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생의 진로장벽, 학업지연행동, 학업적의지전략, 학업불안 간의 관계

        김혜진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reer barriers, academic procrastination, academic will strategies, and academic anxiety of graduate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procrast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variabl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05 graduat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wher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established.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Google Docks online app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related to academic anxiety of graduate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nxiety and career barriers, academic anxiety and academic delay behavior, career barriers and academic delay behavior of graduate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would strategy and academic delay behavior. This means that the lower the career barriers of graduate students, the lower the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the higher the academic will strategy, the lower the academic anxie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al model, the measured structural model showed good fit. In the final model, the academic will strategy of graduate studen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and academic anxiety, but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academic anxiety.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found to have been suppressed in the process of influencing academic anxiety of graduat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이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생들의 진로장벽, 학업지연행동, 학업적의지전략, 학업불안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고, 연구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학업지연행동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대학원이 설치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교육대학원생 총 20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방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방식 설문조사는 구글독스 온라인 앱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상관분석, 기술통계분석,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생의 학업불안과 관련한 변인들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교육대학원생의 학업불안과 진로장벽, 학업불안과 학업지연행동, 진로장벽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학업적 의지전략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부정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교육대학원생의 진로장벽이 낮을수록, 학업지연행동이 낮을수록, 학업적 의지전략이 높을수록 학업불안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측정된 구조모형은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다. 그리고 최종모형에서는 교육대학원생의 학업적 의지전략은 학업지연행동과 학업불안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진로장벽과 학업불안의 관계에서 학업지연행동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교육대학원생의 진로장벽이 학업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업지연행동의 억제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논의하였으며, 교육에 주는 시사점 및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외국인 유학생의 도서관 이용현황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신라대학교를 중심으로

        최혜린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With the recent era of globalization of education,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visiting Korea is increasing. According to this trend, domestic university libraries need to provide diverse and appropriate services depending on the nationality and educational curriculum of international student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use status and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library among foreign students attending Silla University and, based on this, proposed a plan to promote the use of the university library by foreign students at Silla University. For this purpose, the usage status and satisfaction were analyzed through a survey targeting 239 foreign students at Silla University. Based on this, we attempted to suggest specific and practical service improvement plans and the need for programs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library use and satisfaction among foreign students at Silla Universit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tatus was identifi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were unable to use library services because they did not know how to use the librar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foreign students at Silla University use the university library to learn Korean as part of their language training course. Third, in the case of Silla University's international students, there were many students from various countries and languages. Fourth, the Silla University Library website and APP support only Korean and English, making it less accessible to students who cannot speak Korean or English. Fifth, international students at Silla University were found to use library facilities more than the library materials. Sixth, the majority of foreign students at Silla University were affiliated wit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suggestions for revitalizing the library for international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ncrease the library usage rate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there is a need to provide education on the use of multilingual libraries through new student orientation. Second, there is a need for libraries to provide a variety of Korean learning materials and books based on the language used by international students. Third, in the case of multilingual language materials that are not available in the Silla University library, it is necessary to inform students that they can provide materials requested through interlibrary loan with other university libraries that have many international students among domestic universities. Fourth, there is a need to build a multilingual website and APP service and provide interpretation services through the librarian desk. Fifth, there is a need to produce pamphlets regarding overall library facilities and equipment in multiple languages and place them at the library entrance. Six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library service system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Silla University library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so that foreign students can use the services they require. 