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全州市 地域文化를 活用한 漢文科 授業資料 開發

        권태주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 material for Classical Chinese subject which can be used in school field and implement regional education by utilizing regional culture of Jeonju city. For this, 2007' the 7th curriculum for Classical Chinese subject was analyzed, data for regional culture in Jeonju were examined, and as a result, essential content was extracted and teaching material for Classical Chinese subject was composed.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Ⅰ, study purpose, scope, and method were suggested. In chapterⅡ, data for regional culture in Jeonju were suggested for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 Jeonju was birthplace of Chosun royal court and the most important place in Jeollado. Historical relics such as Gyeonggijeon, Jogyeongdan etc. are located in Jeonju. And Jeonju is base for Korean style including most Korean traditional culture like Korean traditional house, Korean-style food, Korean traditional paper etc. which are ground of traditional life style. In addition, as a city of the arts, various cultural heritage like sound(Sori), food, public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etc. remain still. First, this study examined beautiful street names(village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with which characteristics of regional culture in Jeonju, history and culture of Jeonju with long history of one thousand years can be known. It would be good material to understand culture of Jeonju and street culture. Next, historical relics and regional cultural properties in Jeonju were investigated. This would be an opportunity to learn about valuable cultural heritage in our region, cultivate cultural consciousness, and let cultural heritage in Jeonju be known - for this, this study investigated cultural heritage in our region and tried to seek traces of history and culture. .Korean style (Korean traditional house, Korean-style food, Korean traditional paper) was investigated. Korean style means Korean style connected to spiritual element which has flown without pause through whole Korean traditional culture. First, 'Korean traditional house' was studied - In Korean traditional house, our ancestor's wisdom and warm feeling live. Second, 'Korean traditional paper' was reviewed - Korean traditional paper is recognized by its excellence based on uniqu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Korean people. Third, 'Korean-style food' was examined. Korean style would contribute to continuous expansion of Korean wave which mainly focuses on the popular culture through expanding interest and the base about traditional culture - the source of Korean culture. In the chapter Ⅲ, the author focused on these sentences among character of Classical Chinese subject in 2007' curriculum - 'Students have attitude to understand life and wisdom of predecessors, cultivate sound view of value and desirable personality, understand traditional culture, and creatively succeed and develop traditional culture.'And the author tried to compose teaching material by selecting core content from data of chapter Ⅱ. For data, sub-units were composed by selecting 10 items from regional culture, historical relics, regional cultural properties, Korean style(Korean traditional house, Korean-style food, Korean traditional paper) in Jeonju. Each unit was composed in the order of 'text', 'Classical Chinese to be learned', 'learning yard', 'supplementary yard- into the culture' so that students can learn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There are many ways to easily understand regional culture, to be familiar with Classical Chinese, raise interest in Classical Chinese, and recognize importance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For example, manage beautiful natural environment of Jeonju; collect, preserve, and study regional cultural heritage; arrange framework of cultural industry through study on fields of Korean traditional house, Korean-style food, Korean traditional paper; utilize regional culture for teaching Classical Chinese such as 'seeking data of cultural heritage about Jeonju', 'seeking data of cultural heritage about Jeonju', 'seeking things worth to be praised in Jeonju', 'knowing historical figure who made Jeonju be shined', 'participating in various events held in Jeonju', and 'knowing life of clothing, food, and shelter in Jeonju.' And through material of regional culture, interest in our history and opportunity to use leisure time can be provided, and understanding life and wisdom of predecessors makes learners form desirable view of value - now learners experience confusion by various views of value in the midst of era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enables students cultivate personality, realize moral value, practice character, furthermore, understand traditional culture, and succeed and develop traditional culture. 본 연구의 목적은 全州市의 地域文化를 활용해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漢文科 授業資料를 개발하여 地域敎育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전주시 지역문화 자료를 조사한 후 그 가운데 핵심 내용을 추출하여 한문과 수업자료로 구성해보았다. 이 논문에서 논의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Ⅰ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연구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수업자료의 개발을 위하여 전주시 지역문화 자료를 제시하였다. 전주는 조선왕실의 발상지이자 전라도의 으뜸이 되었던 고을이다. 전주의 경기전과 조경단 등 역사적 유물들이 도시를 관통하고 있고 지나온 천년 역사의 저력만큼 전주는 전통생활양식의 근간인 한옥 ․한식 ․ 한지 등 가장 한국적인 전통문화를 담고 있는 韓 스타일의 거점도시이다. 이와 함께 예향으로서 소리, 음식, 서화 출판 등 다양한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먼저, 전주 지역문화의 특징과 천년 전주의 역사성과 문화를 알릴 수 있는 아름다운 도로 명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다음에는 우리 고장의 역사유적지와 지방문화재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문화유산에 어떤 것들이 있으며 역사와 문화의 흔적을 찾아보고 우리 지역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배우며 문화의식을 함양하고 전주의 문화유산을 알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다음에는 韓 스타일(한옥, 한지, 한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韓 스타일은 한국전통문화 전반에 면면히 흐르고 있는 정신적 요소에 결합된 한국적 양식, 한국 풍을 의미한다. 韓 스타일은 우리 문화의 원천인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과 저변 확대로 대중문화 위주인 한류의 지속 확산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제Ⅲ장에서는 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 중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며,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창조적으로 계승 ․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닌다.’에 초점을 맞추어 Ⅱ장의 자료에서 핵심적인 내용을 선정하여 수업자료를 구성해보았다. 자료는 전주시의 지역문화, 역사유적지, 지방문화재, 韓 스타일(한옥, 한지, 한식)에서 10가지를 선정하여 소단원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단원은 ‘본문’, ‘배울 한자’. ‘학습마당’, ‘보충마당-문화 속으로’ 순으로 구성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지역문화를 한문수업에 활용함으로써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의 문화를 쉽게 이해하고, 어렵게 여겨졌던 한문이 더욱 친숙하게 느껴지며 한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한문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될 것이다. 또 地域文化 자료를 통해 우리 역사에 대한 관심과 여가활용의 기회를 제공하고 先人들의 삶과 智慧를 이해함으로써 世界化․情報化 시대 속에 다양한 가치관들이 혼재하여 혼란을 겪고 있는 학습자들에게 바람직한 價値觀을 形成하게 하여 보다 높은 人格을 기르고 道德的 價値를 실현하며, 人性을 도야하고, 나아가 傳統 文化를 이해하고 계승 ․ 발전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중등 미술 교육에서 환경 조형물 감상 지도에 관한 연구

