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창의성 사고기법을 활용한 방과 후 보컬 수업 교수-학습 지도안 연구 : A Study on teaching-learning method for After-School vocal music class based on creative thinking skills

        이다연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eople's interest in change and innovation in all areas is increasing.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s of the times, it is necessary to study new and creative talents and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in Korean education. In the revised music and curriculum of 2015, it is proposed to understand how to organize and express music and to express it creatively by learning the performance of the performance. Although the research on creativity is actively conducted and the curriculum is suggested, it is considered important. However, in the school music class of the public education, most of the classes are conducted only in the vocal learning and appreciation learning while ignoring the various research and revision curriculum. Many teachers have not been able to properly present systematic concepts and curriculum related to 'creativity' during music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reative techniques and to design creative ideas appropriate for vocational lessons in middle school after school and to design effective instructional voc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reativity and various creative techniques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concept of creativity and understanding of creativity, necessity, and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music education were presented. We reviewed creative thinking methods and examined related literature. We reviewed creative thinking methods and examined related literature.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present situation of after - school music class was analyzed. After designing teaching - learning instruction using creative thinking technique and after class after middle school after school, we studied the transition and acceptance degree of vocal teaching by applying creative technique according to learning activity place. The creative technique, the scamper technique, the color vision thinking technique, and the mind map technique, were composed of a total of six classes, namely, a scamper technique 3, a coloring accident model 1, and a mind map 2 designation. In order to make meaningful creative after - school vocal lessons, we made it possible to reach the learning goal through various compositional activities and various compositions. Through creative techniques, I plan to approach the activities to sing songs that fit the vocal class. In the first and second vocal class using the technique of scamper, we understood the concept of the scamper technique and selected 'I believe I can fly' song as the song. In the first stage of the scamper technique, 'transforming' was applied, and in the second period 'singing' was applied. In the third lesson class, 'fly me to the moon' was selected and the song was singed by applying the rearrangement of the scamper technique. In the first stage vocal class using the color vision thinking technique, the students learned the concept of the color vision thinking technique and applied the color vision thinking technique to teach the song 'Goose dream'. In the first vocal class using the mind map technique,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mind map technique, selecting a simple song that can express 'I' In the second grade class, I made a mind map with the theme of 'I' and conducted a class that could search for a song suitable for me with the result. As a result, we applied creative techniques to vocal lessons after school, so that students could sing, so that it was not difficult to understand the songs and to get ideas to feel the emotion of the songs. Students who have applied creative techniques have increased interest and interest in after-school classes. Vocal lessons using creative techniques showed the results of other students to listen to the other students' thoughts. In addition to research on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learning to promote creativity in music education, research on various after-school vocal classes using creative techniques should be continued. I also hope this study will help many vocal instructors to try effective creativity education. keyword: "vocal", "creative techniques", "education", "after-school", "vocal lessons"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모든 분야의 변화와 혁신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현재 우리나라 교육에서도 새롭고 창의적인 인재양성과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에서도 음악의 구성 및 표현 방법을 이해하고, 연주 기능을 익혀 창의적으로 표현한다는 목표가 제시되어 있다. 이렇게 창의성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교육과정도 제시되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지만 현재 공교육의 학교 음악수업은 다양한 연구와 개정교육과정은 무시한 채 대부분의 수업이 가창학습과 감상학습으로만 진행되고 있다. 아직까지 많은 교사가 음악 수업 중 ‘창의력’과 관련하여 체계적인 개념과 커리큘럼을 제대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는 창의적 기법들을 알아본 후 중학교 방과 후 보컬수업에 적절한 창의적 기법을 선정하고 지도안을 설계하여 실제 보컬수업에 적용시켜 효과적인 창의적 보컬수업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내용은 선행연구를 통해 창의성에 대한 이해와 여러 가지 창의적 기법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보컬수업에 효과적인 창의적 기법을 선정하고 수업 지도안을 설계하여 실제로 중학교 방과 후 보컬 수업에 적용시켜 보았다. 적용 후 학습 활동지를 통해 학생들이 창의적 사고기법을 적용한 보컬 수업에 대한 수용 정도를 연구 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창의성의 이해와 필요성, 창의성의 개념을 알아보고, 창의성과 음악교육의 연관성을 제시하였다. 