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적 대상화 경험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내면화와 자기 대상화의 매개효과

        최희수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성인 초기 여성의 성적 대상화 경험과 대인불안 간의 관계에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내면화와 자기 대상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적 대상화 경험은 대인불안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내면화는 성적 대상화 경험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미하게 매개할 것이다. 셋째, 자기 대상화는 성적 대상화 경험이 대인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미하게 매개할 것이다. 넷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내면화와 자기 대상화는 성적 대상화 경험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미하게 이중매개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총 318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은 성적 대상화 경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내면화, 자기 대상화, 대인불안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과 Mplus 7.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적 대상화 경험은 대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적 대상화 경험과 대인불안의 관계에서 자기 대상화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적 대상화 경험과 대인불안의 관계에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내면화와 자기 대상화가 이중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성적 대상화 경험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내면화와 자기 대상화를 거쳐 대인불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and self-objectif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 and interpersonal anxiety of early adulthood women. The research hypotheses are as follows: First,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 will affect interpersonal anxiety. Second,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will mediate the effect of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 on interpersonal anxiety. Third, self-objectification will mediate the effect of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 on interpersonal anxiety. Fourth,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and self-objectification will have doubl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bjectification and interpersonal anxie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8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e survey consisted of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self-objectification, and interpersonal anxiety.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24.0 and Mplus 7.4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 has been shown to affect interpersonal anxiety. Second, self-objectification was found to be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bjectification and interpersonal anxiety. Third,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and self-objectification was identified as double mediation variables between sexual objectification and interpersonal anxiety of early adulthood women. These findings mean that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 affects interpersonal anxiety through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and self-objectification.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suggested.

      •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자기대상화가 신체와 관련한 정서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하효정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5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elf-objectification on the body-related emotion and behavior. The study surveyed 551 college students in Busan, Daegu and Jinju areas, and they filled out a questionnaire measuring self-objectificatio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body-image related emotion and evaluation, body dissatisfaction, depression, body esteem, maladaptive eating attitude. This study is based on self-objectification theory which insists bodily self-objectification by internalizing the 3rd person’s view through continuous pressure from outside, and supposes maladaptive perfectionism as a personality variable affecting self-objectification. It aims to replication and extend rather recently introduced self-objectification theory into Korea in sample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e result of study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as follows. In case of research model 1, male and female groups showed overall similar results as supposed in the research question, and as the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on the self-objectification was meaningful both in male and female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maladaptive perfectionism can affect self-objectification as a personality variable. As supposed in objectification theory, it was revealed that self-objectification has meaningful influence especially on the body-image related emotion and evaluation as well as maladaptive eating attitude. In general, female groups showed more sensitive response to the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elf-objectification than male groups. In case of research model 2, there was full mediation effect of body shame both in male and female groups supporting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body shame is a strong variable which mediates self-objectification and maladaptive eating attitude. Finally, the meaning and limits of this study was discussed.

