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中國傳統人物화와 現代人物화의 비교 硏究 : 본인 人物화 작품을 중심으로

        장지원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改革開放)이후 정치, 경제, 문화 등이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21세기에 들어오면서 중국의 예술 영역에도 많은 변화를가져오게 되고. 따라서 중국 미술이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여 수많은 새로운 장르의 작품을 창조하고있다. 이런변화는 예술 그 자체의 고전양식을 파괴하거나 새로운 형식의 창조를 추구하기 보다는 예술의 전통을 초월하여 문화, 사상, 사회 등을 반역하려는 경향으로 보여진다. 1979년의 '성성화전(星星畵展)', 1985년의'미술사조(美術思潮)', 1989년의 '중국현대예술전시회'(中國現代藝術展示會) 등에서 이 런추세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20세기 80년대 세계 예술사조의 변화에 따라 중국의 현대 예술도 모더니즘 예술, 포스트모더니즘 예술 시기에 접어들었다. 이 시기의 회화 작품은 처음부터 깊은 인상을 남겨 준다. 모든 사람들이 혹은 어떤 지역의 사람들이 예전에 보지 못했던 형식, 즉 비전통적인 예술 형식이기때문이다 중국 현대 예술이 역사적, 문화적으로 특수한 배경과 대상, 재료등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전통적인 예술 형식을 언급만 하면 비평가, 이론가, 미학가 심지어 철학가들이 보통 관객과 똑같이 당혹스러워한다. 전통을 둘러싼 논쟁은 역사에 대하여 전반적인 판단을 내리는 계기가된다. 서양화기법의 중국 현대인물화를 전통 키법의 인물화와 비교하여 연구하는 것은 현대중국의 서양화에 대한 해석이자 인물화가 회화 예술 등 관련된 분야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중국의 인물화 영역에서 전통인물화와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한 서양화기법의 현대인물화의 문화적, 사상적 및 사회적인 차이점을 비교하였고. 또한, 중국 전통 인물화와 현대 인물화의 관점, 표현기법 등에대한 차이를 비교, 연구하여 전통인물화의 창작 관점을 알게 되었고. 실제 회화 창작에서 본인이 예술에 대한 이해와 심미관을 회화 창작에 융합하고 전통 회화와 현대 회화 사이에서 자신한테 어울리는 회화 화풍을 찾도록 노력하였다. 본인의 작품은 전통 작품처럼 객관적 세계를 재현하거나 현대 작품처럼 순수한으로 마음에서 출발해 자신을 해석하지는 않았다. 다만, 전통요소와 현대요소를 완벽하게 통일함으로써 작품의 은유성(隱喩性)을 나타내고 동시대의 사회, 생활양식 등 문화에 대한 이해를 표현 하였다 .

      • 문학사 교육 연구 : 중학교 교과서 중심으로

        장지원 창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School curriculum doesn't give due weight to education about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re aren't energetic research efforts to find out effective and applicable teaching methods about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the nature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and to seek out workable solutions for literary history education. It's specifically meant to shed light on the nature, background, necessity and actual state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and relevant teaching methods in an attempt to reconstruct an authentic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that education. Chapter II described the necessity, nature and background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Education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referred to teaching learners to take a systematic approach to literary works, to understand the unique features of Korean literature, to look at literary works they read in light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to enjoy literature in a more creative and productive manner. Chapter III analyzed school curricula and textbooks to figure out the reality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and problems with that.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curricula and textbooks, it's found that the nature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weren't properly reflected. Therefore the nature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was discussed in this study, and it's suggested that structured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be prepared to provide sequential education about the concepts of literary history. Literary history education shouldn't merely be confined to any particular segment of textbooks. Instead, that should be conducted in a manner to let learners get a big picture of literary works from the standpoint of literary history. Chapter Ⅳ presented specific teaching methods for that education and elaborated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geared toward middle school ninth graders, focusing on the selection of figure of speech and visual materials tailored to their cognitive level. The model intended to teach learners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literary works from the viewpoint of literary history. Namely, that was design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about literary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ir contemporary times, and to let then think of their meaning and significance. In the model, a teacher should act not as a mere deliverer of knowledge but as a catalyst who stimulates learners to construct their own learning in every