창의적 사고기법들에 관해 살펴보고 관련 문헌들을 검토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 현재의 방과 후 학교의 음악 수업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였다. 창의적 사고기법을 적용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설계하고, 중학교 방과 후 수업을 한 후, 학생들에게 학습 활동지에 따른 창의적 기법을 적용한 보컬 수업에 대한 생각의 전환과 수용 정도를 연구하였다. 창의적 기법인 스캠퍼 기법과 육색사고모 기법, 마인드 맵 기법을 각각 스캠퍼 기법 3차시, 육색사고모 1차시, 마인드 맵 2차시로 총 6차시로 구성하였다. 의미 있는 창의적 방과 후 보컬 수업을 위해 기법별 제재곡과 다양한 창의적 활동을 통하여 학습목표에 도달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창의적 기법을 통하여 보컬 수업에 맞는 노래를 부르는 활동으로 접근하는 지도 계획을 세웠다.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1, 2차시 보컬 수업은 스캠퍼 기법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I believe I can fly' 노래를 제재곡으로 선정하였다. 스캠퍼 기법중 1차시에는‘변형하기’, 2차시에는 ‘결합하기’를 적용하여 노래를 부르는 수업을 진행하였다. 3차시 수업에는 ‘fly me to the moon' 노래를 제재곡을 선정하여 스캠퍼 기법 중 ‘재배열하기’를 적용하여 노래 부르는 수업을 진행하였다. 육색사고모 기법을 적용한 1차시 보컬 수업은 육색사고모 기법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육색사고모 기법을 적용하여 제재곡‘거위의 꿈’을 노래 부르는 수업을 진행하였다. 마인드 맵 기법을 적용한 1차시 보컬 수업은 마인드 맵 기법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나’를 표현 할 수 있는 간단한 노래를 선정하고 불러보는 수업을 진행하였다. 2차시 수업에서는 ‘나’를 주제로 마인드 맵을 작성하고, 그 결과를 가지고 나에게 어울리는 노래를 찾아 부를 수 있는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방과 후 보컬 수업에 창의적 기법을 적용시켜 학생들에게 노래를 부르게 함으로써 노래를 이해하고 노래의 정서를 느낄 수 있는 아이디어의 도출을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었다. 창의적 기법을 적용시킨 수업에 학생들은 방과 후 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도가 높아졌다. 창의적 기법을 적용한 보컬 수업은 다른 학생들의 결과물도 함께 들어보며 상대방의 생각도 존중해 줄 수 있는 결과가 나타났다. 음악교육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학습에 효과적인 수업 지도 방안의 연구와 더불어 창의적인 기법을 적용한 다양한 방과 후 보컬수업에 대한 연구도 계속 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가 효과적인 창의성 교육을 시도하려는 많은 보컬 강사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주제어: "창의성사고기법", "보컬", "실용음악", "보컬지도안", "창의적기법", "방과후", "방과후보컬"

      • Textile기법을 이용한 장신구 표현

        김수진 경기대학교 조형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 예술의 특징 중의 하나는 각 장르간의 유기적 상호교류를 통하여 밀접한 연관성과 다양성의 공존에 있다 하겠다. 공예분야 또한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바탕으로 보다 폭넓은 조형가능성이 모색되고 있으며 그 표현범위가 확대, 발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금속 장신구제작에 섬유예술의 텍스타일(Textile)기법을 적용하여 장신구의 기능적인 면을 고려함과 동시에 다양한 표현방법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장신구 표현방법의 과정을 다음의 세 가지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첫째, 역사적으로 인간이 사용했던 여러 종류의 물품 중에서 텍스타일기법- 금속 및 섬유 또는 혼합제를 이용한- 으로 제작된 사례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예는 의복, 장신구, 공예품 등의 생활신변용품에서 함께 쓰여졌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표현형식을 몇 가지로 나누어 보았다. 둘째, 금속에 사용할 수 있는 텍스타일기법의 종류와 특성을 알아보았다. 텍스타일기법에는 선재 또는 판재 형태의 금속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여러 가지 형태의 금속재, 그리고 다양한 텍스타일기법의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장신구의 표현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셋째, 제작과정을 통해 금속을 재료로 한 텍스타일기법의 특징, 장신구 제작방법, 마감처리 등을 알아보았다. 디자인은 가능한 단순화시켜 제작하였으며, 금속 장신구 제작에 텍스타일기법의 특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표면 질감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본 연구자는 결론적으로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텍스타일기법이 갖고 있는 유연성과 용이한 형태변형의 장점을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금속 장신구로 표현함에 있어서 기능적인 면을 강조하고 더 나아가 폭넓은 조형적 가능성과 심미성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은 앞으로 본인의 독창적인 조형 세계의 폭을 넓히는 계기를 마련해주리라 생각된다. A feature of the modern art is a co·existence of a relevancey and a diversity through an organic inter-exchange between each Genre. Basing on diverse materials and techniques, a wider formative possibility is attempted and its range of the expression is enlarged and improved in the area of the craft. Therefore, the writer of this study tried to attempt various ways of expression in the manufacture of the metal jewelry through applying the textile technique of fiber art, as well as the consideration for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ornaments. For this purpose, three courses for the expression method of the jewelry have been studied: At first, the cases made by textile techniques -making use of the metal, fiber or the mixture- have been researched among a lot of goods historically used by humanbeings. This kind of example has been applied to the personal ornaments in one's life, such as costumes, jewelries and industrial arts, which could be divided into several ways of its expression. At second, the kinds and the features of the textile techniques using metals has been examined. As textile techniques, both ways could be used here, i.e. metal wire and sheet materials. Through an understanding like these various types of metal materials and the feature of the various textile techniques, the possibility expressing jewelries have been attempted. At third, the feature of the textile technique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jewelry and the way of finishing, the material of which is metal, have been examined through the course of the work. Its designs have been simplifi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relating various quality effects of the surface have been tried to get under the principle, to make use of the feature of the fabric textile techniques to the metal jewelry manufacturing more effectively. As a result, in this study, the merits of the flexibility in the textile techniques and easier transformation of its forms have been presented and the functional aspect in the metal jewelry expression has been emphasized, as well as the attempt for a wider formative possibility and esthetic nature, which is thought to be a good opportunity for the writer of this study to widen the world of the creative modelling in the future.