      • 자기가치 확인이 신체 단어 회상 및 자기대상화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은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affirmation on recall of body-related words and the change of self-objectification by introducing experiment.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90 female college students located in Gyeonggi-do. Study 1,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number of recall of body-related words according to self-objectification level, I made a 2X2 factorial design. For this, the group (with low self-objectification, high self-objectification group), and writing treatment (control writing, self-affirmation writing)ar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number of recall of body-related words is dependent variable. Study 2, to examine whether self-affirmation treatment can change the level of self-objectification, I measured the degree of change in self-objectification, which was conducted by the same procedure study 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efore treatment the number of words recalled the body-related of the high self-objectification group was more than low group, and after treatment under self-affirmation treatment group reduced the number of recalled body-related words than control group. Second, among the participants with high level of self-objectification under self-affirmation treatment group was low the degree of self-objectification than control group. Therefore, these results revealed that self-affirmation is an important therapeutic factor for high level of self-objectification people by affirming self-concept which is not related body. Finally, implication of the findings for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자기-가치 확인이 신체 단어의 회상과 자기 대상화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90명의 여대생이다. 먼저, 연구 1에서는 자기 대상화 수준에 따른 처치 전 후의 신체 단어회상 개수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집단(자기 대상화가 고집단, 자기 대상화 저집단)과 글쓰기 처치 방식(중립적 가치 글쓰기, 자기-가치 확인 글쓰기)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신체 단어 회상 개수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2X2 요인설계를 구성하였다. 연구 2에서는, 자기-가치 확인 처치가 대상화 수준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 1과 동일한 실험 절차를 실시하여 처치 전 후의 자기 대상화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처치 전에는 자기 대상화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서 비신체 단어에 대한 신체 단어 회상 개수가 많았으며, 처치 후에는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가치 확인 처치를 받은 집단의 비신체 단어에 대한 신체 단어 회상 개수가 적었다. 둘째, 자기 대상화 수준이 높은 참가자들 중에서 통제처치를 받은 집단 보다 실험처치를 받은 집단이 신체와 관련되지 않은 영역에서 자기 가치 확인을 하고 나서 대상화 수준이 낮아졌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자기 대상화 수준이 높은 사람들에게 신체와 관련이 없는 영역에서 자기-가치 확인을 통해 통합적인 자기 개념을 형성하고 자기 개념을 보상할 수 있는 심리적 자원을 제공할 것임을 밝힘으로써 대상화 수준을 낮추어 적응적이고 건강하게 할 수 있는 치료적 변인을 찾은데 그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오정희 소설의 장애 표상 연구

        안세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2

        본고는 오정희(吳貞姬, 1947~) 소설 속 장애 표상의 작동 원리를 밝히고 그것의 효과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연구는 오정희의 소설 속에 등장하는 장애 표상을 주체의 불모적 상태가 일대일로 반영된 고정적 상징으로 해석하는 소재주의적 경향을 벗어나지 못했다. 본고는 기존의 비평적 논의가 소설의 서사 속에서 작동하는 장애 표상의 논리와 기능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오정희 소설에 등장하는 장애 표상을 과잉된 욕망의 처리를 두고 벌어지는 비장애인 서술 주체와 장애인 대상 사이의 역동적 관계 속에서 새롭게 바라보았다. 오정희의 소설에서 장애 표상은 비장애인 서술 주체가 장애인 대상을 바라보는 비대칭적 시선 속에서 작동하고 있으며, 대상의 ‘보통이 아닌 몸’은 주체의 과잉된 욕망을 대리 표출하는 환상적인 표면으로 기능한다. 장애인의 몸을 경이로운 것, 마적인 것, 무속적인 것으로 채색하는 대상화의 패턴은 특히 작가의 초기 소설에서 무반성적으로 반복되고 있었으며 그것은 구체적으로 투사→장애체험→현실복귀로 이어지는 서사 패턴으로 도식화될 수 있었다. 이상의 작업을 통해 본고는 오정희 소설이 확보하고 있는 ‘건축적 조형성’의 중심에 놓여있는 것이 바로 대상화된 장애 표상을 매개로 작동하는 작품의 서사 구조였다는 사실을 드러냈다. 한편, 본고는 오정희 소설 속 장애 표상이 그것이 드리운 ‘미학적 불안감’으로 말미암아 기존의 대상화된 좌표로부터 벗어나 현실적 부피를 부여받는 통시적 과정에도 주목했다. 오정희의 소설은 장애인의 몸을 대상화하는 문제적 시선과 그러한 이끌림을 비판적으로 조감하는 반성적 시선 사이에서 끊임없이 길항한다. 본고는 오정희의 소설 속에서 변모해온 장애 표상의 모습을 시금석삼아 ‘소설화/대상화’ 기제 일반에 대한 작가의 반성적 자기인식이 심화되는 과정을 추적했다. 대상화의 기제로 순치되지 않는 장애의 리얼리티는 오정희가 제작했던 원형적 도식을 가장 근본적인 수준부터 침식시켰으며, 대상화의 폭력성에 대한 작가의 자기인식이 심화됨에 따라 장애 표상을 둘러싼 소설의 서사 구조는 전면적으로 재배열되었다. 그것은 한편으로 말년의 작가에게 심각한 미학적 위기를 불러일으켰으며, 최종적으로 작가의 집필이 중단되게 된 내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은 소설집 『불의 강』을 중심으로 오정희 소설에 등장하는 장애 표상의 작동 원리를 밝히고 그것을 도식화한다. 