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캠퍼스의 야간경관에 관한 연구 : 전북대학교와 원광대학교를 중심으로

        유서군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야간경관은 밤 시간의 도시를 단순히 ‘밝히는’ 데 그치지 않고 안전과 도시의 미, 사람들의 야간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하는 목적에서 조성된다. 대학 캠퍼스는 면적과 유동 인구 면에서 상당한 규모를 가진 공간이기에 도시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며 그 숫자도 국내로 한정한다 해도 상당하다. 하지만, 대학을 가지고 있는 국내의 여러 도시에서 기획하는 야간경관계획에서 대학은 계획의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으며, 대학 캠퍼스 자체의 기획에서도 야간경관계획은 도시적인 맥락과 대학 구성원들의 활동을 고려한 심도 있는 분석에 바탕을 두기보다는 주요 건축물과 광장, 조형물을 드러내거나 길을 ‘밝히기’ 위한 목적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판적 의식에서 대학 캠퍼스의 야간경관을 조성하기 위한 공간적 이슈를 밝히고 적합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지역의 가장 규모가 큰 대학인 원광대학교와 전북대학교 캠퍼스를 대상으로 사례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두 대학의 야간경관 현황에 대한 조사와 학생들의 현재 캠퍼스 야간 경관 평가를 통해 두 대학의 야간경관의 특성을 도출함과 동시에 학생과 캠퍼스의 야간경관 사이의 관계와 현재 학생들의 야간경관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대학 캠퍼스의 야간경관의 형태를 조사하고 학생들을 위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야간 캠퍼스 환경을 조성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대학 캠퍼스 야간경관계획에서 야간은 단순한 하나의 밤 시간대가 아니라 캠퍼스 건물의 배치와 학생 활동, 주민 지원 공간 등을 고려하여 시간대별 계획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시간대별로 공간적 활용과 활성화되는 장소가 상이한 것에 있다. 두 번째, 야간경관의 의도에 따라 캠퍼스의 주요 동선계획을 야간에는 낮 시간대와 다르게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야간시간에 캠퍼스 내 도로 이용은 낮 시간대보다 일부 도로에 더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학생들은 캠퍼스 이동 시, 야간경관이 더 우수한 캠퍼스 도로를 통행로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세 번째로 캠퍼스의 야간경관과 캠퍼스 공간에 대한 만족도는 정비례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동시에 야간활동의 안정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원광대학교와 전북대학교의 조사는 야간경관의 안정성, 야간활동을 고려한 사회적 공간의 배치, 학교 브랜드를 높이기 위한 조명의 역할이라는 측면에서 야간 경관 계획의 중요성을 드러냈다. Night scenery is created not only to "light up" the city of night time, but also to create an environment to support safety, the beauty of the city, and people's night activities. Since the university campus is a space with a considerable size in terms of area and floating population, it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city, and the number is considerable even if it is limited to Korea. However, universities are excluded from the nightscape plan in various cities in Korea, and the plan of the university campus itself is aimed at revealing major buildings, squares, and sculptures or "lighting up" the way rather than based on in-depth analysis considering the urban context and activities of university members. In this consciousnes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patial issues and present appropriate alternatives to create a night view of the university campus. A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he campuses of Wonkwang University and Jeonbuk Nation University, the largest universities in the Jeonbuk region. Specif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universities' nightscape were derived through a survey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nightscape of the two universities and the evaluation of the current campus nightscape,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campus nightscape.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shape of the night view of the current university campus and discussed how to create a safe and reliable night campus environment for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university campus night landscape plan, night time is not just a night time zone, but a time zone plan is needed in consideration of the layout of campus buildings, student activities, and resident support spaces. The reason is that the spatial use and activation places are different for each time zone. Second,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night view, the main movement plan of the campus can be different from the daytime at night. In fact, the use of roads on campus at night tended to be more concentrated on some roads than during the day, and students often chose campus roads with better night views as passageways when moving on campus. Third, there wa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campus's night view and satisfaction with the campus space, and at the same time, it was found that the stability of night activities increased. In addition, surveys by Wonkwang University and Jeonbuk National University revealed the importance of night landscape planning in terms of the stability of night scenery, the arrangement of social spaces in consideration of night activities, and the role of lighting to enhance school brands.