      • AHP기법을 이용한 건설노동생산성 저하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표영민 東義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건설현장에서 프로젝트 전체 또는 일부의 공종에서 작업 수행 시 기후, 공기촉진, 설계변경, 관리방법, 프로젝트 특징, 잔업, 작업원의 혼잡, 조기점유 등의 생산성 저하요인이 종종 발생한다. 이 같은 요인들은 건설 사업에서 가장 의존도가 높은 인력의 작업능률을 떨어뜨리는 이유가 되며 이는 노동생산성의 저하로서 전체 프로젝트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와 같은 노동생산성의 저하는 단일작업 혹은 후속작업에도 공기지연이나 작업계획상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사비의 상승을 초래한다. 그리고 공기지연은 노동생산성의 저하나 현장 특성에도 불구하고 공기 준수의 필요성에 의해 공기촉진을 유발하는 사건으로 작용하여 클레임이나 분쟁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으며 정량화 되지 않은 노동생산성의 영향 정도는 법적이나 계약적인 증명이 어려우므로 시공사의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건설업에 있어서 생산성은 포괄적인 의미로만 사용되고 있어 실무에서의 적용은 매우 미약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노동생산성을 향상 또는 저하시키는 인자들은 그 영향 정도가 개략적이고 정성적인 평가로서 문헌 고찰이나 작업분석에 의해 판단되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체계적인 측정 및 관리상의 어려움으로 노동생산성의 향상 및 손실을 야기하는 생산성 저하 인자들의 각각의 영향 정도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생산성관리와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은 생산성의 측정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을 뿐 평가에 대해 고려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노동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별로 그 중요도의 분석은 노동생산성이 가지는 정성적인 특징 때문에 규명 할 수 없었던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노동생산성 저하요인에 대하여 Delphi기법을 활용하여 전문가 패널의 의견을 수렴한 노동생산성 저하요인들의 추출을 실시하였으며 추출된 요인들을 Saaty의 AHP기법을 이용하여 정성적이고 주관적인 노동생산성 저하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정량적이고 객관화된 평가를 실시하고 Delphi와 AHP기법을 이용하여 정성적인 인자들의 정량화 평가를 위한 실증적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기존 문헌과 선행연구를 분석, 정리하여 건설노동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요인들에 대하여 설계변경, 공기촉진, 관리특징, 프로젝트 특징, 노동 · 근로의욕, 위치 · 외부조건으로 분류하였다. 2) Delphi기법을 활용하여 노동생산성 저하요인의 대분류 인자들에 대한 하위 소분류 인자들과 각 인자들 간의 상대적인 영향정도에 대하여 전문가 패널의 응답을 통해 추출하였다. 3) 노동생산성 저하요인의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계층분석법(AHP)을 이용한 가중치 산정방법을 제안하였고, 그 논리적 일관성을 검증한 결과 Delphi기법에 의해 추출된 인자의 영향정도가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4) 주관적인 판단에 근거한 정성적인 인자들에 대하여 정량적이고 계량적인 평가가 가능한 분석방법으로서의 Delphi기법을 활용한 인자의 추출, AHP기법을 이용한 중요도 산정의 프로세스를 가지는 실증적 분석방법을 제시한다. 5) 제안된 실증적 방법론인 Delphi와 AHP기법의 적용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현장조사를 통한 노동생산성 저하요인의 추출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분석방법과 현장조사를 통해 추출된 노동생산성 저하요인의 영향정도에 있어서 인자간의 상대적인 측정치는 유사하게 나타나 Delphi기법을 통한 의견수렴이 유의미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Delphi기법을 통한 인자간의 영향정도의 차이가 현장조사를 통한 인자간의 차이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의견조정의 단계를 거치는 Delphi기법의 특성상 전문가 패널의 응답이 수렴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Delphi기법의 이러한 특성은 향후 영향력이 비슷한 수준의 정성적인 인자들의 평가에 있어서 인자간의 좀더 명료한 차이를 나타낼 수 있어 그 활용이 더욱 확대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Usually, processing whole project or a part of frame work delays due to acceleration, changing orders, management, characters of projects, overtime, worker crowding, early occupation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Through a whole project, these factors cause decreasing construction labor-productivity which is the most dependent in business of construction. These kind of decreasing of construction labor-productivity cause many negative effects, just as extension of time, increasing cost in project of construction. Regardless of characters of construction or decreasing labor-productivity, extension of time is a incident which needs acceleration, also it cause a high possibility of claim and dispute. The productivity has just a broad meaning in business