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NS사용자의 제한적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개인적 특성과 기술적 특성을 중심으로

        장은경 순천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research explored the factors on SNS users’ limited use intention focused on the digital fatigue by using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technical acceptance model and the technostress to explain the phenomena to control or reduce differently from the initial active use passing through the useprocess after accepting SNS. This study deduced the related factors through previous pilot study and literature review in order to figure out the influencing factors of digital fatigue and limited use due to SNS use. For this, the study executed the questionnaire survey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to test the hypothesis of drawn influencing factors. First of all, the pilot Test was executed for 5 days from July 10 to 15, 2014 targeting students and general SNS users. This survey was performed for about 30 days from September 1 to 30, 2014, and a total of 360 sheet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Besides 10 sheets to be judged not to reply to all the questions sincerely, we used 280 respondents as the final analysis data.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18.0 and AMOS 20. Initially summarizing,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influences of SNS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 on the digital fatigue, it is as follows. First, it appeared that the relation between IT innovation characteristics, SNS literacy which are SNS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digital fatigue is not meaningful statistically(Hypothesis 1). This implied that SNS users’ personal disposition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digital fatigue. This result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main respondents of this research are the college students including graduate students(63.2%) of 20s(74.6%) and SNS used mainly is face book(69.6%). Also, this is confined to a special group using smart phone(89.6%), and they have a personal disposition to accept the innovative technology more than other age group, and it can be construed as the result little feeling digital fatigue by being capable of communicating on SNS liberally and using it.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technical property and digital fatigue is as follows. The relation between technical change speed and digital fatigue has a positive(+) effect and is confirmed to be meaningful statistically, but it appeared that the relation between information overload and digital fatigue is not meaningful statistically(Hypothesis 3, Hypothesis 4). That is, it is felt that in SNS use information overload does not affect digital fatigue directly, and that technical change speed arouses fatigue. With thresult, it can be seen that SNS users’ feeling fatigue is not felt directly owing to information overload and privacy concern could be felt owing to overflowing information(Hypothesis 5). It can be seen that closed-type SNS appearing recently targets those who complain of the inconvenience or stress on previous closed-type SNS and have the characteristic to have reinforced the part to relieve the stress factors of closed-type SNS as appearing specialized type SNS or the weak part and the information overload does not arouse direct digital fatigue. Third,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related to the privacy concern is as follows.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 and digital fatigue is not meaningful statistically(Hypothesis 6), and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 and restricted use intention has a positive(+) effect and was meaningful statistically(Hypothesis 7). Fourth, the analysis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f digital fatigue SNS users feel on limited use intention of SNS. Digital fatigue has a limited use intention positively(+) and this appeared meaningful statistically. This confirmed that digital fatigue was the main influence factor of limited use intention(Hypothesis 8). That is, the results implied that using SNS and feeling digital fatigue have possibility to reduce or restrict SNS use more in the future.

