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인식도와 필요성에 대한 연구

        김다솜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among 200 occupational therapists from June 7, 2021 to June 16, 2021.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were answer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ccupational therapists who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were 154 women (77%), the age of 112 (55%) 26-30 years old, and 71 patients (35.5%) with a clinical experience of 3 to 5 years or more 99 students (49.5%) had a bachelor's degree and 97 (48.5%) worked at a rehabilitation hospital. Second, 81 people (40.5%) responded negatively to whether they were aware of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and 70%, 68.5%, and 66.5%, respectively, said that they did not respond to the systemicity,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satisfaction of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gave a negative response. A total of 184 people (92%) answered that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was necessary.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medical insurance, 141 people (63.5%) responded positively, and the approach method was high in 'activity of daily living training' (33.2%) and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19.3%). As for the expected effect, the availability of 'activity daily of living training' suitable for the actual home environment was the highest at 76.0%, and the problem with the lack of legal system was the highest at 57.0%. Third, in the difference in necess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need was higher among those aged 31-35 than those of those aged 26-30 (p>.05). Regarding the operation plan and details, the respondents aged 31 to 35 and 36 years of age and older responded more positively to the application of medical insurance than those aged 26 to 30. According to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the positive responses to medical insurance application were higher in professional bachelor's and master's degree than bachelor's degree. (p>.05)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eed for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operation plan, and detail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as a basic research that can raise awareness and emphasize the necessity of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by examining the awareness and necessity of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and various studies on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2021년 6월 7일부터 2021년 6월 16일까지 200명의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인식도와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응답받은 설문지는 총 200부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설문에 참여한 작업치료사는 여자가 154명(77%)였으며, 연령은 26~30세 112명(55%), 임상경력은 3년 이상~5년 미만이 71명(35.5%), 최종학력은 학사 99명(49.5%), 근무기관은 재활병원 97명(48.5%)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인식여부에서 81명(40.5%)이 부정적인 응답을 하였으며 현재 우리나라의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체계성, 정보의 접근성, 만족도에 대해서는 각각 70%, 68.5%, 66.5%가 그렇지 않다는 부정적 응답을 하였다. 가정방문 작업치료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총 184명(92%)였다. 의료보험 적용에 대해서는 141명(63.5%)이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고, 접근 방법으론 일상생활활동훈련(33.2%), 가정환경수정(19.3%)로 높았다. 기대효과로는 실제 가정환경에 맞는 일상생활훈련 교육가능이 76.0%로 가장 높았고 문제점으로는 법률적제도의 미흡이 57.0%로 가장 높았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필요성의 차이에서 26~30세보다 31~35세에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p>.05). 운영방안 및 세부사항에서는 26~30세 보다 31~35세, 36세 이상에서 의료보험적용에 대해 더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p>.05). 최종학력 따라서는 학사보다는 전문학사와 석사에서 의료보험 적용에 긍정적인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p>.05) 본 연구의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필요성과 운영방안 및 세부사항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향후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인식도와 필요성을 알아봄으로써 인식도를 높이고 필요성을 강조 할 수 있는 기초연구로써의 의미가 있으며, 향후 가정방문 작업치료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시각장애 대상 음악치료의 치료적 요인에 대한 고찰 :

        김다솜 인제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세상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관계를 형성하는 것과 그로부터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관계 형성과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은 ‘보는 것(vision)'에서부터 시작되는데, 이들은 시각의 제한으로 자발적인 관계형성과 신체의 불편함 등 여러 가지 일상적인 측면에서의 어려움과 함께 살아간다. 시각장애인들은 뇌 가소성으로 인해 제한된 시각 대신 청각과 촉각을 활발히 사용하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청각을 활발히 사용하기 때문에 청각적 민감성을 가지고 있다. 청각적 민감성은 음악적 능력의 본질적인 부분이 될 만큼 음악에 있어서도 중요하게 여겨지는 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음악은 시각장애인들에게 익숙한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는 하나의 매개체가 될 수 있고 다른 분야에 비해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나 인지적 부담이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음악’의 의미는 생산물 자체의 가치로 악곡의 상태에 머물러 있는 수동적인 형태의 음악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음악의 의미는 음악적 경험의 맥락 내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하는 경험 그 자체를 뜻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와 문헌을 토대로 시각장애인들이 음악적 경험 내에서 그들의 요구를 통합하고 삶에 필요한 기술들을 연습할 수 있는 음악치료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음악의 치료적 요인을 고찰하고자 한다.