2장 1절에서는 오정희의 아마추어 데뷔작 「노래기」(1964)와 등단작 「완구점 여인」(1968)을 대상으로 삼아 오정희 소설 속 장애 표상에 드러나는 ‘투사’의 국면을 살펴본다. 소설 속 비장애인 서술 주체는 수용할 수 없었던 자신의 욕망을 분리해 장애인 대상의 몸 위에 투사하며, 그 과정에서 장애 인물의 몸은 신비로운 경이, 마적 권능, 무속적 잠재력을 가진 은유 또는 상징으로 추상화된다. 2장 2절에서는 「산조」(1970)와 「목련초」(1975)를 대상으로 삼아 오정희 소설 속 장애 표상에 드러나는 ‘장애 체험’의 국면을 살펴본다. 주체는 장애 대상에게 과잉된 욕망을 투사하고 그로부터 거리를 두는 방식으로 스스로에 대한 통제권을 획득하려 시도하지만, 낭만적으로 채색된 장애인의 몸은 오히려 주체를 매혹하고 투사된 욕망을 강화하여 되돌려준다. 몰아의 극점에서 비장애인 주체는 억압하였던 대상의 장애가 전염되어 자신의 몸 위에서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며 그것을 통로삼아 스스로의 욕망을 환상적으로 표출한다. 2장 3절에서는 「안개의 둑」(1976)과 「불의 강」(1977)을 대상으로 삼아 오정희 소설 속 장애 표상에 드러나는 ‘현실 복귀’의 국면을 살펴본다. 대상과 자신이 구분되지 않는 몰아의 체험 이후 주체는 적나라하게 노출된 스스로의 욕망을 수치스럽게 감각하며 현실로 되돌아오려고 시도한다. 대상으로부터 거리를 둠으로써 스스로에 대한 통제권을 획득하려는 주체의 사후적 안간힘은 소설 속에서 장애 대상에 대한 구체적인 살의로 형상화된다. 3장과 4장은 통시적인 관점에서 오정희의 장애 표상 방식이 원형적 도식으로부터 변화하는 모습을 살핀다. 3장은 오정희 소설에 등장하는 장애 표상이 본래의 소설적 기능을 상실해가는 점진적 양상을 드러낸다. 3장 1절에서는 「중국인 거리」(1979)와 「유년의 뜰」(1980)을 대상으로 삼아 오정희의 소설에서 장애 대상에 대해 시도되었던 대상화의 도식이 다른 결말로 마무리되고 있음을 확인한다. 투사적 구도를 통해 열렸던 장애의 세계는 이제 주체의 의지와 무관하게 닫히며, 타율적인 튕겨남의 과정에서 부각되는 것은 해소되지 않는 대상의 타자성이다. 3장 2절에서는 「하지」(1982)와 「순례자의 노래」(1983)를 대상으로 삼아 오정희의 소설에서 그려지는 장애 표상이 비장애인 주체를 매혹시킬 원동력을 상실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소설을 지배하고 있는 현실의 논리 아래에서 장애는 더 이상 전염되지 못하며, 장애인 주체의 시점에서 포착된 세계는 장애인을 배제하는 다각도의 폭력으로 가득 차 있을 뿐이다. 4장은 오정희 소설에 등장하는 장애 표상이 오작동하여 소설의 자족적 육체를 내파시키는 결정적 장면을 포착한다. 4장 1절에서는 「새」(1996)를 대상으로 삼아 오정희 소설에 등장하는 장애 표상이 아이의 몸 위에 새겨진 구체적 폭력으로 감각되고 있음을 확인한다. 서사를 압도하는 폭력의 리얼리티 속에서 작가가 견지해온 대상화의 도식은 무너지며, 아이들은 이제 욕망의 극점이 아닌 공포의 극점에서 장애를 획득한다. 4장 2절에서는 「요셉씨의 가족」(1992)과 「목련꽃 피는 날」(2004)을 대상으로 삼아 소설화 과정에 내재한 대상화의 폭력성이 오정희 소설의 주제의식으로 부각되고 있음을 확인한다. 오정희 자신이 장애 표상과 관련하여 구사해온 소설 창작 방식은 메타 주체의 논평을 통해 비판적으로 조감되며, 대상화의 폭력에 대한 첨예한 인식은 작가의 집필 패턴 자체에 비판적으로 피드백되어 소설의 서사를 복잡화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크게 다음과 같은 세 방향으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오정희라는 작가를 이해하는 새로운 내러티브를 제공했다. 본고는 이상의 작업을 통해 ‘장애 표상’이 40년에 걸쳐 이어진 오정희의 집필을 설명함에 있어서 유효한 키워드가 될 수 있음을 밝혔다. 본고는 장애 표상의 소설적 기능에 집중함으로써 오정희 초기 소설의 뼈대를 이루고 있는 원형적 서사 패턴을 추출해냈으며, 그러한 도식이 작품에 드리운 ‘미학적 불안감’으로 말미암아 내파되는 통시적 양상에 주목함으로써 오정희의 전 집필을 연속성의 차원에서 그려냈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본고는 오정희의 작품들을 연결하는 새로운 ‘선(線)’을 제시하였으며, 그것이 또한 후기 작품의 중편화 경향이나 작가의 연재 중단 및 절필과 같은 외적인 사건을 설명할 수 있는 내러티브로 작동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둘째, 본 연구는 1970-80년대 한국 문학사를 이해해온 기존의 방식에 문제를 제기했다. 1970-80년대 민족/민중문학 진영이 민중 또는 노동자의 ‘망가진 몸’을 대상화해온 폭력적인 면면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논의가 축적되어 있으나, 연구의 대상이 한 쪽으로 쏠림으로 인해 이와 같은 대상화의 장면은 마치 민족/민중문학 진영만의 과오인 것처럼 부각되어온 측면이 있다. 그러나 본고는 상기의 연구를 통해, 통상적인 문학사에서 민족/민중문학 진영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고 이야기되는 오정희의 소설에서조차 ‘훼손된 몸’에 대한 수많은 문제적 상상력이 발견된다는 점을 확인했다. 최소한, 대상화된 장애인의 몸을 매개로 소설의 서사 구조를 직조해 나가는 집필 패턴 자체에 직면하여, 1970-80년대 문단 전체는 ‘장애인의 몸’에 대한 비틀린 상상력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은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이질적인 몸’ 일반에 대한 문학적 재현을 바라보는 장애학적 시각을 제안했다. 오정희의 사례를 통해 본고는 비장애인 작가가 소설 속에서 장애인의 몸을 표상하는 하나의 패턴을 관찰할 수 있었다. 오정희의 소설 속에서 줄곧 대상화되어온 장애인의 몸은 그것이 무엇도 아닌 ‘타자성’의 텅 빈 형식을 그려내고 있다는 점에서 지배적 재현체계 속에서 여성, 노인, 퀴어 등의 소수자들이 체현하고 있는 수다한 ‘이질적인 몸’의 표상과도 연결된다. 본고가 상기의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것은, 그러한 ‘이질적인 몸’에 대한 표상이 언제나 소설 속에서 기능적으로 소요되었다는 사실과 더불어, 한편으로 그러한 몸이 결국 서사 전체를 뒤엎고 작가의 집필 자체를 가로막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본고는 이를 통해 ‘장애’의 문학적 재현이라는 보다 큰 주제 아래에서 이어질 일련의 연구를 예비하며, 그와 동시에 ‘몸’의 문학적 재현을 다룬 수다한 연구가 이루고 있는 계보 위에 놓인다. This thesis aims to identify the logic behind disability representation in Oh Jung-hee’s(吳貞姬, 1947~) novels and examine its effects. Previous studies have tended to interpret the representation of disability in Oh’s novels as a fixed symbol that reflects the sterility of the subject one to one, which is reductionist. Driven by the issue that existing critical discussions have not sufficiently explained the logic and function of disability representation in the novels’ narrative, this thesis revisits various representations of disabilities in Oh’s novels in the context of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non-disabled subjects and objects with disabilities. In Oh’s novels, disability is represented through the perspective of a non-disabled narrator observing a disabled object. The object’s “extraordinary body” is portrayed as a fantastical mirror that vicariously relieves the narrator’s excessive desire. Oh Jung-hee’s early works repeat a pattern of objectification that portrays the disabled body as phenomenal, demonic, and shamanic. This pattern can be schematized as a narrative that progresses through (1) projection, (2) disability experience, and (3) return to reality. This thesis demonstrates that the narrative pattern, which