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건축의 기하학적 이미지를 응용한 금속 조형 연구 : 구성주의 건축물을 중심으로

        남기열 京畿大學校 造形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9647

        오늘날 우리는 현대 문명이 갖는 복잡함과 이기적인 감정을 벗어나, 거짓되지 않은 현실을 추구하며 단순·명료한 상황을 찾고자 한다. 이러한 노력은 감성적 측면의 시각적 사고에서 다양한 욕구로서 표출되며, 또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무의식의 욕구에서 시작될 것이다. 그러한 단순·명료함을 조형 예술 분야에서는 기하학적인 형태를 통해 표현되어져 왔다고 하겠다. 따라서 20세기 추상 미술에서 보여지는 기하학의 분할 구성은 자연스러운 발로였으며 점차 순수 조형 예술뿐 만 아니라 외형상으로는 현대 기계 문명에도 상당부분 반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 건축에 나타난 기하학적 조형 요소를 건축물의 형태와 연계시켜 살펴 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의 작업에서는 금속재를 중심으로 현대적 이미지에 맞게 재구성하여 조형화하고자 했으며, 그 제작 의도를 밝히고자 연구의 목적과 방법 및 내용을 서술하였다. 본론에서는 기하학적 표현 양식의 전개에 대하여 개괄하고, 이에 대한 구성주의가 갖는 의미와 그 형식에 따른 조형적 특징을 서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건축물에서 나타난 기하학적 이미지를 금속의 구조적인 결합을 이용하여 조형성과 정돈된 미를 추구하는 공간 구성으로 형상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작품 전개에서는 명확성과 안정감을 내포한 기하학의 조형 요소들을 합리적이고 기능적인 역할을 갖출 수 있도록 재구성하여 구체적 대상으로 조형화시키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기하학적 조형 요소의 다양성을 알 수 있었으나, 형태상의 자유로운 변화에 있어서는 단순함으로 인하여 다소 제한적 한계를 느낄 수 있었다. 그러나 형태상의 균형과 조화를 추구하고 타재료와의 결합 및 표면의 추상적인 표현을 통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하학적 양식이 갖는 합리적이고 기능적인 면을 적극 수용하여 더욱 발전시킨다면 명확하고 간결한 이미지를 추구하는 현대인들을 위한 공간 구성에 대한 새로운 연구 과제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e moderns are trying to pursue a reality without any falsehood and simple and plain situation, freeing from the complicated and egoistic emotion of modern civilization. These efforts are shown as diverse needs in a visual thinking of espects, which originate from the unconscious needs to settle problems. At the same time, it is thought that the abovementioned simpleness and plainess are expressed through the form of the geometry in the area of formative arts. Consequently, partition constitution of the geometry was a natural expression, which has been shown in abstract arts of the 20 Century, and it could be gradually assimilated much not only into a pure formative arts but into modem mechanic civilization even in its shape. Consequently, in this study, geometric formative elements shown in constitutional construction has been formatively observed through connecting it with form of the construction. At the same time, reconstitution to modem image and expression of the metal materials have been expressed in the work of this writer, and the aim, method and contents of this study have been described through making clear the intent of the production. In the main discourse of this thesis, the development of the geometric expression style has been generalized and the meaning of the relevant constructivism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its style have been described. Basing on these, geometric image of the constructions have been expressed as a spacial constitution pursuing arranged beauty, using constitutional combination of the metal. Furthermore, in the development of the work the reconstitution and formation (as a concrete object) of the geometric elements have been attempted in order that these elements including certainty and stability could be provided with reasonable and functional roles. As a result, it has been ascertained the diversity of the geometric formative elements in this study, but as limited elements have been more or less recognized through its simpleness in the limitation of the unlimited formative change, which has been attempted to settle through the formative balance and harmony and through the combination with other materials on the superficial abstract expression. However, it is thought that new thema for further study on spacial constitution for moderns, who are pursuing clear and simple images, could be obtained through a positive acceptance of the reasonable and functional aspects of the geometric styles and its further development.

      • 프랙탈(Fractal)기하학의 이미지를 응용한 금속 조형 연구

        윤수진 경기대학교 조형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47

        과학과 예술은 자연을 이해하는 두가지 상호보완적인 방법들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과학과 예술의 실제적 접목이 다양한 방법으로 활발히 시도되고 있으며 그 좋은 예가 프랙탈(Fractal)기하학의 조형성 모색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흔히 일컫는 유클리드(Euclid)기하학이 수학적 양식에서 출발하였지만 지금은 예술 작업에서 자유로운 표현과 창의성으로 나타나고 있듯이 프랙탈 기하학도 어느 정도 자유로운 표현과 창의성을 가지고 새로운 조형 언어를 창조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이러한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적 표현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현대예술 분야, 특히 회화와 건축 디자인에 반영된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 원리를 참고 도판과 참고 문헌을 통해 그 개념을 이해하고, 시각적 형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작품 전개에서는 프랙탈 기하학의 자기유사성 (Self-Similarity), 축소와 비례에 따른 형태(Scaling), 잡아당김과 접어서 생기는 형태(Stretch and Fold), 왜곡된 형태(Distortion), 자기조직(Self-organization)과 불규칙(Irregularity), 반복(Repetition)과 무한 공간(Infinite Space)의 조형 원리를 이용하여 장신구와 기능이 있는 생활소품 위주로 조형화 작업을 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프랙탈 기하학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이론을 가지고 조형작업에 응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으며, 이러한 것을 시도했던 경험은 앞으로 본 연구자의 작품 전개에 있어서 조형성과 감성의 폭을 넓히는 계기를 마련해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It is said that the science and the art are the mutual complementary ways of on the standing the nature. Recently, the practical grafting of the science and the art is attempted in many ways, and the most proper example would be the formative attempt of the Fractal groping. In general, the Euclid Geometry frequently mentioned, has been started from the mathematical mode, however it is thought that this Fractal Geometry could make new formative languages with its more or less free expression and creativity, as a free expression and creativity is shown in other art works nowadays. In order to search for the possibility in the formative expression of this Fractal Geometry, the concept of the formative principle of the Fractal Geometry reflected specially to the paining, and constructional design has been understood through the reference drawings, pictures and books and its visual types have been arranged. At the same time, for the development of the work, the formation work has been attempted mainly to the jewelry and the small pieces for the living of the people, using the one of Fractal Geometric Formative Principles, such as Self-Similarity, Scaling according to its scale down and proportion, Stretch and Fold, Distortion, Self-Organization and Irregularity, Repetition and Infinite Space, basing on this study. At last, the way how to apply the logical theory of the new academic area, Fractal Geometry, to more emotional formative works, have been found in this study, and it is hoped that these experiences could let the one widen the creative formation and sensitivity in their future works.