      • 디저트카페의 고객접점서비스가 고객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구전정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다솜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Customer contact service price of dessert cafe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 -Focusing on the adjustment effect of oral information- Da-Som, Kim Department of Hotel Culinary & Food Service Management Graduate School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Hyeong il, Kim) Today, the trend of eating out is rapidly changing as consumers' income levels and lifestyle change, and consumers are showing a tendency to spend their happiness the most. As cafe culture has become popular due to such changes, coffee shops in the restaurant market are considered to be a complex cultural space of cultural contents that can enjoy an emotional atmosphere, not just a place to drink, and as of the end of January 2018, the number of cafes nationwide has been growing steadily, accounting for 9.2% of all restaurants in Korea. In addition, as the consumption trend of desserts that can be lightly replaced by young people increases, dessert cafes continue to emerge, and as the dessert cafe market gradually expands, dessert cafe users are communicating with others through SNS or oral tradition, sharing information, and showing consumer behavior to visit dessert cafes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As consumers' needs and expectations increase, consumers tend to consider both internal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when evaluating the quality of their dessert cafes, and emotional value is also important in choosing purchasing behavior. As a result, consumers judge whether to buy, not simply by the function of the product or the quality of the service, but also by considering the feelings they have in the process of purchasing, and the emotional factors in the service interface are known to have a decisive influence on consumer behavior and evaluation. Accordingly,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contact service of dessert cafe,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 of consumers, and to analyze whether customer satisfaction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contact service and behavior of dessert cafe, and to analyze whether oral information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contact service and behavior of dessert caf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each variable was identified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the prior study of whether there was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nd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presenting the setting of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establishment accordingly. For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distributed a total of 298 questionnaires to restaurant consumers who had visited and used dessert cafes (including franchise stores) for 45 days from July 1, 2020 to August 15, 202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ployees' service attitudes, job performance,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of dessert cafe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but interaction with employe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Currently, restaurant consumers tend not to experience or value face-to-face interactions with employees frequently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unmanned store operations such as kiosks and siren orders and the recent strengthening of non-face-to-face services caused by Korona-19 fandemics. Second, the consumer's satisfaction with the customer contact service of the dessert caf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gree of behavior (purchase and revisit).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prior studies that show that customer satisfaction acts as a variable that influences the attitude of the customer, and indicate that the customer's behaviour may vary depending on the customer's satisfaction with the customer's point of contact services. Third, the customer contact service of the dessert caf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ehaviour of consumers. In other words, the employee's service attitude, job performance, interaction with employees,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of dessert cafe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consumers' purchasing and re-visiting intentions, and these factors show that consumers' attitudes may vary. Fourth, customer satisfac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contact service and intention of purchase. Service attitude and job performance were fully mediated,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was