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에 관한 고찰

        이남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硏究는 우리나라 敎育課程 중에서 中學校 國語科 敎育課程의 變遷過程을 시기별로 고찰해 보았다. 우리나라 敎育課程은 8.15解放以後 미군정하에서 제정된 敎授要目에서 시작하여 현재 제5차 敎育課程에 이르기까지 부분 또는 전면적으로 개정되어 우리 學校 敎育에 많은 기여를 해왔다. 각 시기별로 敎育課程의 體制 및 內容을 比較 分析해보고, 이를 통해 國語科 敎育 및 敎育課程 편성에 있어서 올바른 방향을 모색하고자 본연구를 시작했다. 각 시기별로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敎授要目은 日本의 植民主義的 잔재를 없애고, 우리말 우리글의 보급에 주력하고, 國語愛重의 精神과 健全한 國民精神 涵養에 중점을 두고 편성 되었다. 빼앗긴 국어를 정리하여 國語敎育의 시행과 보급이 우선적인 과제였고, 우리나라 敎育課程 편성의 기초가 되었다. 2. 제1차 敎育課程은 國語敎育을 위한 國語敎育 理論을 정립시킨 구체적 과정이다. 敎育法 정신을 바탕으로 국어의 機能을 중점으로 말하기 학급 위주의 生活中心 敎育을 강조하고 있다. 生活中心, 自主性 確立 등 經驗中心 敎育課程을 모방하고 있지만, 敎科中心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國語指導要素의 체계화를 시도했고, 해방후 최초로 한자 및 한문을 포함시킨 것도 특기할 만하다. 3. 제2차 敎育課程은 1차의 미비점을 보완하여 체계화시켰다. 基礎學力의 充實, 系列의 合理化, 生活中心의 敎科 運營등 종합지도에 중점을 두고 언어 기능면을 중심으로 편성되었다. 國語敎育의 궁극의 목표를 人間形成으로 보고 개인의 완성에 焦點을 두고 있으며, 두차례의 부분 개정으로 한자 및 한문지도 과정을 폐지시켰다가 다시 한문교과를 설치하였다. 4. 제3차 敎育課程은 國民敎育憲章의 理念을 바탕으로 維新課業 遂行과 새마을 운동을 반영하고 있다. 폭발적으로 증가한 지식과 정보를 수용하며, 生活中心에서 學問中心 敎育課程으로 바뀐 이른바 維新敎育課程이다. 言語의 機能伸張과 성실한 태도를 기르고, 개인의 완성을 추구하고, 民族文化, 國民精神의 涵養을 궁극의 목표로 삼고있다. 3차에서는 題材選定의 基準이 신설되어 제재의 선정과 구성, 편찬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제3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國民敎育憲章의 理念 具現에 焦點을 둔, 知識 體系를 수용하기 위한 學問中心, 敎育課程이다. 5. 제4차 敎育課程은 가장 간결하고 함축성 있게 짜여진 것이다. 國民精神 敎育의 體系化, 全人敎育의 强化 및 進路指導의 充實化에 중점을 둔 探究 過程의 體系的인 組織이다. 人間敎育을 소홀하게 할 수 없음을 제시하고 학년 목표에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여 학년 수준을 고려 연계성 있는 지도를 도모하였다. 言語機能의 伸張과 文學敎育을 강조하였고, 評價上의 留意点을 신설하여 교육의 성과를 거두게 했다. 6. 제5차 敎育課程은 4차의 기본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고, 부문적으로 개정되어 현재 敎育現場에서 적용하고 있다. 5차 敎育課程은 基礎敎育의 강화, 정보화 사회에 대응하는 교육강화, 敎育課程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중점을 두고 운영의 자주성과 융통성을 살릴 수 있도록 하였다. 國語科 敎育의 목표를 言語使用 機能의 신장과 國語와 文學에 대한 理解 및 關心을 높이는데 두었고, 또한 말과 글을 통해 사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이해하는 인간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위와같이 우리나라 敎科課程은 敎育中心 敎育課程, 經驗中心 敎育課程, 學問中心 敎育課程, 人間中心 敎育課程으로 변천 및 발전을 거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꾸준한 言語機能 伸張을 통한 國語敎育은 부단한 연구와 개발로써, 국가와 사회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敎育課程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researched the changeable processe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Middle School in Korea. From the Syllabus which was made under the U.S. Army government after the independence from Japanese colony, August 15, 1945, up to now, to the fifth curriculum made much contributions to the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began to research the right directions of Korean education and curriculum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curriculum systems and contents. Characteristics in each period were as follows. 1. The Syllabus got rid of the remains of Japanese colonial items and with all our force we supplied our languages and letters. So the curriculum was made by the spirit of loving our language and high national spirit. After rearranging the deprived Korean language by Japan, practising and supplying Korean language widely was the first of all. The above had become the foundation that wc should made our own curriculum. 2. The first curriculum was the concrete one that established new education theory for Korean language. On the basic of the spirit of the education law, tha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of life. Though that imitated the experience - centered curriculum such as life-emphasis and established self-reliant, and that didn't take off subject-centered curriculum, but that tried to make systematization of language teaching. After the independence from Japanese colony, including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s the curriculum for them was the characteristics. 