learning process and grasp what they have learned by giving a significant explanation, stirring up cooperative learning and offering inclusive instruction. In effect, this study attempted to pave the way for more understandable, positive and applicable learning by arguing that curriculum should be constr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literary history instead of just offering fragmentary knowledge. At the same time, this study tried to take a holistic approach to educational methods that were at the center of disputes on education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but didn't look into actual learner-teacher interaction in classroom situations and teaching- learning methods they utilized. In the future, more specific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having literary history education take root as the hub of literary education. 본 연구는 문학사 교육에 대한 논의가 교육 과정에서 문학사 교육이 제 위상을 정립하지 못했고,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문학사 교육의 방법에 대한 연구의 부족이라는 점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문제의 출발로 삼아 문학사의 교육 대상으로서의 성격을 문학사의 본질에 근거하여 규명한 뒤, 이를 바탕으로 문학사 교육의 해결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논의의 범위를 문학사 교육의 성격, 문학사 교육의 배경 및 필요성, 문학사 교육의 현황, 문학사 교육의 방안과 그에 따른 실제적 문학사 교육 교수-학습 설계 모형을 재구성해 보려 하였다. Ⅱ장에서는 문학사 교육에 대한 전제로 문학사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검토하여 문학사의 성격과 문학사 교육 배경과 필요성에 대해 규명해 보았다. 학습자들이 문학 작품에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한국 문학의 특성을 이해하며 교수-학습의 과정을 통해 각각의 문학 작품과 일상에서 읽은 작품들을 문학사와 맞추어 보고 창조적인 향유를 발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문학사 교육이다. 이러한 전재 아래 Ⅲ장에서는 문학사 교육 현황을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통해 검토하고 문학사 교육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지적해 보았다.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살펴보면 문학사 자질이나 교육적 의의를 제대로 나타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문학사의 본질을 규명하고, 여기에 따른 학습 과정에서 문학사의 개념들을 단계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교육 내용과 방법을 구조화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과 문학사 교육이 교과서 속의 한 단원에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내용상 문학사적 안목으로 작품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위의 논의들을 종합하여 Ⅳ장에서는 문학사 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 다음 문학사 교수-학습 설계 모형안을 구상해 보았다. 학습의 대상자는 중학교 3학년 학생으로 학습자의 인지 수준에 맞는 비유, 시각적 자료제시 등의 방법에 중심을 두었다. 각각의 작품과 관련하여 문학사적 관점으로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방법으로 학습이라는 시각에 접근해 보려 하였다. 즉, 문학사적 관점에서 볼 때 시대와 관련지어 이해해 보고, 또한 그것이 어떠한 의의를 지니는지에 대해 평가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학습의 모든 과정에 있어서 교사의 일방적인 전달이 아닌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을 구성하여 능동적인 이해를 이루어 나갈 수 있도록 교사의 의미 있는 설명, 협력학습, 통합 교과 학습 형태가 병행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요컨대, 문학사의 본질에 근거한 교육과정의 제시를 통해서 문학사 교육이 단편적인 지식으로 그치는 것에서 벗어나 ‘이해’가 가능한 능동적 학습,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학습이 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문학사 교육이 거론되고 있는 교육 방법의 문제를 총체적인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하였으나 작업의 여건상 실제의 교수-학습의 현장에서 일어나는 학습자와 교사간의 상호작용 및 교수학습 방법의 현황에 관한 것을 다루지 못하였다. 이러한 것을 위시하여 앞으로 더욱 구체적인 작업들을 통해 문학사 교육이 문학 교육의 중심으로 설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 세포노화환경에서 단백질 분해 과정 조절에 관한 연구

        장지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포노화는 노화과정에서 여러 기관에서 생물학적인 기능장애를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전 연구에 따르면 세포노화가 단백질 분해 능력에 중요한 역할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세포노화환경에서 in vitro 노화 연구의 실험적인 환경을 찾고, 그 환경에서의 단백질 분해과정 조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먼저 Neuro 2a (N2a) 세포에서 세포노화환경으로 저산소 조건, 장기계대배양, cobalt chloride 처리와 hydrogen peroxide 처리를 각각 시행하였다. 여러 세포노화환경에서 세포노화환경의 표지로서 세포생존율과 노화 인자로 알려진 저산소인자-1 알파 (Hypoxia inducible factor-1 alpha, HIF-1α)의 mRNA가 유의성있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저산소 조건과 장기계대배양에서 단백질분해효소복합체의 키모트립신 유사 활성도가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으며, 유비퀴틴이 결합된 녹색형광단백질 기반 분석법을 통하여 유비퀴틴 관련 단백질분해효소복합체인 PA700의 활성도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네 가지 세포노화환경에서 자가포식의 표지로서 자가포식포를 형성하는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 light chain 3 (LC3)의 단백질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저산소 조건에서 콜린성 뉴런의 세포 크기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세포노화환경에서 선택한 저산소 조건에서 단백질 분해과정을 조절하여 콜린성 신경세포가 보호됨을 관찰하기 위하여, E3 유비퀴틴 연결효소의 구성요소인 parkin을 N2a 세포에서 과발현시켰다. 