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은혜 작품론집 신체의 의미분석과 상징성연구 : 2015~2016 'Body'시리즈 중심으로

        김은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79

        오늘날 미술에서의 신체는 정신의 하위가 아니라 주체적인 서사가 있는 성별의 관념이 교차하는 극복의 현장이다. 포스트모더니즘에 들어 신체를 다루는 작업이 급증하면서 신체는 더 이상 영혼을 담는 아름다운 그릇도, 균형 잡힌 표현 체도 아니다. 이제 신체는 매우 중요한 예술적 쟁점이 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자 작업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작품론을 논술하며 확장된 개념을 가늠해 보기 위한 연구로서 2015년부터 2016까지 신체를 중심으로 다양하게 진행해온 본인 작업을 분석하고 작업론을 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신체에 대한 기존의 기능적, 심미적 관점을 무너뜨리고 일반적인 인식을 넘어서 신체와 성에 대한 신체 그대로를 바라보게 하는 목적을 두고 ‘Body'시리즈를 작업했다. 신체는 이미 완성된 것이 아니라 완성해 나가야 할 하나의 풍경으로 바라본다. 연구자의 작가 노트를 가져와 말하자면 <어릴 적, 갑작스러운 신체의 변화는 수치심을 자극하는 숨겨야만 할 불필요한 부분에 불과했다. 시각적으로 성인의 몸이 완성된 지금까지도 따라다니는 불편한 문제들은 성의 정체성에 대해 늘 생각하게 한다. 작업하며 바라보는 나의 신체는 모든 것이 기록되어있는 가장 솔직한 오브제로 다가왔고 성 차이를 인식하게 되면서 내 신체에 자유를 주고자 작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처럼 신체(대상)를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작업의 목적이 아니다. 신체는 불안정 이고 미완성적인 특징 때문에 형태와 모습, 의미를 변화시키며 끊임없이 새롭게 작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신체는 언어적인 것과 시각적인 것이 만나고 엇갈리는 교차로의 근본적인 구실로써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작업 속 신체의 이미지 변용은 타인과 나 그리고 시간과 공간의 연관 속에서 상반된 것들의 모순들을 와해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연구자의 신체 작업으로부터 시작해 비슷한 작업 성향을 엿볼 수 있는 선행 작가들로 키키스미스(Kiki Smith), 로버트고버(Robert Gober) 신디셔먼(Cindy Sherman) 의 작업에 대해 정리하고 연구 작품과의 연관성과 차별점을 논구하였다. The body of art today is not the rank lower than mind, but the site to overcome the cross-concept of sex with independent description. As post-modernism shows such rapidly-increased works handling body, body is neither a beautiful container holding a spirit, nor a balanced expression any more. Now, body has become a very essential artistic issue. As a research to analyze the work contents by the researcher, to discuss the work theory, and to examine the extended concep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er's works performed diversely focusing on body from 2015 to 2016 and then to establish the work theory. The series of 'Body' were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viewing body as it is after breaking down the existing functional/aesthetic viewpoint of body and then exceeding the general perspective. Body is viewed as a landscape that should be completed, instead of something that has been completed already.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artist's note, <When I was young, the sudden physical change was no more than something unnecessary that should be hidden because of humiliation. Such uncomfortable issues following till today with the body of adult visually always make me think about gender identity. My body viewing through work was used as the most frank object recording everything, and recognizing the gender difference, I started the work to give freedom to my body.> Like this, the description of body(object) is not the purpose of work. Owing to its unstable and incomplete characteristics, the shape, look, and meaning of body could be continuously changed, which basically works as an intersection where linguistic things meet/mingle with visual things. The transformation of body image in works collapses conflicting contradictions in the relations between others and me, and time and space. Summarizing the works by Kiki Smith, Robert Gober, and Cindy Sherman as preceding artists showing similar tendency starting from body works like the researcher, the relations and differences with the research works were discussed.