3. The second curriculum systematized the first curriculum after rearranging the unperfectible points. That was made to emphasize and to practise the linguistic and the functional education. The last aim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put to complete humanity and individuality. But after improving some parts or curriculum twice,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s were taken out from the second curriculum. 4. The third curriculum reflected practicing of the renewable works and Saemaeul movement on the basic of the charter of National Education. While that accepted the explosive increas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at was the renewable curriculum which was changed the life-centered curriculum for the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That established the function of language, sincere attitude, individual completion, growing of narional spirit as the last aims. That is,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to accept the knowledge system which emphasized the Charter of National Education. 5. The fourth curriculum was made very concisely and contentedly. That emphasized the systematization of the education or National Spirit strengthening of individual completion, education of one's own future course and the process of the research or knowledge. That, offered that the human nature education could not be neglected and that added new factors to the aims of grade while that tried to educate with relation one another. That emphasized the lengthening of language function, the education of literature. 6. The fifth curriculum sustained the basic structure of the fourth curriculum and that is now applying to the present education after rearranging partly. That emphasized the basic education, The education for informative age and the efficiency of the curriculum. That endowed with the self-reliant and the flexibility to practice. The ai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put to lengthen the function of the language use and to comprehend the language and lilerature. Through the speaking and the centences, thc fifth curriculum was done to make a man who could express and comprehend one's own thoughts and feelings effectively. As written above, the curriculum of Korea has changed and developed repeatedly through processes, such as subject-centered curricum, experience-centered curriculum,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human-centered curriculum and those apply today. Through continuous lengthening of language functions, linguistic studies and developments, the curriculum which will be required by nation and society must be researched continuously.

      • 전킨(W. M. Junkin)의 全北地方 宣敎

        이남식 全州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ransmission to the Chulla Province was stemmed in 1882, when 'the Seven Pioneers' moved into Korea. Founding the first stations in Chunju and Kunsan, they did an lively action . In April, 1896, Junkin and Drew settled down in Kunsan, at which they went abreast of the Evangelistic and Medical ministry. Junlun' work in Kunsan was largrly divided into two, Evangelistic and Educational. Evangelistic mission was concretely compare to Church building history, ie., Kunsan, Songjidong, Manchasan and Namchamun. The Kunsan Station moved into Kungmal in 1899, when Kunsan opened a port, so Kunsan Church was set apart and Kungmal Church substituted for. Reurning the rest year in 1901, Junkin entered into the Educational works. Later, these schools came forth the leading men and women of the Church and the local Socety, especially becoming the cradle of national movements like 3·1 independent movement. In fall, 1904, finishing Kunsam Ministry, Junkin moved into Chunju because of his health breakdown. Although he was not good in his health, Junkin continued to do not only Church Ministry but circuit Ministry. His momumental work in Chunju was that Chunju Church was moved into the West Gate from Eunsongri. But doing terribly these all works, Junkin' health worse speedily. Finally he died in January, 2, 1908, at Chunju. It was during 16 years in Korea Mission Field.

