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온열마사지가 중년 및 노년여성의 복부비만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국민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rmal massage on the abdominal obesity and stress of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6 adult women who resided in Seoul, experienced childbirth, and measured over 80cm around the waist and over 0.85 in WHR (waist-hip ratio).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est group A (middle-aged women) and B (elderly women) consisting respectively of eight persons, and received eight sessions of thermal massage on their abdomen rubbed with blended essential oil of which one lasted for twenty minutes, twice a week for four weeks. After each of sessions, they were survey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abdomen characteristics, stress level, and level of satisfaction. To determine changes in stress levels, stress indexes and changes in sympathetic nerve, parasympathetic nerve, and autonomic nerve activity were measured by using a pulse wave meter (uBioClip v70) before massage, and after massage 4 and 8. To determine changes in body composition, abdominal circumference was measured by using a tapeline and weight, BMI, WHR, body fat percentage, and body fat mass were measured by Inbody 510. By comparing stress index before and after massage, it was found that test group A showed significant increase (p<0.01) and test group B showed no statistically-significant changes. By comparing sympathetic nerve activity before and after massage, it was found that both test group A and B showed significant increase (p<0.05). By comparing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before and after massage, it was found that test group A showed significant increase (p<0.01) and test group B showed increas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comparing autonomic nerve activity before and after massage, it was found that neither test group A nor B showed any significant change. By comparing abdominal circumference before and after massage, it was found that both test group A (p<0.001)and B (p<0.05)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By comparing weight before and after massage, it was found that both test group A (p<0.05))and B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By comparing BMI and body fat mass before and after massage, it was found that both test group A and B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p<0.05). By comparing WHR before and after massage, it was found that both test group A (p<0.05) and B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By comparing body fat percentage before and after massage, it was found that test group A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but test group B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p<0.05). As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rmal massage with essential oil relieves stress and helps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reduce their abdominal circumference, weight, BMI, WHR, body fat percentage, and body fat mass,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usefully applied to health promotion program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본 연구는 온열마사지가 중년 여성과 노년 여성의 복부비만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여성으로 출산 경험이 있으며, 허리둘레가 80 cm 이상, WHR이 0.85 이상인 성인 여성 16명을 대상으로 실험A군(중년 여성)과 실험B군(노년 여성)으로 8명씩 두 그룹으로 나누어 블렌딩한 에센셜 오일을 1회 20분씩 주 2회 4주간 총 8회로 온열 복부마사지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복부 특성 및 스트레스 정도와 만족도 설문조사를 하였다. 신체 조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전과 4회 후, 8회 후에 복부둘레 측정은 줄자를 이용하였고 Inbody 520을 이용하여 체중, BMI, WHR, 체지방률, 체지방량을 측정하였다. 스트레스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생체 신호 맥파 측정기 uBioClip v70을 이용하여 스트레스 지수와 교감, 부교감, 자율신경 활성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스트레스 변화 비교는 스트레스 지수에서 실험A군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p<0.01), 실험B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보이지 않았다. 교감활성도 전·후 비교는 실험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부교감 활성도 전·후 비교는 실험A군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1), 실험B군도 증가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자율신경 활성도는 실험군 모두 유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신체 조성 변화 비교에서는 복부둘레 전·후 비교는 실험군 모두 감소하였으며 실험A군(p<0.001) 과 실험B군(p<0.05)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체중 전·후 비교는 실험군 모두 감소하였으며 실험A군(p<0.05)과 실험B군(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BMI와 체지방량의전·후 비교는 실험군 모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WHR 전·후 비교는 두 실험군에서 감소하였으며, 실험A군(p<0.05) 과 실험B군(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보였다. 체지방률의 전·후 비교는 실험A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험B군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를 하였다(p<0.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에센셜오일을 이용한 온열마사지가 스트레스 해소와 중년 여성과 노년 여성의 복부둘레, 체중, BMI, WHR, 체지방률, 체지방량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 증진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전주지역 무형문화재 활용 방안

        국민희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화재는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높은 문화재를 후손들에게 물려줄 의무와 책임이 있다. 이에 문화재 보호하고 전승하기 위해 1962년 ‘문화재보호법’을 제정하였다.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문화재를 유형문화재와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문화재 등으로 구분하였다. 이 중에서도 보존과 전승, 역사적 가치 등이 높은 문화재를 ‘지정문화재’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보존과 전승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활발하게 활용되고 보존되고 있는 유형문화재에 비해 무형문화재는 보존과 전승이 어렵다. 특히 무형문화재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점차 줄어가면서 더욱더 어려운 상황에 놓여졌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2015년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전라북도에서도 2016년에 무형문화재 보존과 전승을 위한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조례’가 제정되었다. 제정된 법의 보호 아래에서 무형문화재는 보전과 전승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전라북도 소재의 지정문화재는 총 981건이며, 그 중에서 전라북도 무형문화재는 총 97건이다. 97건의 무형문화재 중 52건이 전주지역 소재로 지정되어 있다. 전라북도 14개 시·군 중에서 전주지역에 가장 많은 무형문화재가 전승되고 있다. 이에 전주지역에 국립무형유산원과 도립국악원, 한지박물관, 부채문화관 등 무형문화재 관련 기관이 건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곳에서는 무형문화재에 대한 전시와 공연, 교육, 체험 프로그램 등을 진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전주세계소리축제, 전주비빔밥 축제 등 무형문화재를 주제로 다양한 축제가 매년 개최하고 있다. 이렇게 전주지역에서는 무형문화재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주지역 무형문화재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무형문화재에 대한 인지도를 검토하였다.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전주지역 무형문화재에 대한 홍보가 부족하고 사람들의 관심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또한 전주지역 무형문화재 활용현황을 살펴보고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파악하였다. 