      • 항상화제 Astaxanthin 생산 균주 Haematococcus pluvialis의 배양을 위한 광생물반응기 시스템의 개발

        김은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With superior antioxidant properties, astaxanthin as food supplement provides important health benefits for people. A unicellular green microalga, Haematococcus pluvialis, has been focused as a very promising natural source of astaxanthin because of its highest level of astaxanthin accumulations. In this study, to sustain high cell density for astaxanthin production, we developed a new type of 3L-photobioreactor using compounds of cast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terephtalate (CPP) and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instead of traditional glass type. The new photobioreactor system was constructed to simplify scale up like plug (parallel) flow reactor. Moreover, it reduced the cost of bioreactor set-up for astaxanthin production. High Haematococcus pluvialis cell density was normally obtained by the optimized cultivation of Haematococcus pluvialis with the 2-stage system in which two types of media (NIES-C and NIES-N) without carbon and nitrate source were used. However, in large-scale culture, the 2-step process was hard to be controlled. In this study, therefore, single-step culture with NIES-N stock solution was proposed instead of 2-step system. When carbon source was provided by 2% excess mixed CO2 gas, the cell biomass in our CPP bag type increased up to 2.2 g/L. We expect that the use of new CPP photobioreactor has a great potential to uptake more amount of CO2 and produce higher levels of valuable carotenoid.

      • 다양한 기원 유래 돼지 신경줄기세포의 분화 및 특성분석

        김은혜 충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Neural progenitor cells (NPCs) derived from pluripotent stem cells (PSCs) are promising candidates for autologous neural cell therapy. However, prior to transplantation, preclinical study of safety and efficacy are needed in large animal models such as pigs which have similar neural anatomy and physiology. The porcine brain is gyrencephalic with similar gray and white matter composition and size more comparable to the human rather than the rodent brain; however, a few reports have characterized NPCs derived from this model due to the lack of improved in vitro system to study porcine neural development. Compared with the in vivo environment, porcine in vitro embryo-culture systems are suboptimal, as they induce oxidative stress via the accumul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High ROS levels during early embryonic development cause negative effects, such as apoptosi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pre/postnatal neural development in the pigs from embryos to neurogenesis. Carboxyethylgermanium sesquioxide (Ge-132) is an organogermanium compound known to exert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The firs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Ge-132 (0, 100, 200, and 400 μg/mL) on the in vitro maturation (IVM) or in vitro culture (IVC) of porcine oocytes and embryos. The oocytes matured with 200 μg/mL of Ge-132 during IVM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intracellular glutathione (GSH) levels and decreased intracellular ROS level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 < 0.05). Also, they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cleavage rates (78.7% vs. 67.5%), and higher blastocyst formation rates and greater total cell numbers after parthenogenetic activation (PA) (59.5% and 67.8 vs. 38.2% and 55.3, respectively) with exhibited greater total cell numbers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IVF) (71.5 vs. 101.3) than the control group. Also, the Ge-132–treated oocyt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essenger RNA (mRNA) expression levels of the oxidative related gene Nrf-2 and lower mRNA expression levels of the proapoptotic gene Bax than the control group (P < 0.05). Nex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e-132 during IVC on embryonic development in porcine IVF embryos. All of the Ge-132 treatment groups displayed greater total cell numbers after IVC (98.1, 98.3, and 103.4,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73.9). The 200 μg/mL Ge-132 treated embryos exhibited significantly increased intracellular GSH level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hereas the ROS generation levels tended to decrease as Ge-132 concentrations increased (P<0.05).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the KEAP1 gene and proapoptotic genes BAX and CAS3 were lower in the Ge-132-treated blastocys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5). The percentages of apoptotic and necrotic cells in the Ge-132 treated embryo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untreated embryos (9.1% vs 17.1% and 0% vs 2.7%, respectively) based on Annexin V / PI staining. Furthermore, more KEAP1 protein was found to be localized in cytoplasm of the 200 μg/mL Ge-132 treated blastocysts, whereas KEAP1 protein was predominantly nuclei in the control blastocysts. The putative porcine PSC lines were derived from 100- and 200-µg/mL Ge-132 treated blastocysts and showed a similar derivation process with primed PSCs, such as previously reported porcine PSC lines. The objective of second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endogenous and exogenous factors during neural commitment of porcine PSCs into NPCs. The porcine PSCs seeded at different densities (low: 40,000- and high: 80,000 cells per cm2) to neural induction medium containing the dual SMAD inhibitors (dSMADi), SB431541 (TGF-binhibitor) and LDN193189 (BMP4 inhibitor) to promote neural induction. The mRNA expression of pluripotency marker (POU5F1) which was clearly detected in porcine PSCs was found to significantly decrease in the PSC-derived NPCs of control group and dSMADi group. The NPCs derived from high density group treated dSMADi showed representative NPC markers such as PLAG1 and neural stem cell markers such as NESTIN and VIMENTIN at 10 days after differentiation. Especially high density group showed higher mRNA expression of both Sox1 and p75 compared to control and low density group. The high density group of porcine PSCs derived NPCs (PSC-NPCs) were positive for markers of early neural tube such as PAX6. The mRNA expression of posterior (HOXB4)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in the retinoic acid treated group after patterning of porcine PSC-NPCs. Also, porcine PSC-NPCs propagated in vitro and generated neurospheres that capable of further differentiation showing distinctive morphology and phenotype in neurons (TUJ1+) and glial cells (GFAP+). The final study isolated GFAP-positive porcine neural stem cells (NSCs) from the brain explant of a transgenic piglet, with expression of CreERT2 under the control of the GFAP promoter (pGFAP-CreERT2). The cultured cells isolated from the neocortex and subventricular zone (SVZ) exhibited a radial morphology. Data from genomic DNA analysis in these cells confirmed the integration of each transgene (CreERT2 and eGFP). This isolated pGFAP-CreERT2-NSCs were cultured in NSC medium containing EGF and bFGF showing self-renewal neurosphere with normal 36+XY karyotype. Also, immunofluorescence analysis confirmed homogenous cytoplasmic and nuclear expression of the representative NSC markers Nestin and Sox2, respectively. After 1 week treatment of γ-secretase inhibitor (DAPT) which blocks Notch1 pathway activity, cells showed a morphological change from a fusiform to a stellated phenotype and decreased Sox2, GFAP, Notch1 and Hes5—a key target gene and effector of the Notch pathway—expression, suggesting the necessity of Notch1 signaling in maintenance of pGFAP-CreERT2 NSC identity. In addition, serum-treated cells exhibited strong GFAP protein expression and increased stellation, indicative of reactive astrogliosis. Interestingly, the clear expression of TUJ1 was observed in some of the differentiated cells, which displayed a more mature morphology with neuronal projections, in the serum-treated group. Collectively,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treatment with Ge-132 during IVM improves the developmental potential of PA and IVF porcine embryos by increasing the intracellular GSH levels, thereby decreasing the intracellular ROS levels and reducing oxidative stress–induced apoptosis. Also, the developmental competence of embryos cultured under Ge-132 treatment may be associated with Keap1 signaling cascades involved in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during porcine pre- implantation embryo development. In addition, the results highlight the ability to define an efficient method for production of porcine PSC-derived neural precursors that mimic human neural system. Furthermore, the porcine CreERT2 NSCs characterized in this study would be a useful tool to study neurogenesis of the porcine adult central nervous system and furthers our understanding of its potential clinical application in the future.