operates through objectified representations of disability, supports the unique architectural structure of Oh Jung-hee’s novels. On the other hand, this thesis also focuses on the diachronic process through which the representation of disability in Oh’s novels breaks away from its objectified coordinates and gains a realistic three-dimensionality, due to the “aesthetic nervousness” it casts on the novel. Oh’s novel oscillates between a problematic gaze that objectifies the disabled body and a reflective gaze that critically examines such attraction. This thesis traces how the author’s reflective self-awareness of the “novelization/objectification” mechanism, in general, has been deepened, using the changing representations of disability in Oh’s novels as touchstones. Oh’s narrative schema was fundamentally eroded by the reality of disability, which cannot be subordinated to the mechanisms of objectification. As the author’s self-awareness of the violence of objectification deepened, the novel’s narrative pattern revolving around the representation of disability was completely rearranged. This triggered severe aesthetic crises for Oh Jung-hee in her later years, ultimately leading her to stop writing novels. This thesis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2 identifies and schematizes the logic of disability representation in Oh Jung-hee’s novels, focusing on the short story collection 『불의 강』(The River of Fire). Section 1 of this chapter analyzes the “projection” phase of disability representation in Oh’s novels, focusing on her amateur debut 「노래기」(The Millipede, 1964) and her professional debut 「완구점 여인」(The Toyshop Woman, 1968). In these novels, the non-disabled narrators detach their unacceptable desires from themselves and project them onto the bodies of disabled characters found outside. In the process, disabled bodies are abstracted into mere metaphors or symbols representing mystical wonders, demonic powers, or shamanic potential. Section 2 of Chapter 2 analyzes the “disability experience” phase of disability representation in Oh’s novels, focusing on 「산조」(Sanjo, 1970) and 「목련초」(A Portrait of Magnolias, 1975). Although the subjects attempt to gain control over themselves by projecting their excessive desires onto disabled objects and distancing themselves from them, they end up being fascinated by the romanticized disabled bodies and thus receive back the desires they projected. At the climax of the ecstasy, non-disabled subjects realize that the object’s disability has become contagious and manifested in their own bodies. Section 3 of Chapter 2 analyzes the “return to reality” phase of disability representation in Oh’s novels, focusing on 「안개의 둑」(The Bank of Fog, 1976) and 「불의 강」(The River of Fire, 1977). After a moment of ecstasy in which the self and the other are indistinguishable, the subjects attempt to return to reality, feeling ashamed of their bare exposed desires. The belated struggles of the subjects to regain control by distancing themselves from the disabled objects are portrayed as concrete intentions to murder them. Chapters 3 and 4 provide a diachronic analysis of how the representation of disability in Oh Jung-hee’s novels shifts away from its archetypal schema. Chapter 3 depicts how the representation of disability in Oh’s novels gradually loses its original novelistic function. Section 1 of this chapter reveals that the attempted schema of objectification for disabled characters found in Oh’s preceding novels ends differently in 「중국인 거리」(Chinatown, 1979) and 「유년의 뜰」(The Garden of My Childhood, 1980). The world of disability, which was opened through the projective pattern, is shut down regardless of the subject’s will, leaving only the otherness of the object that cannot be resolved. Section 2 shows that the representations of disability in Oh’s novels have lost their power to fascinate non-disabled subjects, focusing on 「하지」(Summer Solstice, 1982) and 「순례자의 노래」(Wayfarer, 1983). Disability is no longer contagious as the principles of reality dominate the novels. From the disabled narrator’s perspective, the world is filled with multiple forms of violence that marginalize disabled people. Chapter 4 captures the decisive moment when the representation of disability in Oh’s novels malfunctions and the novel’s self-contained body implodes. Section 1 of this chapter discusses how disability is portrayed in Oh’s novel as a form of violence inflicted upon the child’s body, focusing on 「새」(The Bird, 1996). The author’s scheme of objectification no longer functions due to the presence of violence that overwhelms the narrative. The children now acquire disabilities not out of desire, but out of fear. Section 2 confirms that the violence of objectification inherent in the novelization process emerges as a theme of Oh’s novels, focusing on 「요셉 씨의 가족」(Family of Joseph, 1992) and 「목련꽃 피는 날」(Magnolia Day, 2004). The way Oh had previously been representing disability in her novels is now criticized through the voice of the meta-subject. Oh Jung-hee demonstrates a keen awareness of the violence of objectification, which is fed back into her writing style and adds complexity to the novel’s narrative.