of construction. That's why it's difficult to apply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Especially, factors increasing or decreasing labor-productivity is defined by analysls of working as qualitative and outlined evaluation. However, study of the each factor decreasing construction labor-productivity analysis has not researched, because of difficulty of systematic measurement and management. The existed studies about management of productivity are just focused on estimation of productivity, not on evaluation of productivity. It was true that I couldn't examine clearly about the analysis of how much important per each the factor which have influence on labor-productivity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as qualitative that the labor productivity have On this study, i tried to get the factors decreasing of labor-productivity with gathering opinions of panels of expert's studies about the factors decreasing of labor-productivity on project of construction through Delphi method and i evaluated the result factors as quantitatively and subjectively about importance of factors decreasing construction labor-productivity Analysis, using AHP Method by Saaty. Also, using Delphi and AHP method, I suggest substantiated method qualitative factors are measured by quantitative criteria. These are results through on processing of this study. 1) Through analysis of the existed data and thesis, I categorized these factors decreasing conshlction labor-productivity These factors are followings (changing orders, acceleration, character of management and project, labor motivation, location, extemal factors) 2) Using Delphi method, I extracts relatively how much effect each other lower grade factor about high grade factors decreasing construction labor-productivity from panel of expert's responds 3) For how important to evaluate factors decreasing construction labor-productivity, I suggest computation of weight using AHP. From results of verified logical unity, the influence between extracted factors by Delphi method has reliance. 4) T extract factors from applied Delphi method as a quantitatively evaluated method about qualitative factors which is based on subjective judge. I suggest substantiated method which has process of computative importance using AHP method. 5) To verify propriety of substantiated method, Delphi and AHP method, I researched site investigation and extracts factors decreasing construction labor-productivity. Then I confirmed that each extracted factor's relative measurement are very similar. I recognize a big difference between factors how much influenced each other from Delphi method in site investigation. This is from a panel of expert's responds because of arbitration of opinions which is character of Delphi method. This characteristic of Delphi method has a huge possibility to apply in evaluating qualitative of similar level of factors.

      • 유선칠보기법을 활용한 길상무늬함 작품제작 연구

        임희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한국의 전통금속공예기법인 칠보(七寶) 중 유선 칠보 기법을 활용한 작품 제작과 그 제작 과정을 상세히 정리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선 칠보 기법을 활용하여 제작한 각각의 6세트 작품에 있어서 제작 진행 과정을 순차적으로 상세히 기록하여 유선 칠보 기법의 전통기술 계승의 토대를 마련하고, 기술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칠보의 기원은 고대 이집트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후 유럽으로 전래 되어 비잔틴 시대에 성행하였다. 실크로드를 통하여 동아시아로 전래된 칠보는 한국·중국·일본 등 각 나라의 문화와 개성을 담아 계승·발전하였다. 한국의 칠보는 신라 시대 경주 금령총에서 발견된 금제가는고리귀걸이를 통하여 살펴보았을 때 삼국시대부터 그 원형이 확인되며, 고려·조선 시대를 지나 현재까지도 이어져 내려오는 전통금속공예기법 중 하나이다. 이렇게 전래 되어 계승·발전된 칠보에는 다양한 기법이 존재한다. 