      • 대학과 지역사회 협력 사례 연구

        이고울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plan for community cooperation at universities located in provincial areas. Local universities in Korea are experiencing a double crisis due to the decline in university status due to local extinction and the stagnation of local cities, and the decline in admission rates due to a rapid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The crisis of universities that began in the provinces is soon developing into a problem of universities in all Korean society. Since the early 2000s, universities have already been required to play a more expanded social role, break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role norms of education and research. In this respect,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role of universities within the community has changed and how recent universities cooperate with the community. Universities have traditionally focused on education and research functions, but since the 2000s, Korean society has attempted to transform into an entrepreneurial university centered o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by accepting the Western university innovation model. However, in the 2020s, local universities in Korea faced a new environment of a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local extinction. Accordingly, universities are being asked for new changes that suit the Korean situation. In this direction, universities are developing into a structure that strengthens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while shifting from the existing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model to a regional-base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model using university resourc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direction in which universities cooperate with local communities in accordance with recent policies, and to find out how local universities should cooperate with local communities in the future. First, the type of community cooperation as a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role of a university was investigated. This was analyzed through policies and regional linkage projects that can know the changes in the role of universities in the community. The role of universities was examined through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lans an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plans, and the types of cooperation were analyzed through 「Campus Innovation Park Projects」 and 「Local Government-University Innovation-based Regional Innovation Projects」. 「Campus Innovation Park Projects」 appeared as a model that shares the space and facility resources of universities. 「Local Government-University Innovation-based Regional Innovation Projects」 appeared as a model for sharing university knowledge and human resources.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university's community participation model, the case of regional cooperation between Wonkwang University and Jeonju University was analyzed. Wonkwang University appeared as a ‘university city-type' model that combines spatially and culturally with the local community. Jeonju University appeared as a 'regional problem-solving type' model that solves Jeonju's problems based on the university's expertise. Based on the above analysis, a form of combining Wonkwang University and Jeonju University models with local universities located in areas facing the crisis of local extinction was proposed as a community cooperation model. This is because the "university city type" model secures sustainability, and "regional problem-solving type" is a good methodology for community cooperation.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erms of data collection, such as substantially internal documents of universities or inability to access private data. In addition, as a study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ities located in areas facing regional extinction, it cannot be said to be a general plan for universities located in other areas other than these areas. However, it is judged that local universities can be provided as basic data in efforts to co-prosperity develop as subjects of the local community. 