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can be explained in three different aspects: First, this thesis provides a new narrative for understanding Oh Jung-hee’s oeuvre. The analysis above demonstrates that the “representation of disability” can be a valid keyword to illustrate Oh’s writing over four decades. By examining the function of disability representation in Oh’s novels, this thesis successfully extracts the archetypal narrative patterns that underlie Oh’s early works. Furthermore, by tracing how these patterns eventually imploded due to the aesthetic nervousness they cast on, this thesis seek to draw a continuity across Oh Jung-hee’s oeuvre. By doing so, this thesis suggests a new line that connects Oh’s novels, which were previously considered separate. This alternative narrative also explains why her later novels became longer, and why she stopped writing. Second, this thesis raises issues with the existing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70s and 1980s. While there has been much discussion about how the Minjung/Minjok(민중/민족) literary camp objectified the “broken bodies” of the people or workers in the 1970s and 1980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was not solely the fault of the Minjung/Minjok camp. Through the analysis above, this thesis demonstrates that even Oh Jung-hee’s novels, which are usually considered the most distant from the Minjung/Minjok camp, include numerous problematic representations of “broken bodies.” At the very least, the entire body of Korean literature from the 1970s to the 1980s is guilty of using objectified images of disabled bodies to weave its narratives. Third, this thesis offers a disability studies perspective on literary representations of heterogeneous bodies. The case of Oh Jung-hee is analyzed to observe a pattern of literary representation of disabled bodies by a non-disabled author. Oh Jung-hee’s novels portray disabled bodies as objectified images that represent an empty form of otherness. This thesis can be extended to discuss the representations of other minority groups, such as women, older people, and queer people. While representations of such heterogeneous bodies have always been functionally consumed in novels, this thesis also demonstrates that such bodies have the power to subvert the entire narrative and even interfere with the author’s writing. Therefore, this thesis contributes to the studies on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disability and the body.

      • 대상화요인이 청소년의 외모만족도, 자아개념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은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775

        This study aims at verifying how socio-cultural environment in which appearance is regarded as important affects the consciousness of appearance, self-concept and mental health of the adolescents who are sensitive to appearance so that it helps improve mental health of the adolescents by providing the primary materials and suggesting its direction on this area. For this purpose, a path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objectification concept and their relations and process were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paths how objectification variables influence on the appearance satisfaction, self-concept and, through these parameters, on the mental health of the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 survey was conducted on total 1,150 students of 450 male and 700 female students respectively who were attending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Seoul metropolitan city, 5 other metropolitan cities and 3 small and medium cities, With 723 answer sheet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excluding invalid ones the survey was analyzed by using SAS 9.2 and Lisrel 8.52 program, the results of which are summarized as follows below. First, it turned out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degree affecting on research variables subject to the differences in sexes, residential areas, academic performances, time of uses of media and subjective perception in the level of income among male and female adolescents. By the classification of sex female adolescents turned out to be more influenced than male by sociocultural pressure, internalization of ideal beauty stereotype and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while