partially mediated. Therefor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dessert cafe is influenced by the customer's satisfaction, and it also affects the intention of purchasing. However,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he customer contact service and the degree of re-visit did not show any mediated effect, resulting in a study that found that consumers were willing to revisit without having to satisfy the customer. An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various variables (such as taste and accessibility of the menu, brand or corporate image, price, etc.) that affect consumers' intention to revisit. Fifth, oral information was found to show no adjustment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contact service and behavior. These findings mean that while operating methods such as quickness and convenience and non-face-to-face-based kiosks, siren orders and delivery services are popularized not only by the Corona-19 fandom but also by the accelerating social changes, restaurant consumers still place more importance on the service experience they receive directly when purchasing or revisiting products. In addition, oral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extremely subjective views, and as commercial advertising marketing activities using oral information are maximized today, consumers' confidence in oral information is getting lower.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e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he customer contact service of the dessert cafe and the consumer's customer satisfaction, behavior, and oral information, and presen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and their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Based on this, we are going to improve the marketing data and problems of the dessert cafe in the future, and suggest them as a way to develop and utilize them. 논 문 개 요 오늘날 소비자들의 소득수준 향상과 라이프 스타일 변화에 따라 외식 소비 트렌드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자신의 행복을 가장 중요시하는 소비성향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로 인해 카페문화가 대중화되면서 외식시장에서 커피전문점은 단순히 음료를 마시는 장소가 아닌 감성적인 분위기를 누릴 수 있는 문화콘텐츠의 복합문화공간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2018년 1월말 기준 전국 카페 수는 총 77,211개로 우리나라 전체 음식점 대비 9.2%를 차지할 정도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또한, 젊은 층들을 중심으로 가볍게 식사를 대체할 수 있는 디저트의 소비 경향이 높아짐에 따라 디저트카페가 지속적으로 생겨나고 있는 추세이며, 디저트카페 시장이 점차 확대되면서 디저트카페 이용자들은 SNS나 구전을 통해 다른 이들과 소통하며 정보를 공유하고, 전달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디저트카페를 찾아다니는 소비자 행동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소비자들의 니즈와 기대치가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들은 디저트카페의 제품 품질을 평가할 때 내적인 특성과 외적인 특성을 모두 고려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구매행위에 대한 선택에 있어 감성적인 가치 또한 중요시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소비자들은 단순히 제품의 기능이나 서비스의 품질에 의해서만 구매 의사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구매하는 과정에서 갖게 되는 감정도 함께 고려하여 구매 여부를 판단하며, 서비스접점에서 나타나는 감정적 요인은 소비자의 행동과 평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디저트카페의 고객접점서비스와 소비자의 고객만족,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디저트카페의 고객접점서비스와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고객만족이 매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디저트카페의 고객접점서비스와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구전정보가 조절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각 변수들의 개념을 파악하고, 변수들 간에 구조적 관계가 있는가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을 하였으며, 그에 따른 연구모형의 설정과 가설 수립을 제시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위하여 2020년 7월 1일부터 2020년 8월 15일까지 45일간, 디저트카페(프랜차이즈 점포 포함)를 이용·방문한 경험이 있는 외식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총 298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업원의 서비스태도와 직무수행능력, 디저트카페의 물리적환경은 소비자들의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종업원과의 상호작용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외식 소비자들은 키오스크와 사이렌오더 등과 같은 무인화를 기반으로 한 점포 운영방식의 대중화와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비대면 서비스 강화에 따라 종업원과의 대면 상호작용을 자주 경험하지 않거나 또는 중요시하지 않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저트카페의 고객접점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고객만족은 행동의도(구매·재방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고객만족이 행동의도에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로 작용한다는 선행연구들과 일치하며, 소비자가 가지는 고객접점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에 따라 소비자의 행동의도가 상이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디저트카페의 고객접점서비스는 소비자의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종업원의 서비스태도와 직무수행능력, 종업원과의 상호작용, 디저트카페의 물리적환경은 소비자의 구매·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요인들에 따라 소비자의 행동의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넷째, 고객만족은 고객접점서비스와 구매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태도와 