본 연구는 지방에 소재한 대학의 지역사회 협력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의 지방대학들은 지방소멸과 지방도시의 침체로 인한 대학 위상의 하락과 급속한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입학률의 저하로 이중의 위기를 겪고 있다. 지방에서 시작된 대학의 위기는 곧 한국사회 전체 대학의 문제로 발전하고 있다. 대학은 이미 2000년대 초반부터 교육과 연구라는 전통적인 역할규범에서 벗어나 보다 확장된 사회적 역할을 요구받아 왔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 내에서 대학의 역할은 어떻게 변화하였고, 최근의 대학들은 지역사회와 어떠한 형태로 협력하는지에 관심을 둔다. 대학은 전통적으로 교육과 연구 기능을 주로 하였으나, 2000년대 이후 한국사회는 서구의 대학혁신 모델을 받아들이면서 산학협력 중심의 기업가적 대학으로 전환을 시도해왔다. 그러나 다시 2020년대 들어 한국의 지방대학은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소멸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부딪치면서 한국적 상황에 맞는 새로운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이 같은 방향에서 대학은 기존의 산학협력 모델에서 대학의 자원을 활용한 지역기반 산학협력모델로 전환하면서 동시에 지역사회와 협력을 강화하는 구조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들이 최근의 정책에 따라 어떠한 형태로 지역사회와 협력하는지 방향성을 살펴보고, 이들을 중심으로 앞으로 지방의 대학이 지역사회와 어떻게 협력해야 할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대학의 산학협력 역할로서 지역사회 협력 유형을 살펴보고자 지역사회내에서 대학의 역할 변화를 알 수 있는 정책과 지역연계사업을 분석하였다. 국가균형발전계획과 산학협력계획을 통해 대학의 역할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고, 「캠퍼스혁신파크사업」과 「지자체-대학 혁렵기반 지역혁신사업」을 통해 협력 유형을 분석하였다. 「캠퍼스혁신파크사업」은 대학의 공간과 시설자원을 「지자체-대학 혁렵기반 지역혁신사업」은 대학의 지식과 인적자원을 협력하는 모델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의 지역사회참여 모델을 살펴보고자 원광대학교와 전주대학교의 지역협력 사례를 분석하였다. 원광대학교는 지역사회와 공간적, 문화적으로 결합하는 대학도시형 모델로 전주대학교는 대학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전주시의 문제를 해결하는 지역문제해결형 모델로 나타났다. 위 분석을 토대로 지방소멸의 위기에 직면한 지역에 소재한 지방대학에 원광대학교와 전주대학교 모델을 결합한 형태를 지역사회 협력모델로 제안하였다. 대학도시형 모델은 지속가능성이 확보되고, 지역문제해결형은 지역사회 협력 방법론으로 좋은 방법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한계는 실질적으로 대학의 내부문건이거나 비공개자료는 열람하지 못하는 등의 자료수집의 측면에서 한계점을 가진다. 또한, 지역소멸 위기에 처한 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관점에서 진행한 연구로서 이들 지역외에 다른 지역에 소재한 대학들에는 일반적인 방안이라 할 수 없다. 그러나 지방의 대학들이 지역사회의 주체자로서 상생발전할 수 있는 노력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원광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아동의 유치 발거 원인

        김병화 원광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71

        이 연구는 원광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아동의 유치 발치 원인에 대해 조사하고, 연령, 성별 및 치아 종류에 따른 발치 원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7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원광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하여 1개 이상의 유치 발치를 시행한 만 3 – 12세 환자 11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발치된 유치는 총 2078개였으며, 유중절치(34.1%)가 가장 높은 빈도로 발치되었다. 생리적 동요(77.5%)로 인한 발치가 가장 빈번하였으며, 우식(13.8%), 교정(3.9%), 외상(1.7%) 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생리적 동요로 인한 발치가 우세하였지만, 치아 종류에 따라 발치 원인에 차이를 보였다. 우식으로 인해 발치된 유치의 54.6%에서 선행 치료가 없었음이 확인되었다. 정상적인 생리적 탈락 외에 우식으로 인한 유치 발치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유치의 보존 및 아동 구강건강의 향상을 위해 예방 치료 및 정기적 검진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incipal reasons for primary teeth extractions and the tooth type extracted in children. 1159 patients were selected in this study. Dental records and radiographs were reviewed and age, gender, medical history, type of tooth extracted and the reasons for extraction were collecte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Total 2078 primary teeth were extracted. Central incisors(34.1%) were most frequently extracted. Extractions due to physiological mobility(77.5%) were the most frequent followed by caries(13.8%), orthodontic(3.9%), trauma(1.7%). Reason for the extrac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age (p = 0.000),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p = 0.109). While extractions due to physiological mobility predominated overall, reason for extrac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ooth type. There was no previous treatment in 54.6% of primary teeth extracted due to caries. Excluded physiological mobility, caries are the most common reason for extraction of primary teeth.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care should be emphasized in order to preserve primary teeth and improve children's oral health.