      • 이상향을 상징화한 금속 조형 연구

        양승희 京畿大學校 造形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은 현실세계에서 실현되지 못하고 있는 인간의 내적 갈망을 동양사상을 바탕으로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갈망의 표출을 자유의지의 이상향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상향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를 주제로하여, 그 표현 수단으로써 ‘날개’이미지를 조형화한 과정 및 결과를 서술하였다.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인 정신적 자유의지의 욕구를 이상향으로 설정하게 된 근원을 밝히고 이를 중심으로 연구의 목적과 연구방법, 연구내용을 제시하였다. 본론에서는 첫째, 연구의 주제인 이상향의 상징적 의미를 장자 철학의 ‘호접몽’이라는 고사를 통해 구체화 하였으며, 또한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의 내면에 존재한 갈망의 실체가 현실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자한 긍정적 인식에서 시작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둘째, 연구자의 내면세계에 존재한 자유의 이상향을 ‘날개’라는 상징 형태로 조형화 하였으며, ‘날개’에서 보여지는 비상의 이미지와 자유로운 이미지는 현실에서 실현되지 못하고 있는 내면의 욕구를 표현하는 데 적절한 조형 요소임을 설명하였다. 또한, 작품 설명에서는 본 연구자의 작품7점을 중심으로 작품 제작 의도와 재료, 제작 기법 등을 밝혔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막연했던 내면의 욕구와 현실 제약으로부터 초월한 이상향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자의 독창적 조형성의 발견으로 의식 있는 조형 세계를 추구해 나아갈 수 있다는 의욕을 가질 수 있었으며 다양한 형태 및 재료, 가공 기법에 대한 좀더 깊은 연구의 필요성을 앞으로의 연구 과제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at the understanding for internal thirst, which could not be realized in the actual world, under the basis of the Eastern thought. At the same time, the thirst has been presented as an Utopia of the free will. The course and result of the modelled image of 'wings' have been described as a mean of the expression, under the thema of the study about the symbolization of the Utopia. In the part of introduction, the reason why the Utopia has been set up as the desire for the mental free will, the thema of this study, has been made clear as well as the purpose, method and contents of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former. In the main subject, the symbolic meaning of the Utopia, the them of this study, took concrete shape through a historical event, 'the dream of a butterfly' written in a book of chuangtzu philosophy at frist, Furthermore, it has been explained that the noumenon of the thirst existing in the inside of the researcher has started from the positive cognition to accept the reality actively. At second, the utopia of free will existing in the inside of the researcher has been modelled as a symbol of the 'wing'. Basing on this, it has been explained that images of the flight and being free are proper modelling elements for the presentation of the inside desires, which could not be realized in the real world. At the same time, the purpose that these seven works aim at, materials and production technique could be observed at the explanation of the work of the researcher. At a conclusion, the inside desire which have been vague and the Utopia standing aloof from the restrictions against the reality could be understood through this study. At the same time, motivation pursuing the modelling world with the consciousness could be obtained through the finding of the unique modelling feature of the writer and the needs for deeper future researches, such as various types, materials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thema have been presented.

      • 안토니 가우디 코르네(Antoni Gaudi Cornet)의 작품연구 : 가우디 작품의 환경조각적 해석

        최성헌 京畿大學校 造形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역사적으로 환경조각의 의미는 지금과 사뭇 다르다. 과거의 많은 조형물들은 사회적 필요성에 의해 만들어 졌다기보다는 생활의 일부로써 자연스럽게 발생하였다. 한결같이 인물, 동물, 나무를 모델로 선택하고 있는 것에 유추할 때 생활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들이 예술의 소재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이 현대 산업화에 이르러 도시 계획의 발달로 도시 미화를 위해 조경적 수법의 일환으로 환경 조형물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건축과 환경조각이 서로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갖게 되었다.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환경개선에 대부분 긍정적 영향을 주지는 못하여 환경조형물의 취지와 의미는 왜곡되어 가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다. 안토니 가우디 코르네(Antoni Gaudi Cornet)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조각가는 아니다. 그러나 그는 자연의 형상을 기초로 구조, 형태, 기능, 상징의 종합으로 자신만의 독창적 조형언어를 창출해 내어 건축의 조형적인 가능성을 넓혀 주었고, 미술사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조형 예술가이다. 가우디 조형예술의 특징과 예술 철학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우디의 조형예술은 자연주의와 인문학적 탐구를 바탕으로 완성되었다. 1883년을 시작으로 1925년 생을 마감하기까지 작업에 모든 열정을 쏟아 낸 그의 작품은 우리가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것이 매력적이다. 대부분이 감각적이고 소박하며, 따뜻하고 인간적이라서 만인을 위한 예술이라 할 만 하다. 또한 작품 이면에 내재한 종교적 message는 그의 깊은 신앙심과 경건함을 느끼게 한다. 둘째, 가우디는 어느 양식에도 속하지 않는 자신만의 폭넓은 조형세계를 완성하였다. 이슬람 양식과 기독교 양식을 혼합한 스페인 특유의 무데하르 양식에 자신만의 독특한 상상력을 부여했다. 그의 작품은 어느 시대의 건축양식 및 특정분야로 분류하는 데는 난해한 부분이 많다. 물론 스페인 고유의 고딕 양식(Gothic Art)과 이슬람 양식, 바로크 양식(Baroque Art)의 영향을 받긴 하였으나 이러한 것들을 재창조하여 양식과 형식을 초월해 있기 때문이다. 셋째, 큐비즘(Cubism)의 영향을 받은 작품의 섬세한 세부장식과 천정과 외벽에 뚜렷하게 나타나는 회화적 요소, 장식적 요소, 작품 전반에 드러나는 조각적 요소, 그리고 탁월한 공간구조는 조형과 건축에 대한 기존 관념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예측을 불허하는 기발함은 그의 조형적 시도가 언제 나 새롭고 그 만의 독특한 양식을 만들 수 있었던 건, 상상을 현실로 옮겨 실현하는 능력이 탁월했기 때문이다. 넷째, 탁월한 그는 오브제(object)의 사용에 있어서도 뛰어난 능력을 보여준다. 타일공장이나 도자기 공장에서 버려지는 세라먹(ceramic) 제품(타일, 도자기, 벽돌)과 색유리 조각을 수거해 데라코타(terra-cotta) 형식과 콜라쥬 (collage) 형식으로 시공하였을 뿐 아니라 기초공사에서 나온 잡석 들은 구엘 공원의 훌륭한 기둥의 재료로 사용하였다. 이는 그가 환경을 생각하는 것이 남달랐음을 보여 준다. 이 밖에도 여러 가지 재활용품들을 작품의 공간장식에 폭넓게 이용하였다. 가우디의 이러한 독창적인 작업방식은 입체파(Cubism) 화가인 피카소, 달리, 미로와 같은 바르셀로나 출신 초현실주의(Surrealism) 작가에게도 영감을 주었다. 이렇게 그만의 예술철학과 종교적 신념을 바탕으로 위대한 거장으로 부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명성에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이 새로운 것에 대한 추구와 상상력을 재현하는 것에 삶의 모든 것을 바친 예술가적 생애는 우리들에게 큰 귀감이 되고 있다. 지난해(2002년) 바르셀로나는 '가우디 2002' 행사를 다양하게 펼쳐서 세계 속에 그의 위상을 드높였다. 그의 작품 구엘공원, 카사밀라, 구엘궁전이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 받을 만큼 중요한 예술가로 인정받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그다지 알려져 있지 않아 안타깝다. 하지만 가우디의 자연친화적 예술철학과 조형언어는 현대 도시환경, 즉 침울하고 획일화되어 있는 도시의 이미지 속에서 퇴색해 버린 환경조각의 진정한 역할과 방향이 무엇인지 보여주고 있다. The meaning of Environmental sculpture has been changed through out the time. In the past, many, I would say most, pieces were made naturally as part of lives, not by some social reasons. By anaylizing all the models, people, animal, and trees, one could say that basics of natural lives had been the sources of art. However the main reason for sculpture has been changed because cities, due to municipal development, need the environmental sculpture as embellishment. Thus, these pieces are required to be mutual dependence to architecture. Far from being what had been expected, these pieces had not been effective enough to give positive insight, thus the intension of the sculptures had been misleading, and it is reality of sculptures these days. Antoni Gaudi Cornet is not exactly what we usually call a sculptor. However he is the one who hold very crucial role in sculpture art by creating his own language of sculpture, combining structure, form, capacity, and simbols from nature. Gaudi Art's features and artistic philosophy are followings. Firstly, Gaudi Art are based on study naturalism and humanism. Starting from 1883, till his dead at 1925, he had been showing his passion on his work and we are able to get close to his work easily ; it must be why it is mesmerizing. Since most of his work are simple, warm, and humane, I can say that his work are for everyone. Moreover, the religious message inside the pieces made us appreciate his faith and devotion. Secondly, Gaudi had created his own, wide world of sculpture, not belonging to any other form fo Art. He had added his own imagination to Mudehar Art, known quality of Spanish, which is combining of Islam Art and Christian Art. His work are very ambiguous to define which era of art to belong. Of course his work are affected by some of Spanish type, Gothic Art, Islam Art, and Baroque Art, but he had reformed these forms and create something trancending any of these. Thirdly, his dotailed ornament, ceiling, and external, affected by Cubism, shows grahpic, ornamental, sculpturic, and exceptional space structure qualities can be found most of his work. And these qualities have changed our conception or convention on sculpture and architecture. His skill to make imagination into reality is the main source that he could create his own Art form and his unexpected originality is the engine for his new style. Lastly, he had shown an exceptional skill in using object. He had used the ceramic left overs from tile and pottery factories and pieces of colored glasses to create Terra-cota form and Collage Art. Moreover, He had used rubbles from construction as pillars of Gu¨el Park. These features tell us that he had extraordinary vision on environment. He had shown many work using other recycling materials, too. This exceptionally creating methods of Gaudi had affected and given inspiration to other eminent artists like Picaso, Cubism, and Dalli and Miro, Surrealism artists from Barcelona. Standing in crucial role of Art, he was still modesty and kept trying to be better, he had taught us many lesson of being artist. His creativity and imagination taught us what and how to be an artist. Last year, 2002, "Gaudi 2002" festival had been held in Barcelona celebrating his name. His work, Gu¨el Park, Casamila, and Gu¨el Palace, are known to be worldly valuble work but his name is not well known in Korea and that makes me unsettled. However Gaudi's naturalismic Art and artistic philasophic language leads us the true direction and purpose of environmental scuplture which we should follow in this monotoneous and gloomy world.