      • 담다;닮다

        김은혜 서울장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성경은 꽤 많이 음악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찬송이란 단어는 214번, 노래라는 단어는 187번, 비파라는 단어는 28번, 수금이라는 단어는 50번, 악기 이름인 소고는 14번 등등 성경 전체를 통해 800번 넘게 언급되었다. 이 사실로 미루어보아 분명한 것은 음악이 예배와 그리스도인의 삶 안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다. 설교자가 매주 말씀을 준비하듯 예배 인도자는 예배음악을 준비한다. 말씀을 묵상, 통찰하여 적용할 수 있는 예배 곡을 선곡한다. 예배 인도자의 역할은 선곡하는 일에 그치지 않는다. 예배 팀원들을 훈련하고 양육하는 일, 회중, 곧 예배자들을 위해 기도하는 일, 하나님의 마음이 있는 나라와 세계의 소식들에 귀를 기울이고 중보하는 일, 밴드팀과 예배음악에 대해 소통하는 일, 보컬팀을 훈련하는 일, 교역자들과 소통하며 예배를 준비하는 일 등 다양한 역할을 감당한다. 그중 필자는 처음에 언급했던 예배 곡을 선곡하는 일에 대해 고민하며 이 앨범을 제작하게 되었다. 선곡을 하다 보면 ‘이런 내용을 담은 가사의 찬양은 없을까?’, ‘이 곡을 새롭게 편곡한 음원은 없을까?’에 대한 아쉬움을 갖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매해 새로운 예배 곡들이 발표되는 것은 긍정적이다. 그뿐만 아니라 계속적으로 다양한 메시지를 가사에 담은 예배 곡, 예배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예배 곡들이 발표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필자는 앨범을 제작하게 되었다.