      • “건강한 중국”의 개념을 기반으로 중국 대학 농구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방호림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55

        China promulgated the "Healthy China 2030 Program" in 2016. "Healthy China" became a national strategy. Its theme is "Co-operating, public healthy ", the fundamental purpose is to promote the health of the public. "Program" put forward higher requirements for the health of students, giving direction for teaching and training of physical education. At the same time, it also has a profound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campus physical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teaching system and curriculum reform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Basketball, as the largest number of participants in China, the development of college basketball and the trend of future development determine the development trend of Chinese basketball. The concept of "healthy China" has a profound influence on college basketball. Basketball is not only a very practical sport, but also the most common sport in college physical education. It can cultivate the development of students' physical ability, intelligence, cooperation ability and so on. The present education points out that in basketball teaching, we should not only pay attention to the explanation of basketball knowledge and basketball skills, but also pay attention to the cultivation of students' interest in learning, so that students can actively integrate into basketball. This paper investigates 15 universities in five regions of Beijing, Shanghai, Guangdong, Henan and Hubei. A total of 500 persons, including 300 non-sports students, 150 physical education students and 50 university professors, teachers and basketball coaches, are randomly selected. Through the research methods of literature, expert interview, questionnaire, logic analysis, case analysis, and so on, after consulting a large number of literature and research results on physical education, statistics, basketball teaching and so on, this paper probes into the present situation and existing problems of basketball in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analyzes in detail the opening of college basketball courses and the holding of college basketball leagu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and current situation of basketball curriculum reform, this paper discusses the deficiency of college basketball curriculum construction and the ways and means of reform pilot. Combined with the current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for basketball, to find an effective path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basketball in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results show that although the development of basketball in China has good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conditions, the importance attached by the government and relevant sports departments to basketball, the construction of basketball venues, the network construction of basketball associations and basketball organizations, the perfection and stability of grass-roots basketball competitions, the leisure time to participate in basketball activities, the basis of basketball skills and tactic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consciousness and preference, the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investment of basketball funds are all the factors that affect the development of basketball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At the same time, there are problems in the construction of basketball culture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For example, there are great differences in students' cognition of basketball and the cultural identity of basketball between teaching subjects. In the construction of material culture, the infrastructure can not meet the teaching needs, the symbolic material construction of basketball is insufficient; in the behavior culture, the curriculum can not meet the needs of students, the campus basketball culture dissemination content is single, the means is single and so on. For the problems of college basketball curriculum, the curriculum design is out of touch with the middle and primary schools, the basketball classroom teaching lacks vitality, the students' basketball foundation is poor, the teacher-student ratio is out of balance, the single one-sided teaching goal, the fuzzy value orientation, the unclear behavior subject of the teaching goal, the lost practice of the teaching goal, the confusion of the teaching goal level all urgent matters to be solved. In the aspect of curriculum reform, some colleges and universities fail to carry out the guiding ideology of college basketball curriculum construction, can not completely correct the orientation of the curriculum, and can not carry out the idea of running a school with