      • 남장로교 선교사 윌리엄 M. 전킨의 한국 선교 활동 연구

        이남식 전주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구한말 호남지방에서 활동했던 선교사 윌리엄 맥클리어리 전킨(William McCleary Junkin)의 한국 선교 활동을 역사적으로 정밀하게 추적 재구성한 것이다. 1892년 11월 서울에 도착한 전킨은 그 후 1896년 4월 군산으로 완전히 이주할 때까지 서울에 체류하면서 한국어를 배우고 남장로교의 전반적인 호남 선교 준비 활동에 참여하였다. 전킨은 1893년 겨울 딕시를 떠나 도시 성벽 밖의 새로운 집으로 이사했다. 서울 서소문밖의 그 집을 오픈하여 한국인 전도에 나선다는 생각이었다. 전킨은 동학으로 인해 선교사들의 도성 밖 출입이 제한된 1894년 6월부터 서소문 사역을 시작하였다. 사실상 전킨의 단독 목회가 시작된 것이다. 그는 자신의 서소문 자택 사랑방을 전면 개방하여 한국인들을 맞아들였다. 벌써 전킨의 한국어 구사 능력은 일상적인 대화가 가능한 수준이었다. 1895년 3월 전킨의 서소문 사역은 이제 단순한 전도의 거점을 넘어 서서 신앙공동체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바로 그 때 전킨 목사가 인도하는 첫 예배가 드려졌던 것이다. 또 전킨은 1895년 4월 2일 주일 자신의 서소문공동체에서 신앙을 고백하는 5명을 문답하였다. 이 5명 가운데 2명은 드루의 환자였고, 다른 1명은 드루의 하인으로 일하고 있던 남자 아이였다. 문답 결과 두 명이 합격하여 세례를 받았다. 이는 남장로교 선교사에 의해 베풀어진 최초의 세례식이었다. 그 후 전킨은 1895년 봄 군산을 다녀온 이후 전킨부인과 매티 테이트에 의해 관리되고 있던 자신의 서소문공동체의 구성원 7명을 문답하여 그 가운데 3명에게 세례를 주었다. 이로써 전킨의 교회는 세례교인 5명의 회중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그 후 드루와 함께 군산으로 내려간 전킨은 1896년 7월 20일 군산 사람 송영도 김봉래에게 세례를 베풀었다. 호남 최초의 세례였다. 군산교회는 이렇게 시작되었다. 그 후 군산교회는 성장 가도를 달렸다. 전킨은 1897년 7명에게 세례를 베풀었고, 1898년에는 14명에게, 1899년에는 상반기에 30명, 하반기에는 무려 56명에게 세례를 주었다. 그리고 전킨이 안식년을 맞아 미국을 떠나기 직전인 1900년 4월에는 모두 53명에게 세례를 주었다. 이 때 군산선교부 경내에는 만자산, 남차문, 송지동, 통사동 등 모두 네 곳에 신앙공동체가 세워져 있었다. 안식년 후 전킨은 곧 선교현장에 복귀하였다. 1902년 군산 영역에서는 51명의 학습인이 스스로 문답에 참여하여 그 중 18명이 세례를 받아 교회의 정회원이 된 것을 비롯해 모두 77명이 세례를 받았고, 4명의 아이가 유아세례를 받았다. 그 후 1904년까지 전킨은 군산 영역의 공동체들을 계속 관리하고 목회후보생을 교육시키며 군산남학교의 관리자로서 학생들에게 영어성경과 구약성서역사 그리고 작문을 가르쳤다. 전킨부인은 1902년 군산남학교를 시작한데 이어 1903년 스트래퍼에 의해 시작된 군산여학교를 1904년 인수 받아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남장로교 한국 선교부는 1904년 연례회의에서 군산 선교사 전킨을 전주로 전임시켰다. 그리고 그의 사역지를 전주 3마일 이내로 제한하였다. 그의 건강을 염려하여 내린 조치였다. 전킨의 사역은 모두 4개의 영역-전주사역, 지방사역, 전주남학교, 평양신학교-에서 진행되었다. 전킨이 담당하고 있던 전주교회 사역은 전킨 부임 이후 번영을 구가하게 되었다. 전킨은 1906년 전주 서문밖에 780평의 대지 위에 57평 건평의 한양절충식 새로운 예배당 건축을 주도하여 교회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전킨의 지방사역지는 김제와 금구 등 두 개 군이었다. 또 전킨은 해리슨에 이어 전주남학교도 관리하였다. 전킨 부인 역시 전주여학교와 전주교회 주일학교를 맡아 사역하였다. 전킨은 1908년 1월 2일 전주에서 사망했다. 장티푸스가 폐렴으로 발전한 것이다. 천성적으로 몸이 약했던 데다가 열정적인 선교로 몸에 많은 무리를 주었던 때문이었다. 전킨의 시신은 군산으로 옮겨져 1월 4일 그의 2명의 아들 곁에 묻혔다. 전킨은 슬하에 모두 5명의 자녀를 남겼다. 전킨부인은 그 해 봄 미국으로 귀국하여 자녀들을 교육시킨 후 1952년 11월 1일 별세하였다. 윌리엄 전킨은 한국 사람을 가장 잘 이해한 선교사였다. 사실 그것은 한국어를 잘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었다. 그는 한국인들과 함께 살았고 그들의 마음과 삶에 들어가 있었다. 거기서 그는 그들의 사고방식을 이해했고, 인간관계를 형성했다. 그는 한국인들의 일거수일투족에 정말 흥미를 느꼈다. 그들의 단점과 장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다. 그러면서 그 모든 것을 떠나 그들을 사랑할 줄 알았다. 그가 세운 교회는 지금도 왕성하게 믿지 않는 자들을 주님께 인도하고 있다. 그의 선교의 열매는 전라도지역에서 빛을 발하고 있다.