그중 유선 칠보 기법은 금속판 위에 다양한 금속선을 원하는 문양에 따라 모양을 만들어 세운 뒤 금속선 사이에 칠보 유약을 채워 구워내는 기법이며, 섬세하고 화려한 문양 표현과 다채로운 색상 표현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선 칠보를 제작함에 있어 금속 동판을 활용하고 둥근 은선(丸銀線)을 눌러 만든 납작 은선을 사용하였다. 바탕 금속 동판을 활용해 칠보의 투명 유약과 불투명 유약을 다양하게 사용하였고, 금속선의 두께는 얇아지고 높이는 높아진 납작 은선을 사용해 더욱 유선 칠보 기법의 특유의 특징인 섬세한 문양 표현과 다채롭고 풍부한 색 표현이 가능하도록 진행하였다. 작품을 제작하는 데 있어 유선 칠보 기법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기물 중심의 입체 작업을 시도하였으며 많은 종류의 기물 중에서 물건을 담아 보관할 수 있는 용도를 지니고, 오브제로서의 활용도 가능한 함(函)을 선택하였다. 물건을 담아 보관하는 함에 유선 칠보를 활용하여 기능적인 면에 심미적인 요소를 부여하고, 예로부터 길하고 상서로운 의미를 띄는 길상무늬를 넣어 기능적인 용도가 있는 함에서 귀하고 중요한 물건으로의 의미가 확장되도록 작품을 제작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전통문양인 길상무늬를 기반으로 문양을 새로이 도안화하고 이를 납작 은선으로 옮긴 뒤 칠보 작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작품에서 유선 칠보가 활용된 면적을 넓히고 가장 윗부분에 위치하여 칠보의 비중을 두었다. 물건을 담아내는 아래 함에 경우 금속 위에 칠보를 올리거나 옻칠을 사용해 표면을 마무리하여 칠보의 화려한 색상과 섬세한 은선 표현이 최대한 돋보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영롱하고 화려한 색과 섬세한 문양 표현을 위해 효과적인 납작 은선을 활용한 유선 칠보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현대 한국 칠보의 아름다움과 유선 칠보의 지속 발전 가능성이 보이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길상무늬의 전통적인 이미지와 귀중함을 담아내는 의미를 활용하여 함이라는 공예품을 제작해 조금이나마 한국의 전통 칠보와 문양의 아름다움을 토대로 현대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조인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이 유아의 가치부여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이 유아의 정서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이 유아의 행동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4.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이 유아의 규범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5.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이 유아의 감정이입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소재한 공립단설유치원에 재원중인 2학급 만 4세 유아 48명이다. 실험집단은 N단설유치원 만 4세 유아 24명(남 10명, 여 14명)이며, 통제집단은 N단설유치원 만 4세 유아 24명(남 10명, 여 14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집단은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 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누리과정에 따른 일반적인 유치원 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는 2015년 5월 13일(수) ~ 7월 17일(금)까지 10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한 권의 그림책과 관련한 배려 교육활동을 3일에 걸쳐 진행하는 것으로 총 8차시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배려적 사고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Lipman(2003)이 제시한 배려적 사고의 유형별 특성을 토대로 이춘희(2007)가 개발한 유아용 면접형식의 유아평가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전, 사후 검사 결과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의수준 p<.01으로 사후 검사 점수에서 사전 검사 점수를 뺀 증가분에 대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의 배려적 사고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둘째,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을 실시한 결과 유아의 배려적 사고의 하위요인 중 규범적 사고를 제외하고 가치부여적 사고(p<.01), 정서적 사고(p<.01), 행동적 사고(p<.01), 감정이입적 사고(p<.01)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은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은 유아의 배려적 사고의 가치부여적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은 유아의 배려적 사고의 정서적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은 유아의 배려적 사고의 행동적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은 유아의 배려적 사고의 규범적 사고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여섯째,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은 유아의 배려적 사고의 감정이입적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결론적으로,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은 유아의 배려적 사고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이근삼 희곡의 특성 연구