저산소 환경에서 Parkin을 과 발현 시켰을 때 세포생존율을 향상시키지 않았다. 그러나 저산소 환경에서 Parkin 과발현이 HIF-1α mRNA의 양을 증가시켰다. 저산소 조건에서 Parkin 과발현에 의하여 키모트립신 유사 활성도와 PA700의 단백질분해효소복합체 활성도를 유의성있게 증가시켰다. 또한 저산소 조건에서 Parkin 과발현이 세포 크기와 신경돌기의 수, 길이를 유의성있게 증가시켰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여러 세포노화환경이 콜린성 뉴런에서 단백질분해 기능을 변화시켰으며 Parkin에 의하여 단백질분해효소복합체 시스템을 변화시켰을 때 저산소 조건에서 콜린성 뉴런이 보호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ellular senescence explains biological malfunction of an organism under aging process.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protein degradation is one of the critical processes of cellular senescence. In this study, we aimed to determine the experimental conditions of in vitro senescence research and to find the regulation of protein degradation in designated senescence condition. First, we examined four different conditions of senescence for neuro-2a (N2a) cells: hypoxia, increase of cell culture passage number, cobalt chloride, or hydrogen peroxide. Under these senescence conditions, we observed the significant decrease of cell viabilities and mRNA expression of hypoxia-inducible factor-1 alpha (HIF-1α) as a marker of cellular senescence. We found significant decrease of chymotrypsin-like proteasome activity in the conditions of hypoxia and increasing passage number and significant increase of ubiquitin-dependent PA700 proteasome activities as shown the degradation of GFP conjugated protein substrate. We found the significant change of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 light chain 3 (LC3) protein levels as an autophagy marker in senescence conditions. In addition, we found the significant decrease of cell body areas of cholinergic neurons under hypoxia conditions. To determine the protective effects of the regulation of protein degradation, we overexpressed E3 ubiquitin ligase, parkin in cholinergic neurons. We found that parkin overexpression did not improve cell viability under hypoxia condition. However, parkin overexpression increased the level of HIF-1α mRNA in hypoxia condition. Parkin significantly increased chymotrypsin-like proteasome activities and ubiquitin dependent PA700 proteasome activities in hypoxia condition. In addition, we found significant increase of cell body area, neurite length and neurite number of cholinergic neurons after parkin overexpression in hypoxia condition.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cellular senescence alters protein degradation function in cholinergic neurons and the modification of proteasome system by parkin can protect cholinergic neurons in hypoxia condition.

      • 발효차류의 휘발성 향기 성분과 관능적 특성

        장지원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국, 내외적으로 발효차류의 생산 소비가 확산되고 있고 품질이 검증되지 않은 보이차(puear tea)가 무분별하게 수입되고 있다. 발효차류는 원시료의 다양성과 제다 법의 차이로 각기 다른 향미를 가지게 된다. 지금까지 발효차의 성분분석에서 발효차류의 기호도와 관계가 있는 향미성분에 관한 연구는 드물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발효차와 수입품 발효차를 시료로 하여 품질면에서 중요한 인자 중의 하나인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하고 분리 및 동정을 하였다. 또한, 다양한 발효차 종류별 항산화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아 항산화 활성을 분석 비교하였고, 소비자가 지각하는 품질과 관련된 관능검사를 하였다. 휘발성 향기성분은 Nickerson형 연속증류추출법으로 추출하고 GC 및 GC-MS로 분석⋅동정하였다. 항산화성은 2,2-diphenyl-1-picryl hydrazyl radical scavenging의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관능검사는 향미성분의 관능적 특성과 기호도로 조사하고 통계분석 하였다. 효소적 발효에 의해 발효된 부분 발효차는 발효 정도에 따라 약 발효차(weak partially fermented tea, WPFT)와 중 발효차(semi partially fermented tea, SPFT)로 나눌 수 있다. 약 발효차의 향기성분으로 56종류를 동정하였고 중 발효차는 63종 및 미생물 발효차는 63종의 휘발성 향기 화합물을 동정하였다. 약 발효차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풋풋한 풀 냄새를 띄는 hexanal, (E)-2-hexenal 등의 화합물 및 녹차(green tea, GT)에 많은 향기성분인 linalool, nerolidol 및 β-ionone 등이 남아있었다. 중 발효차의 향기성분으로 약 발효차와 비교하여 peak pattern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달콤한 향을 내는 3-methyl butanal, 2-methyl butanal 및 furfural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 하였다. 미생물 발효차(microbial fermented tea, MFT)는 효소적 발효에 의한 것과는 다르며, 보이차가 대표적이다. 미생물 발효차에서 동정된 향기성분의 조성으로 볼 때 함량 적으로 많은 화합물은 대체적으로 꽃향기를 갖는 phenyl acetaldehyde와 geraniol이 발효도가 진행될수록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4종류의 phenol류가 다수 동정 되어 앞의 2종의 발효차와는 다른 흙냄새와 곰팡이 냄새를 띄는 특징적인 향기를 나타내었다. 