characteristics as one. At the same time, seve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different opinions on basketball curriculum reform. Chinese University Basketball Association(CUBA), as the only official basketball league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serves as a bridge between colleges and universities. At the same time, the CUBA league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transportation of national basketball talents. China's biggest reserve talent base for professional basketball will be the CUBA league in the future, that is, the outstanding athletes on campus. Based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existing in the development of college basketball, some suggestions are put forward: Re-position the characteristics of basketball in the reform by highlighting the essence of basketball education. Strengthen the construction of basketball material foundation, the maintenance and strengthening of teachers, the improvement of teachers' basic quality, the construction of necessary conditions of basketball, increase the number of basketball gam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basketball games. To change the teachers and students' cognition of basketball, to strengthen the indoctrination of the guiding ideology of "healthy China", to transform the thinking motive force into the basis of reality, and to integrate basketball into life and study. The construction of basketball culture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uld be continuously strengthened. Promote students' cognition and love of basketball, to help them form correct values of basketball at the level of spiritual and cultural construction. For the construction of material culture, the lack of venue is the biggest deficiency, and the lack of equipment and equipment is also one of the factors hindering the development of basketball. The lack of cultural propaganda bar, basketball iconic buildings, basketball sculpture has gradually weaken students' cognition and yearning for basketball. In the construction of behavior culture, teachers and students should make the most reasonable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actual situation of the school, the arrangement of class hours of basketball courses, the situation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basketball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 development of campus basketball cultural activities. We should perfect the training goal of basketball teaching in the course reform of basketball. The reality of current physical education teaching reform, the needs of students and the development of basketball discipline are fully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training goal. The rich and diverse of network resources on video and other resources can make students truly understand the technical action, reduce the boring text learning. Increase the establishment of curriculum network platform, to better achieve the sharing of quality curriculum resources. Continue to promote the reform and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the college basketball league, connect with the international top level league, create competition exchange opportunities, to learn from the high level league in practice. For the context of the League: Create cultural atmosphere and cultural essence to highlight the purpose of educating people. Attract more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participate, cross-scale, promote the promotion and reform of campus basketball culture. 중국은 2016년 <건강 중국 2030 계획 요강>을 반포하였고, '건강 중국'을 국가전략으로 삼고 '건설공유, 국민건강'을 주제로, 주요한 목적은 국민건강을 증진한 것이다. <요강>은 학생들의 건강에 대한 더 높은 요구를 제시하였고, 체육 교육과 훈련의 방향을 제시하는 동시에 대학교의 학교체육발전, 체육 교육 체제와 수업 개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농구는 중국에서 가장 많은 인원이 참여하는 종목으로, 대학교 농구의 전개와 향후 추세가 중국 농구의 발전적 추세를 결정짓고 있다. '건강 중국'이라는 이념이 대학교 농구에 미치는 영향은 심원하다. 농구는 실천성이 매우 강한 운동 종목일 뿐만 아니라, 학교 체육 교육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종목으로, 학생들의 체력, 지력, 협업 능력 등의 자질 발전을 배양시켜 준다. 현재의 교육은 농구 교육이 농구 지식, 농구 기교 설명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취미를 키워 자발적인 농구 참여로 이어지도록 해야 한다고 밝힌다. 본문은 북경시, 상해시, 광동성, 하남성, 호북성 등 5개 지역의 15개 대학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450명의 재학생을 무작위로 뽑았고, 그중에 비 체육 전공 학생 300명, 체육 전공 학생 150명, 대학교수, 농구 코치 등 50명, 총 500명을 대상으로 문헌자료법, 전문가 인터뷰법, 설문조사법, 논리분석법 등 연구방법을 통해 다량 체육학, 통계학, 농구 교육 등에 관한 문헌과 연구성과를 열람하였고, 중국 대학교 농구의 전개 현황과 문제점을 탐구하고, 대학교 농구 수업 개설과 대학생 농구 리그 개최에대한 상세하게 분석하며, 현재의 농구 수업 개혁 요구와 현황을 결합하여 학교 농구의 현황과 향후 추세에 대한 조사하는 동시에대학교 농구 수업의 부족과 개혁 시험의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현재 국가의 농구 발전 전략과 결합하여 중국 대학교농구 발전에 적합한 방법을 찾는다. 연구 결과는 중국 농구 발전은 좋은 정치, 경제, 문화 등 외부 환경조건을 갖췄지만, 정부 및 체육 관련 부문은 농구에 대한 중시 정도, 농구장 건설 상황, 농구협회(동아리) 및 농구조직 네트워크 건설, 기층 농구 경기 활동의 보완과 안정도, 농구 활동 참여의 여가, 농구 기술 전술 기초 및 참여 의식과 선호도, 경제 발전 수준과 농구 경비 투입 등의 요소는 모두대학교 농구 발전에 영향을 끼친 요인이라고 밝힌다. 