      • 감사성향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고통 감내력과 용서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김은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감사성향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과 용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총 374명의 대학생 및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감사성향 척도, 고통 감내력 척도, 용서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구조방정식 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감사성향, 고통 감내력, 용서, 외상 후 성장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감사성향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용서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감사성향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를 고통 감내력과 용서가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및 심리치료 장면에서의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eful disposi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forgivenes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survey was conducted on 374 college students and adults using Korean version of the Gratitude Questionnaire(K-GQ-6), Korean Version of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K-PTGI), Distress Tolerance Scale(DTS), Heartland Forgiveness Scale(HF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 in a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grateful disposition, distress tolerance, forgiveness and posttraumatic growth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Forgiveness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between grateful disposi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Distress tolerance and Forgiveness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between grateful disposi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Finally, implications for counseling,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사양벌꿀 판별법 확립을 위한 설탕의 성분 분석

        김은혜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꽃이 피지 않는 겨울동안 꿀벌에게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설탕물이 사용되며, 꿀벌을 설탕으로 사양한 후 채밀ㆍ숙성시킨 것을 사양벌꿀이라 한다. 사양벌꿀은 기능학적 및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천연벌꿀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있다. 하지만 외관상으로는 구분되지 않아 천연벌꿀에 사양벌꿀이 혼합되어 판매되는 등의 부정행위가 종종 발견되고 있어 천연벌꿀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사양벌꿀과 천연벌꿀을 판별할 수 있는 용이한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사양벌꿀 판별법에 대한 연구가 일부 보고된 바 있으나, 지표물질을 기반으로 한 과학적인 판별법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탕에 함유된 화합물을 분리하고 구조해석하였다. 시판용 설탕(60 kg)을 물로 용해한 후, 조제한 설탕 수용액(120 L)을 용매의 극성차를 이용하여 용매분획을 행하여 n-hexane, ethyl acetate (EtOAc), n-butanol (n-BuOH) 및 H2O 획분을 얻었다. 그들 중 EtOAc 층(2.95 g)을 대상으로 ODS-MPLC 및 ODS-HPLC를 행하여 최종적으로 13종의 화합물을 단리하였다. 이들 화합물은 NMR 분석을 통해 3-hydroxypropanoic acid (1), 4-hydroxybenzaldehyde (2), 4-hydroxybenzoic acid (3), 4-hydroxy-3-methoxybenzoic acid (4), 4-hydroxy -3,5-dimethoxybenzoic acid (5), 4,4'-dihydroxydiphenylmethane (6), 2,4'-di hydroxydiphenylmethane (7), 2-hydroxybenzoic acid (8), 2-(2-hydroxy benzyl)-4-(4-hydroxybenzyl)phenol (9), methyl 3-(3,5-di-tert-butyl-1-hydroxy-4-oxocyclohexa–2,5–dien-1-yl)propanoate (10), 2,4-bis(1-phenylethyl) phenol (11), 2-(1-phenylethyl)phenol (12) 및 bis(2-ethylhexyl)benzene-1,2- dicarboxylate (13)로 구조해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분자수준에서 사양벌꿀 판별법 확립을 위한 설탕의 성분학적 연구 측면에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현재 순수벌꿀의 진위여부를 간단하고 빠르게 분석하기 위한 판별법 개발이 꾸준히 요구되는 바, 본 연구를 통해 특정 설탕으로부터 단리 및 동정된 화합물을 활용하여 사양벌꿀 판별을 위한 지표성분으로써의 이용가능성에 더하여 이와 같은 일련의 성과들이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사양벌꿀의 판별법 확립을 위한 모델실험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Sugar water is supplied to honeybees during the winter when flowers do not bloom, and honey produced by feeding sugar to honeybees is called sugar-fed honey (SFH). SFH is very different in comparison to natural honey in terms of price and nutrition and is often sold mixing natural honey with SFH. However, it is not visually distinguishable. Therefore, SFH often gives a negative cognition to consumers of honey. Nevertheless, scientific studies for the distinction of SFH have been conducted very limited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scientific method to distinguish natural honey and SFH. Recently, several studies for distinction of SFH have been reported, but the existing indicators are still not clear.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onstituents containing in a commercial sugar using for production of SFH is performed. A commercial sugar (60 kg) in aqueous solution (120 L) was partitioned with n-hexane (120 L x 3), EtOAc (120 L x 3), and n-BuOH (120 L x 3). The EtOAc layer (2.95 g) was purified by ODS-MPLC and prep-ODS-HPLC. Thirteen compounds were isolated and structurally determined by MS and NMR analyses. The isol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3-hydroxypropanoic acid (1), 4-hydroxybenzaldehyde (2), 4-hydroxybenzoic acid (3), 4-hydroxy–3-methoxy benzoic acid (4), 4-hydroxy-3,5-dimethoxybenzoic acid (5), 4,4'-dihydroxy diphenylmethane (6), 2,4'-dihydroxydiphenylmethane (7), 2-hydroxybenzoic acid (8), 2-(2-hydroxybenzyl)-4-(4-hydroxybenzyl)phenol (9), methyl 3-(3,5- di-tert-butyl-1-hydroxy-4-oxocyclohexa–2,5–dien-1-yl)propanoate (10), 2,4–bis(1-phenylethyl)phenol (11), 2-(1-phenylethyl)phenol (12), and bis(2-ethyl hexyl)benzene-1,2-dicarboxylate (13). Two compounds (10, 13) were identified from sugar for the first time. These identified compounds from a commercial sugar using for production of SFH will be used as candidate marker compounds for discrimination of SFH.