      • 담배에서 MAPK cascade에 의해 매개되는 병 저항성 유전자 분리

        장은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Expression of NtNEK2DD, a constitutively active mutant of NtMEK2, activates endogenous SIPK and WIPK and leads to HR-like cell death, demonstrating that the NtMEK2-SIPK/WIPK cascade controls defense responses in tobacco.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downstream target substrates or defense-related genes that are regulated by NtMEK2-SIPK/WIPK cascade. To isolate the downstream effectors mediated by the NtMEK2-SIPK/WIPK cascade, I performed ACP?based differential display RT-PCR using RNA extracted from NtNEK2DD transgenic tobacco plants. Using this system, several groups of defense genes, including arginine decarboxylase gene (ADC), pepsin A, universal stress protein (USP), monoterpene synthase 2 (MTS2), ubiquitin-protein ligase, and biotic cell death-associated protein gene were cloned. Among them, the arginine decarboxylase (ADC) gene which is a key enzyme in plant polyamine biosynthesis has been characterized. To understand the roles of pathogen-responsive MAPK cascade in regulating the biosynthesis of polyamine, I monitored expression levels of genes involved in polyamine biosynthesis such as arginine decarboxylase(ADC), ornithine decarboxylase(ODC), spermidine synthase(SPDS), polyamine oxidase(PAO), methylputrescine oxidase1(MPO1), methylputrescine oxidase2 (MPO2) and polyamine level in both NtNEK2DD and NtMEK2KR transgenic tobacco plants. As compared with the NtMEK2KR plants, the NtMEK2DD transgenic plants exhibi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DC, ODC, MPO1 transcript levels and putrescine and spermine content after SIPK/WIPK activ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vel defense genes mediated by the NtMEK2-SIPK/WIPK are isolated using ACP-based DDRT-PCR. In addition, NtMEK2-SIPK/WIPK cascade regulates polyamine synthesis, especially putresine synthesis, through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he biosynthetic genes in tobacco. NtMEK2 유전자가 지속적으로 활성화된 돌연변이체인 NtMEK2DD의 발현은 SIPK와 WIPK를 활성화 시켜 주므로 해서 HR-like cell death반응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NtMEK2-SIPK/WIPK cascade가 담배에서 방어 반응을 조절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NtMEK2-SIPK/WIPK cascade에 의해서 조절되어지는 downstream target substrates나 defense와 관련된 유전자들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상태이다. 우리는 NtMEK2-SIPK/WIPK cascade에 매개되는 downstream effectors를 분리하기 위하여 NtMEK2DD 형질전환 식물체에서 RNA를 정제하여 ACP에 기초한 DDRT-PCR을 수행하였다. 우리는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ADC, USP, MTS2, ubiquitin-protein ligase, biotic cell death-associated protein 등과 같은 몇몇의 유전자들을 클로닝하였다. 이들 중에서 식물에서 폴리아민 생합성 과정에 관련된 효소인 Arginine decarboxylase (ADC) 유전자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병원균에 반응하는 MAPK cascade가 폴리아민 생합성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NtMEK2DD와 NtMEK2KR 식물체에서 폴리아민 생합성 관련 유전자인 ADC, ODC, SPDS, PAO, MPO1, MPO2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폴리아민 양도 확인하였다. 그 결과 NtMEK2KR에 비해서 SIPK/WIPK이 활성화된 후 NtMEK2DD 식물체에서 ADC, ODC, MPO1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또한 putrescine, spermine 양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ACP에 기초한 DDRT-PCR 방법을 이용하여 NtMEK2-SIPK/WIPK cascade에 의해 매개되는 novel defense 유전자들을 분리하였음을 의미한다. 또한, 담배에서 NtMEK2-SIPK/WIPK cascade에 의해서 폴리아민 생합성 유전자들이 전사적으로 조절됨으로써 폴리아민 중에서도 putrecsine 생합성을 조절함을 확인하였다.

