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의 초등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경향 분석

        권미경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의 석사학위 논문의 총람을 작성하고 각 학교별로 논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석사학위 논문의 경향을 학교별로 파악하여 음악교육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국내 초등음악교육계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국의 11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의 2005년 8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석사학위논문 248개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논문을 연구영역과 연구방법을 기준으로 각 학교별 논문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영역의 분류기준은 음악교육역사, 음악교육철학, 음악미학, 음악심리, 음악교육과정, 음악교재, 음악교수?학습방법, 음악교육공학, 음악교육평가, 음악교사교육, 음악특기적성, 국악, 다문화음악, 기타의 14개 영역이다. 그리고 연구방법은 역사연구, 기술연구, 실험연구, 문헌연구의 4가지를 기준으로 하였다. 학교별 논문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학교는 53편의 논문을 발표한 경인교대였으며, 모든 영역을 연구한 학교는 없었으나 11개 영역을 연구한 학교로 경인교대가 해당되었다. 연구방법에서는 경인교대, 부산교대, 청주교대에서 네 가지 연구방법을 모두 사용하였고, 나머지 학교들은 2개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가장 많이 연구된 연구영역은 음악교수?학습방법이며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의 방법이다. 대다수의 논문들이 교육적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지도안을 구안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저조한 연구를 보이는 영역으로는 음악교육역사, 음악교육철학, 음악미학, 음악교육평가의 영역이다. 그리고 역사연구의 방법이 가장 적게 사용된 연구방법이었다. 따라서 초등교육음악계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저조한 연구를 보이는 영역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논문들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는 체계적인 분류기준의 정립이 필요하다. 그리고 지속적인 연구를 위해서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공개적으로 제시하는 각 교육대학교의 교육적 아량이 요구된다. This study makes pandect of master these in the field of the music education of the graduated school in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analyzes the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understanding the tendency of theses in a master degree according to the national universities, showing useful data to the music education researchers and eventually contributing to internal elementary music education development. This thesis is based on 248 theses of the graduate schools in 11 national universities which were written from August, 2005 to January, 2008. It focuses on the theses trend in each university, using the criteria of the study scope and the study method. The study scopes use 14 areas: history of the music education,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music aesthetics, music psychology, processes of music education, music textbooks, music teaching methods, learning methods, engineering of music education, evaluation of music education, education of music teachers, the special ability of music, Korean classical music, multi-cultural music and other areas. The study method uses 4 kinds: history study, skill study, experiment study and documentary records study. Findings on analysis reveals that Kyengin Education University has published the highest amount of theses. It also shows that there is no university which has a thesis covering the 14 areas. However, Kyengin Education University has the theses which cover 11 areas. Some these of the Education University of Kyengin, Busan and Cheungju use 4 study methods and the others use at least 2 and more study methods. The most popular study scopes are music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methods and the highest used study method is the documentary records. Most of the these use the study method using educational ideas and making a guidance plan. The least study scopes are history of the music education, philosophy of the music education, music aesthetics and evaluation of the music education. The least study method is history study. All in all, the research of the least study scopes should be progressed for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in the field of the elementary music. It is also essential to set the systematic classified criteria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theses. It is, moreover, required that each university shows broad mind to allow researchers to access useful materials openly.

      • 음악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경향 분석 연구 : 국내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중심으로

        채규조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문헌 정보의 홍수 속에서 음악학도들에게 필요한 자료를 신속 정확하게 찾는데 느끼는 곤란함과 자료검색을 위한 2차 자료의 필요성에 부응하여 음악교육 연구의 정보자료로서 음악교육 문헌관계 석사학위 논문의 총람을 작성하고 이를 장르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1993년부터 2002년 2월까지 제출된 국내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333편의 논문 총람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333편의 장르별 연구경향은 14개의 장르 중에서 음악교육론 영역과 국악교육영역에 각각 67편(20.1%)으로 가장 많은 연구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 논문 작성자들 대부분이 초등교육에 몸담고 있는 교사로서 좀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음악교육을 하기 위한 노력의 표출로서 음악교육학적 측면에서 음악교육방법을 연구해 보려는 시도를 엿볼 수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서양식의 음악교육을 답습해온 이제까지의 교육에서 탈피해 우리의 것을 바로 알고자 하는 국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기조를 반영하여 국악교육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장르별-연도별 연구경향의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논문이 발표되기 전인 1998년까지의 장르별 연구 비중을 살펴보면 음악교육론(28편), 성악교육(14편), 국악교육(14편), 작곡교육(11편), 교육과정(10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논문이 발표되는 1999년에는 국악교육 9편, 성악교육 7편, 음악교육론 3편으로 국악교육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이후 2002년까지의 장르별 연구 비중을 살펴보면 국악교육(49편), 음악교육론(39편), 성악교육(30편), 교육과정(23편), 감상교육(19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1999년 이후 국악교육의 연구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된 데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논문의 연구대상 시기인 6차 교육과정 때부터 국악교육에 많은 관심과 영역이 할애되었고 7차에 이르러 초등음악의 5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어 국악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여진다. 1992년부터 1998년까지 1편도 제출되지 않았던 피아노 교육관련 논문과 불과 2편만이 제출되었던 음악 교육 평가 영역이 1999년 이후 피아노 교육이 총 7편, 음악 교육 평가 영역이 11편으로 많이 증가되었다. 또한 어느 영역에도 소속되지 않는 새로운 영역의 논문들도 1999년 이후 10편이 발표되었다. 셋째, 장르별-학교별 연구경향의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음악교육론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부산교육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였으며, 음악재능교육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진주교육대학교였다. 성악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공주교육대학교, 전주교육대학교였으며, 작곡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대구교육대학교였다. 국악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광주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였다. 이를 토대로 살펴보면 학교에 따라서 장르별로 비중을 두어 연구하는 영역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또한 서울교육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의 경우는 14개 영역 중 종교음악교육, 유아교육, 특수교육의 특수한 영역을 제외하고는 고른 연구의 경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처음으로 초등음악교육전공의 연구 논문이 발표된 이래 전국의 11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초등음악교육전공이 개설되고 논문이 발표되면서 양적, 질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essay is to provide a general view of master's thes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as a valuable source of music research and to analyze it according to the music genre. It is helpful for music researchers to find necessary information easily in the plethora of music materials and to resolve the difficulty of information searching. This research investigated a total number of 333 master's theses related to music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which was published in Korea from 1993 to February 200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research trend by a genre showed that 14 categories among 333 thesi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music education and traditional Korean music that were composed of 67 thesis(21.1 %). This revealed that most research was done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can be a good indication that teachers attempt to do systematic and scientific research of music education. It can be interpreted as a trend of avoiding imitating Western style of music education and higher interests in traditional Korean music. Second, the general analysis according to the genre and annual publication showed that 28 thesis were about special areas of music education with 14 being about vocal music, 11 about writing music, and 10 about music curricula before theses of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were published in 1998. The theses relevant to music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at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tarted to be published in 1999. Nine theses were about traditional Korean music, seven on vocal music and three on music education. The trend of genre from 1999 to 2002 showed that 49 theses were made in the area of traditional Korean music, 39 about music education, 30 on vocal music, 23 about music education, and 19 concerning how to listen to music. It is believed that much interests in Korean music started at the 6th music curriculum contributed to the abundance of theses related to traditional Korean music, which comprised of roughly 50 % of 7th music curriculum. There was no thesis at the area of piano education from 1992 to 1998 and only two thesis at the area of music evaluation. However, since 1999 seven theses of piano education were published and eleven on music evaluation. Third, general analysis of this research proved that Busan, Seoul, Inchon, and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most theses of music education, and J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a lot of theses related to talented music education. Gongju and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most theses associated with vocal music. T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most theses about writing music. Kwangju, Busan, Incheon, Chunche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order had more theses connected with traditional Korean music. This result illustrated the fact that different college explored different genre of music. Seoul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a tendency of studying a variety of spheres among fourteen areas except fields of religion, kindergarden, and speci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thesis demonstrated that the amount of research exploring elementary school music was increased in the aspect of quality and quality at the eleve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i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their first master thesis.