최근 교육의 세계화 시대가 열림에 따라 한국을 찾는 외국인 유학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국내 대학도서관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해 국적, 교육 과정 등에 따라 다양하고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신라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도서관 이용현황 및 만족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라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도서관 이용을 활성화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신라대학교 외국인 유학생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한 이용현황 및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신라대학교 외국인 유학생들의 도서관 이용 빈도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서비스 개선방안 및 프로그램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파악한 외국인 유학생의 이용현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의 외국인 유학생들이 도서관 이용법을 알지 못해 도서관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라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 대다수가 어학연수 과정으로 한국어 학습을 위해 대학도서관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라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 다양한 국가 및 언어를 사용하는 유학생이 많았다. 넷째, 신라대학교 도서관 홈페이지와 APP에서 한국어와 영어만 지원하여 한국어와 영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신라대학교 유학생의 경우 도서관 자료의 이용률보다 도서관 시설을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신라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 대다수가 한국어교육원 소속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에 따라 제안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도서관 활성화 개선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들의 도서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하여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을 통한 다국어 도서관 이용 교육을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한국어 학습교재 및 도서 자료를 도서관에서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신라대학교 도서관에 갖춰지지 않은 다국어 언어자료의 경우 국내 대학교 중 외국인 유학생이 많은 타 대학도서관과의 상호대차를 통해 학생들이 요구하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릴 필요가 있다. 넷째, 다국어 홈페이지 및 APP 서비스를 구축하고 사서 데스크를 통한 통역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전반적인 도서관 시설 및 설비에 관한 팸플릿을 다국어로 제작하여 도서관 입구에 비치할 필요성이 있다. 여섯째, 신라대학교 도서관과 한국어교육원과 협력을 통한 외국인 유학생이 요구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도서관 서비스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 어린이집 교사관련 학위논문 분석

        신소영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영․유아보육법이 제정․시행된 1991년부터 2010년까지 어린이집 교사와 관련하여 연구가 이루어진 박사학위논문 21편, 석사학위논문 519편, 총 540편의 석․박사학위 논문의 전체적인 경향과 연구내용, 연구방법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토대로 현재까지 이루어진 어린이집 교사와 관련된 연구 경향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앞으로 이루어질 어린이집 교사 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어린이집 교사관련 학위논문에서 다루어진 연구내용을 알아본다. 2. 어린이집 교사관련 학위논문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을 알아본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논문은 영․유아보육법이 제정․시행된 1991년부터 2010년까지 발표된 어린이집 교사와 관련한 석․박사 학위논문 총 540편이다. 분석에 사용한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내용의 내용분류 기준은 고선미(2000)의 유아교사관련 동향연구와 방혜경(2008)의 유아교사 장학관련 학위논문 경향분석에서 사용된 기술적 접근법에 의한 내용분류 기준을 참조하여 본 연구자가 공통영역을 구성하고 하위영역을 다음과 같이 모두 7개 범주로 분류하여 연구내용별 분류기준을 작성하였다. ① 교사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만을 연구한 연구, ② 교사교육과정만을 연구한 연구, ③ 교사의 행동만을 연구한 연구를 단일체계 연구로 분류하되 ①, ②, ③이 서로 연결된 연구, 예를 들면 ① 교사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과 교사교육과정이 연결된 연구, ② 교사교육과정과 교사의 행동이 연결된 연구, ③ 교사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과 교사의 행동이 연결된 연구 ④ 교사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과 교사교육과정 및 교사의 행동이 연결된 연구는 연결체계 연구로 분류하였다. 둘째, 연구방법에 대한 분류기준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양적연구, 질적연구,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가 동시에 사용된 혼합연구, 기타연구(문헌연구)로 분류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이문옥 외(2006)와 최미숙, 황윤세(2004)의 연구를 기초로 검사, 관찰, 면담, 질문지, 문서로 나누어 분류하였고 표집크기는 한태숙․김연․황혜정(2002)과 박희숙(2007)의 연구에서의 분류기준에 기초하여 양적 연구표집 규모로 50명 미만, 50~100명, 101~200명, 201~300명, 301명이상으로, 질적 연구표집 규모로 1~5명, 6~10명, 11~15명, 16~20명, 21명이상으로 구분, 분류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동향분석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분석기준을 설정하고 논문분석기준표를 작성한 후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2011년 8월 30일부터 9월 2일에 걸쳐 분석대상 논문 중 단순무선표집방법으로 100개를 선정하여 분석된 내용을 논문 분석기준표에 기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분석기준을 수정․보완하였다. 본 조사는 예비조사에서 수정․보완된 연구내용 분류와 연구 방법분류 기준에 의거하여 2011년 12월 1차 분류, 2012년 2월 2차 분류를 거쳐 최종적으로 2012년 4월 23일부터 4월 30일까지 수행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자의 분류가 명확하지 않은 연구내용에 대해서는 유아교육전문가 3인에게 자문을 구하여 최종 결정을 내렸다. 자료 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두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학위논문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시기별로는 1993년에 1편으로 시작해 1996년과 2004년에 감소한 것을 제외하고 2010년까지 매년 1-39편 사이로 증가하였고, 학위별로는 석사학위 논문의 수량이 519편(96.1%)으로 박사학위 논문 21편(3.9%)에 비해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속 기관별로는 행정대학원․공공정책대학원 등 기타대학원이 241편(44.6%)으로 가장 많았다. 