      • 毅齋와 心汕作品의 餘白美 考察

        金守玉 경기대학교 조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東洋繪畵에 있어서 특유의 조형미는 화면에 나타난 표현형태보다는 표현형태로써 형성된 ‘餘白에 의한 筆法線’의 예술로 형성되며 발전되었음을 볼 수 있다. 아무것도 그려져 있지 않으면서도 무언가 餘韻이 감도는 듯한 空白의 부분을 화면상의 여백이라고 말하는데 동양의 전통회화를 살펴보면 여백의 美感을 엿볼 수 있다. 본 연구는 毅齋 許百鍊(1891-1977)과 心汕 盧壽鉉(1899-1978)의 작품을 여백의 표현방법과 조형미를 통하여 자신의 작품에 내재된 여백의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근대 산수화에 있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 의재와 심산의 작품에 내재한 여백미를 중심과제로 다루었다. 이들에 나타난 여백의 조형성을 언급하기에 앞서 의재와 심산의 정신사상을 살펴보았으며 여백의 개념과 사상적 배경 道敎의 無, 儒敎의 素, 佛敎의 空의 여백은 단순히 조형적 의미를 넘어 유희할 수 있는 정신적 가치와 깊은 관련을 갖고 있음으로 전통적인 사상들은 의재와 심산의 정신세계로 이어져 실경을 나름대로 재해석하여 개성있는 화격을 창출해 내는 새로운 공간구성, 즉 단순한 관념적인 여백만이 아닌 조형적인 측면을 보여주게 된다. 그들은 여백에 가치를 부여하였음을 알게되었고 미적 가치에서는 허실공간의 감각적 가치와 소요유의 정선적 가치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표현되지 않은 공간이라도 일정한 화면에서 표현되어지는 것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니는 있는 것이 虛와 實의 관계임을 알 수 있는데, 그들의 회화에 있어서 허와 실은 상대적인 것이지만 이러한 대립관계를 오히려 조화, 통일시킴으로 해서 되어 대 좋은 미감을 창출하여 여백미 승화하게 됨을 볼 수 있다. 여백의 미적 가치에서는 寫意의 세계를 묘사하는 형이상학적 조형 이치를 내포하며, 본질의 표현방법인 여백을 상상 속에서 유희하는 정신적 美에 가치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의재는 중국의 남화의 회화작품의 영향으로 심산은 남화와 북화의 절충된 영향을 받아 조선말기의 전통적 기법을 수학하고 산수화의 전통을 현대화 했다는 공통된 평가를 받고 있다. 전통화법을 따르고 스스로 연마하여 자신의 畵趣의 意趣의 경지를 연 전통적 정신주의의 화가였으며 南宗畵로서의 산수화와 詩·書·畵 一致의 경지는 그의 생활과 그대로 조화를 이루었다. 그가 이룰 수 있었던 自然人으로 인생을 통한 승화된 인생과 예술의 경지에 이르기에는 어떠한 과정이 있는가를 돌아보는데 의의를 가지고 의재의 남종화적인 조형미가 어떻게 여백으로 어떻게 승화시켰는지 재분석 하고자 한다. 심산은 우리자연의 실경체험을 토대로 하면서도 현실과는 다른 이상화된 산수화를 만들어 냈다. 심산은 토산보다 암산에서 영감을 받았고 특히 금강산의 기암괴봉에서 자신의 畵意와 부합되는 점을 발견하였다. 그는 산수의 뼈대를 이루는 골기를 바위에서 포착하였으며 자연물이 만들어내는 순간적 인상보다 사물의 구조의 파악과 표현에 관심을 갖고 접근하였다. 이러한 자연에 대한 태도는 심산 산수화에서 있어 사실주의적 기법과 양식을 창안해 내기에 이른다. 그는 산수화에 있어 전통적인 준법, 동양화의 음영법과 근대기에 도입된 서양화의 명암법, 투시원근법 등을 절충, 종합하여 특유의 암준법을 창안해내었고 확대 되어가는 공간감이 지닌 대관구도의 다양한 우주의 여백을 모색함으로써 심산 고유의 양식과 기법으로 심화시켜 나갔다. 그러므로 의재와 심산의 작품에 내재된 여백은 조형적 자율성에 담긴 畵面의 조형미와 불가분의 관계임을 고찰하였으며, 의재와 심산은 조선시대의 전통을 충실이 이어받아 남북종 양파를 종합한 기초 위에 독자적 양식을 구축한 후 이를 내적으로 심화시켜 나간 것으로 파악되어진다. 이는 기본적으로 실사구시의 태도를 존중하여 사물의 외형, 구조성을 잃지 않는 가운데 내적으로는 동양회화 고유의 정신주의적 태도를 지향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작가사상에 내재된 ‘여백’은 자유정신에 담긴 화면의 조형미와 관계될 뿐만 아니라, 의재와 심산 작품에 나타난 여백의 사유방식은 전형화 되거나 규격화되어지는 것이 아닌 작가의 조형의지가 반영되었음을 고찰하였다. The unique aspects of the formative aesthetics in Asian paintings have been developed not by the forms of expressions themselves on the paintings, but rather by 'the structural use of the brush conceived by space(Korean: Yeobaek).' Yeobaek is the emptyness on paintings, which does not just stop the eyes of audience at compositional level and enhances them to the spiritual realms of the paintings. Yeobaek can be considered one of the prime formative aesthetics in the history of Asian painting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Yeobaek, as one of the components of formative aesthetics, between the works of Baekryun Huh(1891-1977) and those of Suhyun Noh(1899-1978). The analysis shows the meaning of Yeobaek inhered in the works of the two artists through the study of their compositional as well as formative aesthetics and their methods of expressions. In addition, this study considers how their works of art sublime various interpretations inhered in the paintings to formative aesthetics. Before mentioning the formative quality of their works, the explications of the philosoph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Yeobaek is preced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timate relations between Asian philosophy and Yeobaek. While Baekryun Huh(penname:Eoje) was influenced by the Southern School of Chinese painting tradition, the works of Suhyun Noh(penname:Shimsan) shows the eclecticism between the Northen School and the Southern School. Both of them have received the prevailed critique that with the influence of Chinese painting they studied the traditional painting methods of the end of Josun dynasty and modernized the tradition of landscape painting. Baekryun Huh self-studied traditional painting methods and created his own pictorial and spiritual intentions in his art. He is, indeed, a time-honored spiritual and scholarly artist showing the impacts of the Southern School, who harmonized his landscape paintings with poetry and literature. This study also finds how he achieved his sublime life and art through adapting himself to nature and reanalyzes how he exhaulted the formative aesthetics of Southern School. Suhyun Noh created idealized landscape paintings different from reality even though his paintings are ultimately based on his experiences with real Korean landscape. He was inspired more by rocky mountains than earthy ones and he, especially, found the comformity of his pictorial intentions in fantastic rocks and monstrous mountain peaks. He captured rocks as the bones of his landscape paintings and he concerned the expression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formation of things more than the instant impressions of nature. Furthermore, this attitude toward nature finally led him to conceive realistic methods and styles in his landscape paintings. He developed his own brush strokes in expressing rocks and mountains through compromising the traditional shading methods and western ones, and the techniques of western perspective imported in the 19th century. His style was also deepened by contemplating various cosmic Yeobaek with creating the composition of magnificent view and space. Accordingly, it is clear that the inherent Yeobaek both in the works of Baekryun Huh and those of Suhyun Noh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artistic autonomy in creating formative aesthetics. It can be concluded that both of them well studied Chinese painting traditions, which are the Northen School and the Southern School, and they succeeded the artistic tradition of Josun dynasty. Based on the solid foundations of their artistic techniques they pursued their own styles and deepened them. This, fundamentally, shows that they respected the attitude of "shil-sa-gu-shi(studying truth based on facts)." While not losing the exterior or formality of things, they intended to internalize the spirituality of Asian paintings. Therefore, considering all the issues discussed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find a new meaning of Yeobaek in the works of Baekryun Huh and those of Sunyun Noh.