      • 傳統文化資源을 活用한 文化的 都市再生에 關한 硏究 : 전주시를 중심으로

        김병수 전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A Study on the Cultural City Regeneration by Utilizing Traditional Culture Heritage Kim Byoung Su Dept. of Real Estat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Jeon-Ju University Advisor: Prof. Chung Cheol-Mo The regeneration of a city means the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which is the new ones such as electronics, high technology, and IT industry changed from mechanical mass production and the city project reviving the established city economically, socially, and physically which relatively falls behind due to the extension of the new town, by introducing the new function and creating. As the industry based on knowledge becomes the center of industry in the 21 century, creating social, cultural infra structure is more important than physical one for attracting intellectual groups and tourists. As well, the interest in the traditional, culture - heritage is getting high, considering aesthetic circumstance more precious and the cultural strategy of all kinds of events, historical culture, environmental conservation more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grasping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and suggesting pushing forward method for the reformation of a city, second, showing the strategic plan of Cheon-Ju-Si cultural reformation, utilizing successful examples of the major developed countries (England, Japan, German) Seoul and Incheon, last, mentioning the expectant effect which will be gained by pursuing cultural city-reformation. This study consists of as following ; In the chapter 1,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study, the outline of study explaining the rough contents is arranged. In the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ity - reformation-project,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the reformation of a city is mentioned, the meaning of city-reformation is caught hold of, and the developmental instances of domestic and foreign city-reformation is observed. In the chapter 3, th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of Cheon-Ju-Si is investigated and classified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city-reformation project of Cheon-Ju-Si is understood. In the chapter 4, the promoting way of cultural city-reformation-project using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and the strategy and expectant effect of city-reformation are mentioned. In the chapter 5, the conclusion of the cultural city-reformation utilizing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is completed. Creating the new image of city, cultural image of city, plays an important role as motive in economical, social activation of city in order to establish the city-reformation. The four promoting methods for establishing cultural reformation of city are summarized. Frist, the way to grant the strategic function carrying out the central role as the position of the Ho-nam district's traditional culture should be worked out. Second, the place for enjoying varied culture of city should be created. Last, the comfortable, convenient place for citizen should be made. Activating the district by bringing up and promoting the cultural tour at the used Cheonbuck provincial office, and flowing permanent residents into the city are other strategies for cultural city-reformation. The expectant effect of cultural city reformation is first, raising cultural identity of city utilizing historical, cultural resources, and increasing the flowing population using all kinds of events, second, making varied tour-product as well as tour-profit by promoting the experience-tour of traditional culture.