male adolescents were more influenced by self-appearance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lf-concept between them. By the regional classification it turned out that adolescents who reside in Seoul area showed stronger self-concept while adolescents who reside in small and medium cities showed better mental health. In academic performances, the better performances adolescents demonstrate, the better and stronger their self-concept and mental health are. In the use of media, the more time adolescents consume with media, the lower and weaker their self-concept turned out to be. By the subjective perception in the level of income all the variables showed affirmative in the order of subjective perception that they are well-off except that socio-cultural pressure showed stronger in the order of the poorest, the most well-off, the well-off, the mediocre, and the poorer. In contrast, there showed no difference in all the variables depending on religion and school characteriza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objectification factor affected on self- appearance satisfaction, self-concept and mental health of both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mong objectification, socio-cultural pressure affected positive influence on internalization of ideal beauty stereotype and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negative influence on self-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concept of both male and female adolescents. It showed there existed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concept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 concept and mental health of female adolescents. And objectification factor affected on mental health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self-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concept. Third, the comparison of study results conducted on both sexes showed that female adolescents were more influenced by objectification factor than male. However, there showed littl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in the path reaching to mental health since female adolescents demonstrated 8 significant results of paths while male showed 7. The result of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both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re conscious of the existence of sociocultural pressure in relation with appearance and they are experiencing objectification of body appearance since they are internalize the socio-cultural ideal beauty stereotype. And it also demonstrates that objectification factor affects not only appearance concept and self concept but also mental health through these. This means that appearance is a strong and significant variable that influences on mental healths of both male and female adolescents, confirming that this study is the original one of this area.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relation and influence between objectification factor and various variables were thoroughly, concretely and comprehensively studied and analyzed, and it was empirically proven that both male and female adolescents were experiencing objectification in the socio-cultural atmosphere where appearance is regarded as important in the study where male is included. This confirms that adolescents are able to grow up mentally healthy if and only if they have to have a right perception and value on appearance in the age of adolescents. In this regard,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area of adolescent consulting and research by providing a useful material for this. 본 연구는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문화적 환경이 외모에 민감한 청소년들의 외모인식, 자아인식 및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므로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도모하고, 이에 필요한 기초자료의 제공 및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상화개념에 기초하여 모형을 만들었고, 대상화 요인들이 남녀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자아개념에, 그리고 이를 매개로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경로분석을 통해 관계와 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1개 특별시, 5개 광역시, 3개 중소도시에 소재하는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남학생 450명, 여학생 700명 총 1,15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무효를 제외한 723부를 사용하여 SAS 9.2와 Lisrel 8.52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청소년의 성별, 거주 지역, 성적, 미디어 사용시간,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라 연구변인들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사회문화적 압력, 미적고정관념의 내면화 및 대상화된 신체의식은 여자청소년이 높게 나타났고, 외모만족도와 정신건강은 남자청소년이 높게 나타나 여자청소년이 남자청소년보다 외모로 인한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거주 지역에서는 서울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자아개념이 가장 높았고,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정신건강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광역시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정신건강이 가장 낮았다. 