직무수행능력은 완전 매개 효과가 나타났으며, 물리적환경은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디저트카페의 물리적환경은 소비자들의 고객만족에 영향을 받으면서 구매의도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고객접점서비스와 재방문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는 매개 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고객만족을 하지 않아도 재방문할 의사를 가진다는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에 대해 분석한 결과, 소비자들의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메뉴의 맛과 접근성, 브랜드 또는 기업의 이미지, 가격 등)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번 째, 구전정보는 고객접점서비스와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 코로나-19 팬데믹 뿐만 아니라 가속화되고 있는 사회적인 변화에 의해 신속함과 편리함, 비대면을 바탕으로 한 키오스크나 사이렌오더, 배달 서비스 등과 같은 운영방식이 대중화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외식 소비자들은 제품을 구매하거나 재방문할 때 직접적으로 제공받은 서비스 경험을 더 중요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구전정보는 지극히 주관적인 견해를 바탕으로 생성되며, 오늘날 구전정보를 활용한 상업적인 광고마케팅 활동이 극대화됨에 따라 소비자들의 구전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점점 낮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디저트카페의 고객접점서비스와 소비자의 고객만족, 행동의도, 구전정보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그에 대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와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디저트카페의 마케팅 수립 자료와 문제점 개선 및 발전·활용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공고정화 바이오캡슐에 의한 리그노셀룰로스 에탄올 생산

        김다솜 창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Bio-capsule formation was investigated for the development of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SSF) process in lignocellulosic bioethanol production. Firstly, various saccharifying fungal strains and fermentative yeast strains were screened. The most excellent saccharifying strain was Penicillium citrinum BCNU 6201, and the most excellent fermenting strain was Saccharomyces cerevisiae IFO-M-07. Secondly, bio-capsules formation was tried using cellulase producing fungal strains with ethanol producing yeast strains. A. niger KACC 40280, A. oryzae KACC 40244, M. purpureus KACC 42430, P. chrysogenum KACC 44363 and the most excellent saccharifying strain P. citrinum BCNU 6201 were able to form bio-capsules with S. cerevisiae IFO-M-07. Thirdly, bio-capsule formation was done to optimatize the condition. The optimum conditions for bio-capsule formation were determined to be 150 rpm with 0.1%(v/v) Tween 20. Finally, pretreated substrate was used to produce lignocellulosic bioethanol. ethanol yields of about 4.3%(v/v) were obtained using cellulase producing fungal strains with ethanol producing yeast strains. The study yielded valuable insights into the bio-capsule 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SF process in lignocellulosic bioethanol and the practical use of bio-capsule for the lignocellulosic bioethanol production.

      • 가구소득에 따른 임부의 정서, 모-태아 애착이 태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연구

        김다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소득 수준에 따른 임신 중기의 임부의 정서(우울, 스트레스, 긍정, 부정 정서)와 모-태아 애착이 임신 후기의 태아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소득 수준에 따라 임신 중기 임부의 정서와 모-태아 애착이 임신 후기의 태아 발달에 어떻게 다른 미치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향적 코호트 연구로 진행하였으며, 임신 중기인 16-20주의 임부에게 인구학적 정보(연령, 가구 소득 및 직업 유무 등)를 수집하고, 16-20주(T1)와 임신 후기인 33-35주(T2)에 각각 임신 중 우울, 스트레스, 긍정 및 부정 정서, 모-태아 애착에 대한 설문을 수행하였다. 또한 임부의 스트레스 수준을 나타내는 생리적 지표로 임부의 혈청 코티졸 자료를 수집하였다. 태아 발달을 나타내는 지표로 태아 체중과 두정골 간격을 16-20주(T1)와 33-35주(T2)에 초음파 검사 결과를 통해 수집하였다. 첫째로, 임부 정서, 모-태아 애착 및 태아 발달 상태에 대한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을 수행함으로서 임부의 정서가 태아 체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모-태아 애착의 매개효과와 가구 소득의 조절 효과가 있는지 파악하였다. 둘째로, 가구 소득이 조절 효과가 있을 때 모-태아 애착의 매개효과는 가구 소득의 어느 범위에서 유의미한지 파악하는 Johnson-neyman의 유의성 영역 분석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유의성 영역 분석 결과에 따라 가구 소득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t-검정을 수행하여 집단 간 임부의 정서와 모-태아 애착, 태아 발달 평균을 비교 분석한다. 조절된 매개효과분석 결과에서는 가구 소득이 상대적으로 적은 집단(유의성 영역분석 결과 구체적으로 341만원 미만)에서만 모-태아 애착이 양의 방향의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우울이 모-태아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구 소득의 조절효과가 음의 방향으로 유의하였으며, 이는 다른 요인들이 동일할 때, 가구 소득이 낮을 수록 우울이 모-태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를 억제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모-태아 애착의 양의 효과가 감소하여 태아의 체중이 감소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유의성 영역 결과에 따라 341만원 미만 소득 집단과 341만원 이상 소득 집단 간 임부의 정서와 모-태아 애착, 태아 발달의 차이를 t-검정 했을 때, 상대적으로 소득이 적은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울 수준이 높았다. 종합적으로 추론하면 가구 소득은 임부의 정서, 특히 본 연구에서는 우울에 조절 효과를 보여 모-태아 애착과 태아 발달에 건강 불균형자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향후 지역사회 임부와 태아 건강 증진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가용 자원이 적은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집단에 임부의 정서적 중재가 우선적으로 필요함을 제언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s of mothers and fetal development and explores the modifying effect that household income has on this relationship.