이를 종합해보면 어린이집 교사와 관련한 학위논문의 수는 증가추세에 있으며 행정대학원․공공정책대학원 등의 기타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 관련 학위논문의 연구내용의 경향은 단일체계 연구가 연결체계 연구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일체계 내용 중에서는 교사의 행동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에 따른 하위영역의 경향을 살펴보면, 교사의 행동범주의 하위 영역에서는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가, 교사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의 범주의 하위 영역에서는 정치적/사회적 상황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교사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고 현직 연수에만 편중되게 연구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실습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셋째, 어린이집 교사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연구의 연구방법 경향에서는 연구 유형에서는 양적 연구가, 자료수집 방법에서는 질문지법이, 표집크기에 있어서는 양적 표집크기는 201-300명, 질적 표집크기 1-5명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를 종합해보면, 어린이집 교사와 관련한 국내 석․박사 논문은 증가추세에 있으며 교사의 행동에 관한 내용으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고, 교사교육과정에 관한 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nd to analyze 540 master's and doctoral theses on, the daycare center teachers published in between 1991 and 2010, in order to provide som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research on this topic.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were the contents of these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daycare center teachers about? 2. What kinds of research method were used in the these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daycare center teachers? 540 master's and doctoral theses that were associated with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selected, which were presented in between 1991, the year that the infant care and education act came into force, and 2001.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prepared by laying out classification criteria after common areas were selected and the subareas of the common areas were categorized into seven. The first was the studies that examined only teacher-affecting factors, and the second was the studies that examined only curriculums geared toward nurturing teachers. The third was studies that examined teacher behavior only. These three categories were defined as studies of a single approach, and there were four more categories that were defined as studies of multiple approaches. The first was the studies that examined both of teacher-affecting factors and curriculums geared toward nurturing teachers, and the second was the studies that examined both of curriculum geared toward nurturing teachers and teacher behavior. The third was the studies that examined all the teacher-affecting factors, curriculum and teacher behavior. Secon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prepared by modifying the criteria of earlier studies to ser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ies were classified into four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 of mixing both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nd literatural e study. The methods of data collection were divided into four venues: test, observation, interview, questionnaire and documentation. As for the sampling size, the sampling size of the quantitative studies was divided into five: less than 50 subjects, between 50 and 100 subjects, between 101 and 200, between 201 and 300, and 301 or more. That of the qualitative studies was divided into five as well: between 1 and 5 subjects, between 6 and 10, between 11 and 15, between 16 and 20, and 21 or m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procedure: After the analysis criteria were selected based on earlier studies of trend analysis, a list of the analysis criteria was made. And then a preliminary analysis was conducted to modify the analysis criteri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a that were finali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analysis.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8.0 was employed to obtain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a pervasive trend in the theses and dissertations,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number of the these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daycare center teachers was on the rise. Many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by those who took the master's course at graduate schools such as graduate schools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graduate schools of public policy, which were mentioned as the other sorts of graduate schools in this study. Second, regarding a trend in the content of the these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daycare center teachers, the studies of a single approach outnumbered the studies of multiple approaches. Among the former, the studies of teacher behavior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Among the subfactors of teacher behavior, the greatest number of the studies investigated awareness and state of educ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teacher-affecting factors, the biggest numbers of the studies examined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Not many research existed on the investigated curriculum geared toward nurturing teachers, and the studies leaned toward inservice education. Few studies investigated student teaching. Third, as to a trend in the research methods of the studies related to daycare center teachers, the quantitative studies were majority in number in terms of the type of research. As for the method of data collection,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most prevailing. In terms of sampling size, the most common sampling size of the quantitative studies was between 201 and 300 subjects, and that of the qualitative studies was between 1 and 5.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domestic these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daycare center teachers was on an increasing trend. Many studies examined regarding teacher behavior, and there was lack of study on the curriculums geared toward nurturing teachers. In conclusion, the quantitative studies were more dominant, and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most prevailing in terms of the method of 540 master's and doctoral theses published since the 1990s up to present . As for sampling size, the sampling size of the quantitative studies was between 201 and 300, and that of the qualitative studies was between 1 and 5.