      •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교양체육 참가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자아탄력성과 라이프 스킬 비교 연구

        왕영 전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55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actical guidance for improving the life skill of University Students by exploring the difference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with their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in four ways. First, the differences i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s are analyzed based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in China and Korea. With the variables of gender, age, grade,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are analyzed respectively.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are analyzed.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is explored. So,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egree of participatio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ranking effect of life skill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300 University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Jeollabuk-do,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selected for Korean subjects, while 450 University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Jiangsu Province, Yangju University, and Nanjing University were selected as Chinese subjects. For data processing, this study use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analysis,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Scheffé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equation structure models as spss26.0 programs to test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Among them, 642 cases (231 cases in Korea and 411 cases in China) are used excluding invalid answer data.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go-resili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e level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mong them,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nd optimism, cause analysis, relationship, empathy, communication, and emotional control, which are sub-factors.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are classified, explained, and analyzed by country. As a result of the variance analysis of gender, age, grade,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of them,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differ significantly in physical self-concept, but 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 gender differences only in physical self-concept. Second, after controlling the influence of background variables (gender, age, grade, nationality), regression analysis shows a positive predictive effect o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Third,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life skill, and this mediating effect includes three paths. There is one parallel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respectively, and one sequenc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However, in the sequence mediating effect, the effect of ego-resilience is more significant than physical self-concept. It was found that the mor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 in the physical self-concept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course, the better their awareness of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ego-resilience will be increased. A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egree of participatio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ranking effect of life skill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between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and life skill is evident. In other words, the ego-resilience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life skill. This study observes the collective differences i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of the two groups who participated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collective characteristics of life skill master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in the impac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in the curriculum on life skill are proved and the importance of ego-resilience to acquire life skill is verified. It is important because it can give implications for training practitioners. In addition,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ares the psychological perspectives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rovides data support for students' mental health.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교양체육 참가 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자아탄력성과 라이프 스킬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양체육 참가 정도와 라이프 스킬과의 상관관계에서 신체적 자기개념 및 자아탄력성이 어떠한 매개 효과를 갖고 있는지를 검증함으로써, 대학생의 삶의 라이프 스킬 수준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지도 전략을 제공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문제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중국과 한국 대학생들의 교양체육 참가 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의 차이를 분석했다. 성별, 연령, 학년, 교양 참여 정도에 따라 중국과 한국 대학생은 교양체육 참가 정도,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에서 각각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했다. 둘째, 교양체육 참가정도와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셋째, 교양체육 참가 정도와 라이프 스킬의 관계에서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탐구했다. 또한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교양체육 참가 정도와 라이프 스킬의 관계에서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탐구했다. 이를 위한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소재 전주대학교와 전북대학교 그리고 전주교육대학교 총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 30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고, 중국에서는 장쑤성 소재의 태주대학교와 양주대학교 그리고 난징공과대학교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 45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데이터 처리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SPSS26.0 프로그램으로 빈도 분석, 탐색 분석, t검정, 일원 분산 분석, Scheffé 검증, 상관 분석, 다중 회귀 분석 및 방정식 구조 모델을 사용하여 매개 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했다. 이 중 불성실 답변 자료를 제외한 642면(한국 231면, 중국 411면)의 분석 자료를 사용했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하는 한국 대학생과 중국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에서는 차이 있었는데, 중국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중 하위요인인 생활만족도와 낙관성, 원인분석력,관계성,공감능력,커뮤니케이션능력,감정통제력에서 통계학적 차이가 있었다.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을 분리하여 국가별로 설명하고 분석을 전개했다.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성별, 연령, 학년, 교양수업 참여도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교양체육 수업 참여 수량에서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 모두 차이를 보였는데, 중국 대학생은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에서 성별과 학년의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신체적 자기개념에서는 연령의 차이를 보였으나, 한국 대학생은 신체적 자기개념에서만 성별 차이를 보였다. 둘째, 배경 변수(성별, 연령, 학년, 국적)의 영향을 통제한 후 회귀분석 결과 교양체육 참가정 도는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에 대해 긍정적인 예측 효과를 보였다. 셋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은 교양체육 참가 정도와 라이프 스킬 사이의 매개 효과를 가지며, 이 매개 효과는 3개의 경로를 포함한다.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의 병렬 매개 효과 각각 1개와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의 서열 매개효과 또는 시퀀스 매개 효과 1개이다. 그러나 서열매개 효과에서는 신체적 자기개념보다 자아탄력성의 효과가 더 중요하다. 대학생이 교양체육과정에서 신체적 자기개념에 참여할수록 교양체육 참가정도에 대한 인식이 좋아지고 자아탄력성이 풍부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교양체육 참가 정도,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의 서열 매개 효과를 각각 검증한 결과,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경우 교양체육 참가정도와 라이프 스킬 사이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즉, 중국 대학생과 한국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은 교양체육 참가정도와 라이프 스킬의 관계에 대해 긍정적인 매개 효과를 갖는다. 본 연구는 교양체육 교육과정에 참여한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의 집단적 차이를 관찰하였다. 라이프 스킬 숙달의 집단 특성을 밝히고, 교양체육의 교육 과정 참여가 라이프 스킬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라이프 스킬 습득을 위한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을 발견했다. 이것은 교육 실무자에게 참조 값을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논문은 교양체육에 참여하는 중국 대학생과 한국 대학생의 심리적 관점을 비교하고, 학생들의 정신건강을 위한 자료 지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 지각된 가치, 만족도 연구 : 전주시를 중심으로