성적에서는 성적이 좋을수록 자아개념과 정신건강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미디어 사용시간에서는 미디어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자아개념 수준이 낮고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경제수준에서는 사회문화적 압력만 아주 못사는 청소년, 아주 잘사는 청소년, 잘사는 청소년, 보통인 청소년, 조금 못사는 청소년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그 외 모든 요인들은 잘산다고 지각하는 순서대로 긍정적인 결과들을 나타내었다. 반면, 종교와 학교계열에 따라서는 모든 변인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대상화 요인은 남자청소년과 여자청소년의 외모만족도, 자아개념 및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대상화요인 중 사회문화적 압력은 남녀청소년 모두의 미적고정관념의 내면화와 대상화된 신체의식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외모만족도와 자아개념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미적고정관념의 내면화는 남녀청소년 모두의 대상화된 신체의식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대상화된 신체의식은 남녀청소년 모두의 외모만족도와 여자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부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남녀청소년 모두 외모만족도와 자아개념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아개념은 정신건강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전체 대상화 요인은 남녀청소년 모두의 정신건강에 외모만족도와 자아개념을 매개로 영향을 미쳤고,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셋째, 남녀청소년의 결과 비교를 통해 여자청소년이 남자청소년보다 대상화요인의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정신건강에 이르는 과정에서 여자청소년이 8개, 남자청소년이 7개의 유의한 경로를 나타내어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남녀청소년 모두 외모와 관련하여 사회문화적 압력을 지각하고 있고, 사회적 이상미의 규준을 내면화하므로 신체외모에 대한 대상화를 경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대상화요인이 남녀청소년의 외모인식, 자아인식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이를 통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이는 외모가 남녀청소년 모두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변수가 됨을 확인한 것으로, 본 연구의 독창적인 결과이다. 본 연구 결과가 주는 의의는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화요인 및 관련변인간의 관계성과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있다. 그리고 남자청소년을 포함시켜 연구하므로 남녀청소년 모두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속에서 대상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정신건강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데 있다. 이것은 청소년기에 외모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가치관을 형성하여야 건강한 정신의 소유자로 성장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주는 것으로 청소년상담과 연구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신체상 염려에 미치는 영향 : 자기 대상화와 자기혐오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주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773

        본 연구는 자기혐오를 신체상 염려의 발전 및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상정하고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예비연구에서는 Overton 등(2008)이 개발 및 타당화한 자기혐오 척도(Self-Disgust Scale: SDS)를 한국어로 타당화하여 자신을 향한 혐오를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평가도구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총 180명의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 결과를 살펴보면, 적절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였고 요인구조는 원척도의 2요인 구조를 따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신체상 염려를 유발하는 경로에서 자기 대상화의 매개효과와 자기혐오의 조절효과를 통합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대학(원)생 384명을 대상으로 관련 척도들을 실시한 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신체상 염려 간의 관계를 자기 대상화가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사회부과 완벽주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 대상화를 높여 신체상 염려를 유발하는 것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자기 대상화와 신체상 염려 간의 관계를 자기혐오가 조절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기혐오의 수준에 따라 자기 대상화가 신체상 염려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신체상 염려의 관계를 자기 대상화가 매개하고 이를 다시 자기혐오가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 대상화를 통해 신체상 염려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자기혐오가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liminary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Self-Disgust(K-SDS) wi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wo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items, which were also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two-factor model demonstrated a good fit to the data. Also, internal consistency was high. Finally, convergent validity were evaluated.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model of college students’ self-objectification in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body dysmorphic concerns and controlling mediating effects of self-disgu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objectif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body dysmorphic concerns was found. Second, th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self-disg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ification and body dysmorphic concerns.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found that mediating effect of self-objectification increased with higher self-disg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body dysmorphic concern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중등학교 여학생의 대상화된 신체의식과 사회적 체형불안이 체육교과태도에 미치는 영향