      • 피아노활용교육에 대한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의 차이

        김미숙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피아노활용교육에 대한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현직유아교사의 피아노활용교육에 대한 교육적 인식 증진과 예비유아교사들을 위한 직전교육과정 보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피아노활용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아노활용교육에 대한 현직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피아노활용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피아노활용교육에 대한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B도시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98명과 같은 지역 소재 3년제와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1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도구로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연구한 김권일(2010)과 피아노 활용방안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을 연구한 심민서(2012)의 연구도구를 기초로 본 연구자가 재구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통계 프로그램 SPSS 20.0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피아노활용교육에 대한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집단 간 인식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아노활용교육에 대한 현직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결과, 피아노활용교육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조옮김과 반주 등의 피아노활용방법, 피아노를 활용하는 수업의 필요성, 피아노를 활용한 음악교육의 편리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아노활용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결과, 피아노활용교육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조옮김과 반주 등의 피아노활용방법, 피아노 연주 기술의 필요성, 피아노를 활용하는 수업의 필요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아노활용교육에 대하여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은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가 현직유아교사보다 피아노 연주 기술의 필요성에 대해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조옮김과 반주 등의 피아노활용방법에서는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종합하면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는 피아노활용교육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현직유아교사는 피아노를 활용하는 수업의 필요성을 예비유아교사는 피아노 연주기술의 필요성을 우선적으로 인식하는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piano-aided education in an effort to facilitate the vitalization of piano utiliz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by providing information on how to raise educational awareness of piano-aided education among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how to complement curriculum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awareness of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piano-aided education? 2. What is the aware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piano-aided education? 3.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at regar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98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181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an urban community, and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ree-year colleges and four-year universities in the same city.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questionnaire that was based on two different inventories. One was Kim(2010)'s inventory who made a study of the awareness of in-service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piano-aided education, and the other was Shim(2012)'s one who made research on the awarenes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on how to utilize piano. The inventories were rearranged by this researcher. As for data analysis, a SPSS 20.0 was employ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another statistical data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to determine the awareness of the in-service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ddition, independent-samples t-test was conducted to look for any possible intergroup differenc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the awareness of the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piano-aided education was analyzed, they were best aware of the educational effect of it, followed by how to make use of piano concerning transposition and accompaniment, the necessity of piano-aided instruction and the convenience of piano-aided music education. Second, when the awareness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piano-aided education was analyzed, they were best cognizant of the educational effect of it, followed by how to make use of piano concerning transposition and accompaniment, the necessity of piano skills and the necessity of piano-aided instruction. Third, as for intergroup differences in awareness of piano-aided educ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better aware of the necessity of piano skills than the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 awareness of how to make use of piano concerning transposition and accompani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both of the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ognizant of the necessity of piano-aided education, but that the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ached more importance to the necessity of piano-aided instruction while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laced more importance on the necessity of piano skills.