        오승옥 전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55

        스마트관광이란 다양한 관광활동에 ICT가 개입되고, ICT를 매개로 다양한 정보가 상호교환되는 사회문화 및 경제적 활동이며(Buhalis &Amaranggana 2013, 2015; Gretzel et al. 2015a, 2015b), 관광객에게 앱과 플랫폼서비스를 통해 실시간, 맞춤형 정보를 스마트하게 경험하게 하는 새롭게 지능화한 관광을 의미한다. 세계 각국은 개별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ICT와 관광을 융합한 새로운 스마트관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고(김경태 2015) 경험이라는 요소가 강조가 되기 때문에 경험 또는 체험을 사고 파는 관광분야에서 중요한 패러다임으로 발전하고 있다(E. Sternberg 1997). 특히 관광산업은 코로나 19로 인한 펜데믹 상황에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향과 전략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고 코로나 19 이후 관광트렌드가 소규모 비대면 관광, 언택트(비대면) 중심의 관광소비가 예상되고 있다(연합뉴스 홍인철 2020.) 즉, 모바일과 ICT를 접목해 교통, 언어, 예약, 결재까지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스마트관광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새로운 전략을 통해 적극적인 관광객 유치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스마트관광에 대한 관광객들의 인식이 높아가고 있는 시점에서 이에 대응해 효율적인 스마트관광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의 어떠한 요인들이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지, 관광객의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은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20년 9월 26일부터 10월 18일까지 전주시를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같은 기간 SNS를 활용하여 모바일 설문조사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전주시를 방문한 관광객, 또는 최근 1년 이내 전주지역 관광경험이 있는 사람 중 만 19세~65세까지 500명을 대상으로 관광정보 웹사이트 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관광정보를 검색했거나 공유 또는 관광상품을 결재하거나 예약하는 등 스마트관광을 경험했던 관광객을 모집단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 중 상호작용을 제외한 개인화, 접근성, 정보성은 지각된 가치의 정서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향력의 크기는 개인화 > 접근성 > 정보성 > 상호작용 순이다. 이는 여행계획을 하는데 있어 관광객들은 관광관련 여행 관련 웹사이트, 소셜 미디어 및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관광 기술의 사용이 널리 확산되고 있다는 이론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따라서 스마트 애플리케이션과 웹사이트에 고객맞춤형 상품개발과 정보제공, 관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관광객이 여행계획을 세우고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 기쁘고 즐겁고, 재미있는 요소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의미여서 애플리케이션과 웹사이트에 고객의 이런 감성적이고 정서적인 만족감을 줄 수 있는 내용들이 많이 들어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이 기능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전주시의 관광관련 애플리케이션인 한바탕전주와 트루전주가 있는데, 접근성은 좋지만 자동결제 시스템이나 교통정보, 다양한 관광지 안내 등 정보성과 댓글, 질의 응답, 이용후기 등 이용자들과의 상호작용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한 부분에서 기능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전주시에서는 이런 점을 보완해 스마트 정보기술 속성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고려한 컨텐츠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개발한다면 고객이 품질과 가치를 지각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 중 정보성, 개인화, 상호작용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고객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이용자와의 상호작용이 활발할수록 관광객의 만족도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직까지는 전주시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기능이 부족에 이점을 보완해야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은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의 정서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의 일부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의 요소의 영향력은 현지환대경험 > 자기유익경험 > 우연한 경험 > 독특하고 이국적인 체험 > 현지문화 > 인프라시설 순이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의 요인 가운데 현지문화, 우연한 경험, 인프라 시설, 자기유익경험, 현지환대 경험이 정서적 가치에 영향을 주었고 독특하고 이국적인 경험은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능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의 요소는 독특하고 이국적 경험, 자기유익 경험, 현지 환대 경험이며 현지문화, 우연한 경험, 인프라시설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따라서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 요소 가운데 전주시민들의 관광객에 대한 환대, 관광객이 느낄 수 있는 자기만족, 전주만이 가질 수 있는 특별한 경험과 이색적인 체험 등의 프로그램들을 더 많이 기획하고 개발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의 요인중 독특하고 이국적인 경험과 인프라 시설, 자기유익경험이 영향을 미쳤고 현지문화, 우연한 경험, 현지환대 경험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 같은 결과는 전주시를 방문한 관광객들은 다른 지역에서 느낄 수 없는 독특하고 이국적인 경험이나 자기유익경험, 인프라 시설에 만족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현지문화와, 우연한 경험, 현지환대 경험에는 만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관광객들에게는 기억에 남는 경험이 중요한 의사결정요인이라고 할 수 있고, 관광객들에게 만족스러운 경험 제공은 관광기업의 존재이유이며 지속적인 성공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열쇠(박완규·김용범·최유진, 2017; Ooi 2005)라는 선행연구를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여섯째,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의 정서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 모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부분의 연구와 일치한 결과로 전주시를 방문한 관광객이 적절한 가격과 가치있는 여행을 하고 여행을 통해 즐겁고 기쁘고 편히 쉴 수 있는 기능적·정서적 가치에 만족했을 경우 전주시의 스마트관광 만족도 역시 높았다는 결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스마트관광 정보기술 속성 요인의 특성을 반영하여 관광 웹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새롭게 보완·개편해 모바일 숙박 및 음식점의 예약 및 결제시스템이 더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전자결제시스템을 확충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 가상현실(VR), 무료와이파이, 개인 맞춤형 서비스와 프로그램 제공, 스마트 교통정보 시스템 확충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mart tourism is a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activity in which ICT is involved in various tourism activities and various information is exchanged through ICT(Buhalis & Amaranggana 2013, 2015; Gretzel et al. 2015a, 2015b), and apps and platforms to tourists. It refers to a newly intelligent tourism that enables a smart experience of real-time and customized information through services.