        정갑준 한양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근삼은 1960년 단막극 <원고지>를 시작으로 40여 년간 60여 편의 작품을 발표하여 우리나라 현대 희곡사에 의미 있는 극작가로 자리 매김하였다. 대학 강단에서 연극과 희곡을 강의한 이론가였을 뿐만 아니라, 극단 대표를 역임하는 등 연극사에서도 그의 공헌은 지대하였다. 특히 그는 미국에서 유학을 하면서 체험한 새로운 연극 경향을 적극 수용하고 한국에 전파함으로써 우리 현대극의 다양화와 질적 향상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지금까지 이근삼 희곡에 대한 연구 경향을 개관하면 이근삼이 ‘근대의 한국 희곡을 현대의 한국 희곡으로 안내한 선각자이자 비사실주의적 희극작가’라는 평가에 드러나는 것처럼 대체로 희극 측면에 집중되어 있다. 즉 이근삼 희곡의 연구 방향이 ‘비사실주의적 요소에 관한 연구’, ‘희극적 특성에 관한 연구’ 등이 주류를 이룬다. 그래서 연구 대상도 1960~1970년대의 실험극들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본고는 위와 같은 연구 경향에 대한 문제 제기로부터 이루어졌다. 특히 이근삼이 유명을 달리한지도 벌써 10여 년이나 지난 만큼 좀 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고 보아 본고에서는 그의 희곡 전체를 대상으로 그 특성을 고찰하여 희곡사적 위상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이근삼 희곡의 특성을 추출하기 위해 주제, 극적 형식, 표현 기법 등 크게 세 가지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1950년대까지의 한국 희곡은 사실주의 희곡에 치우쳐 있었기 때문에, 이근삼의 반사실주의 기법들에 연구에 초점이 맞춰 질 수 밖에 없었다. 미국에서 연극을 공부하고 돌아온 그는 여러 가지 표현기법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했고, 사실주의 기법과는 다른 기법들은 분명히 눈에 띌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경향은 이근삼이 창작 초기에 썼던 몇몇 작품들에 대한 평가를 소홀하게 만들었다. 물론 이근삼 자신이 희곡집을 편찬하면서 그에 해당되는 작품들을 포함하지 않은 것도 한 이유가 되겠지만 말이다. 그러면서 이근삼은 비사실주의 극작가라는 고정된 평가를 받게 된다. 비사실주의 극작가라는 고정된 개념은, 이근삼 창작후기의 대표작이라고 볼 수 있는 <막차 탄 동기동창>에 대한 또 다른 오해를 불러 온다. 사실주의 형식에 가까운 이 작품들을 근거로 ‘노작가의 용기 있는 자기탈피’라는 평을 만든다. Ⅱ장은 주제에 관한 연구로서, 이근삼 희곡에 나타나는 매우 다양한 주제를 유형화시켜 보았다. 이근삼 자신이 체험했던 사회의 환경과 그 자신의 인생에 따라 주제는 변모의 모습을 보인다. 전쟁이 끝나고, 4ㆍ19, 5ㆍ18과 같은 굵직한 사건들이 많았던 1960년대 혼란한 상황 속에서 이근삼은 권력에 대한 비판과 그러한 세상을 살아가는 혼란한 인간의 모습, 그리고 아직까지 회복하지 못한 전쟁의 아픔을 작품 속에서 그리고 있다. 1970~80년대는 경제개발이라는 목표아래서 정치적ㆍ사회적 억압이 강한 시대였다. 이근삼은 비판의 강도를 조금 낮추고 직접적인 방법보다는 우회하는 방법을 택했다. 때로는 공익을 위한 캠페인성의 희곡들을 창작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뮤지컬을 창작하기 시작했다. 대부분의 뮤지컬들은 권선징악을 바탕으로 하는 인간의 보편적인 가치를 추구한다. 90년대 이후는 이근삼 자신이 노년기에 접어든 시기였다. 이전까지는 주로 사회적 관심사를 표현하려고 노력했다면, 이 시기부터는 관심이 상당히 변화된다. 즉 희곡작가로서, 극 이론가이자 교수로서, 또 극단의 대표로서 연극계에 몸 담아온 세월을 돌아보고, 자신의 인생을 반추하며 자신과 비슷한 연배의 사람들에게 그 시선을 돌리고 있음이 확인된다. 이근삼은 고집스럽게 자신의 길을 지키며 살아왔지만 사람들에게 인정받지 못해 소외된 노인들의 이야기를 작품 속에 담았다. 함께 연극을 위해 일해 온 연극인들에 대한 회고와 따끔한 비판을 아끼지 않는 작품들이 이근삼 희곡의 대미를 장식한다. 이근삼에 대한 중요한 평가 중 하나는 본격적인 희극작가라는 것이다. 이에 대한 평가의 재고를 바라는 입장에서 Ⅲ장을 기술한다. 1950년대까지의 한국 희곡이 사실주의에 치중되었을 뿐 아니라 비극적 성향을 띠는 작품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러한 환경에서 이근삼의 희극 작품들은 분명히 희곡사적으로 의미 있는 가치를 가진다. 다만 그 외에도 주목할 만한 작품들이 있다는 것과 희극적 작품에 연구가 집중된 결과로, 비극, 희비극 그리고 대중극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다는 점에 필자는 초점을 맞춘다. 특히 비극과 대중극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었으므로 이근삼 희곡에 관한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데 어느 정도 기여하리라 본다. 따라서 이근삼의 작품들 중에서 희극, 비극, 희비극, 멜로드라마를 대표할 수 있는 몇 몇 작품을 들어 분석해 보았다. 이근삼은 희극에 못지않게 다른 형식의 작품들도 왕성하게 창작했음을 밝혔다. 본고는 그의 표현기법 연구를 진행하면서, 사실주의 기법을 그의 대표적 표현기법으로 다른 비사실주의 기법과 함께 다루었다. 따라서 Ⅳ장은 서사극적 기법, 표현주의적 기법, 부조리극적 기법, 그리고 사실주의적 기법으로 구성된다. 작품을 선택함에 있어서도, 전집을 기준으로, 초기, 중기, 후기의 작품을 골고루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이근삼이 1960년대에도 비사실주의 기법만을 활용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으로 해서 그를 단순히 비사실주의 극작가로 한정하는 것에 대해 재고가 필요함을 제기했다. 또한 그가 사용했던 극적기법들이 흘러가는 시간에 따른 변화 없이 꾸준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보여줌으로 그가 창작 후기에 들어 작품 양식이 변화했다는 평가에 대한 반증도 제시했다. 본고는 40여 년에 걸친 60여 편의 이근삼 희곡에 대한 전체적인 조망을 시도하였으며. 한국 희곡사에서 그의 위상에 대해 재조명해 보았다. 그는 한국 희곡에 현대의 시작을 알렸고, 다양한 극적 기법을 통해 실험극의 가능성을 높였으며, 극형식의 지평을 넓혔다. 사회에 대한 그의 관심과, 그 속에서 소외된 자들에 대한 애정, 그리고 희곡 창작에 대한 열정은 후대의 극작가들에게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의 이러한 업적은 한국 희곡과 연극에 지대한 공헌으로 남아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이근삼, 한국 희곡, 사회의 환경, 권력, 뮤지컬, 표현기법, 극의 양식, 서사극, 표현주의극, 부조리극, 사실주의 극, 극의 형식, 희극, 비극, 희비극, 멜로드라마

      • 수용미학 관점에서 본 패션논평에 관한 연구 : 중국 패션 블로그 'gogoboi'를 중심으로