      • 보육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 인식

        박보라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ndency of teachers' knowledge about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nd the perception of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The research problem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tendency of the childcare teachers' knowledge of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econd, what is the perception of knowledge of musical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Third, what is the tendency of the childcare teachers to the music teaching efficacy? Fourth, what is the perception of music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Survey was conducted with 212 childcare teachers by using the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strument developed by Yoon, ji-young(2014) and the music teaching efficacy test instrument by Bang, Eun-young and Park, chan-ok(2005) as tool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PASW19.0, and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ubjects were calculated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tendency of music teaching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of the study subjects.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variables by subject, and post-test was conducted using Scheffé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s tendency toward knowledge of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as the highest perception of curriculum knowledge, and perception of curriculum knowledge was relatively low.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teacher puts importance on the curriculum knowledge rather than the teaching contents in practicing the music lesson. This suggests that the contents of the music curriculum should be treated professionally in the process of teacher education and retraining.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ing content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daycare teachers in education except age, career, and work organization type. The perception of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ing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of nursery teacher was higher in order of graduate school graduation and graduate school graduation and 3.79. Third, the teachers' tendency toward music teaching efficacy was higher than expected beliefs. Looking at the sub-factors, the expectation average of the results was 3.61 and the average belief in the proficiency was 3.37. In other word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eachers' expectation about their results is more positive than belief in music teaching ability.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ducational efficacy of music teaching except the age, career and type of work agency. The perception of musical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was higher in the order of Graduate school graduates and followed by attending graduate students, and the result of post-test show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 school and graduate school, professional college and graduate school, university college and graduate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eacher 's education level was an important variable in relation to the knowledge of music teaching contents and perception of music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daycare teachers. Based on this, there is nee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re-training courses such as graduate schools entering graduate levels and in-service teacher-training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경향성은 어떠하며, 배경변인에 따라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Ⅰ. 보육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에 대한 경향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Ⅱ. 보육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음악교수내용지식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Ⅲ. 보육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경향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Ⅳ. 보육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음악교수효능감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B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보육교사 212명을 대상으로 윤지영(2014)에 의해 개발된 유아음악 교수내용지식 측정 척도를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고, 방은영과 박찬옥(2005)의 음악교수효능감 검사를 연구도구로 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19.0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배경변인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고, 연구대상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의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연구대상의 변인별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cheffé 방식을 사용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에 대한 경향성은 교육과정 지식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고, 교과내용 지식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달리 표현하면 보육교사는 음악수업을 실천하는데 있어서 가르치는 내용 보다는 교육과정 지식을 중시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육교사 양성과정과 재교육과정에서 음악교과내용이 전문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둘째, 보육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음악교수내용지식은 연령, 경력, 근무기관유형을 제외한 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보육교사 학력에 따른 음악교수내용지식의 인식은 대학원 재학, 대학원 졸업 순으로 높았고 대학원 재학 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 평균은 3.79로 보통 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경향성은 결과기대가 신념보다 높았다.