차류 중에서 고형 발효차 중 알가차(alga tea, AT)의 향기성분으로 63종류를 동정하였고 돈 차(don cha, DC)는 45종, 떡 차(ddock tea, DT)는 66종, 보이차 1(puear tea 1, PT1)은 56종 및 보이차 2(puear tea 2, PT2)는 68종의 휘발성 향기 화합물을 동정하였다. 알가차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풋풋한 풀 냄새를 띄는 hexanal 및 (E)-2-hexenal과 꽃향기와 관련되는 linalool, geraniol, β-ionone 및 phenyl acetaldehyde가 많은 함량 포함되어 있었다. 돈 차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알가차와 비교하여 peak pattern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달콤한 향기를 가지는 3-methyl butanal의 함량이 증가한 반면에 꽃향기성분을 가지는 terpene alcohol화합물이 감소하였다. 떡 차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달콤한 향을 가진 (E)-anethole과 산패치의 특성을 가지는 1-penten-3-ol, 2-pentyl furan 및 녹차 중에 주요 향기성분인 hexanal과 nerolidol이 대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보아 발효가 약한 것으로 생각된다. 보이차 1의 주요 향기성분으로는 풋풋한 향기 또는 풋내를 가지는 hexanal과 꽃향기를 가지는 phenyl acetaldehyde는 국내 발효차보다 적게 포함되었고, pyrrole류 및 methoxy benzene류가 동정 되어 국내 발효차와 다른 탄 냄새와 곰팡이 냄새를 가졌다. 보이차 2의 주요 향기성분으로는 보이차 1과 비교하여 peak pattern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풋풋한 향기인 hexanal, 구수한 향기인 benzaldehyde, 꽃향기인 α-terpineol과 묵은 냄새와 곰팡이 냄새인 methoxy benzene류가 증가하여 향기의 특징이 나타났다. 발효도에 따른 발효차 및 녹차 추출물의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을 측정 후 IC50 값을 비교한 결과 각각 녹차(5.82 ± 0.03 μg/mL), 약 발효차(6.70 ± 0.01 μg/mL), 중 발효차(7.00 ± 0.09 μg/mL) 및 미생물 발효차(12.16 ± 0.05 μg/mL) 순으로 발효도가 짧을수록 항산화 력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발효차와 중국 보이차 추출물의 IC50 값을 비교한 결과 국내 발효차가 (7.11 ± 0.22 ~ 29.84 ± 0.06 μg/mL) 중국 보이차보다 (15.25 ± 0.51 ~ 44.08 ± 0.35 μg/mL) 항산화 력이 높게 나타났다. 패널(21명)은 묘사분석 5점법 척도를 사용하여 발효차의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고, 식품영양학과 학생들(50명)은 기호도 평가항목 5점법 척도를 사용하여 기호도(best-worst)를 평가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에 대한 결과 구수한 향은 SPFT에서 탄 향과 산패취는 PT2에서 풋풋한 향은 GT에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맛의 관능검사 항목에 대한 결과 구수한 맛은 SPFT에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향미의 기호도 검사 결과 SPFT > GT > AT > PT2 순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 조피볼락과 넙치 사료 내 수은과 카드뮴의 식품 안전성실험 모델 개발

        장지원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양식어류용 배합 사료 내 유해중금속 안전성 기준 평가를 위한 실험 모델 개발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첫 번째 연구 (실험 1)는 육성기 조피볼락 사료 내 형태가 다른 수은(무기·유기)을 함량별로 첨가하여 조직별 축적, 비특이적 면역반응, 혈액 성상학적 변화 및 성장관련 측정 값 등을 분석 조사하였다. 두 번째 연구 (실험 2)는 미성어기 넙치 사료 내 카드뮴을 함량별로 첨가하여 조직별 축적, 비특이적 면역반응, 혈액 성상학적 변화 및 성장관련 측정 값 등을 분석 조사하였다. 본 연구 수행을 통해 수은과 카드뮴의 양식 사료 내 허용기준을 제시 할 수 있는 실험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 결과, 넙치와 조피볼락에서 사용한 실험 모델은 다른 양식어종과 유해중금속에서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궁극적으로는 양식어류의 식품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 1) 사료 내 무기·유기수은 함량이 육성기 조피볼락의 조직별 축적, 비특이적 면역반응, 혈액 성상학적 변화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사료 내 무기 또는 유기수은 함량이 조피볼락의 조직별 수은 축적, 비특이적 면역반응, 혈액 성상학적 변화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은을 별도로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무기 또는 유기수은을 0.4, 0.8, 1.6, 3.2 및 6.4 mg/kg씩 각각 첨가한 총 11종의 실험 사료를 제조하였다. 사육실험은 최초체중 81.5g의 조피볼락을 33개의 400L원형수조에 각각 25마리씩 실험구별 3반복으로 수용하여 12주간 사육하였다. 사육 1주, 2주, 4주, 8주 및 12주에 3반복 수조에서 수조별 각각 2마리의 실험어를 채취하여 조직 내 총 수은 분석을 하였고, 조피볼락의 혈장을 분리하여 항산화 효소(SOD)와 라이소자임 활성 및 혈액 성상학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성장관련 측정치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조피볼락의 수은 축적량은 내장 조직을 제외한 등근육, 간, 신장 조직에서 수은의 형태와 함량에 따라 상호적인 유의적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001). 사육실험 12주 후에 무기수은 6.4 mg/kg을 첨가한 사료를 공급한 실험어의 조직별 수은 함량은 내장(12.87 mg/kg) > 신장(3.06 mg/kg) > 간(0.62 mg/kg) > 등근육(0.18 mg/kg)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수은(6.4 mg/kg)을 첨가한 사료를 공급한 실험어의 조직별 수은 함량은 간(15.39 mg/kg) > 내장(11.34 mg/kg) > 신장(10.57 mg/kg) > 등근육(8.73 mg/k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등근육 내 수은의 축적량은 사료 내 수은 함량0.4, 0.8, 1.6, 3.2, 6.4 mg/kg에 따라 무기수은 실험구에서 각각 0.08, 0.07, 0.10, 0.07, 0.18 mg/kg으로 나타났고, 유기수은 실험구는 각각 0.49, 0.89, 1.82, 4.97, 8.73 mg/kg으로 나타났다. 사료 내 무기수은 함량이 증가하여도 등근육 내 수은 축적량은 증가하지 않았으나, 사료 내 유기수은 함량이 증가할수록 등근육 내 수은 축적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01). 사료의 수은 형태별로 수은 1.6, 3.2 및 6.4 mg/kg을 첨가한 유기수은 실험구가 무기수은 실험구에 비하여 등근육 내 수은 축적량은 유의하게 높았다(P<0.0001). 간 조직 내 수은의 축적량은 사료 내 수은 함량 0.4, 0.8, 1.6, 3.2, 6.4 mg/kg에 따라 무기수은 실험구에서 각각 0.03, 0.05, 0.09, 0.36, 0.62 mg/kg으로 나타났고, 유기수은 실험구에서 각각 0.4, 0.66, 1.79, 6.17, 15.39 mg/kg으로 나타났다. 