        권태주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While lots of information are pouring into in the modern society, our society requires creative person who can think creatively and come up with novel idea, autonomous person who can realize infinite possibilities with rich sensitivity, rather than a person who has excellent intellectual capacity. To realize such infinite possibilities, it would be able to be accomplished effectively in appreciation activities rather than in expressive activities. Therefore, it believes that appreciation education take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fine arts education in these days than ever. In this study, it has the objective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and critical appreciation ability of environmental artworks existing close to students' life through development of appreciation programs of environmental artworks which can be applied effectively to the secondary education of fine arts. Also it examined systematic measure for guidance on appreciation of environmental artworks which teachers can apply effectively to their class of fine arts appreciation and applied it of 500 male and female students at high schools in Daegu city. Through this study, it was able to get conclusions as bellows: First, for the way of teaching in the use of environmental artwork program, it could arouse students' interest in appreciation class and they were able to contact with it a bit more easily. Second, through the education of artwork appreciation, students were able to express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oughts and it was able to provide positive and systematic experiences abe to read the meaning of works while seeing and feeling in their own ways by conceptive and analytical understanding and practical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artworks. Third, the education of artwork appreciation is able to give lots of help for improvement of students' creativity as well. As they are not observing simply what they can see but they try to put the artist's intention, feeling, title as they like, it would be able to reinterpret and rediscover the works by the students. To make effective guidance on art appreciation, ultimately, it believes that teachers' paradigm sift of appreciation education in the field of schools and development and security of guidance materials to possess the guidance ability on appreciation as well as the study of ways for guidance on appreciation linked with the field of art will have to be made actively.

      • 「醫山問答(의산문답)」 교수·학습 방안

        권태주 한국교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였던 홍대용이 평생에 걸쳐 이룩해 낸 학문적 결정체인 「의산문답」에 담긴 교육 요소를 검토하고, 교수·학습 방안의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201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학』 교과서를 살펴보면 현대문학이 고전문학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수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고, 그 중에서도 특히 서정 갈래의 작품이 월등하게 많은 반면 교술 갈래의 작품은 수록 빈도가 매우 미미한 상황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학습자들이 교술 갈래를 중시했던 한국문학, 넓게는 동아시아 문학의 특성을 자연스럽게 학습하는 데 장애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문학의 흐름과 상황을 오해할 소지가 있다. 따라서 훌륭한 고전 교술 작품을 발굴하여 『문학』 교과서의 제재를 보강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런 차원에서 「의산문답」은 매우 적절한 제재가 될 수 있다. 「의산문답」은 인문학, 역사학, 자연과학, 정치학, 문화인류학 등의 다양한 담론을 포함하고 있는 백과사전식 저작이면서도 이 별개의 논의들이 ‘균(均)’ 또는 ‘일(一)’의 평등사상 내지는 상대주의적 관점으로 엮여 있는 한 편의 문학 작품이기 때문이다. 또한 홍대용의 전 생애에 걸친 학문 탐구의 결실이 집약된 「의산문답」을 학습하는 것은 북학파가 등장하여 사회 개혁적인 북학론을 제시하게 되는 배경을 이해하는 데 여러모로 유익하다. 따라서 「의산문답」이 『문학』 교과서의 제재로 활용된다면 학습자들은 이 작품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당시의 시대적 상황, 개혁을 추구하는 담론의 발생과 관련된 일련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으며, 문학과 인접 학문과의 연관성 등을 탐구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의산문답」의 내용 체계, 교육과정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의산문답」의 대표적인 담론 중 일부를 교재로 만들어 보았다. 그리고 학습자 중심의 학습활동을 제시하여 문학이 철학, 자연과학, 역사학 등의 학문 분야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학습해 보고, 당시의 주류적 세계관을 극복하려 했던 홍대용, 넓게는 실학자들의 사유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구안하였으며, 이것을 학교 현장에서 교수·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습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일련의 연구를 통해 현행 『문학』 교과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다소나마 해소하고,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바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문학 교육이 이루어지는 작은 밑거름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