      • 전정-고유수용감각훈련이 발달장애아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남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estibular-proprioceptive sensory training on stereotypic behavior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yres who regards stereotypic behavior as a matter of central nervous system's sensory input and sensory processing, Panbon and Delacato's one that caused by the circuit of hyperesthesia, hypoesthesia, confusion, shows fondness to the prefer stimulus, and fight or flight behavior against hatred ones, starts with Martin (1996). Kraemer (2001)'s point of view by taking parts inneuro transmitter's generation system, and affects stereotypic behavior like sensory integration stimulus increases arousal of the brain stem reticular formation and lowers the sensitivity reaction. The object of investigation is development disorder children which belongs to the complete charge of the disabled nursery located in Kyeongbuk, chose 3 children that has stereotypic behavior satisfying the research purpose. Vestibular-proprioceptive sensory training program used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program suggested by Ayres(1985) and Panbon(1990) and 3 kinds of vestibular-proprioceptive sensory training program which regarded as suitable for stereotypic behavior improvement on the basis of long term clinical experience the researcher itself, practiced 5 times in a week, each time during 50minutes totally 39 sessions. Under the assumption of the improvement of vestibular-proprioceptive sensory smooths central nervous system's sensory input and process, sensory circuit also, when general reaction has occurred, naturally brings betterness of stereotypic behavior. to make sure these vestibular-proprioceptive sensory training's effects and improvement of sensory function, we carried out vestibular sensory response test, proprioceptive sensory response test, postrotary nystagmus test, Cybex770 isokinetic test, QEMG8 electromyograph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vestibular-proprioceptive sensory training completely extinguishes stereotypic behavior like 'hopping with looking at the ceiling' caused by vestibular sensory disorder, diminishes the occurrence frequency of stereotypic behavior 'climbing high'. Also, object child A's function of vestibular sensory which concerns with this stereotypic behavior improves remarkably. Second, vestibular-proprioceptive sensory training diminishes stereotypic behavior occurrence frequency caused by the proprioceptive disorde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such as shaking fingers, hitting jaw with palm, beating bottoms with objects, knocking bottom with hands. also, to this effect, the function of object children B, C's proprioceptive improves remarkably which connects with stereotypic behavior. Third, vestibular-proprioceptive sensory training diminishes the frequency of stereotypic behavior 'peculiar sounds self-talk' and self-talk to the object' which happens free from the vestibular-proprioceptive sensory disorder. That can be explained vestibular-proprioceptive sensory training not only affects directly to the improvement of vestibular-proprioceptive sensory but also to the adaptive response free from the sensory function such as attention, arousal maintenance, social interaction, interest etc. Based on the content above, here's some suggestions. First, investigation about development of more professional program and successive research should be made that can improve various adaptive response of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s attention, arousal maintenance, social interaction, interest, play etc. Second, it requires development of standard check-up device that can measure more closely the improvement of sensory function concerning with hyperesthesia, hypoesthesia, confusion. 