내담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다양한 내담자의 욕구에 맞추어 상담자는 그에 맞는 상담을 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보여진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보면 내담자의 상담 유형과 상담자의 상담전략이 일치한 비율은 71.7%를 보여 내담자의 원함에 따른 상담자의 상담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제유형별로 살펴보았을 때 가정문제와 부부문제는 꾸준한 상담빈도를 보였다. 이에 이런 문제유형별 상담자의 교육을 달리하고, 상담자의 경력에 따라서 상담기법, 재교육이 보다 구체적으로 다루어져야 하겠고, 상담자에 대한 관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겠다. 대부분의 상담기관의 상담원이 봉사자인 것을 고려할 때 상담사례에 대한 지도감독을 체계화하고, 전문적인 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교육에 좀더 비중을 두어 강화하여 나가야 한다. 현재 전화상담기관은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일정 연령층과 주부에 한정되어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졌다. 그러기에 보다 다양한 연령층과 대상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확대·홍보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Telephone counsel is to advice or to suggest an alternative plan by listening various problems on the phone. But it was difficult in getting an answer which the counsel gave a satisfaction to a caller. According to this necessity, this study was tried to find out the effect of telephone counsel by classifying the problem types through Daejeon Telephone of NaNum, by grasping the changes effected by time changes, by analyzing the callers' appeal types and the counsellors' attitude for the problem types. The major results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best counsel type was conjugal relations and the next was family affairs. Also, the counsel for family affairs was continuously increased passing through times. But the other counsel types was not influenced of times. The Second, the major appeal type was a supporting type. The table 1 shows the preference between appeal types and callers types. <표삽입>본문을 참조하세요. The third, among problem types, there were many callers of TYPE C(demanding advice & information)in the counsel of religion, legal affairs and inquiry and also there were many counsellors of providing advice & information in counsellors' strategy. The fourth, the most callers was revealed to have various religions. This study results show that the callers have talked with the counsellors who they wanted, seeing the rate, 71.7% which was agreed between callers' counselling types and counsellors' strategy. In the future, the education of counsellors must be different according to problem types and a concrete management of counsellors must be continuously done. For the present, a lot of people are using telephone counsel offices but it was seen to be restricted within limited age groups and housewives. So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advertise these offices in order that more various age groups and the concerned can use them.

      • 대학생의 심리상담에 대한 인식 연구 : Q 방법 적용

        제성민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의 목적은 1:1로 이루어지는 심리상담에 대하여 대학생들이 갖는 인식을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인의 인식이나 신념 등의 주관성을 유형화하기에 적합한 연구방법인 Q 방법을 활용하였다. 문헌연구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통해 심리상담 관련 총 198개 문항을 1차 추출한 후 전문가들과 논의를 거쳐 최종 31개의 Q 진술문을 채택하였다. 연구대상인 P 표본은 대학생 27명으로 구성되었다. P 표본의 Q 분류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QUANL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심리상담에 대한 인식은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1유형은 상담 비선호 유형, 제2유형은 노출 두려움 유형, 제3유형은 문제 해결 중시 유형, 제4유형은 상담 친화 유형, 제5유형은 양가적 유형이라고 명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이 심리상담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략이 논의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and analyze a set of responses from university students towards one-to-one psychological counseling. For this purpose, Q methodology which is a suitable study method for classifying Individual’s subjectivity such as one’s notion, faith and bias was used. 198 statements on psychological counseling were selected via academic research and interview survey. The questions were then condensed into 31 Q samples after a series of discussions with a group of experts. The subject of this study (i.e. P samples) were composed of 27 university students. And a data analytics tool called QUANL was used for the Q classification of the P samples. In consequence of the study, students’ perceptions regarding psychological counseling were differentiated into five types as follows: The first type was named as the counseling non-preferred type, the second type was the exposure fear type, the third type was the problem-solving-oriented type, the fourth type was the counseling-friendly type, and the fifth type was the ambivalent type. Based upon study results, strategies to help students with psychological counseling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