      • 제주시 지역 중학생의 역사의식 연구 : 국사학습에 대한 설문지 조사

        장은경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역사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바람직한 역사의식을 길러 역사적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데 있다. 이러한 역사교육의 목적달성을 위해서 학생의 역사의식 발달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생의 역사의식 발달 수준의 정도와 특징을 파악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며 이러한 조사결과를 통해 중학교 역사교육의 효율적인 방안을 논의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작성, 제주시 지역 중학생406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조사 하였다. 첫째, 중학생의 기본적인 역사의식의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중학생의 역사의식 발달단계는 어느 정도인가? 셋째, 중학생의 역사관과 역사의식의 실태는 어떠한가? 넷째, 중학생의 역사의식 형성의 요인은 무엇인가? 다섯째, 중학생의 역사수업의 효율적인 방안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내용으로 제주시 지역 중학생의 역사의식 발달의 실태를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성별에 관계없이 학생들이 역사공부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우리역사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중학교 학교수업을 통한 2학년 때 이고, 역사분야에서 문화사에 관심이 가장 많았고 사상사에 관심이 제일 적었다. 둘째, 역사의식 발달수준을 보면 모든 발달수준은 성별에 차이 없이 고른 발달 수준을 보였다. 시의 의식은 충분히 발달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변천의식, 인과의식, 시대의식, 발전의식도 서서히 심화, 발달되어 가고 있음을 보였다. 셋째, 중학생이 향토사에 대한 관심은 저조하며 역사의 주체로 '민중'을 인식하고 있는 데는 성별의 차이가 없었지만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지도자나 영웅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넷째, 역사의식 형성의 요인으로 남학생, 여학생 모두가 인적 요인은 학교선생님을 들었으나 물적 요인은 여학생은 교과서를 남학생은 대중매체를 들고 있다는 데에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역사수업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학생들은 시청각 교육을 원하며 문화유적지나 현장답사, 박물관 견학 등 다양한 체험학습을 원하고 있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면, 제주시 지역 중학생의 역사의식의 성별 차이는 별로 나타나고 있지 않으며, 바람직한 역사의식 형성을 위하여 학교에서 교사의 충분한 관심과 자질함양이 요구되며, 대중매체의 신중한 프로그램 편성, 역사의식수준에 알맞은 효율적인 학교현장의 수업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ultimate object of history education is instilling ideal historical consciousness into students and improving their attitude toward history. To attain the object, how students make a progress in historical awareness should first be figured 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uch middle school students improved in historical awareness, what its characteristics were and whether or not their gender made any differences to that. It's basically meant to suggest how better history education could be provided in middle school.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What is the basic historical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2. In which stage do their historical consciousness belong to? 3. What are their outlook on history? 4. What affects the development of their historical awaren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middle school students form the city of Jeju.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acquired: First, the students investigated felt the high need for history education regardless of gender, and they started to be interested in national history in their second grade when they received history instruction at school. Among different fields of history, they were most interested in cultural history, and paid the least attention to the history of thoughts. Second, as for their level of historical consciousness, they made an even growth in every aspect irrespective of gender. They had a good view of circumstances, and their senses of ups and downs, cause and effect and the times and their outlook on development made a gradual improvement. Third, the middle school students had little interest in local history, and both boys and girls viewed people in general as those who created history. But the boy students were more conscious of leaders or heroes than the girls. Fourth, both boys and girls pointed out school teachers as human resources who fostered their historical awareness, but they had a different opinion about material factors that affected their historical consciousness, as the girls and boys respectively regarded textbooks and mass media as what influenced their way of looking at history. Fifth, the students were in want of audio-visual education to take more efficient history instructions, and preferred a wide variety of experiential learning, including field trips or visiting museum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re was little gap in historical awareness between the boy and girl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ity of Jeju. To enhance their historical consciousness, school teachers should try to become qualified and pay more attention to that. And mass media should discreetly select programs, and field study should be conducted in light of their historical consciousness.