설문조사에서 확인한 문제점과 활용 현황에서의 문제점을 종합하여 전주지역 무형문화재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시도무형문화재에 대한 기록화 사업 진행을 제시하였다. 무형문화재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보존과 전승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무형문화재 기록화 작업이 필요하다. 전주교육관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전주지역에 종합 전수교육관을 설립하여 전문가 교육뿐만 아니라 일반인 교육도 진행한다면 일반시민도 부담 없이 방문하여 무형문화재를 배우고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콘텐츠 활성화가 필요하다. 발전하는 디지털 기술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무형문화재 온라인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전주지역에 무형문화재만을 위한 전시관 건립을 하는 것이다. 이 공간에서 전주지역 무형문화재를 위한 전시와 공연이 진행되며, 무형문화재 관련 교육 및 체험 프로그램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조성을 위해서는 전주시에서 사업 추진 계획을 세우고 진행하는 등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전주지역 무형문화재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무형문화재의 보존과 전승뿐만 아니라 활성화를 통한 무형문화유산의 도시로 무형문화재와 시민들을 이어주는 역할해주길 바란다. 또한 지속적인 무형문화재 활용 방안 연구가 이뤄져서 다양한 문화시설과 프로그램 등이 개발되어 많은 시민들이 무형문화재를 언제든지 향유할 수 있기를 바란다. We have the duty and responsibility to pass down our cultural assets with high historical and artistic values to our descendants. In this context,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was enacted in 1962 to protect and transmit cultural assets. According to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cultural properties are classified into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monuments, and folk cultural properties. Among them, cultural properties with high historical value for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are designated and managed as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In line with the purpose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continuous efforts have been made for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However, it is hard to preserve and transmi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comparison to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at are actively used and preserved. In particular, as people's interest in intangible cultural assets gradually diminished, the situation became more and more harsh. In an effort to overcome this crisis, the Act on Con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enacted in 2015. With enactment of the Act on Con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Jeollabuk-do provincial government also enacted in 2016 the “Ordinance on Con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Jeollabuk-do” for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the area. Under the protection of the enacted law, efforts are made to preserve and transmit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ere are a total of 981 designated cultural assets located in Jeollabuk-do, and 97 of them are Jeollabuk-do intangible cultural assets. Among 97 intangible cultural assets, 52 have been designated in Jeonju area. Out of 14 cities and counties in Jeollabuk-do, Jeonju has the largest number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handed down. This is why institutions related to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uch as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Provincial Korean Classic Music Center, Hanji Museum, and Fan Culture Center have been built and operated in Jeonju. They all host exhibitions, performances, and educational as well as experimental programs on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addition, various festivals are held every year under the theme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uch as the Jeonju World Sori Festival and the Jeonju Bibimbap Fest. In this way, the Jeonju region is making efforts to revitalize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this paper,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Jeonju area to examine the awarenes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From the survey, it was made known that publicity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Jeonju is insufficient and people are not interested in them. Moreover, the status of utiliz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Jeonju area was reviewed and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o see if there are any problems in this regard. By piecing together the issues identified from the survey as well as the problems revealed in the current use, measures for utiliz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Jeonju are suggested here. First, it is suggested to proceed with the documenting project of intantangible cultural assets in cities and provinces. In order to utilize intangible cultural assets, continuous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are necessary. For this purpose, it is requested to document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one of the means, a plan to revitalize Jeonju Education Center is proposed. If a comprehensive training center is established in Jeonju area that can provide not only professional but also general education about the cultural heritage, even ordinary citizens will be able to visit it to learn and enjoy intangible cultural assets without any burden. Besides, it is also needed to activate online contents using digital technology. Development of a new form of online contents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should be realized through the evolving digital technology. Lastly, an exhibition hall dedicated exclusively to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s to be built in Jeonju area. In this venue,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Jeonju area could be held, and education and experience programs related to intangible cultural assets could further be conducted. To create such spaces, Jeonju City needs to pay continuous attention to such as establishing and carrying out a promotion plan for the project. The present thesis is aimed at assisting to revitalize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Jeonju area. Furthermore, it is also intended to play a role of connec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citizens through activation as well as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as a city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n this occasion, it is hoped that continuous researches on the ways to utilize intangible cultural assets should be conducted and various cultural facilities an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so that a great number of citizens could enjoy intangible cultural assets at any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