      • Jean Dubuffet의 作品에서 보여지는 造形性에 관한 硏究

        金美性 경기대학교 조형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제 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유럽인들은 문화적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인간 존엄성이 말살되는 것을 직접 목격했다. 인간성의 회복을 절실히 요구하게 되었고, 전후의 사회적 상황이 급변하였듯이 미술분야에서는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조형적 형태와 개념들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보편화되었다. 프랑스의 대표적인 화가 쟝 뒤뷔페(Jean Dubuffet : 1901∼1985)는 전쟁 이후 서구문화 전반에 걸쳐 반성적 견해와 새로운 조형언어의 개발로 20세기 미술에 선구자중 한 사람으로 자리 매김 한 작가이다. 그의 회화는 형식에 얽매임 없이 자유로운 표현방식을 취하였다. 그는 우연성을 존중하면서 자발성과 본능의 풍요로운 자유를 추구하며 전시대의 과거 조형이론에 반기를 들고 나타났다. 또한 뒤뷔페는 앵포르멜운동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쳤다. 앵포르멜 화가들은 기존의 미적 범주, 미적 평가에 염증을 느꼈다. 앵포르멜미술에서 마티에르는 정신성으로 나타났고 일종의 정신성 복구의 주체로 도입되었다. 이들은 구상적 형태와 재료를 통해 정신성의 문제를 거론하기도 하였다. 물감의 두꺼운 마티에르로 즉흥성과 직관, 본능을 자유롭게 드러냈다. 전후 유럽의 상황에 나타난 기성의 가치들에 대한 거부의 움직임의 한 유형으로 나타난 반문화성을 바탕으로 한 아르 브뤼(Art Brut)^(1))는 정신병자, 아동, 미개인등 문화적 교육과 무관한 사람들의 미술을 일컫는 말이다. 정신병원에 수집되어있는 환자들의 실제 조형표현들을 접하면서부터 이들 자료들을 수집하였고, ‘새로운 예술’에 대한 기대를 정신병자들의 조형물에서 찾고자 하였다. 뒤뷔페는 1944년 파리의 개인전에서 비 미술적인 재료를 섞어 두꺼운 마티에르 감각을 내면서, 마티에르 자체의 표현성, 물질성을 강조한 전시를 오트파트(Hautes Pa^tes)라 명명하였다. 두껍게 발라 올린다는 의미를 가지며 비회화적 재료들(진흙, 조약돌, 모래, 노끈, 시멘트 등)을 첨가한 후 포크나 나이프등을 이용하여 홈을 파서 그리는 방법이다. 유화나 전통적 재료의 의미를 벗어나 물질 자체가 지니는 바의 존엄성을 분명히 드러내 놓았다. 세상의 먼지와 때를 뒤집어 쓴, 낡아빠진 벽과 같이 버려진 재료들을 사용함으로써 훨씬 실감나게 하였다. 물질성의 강조는 새로운 재료의 실험이라는 이름아래 가능한 한 비 회화적인 물질을 회화 속에 끌어들이는 결과를 가져왔고 이 고전적 재료의 한계를 극복했을 때 회화라는 하나의 정해진 평면의 틀을 벗어나게한 동기를 마련해 주었다. ‘집합’ 또는 ‘조합’이라는 뜻의 앗상블라류(Assemblages)는 평면적인 회회화에 3차원성을 주는 기법으로,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건이나 폐품 따위를 조립해서 만드는 작품을 가리킨다. 오트 파트 계열의 유화들이 실제 물질들과 유화물감의 혼합에 의해 ‘두꺼운 반죽’이라는 새로운 안료의 형태로 그려진 것이었던데 비해 1953년부터 앗상블라쥬들은 리얼리티 자체를 화학변화 없이 그대로 화면에 도입했다는 점에서 그 차이점을 찾을 수 있다. 종전의 마티에르 작품에서는 시선을 뒤흔드는 대지의 힘이 있었던 것에 반해 우를루프(Hourloupe)에서는 서로서로 짝지워 맞춰지는 퍼즐의 조각과도 같이, 복잡한 그물처럼 공간을 가로지르는 자유분방한 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품에서 보여지는 색상은 두께감이 없이 푸른색과 붉은 색으로 칠해졌다. 이것은 뒤뷔페의 작품이 보이는 새로운 면이다. 뒤뷔페는 정상인의 미술과 정신병자의 미술사이의 구별, 추상과 재현의 구별, 미(美)와 추(醜)사이의 구별을 포함한 모든 미술의 경계를 허무는 데 공헌하였다. 이와 같이 정형화된 예술기법으로부터의 탈피는 근본적으로 이전 예술에 대한 반발과 소위 뒤뷔페가 말하는 문화적 예술에 대한 거부의 몸짓이며 그 결과였다고 본다. 뒤뷔페의 예술세계에서의 조형성과 그의 실험정신은 미술사 전반에 새로운 변화로 다가왔고 앞으로도 현대 미술사적 측면에서 중요한 자리 매김을 할 것이다. After the World War II ended, Europeans witnessed the break- down of human dignity attributed to cultural and political conflicts. There was an urgent, loud cry for the recovery of humanity, and the post-war social circumstances underwent a rapid change. Like- wise, there was a new universal need for new form and concept of art in art sector. Jean Dubuffet(1901∼1985), a leading artist of France, is rated as one of the pioneers in the 20th century's art for his reflective view of the post-war Western culture and development of new plastic language. He used free expressive mode, not bound by the form- alities. He placed a high value on contingency, pursued spontaneous and the rich freedom of the instinct, and challenged against the past art theories. In addition, Dubuffet exerted an immense influence on the Informel Movement. Informel artists were disgusted with the existing aesthetic category and evaluation. In the Informel art, matie´re was considered part of mentality category, being introduced as sort of a subject that might possibly restore the mentality. They discussed the issue of mentality through concrete form and materials. And they unveiled their impromtu characteristic, intuition and instinct freely, without being restricted, through the heavy matie´re of colors. Art Brut, which was based on counterculture emerged as part of the movement rejecting the existing values in post-war Europe, stands for art by culturally uneducated people including mental patient, children or barbarians. When they first saw the works of patients in mental hospital, they began to collect their works and expected to find 'new art' from them. In his personal 1944 exhibit in Paris, Dubuffet mixed nonartistic materials into the works of art to have matie´re feel heavier, and named that exhibit Hautes Pa^tes, which stressed the expressiveness and properties of matter of matie´re itself. This term means a heavy coating that nonartistic materials(clay, gravel stone, sand, string or cement) are added and a groove is cut by using fork or knife. Hautes Pa^tes clearly and evidently revealed the dignity of material itself, departing from typically used materials or oil painting, and made them far more real by using the abandoned materials covered by the dust of the world or like a worn-out wall. The emphasis of the properties of matter resulted in inserting all kinds of nonartistic materials into painting in the name of new experiment. Its exceeding the limits of classical material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throw away the fixed plane practices. Assemblages that refer to a gathering or compounding is a technique that makes plane painting three-dimensional. Any works of art assembled by common things or waste articles are all called assemblage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assemblages and Hautes Pa^tes, as the oil paintings of Hautes Pa^tes style were produced by new 'heavy-coated' paints that mix real matters with oil colors, while assemblages put the reality itself on canvas with no chemical modification from 1953. The past matie´re works were marked by a specific power that was so violently impressive, but Hourloupe was composed of free, unrestricted lines that stretched here and there like a complex net or a fragment of well-matched puzzle. There were blue and red colors on that painting that felt neither light nor heavy. This was a new aspect of Dubuffet's works. Dubuffet made a contribution to removing the boundary of art between the art of healthy people and mental patients, between abstraction and reappearance, and between beauty and ugliness. Leaving away from the stereotyped art techniques seems basically a sign of resistance against the existing arts and the so-called cultural arts mentioned by Dubuffet. The plasticity of Dubuffet's artistic world and his experimental spirits brought a new change to the whole art history, and will be as important as it is in the history of modern art.