        리, 샤오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SNS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패션 블로그는 새로운 미디어로써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다. 패션 블로그는 전통 종이잡지보다 전파 속도가 빠르고 정보를 얻는 방법이 더 간편할 뿐만 아니라 영향력도 더 크다. 따라서 블로그에서 패션 논평은 패션 사진과 더불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패션논평의 주된 평가자는 독자들이다. 독자들의 반응과 기대에 따른 예술작품의 창작을 주창하는 수용미학은 1960년대 독일의 야우스가 제창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야우스의 수용미학을 패션에 도입하여 중국 블로그 고고보이(gogoboi)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첫째, 수용미학 관점을 토대로 수용유형을 살펴보며, 예술논평에서 나온 패션논평 기법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야우스가 말한 5가지 수용유형-연합적, 찬탄적, 동정적, 카타르시스적, 아이러니적-이 패션 블로그 고고보이의 패션논평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에 대해 알아본다. 셋째, 패션논평의 4가지 기법-묘사, 분석, 설명, 평론기법-이 수용미학 관점으로 볼 때 패션 블로그 고고보이에는 어떻게 적용되어 나타나는 가에 대해 살펴본다. 이는 앞으로 블로그 패션논평의 방향 제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들의 결과는 수용미학 이론을 도입해서 블로그 패션논평을 연구한 것이 타당하다고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패션논평은 문화와 인간의 미의식 표현의 전파 매개로써 앞으로도 수용미학과 계속 결합해서 재해석되고 재창조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본 연구는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연구 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실증적 연구로는 먼저, 연구대상은 세계 2위, 중국 1위의 717만 명의 팔로워 수를 가지고 있는 블로그 고고보이를 선정하였다. 고고보이 블로그에서 나온 패션논평 사례를 살펴보기 위해 2015년 1월 1일부터 2017년 3월 1일까지 매월 1일에 중국 소설 커머스 웨이보(weibo.com), 위챗(wechat)에서 나온 고고보이의 총 877개 패션논평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용미학 이론 중의 수용유형을 살펴보며, 수용미학에 의해 패션논평 기법을 살펴본 결과이다. 연합적 패션논평은 독자가 직접 참여하다는 논평으로 정의했다. 찬탄적 패션논평은 찬탄을 통해서 독자에게 의견을 제시하는 논평이다. 동정적 패션논평은 독자와 입장을 바꾸어 결론을 제안한다는 논평을 정의했다. 카타르시스적 패션논평은 휴식과 정화를 할 수 있는 논평이라고 정의했다. 아이러니적 패션논평은 조롱하는 논평으로 정의했다. 묘사기법은 평론자가 독자의 관점에서 보이는 패션 사진, 영화장면, 드라마 스틸에 대해 묘사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분석기법은 평론자가 독자의 관점에서 패션의 색채, 소재, 가격 스타일, 코디 등에 대해 해설하고 분석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설명기법은 평론자가 독자의 사고방식과 심미능력에 맞추어 패션이나 인물에서 드러난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의미와 패션 영감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평론기법은 평론자가 독자의 심미능력에 맞추어 독자들에게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게 패션 트렌드, 영화, 연예인이나 컬랙션 사진, 신규 아이템, 스타일에 대해 평론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둘째, 야우스가 말한 5가지 수용유형-연합적, 찬탄적, 동정적, 카타르시스적, 아이러니적-과 수용경향이 패션 블로그 고고보이의 패션논평에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에 대해 알아본 결과이다. 연합적 사례는 주로 시상식 연예인의 이미지 투표하거나, 독자와 의견을 교환하거나, 독자에게 선물을 주는 사례가 많이 나타났다. 찬탄적 사례는 주로 신규 트렌드, 아이템, 코디, 컬랙션에 대한 칭찬을 통해 독자에게 패션 소개하거나, 칭찬 받거나 주목 끈 영상을 통해 유행 추세와 풍조를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정적 사례는 주로 독자 입장을 바꿔 의상 코디 제안, 독자도 살 수 있는 의상 추천 등을 포함했다. 카타르시스적 사례는 주로 재미있는 패션쇼 현장에 대한 소개, 흥미로운 타문화 예술과 패션 스타일 소개, 즐거운 패션과 생활 방식 소개, 파스텔컬러의 색감이 있는 사진 등을 포함했다. 아이러니적 사례는 주로 연예인 스타일에 대한 조롱, 특별한 컬렉션이나 아이템에 대한 날카롭게 논평으로 많이 나타났다. 셋째, 야우스의 수용미학 기본 관점을 패션 블로그에 적용시켜 논평의 기법을 구체적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단일 논평기법은 독자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며 친밀감을 끌어내어 패션생활에 흥미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 논평기법은 작가의 생각을 독자들에게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고 독자 중심의 논평을 함으로써 논평기법으로는 더 유익하고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 영화음악기법분석을 통한 DAW음악제작연구 : 영화 <가치캅시다>를 중심으로