      • 다문화가정남편의 부부갈등 경험에 대한 질적사례 연구

        장은경 한북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약 다문화가정 남편의 부부갈등 경험에 대한 질적사례 연구 본 연구는 국제결혼으로 이루어진 다문화가정의 부부갈등을 남편의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남편이 경험한 부부갈등의 결정적 사건, 전개과정, 대처방법을 있는 그대로 탐색해 봄으로써 다문화가정을 이해하고 지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에 대한 정책 및 제도,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국제결혼으로 다문화가정을 형성한 남편을 대상으로 부부갈등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한 후 자료를 질적사례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남편이 경험한 부부갈등의 결정적 사건은 ‘남편과 시부모의 무시’, ‘신뢰하지 않는 남편’, ‘친정과 친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 부담’, ‘결혼에 대한 현실성 부족’으로 나타났다. 남편은 다문화가정을 이루면서 이러한 아내의 결혼동기와 기대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여 부부갈등에 대한 내재적 요인을 갖고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부부갈등의 결정적 사건이 일어나는 계기가 되고 있었다. 둘째, 남편이 경험한 부부갈등의 전개과정은 ‘부부와 가족의 문화 갈등의 심화’, ‘비난과 분노 조절의 어려움’, ‘헤어짐과 이혼에 대한 예고와 아내의 가출’, ‘대화와 소통의 한계’로 나타났다. 국제결혼한 남편은 아내 나라의 언어나 문화를 배우려는 노력이 매우 미약하며 이는 부부간의 의사소통의 문제로 발전하였다. 부부갈등 시 감정적인 부분들을 해결하지 못하여 분노가 쌓이고 오해를 만들었다. 갈등이 고조됨에 따라 이혼과 가출을 할 수 있는 기회들이 만들어졌으며 부부갈등 상황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었다. 셋째, 남편이 경험한 부부갈등의 대처방법은 ‘참고 달래줌’, ‘함께 경제활동하기’, ‘몰두할 대상이 생김’, ‘종교와 모임’, ‘국가기관의 이용’, ‘믿음과 규칙이 생김’, ‘아내의 활동 범위 제한’으로 나타났다. 국제결혼으로 한국에 온 다문화가정의 여성들이 최근에 이혼률이 높고 가출을 하는 주변의 이런 상황들로 어려움을 겪는 가정들을 많이 본 다문화가정의 남편들은 경제상황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아내의 경제활동을 가출로 연관지어 생각하여 항상 불안한 마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마음은 갈등 상황에서 참고 달래줌으로써 아내의 가출에 대한 의식적, 무의식적인 불안감에 대한 대처방법으로 나타내고 있었다. 남편이 경험하는 부부갈등의 대처방법은 서로 참고 달래주고 믿음을 갖고 아내를 인정하는 것이 부부갈등을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갈등을 혼자 해결하기 보다는 국가기관의 도움을 받거나 종교나 다른 다문화가정의 모임을 통해 지혜롭게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모습들을 보여주고 있었다. 넷째, 부부갈등 경험이 다문화가정 남편의 삶에 대한 의미는 ‘나 하나 믿고 왔는데 참아요’, ‘언제 도망갈까 내재된 두려움’, ‘나를 내려놓고 아내에게 맞춤’, ‘시간이 약이죠’, ‘국가와 다문화 관련 기관에 대한 경험과 생각’이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남편이 참고 달래주고 아내에게 맞추는 것이 부부관계와 적응에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가정 부부갈등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부가 동등하고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관계를 형성하면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을 만들 수 있는 측면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남편의 부부갈등을 남편의 경험을 통하여 있는 그대로 살펴보았다. 부부갈등의 결정적 사건, 전개과정, 대처방법 및 부부갈등의 의미를 탐색해 봄으로써 이를 통하여 다문화가정에 대한 정책 및 제도,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장은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부간 의사소통 방식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남편집단과 아내집단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간에는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둘째, 남편 및 부인의 의사소통 방식에 따라 결혼만족도 뿐만 아니라 우울,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등 결혼생활적응과 관련된 심리적 변인들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혼 남녀 259쌍을 대상으로 부부의사소통질문지, 결혼만족도척도, 우울척도, 사회적 지지도 및 스트레스척도가 포함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남편- 부인을 쌍으로 수집된 설문조사 자료를 기초로 결혼만족도를 예측하는 변인들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이 실시되었고, 남편과 부인집단을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조합을 만들어 각 집단 간의 결혼생활적응 관련변인들의 차이를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를 보면 첫째, 남편집단과 아내집단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보면 모두 우울변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고 그 외에도 불성실지향적 의사소통,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편, 아내의 의사소통 방식에 따른 결혼만족도, 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보면, 남편집단과 부인집단 모두 남편과 부인의 조합이 권위지향적 의사소통방식과 소심지향적 의사소통방식으로 짝을 이루었을 때 결혼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남편과 부인 모두 희생지향적 의사소통으로 대화를 하는 경우 다른 의사소통 방식에 비해 결혼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의사소통방식에 관해 부부를 쌍으로 묶어 구체적으로 알아본 결과, 의사소통방식이 결혼생활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부간 의사소통에 초점을 맞춘 대화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들이 논의되었다. The following study was done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tyles of couples and their marital satisfaction. First,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sychosocial factor s that influence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husbands and wives, respectively. Second, this research is done to find out which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the level of depression, social support, stress, and marital adjustment among several groups that were divided by the ways of communication with their partners. Subjects were a community sample of 259 couples married and filled out the questionnaire which assessed the perceived styles of partner's communicating behavior, marital satisfaction, depression(CES-D), perceived stress and social support. The research are based on a collected questionnaire of a research data on husband-wife in pairs to confirm their pre-estimate rates of their marital satisfaction so that it can be proceeded to analyze the deceptive plan, and to associate according to their communication pattern between husbands and wives group so that each group can be verified by their differences in relation to marital adjust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imary factor which influenced marital satisfaction quite effectively in husbands and wives group was largely the level of depression. Second,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was the lowest when husbands and wives were both associated to be intentionally powerful and cautious in communicating in husbands and wives group. And when both husband and wife made use of maintaining sacrifice way of communicating each other,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came out higher compared to other way of communicati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styles of communicating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marital adjustment. So this points out a hint that it is vitally necessary to have the communication skill training, which are focused on couples way of communicating to each other.