사료 내 무기수은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간 조직 내 수은 축적량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사료의 유기수은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01). 사료 내 수은 형태별로 수은 1.6, 3.2 및 6.4 mg/kg을 첨가한 유기수은 실험구가 무기수은 실험구에 비하여 간 조직 내 수은 축적량은 유의하게 높았다(P<0.0001). 신장 조직 내 수은의 축적량은 사료 내 수은 함량 0.4, 0.8, 1.6, 3.2, 6.4 mg/kg으로 나타났고, 무기수은 실험구에서 각각 0.06, 0.16, 0.59, 1.21, 3.06 mg/kg 으로 나타났고, 유기수은 실험구에서 각각 0.35, 1.00, 2.52, 5.54, 10.57 mg/kg 으로 나타났다. 사료의 무기 및 유기수은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신장 조직 내 수은의 축적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01). 사료 내 수은 형태별로 수은 3.2 및 6.4 mg/kg 을 첨가한 유기수은 실험구는 무기수은 실험구에 신장 조직 내 수은 축적량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001). 내장 조직 내 수은의 축적량은 사료 내 수은 함량 0.4, 0.8, 1.6, 3.2, 6.4 mg/kg에 따라 각각 0.32, 0.43, 1.01, 2.66, 12.87 mg/kg 으로 나타났고, 유기수은 실험구에서 각각 0.33, 0.71, 1.70, 4.61, 11.34 mg/kg 으로 나타났다. 사료 내 무기 및 유기수은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내장 조직 내 수은의 축적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01). 그러나 사료의 수은 형태별로 내장 조직의 수은 함량은 유기수은 실험구와 무기수은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어류에서 스트레스의 지표로 측정한 혈장 내 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을 측정한 결과, 12주 후 무기, 유기수은 0.4~6.4 mg/kg 첨가 사료를 공급한 조피볼락의 혈장 내 SOD 활성은 대조구(49.67%)보다 증가되었으며, 무기수은 실험구가 54.67∼75.13%, 유기수은 실험구는 78.03∼88.45%로 나타나 수은의 형태와 함량에 따라 SOD 활성 값의 차이를 보였다(P<0.05). 혈장 내 라이소자임 활성은 유기수은 1.6, 3.2, 6.4 mg/kg 함량에서만 면역반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이러한 실험 결과는 조피볼락이 수은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포함한 독성증상을 방어하기 위하여 SOD와 라이소자임 활성 반응을 조절하여 체내의 해독기작을 활성하고, 수은의 형태와 함량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12주 사육실험을 통한 108~124g의 조피볼락에서 무기수은 0.4~6.4 mg/kg첨가 사료를 공급한 가식부위(등근육)에는 0.08~0.18 mg/kg의 수은이 축적되어 국내 식품 내 총 수은 허용기준(0.5 mg/kg이하)을 초과하지 않았다. 그러나, 유기수은 0.4 mg/kg첨가 사료를 공급한 조피볼락의 가식부위(등근육)에는 0.49 mg/kg의 수은이 축적되어 식품 내 허용기준치에 매우 근접하였다. 간 조직에서 무기수은은 각각 사료 내 함량이 0.4, 0.8 및 3.2 mg/kg의 사료까지는 식품 내 총 수은 허용기준(0.5 mg/kg이하)을 초과하지 않았으나, 유기수은의 경우 간 조직에서 가식부위인 등근육과 동일한 사료 내 함량이 0.4 mg/kg까지만 식품 내 총 수은 허용기준 미만이고 전부 초과 되었다. 신장과 내장 조직에서 무기수은은 각각 사료 내 함량이 0.4 및 0.8 mg/kg의 사료까지는 식품 내 총 수은 허용기준(0.5 mg/kg이하)을 넘지 않았으나, 유기수은의 경우 신장과 내장 조직에서 가식부위인 등근육처럼 사료 내 함량이 0.4 mg/kg 까지만 식품 내 총 수은 허용기준 미만이고 전부 초과 되었다. 결론적으로 국내 사료의 수은 허용기준 0.4 mg/kg (수산동물용 배합사료)는 사료 안전성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현재 설정되어 있는 양어사료 내 허용 기준에서 무기수은과 유기수은을 별도로 설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사육기간과 어체의 성장단계에 따라 무기, 유기수은의 대사 메커니즘이 차이가 있다고 판단되어 향후 이와 관련한 추가적인 연구 수행이 필요하다. (실험 2) 사료 내 카드뮴 함량이 미성어기 넙치의 조직별 축적, 비특이적 면역반응, 혈액성상학적 변화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사료 내 카드뮴 함량이 넙치의 조직별 카드뮴 축적, 비특이적 면역반응, 혈액성상학적 변화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카드뮴을 별도로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Cd0.3)와 카드뮴을 2 (Cd2), 5 (Cd5), 10 (Cd10), 50 (Cd46) 및 100 (Cd93) mg/kg으로 각각 첨가한 총 6종의 실험사료를 제조하였다. 사육실험은 최초체중 404g의 미성어기 넙치를 7개의 3톤 원형수조에 각 64마리씩 수용하여 10주간 사육하였다. 사육 1주, 2주, 4주, 7주 및 10주 후에 각 수조에서 6마리의 실험어를 채취하여 조직 내 카드뮴 분석을 하였고, 넙치의 혈장을 분리하여 항산화 효소(SOD)와 라이소자임 활성 및 혈액성상학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성장관련 측정치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넙치의 조직별 카드뮴 축적량은 등근육을 제외한 간, 신장, 내장 조직에서 카드뮴 함량 및 기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10주 후 고농도의 카드뮴 93 mg/kg 첨가 사료를 공급한 넙치의 조직별 축적은 간 > 내장 > 신장 > 등근육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카드뮴 2~46 mg/kg 첨가 사료를 공급한 넙치의 조직별 카드뮴 축적은 내장 ≧ 간 > 신장 > 등근육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등근육 내 카드뮴의 축적량은 사료 내 카드뮴 함량 0, 2, 5, 10, 46, 93 mg/kg에 따라 모든 실험구에서 0.01~0.04 mg/kg으로 나타나 등근육 내 카드뮴 축적량은 낮았다(P<0.05). 간 조직 내 카드뮴의 축적량은 사료 내 카드뮴 함량 0, 2, 5, 10, 46, 93 mg/kg에 따라 실험구에서 각각 1.7, 2.6, 2.3, 4.6, 25.7 32.2 mg/kg으로 나타나 간 조직 내 카드뮴 축적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신장 조직 내 카드뮴 축적량은 사료의 카드뮴 함량 0, 2, 5, 10, 46, 93 mg/kg에 따라 실험구에서 각각 0.3, 0.6, 0.3, 0.8, 4.3, 6.9 mg/kg으로 나타나 신장 조직 내 카드뮴 축적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내장 조직 내 카드뮴의 축적량은 사료 내 카드뮴 함량 0, 2, 5, 10, 46, 93 mg/kg에 따라 실험구에서 각각 0.9, 4.9, 12.0, 20.2, 25.1, 24.4 mg/kg으로 나타나 내장 조직 내 카드뮴 축적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또한, 어류에서 스트레스의 지표로 측정한 혈장 내 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주 후 카드뮴 2~93 mg/kg 첨가 사료를 공급한 넙치의 혈장 내 SOD 활성은 대조구(65.1%)보다 감소된 36.4~55.3%로 나타나 카드뮴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넙치의 혈장 내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와 글루코오스는 Cd93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P<0.05), Cd2, Cd5 및 Cd10 및 Cd46실험구와는 차이가 없었다. 10주간의 사육실험 결과, 미성어기 넙치의 증체율 및 사료효율은 Cd46, Cd93 실험구에서 Cd2, Cd5 및 Cd10실험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10주 사육실험을 통한 496~604g의 넙치에서 카드뮴 2~93 mg/kg첨가 사료를 공급한 가식부위(등근육)에는 0~0.04 mg/kg의 카드뮴이 축적되어 국내 식품 내 카드뮴 허용기준(0.2 mg/kg 이하)을 초과하지 않았다. 