        김영삼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영화음악의 배경과 선행연구, 음악기법을 분석하고 영화 <가치캅시다>의 DAW(Digital Audio Work station)를 활용한 음악 제작을 연구 분석하였다. 영화 <가치캅시다>는 주한 미군 배속 한국군 카투사라는 독특한 설정을 통해 자신의 아픈 현실을 딛고 미군이 되고자 하는 주인공이 자신의 군대 후임들에게 서명을 받기 위해 일어나는 사건을 그린 장편 영화이다. 이러한 연구 분석 결과 다양한 영화음악의 기법을 활용한 새로운 시대의 음악 제작의 방향과 문제점, 시사점 등을 도출하여 4차 혁명 시대를 향하는 영화음악의 연구에 발전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그 중점을 두었다. 제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 범위와 방법을 설정하고 영화 음악의 선행된 연구에 대해 연구하였다. 제 2장에서는 영화음악의 정의, 개념, 무성영화와 유성영화, 70년대부터 시작되는 전자음악의 역사를 살펴본다. 또한 영화의 사례를 통한 영화 음악기법을 다양한 연구 논문 등을 통해 인용, 발췌하고 분석함으로써 영화에서 음악이 얼마나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음악기법을 5가지로 나누어 곡을 분석하였다. 라이트모티프 기법, 미키마우징 기법 미니멀리즘 기법, 불협화음 기법, 주크박스식 인용기법, 반어적 기법의 분석을 통해 영화 음악 기법의 의미와 특징이 적용된 곡을 분석한다. 제 3장에서는 장편영화 <가치캅시다>의 영화적 특징과 의의를 살펴보고 시놉시스를 통해 이 영화의 음악의 필요성을 살펴본다. 영화에 나타난 다양한 테마와 장르, 저 예산 등으로 DAW를 통한 음악 제작이 매우 효과적 일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음악 제작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영화음악기법, 장르, 가상악기, 가상공간들이 표현 될 수 있도록 하였다. Mac기반의 DAW인 Logic Pro X의 영화음악 제작을 통해 기존의 영화음악에서 연구한 음악적 기법을 활용하고 4차 혁명시대의 새로운 음악 제작 방식을 통해 영화음악을 제작 해보고 영상과의 관계를 통해 나온 음악을 각각의 장면을 통해 분석하여 영상에 적용해본다. 제 4장에서는 분석된 결과를 통해 DAW제작에 대한 결과인 다양한 기법, 장르, 가상 악기 및 플러그인, 테마와 시사점을 도출하여 그 의미와 방향을 연구 분석한다. 제 5장 결론에서 연구의 요약과 함께 4차 산업 혁명에 따른 기술의 발전과 그것을 통한 다양한 영화음악이 표현되어지고 연구되어져야 함을 제언함으로서 본 연구를 마무리한다. 본 연구는 기존 방식의 기법을 활용하여 존속한 미래의 진보된 기술을 더 함으로서 영화음악이 더욱 연구 발전 되어야 할 것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d backgrounds of film music, former researches, and music techniques, especially DAW(Digital Audio Work station) music production presented on the movie <We go together>. The study put emphasis on finding out the potential development on film music research heading toward the fourth revolution era by drawing directions, problems, suggestions of music production in new generations, which uses diverse film music technique. Chapter 1 set the goals, necessity, range, and methods, and discovered previous researches about film music. Chapter 2 searches the definition, concept, silent films and sound films, and the history of electronic music began in 1970’s. Moreover, through various researches or studies, film music techniques on movies are cited, extracted, and analyzed in order to find out diverse use of music in film-making. Also music technique of the song is analyzed and divided into five techniques. With analysis of Leitmotiv, Mickey Mousing, Minimalism, Disharmony, Juke Box Citing, Irony, the song closely focuses on applied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film music technique. Chapter 3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 and significance of a feature film <We go together>, and finds out the necessity of music in this film through synopsis. The study intends to uncover that the music production with DAW can be a highly effective way of production using different kinds of theme and genres and low-budget. This music production program helped many film music techniques, genres, virtual instruments, virtual spaces to appear in the movie. Logic Pro X, Mac based DAW, made it possible to use musical techniques studied in previous film music, a new way of music production in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nabled the film music to be produced, an analysis of each scene allowed the music related to the movie to be applied in the film. Chapter 4 brings about the consequence of DAW production: diverse techniques, genres, virtual instruments or plug-ins, themes and significance. So that the meaning and direction can be searched and analyzed. Chapter 5 concludes the whole study. Along with the summary, the study eventually suggests diverse film music, created from technical development of fourth industrial development, be expressed and studied. This study asserts that film music should be studied and improved further, using previous techniques and then adding future advanced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