      • 조선시대 목가구의 조형요소를 응용한 금속 표현 연구 : 비례와 결합구조(結合構造)를 중심으로

        김지현 경기대학교 조형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47

        작품의 예술성은 제작하는 예술가의 정신적 소산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예술품속에 그것을 제작한 예술가의 민족적 예술정신이 흐르고 있다는 점도 무시못할 사실이다. 그러므로 전통 공예품에도 공예가의 민족적 예술정신이 담겨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한국인의 조형의식을 우리 전통문화의 조형요소를 통하여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소재로 하여 본 연구자의 작품에 조형요소로 응용하여 표현해 보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제작의도를 연구의 목적과 내용 및 방법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본론에서는 첫째로 현대의 조형문화 또한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조형의식과 생활문화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로 전통공예품인 조선시대 목가구를 소재로 전통이 현대에 어떻게 계승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목가구의 종류와 특성을 서술하였고, 목가구의 비례 및 결합구조(結合構造)를 통하여 조형요소를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전통의 아름다움을 현대의 조형요소로 재구성하여 본 연구자의 새로운 조형양식으로 형상화 하고자 하였다. 결론으로 본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조선시대 목가구의 나무의 수축·팽창의 결점을 막아주고 가구의 하중을 줄여주었던 견실한 구조와 뛰어난 비례미를 느낄 수 있었고, 이를 본인의 작품에 응용함으로써 전통은 전통 그 자체로 남는 것이 아니라 현대에 맞게 계승하고 발전시킴으로 해서 그 올바른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앞으로의 창작활동에 있어서 전통을 보다 깊게 이해하고 현대의 미감에 맞는 새로운 조형창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는 계기가 되었다. The artistic feature of the works is said to be the mental outcome of the artists. Furthermore, it is also the fact not to be ignored, that the national artistic spirit of the artists of the works flows through their artistic works, and it is also applied to the traditional craft-works. Accordingly, the writer of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formative sense of the Korean thought formative elements of our traditional culture. At the same time, these materials have been expressed and applied to the formative elements of the work of this study, and this kind of production attompt has been presented through the purpose, content and method of this study. At the main issue, it has been recognized at first that the mordern formative culture also succeeded the tradition, and it has been sear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ve sense and life culture. And at second, it has been examined how the tradition can be succeeded to the modern times through materials of the woonden furnitures of the Choson dynasty, which are the traditional craft works. At first, it has been described, the kinds and the feature of the wooden furnitures, and then formative elements have been studied through the proportional and joint structure of the wooden furnitures. Basing on the former, this traditional beauty has been attempted to be re-formed to modern formative elements and to be shaped as a new formative style of this writer. As a result,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excellent proportional beauty and the strong structure reducing the weight the furniture and keeping the wooden furniture of the Choson dynasty from the deficiency, i.e. the contraction or the expantion of the wood. At the same time, it has been found also that a tradition should not leave as a tradition itself, but its correct meaning could be recognized by applying these points to the works like this writer and by the efforts of its succession and improvement to the modern times. It was of a great help for the writer to feel the necessity of study, that the tradition should be more deeply understood in the creative works, and new formative creations should be accordance to the modern sense of beauty.