본 연구는 전정-고유수용감각 훈련이 발달장애아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로서 표적상동행동을 전정-고유수용감각 이상으로 나타나는 상동행동과 감각이상과 무상관으로 나타나는 상동행동으로 나누어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상동행동에 대하여 전정-고유수용감각 자극을 조직하고 적용함으로서 상동행동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북에 소재한 장애 전담 어린이집에 소속된 발달장애아로서 연구 목적에 맞는 상동행동을 가지고 있는 대상아 3명을 선정하였으며, 전정-고유수용감각 훈련 프로그램은 Ayres(1985)와 坂本(1990)이 제시한 감각통합훈련 프로그램과 본 연구자의 오랜 임상 경험을 토대로 발달장애아의 상동행동 개선에 적합하다고 생각한 전정-고유수용감각 훈련 프로그램을 3가지 유형으로 조직하여 사용하였으며, 1주 5회씩 매회 50분 수업으로 39회기를 실시하였다. 전정-고유수용감각 훈련의 효과와 감각기능 개선을 밝히기 위하여 전정감각반응검사, 회전 후 안진검사, 고유수용감각반응검사, Cybex770 등속성 검사, QEMG8 근전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상동행동의 빈도를 빈도기록법에 의하여 기록하였다. 상동행동의 발생빈도를 보면 대상아A의 전정감각 이상으로 나타나는 ‘천정 보면서 제자리 뛰기와 높은 곳 올라가기’ 상동행동을 비롯하여 대상아B, C의 고유수용감각이상으로 나타나는 ‘손가락 흔들기, 손바닥으로 턱 치기, 물체로 바닥 두드리기, 손으로 바닥 두드리기’ 상동행동과 대상아A, C의 전정-고유수용감각과 무상관으로 나타나는 ‘특이 음 독백하기, 사물에 독백하기’ 상동행동 등 모든 표적 상동행동에 있어서 기초단계와 중재단계 유지단계로 실험이 진행될수록 상동행동의 완전소멸 또는 평균빈도가 감소하였다. 감각기능 변화를 보면 대상아A의 전정감각기능은 전정감각 반응검사에서는 전 영역의 둔감반응비율이 감소되었으며, 특히 기본감각영역과 신변자립영역에서는 35%∼50%의 큰 폭의 감소가 있었다. 회전 후 안진검사에 있어서는 좌·우 평균 안진지속 시간이 1.7초에서 좌 4.7초, 우 3.7초로 안진지속시간이 증가하였으며, 안진특성에 있어서도 짧은 진동이 늘어나는 등의 전정감각기능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아B, C의 고유수용감각기능을 보면 고유수용감각 반응검사에서 기본감각영역을 비롯한 전 영역에서 둔감반응비율이 감소되었으며, Cybex770 등속성 검사에서도 대상아B는 신근력과 굴근력의 역할비율이 뚜렷해지는 결과를, 대상아C는 체중에 대한 평균파워가 3∼25%BW의 증가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QEMG8 근전도 검사에서도 신전근육 활동에서 주동근의 역할 비율의 증가로 주동근과 길항근의 역할이 뚜렷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상의 검사 도구와 연구 결과 등에서 얻어진 자료에 의하여 전정-고유수용감각 훈련이 발달장애아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결론을 살펴보면 첫째, 전정-고유수용감각 훈련은 발달장애아의 전정감각 이상으로 나타나는 ‘천정 보면서 제자리 뛰기’ 상동행동을 완전히 소멸시키고, ‘높은 곳 올라가기’ 상동행동 발생빈도도 감소시킨다. 또한 이러한 상동행동과 연관이 있는 대상아A의 전정감각기능도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둘째, 전정-고유수용감각 훈련은 발달장애아의 고유수용감각 이상으로 나타나는 ‘손가락 흔들기’ ‘손바닥으로 턱 치기’ ‘물체로 바닥 두드리기’ ‘손으로 바닥 두드리기’ 등의 상동행동 발생빈도를 감소시킨다. 또한 이러한 상동행동과 연관이 있는 대상아B, C의 고유수용감각기능도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셋째, 전정-고유수용감각 훈련은 전정-고유수용감각 이상과 무상관으로 나타나는 ‘특이 음 독백하기’와 ‘사물에 독백하기’ 상동행동 발생빈도를 감소시킨다. 이것은 전정-고유수용감각 훈련이 전정-고유수용감각기능의 개선에 직접인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감각기능과 무관한 주의집중, 각성유지, 사회적 상호작용, 흥미 등의 적응반응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 된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다 전문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와 발달장애아의 각성유지, 주의집중, 사회적 상호작용, 흥미, 놀이 등 다양한 적응반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둘째, 감각기능의 둔감, 과민, 혼란에 관한 감각기능의 개선을 좀 더 세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검사도구의 개발이 요구 된다. 셋째, 감각이상에 따른 표적상동행동을 다양화하고 그 적용범위를 넓혀서 감각기능 개선에 따른 상동행동 개선 효과를 일반화 할 필요성이 있다.