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maternal depression, stres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data were collected at 16–20 weeks of pregnancy. Data on fetal body weight and biparietal diameter indicating fetal development were collected at 33–35 weeks to observe the longitudinal effects of mothers’ emotions on fetal development. First, the moderated mediated effect analysis results show that maternal-fetal attachment of mid-pregnancy has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fetal weight in late pregnancy. In particular, since the moderating effect of household income on depression was negative, the fetal weight could be reduced by mediating maternal-fetal attachment when interaction between depression and household income increas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ignificance range of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fetal attach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ange of less than 3.41 million won(2,892 USD). Finally, we divided subjects into two groups: those with greater than or equal to 341 million won and lower than 341 million won. T-test on maternal emotional status and fetal development were performed for each group. As a result, the level of depression was higher in the relatively low income group.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anagement of subjective emotion is associated with healthy development of the fetus and contributes to effective prenatal care.

      • 형식적 멱급수의 유일인수분해정역에서의 멱급수

        김다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무한급수와 멱급수 다항식의 대수적 성질을 밝히기 위하여 형식적 멱급수를 체계적으로 도입하여 체와 정역 위에서 연구한다. 대수에서 형식적 멱급수를 해석적으로 어떻게 표현하는지, 해석적인 성질을 그대로 가져오는지를 증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수 계수의 형식적 멱급수 환이 UFD인 것을 보이고, 기약이 될 조건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대학생의 자기제시 완벽주의 성향이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다솜 영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학생의 자기제시 완벽주의 성향이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 다 솜 영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학전공 (지도교수 이 윤 주) 요  약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제시 완벽주의 성향이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221명(남: 75명, 여: 146명)을 대상으로 자기제시 완벽주의 척도, 학업스트레스 척도, 학업소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한 후 자기제시 완벽주의의 각 하위요인들이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자기제시 완벽주의가 학업스트레스에 있어서는 자기제시 완벽주의 하위요인인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적 요인이 시험스트레스와 공부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제시 완벽주의가 있는 대학생들에게 시험은 자신의 불완전함을 드러나게 하는 행위이다. 때문에 이들은 시험 전 자신이 처한 상황을 보여주어 자신의 불완전함을 은폐하려 한다. 공부의 경우 자신의 기대에 비해 결과가 좋지 않을 것에 대한 불안으로 공부하는 행위에 대한 은폐를 하려고 하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또 자기제시 완벽주의 하위요인인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적 요인은 진로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의 경우 타인에게 자신의 진로가 어떻게 보이는지에 대해서 예민하게 반응하고 완벽하게 진로를 설정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그러나 자기제시 완벽주의가 성적스트레스나 수업스트레스에는 유의할 만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성적스트레스의 경우 대학교 성적은 타인에게 공개되지 않고, 수업스트레스의 경우 조별수업이나 토론수업이 아닌 경우에는 수업만으로는 자신의 불완전함이 드러나지 않기 때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둘째, 자기제시 완벽주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자기제시 완벽주의 하위요인인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적 요인은 탈진과 반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진의 경우 자신이 감당하기 어려운 과도한 학업량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처리하지 못하면 타인이 비난할까봐 두려워하기 때문에 방어하는 과정에서 소진을 보였다. 또 자신이 노력한 것에 비해 결과가 좋지 못할 경우 학업에 대한 반감을 가지게 된다. 자기제시 완벽주의는 무능력이나 냉담, 불안에는 유의할만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무능력이나 불안의 경우 자신의 무능력한 모습이나 불안한 모습을 드러내고 싶지 않아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냉담은 완벽주의를 지닌 학생들은 스스로 높은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위해 노력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을 다루기 위해서는 자기제시 완벽주의의 하위요인들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M. A. Thesis Effect of the University Students'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Academic Stress and Burnout. Dahsom Kim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Yoonju Lee, Ph.D.) Abstract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burnout among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survey using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criteria, academic stress criteria and academic burnout criteria was performed on 221 students (male: 75, female: 146) attending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area.