대학교 농구 문화 건설에도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정신 문화적인 방면에서는 학생이 농구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크고, 교육 주체 간 농구 문화에 대한 인정의 차이가 크다. 물질문화 건설에서는 인프라는 교육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농구의 상징성 물질 건설이 부족하다. 행위 문화에서 수업은 학생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학교 농구 문화는 전파 내용과 수단이 단일한 문제가 있다. 대학교 농구 수업의 문제는 수업 설계가 중, 초등학교와 맞지 않고, 농구 수업의 활력이 결핍되고 학생 농구 기초가 좋지 않으며 선생님과 학생 비율이 불규칙하며, 농구 수업 교육목표의 단면, 가치 취향이 모호함, 교육목표 행위 주체가 불명확함, 교육목표 천행의 부족, 교육목표의 단계적 혼란 등이 모두 시급히 해결해야 할 일이다. 수업 개혁에서 일부 대학교는 대학교 농구 수업 건설의지도 사상을 관철하지 못하고, 수업의 중요성을 완전히 정확하게 놓아둘 수 없으며, 특색 학교를 설립한다는 이념에 대해도 일관되지 못한다. 또 개별 대학교는 농구 수업 개혁에 대한 의견이같지 않다. 중국 대학생 농구 리그(CUBA)는 대학교에서 유일하게 공식 개최되는 농구 리그로, 대학교 간 상호 교류의 중개자 역할을 하고 있고, CUBA 리그는 국가 농구 인재 수송에도 큰 역할을 한다. 미래 중국 프로농구 최대 예비 인재 기지는 CUBA 리그이고, 즉, 대학교 내 우수선수들이다. 대학교 농구의 현황과 발전상의 문제점을 결합하고, 개혁 속에서 농구의 특성을 다시 정하며, 농구가 인재를 양성하는 본질을 부각하자는 제안한다. 대학교 농구의 물질적 기초 건설을 강화하고, 교수진을 유지하고 강화하며, 교수의 자질을 향상시키고, 농구 필수 조건의 건설, 농구 경기의 양을 증가하고, 농구 경기의 질을 높여 준다. 농구에 대한 선생님과 학생의 인지를 바꾸고, ‘건강 중국’이라는 지도 사상을 주입하고, 생각의 동력을 현실의 기초로 바꾸고, 농구를 생활 속에, 배움에 담는다. 대학교는 농구 문화 건설을 지속해서 강화해야 하며, 정신문화 건설 방면에서는 농구에 대한 인지와 선호도, 농구 운동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촉진한다. 물질문화 건설 중, 장소의 부족이 가장 큰 단점이며, 기자재, 기구의 결핍도 농구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 중 하나이며, 문화 게시판, 농구 랜드마크, 농구 조소품의 부족도 학생이 농구에 대한 인지와열망을 약화한다. 행위문화 건설에서 교수와 학생의 농구 수업 시간 배정, 교수의 농구 과외 활동 참여 상황, 학교 농구 문화 활동의 전개 등을 학교 실정에 결합하여최적으로 안배하여야 한다. 농구 수업 개혁에서는 농구 교육의 배양 목표를 보완해야 하고, 배양 목표의 제정에서 현재 체육 교육 개혁의 실제에서 출발하고, 학생들의 수요와 농구 학과의 발전에 대해 충분한고려를 해줘야 한다. 인터넷 자원이 많고 다양하며, 영상, 녹화 같은 자원을 이용하면 학생들이 기술 동작을 실감하고, 문자 공부의 지루함을 줄여줄 수 있다. 인터넷 수업 플랫폼의 건립을 더욱 확대하고, 더 나은 양질의 수업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수업의 개혁과 발전을 촉진해야 한다. 대학생 농구 리그에서는 국제 최고 수준의 리그와 접목해 교류 기회를 만들고 실천 속에서 수준 높은 리그를 배워야 한다. 리그 전개에서는 문화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문화의 정수를 건립하며, 대학교 교육의 취지를 두드러지게 해야 한다. 더 많은 대학교의 참여를 흡인하고 규모를 확대하며, 학교 농구 문화의 보급과 개혁을 촉진해야 한다.

      • 대학홈페이지 이용자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 원광대학교 재학생 중심으로

        서영일 원광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55

        Nowadays university is faced with new environment. The university must prepare a competitive power which is the possibility to present the vision of future with introduction of the student service and developed education for the student. From this paper, first of all I observed the special quality of homepage of WonKwang university and then I investigated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homepage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undergradu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use of university homepage from uses and gratifications perspectives. The analyses identified many motives of using homepage. Those motives included information seeking, find companionship, diversion, personal interest, utility. In addition, this study ascert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using motives of homepage and involvement, using behavior, and evaluation toward homepage attributes. Our results indicated that most university students and staves agree on the importance of the homepage but their satisfaction was low. Based on these results, if we provide various contents which are accurately grasped the necessity and demand of the students who use the homepage of WonKwang university, it will be a great help to university for public relations effect and also image improvement of university. 오늘날 대학은 새로운 환경에 직면하게 되었다. 대학시장의 개방, 수험생의 감소, 자유로운 경쟁논리의 침투 등 많은 환경이 변화되고 있다. 이제는 대학 이 단지 학생선발만을 목적으로 홍보하는 것이 아니라 각 대학별로 다양하고 새로운 컨텐츠의 확보가 중요하게 되었다. 대학이 학생들에게 보다 발전된 교 육과 학생서비스의 도입으로 미래의 비전을 제시해 줄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 어야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용과 충족의 관점으로부터 대학홈페이지의 이용을 설명 하고자 하며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홈페이지 사용의 동기 요인을 설명하고 이 에 따라 원광대학교의 홈페이지 특성을 살펴보고 재학생 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하여 대학 홈페이지의 중요도 및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동기요 인들은 정보 찾기, 교제 찾기, 다양성, 오락(기분전환), 개인적 흥미 등을 포 함하며, 게다가 본 연구에서는 홈페이지의 동기이용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고 홈페이지 속성을 평가 하였다. 그 결과 모두 홈페이지의 중요도에 대해서는 많은 관심을 보였으나 실제 이용하는 학생들의 홈페이지에 대한 만족도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광대학교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재학생들의 요구와 필요성을 정확히 파악 하여 보완하고 발전시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한다면 대학홍보의 효과는 물론 대학의 이미지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국내 미술치료사의 역할과 관련 기관에서의 임상훈련 현황에 관한 연구