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결과에 대한 기대감 평균은 3.61점, 교수능력에 대한 신념 평균은 3.37점으로 결과에 대한 기대감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즉 교사들은 자신의 결과에 대한 기대감이 음악교수 능력에 대한 신념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보육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음악교수효능감은 연령, 경력, 근무기관유형을 제외한 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보육교사 학력에 따른 음악교수효능감의 인식은 대학원 재학, 대학원 졸업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사후검증 실시 결과 고졸과 대학원졸, 전문대졸과 대학원졸, 대학교졸과 대학원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보육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 인식 관련에서 교사의 학력이 중요한 변인이라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보육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 인식을 높이는 방안으로서 보육교사를 양성하는 기초 과정인 학부로부터 대학원까지 다양한 재교육과정 등을 통하여 학력증진의 기회를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음악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김성애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Music has made human lives richer. The young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s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music because music motivates people to live aesthetically, which makes teaching of music important. Various music activities make young children improve their originality and imagination. Young children will have emotional comforts and aesthetical senses by expressing their own senses and by thinking through music. Furthermore, they will live richer lives. The music education courses of the infant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 specify how to teach music to young children. But for the lack of content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music teachers have troubles teaching the children. For that reason, this research aims to survey the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reality using the basic data in the music education curriculum. A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on 449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Colleges or Universities in Busan. As for the study tool, validity was measured through questionnaire contents of preceding study, opinions of the preschool teachers and several professors and the pretest. A questionnaire that was modified and improved was used to evaluate on the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reality of the Department of Childhood Education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Busan. The researcher statistically analyzed the data of this study number of in frequency, percentage and Chi-square test using SPSS Program. The questions of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the researcher. Accordingly, following questions for the proposal were raised: 1. Is there significantly efficient difference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 in the music education curriculum? 2. Is there significantly efficient difference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reality in the music education curriculum? The Summarized results of the study were following: First, there were the result significantly efficient difference questionnaire contents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 in the music education curriculum according to length of degree studies at each institution, but no difference the other questionnaire contents according to length of degree studies at each institution. Second, there were the result significantly efficient difference questionnaire contents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reality in the music education curriculum according to grades. This research was to possible the basic data for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curriculum construction in the music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 양성대학의 음악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로서 음악교과 교육과정의 하위요소인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수법, 평가방법에 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묻는 총 14개 문항의 연구도구를 B시 3년제 3개 대학과 4년제 4개 대학 유아교육과 재학생 4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인식 및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관련변인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각 문항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카이검증(x2)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음악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은 기관유형별로는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에서 학년별로는 교육내용과 교수법에서 차이가 있었다. 