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each sub-factor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burnout and the analyzed results are as below. Firstly, regarding the influence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academic stress, non-display of imperfection-behavioral factor which is a sub-factor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est stress and academic stress. Test is the act that reveals imperfec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o they try to conceal their imperfection by displaying the situation they are facing prior to the test. Concerning studying, they try to conceal the act of studying because of anxiety that the test result might be below their expectation so they get stressed as a result. In addition, non-display of imperfection-linguistic factor which is a sub-factor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stress. Regarding career, they are sensitive to how others think about their career so they get stressed while trying to set up perfect career path. However,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academic stress or class stress. This is because of the fact that academic grades are not shared with others at university and their imperfection is not revealed unless they are taking group class or discussion class. Secondly, regarding the influence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academic burnout, non-display imperfection-behavioral facto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urnout and hostility. Burnout was created while they are defending themselves from anxiety of being accused of not completing the task even though it was beyond their capacity in terms of workload. Also, they get hostility when the result doesn’t come out as good considering their effort.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incompetence, indifference or anxiety. Regarding incompetence or anxiety, it is considered that it is because they don’t want to show their incompetence or anxiety to others. Based on this result, it suggests that sub-factor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need to be considered to study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burnout of university students. Lastly, meaning and limits of this study as well as advice for follow-up research is discussed.

      • Hector Berlioz의 "Les nuit d'été (여름밤), op. 7"에 관한 분석 연구

        김다솜 세종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Théophile Gautier (1811-1872)의 6개의 시로 작곡된 Hector Berlioz (1803-1869)의 가곡 “Les nuit d’été, Op. 7”의 음악과 가사를 분석함으로서 연주자의 정확한 음악적 표현을 돕는 것이 목적이다. Les nuit d’été, Op. 7는 여섯 개의 성악곡으로 구성된 연가곡이다. 제 1곡 Villanelle는 따뜻한 봄날을 맞이하는 연인들의 마음을 묘사한 곡이다. 제 2 곡 Le spectre de la rose는 장미를 꺾어 드레스에 꽂고 무도회에 나간 소녀에 대해 원망의 감정과 함께 연모의 감정을 나타낸다. 제 3 곡 Sur les lagunes (Lamento)는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노래하는 애가이다. 제 4 곡 Absence는 연인의 죽음으로 인한 상실감과 돌아오길 갈망하는 화자의 심정을 이야기한다. 제 5곡 Au cimetière는 달빛이라는 부제가 붙어있는 애가이다. 마지막 곡인 제 6곡 L’île inconnue는 사랑하는 연인과 미지의 세계로의 항해를 가려하지만 여인이 가고 싶어 하는 곳은 실제로는 갈 수 없는 곳임을 암시하며 끝나는 곡이다. 필자는 여섯 개의 곡들의 가사 분석을 통해 H. Berlioz가 가사의 각운을 고려하여 화음을 사용하였고 이를 통해 H. Berlioz는 가사와 선율의 통일성을 추구하고자 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완전종지로 종결하는 전통적인 화성의 관습을 탈피한 것은 시의 내용을 음악으로 구체화하기 위한 H. Berlioz의 시도로 볼 수 있었다. The research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mote a musician’s accurate musical expression by analyzing the music and lyrics of the song, “Les nuit d’été, Op. 7” by Hector Berlioz, which comprises 6 poems of Théophile Gautier (1811-1872). Les nuit d’été, Op. 7 is a song cycle consisting of 6 songs. The first song, Villanelle, depicts the hearts of lovers in a warm spring day. The second song, Le spectre de la rose, reflects a feeling of love along with resentment towards a girl who broke roses, put them on a dress and went to the ball. The third song, Sur les lagunes (Lamento), is a love song on the death of a loved one. The fourth one, Absence, reflects a sense of loss caused by the death of a lover and the heart of a speaker who craves for the loved one to come back. The fifth song, Au cimetière, is a love song with a subtitle called moonlight. The sixth song, which is the last song, L’île inconnue, is a song that ends with allusion that although one wants to go on a voyage to the unknown world with a beloved one, the place where the woman wants to go is a place that one cannot go to. Through the lyrics analysis of the six songs, the author was able to confirm that H. Berlioz used chords in consideration of the rhyme of the lyrics, an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Berlioz wanted to pursue the unity of lyrics and melody. In addition, a break from the convention of the traditional harmony that ends with complete cadence can be considered as H. Berlioz’s attempt to embody the contents of the poem into music.