      • 비달사순 헤어디자인에 관한 연구 : 바우하우스 조형교육을 중심으로

        원용중 경기대학교 조형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Hair design is a field that expresses the identity of a person by designing a style that matches well with the face using hair. To complete hair designs that have aesthetic values, fostering hair designers with artistic sensibility and functional competence is important. To that end, establishment of new forms of hair design schools and introduction of advanced educational programs are acutely needed. Hair design is an area where art and skill are crossing beyond simple skills and shares Bauhaus’ educational goal of ‘integration of art and technology’. Modernism greatly influenced hair design, and Vidal Sassoon gave birth to an innovative method of designing hair, which changed from making a temporary shape by fixing loose hair and then fastening it to designing the shape around the face while all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ir, which is an innovative method of hair design that is functional, reasonable, and meets the needs of the time.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sm appeared in hair designs include standardization process to disseminate modern design to the public, rationalistic functionality of easy fixing, design modernization using geometric formativeness, and the needs of the time and the creation of future-oriented design. Modernism greatly influenced hair design as it influenced design, art, culture, and architecture. Bauhaus, which was the product of the consciousness of the period that gave the influence of modernism, was a new form of art education institute that fostered artists completed with the fusion of art and craft and attempted to balance and reality in the era that has been mechanized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Bauhaus curriculum is composed of craft education and form education, and divided into three stages of preliminary education, craft education, and architectural education. In addition, basic art education among the curriculum was emphasized, established preliminary courses, and provided basic education on forms and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The preliminary curriculum, which is a basic course of Bauhaus, is still remaining as a guideline of many design classes, and such a preliminary curriculum is demanded as a basic curriculum even in hair design. Bauhaus that started for art reformation contending the integration of arts and crafts became the matrix of industrial design, and greatly influenced modern design ideology around the word. As the creative ideas of artists born through basic art education was connected with handcrafts, functional and rational designs were born, and not only functionally but also visually beautiful designs were born even in the mechanical mass production structure of daily necessaries. Bauhaus greatly influenced the innovation in hair design education, and it will be helpful for ideal educational programs for hair design demanded through the study of correlation. Vidal Sassoon hair design appeared in the 1960s in London, England. Historically, it was a time of economic revival with changes and revolutions, and a time avant-garde popular culture bloomed with the development of fashion, music, advertisement, and move industries and the appearance of global icons such as Beatles and Twiggy. Vidal Sassoon introduced an innovative hair style that improved the lifestyle of women that is consistent with the new era in London, which became the origin and center of global fashion. The hair design of Vidal Sassoon was influenced by the geometrical style of Bauhaus. As Mies Van Der Rohe and Le Corbusier who are the symbols of Modernism in architecture, Vidal Sassoon introduced modernism philosophy to hair design. The idea was to get out of the traditional hair design methods of the temporary form of art and creation, and considerations must be given to individual’s spatial environment such as the shape of the face, skull structure, lifestyle of the individual, and the spirit of the times. In addition, focus was given to functional hair design with which the form can be maintained even when it is wet by the way of cutting hair rather than be satisfied with a temporary setting of form. In addition, the method was distributed to hair designers after the quantification and systematization of the skill so that mass production was possible, and allowed to experience aesthetic values with hair design. Vidal Sassoon’s cutting method introduced geometrical style to hair design and geometrical hair design that harmonize the contour of the face and hair through continuous research. Techniques used in Vidal Sassoon style hair design includes line, graduation, and layer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cutting method, and shapes can be created by these three techniques. In addition, circular, rectangular, and triangular geometrical styles were used, and countless number of hair styles was designed by the combinations of the techniques and shapes that go well with each individual. Individualization is very important in hair design, and considerations should be given to various conditions to identify design that matches an individual. The conditions include image, personality, lifestyle, face shape, shape of the head, quantity of hair, quality of hair, hair type, and length. Vidal