하지만, 간, 신장 및 내장 조직의 경우 대조구(0.3 mg/kg)를 포함한 모든 사료 함량에서 식품 내 허용기준 (0.2 mg/kg 이하)을 초과하였으므로 넙치의 경우 간 또는 다른 장 조직의 식품 사용이 적합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국내 사료의 카드뮴 허용기준 2 mg/kg (수산동물용 배합사료)은 사료 안전성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사육기간과 어체의 성장단계에 따라 카드뮴의 대사 메커니즘이 차이가 있다고 판단되어 향후 이와 관련한 추가적인 연구 수행이 필요하다.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dietary mercury levels in Korean rockfish and of dietary cadmium levels in olive flounder to develop an experimental model for food safety guidelines of the heavy metals in cultured fishes. The first study (Experiment 1) investigated effects of dietary inorganic and organic mercury levels on mercury accumulation in various tissues, plasma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lysozyme activities, hematological changes, and growth performance in growing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In the second study (Experiment 2), effects of dietary cadmium levels on cadmium accumulation in various tissues, plasma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lysozyme activities, hematological changes, and growth performance in sub-adlut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he experimental model developed through carrying out the current studies can be applicable to other aquaculture species and harmful heavy metals, ultimately contributing to securing food safety for cultured fishes. 1. Effects of dietary inorganic and organic mercury (Hg) levels on tissue accumulation,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hematologcial changes, and growth performance of growing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To develop an experimental model for evaluation of a safety guideline of dietary mercury (Hg),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dietary inorganic and organic Hg levels on tissue accumulation, plasma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lysozyme activities, hematological changes, and growth performane of growing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 fish meal-based diet without Hg addition was used as the control diet. Eleven diets were prepared by addition of five different levels (0.4, 0.8, 1.6, 3.2 and 6.4 mg/kg) of either inorganic or organic Hg. Triplicate groups of fish (individual weight of 81.5g) were fed one of the test diets for 12 weeks. After the 1, 2, 4, 8 and 12 weeks of feeding, fish were sampled to analyze Hg accumulation in dorsal muscle, liver, kidney, and intestine tissues. The concentrations of total Hg in each of the tissues were analyzed by using the direct Hg analyzer. We assessed the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by plasma SOD and lysozyme activities. Hematological parameters, including ALT, AST, total proteins, and glucose were measure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Hg source and level in total Hg accumulation in muscle, liver, and kidney tissues except for the intestine (P<0.0001). Feeding of the diet containing 6.4 Hg mg/kg diet for 12 weeks resulted in accumulation of total Hg in the various tissues as follows: intestine (12.87 Hg mg/kg) > kidney (3.06 Hg mg/kg) > liver (0.62 Hg mg/kg) > dorsal muscle (0.18 Hg mg/kg). Mercury accumulation of the dorsal muscle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inorganic Hg levels of 0.4, 0.8, 1.6, 3.2, and 6.4 Hg mg/kg diet for 12 weeks was shown as 0.08, 0.07, 0.10, 0.07, and 0.18 Hg mg/kg,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the dietary exposure of inorganic Hg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accumulation of Hg in the dorsal muscle. On the other hand, Hg accumulation of the dorsal muscle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the organic Hg same as the inorganic Hg levels was exhibited such that Hg concentrations of the dorsa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organic Hg (P<0.0001). Mercury accumulation of the liver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inorganic Hg levels of 0.4, 0.8, 1.6, 3.2, and 6.4 Hg mg/kg diet for 12 weeks was shown as 0.03, 0.05, 0.09, 0.36, and 0.62 Hg mg/kg, respectively, whereas that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the organic Hg same as the inorganic Hg levels was exhibited as 0.49, 0.89, 1.82, 4.97, and 8.73 Hg mg/kg.