      •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특성화고등학교 메이크업 수업 효과

        김은혜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의 메이크업 교과 교육에서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여 적용한 프로젝트 기반 수업이 학습자들에게 미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개발된 22차시의 프로젝트 기반 NCS 메이크업 교과 교수·학습과정안은 경기도 소재 특성화고등학교 2학년 2개 학급 49명을 대상으로 1학기 적용한 후 프로젝트 기반 학습 효과를 분석하였다. 창의적 역량을 강조한 4차 산업 시대에선 단순히 자격증 취득과 지필고사, 수행평가로 학습자를 평가 한다면 개개인의 창조성과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이 부족해질 수 있기 때문에 모둠별 활동을 통해 사회성을 높이고 완성도 있는 결과물을 창출하기 위해 모둠원들과의 협력과 결과물 창출을 이뤄낼 수 있도록 교수자가 환경을 만들어 주는 역할이 필요하다. 특히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은 졸업 후 취업을 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필요한 덕목들을 갖춰야하지만 단순한 지필고사나 교과서에서 담긴 과제를 수행하여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학습자 스스로가 문제를 해결하고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교수자 스스로도 다양한 교수․학습법을 적용하여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하여 개발된 본 교수․학습과정안은 상상력을 키울 수 있는 활동,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활동, 종합력이 필요한 모둠 활동으로 재구성하였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교수․학습과정안은 학습자에게 다양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단원별 성취기준을 토대로 주제 중심, 수업 전략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교수자가 의도하는 수업으로 구성할 수 있었으며, 정해진 교육과정 속에서도 학습자에게 정보전달, 지식, 결과 등에 대해 이해, 적용시킬 수 있었다. 교육과정을 재구성 하였기에 교과서의 내용을 압축하고, 성취기준을 포함한 내용들을 축약할 수도 있었으며, 교과서 외의 내용도 추가할 수 있었다. 메이크업 교과서의 내용으로는 현장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다양한 교과의 융합이 필요하여 헤어미용, 피부미용, 메이크업, 네일미용 등의 종합적인 내용을 담아 미용의 전반적인 내용을 함께 배우고 적용 시킬 수 있도록 기존의 교육과정을 재구성 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특성 또한 중요하기 때문에 학습자들의 개성을 파악하여 모둠원으로서 역할을 해낼 수 있도록 모둠을 구성하는 것도 교수자의 역할이며 학습자들이 수업 참여에 충실 할 수 있도록 교수자가 적극적인 피드백을 하여야 한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은 교육과정의 재구성, 학생중심수업, 과정중심평가, 학교생활기록부 기록에 일체화를 할 수 있다는 점이 교사에게 특히나 학생을 전인적 인간으로 성장시키기에 좋은 과정이었다. 고등학교 수업은 내용을 배우고 수행평가, 지필고사 후에 결과를 받고, 생활기록부의 교과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에 기록하는 것이 과정이지만 정형화 된 틀을 벗어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스스로가 교수자가 되어 탐구한 내용을 발표하면서 강의식 수업으로 학습했던 내용을 탐구하게 되어 이해력과 습득력이 좋았다는 의견이 나왔으며, 타 모둠 평가를 통하여 다양한 아이디어를 얻게 되고 이를 다음 활동에 접목시키는 창의적 인재로 성장하였다. 학생들은 평소에 경험하지 못한 수업의 형태이다 보니 흥미를 느끼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교과에도 흥미를 갖게 되었다. 또한 교우관계에 도움을 주고 자신의 능력을 성장시키는 과정임이 나타났다. 메이크업 교과에서 프로젝트 기반 학습법 학습자들에게 메이크업에 대한 흥미와 충실히 학습을 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였다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학습자들은 모둠활동을 통해 협력하는 방법과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작품을 계획, 제작, 구성하여 완성물을 만들 수 있었기 때문에 자기주도 학습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새로운 결과물을 만들어 냄에 따라 창의력과 문제 해결 능력도 향상되는 효과를 보았으며 학습자들에게 정형화된 교수법보다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타 모둠 평가를 하면서 다른 모둠의 주제를 배우게 되며 학생은 학생들의 교수자가 되었다. 스스로가 탐구한 내용을 발표하면서 강의식 수업으로 들어야 했던 학습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었으며 습득력이 향상 되었다. 타 모둠이 탐구한 내용과 작품 구상을 관찰하며 스스로 다음 활동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모둠과 모둠 사이에서 상호작용이 일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교사의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보다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수업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메이크업 교과 운영을 학생 중심의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 및 적용하는 과정을 공유함으로써 프로젝트 기반 학습법을 비롯하여 다양한 교수 학습법이 개발 및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 기여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향후 다양한 교수 학습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오차항이 MA(1)과정을 따르는 선형회귀모형에서의 결정계수