      • 地方公務員의 資質과 行動基準

        이남식 慶北大學校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designed to upgrade the quality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who in turn will have to renovate the level of perforamnce in order to provide meaningful services under the newly inaugurated local autonomy. A great deal of behavioral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local administrators have been revealed. They have been very much passive in undertaking daily administrative tasks. Such a behavior has been formed as a result of pervasive administrative culture like authoritarianism and hierarchy-oriented mind under the highly cetnralized system of national government. The study employed a survey method for which a set of survey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and administered to randomly selected local government officials with a view to finding their behavior patterns. In addition,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has been imperative for the study to abtain theoretical understanding in the area of concer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briefly presented as follows. Following the introductory one, the chapter II deals with such quality elements of public officials as citizenship, professionalism and job dedication which are needed at the outset of local autonomy, in addition to the conceptual overview of the public officials' behavioral criteria. In chapter III, the results of survey which are obtained on the basis of the assumption laid out in chapter II are analyzed in an order of citizenship, job dedication, officials' quality, and the behavioral criterion for administrators. Finally, the last chapter summerizes conclusive views on the results of the survery.

      • 독서과목을 통한 독서교육 활성화 방안 : 일반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남식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Reading instruction in academic high school has not still fixed in general. The reasons why reading subject instruction has not still fixed are as follows. 1. Reading instruction is not given in the classroom though it is composed in curriculum. 2.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have in mind that entrance examination and reading activities are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3. The various reading instruction elements like books, library and curriculum are not operated efficiently each other. 4. Excessive reading activities can burden the other instructional activities in school. 5. Reading tasks imposed in each arts are not proper for student's level, interest and evaluation. The above problems have to be solved first to activate reading instruction. In addition, general learning surroundings have to be established for students to approach and use many materials. The most ultimate method is to connect reading subject with libr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