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Hg accumulation of the liver of fish fed the inorganic diets, Hg accumulation of the liver of fish fed the organic diet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Hg levels (P<0.0001). Mercury accumulation of the kidney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inorganic Hg levels of 0.4, 0.8, 1.6, 3.2, and 6.4 Hg mg/kg diet for 12 weeks was shown as 0.06, 0.16, 0.59, 1.21, and 3.06 Hg mg/kg, respectively, whereas that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the organic Hg same as the inorganic Hg levels was exhibited as 0.35, 1.00, 2.52, 5.54, and 10.57 Hg mg/kg. Regardless of the dietary Hg source, Hg accumulation of the kidne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Hg levels (P<0.0001). Mercury accumulation of the intestine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inorganic Hg levels of 0.4, 0.8, 1.6, 3.2, and 6.4 Hg mg/kg diet for 12 weeks was shown as 0.32, 0.43, 1.01, 2.66, and 12.87 Hg mg/kg, respectively. The pattern of changes in Hg accumulation of fish fed the organic Hg-contained diets was similar to what fish fed the inorganic Hg-contained diets, showed as 0.33, 0.71, 1.70, 4.61, and 11.34 Hg mg/kg.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the Hg levels, whereas there was no main effect of the Hg source (P<0.0001).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Hg source and level in plasma SOD activity (P<0.05). Plasma SOD activity of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6.4 inorganic Hg mg/kg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0.4, 1.6, and 3.2 inorganic Hg mg/kg diets (P<0.05). Although plasma SOD activity of fish fed the graded organic Hg-contained diet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Hg level, overall that of fish fed the organic Hg-contained die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the inorganic Hg-contained diet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Hg source and level in plasma lysozyme activity (P<0.001). Plasma lysozyme activity of fish fed the graded inorganic Hg-contained diets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Hg level, whereas that of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1.6, 3.2, and 6.4 organic Hg mg/kg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the inorganic Hg-contained diets and the diet containing 0.4 and 0.8 organic Hg mg/kg die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rganic Hg had more toxic effects in the rockfish. Mercury accumulation of the dorsal muscle (i.e., edible portion) of fish fed the graded inorganic Hg-contained diets ranging from 0.4 to 6.4 Hg mg/kg diet did not exceed the domestic maximum allowed level of Hg in seafoods (<0.5 Hg mg/kg). On the other hand, Hg accumulation of the dorsal muscle of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0.4 organic Hg mg/kg diet was nearly closed to the maximum allowed level of Hg. Mercury accumulation of the liver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0.4, 0.8, and 3.2 inorganic Hg mg/kg diet did not exceed the maximum allowed level of Hg, whereas that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organic Hg greater than 0.4 Hg mg/kg diet exceeded the maximum allowed level of Hg. Mercury accumulation of the kidney and intestine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0.4 and 0.8 inorganic Hg mg/kg diet did not exceed the maximum allowed level of Hg, whereas that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organic Hg greater than 0.4 Hg mg/kg diet exceeded the maximum allowed level of Hg. Taken together, the domestic maximum allowed level of Hg (0.4 mg/kg diet) for aquafeeds seems to be safe for seafood safety. It is necessary to set a maximum allowed level for organic Hg because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Korean rockfish in response to dietary inorganic and organic Hg were dependent on the Hg