      • 아동의 위축성향 감소를 위한 모-아 상호작용 증진활동 사례연구

        김다솜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hether the mother-child interaction activation program improve the interaction between them and alleviate the child's withdrawal behavior or not. As subjects, one mother-child couple living in the D metropolitan city was selected through the mother's requirement. The child was reported to show withdrawal behavior with other people. The mother-child interaction activation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30 minutes per session, total 12 times.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s follows: 1. Does the mother-child interaction activation program bring positive effects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withdrawal child and the mother? 2. Does the mother-child interaction activation program alleviate the withdrawal behavior of the child? Free-play and constructive play activit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change between the mother and child. We recorded those play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be analyzed by K-CBRS and K-MBRS. During the program, sessions accompanied by the mother was also recorded and evaluated by the same procedure. To analyze the withdrawal behavior change of the child, K-CBCL point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urthermore, withdrawal behaviors of the child have been lis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with video records during sessions. Results are as follows: 1. As the program proceeds, the mother's reactivity and non-directive interaction behavior has increased. Also the frequency of cooperation and active behavior of the child has increased. Furthermore the K-CBRS and K-MBRS points evaluated from the free play and constructive play after the program increased than the pre-treatment result. It suggests that the mother-child interaction has been alleviated. 2. As the program proceeds, withdrawal behavior of the child has decreased gradually. The K-CBCL withdrawal points which were evaluated after the program was higher than normal, but significantly lower than before treatment. Even though the study has limitations to generalize, including a single case, it has shown that the mother-child interaction activation program positively change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other and child and effectively reduced withdrawal behaviors of the child. 본 연구는 모-아 상호작용 증진활동이 위축된 아동과 그 모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아동의 위축성향을 감소시키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D시에 거주하는 아동으로, 타인과의 관계에서 위축된 모습을 보이는 문제로 모가 의뢰한 아동과 그 어머니 1쌍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모-아 상호작용 증진활동이 위축 문제를 가진 아동과 그 어머니의 상호작용 방식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가, 둘째, 모-아 상호작용 증진활동이 아동의 위축 문제에 변화를 가져오는가이다. 자료 처리는 모-아 상호작용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치료 적용의 전·후에 자유놀이 및 구조화놀이 상황을 녹화한 뒤, 이를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측정 시기 동안 모와 함께하는 회기를 녹화하고 이를 어머니 상호작용 행동 평정척도와 아동 상호작용 행동 평정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위축행동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 행동평정척도(K-CBCL)의 위축 척도 점수를 사전·사후로 비교하였으며, 대상 아동이 보이는 위축행동 목록을 작성하여 연구자와 아동의 회기 내 장면을 녹화한 뒤 이를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어머니의 반응적·비지시적 상호작용 행동이 증가하고, 아동의 활동적·협조적 상호작용 행동이 증가하였다. 또한 사전·사후의 구조화 및 자유놀이 평가 상황에서 모와 아동 모두 각 하위 항목의 점수가 상승하여 모-아 상호작용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아동의 위축행동이 감소되었으며, K-CBCL의 위축 척도 점수는 사후에도 높은 수준을 나타내기는 하였으나 사전에 비해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사례연구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으나, 모-아 상호작용 증진활동이 모-아의 상호작용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위축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