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making all-out efforts to provide new smart tourism services that combine ICT and tourism to attract individual tourists(Kim Kyung-tae 2015), and as the factor of experience is emphasized, it is developing into an important paradigm in the field of tourism that buys and sells experience or experiences(E. Sternberg 1997). In particular, the tourism industry cannot help but seek different directions and strategies in the context of the fendemics caused by COVID-19, and tourism consumption centered on small-scale non-face-to-face tourism after COVID-19. In other words, it is faced with a reality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ctive tourist attraction plans through new strategies such as building a mobile-oriented smart tourism platform. Therefore, at a time when tourists' awareness of smart tourism is increasing, what factors of smart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properties affect in providing efficient smart tourism information, and what constituent factors remain in the memory of tourists. It is an element of tourism experience, and a study was conducted on how it affects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ourists who visited Jeonju from September 26 to October 18, 2020, and mobile surveys were simultaneously conducted using SNS during the same period. The subjects of the survey are tourists who have visited Jeonju City, or 500 people aged 19 to 65 among those who have experienced tourism in Jeonju within the last year. Search and share tourist information using a tourist information website or smartphone application, or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population of people who experienced smart tourism such as reservation and payment for tourism produ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personalization, accessibility and information quality, excluding interaction among smart tourism technology attributes(STTA),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motional value of perceived values.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is in the order of personalization > accessibility > information > interaction. This is a result that tourists can reconfirm the theory that the use of STTA such as tourism-related travel websites, social media, and smartphones is widespread in travel plan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related to tourism and development of customized products and information on smart applications and websites. It also means that tourists are greatly influenced by happy, enjoyable and fun factors in making travel plans and making decisions, so the application and website should contain a lot of content that can give customers this emotional and emotional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TTA properties did not have an effect on functional value. As a result of this, there are Hanbatang Jeonju and True Jeonju, which are tourism-related applications in Jeonju. But the accessibility is good, but it is relatively in the interaction with users such as automatic payment system, transportation information, and various tourist information and comments, questions and answers, and reviews. It is analyzed that the functional value was not affected in the insufficient part. In the future, if Jeonju develops contents and user interfaces(UI) that take into account the relative influence of STTA by supplementing these point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s' perception of quality and value. Third, among the attributes of STTA, information, personalization, and interac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Accordingly, the more information is provided to mobile applications, customized services are provided for each customer, and interactions with users become more active, the more tourists You will be able to increase your satisfaction. In addition, Jeonju's mobile application still lacks the ability to interact with customers, so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satisfaction by supplementing this advantage. Fourth, the memorable tourism experience(MTE) was analyz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motional value of the perceived value of tourists and some factors of the functional valu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fluence of the elements of the MTE is in the order of local hospitality > self-interest experience > serendipity experience > unique experience > local culture > infrastructure facilities. Specifically, it was analyzed that among the factors of the MTE, local culture, serendipity experience, infrastructure facilities, self-interest experience, and local hospitality influenced emotional values and that unique experiences did not affect them. The elements of the MTE tha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unctional value were unique experiences, self-interest experiences, and local hospitality experiences, and local culture, serendipity experiences, and infrastructure facilities have not effect. Therefore, among the most elements of the MTE, programs such as Jeonju citizens' hospitality to tourists, the self-satisfaction that tourists can feel, and the special experience and unique experience that only Jeonju can have should be planned and developed.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MTE on satisfaction, unique experiences, infrastructures, and self-interest experiences among the factors of the MTE were affected, and local culture, serendipity experienc, and hospitality experiences were satisfied. Did not affect These results mean that tourists visiting Jeonju City are satisfied with unique experiences, self-interest experiences and infrastructure that cannot be felt in other regions, and that they are not satisfied with local culture, serendipity experience, hospitality experiences. For tourists, MTE is an important decision-making factor, and providing a satisfying experience for tourists is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tourism companies and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leading research of the most effective key to continued success(Park Wan-kyu, Kim Yong-beom, Choi Yoo-jin, 2017; Ooi 2005). Sixth, it was analyzed that both the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s of the perceived value of tourists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As a result of most studies, it is analyzed that Jeonju City's smart tourism satisfaction was also high if tourists who visited Jeonju City were satisfied with the appropriate price and functional and emotional values to enjoy, enjoy and relax through Jeonju travel. Lastl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lectronic payment system so that the reservation and payment system of mobile accommodation and restaurants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by newly supplementing and reorganizing tourism websites and mobile application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TTA. It is believed that virtual reality(VR), free WiFi, provision of customizing service and programs, and expansion of smart traffic information systems are expected.