        김은혜 誠信女子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추정된 선형 회귀모형의 적합도를 측정하는 결정계수는 절편항의 포함여부, 오차항의 자기상관 존재 유무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지므로 결정계수에 대한 잘못된 해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모형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오차항이 일차 이동평균 과정을 따를 경우, 선형회귀모형에서 회귀계수의 여러 추정량에 근거한 결정계수의 계산식을 유도하고, 모의실험을 통하여 이들의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모의실험 분석 결과 오차항이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경우를 제외한 대부분의 경우 OLSE에 근거한 결정계수 값이 GLSE에 근거한 것에 비해 효율면에서 크게 떨어지지 않아 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동평균계수 □를 모르는 경우 보통 최소제곱 잔차에 근거한 □의 추정량을 제시하였으며, 이 추정량의 타당성을 모의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The R^(2) represents the proportion of variation in the response data that is explained by the model. The value of R^(2) can be negative or larger than 1 when the linear regression model has no-intercept term or an auto- correlated error. Thus we should not subscribe to a model selection process that solely involves the consideration of R^(2). We derive R^(2) statistics based on various estimators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in the linear regression model with MA(1) errors. We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R^(2) through the Monte Carlo experiments. The efficiency of the □ is as good as that of the □ except that there is a strong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rror terms. We suggest an estimator of the unknown MA(1) parameter □ and examine its validity.