source. Because duration of feeding and developmental stages would influence metabolism of Hg in the Korean rockfish,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2. Effects of dietary cadmium (Cd) levels on tissue accumulation,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hematologcial change and growth in sub-adult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o develop an experimental model for evaluation of the dietary safety guideline of cadmium (C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dietary Cd levels (CdCl2) on tissue accumulation,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hematological changes, and growth performanc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he semi-purified diet (fish meal, casein, and gelatin were used as protein source) without Cd addition was used as a control diet. Six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0 (Cd0.3), 2 (Cd2), 5 (Cd5), 10 (Cd10), 50 (Cd46) and 100 (Cd93) Cd mg/kg diet were prepared. Sixty-four fish (individual weight of 404 g) in each tank were fed the test diets for 10 weeks. After 1, 2, 4, 7 and 10 weeks of feeding, fish were sampled to analyze Cd content in dorsal muscle, liver, kidney, and intestine tissues. The concentrations of Cd in each tissue were analyzed by using ICP-OES. We assessed the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by plasma SOD and lysozyme activities. Hematological parameters, including ALT, AST, total proteins, and glucose were measured. Cadmium concentrations in the intestine, liver and kidney tissu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feeding time and dietary Cd level (P<0.05). Feeding of the diet containing 93 Cd mg/kg diet for 10 weeks resulted in accumulation of Cd in the various tissues as follows: liver > intestine > kidney > dorsal muscle. Feeding of the diets containing 2~46 Cd mg/kg diet for 10 weeks resulted in accumulation of Cd in the various tissues as follows: intestine ≥ liver > kidney > dorsal muscle. Cadmium accumulation of the dorsal muscle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Cd levels of 0, 2, 5, 10, 46, and 93 Cd mg/kg diet for 10 weeks ranged from 0.01 to 0.04 Cd mg/kg. Cadmium accumulation of the liver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Cd levels of 0, 2, 5, 10, 46, and 93 Cd mg/kg diet for 10 weeks was shown as 1.7, 2.6, 2.3, 4.6, 25.7, and 32.2 Cd mg/kg, respectively. Cadmium accumulation of the kidney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Cd levels of 0, 2, 5, 10, 46, and 93 Cd mg/kg diet for 10 weeks was exhibited as 0.3, 0.6, 0.3, 0.8, 4.3, and 6.9 Cd mg/kg, respectively. Cadmium accumulation of the intestine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Cd levels of 0, 2, 5, 10, 46, and 93 Cd mg/kg diet for 10 weeks was shown as 0.9, 4.9, 12.0, 20.2, 25.1, and 24.4 Cd mg/kg, respectively. The accumulation of Cd in all tissues except for the dorsal muscl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dietary Cd levels (P<0.05). Plasma SOD activity of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2, 5, 10, 46, and 93 Cd mg/kg diet for 10 week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fish fed the control diet. In addition, this activity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dietary Cd levels. Plasma AST and gluocse levels of fish fed the Cd93 die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control diet (P<0.05). These levels did not differ among fish fed the Cd2, Cd5, Cd10, and Cd46 diets.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of fish fed the Cd46 and Cd93 die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Cd2, Cd5, and Cd10 diets (P<0.05). Cd accumulation of the dorsal muscle of fish fed the Cd-contained diets ranging from 2 to 93 Cd mg/kg diet did not exceed the domestic maximum allowed level of Cd in seafoods (<0.2 Cd mg/kg). On the other hand, Cd accumulation of the liver, kidney, and intestine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Cd greater than 0.3 mg/kg diet exceeded the maximum allowed level of Cd. Taken together, the domestic maximum allowed level of Cd (2 Cd mg/kg diet) for aquafeeds seems to be safe for seafood safety. Because duration of feeding and developmental stages would influence metabolism of Cd in the olive flounde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