        염효은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758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social physique anxiety among secondary school girls on their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493 girls from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located in the D metropolitan city area were selected using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A questionnaire, comprising 2 items on personal characteristics, 16 items on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8 items on social physique anxiety, and 10 items on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was administered to the selected participants. The collected survey data underwent several analyses, includ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ocial physique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among the secondary school girls varied based on their school year. Specifically, among the sub-factors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body shame was higher among the middle school girls compared to the high school girls. Secondly, there were correlations among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ocial physique anxiety, and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among the secondary school girls. Thirdly, body shame, among the sub-factors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negatively influenced all of the sub-factors of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including awareness, concentration, and participation. Fourthly, expressing physical satisfaction,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physique anxiety, had an impact on all of the sub-factors of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awareness, concentration, and participation). Additionally, negative physique evalu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physique anxiety, negatively influenced the concentration sub-factor of physical education attitude. Fifthly, body surveillance, among the sub-factors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had a moderating impact on all of the sub-factors of social physique anxiety (expressing physical satisfaction/negative physique evaluation). Furthermore, among the sub-factors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body shame negatively influenced expressing physical satisfaction within the sub-factors of social physique anxiety, having a negative effect on expressing physical satisfaction and a moderating effect on negative physique evaluation.

      • 자기 성적 대상화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다솜 충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757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hat can measure changes in women’s and men’s state self-objectification by manipulation in experiments. In Study 1, we aggregated previous self-objectification research and made a pilot instrument for the Self Objectification Scale, which consisted of four subfactors: other-consciousness, internalization, appearance-orientation and body-monitoring.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t was found out that self-objectification preliminary scale comprised two factors.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2-factor model showed better model fit than the one-factor model. The first factor was named Internalization and factor 2 was named Other-consciousness. Both two factors showed high convergent and predictive validity, but their discriminant validity was not supported. In Study 2, we tested whether this scale can be use in experimental research. Unexpectedl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self-objectification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condition. 본 연구에서는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사용할 수 있고 실험 연구에서 조작에 의한 자기 성적 대상화의 상태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여러 선행 연구들에서 정의한 자기 성적 대상화 이론을 종합하여 타인 의식, 내면화, 외모 지향성, 신체 감시 네 개의 요인을 가지는 자기 성적 대상화 예비 척도를 구성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자기 성적 대상화 예비 척도는 두 개의 요인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두 개의 요인을 가진 모형의 적합도가 하나의 요인을 가진 모형의 적합도에 비해 높게 나왔다. 이 중 제1요인은 내면화, 제2요인은 타인 의식으로 명명되었고, 이 두 요인은 모두 높은 수렴 타당도와 예측 타당도를 보였으나 변별 타당도를 보이진 못했다. 연구 2에서는 이 척도를 실제 실험 연구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실험조건과 통제조건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자기 성적 대상화의 점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