Sassoon hair design simplified styles to complete aesthetic design and gave birth to a new design through geometrical formativeness. Furthermore, it standardized cutting method that goes well with human skeletal structure and allowed the public experience hair design that matches the skeletal structure. It also satisfied the functionality of easily maintaining hair, which is moving material, in daily living by using scientific cutting techniques. The case of Bauhaus that practiced educational reformation contending the fusion of art and craft based on the spirit of the times showed us the true value of art education. The true value of hair design education can also be recognized when the outcome of hair style that goes well with individuals and design that matches the demand of the time is completed by developing the artistic sensibility and expressive ability of the human. The preliminary education that divided Bauhaus educational curriculum into factory and form education with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basic art education may give great influence on the change in hair design education. Basic education on forms and lessons that teaches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in hair design education also must be completed before conducting actual education of techniques. The creative ideas of artists cultivated through basic art education can be born as functional, rational, and beautiful hair design when they are connected with hair design that has the value of handicraft. 헤어디자인은 모발을 소재로 얼굴 주변에 어울리는 형태를 디자인하여 그 사람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해 주는 분야이다. 미적 가치를 담은 헤어디자인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예술적 감성과 기능의 역량을 갖춘 헤어디자이너의 양성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새로운 방식의 헤어디자인 교육기관의 탄생과 선진화된 교육 프로그램의 도입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헤어디자인은 단순한 기술 분야를 넘어 예술과 기술의 교차에 있는 분야이며,‘예술과 새로운 기술의 통합’이라는 바우하우스의 교육 목표를 공유한다. 모더니즘은 헤어디자인에도 큰 영향을 주어, 움직이는 모발을 고정하고 일시적인 형태를 만들고 고정하는 식의 헤어디자인방식에서 모발의 특성을 허용하면서 얼굴주변의 형태를 디자인하는 방식의 기능적인이고 합리적인 시대적인 요구에 맞는 혁신적인 방식의 헤어디자인이 비달사순에 의해서 탄생하게 된다. 헤어디자인에서 나타난 모더니즘적 특성은 현대적 디자인을 대중들에게 보급하기 위한 표준화 과정, 손질을 편하게 할 수 있는 합리주의적 기능성, 기하학적 조형성을 이용한 디자인의 모던화, 시대의 요구와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의 창조 등을 들수 있다. 모더니즘이 디자인, 예술, 문화, 건축 등에 영향을 미친것과 같이 헤어디자인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모더니즘의 영향을 준 시대의식의 산물이 바우하우스는 새로운 형태의 예술 교육기관으로 산업혁명이후 기계화된 시대에서 예술과 공예의 융합으로 완성된 예술가들을 양성하고 그들로부터 예술과 현실생활의 조화로움을 지향하고자 했다. 바우하우스의 교과과정은 공작교육과 형태교육으로, 교육과정은 예비교육, 공작교육, 건축교육의 3단계로 나누어졌다. 또한 교육과정중 기초조형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예비과정을 설치하고 형태에 대한 기초교육과 재료에 대한 특성을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바우하우스의 기초과정인 예비교육과정은 오늘날까지 많은 조형 수업의 지침으로 남아 있으며, 헤어디자인에서도 이러한 예비교육과정이 기초과정으로 요구된다. 예술과 공예의 통합을 주장하며 예술 개혁을 위해 출발한 바우하우스는 산업디자인의 모태가 되었으며, 세계 각국의 근대 조형사상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기초 조형교육을 통해 탄생한 예술가들의 창의적인 발상이 수공예와 연결되면서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디자인이 탄생하게 되고, 일상용품의 기계적인 대량생산의 구조 속에서도 기능성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디자인들이 탄생하게 되었다. 바우하우스는 헤어디자인교육의 혁신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상관성의 연구를 통해서 요구되는 이상적인 헤어디자인 교육프로그램에 도움이 될 것이다. 비달사순 헤어디자인이 등장하던 시대는 1960년대, 영국 런던이다. 시대적 배경은 변화, 혁명의 시대였으며 경제적 부흥기로 패션, 음악, 광고, 영화 등의 산업발달과 비틀즈, 트위기 등의 세계적인 아이콘들이 등장하며 전위적인 대중문화가 꽃을 피웠던 시기이다. 국제적 패션의 시발점, 중심지가 된 런던에서 비달사순은 새로운 시대에 맞는 혁신적인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을 개선하는 헤어스타일을 선보인다. 이러한 비달사순의 헤어디자인은 바우하우스의 기하학적 양식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건축에서의 모더니즘의 상징인 미스반 데어 로에와 르 코르뷔지에 처럼 비달사순은 헤어디자인에 모더니즘 철학을 도입한 것이다. 일시적인 형태의 예술과 창조라는 전통적인 헤어디자인 방식에서 벗어나 얼굴 형태와 두개골의 구조, 개인의 라이프스타일, 시대적인 사조 등의 개인의 공간적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또한 일시적인 형태의 셋팅에 만족하지 않고 모발을 커팅하는 방식으로 물에 젖은 상태에서도 유지될 수 있는 기능적인 헤어디자인에 집중했다. 그 외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게끔 기술의 방법을 계량화, 체계화하여 헤어디자이너들에게 보급했으며 미적가치를 헤어디자인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비달사순의 커트방식에는 헤어디자인에 기하학적 양식을 도입하고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얼굴 윤곽과 모발이 조화를 이루는 기하학적 헤어디자인을 선보였다. 비달사순식 헤어디자인에서 사용되는 테크닉 으로는 컷팅 방식에 따른 분류인 라인, 그레듀에이션, 레이어가 있으며 이 3가지의 테크닉으로 형태를 만들어 내는 단계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되어지는 기하학 형식으로는 원형, 사각형, 삼각형이 있으며, 테크닉과 형태의 조합으로 개개인에게 어울리는 수없이 많은 헤어스타일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헤어디자인에 있어 개별화는 매우 중요한 점이며 그 사람에게 어울리는 디자인을 찾아내기 위한 다양한 조건들을 고려해야 한다. 그 조건들에는 이미지, 성격, 삶의 방식, 얼굴형, 두상의 형태, 모량, 모질, 모류 그리고 길이 등이 있다. 비달사순식 헤어디자인은 미적인 디자인을 완성하기 위해 형식을 단순화 하고 기하학적인 조형성을 통해서 새로운 디자인을 탄생시켰다. 그리고 사람의 골격구조에 어울리는 커트 방식을 표준화 하였으며 신체구조에 어울리는 헤어디자인을 대중들이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움직이는 소재인 모발을 과학적인 커트기술을 사용하여 일상 생활 속에서도 쉽게 유지할 수 있도록 기능성을 충족시켜 주었다. 시대정신에 입각해 예술과 공예의 융합을 주장하며 교육개혁을 실천한 바우하우스의 사례는 우리에게 예술교육의 진정한 시대적 가치가 무엇인지를 보여주었으며, 헤어디자인의 교육 역시 인간의 예술적 감성과 표현의 능력을 개발시켜 개개인에게 어울리는 헤어스타일이라는 결과물과 그 시대의 요구에 맞는 디자인을 완성해 낼 때에 진정한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것이다. 바우하우스의 교육과정을 공장교육과 형태교육으로 나누고 기초조형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설치했던 예비과정은 헤어디자인 교육의 변화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헤어디자인 교육에서 역시 형태에 대한 기초교육과 소재에 대한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수업은 실제 기술교육으로 진행하기 이전에 완성되어져야 한다. 기초 조형교육을 통해서 성장한 예술가들의 창의적인 발상이 수공예적인 가치를 담은 헤어디자인과 연결되면서 기능적이고 합리적이면서 아름다운 디자인으로 탄생할 수 있을 것이다.