      • 쌀가루 제품에 대한 광주지역 고등학생의 인식조사

        김은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광주지역 고등학생 240명(남학생 122명(50.8%), 여학생 118명(49.2%))을 대상으로 쌀가루 제품의 섭취 실태, 기호도 및 인식에 대해 조사·분석하여 학생들에게 올바른 교육을 통하여 다양한 쌀가루 제품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늘리며, 건강 지향적인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는 영양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광주지역 고등학생의 가족 구성은 핵가족이 가장 많았으며, 부모님은 ‘맞벌이를 한다’가 많았다. 쌀 제품에 대한 정보는 주변인(친구, 친척 등), TV 순으로 얻었으며 학교교육을 통해서는 얻지 못했다. 밀가루 제품의 섭취빈도는 ‘식빵 외 발효빵(단팥빵 등)’, ‘햄버거’, ‘비발효빵(케이크 등)’ 순이었다. 쌀가루 제품을 섭취한 경험이 있는 학생의 경우, 쌀가루 제품에 대한 개선점으로는 ‘제품이 다양하지 않다’의 비율이 높았다. 쌀 제품을 먹어본 적이 없는 학생의 경우, 그 이유로는 ‘제품에 대해 잘 몰라서’가 월등히 높았으므로 다양한 쌀 제품을 개발하고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쌀가루 제품에 대한 교육 및 홍보 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체험 프로그램(조리법 시연)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고, 학교에서 쌀의 영양과 우수성, 다양한 쌀 빵 만들기 등의 쌀 관련 체험 교육을 진행하는 것에 대해 필요하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쌀 빵 선택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맛, 가격, 위생 순으로 나타났고, 학교급식에서 쌀 빵의 제공 횟수를 늘리는 것에 대해 ‘좋다’ 응답자 중 가장 큰 이유는 ‘영양적으로 우수해서’였으며, ‘나쁘다’ 응답자 중 가장 큰 이유는 ‘제품에 대해 잘 몰라서’였으므로, 쌀 빵에 대한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쌀가루 제품이 계승·발전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긍정적인 응답이 높게 나타났고, 그 이유로는 ‘영양적 우수성 때문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쌀가루 제품 보편화 정책 추진에 대해서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정책을 추진하지 않아도 된다’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고등학생은 음식에 대한 기호 및 식습관의 변화가 가능한 시기에 있으므로 쌀가루 제품에 대한 기호를 높이기 위하여 쌀의 우수성을 교육·홍보하고 쌀가루 제품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겠고, 본 연구가 광주 일부 지역의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것이라는 제한점이 있었던 것을 고려해, 후속연구에서는 더 많은 대상으로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This study surveys and analyzes the consumption status, preferences and perception of rice flour products for 240 high school students (122 male students (50.8%) and 118 female students (49.2%)) in Gwangju area. It aimed to increase the chances of accessing rice flour products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nutrition education to form health-oriented eating habits.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s in the Gwangju area, the majority of the family members were nuclear families, and parents were often “working together”. Information about rice products was obtained in the order of neighbors (friends, relatives, etc.) and TV, but not through school education. The frequency of intake of flour products was in order of 'fermented bread other than bread (sweet bean bread)', 'hamburger', and 'non-fermented bread (cake, etc.)'. A high percentage of students who have taken rice flour products said that the products are not diverse. For students who have never eaten rice products, the reason for this is far higher than that they "don't know much about the products," so it seem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kinds of rice products and conduct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Education and publicity of rice flour products were far more effective in providing experiential programs (cooking method demonstrations), and more respondents said that it was necessary to provide hands-on education on rice-related issues, such as rice nutrition and excellence at schools and making a variety of rice breads.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choosing U.S. bread is that it is better to increase the number of times the bread is served in school lunches in order of taste, price, and hygiene, and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choosing U.S. bread is that the "good" respondents are "well-known about the product," which is why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are needed.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rice flour products should be passed on and developed, citing "because of nutritional excellence." Regarding the promotion of the policy on the universalization of rice flour products,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respondents said it was not necessary to promote the policy. Since high school students are at a time whe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ir taste and eating habi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educate and promote the excellence of rice in order to increase their taste in rice flour products and to raise awareness of rice flour products. Considering that this study is limited to high school students in some areas of Gwangju, further research is needed in subsequent studies.