      • 남장로교 선교사 윌리엄 M. 전킨의 한국 선교 활동 연구

        이남식 전주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구한말 호남지방에서 활동했던 선교사 윌리엄 맥클리어리 전킨(William McCleary Junkin)의 한국 선교 활동을 역사적으로 정밀하게 추적 재구성한 것이다. 1892년 11월 서울에 도착한 전킨은 그 후 1896년 4월 군산으로 완전히 이주할 때까지 서울에 체류하면서 한국어를 배우고 남장로교의 전반적인 호남 선교 준비 활동에 참여하였다. 전킨은 1893년 겨울 딕시를 떠나 도시 성벽 밖의 새로운 집으로 이사했다. 서울 서소문밖의 그 집을 오픈하여 한국인 전도에 나선다는 생각이었다. 전킨은 동학으로 인해 선교사들의 도성 밖 출입이 제한된 1894년 6월부터 서소문 사역을 시작하였다. 사실상 전킨의 단독 목회가 시작된 것이다. 그는 자신의 서소문 자택 사랑방을 전면 개방하여 한국인들을 맞아들였다. 벌써 전킨의 한국어 구사 능력은 일상적인 대화가 가능한 수준이었다. 1895년 3월 전킨의 서소문 사역은 이제 단순한 전도의 거점을 넘어 서서 신앙공동체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바로 그 때 전킨 목사가 인도하는 첫 예배가 드려졌던 것이다. 또 전킨은 1895년 4월 2일 주일 자신의 서소문공동체에서 신앙을 고백하는 5명을 문답하였다. 이 5명 가운데 2명은 드루의 환자였고, 다른 1명은 드루의 하인으로 일하고 있던 남자 아이였다. 문답 결과 두 명이 합격하여 세례를 받았다. 이는 남장로교 선교사에 의해 베풀어진 최초의 세례식이었다. 그 후 전킨은 1895년 봄 군산을 다녀온 이후 전킨부인과 매티 테이트에 의해 관리되고 있던 자신의 서소문공동체의 구성원 7명을 문답하여 그 가운데 3명에게 세례를 주었다. 이로써 전킨의 교회는 세례교인 5명의 회중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그 후 드루와 함께 군산으로 내려간 전킨은 1896년 7월 20일 군산 사람 송영도 김봉래에게 세례를 베풀었다. 호남 최초의 세례였다. 군산교회는 이렇게 시작되었다. 그 후 군산교회는 성장 가도를 달렸다. 전킨은 1897년 7명에게 세례를 베풀었고, 1898년에는 14명에게, 1899년에는 상반기에 30명, 하반기에는 무려 56명에게 세례를 주었다. 그리고 전킨이 안식년을 맞아 미국을 떠나기 직전인 1900년 4월에는 모두 53명에게 세례를 주었다. 이 때 군산선교부 경내에는 만자산, 남차문, 송지동, 통사동 등 모두 네 곳에 신앙공동체가 세워져 있었다. 안식년 후 전킨은 곧 선교현장에 복귀하였다. 1902년 군산 영역에서는 51명의 학습인이 스스로 문답에 참여하여 그 중 18명이 세례를 받아 교회의 정회원이 된 것을 비롯해 모두 77명이 세례를 받았고, 4명의 아이가 유아세례를 받았다. 그 후 1904년까지 전킨은 군산 영역의 공동체들을 계속 관리하고 목회후보생을 교육시키며 군산남학교의 관리자로서 학생들에게 영어성경과 구약성서역사 그리고 작문을 가르쳤다. 전킨부인은 1902년 군산남학교를 시작한데 이어 1903년 스트래퍼에 의해 시작된 군산여학교를 1904년 인수 받아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남장로교 한국 선교부는 1904년 연례회의에서 군산 선교사 전킨을 전주로 전임시켰다. 그리고 그의 사역지를 전주 3마일 이내로 제한하였다. 그의 건강을 염려하여 내린 조치였다. 전킨의 사역은 모두 4개의 영역-전주사역, 지방사역, 전주남학교, 평양신학교-에서 진행되었다. 전킨이 담당하고 있던 전주교회 사역은 전킨 부임 이후 번영을 구가하게 되었다. 전킨은 1906년 전주 서문밖에 780평의 대지 위에 57평 건평의 한양절충식 새로운 예배당 건축을 주도하여 교회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전킨의 지방사역지는 김제와 금구 등 두 개 군이었다. 또 전킨은 해리슨에 이어 전주남학교도 관리하였다. 전킨 부인 역시 전주여학교와 전주교회 주일학교를 맡아 사역하였다. 전킨은 1908년 1월 2일 전주에서 사망했다. 장티푸스가 폐렴으로 발전한 것이다. 천성적으로 몸이 약했던 데다가 열정적인 선교로 몸에 많은 무리를 주었던 때문이었다. 전킨의 시신은 군산으로 옮겨져 1월 4일 그의 2명의 아들 곁에 묻혔다. 전킨은 슬하에 모두 5명의 자녀를 남겼다. 전킨부인은 그 해 봄 미국으로 귀국하여 자녀들을 교육시킨 후 1952년 11월 1일 별세하였다. 윌리엄 전킨은 한국 사람을 가장 잘 이해한 선교사였다. 사실 그것은 한국어를 잘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었다. 그는 한국인들과 함께 살았고 그들의 마음과 삶에 들어가 있었다. 거기서 그는 그들의 사고방식을 이해했고, 인간관계를 형성했다. 그는 한국인들의 일거수일투족에 정말 흥미를 느꼈다. 그들의 단점과 장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다. 그러면서 그 모든 것을 떠나 그들을 사랑할 줄 알았다. 그가 세운 교회는 지금도 왕성하게 믿지 않는 자들을 주님께 인도하고 있다. 그의 선교의 열매는 전라도지역에서 빛을 발하고 있다.