      • 선(線)의 반복적 구성을 통한 금속 조형 연구

        천우선 경기대학교 조형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일반적으로 우리는 주변의 사물에 대해, 그것이 가진 형태, 색채, 질감을 통해 대상을 이해하고,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습관적으로 반응한다. 하지만 현대의 예술가들은 사물을 자의적으로 해석하고자 노력하며, 아울러 스쳐 지나치기 쉬운 일반적인 현상들에조차 자신만의 방식으로 예민하게 반응한다. 또한 자기 표현에 있어서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가치를 부여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을 한다, 이러한 노력들은 현대미술의 표현영역을 무한히 넓혀주었다. 이에 연구자는 본인의 의식 속에 축적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으로 입체의 형태와 구조를 분석하고, 차별화 된 조형언어를 통해 새롭고 독창적인 조형을 창작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자는 선의 반복적 구성에 의한 입체조형 표현을 시도했다. 선의 반복적 구성이 빚어내는 독특한 질감의 면과, 그 틈으로 투시되는 입체물의 내부, 그리고 이러한 조형 요소들로 구성한 형태들은 입체조형의 일반적인 부피감과는 다른, 새로운 조형표현을 가능하게 했다. 철선들은 선으로서의 기능과 아울러, 이들의 집합으로 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연구자의 오브제들에서 볼 수 있는 공간은 면으로 단절된 공간이 아니라, 선재구성이 만들어낸 틈으로 인해서 내·외부가 열려있는 독특한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철선들의 틈으로 보여지는 공간은 연구자가 조형을 구성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수단이 되었으며, 선과 선 사이의 틈은 속박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자유 갈망에 대한 본인의 의지를 가시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좋은 조형요소였다. 철을 주재료로 사용하였으며, 부분적으로 비철금속을 사용하였다. 철선들은 깨끗한 표면을 얻기 위하여 은 땜으로 접합하였고, 부분적으로 전기용접을 이용하였다. 작품의 표면은 염화제이철 착색 후 녹차에 끓이는 방법과 기름(콩기름, 돼지기름)을 바른 후 이를 가열하여 산화시켜 색상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입체구조물을 이해하는 높은 안목을 키울 수 있었고, 공간에 대한 새로운 지각을 하게되었으며, 이는 연구자가 앞으로 조형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We generally understand things around us through their shape, color, and feeling of quality, and habitually react to them on the basis of this understanding. However, modern artists, who often make efforts to interpret an object arbitrarily, react to even common phenomena easy to neglect sensitively in their own way. Moreover, they make continuous efforts to put independent and autonomous values on self-expressions. These efforts have served to diversify expression techniques of modern art infinitely. Hence, this study made efforts to analyze shapes and structures of a solid construction from a new perspective other than a fixed idea accumulated in consciousness and to create a new, creative form by means of differential formative language. The study made an attempt to express a solid construction through repetitive composition of lines. The face with a unique feeling of quality due to the repetitive composition of lines, the inside part of the solid construction seen through the interstices, and forms composed of this formative elements enabled new formative expression different from a general feeling of volume of a solid construction. Those pieces of wire could not only function as lines but a combination of them could function as a face; thus, the space that could be seen from objects in this study was transformed into unique one with inside and outside parts opened due to a crevice caused by line construction. The space seen from interstices of lines became another important means to form construction, and the interstice between lines was a good formative element by which one's will to pursue freedom from restriction could be expressed in a visible way. Steel was used as a main material, along with nonferrous metal used partially. Wire was tinkered through a silver tinkering process to gain a clean surface, with an electric process used partially. For the surface, the change in color was expressed both by boiling the work in green tea after coloring ferric chloride and by heating and oxidizing it after applying oil(soy oil and hog fat). This study served to develop a good appreciative eye to understand a solid construction and to acquire new space perception, which will be a great help to the researcher in performing formative activities in the future.

      • 주병의 조형적 변형 연구 : 심상표현을 중심으로

        홍명기 경기대학교 조형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도자는 수 천년동안 쓰임(用)이라는 이유로 제작 되어 왔다. 또한 그 쓰임은 현대에 이르러 단지 쓰인다는 의미에서 벗어나 아름다움(美)이라는 새로운 이유가 더해지며 역사를 이어가고 있다. 물론 옛날에도 예술적인 창조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현대에 와서 예술적 의미를 한층 과장하여 부각시킨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한다. 미(美)의 반대가 되는 것은 추미(醜美)가 아니라 무미(無美)라는 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만큼 현대는 미적 범위를 한곳에 두지 않고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본 연구자는 '주병(酒甁)'이라는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조형적 의미를 붙여보고자 한다. 주병의 형태는 통일 신라 시대 때부터 현존해 오던 형태로 역사의 숨결이 있으며 삶의 애환이 담겨 있는 생활용기이다. 그리고 술이 가지고 있는 의미로 인해 주병은 인간의 삶을 이해하는데 가장 적합한 주제라고 생각하였기에 본 논문의 중심적 이미지로 채택하게 되었다. 제작방법은 다양한 기법을 이용하여 같은 맥락의 작업이 주는 단일함에서 탈피하고자 하였으며, 주병이라는 주제에 '인간의 심상(心想)'을 부합시켜 그 둘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굳이 '인간의 심상'이라는 소주제를 명시한 이유는 쓰임(用)이라는 이미지가 부각되어있는 '주병(酒甁)'을 조형작업에 접목 시키고자 함이었다. 그 결과 조형화된 주병이라는 하나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으며 내용적으로는 인간의 심상표현을 첨가함으로서 조형작품이 가지고 있는 형태성에 의미성을 접합하여 또 다른 감각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Pottery has been manufactured for several thousand years for the purpose of utility or practical usage. In the modern days, the usage of pottery has been expanded beyond a mere utility to incorporate the concept of artistic beauty and craftsmanship. Of course, this is not to say that in the old days, the pottery only served the aspect of utility and not having its place in the realm of artistic creation. However, nowadays, the emphasis as an art or craftsmanship is certainly gaining momentum to a greater extent, compared to the usage of pottery as a utility. As one can argue that the opposite of beauty is not ugliness, but rather the absence of beauty, the concept of beauty has crossed the traditional boundary to include more complex definitions of beauty in modern times. The author wishes to grant a new artistic moaning In the evaluation of wine bottles. Wine bottles have been continuing in the current shapes for many centuries, since the Unified Shilla Dynasty, serving as essential utility for the people during their daily walk of life through happiness and sadness. In addition, wine has a very special meaning in people's life. Therefore, the author chose the wine bottle as the main topic of study in understanding the life of the people. Various methods of wine bottle making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to avoid the simplicity of repetitive work such as this and it was also intended that a subtitle of "Human mentality" was superimposed over the main topic so that the mutual relationship could be discussed. The reason for choosing "Human Mentality" as the subtitle is that the author wishes to graft a new dimension of "Artistic Beauty or Craftsmanship" over the pottery's main image as a utility. As a result, wine bottles as a product of artistic utility is achieved. In essence, this resultant product is induced by superimposing the human mentality over the shape of a craftsmanship to include a new symbolic meaning. A new product of new sensation is cre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