음악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의 실태는 음악교과 교육과정 전체에서 기관유형별과 학년별 모두 차이가 있었다. 도출된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목표에서는 기관유형별 학년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3년제 예비유아교사는 음악교과의 일상생활 속에서 노래부르고 리듬사용하기가 교육목표라고 인식하였고 4년제 예비유아교사는 혼자 즐겁게 노래부르기를 교육목표로 인식하였다. 교육내용에서는 기관유형별과 학년별 모두 차이가 나타났다. 3년제 예비유아교사는 율동과 신체표현을 4년제 예비유아교사는 소리탐색과 음악 감상을 중시했다. 학년별에서 1, 2학년은 율동과 신체표현을 중시한 반면 3, 4학년은 소리탐색을 주요 교육내용으로 인식했다. 교육방법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은 기관유형별과 학년별 모두 차이가 없었지만 교육방법으로서 듣기 응답이 가장 많았다. 교수법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은 기관유형별 로는 차이는 없었지만 학년별로는 차이가 있었다. 달크로즈 교수법을 가장 많이 응답한 1, 3학년과 달리 4학년은 독자적인 교수법을 중시하였다. 평가방법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는 음악활동시의 관찰을 통한 평가와 언어적 상호작용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나 기관유형별, 학년별 차이는 없었다. 둘째, 음악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유아교사 교육의 실태는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수법, 평가방법의 전체 영역에서 기관유형별, 학년별 차이가 나타났다. 교육목표에 관하여 3년제 예비유아교사는 일상생활 속에서 노래부르고 리듬사용하기를 교육목표로 음악교과에서 배웠다고 하였고 4년제 예비유아교사는 음악을 즐겨부르고 감상하는 활동을 통하여 아름다운 심성을 기르는 것을 교육목표로 지도받았다고 하였다. 교육내용에 대한 예비유아교사 교육의 실태로서 3년제와 4년제 예비유아교사 모두 악기연주를 주요 음악교육내용으로 다루고 있지만 3년제에서는 우리나라 전통음악을 4년제에서는 음악감상과 음악을 통한 통합적 접근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점이 달랐다. 학년에 따른 실태로서 1, 2, 4학년은 악기연주를 많이 하는 반면 3학년은 음악 개념과 음악사를 교육내용으로 다룬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특별히 음악교육내용에 대한 교육이 없다는 응답도 기관유형별, 학년별로 약간씩 있었다. 교육방법에 대하여 3년제와 4년제 모두 기악지도가 일차적인 교육방법이라고 하였지만 3년제에서는 기악 다음으로 듣기를 4년제에서는 기악 다음으로 리듬지도와 감상하기를 지목하였다. 모든 학년에서 기악과 듣기를 교육받고 있다고 응답했으나 부분적 차이로서 3학년은 기악과 듣기 외에 감상과 통합적 접근을 4학년은 리듬지도와 통합적 접근에 대하여 배우고 있다고 하였다. 교수법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의 실태는 기관유형별 학년별로 차이는 있었는데 응답자의 대부분이 달크로즈 교수법을 배운다고 하였지만 특정 음악교수법에 대한 안내를 받지 않았다는 응답도 기관유형별로는 3년제에서, 학년별로는 1, 2학년에서 있었다. 또한 달크로즈 교수법을 배웠다고 가장 많이 응답한 1, 3학년과 달리 4학년은 독자적인 교수법을 중시하였다. 평가방법에 대한 예비유아교사 교육의 실태는 기관유형별 학년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3년제와 4년제 모두 관찰 평가방법에 대하여 안내 받았다고 했으나 3년제는 관찰을 통한 평가방법에 이어 평가방법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음 순으로 4년제는 관찰을 통한 평가방법에 이어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한 평가에 대하여 배운다고 답하였다. 학년별로 살펴볼 때 1학년은 음악활동 후 그림 표상을 통한 평가, 2학년은 평가방법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음, 3, 4학년은 음악활동 중 관찰을 통한 평가방법을 교육받았다고 함으로써 학년간의 차이를 드러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아교사들이 음악적 지식과 교수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음악을 가르치는 것에 대한 입장과 접근이 매우 다양하므로 음악교과 직전 교사교육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고 지적한 여러 연구(방은영․박찬옥, 2005; 유선아, 2005; 윤현진, 2002; 장은주, 2007; Burton, 2002; Kelly, 1998)와 그 맥을 같이 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복소수 학습내용의 연계

        김유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학습내용 경감의 계속된 결과로 제7차 교육과정에는 이전의 교육과정에 비해 많은 내용이 삭제되어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대학교의 이공계열 학과로 진학하는 경우 여러 가지 어려움이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으로 바뀌면서 고등학교의 자연계열 학생들은 미적분과 통계기본, 적분과 통계, 기하와 벡터 과목을 이수하도록 하여 고등학교와 대학교 간의 연계성의 문제를 상당 부분 해결해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복소수 단원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복소수의 중요한 성질들이 6차 교육과정을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에 삭제되어 있다. 그 결과 대학에서 복소수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복소수의 명확한 의미를 요구할 때 학생들은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심화 학습으로 학생들이 복소수의 의미를 올바르게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안을 학생의 수준에 맞게 제시하여 고등학교 수학과 대학교 수학의 연계를 높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복소수 내용과 대학교에서 배우는 복소수의 학습내용을 알아보고,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복소수 학습과정에서 복소수 학습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연구할 것이다. 학생들이 차 방정식의 해가 개 있음을 이해하고, 학생들이 복소수 단원을 학습 할 때 복소수를 대수적인 연산을 위한 문자로만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수 체계의 관점에서 복소수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복소수의 극형식을 접함으로써 고등학교 1학년의 복소수단원과 삼각함수 단원 간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학생들이 대학교에 진학하여 복소함수론을 학습할 때, 고등학교의 복소수 내용과 대학교의 복소함수론의 내용이 각 각 다른 것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고등학교에서 배운 복소수가 대학교에서 학습하는 복소함수와 연계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하고자 한다. In 7th mathematics curriculum, many concrete concepts about complex number have already been deleted. In result, high school students have several trouble in pursuance of getting a university education. Accordingly we suggest method that help high school students to understand about complex number and connection of a high school education with a university education for complex number. Then Students understand that equation of th degree has th roots and polar form of complex number. Furthermore students will understand connection of complex number with a trigonometric function.