      • 아동의 비만도와 비만스트레스 및 사회성과의 관계

        김은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경제성장과 더불어 생활환경이 변화고, 식생활이 서구적으로 변화하여 소아비만의 발생 빈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아동 및 청소년기 비만은 치료가 어려울 뿐 아니라 성장 발달상 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며, 비만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태도나 또래의 조롱 등은 아동에게 심각한 사회생활의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자기 용모에 열등감을 가지고 있는 비만아동들은 대인관계를 기피하고 학교생활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비만에 관련된 연구들을 보면 그 대상이 대부분 비만아동에 국한되어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만도에 따라 비만아동 뿐만아니라 과체중, 표준체중, 저체중 아동들이 가질 수 있는 비만스트레스에 관해 알아보고, 비만스트레스가 아동의 사회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3개 초등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그곳에 재학중인 3학년과 6학년 남녀 아동 4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비만도를 측정하기 위해 1998년 대한소아과학회에서 측정한 한국 소아의 신장별 체중의 표준체중과 연구자가 아동의 키와 몸무게를 직접 측정하여 비만도를 구하였다. 그리고 비만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서 조양래(1997)가 제작한 비만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고, 사회성을 측정하기 위해 이위환(1994)이 제작한 사회성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학년과 성별에 따른 비만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아동의 비만도에 따른 비만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 검증으로는 Duncan검증을 실시하였다. 비만스트레스와 사회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Pearson의 단순상관계수를 구하였고, 학년과 성별 각각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만도에 따른 비만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보면 비만스트레스의 3개 하위변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비만집단이 신체상 불편함으로 오는 비만스트레스, 비만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한 나의 노력, 비만에서 오는 정신적인 스트레스 모두 다른 집단보다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비만도가 높을수록 비만스트레스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학년에 따른 비만스트레스는 3개 하위변인 모두에서 3학년 보다 6학년이 높게 나타나 학년이 높을수록 비만스트레스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성별에 따른 비만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보면 신체상 불편함으로 오는 비만스트레스와 비만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은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비만에서 오는 정신적인 스트레스에서는 여자아동이 남자아동보다도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 둘째, 사회성의 각 하위변인에 대한 비만스트레스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우선 신체상 불편함으로 오는 비만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지도성, 준법성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비만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한 나의 노력이 많을수록 자율성, 지도성, 근면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비만으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예절성, 자율성, 근면성, 안정성, 사교성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3학년 아동의 경우 신체상 불편함으로 오는 비만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지도성이 낮아짐을 알 수 있고 비만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한 나의 노력이 많을수록 자율성, 지도성, 근면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비만으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자율성, 근면성, 안정성, 사교성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6학년 아동의 경우 3학년 아동과 마찬가지로 신체상 불편함으로 오는 비만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지도성이 낮아짐을 알 수 있고, 비만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한 나의 노력이 많을수록 자율성과 근면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비만으로 이한 정신적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자율성, 지도성, 근면성, 안정성, 사교성, 수용성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학년에 따라서 사회성의 각 하위요인에 대한 신체상 불편함으로 오는 비만스트레스와 비만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한 나의 노력의 영향력은 같았다. 하지만 사회성의 각 하위요인에 대한 비만으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의 영향력에서는 6학년 아동이 3학년 아동보다 더 많은 사회성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남자아동의 경우 비만스트레스와 사회성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신체상 불편함으로 오는 비만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사교성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비만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한 나의 노력이 많을수록 자율성, 지도성, 근면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고, 비만으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율성, 지도성, 근면성, 안정성, 사교성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여자아동의 경우 비만스트레스와 사회성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신체상 불편함으로 오는 비만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준법성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비만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한 나의 노력이 많을수록 자율성과 근면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고, 비만으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율성, 지도성, 근면성, 안정성, 사교성, 수용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여자아동이 남자아동보다 비만으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로 사회성의 많은 하위요인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oday, Obesity is not recognized as a disease itself but is known to be the indirect cause of much chronic illness. Obesity has an impact on psychological disorder including severe inferiority, damage of body-image, low self-esteem, interpersonal problem. This study attempts to discover and evaluate relationship of the sociality with obesity and obesity stress of children. The subjects were 421 children, who were randomly selected from third and sixth grade at three elementary Seoul and Kyungi Do. The height, body weight and body fat(%) were measures and the levels of Obesity stress were assessed by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following 3 domains. The Sociality of children were assessed by a questionnaire with 28 questions. Data analysis was managed to computer & statistics by SAS program. The principal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Contrast with non-obese children, obese children was significantly high level in obesity stress. The result showed that obesity stress was the higher than the higher their obesity Between fourth and sixth grade children, difference of obesity stress was the higher than the higher their grade. Between male and female children, difference of obesity stress was not significant. However, psychic stress of female childr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ale children. 2)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ity and obesity stress, obesity stress by physical uncomfortableness was the higher than the lower their leadership and 준법성. The effort to overcome obesity stress was the higher than the higher their autonomy, leadership and diligence. Psychic stress by obesity was the higher than the lower their politeness, autonomy, diligence, stability, social intercourse. In third grade children, the obesity stress by physical uncomfortableness was the higher than the lower their leadership, the effort to overcome obesity stress was the higher than the higher their autonomy, leadership and diligence. And psychic stress by obesity was the higher than the lower their autonomy, diligence, stability, social intercourse. In sixth grade children, obesity stress by physical uncomfortableness was the higher than the lower their leadership, the effort to overcome obesity stress was the higher than the higher their autonomy and diligence. And psychic stress by obesity was the higher than the lower their autonomy, leadership, diligence, stability, social intercourse and acceptance. In the male children, obesity stress by physical uncomfortableness was the higher than the lower their social intercourse, the effort to overcome obesity stress was the higher than the higher their autonomy, leadership and diligence. And psychic stress by obesity was the higher than the lower their autonomy, leadership, diligence, stability and social intercourse. In the female children, obesity stress by physical uncomfortableness was the higher than the lower their 준법성, the effort to overcome obesity stress was the higher than the higher their autonomy and diligence. And psychic stress by obesity was the higher than the lower their autonomy, leadership, diligence, stability, social intercourse and accep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