        장은경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국내 현황에 적합한 미술치료사의 양성을 위해 미술치료 관련 기관과 현재 활동중인 미술치료사들이 요구하는 미술치료의 역할에 대해 조사하여 보다 한국사회의 현황에 적합한 교육과정과 임상훈련을 위한 토대를 마련해 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서 연구자가 제작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중심으로 설문 조사되었으며 각 학교와 학회, 협회는 안내서와 인터넷 등에서 발췌한 자료를 참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 보고자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국내와 미국의 치료사 자격조건과 임상훈련 과정은 어떠한가? 2) 국내 미술치료사의 임상기간과 임상훈련의 현황은 어떠한가? 3) 국내 미술치료기관에서 요구하는 미술치료사의 자격과 역할은 무엇인가? 4) 현재 미술치료사가 요구하는 미술치료사의 수준과 현황은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통하여 첫째, 미술치료사에 대한 일정한 자격기준이 필요하며, 전문감독에게 현장에서의 직접 임상실습과 훈련이 요망되며, 둘째, 기관에서 요구하는 치료사의 자격은 심리전공의 치료사로 심리학인접 학문에 대한 교과과정이 강화되어야하며, 셋째, 다양한 미술치료 교과과정이 만들어져야겠다. 본 연구는 국내 미술치료에 관련된 기관과 미술치료사가 요구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함으로 국내 현황에 알맞은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is the study of facilities for the clinical training of domestic arts therapists and the expectations of current domestic arts therapists in hopes of creating a good clinical and training foundation for domestic arts therapists in Korea. This study is based on a survey, which was drawn up by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and data that was compiled from the Internet and various schools, institutions and associations. This survey seek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are the current requirements for licensure in domestic arts therapy and the clinical training process in Korea and America? 2) What is the current state of clinical training in domestic arts therapy, i.e. duration of training, etc., like in Korea? 3) What are the requirements and duties expected by the Korean Domestic Arts Therapy Association? 4) What standards and conditions are expected by current domestic arts therapists? Based on the questions put forth by this study, there needs to be, first of all, consistent licensure requirements for domestic arts therapists, as well as a period of clinical training under a specialized instructor, second, a strengthening of fields related to psychology, as the organization requires therapists who majored in psychology, and third, greater educational courses in the field of domestic arts therapy. By understanding what is needed by current domestic arts therapists and various domestic arts therapy-related organizations in Korea, this study presents an educational program that fits the conditions that are present in Korea today.

      • 한?중 각 2개 대학교 무용학과 교육과정에 관한 비교 연구

        선원원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한・중 각 2대학교 무용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과 중국에 소재한 4개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한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실히 응답하지 않은 설문지는 5부를 제외하고 최종 여학생 501명, 남학생 94명, 총 595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사용한 조사도구는 자기평가기입 설문지법으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설문지를 요인 분석을 통하여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과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설문지는 교육과정만족도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송유진(1995), 김보람(2008), 하은하(2012), 조영인(2012), 전면지(2011), 이유리(2016), 김진아(2008), 이권(2017), 사랑인청(2017), 황관회(2018) 등 다수의 참고문헌을 참고 하였으며, 이러한 참고 결과는 통계 분석 SPSS 24.0을 통하여 처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국가에 따른 무용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차이를 교육과정과 교육 목표 및 교육능력 실기만족도 진로결정은 국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과정세분화 교육시설은 한국이 중국보다 교육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국이 중국보다 교육과정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한・중 무용학과 성별에 따른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한국은 전공에 따른 교육시설 만족 교육목표 및 교육능력 교육과정에 실기만족도는 전공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교육과정은 전공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05) 사후분석 결과 현대무용이 한국무용보다 교육과정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은 전공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05) 사후분석 결과 현대무용이 한국무용보다 진로결정 동기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전공에 따라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한・중 학년에 따른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한국은 졸업 후 희망에 따라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중국은 졸업 후 희망에 따른 교육과정 교육시설 교육목표 및 교육능력 실기만족도 진로결정 동기는 졸업 후 희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과정세분화는 졸업 후 희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5<0.05) 대학원 진학이 무용교사와 무용이외 분야보다 교육과정세분화 만족도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중 경력에 따른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셋째, 한국 무용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와 무용 실기만족도 진로결정 동기의 상관관계 실기만족도와 교육과정 만족도 교육시설 만족도 교육목표 및 교육능력 과정세분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진로결정 동기와 교육과정 만족도 교육시설 만족도 교육목표 및 교육능력 과정세분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중국 경우 실기만족도와 교육과정 만족도 교육시설 만족도교육 목표 및 교육 능력 과정세분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진로결정 동기와 교육과정 만족도 교육시설 만족도 교육목표 및 교육능력 과정세분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한국 무용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와 실기만족도가 