      • 全州市 地域文化를 活用한 漢文科 授業資料 開發

        권태주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 material for Classical Chinese subject which can be used in school field and implement regional education by utilizing regional culture of Jeonju city. For this, 2007' the 7th curriculum for Classical Chinese subject was analyzed, data for regional culture in Jeonju were examined, and as a result, essential content was extracted and teaching material for Classical Chinese subject was composed.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Ⅰ, study purpose, scope, and method were suggested. In chapterⅡ, data for regional culture in Jeonju were suggested for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 Jeonju was birthplace of Chosun royal court and the most important place in Jeollado. Historical relics such as Gyeonggijeon, Jogyeongdan etc. are located in Jeonju. And Jeonju is base for Korean style including most Korean traditional culture like Korean traditional house, Korean-style food, Korean traditional paper etc. which are ground of traditional life style. In addition, as a city of the arts, various cultural heritage like sound(Sori), food, public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etc. remain still. First, this study examined beautiful street names(village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with which characteristics of regional culture in Jeonju, history and culture of Jeonju with long history of one thousand years can be known. It would be good material to understand culture of Jeonju and street culture. Next, historical relics and regional cultural properties in Jeonju were investigated. This would be an opportunity to learn about valuable cultural heritage in our region, cultivate cultural consciousness, and let cultural heritage in Jeonju be known - for this, this study investigated cultural heritage in our region and tried to seek traces of history and culture. .Korean style (Korean traditional house, Korean-style food, Korean traditional paper) was investigated. Korean style means Korean style connected to spiritual element which has flown without pause through whole Korean traditional culture. First, 'Korean traditional house' was studied - In Korean traditional house, our ancestor's wisdom and warm feeling live. Second, 'Korean traditional paper' was reviewed - Korean traditional paper is recognized by its excellence based on uniqu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Korean people. Third, 'Korean-style food' was examined. Korean style would contribute to continuous expansion of Korean wave which mainly focuses on the popular culture through expanding interest and the base about traditional culture - the source of Korean culture. In the chapter Ⅲ, the author focused on these sentences among character of Classical Chinese subject in 2007' curriculum - 'Students have attitude to understand life and wisdom of predecessors, cultivate sound view of value and desirable personality, understand traditional culture, and creatively succeed and develop traditional culture.'And the author tried to compose teaching material by selecting core content from data of chapter Ⅱ. For data, sub-units were composed by selecting 10 items from regional culture, historical relics, regional cultural properties, Korean style(Korean traditional house, Korean-style food, Korean traditional paper) in Jeonju. Each unit was composed in the order of 'text', 'Classical Chinese to be learned', 'learning yard', 'supplementary yard- into the culture' so that students can learn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There are many ways to easily understand regional culture, to be familiar with Classical Chinese, raise interest in Classical Chinese, and recognize importance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For example, manage beautiful natural environment of Jeonju; collect, preserve, and study regional cultural heritage; arrange framework of cultural industry through study on fields of Korean traditional house, Korean-style food, Korean traditional paper; utilize regional culture for teaching Classical Chinese such as 'seeking data of cultural heritage about Jeonju', 'seeking data of cultural heritage about Jeonju', 'seeking things worth to be praised in Jeonju', 'knowing historical figure who made Jeonju be shined', 'participating in various events held in Jeonju', and 'knowing life of clothing, food, and shelter in Jeonju.' And through material of regional culture, interest in our history and opportunity to use leisure time can be provided, and understanding life and wisdom of predecessors makes learners form desirable view of value - now learners experience confusion by various views of value in the midst of era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enables students cultivate personality, realize moral value, practice character, furthermore, understand traditional culture, and succeed and develop traditional culture. 본 연구의 목적은 全州市의 地域文化를 활용해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漢文科 授業資料를 개발하여 地域敎育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전주시 지역문화 자료를 조사한 후 그 가운데 핵심 내용을 추출하여 한문과 수업자료로 구성해보았다. 이 논문에서 논의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Ⅰ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연구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수업자료의 개발을 위하여 전주시 지역문화 자료를 제시하였다. 전주는 조선왕실의 발상지이자 전라도의 으뜸이 되었던 고을이다. 전주의 경기전과 조경단 등 역사적 유물들이 도시를 관통하고 있고 지나온 천년 역사의 저력만큼 전주는 전통생활양식의 근간인 한옥 ․한식 ․ 한지 등 가장 한국적인 전통문화를 담고 있는 韓 스타일의 거점도시이다. 이와 함께 예향으로서 소리, 음식, 서화 출판 등 다양한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먼저, 전주 지역문화의 특징과 천년 전주의 역사성과 문화를 알릴 수 있는 아름다운 도로 명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다음에는 우리 고장의 역사유적지와 지방문화재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문화유산에 어떤 것들이 있으며 역사와 문화의 흔적을 찾아보고 우리 지역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배우며 문화의식을 함양하고 전주의 문화유산을 알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다음에는 韓 스타일(한옥, 한지, 한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韓 스타일은 한국전통문화 전반에 면면히 흐르고 있는 정신적 요소에 결합된 한국적 양식, 한국 풍을 의미한다. 韓 스타일은 우리 문화의 원천인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과 저변 확대로 대중문화 위주인 한류의 지속 확산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제Ⅲ장에서는 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 중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며,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창조적으로 계승 ․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닌다.’에 초점을 맞추어 Ⅱ장의 자료에서 핵심적인 내용을 선정하여 수업자료를 구성해보았다. 자료는 전주시의 지역문화, 역사유적지, 지방문화재, 韓 스타일(한옥, 한지, 한식)에서 10가지를 선정하여 소단원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단원은 ‘본문’, ‘배울 한자’. ‘학습마당’, ‘보충마당-문화 속으로’ 순으로 구성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지역문화를 한문수업에 활용함으로써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의 문화를 쉽게 이해하고, 어렵게 여겨졌던 한문이 더욱 친숙하게 느껴지며 한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한문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될 것이다. 또 地域文化 자료를 통해 우리 역사에 대한 관심과 여가활용의 기회를 제공하고 先人들의 삶과 智慧를 이해함으로써 世界化․情報化 시대 속에 다양한 가치관들이 혼재하여 혼란을 겪고 있는 학습자들에게 바람직한 價値觀을 形成하게 하여 보다 높은 人格을 기르고 道德的 價値를 실현하며, 人性을 도야하고, 나아가 傳統 文化를 이해하고 계승 ․ 발전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한국 영화·영상산업 발전 방안 연구 : 전주영화제작소를 중심으로

        문병용 전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Since 2000,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was held in Jeonju, the film and video industry in Jeonju has undergone many changes every year. Related organizations in the film and video industry such as Jeonju Film Commission, Jeonbuk Independent Film Association, and Jeonju Public Media Center Young Shimi have been established to conduct film-related projects, educational programs, and small screenings. Through the achievements of these projects, the Jeonju Cinecomplex opened on May 19, 2009 in the location of Wansan Health Center in Jeonju-si, instilling new changes and vitality in the film and video industry in the region, establishing the Jeonju Independent Cinema House. Even the plan is being materialized. Starting from the program planning manager of Jeonju Digital Independent Cinema, Jeonju Cinecomplex in the early days of its opening in 2009, based on the experience and data experienced while actually operating and managing the Jeonju Cinecomplex to date, the progress of the projects that have been carried out over the past 10 years and what was the outcome. Looking back from an objective perspective,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Jeonju Independent Cinema House what the Jeonju Cinecomplex should prepare for the film and video industry in the Jeonju region before its establishment, and based on its years of experience in operation and its role after its establishment. We want to come up with an efficient plan.