      • 한국어 높임법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신림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중국어와 한국어는 서로 다른 계통에 속하는 언어이기 때문에 높임법의 양상이 많이 다르다. 높임법은 언어생활에서 말하는 사람이 말 듣는 사람 또는 언어 표현 안에 등장하는 인물에게 존경의 뜻을 표현하는 특별한 언어 형식을 일컫는데, 한국어는 일상적인 언어생활에서 높임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높임법의 체계와, 구체적인 발화 상황에서 사용하는 높임 표현의 공통점과 차이점,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높임법의 교육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한국어 높임법은 말하는 이가 듣는 이 혹은 말 속에 등장하는 사람의 나이, 신분, 언어 환경 등에 따라 그 높임 표현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중국인 유학생들에게는 어려운 문법 현상 가운데 하나이다. 특히 한국어 높임법을 습득할 때, 중국인 유학생들은 모국어인 중국어와 다른 요소들로 높임 표현이 실현되기 때문에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다. 높임법이 발달한 한국어에 비해 중국어의 높임법은 그 체계가 매우 다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국어 높임법을 문법적으로는 잘 이해하더라도 상황에 맞게 적절히 높임법을 표현하기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높임법 교육은 문법적 관점과 실제 발화 상황의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중국학습자들이 한국어 높임법에 대해 잘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높임법의 사용 환경이나 목적, 원칙 등과 같은 언어 문화적인 상황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또한, 높임의 의미가 있는 어휘나 문법적 사용 양상을 잘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한국과 중국의 높임법을 비교, 대조 분석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들을 통해 교육 방안을 연구하였다. 중국어와 한국어 두 언어를 비교, 대조하여 중국인 학습자의 높임법 습득 양상을 연구한 본 논문의 연구 내용을 구체적으로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높임법에 관한 학습의 필요성을 토대로 하여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의 목적으로 한국어 높임법에 관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할 것이다. 그래서 중국어와 한국어의 존댓말을 비교 분석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심도 있게 이해하면서 한국어를 수월하게 배울 수 있도록 한다는 연구 목적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범위 및 방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높임법 사용 양상을 알아보고자 한국, 중국 두 집단으로 구성하고, 각각 대화 대본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를 제시한다. 제2장에서는 한국의 높임법과 중국의 높임법을 비교하면서 개념과 체계를 분석하였다. 한국 높임법은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으로 구분된다. 중국의 높임법은 한국 높임법과 달라 그렇게 구분할 수 없기에 주로 어휘적으로 명사, 동사, 대명사, 청구, 호칭에 대해 비교 분석을 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중 높임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대비하여 분석하였다.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하면 양국의 높임법을 좀 더 쉽게 습득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높임법의 표현 방법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예시를 나누어 제시하고 대조하면서 분석하였다. 또한, 양국의 높임법 표현 방법이 달라 학습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한·중 높임법 표현 양상을 각각 대조 분석하고, 이에 따라 생겨난 문제를 통하여 교육 방안을 연구하였다. 제4장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지도안과 교육 방안을 참고하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높임법 교육을 더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도록 문제점과 교육 방안, 교육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논문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정리를 하고 결론을 제시하였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높임법을 공부할 때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높임법에 대해 대비, 분석하여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Because Chinese and Korean belong to different language systems, the forms of raising method are quite different. High grammar refers to a special language form that expresses respect to each other in language life. In the daily language life of Korean, high grammar plays an important role. This paper discusses the improvement method system of Korean and Chinese, the differences of improvement method used in the case of fire, the learning method of improvement method, and the educational program of improving Korean for Chinese learners. In the life of South Korea, with the different age, identity and language environment of huazi and celadon, their higher expression methods will also change, so it is a very difficult element for foreign students. Especially when Chinese students are learning Korean, they will learn Korean culture, thought, history and other methods to improve together, because it is not easy to learn Chinese as mother tongue and other elements. However, if they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improvement methods, foreign students will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However, compared with Korean, which has developed high grammar, the improvement method of Chinese is not complete. Therefore,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and Chinese high grammar, through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programs. So far,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on improving Korean, as mentioned above, the results are insufficient. Therefore, in order to make Chinese learners better understand and use the improvement methods of Korea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use of vocabulary or grammar with higher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