진로결정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실기만족도와 교육과정 교육시설이 높아질수록 진로결정 동기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중국의 경우 무용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의 하위요인 교육과정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진로결정 동기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and compare the education curricula for the dancing speciality in a total of 4 universities, two in Korea and the other two in China. An investigation was launched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from both genders in the said 4 universities. Excluding 5 dishonestly-answered questionnaires, a definitive total of 501 girls and 94 boys constitut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This essay amended and completed, through reliability and appropriateness analysis, self-assessed questionnaires. The statistic program of SPSS 24.0 was adopted for data processing, as well as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based on the subject matter, and the results achieved were concluded as below: The survey aimed to examine the variable factors regarding the satisfaction level towards education curricula with referencing literature of Y.-Z. Song (1995), B.-L. Kim (2008), E.-H. Xia (2012), Y.-Z. Zhao (2012), M.-Z. Quan (2011), Y.-L. Li (2016), Z.-Y. Kim (2008), Guan Li (2017), R.-Q. Ai (2017), G.-H. Wang (2018), etc. Such referenc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atistic program, SPSS24.0, contribut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p>0.05) with respect to the satisfaction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dancing education in both countries, the curricula,objectives,abilities of education and practise satisfaction. Though the satisfaction level of Korea was higher than that of china in terms of process division and educational facilities. Secondly, all factors regarding the different genders in both China and Korea’s dancing specialty showed little variation(p>0.05). There was barely any statistically noticeable distinctions between Korean students from different specialties in terms of their satisfaction towards educational facilities, objectives and abiliti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ifferent specialties(p<0.05), post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odern dancing specialty showed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towards the education curricula than that expressed by the Korean dancing. Decisions concerning one’s future showed distinctive differences statistically with different specialties(p<0.05), post analysis revealed that the scores of the decision motives of modern dancing beat that of the Korean dancing. While in China, all factors concerning different specialties demonstrated no statistic difference(p>0.05). All factors regarding different grades showed no statistic difference in both countries(p>0.05). In Korea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among all factors in relation to the expectations after graduation(p>0.05). In china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concerning the expectations after graduation, education curricula, educational facilities, objectives and abilities, as well as motives behind occupational decisions(p>0.05). There were noticeable differences statistically though regarding the expectations after graduation and divisions of curricula(p=0.015<0.05). The satisfaction level of undergraduates was higher than that of dancing teachers and non-dancing personnel. There was no statistic difference for all factors in connection with different occupational experiences in both countries(p>0.05). Thirdly, the educational curriculum satisfaction, dancing practice satisfaction, motives behind cupational decisions, course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objectives towards education facilities and curricula divisions all showed statistical correlation(p<0.05). The motives for occupational decisions and course satisfaction, satisfaction towards education facilities, education objectives and educational abilities all showed statistic correlation(p<0.05). In china practice satisfaction and curricula satisfaction, towards education facilities, objectives and educational abilities showed a correlation(p<0.05). And motives behind occupational decisions and education curricula satisfaction, towards education facilities, education objectives, educational abilities and process divisions showed a correlation(p<0.05). As with the enhancement of practice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curricula facilities,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and practice satisfaction on the motives behind the occupational decisions grew bigger. While in china with the satisfaction level of curricula going up, the sub-factors for the satisfaction towards dancing curricula grew hig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