      • 전주지역 무형문화재 활용 방안

        국민희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문화재는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높은 문화재를 후손들에게 물려줄 의무와 책임이 있다. 이에 문화재 보호하고 전승하기 위해 1962년 ‘문화재보호법’을 제정하였다.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문화재를 유형문화재와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문화재 등으로 구분하였다. 이 중에서도 보존과 전승, 역사적 가치 등이 높은 문화재를 ‘지정문화재’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보존과 전승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활발하게 활용되고 보존되고 있는 유형문화재에 비해 무형문화재는 보존과 전승이 어렵다. 특히 무형문화재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점차 줄어가면서 더욱더 어려운 상황에 놓여졌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2015년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전라북도에서도 2016년에 무형문화재 보존과 전승을 위한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조례’가 제정되었다. 제정된 법의 보호 아래에서 무형문화재는 보전과 전승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전라북도 소재의 지정문화재는 총 981건이며, 그 중에서 전라북도 무형문화재는 총 97건이다. 97건의 무형문화재 중 52건이 전주지역 소재로 지정되어 있다. 전라북도 14개 시·군 중에서 전주지역에 가장 많은 무형문화재가 전승되고 있다. 이에 전주지역에 국립무형유산원과 도립국악원, 한지박물관, 부채문화관 등 무형문화재 관련 기관이 건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곳에서는 무형문화재에 대한 전시와 공연, 교육, 체험 프로그램 등을 진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전주세계소리축제, 전주비빔밥 축제 등 무형문화재를 주제로 다양한 축제가 매년 개최하고 있다. 이렇게 전주지역에서는 무형문화재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주지역 무형문화재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무형문화재에 대한 인지도를 검토하였다.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전주지역 무형문화재에 대한 홍보가 부족하고 사람들의 관심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또한 전주지역 무형문화재 활용현황을 살펴보고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파악하였다. 설문조사에서 확인한 문제점과 활용 현황에서의 문제점을 종합하여 전주지역 무형문화재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시도무형문화재에 대한 기록화 사업 진행을 제시하였다. 무형문화재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보존과 전승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무형문화재 기록화 작업이 필요하다. 전주교육관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전주지역에 종합 전수교육관을 설립하여 전문가 교육뿐만 아니라 일반인 교육도 진행한다면 일반시민도 부담 없이 방문하여 무형문화재를 배우고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콘텐츠 활성화가 필요하다. 발전하는 디지털 기술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무형문화재 온라인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전주지역에 무형문화재만을 위한 전시관 건립을 하는 것이다. 이 공간에서 전주지역 무형문화재를 위한 전시와 공연이 진행되며, 무형문화재 관련 교육 및 체험 프로그램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조성을 위해서는 전주시에서 사업 추진 계획을 세우고 진행하는 등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전주지역 무형문화재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무형문화재의 보존과 전승뿐만 아니라 활성화를 통한 무형문화유산의 도시로 무형문화재와 시민들을 이어주는 역할해주길 바란다. 또한 지속적인 무형문화재 활용 방안 연구가 이뤄져서 다양한 문화시설과 프로그램 등이 개발되어 많은 시민들이 무형문화재를 언제든지 향유할 수 있기를 바란다. We have the duty and responsibility to pass down our cultural assets with high historical and artistic values to our descendants. In this context,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was enacted in 1962 to protect and transmit cultural assets. According to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cultural properties are classified into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monuments, and folk cultural properties. Among them, cultural properties with high historical value for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are designated and managed as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In line with the purpose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continuous efforts have been made for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However, it is hard to preserve and transmi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comparison to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at are actively used and preserved. In particular, as people's interest in intangible cultural assets gradually diminished, the situation became more and more harsh. In an effort to overcome this crisis, the Act on Con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enacted in 2015. With enactment of the Act on Con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Jeollabuk-do provincial government also enacted in 2016 the “Ordinance on Con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Jeollabuk-do” for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the area. Under the protection of the enacted law, efforts are made to preserve and transmit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ere are a total of 981 designated cultural assets located in Jeollabuk-do, and 97 of them are Jeollabuk-do intangible cultural assets. Among 97 intangible cultural assets, 52 have been designated in Jeonju area. Out of 14 cities and counties in Jeollabuk-do, Jeonju has the largest number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handed down. This is why institutions related to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uch as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Provincial Korean Classic Music Center, Hanji Museum, and Fan Culture Center have been built and operated in Jeonju. They all host exhibitions, performances, and educational as well as experimental programs on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addition, various festivals are held every year under the theme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uch as the Jeonju World Sori Festival and the Jeonju Bibimbap Fest. In this way, the Jeonju region is making efforts to revitalize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this paper,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Jeonju area to examine the awarenes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From the survey, it was made known that publicity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Jeonju is insufficient and people are not interested in them. Moreover, the status of utiliz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Jeonju area was reviewed and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o see if there are any problems in this regard. By piecing together the issues identified from the survey as well as the problems revealed in the current use, measures for utiliz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Jeonju are suggested here. First, it is suggested to proceed with the documenting project of intantangible cultural assets in cities and provinces. In order to utilize intangible cultural assets, continuous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are necessary. For this purpose, it is requested to document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one of the means, a plan to revitalize Jeonju Education Center is proposed. If a comprehensive training center is established in Jeonju area that can provide not only professional but also general education about the cultural heritage, even ordinary citizens will be able to visit it to learn and enjoy intangible cultural assets without any burden. Besides, it is also needed to activate online contents using digital technology. Development of a new form of online contents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should be realized through the evolving digital technology. Lastly, an exhibition hall dedicated exclusively to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s to be built in Jeonju area. In this venue,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Jeonju area could be held, and education and experience programs related to intangible cultural assets could further be conducted. To create such spaces, Jeonju City needs to pay continuous attention to such as establishing and carrying out a promotion plan for the project. The present thesis is aimed at assisting to revitalize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Jeonju area. Furthermore, it is also intended to play a role of connec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citizens through activation as well as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as a city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n this occasion, it is hoped that continuous researches on the ways to utilize intangible cultural assets should be conducted and various cultural facilities an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so that a great number of citizens could enjoy intangible cultural assets at any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