      • 곤충병원성 선충에서 분리한 공생세균 photorhabdus temperata M1021의 살충성과 그 독소 복합체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특성

        장은경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작물의 생물학적 방제에 사용되는 생물농약소재를 발굴하기 위하여 국내의 곤충병원성 선충으로부터 살충성 공생세균을 확보하고 이로부터 살충성 유전자원의 구성과 특징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생세균의 분리 및 동정 국내의 살충성 공생세균과 이들의 유전자원 확보를 위하여 토양 유래의 선충으로부터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에 살충력을 나타내는 곤충병원성 선충을 확보하였다. 이들로부터 공생세균의 특성을 이용하여 MacConkey와 NBTA 배지를 이용하여 공생세균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였다. 먼저, MacConkey agar 배지에서 그람 음성 간균을 분리한 다음, 그중에서 bromothymol blue를 흡착하고 tetrazolium chloride를 환원하는 공생세균을 NBTA agar 배지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한 공생세균의 동정은 16S rDNA 염기서열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NBTA 배지에서 짙은 녹색 또는 짙은 노란색을 띠는 5 균주의 공생세균은 모두 Photorhabdus temperata로 확인되었다. 이들은 type strain인 P. temperata subsp. temperata XINach strain과 99% 상동성을 나타내었고, 16S rDNA 서열에서 Photorhabdus와 Xenorhabdus 속을 구분지는 서열인 ‘TGAAAG' 및 제한효소 EcoR I site를 확인하였다. 2. 분리한 공생세균의 생장 및 생리학적 특성 5종의 P. temperata의 생장과 생리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그람 음성 간균이며 catalase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TSB 배지에서 짙은 주황색의 색소를 생성하며 skim milk와 Tween-20 또는 80을 각각 함유한 배지에서 protease 및 lip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Salmonella typhimurium과 Micrococcus luteus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지방산 조성 및 함량도 기존에 보고된 P. temperata와 유사한 pattern을 나타내었다. 이들의 생장 특성을 조사한 결과 배양 5∼6일째에 최대 균체 생장을 나타내었으며, 대부분 대수 증식기 기간이 매우 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균주 생장 시 필요한 yeast extract의 적정 농도는 3∼5%로 나타났으며 생장 최적 온도는 28∼30℃로 확인되었다. 5종의 P. temperata의 생장제한온도는 35∼ 36℃로 나타났다. 3. 공생세균의 살충력 및 배양상징액의 내열성 검증 분리한 5종의 P. temperata의 살충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미 살충력이 검증된 P. luminescens TT01 균주를 표준 균주로 사용하였으며, 배양시간별 배양상징액을 5령 이상의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에 주사하였다. 그 결과 5종의 P. temperata와 1종의 표준 균주 모두 유충에 대한 높은 살충력을 나타내었다. 살충력은 대수 증식기 후반의 배양상징액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P. temperata M1021과 J5 균주는 주사 시 마비증상과 함께 주사 후 1일 만에 100% 살충력을 나타내었다. 가장 높은 살충력을 나타낸 96시간 배양상징액의 내열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40∼100℃의 온도에서 30분간 열처리한 다음 유충에 주사하여 살충력을 확인하였다. J5와 M1021 균주는 80℃에서 30분간 열처리한 후에도 살충력이 대부분 유지되었으며, 90℃에서도 50% 이상의 살충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TT01 균주를 포함한 4 균주는 열처리 온도가 증가할수록 살충력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내열성 살충력을 나타내는 살충성분의 단백질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배양상징액에 proteinase K를 처리하여 단백질 활성을 제거하였다. 이를 다시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에 주사한 결과, J6 균주와 TT01 균주는 살충력이 각각 60%와 50%를 나타내었으며 나머지 4 균주는 살충력의 80% 이상이 유지되었다. Proteinase K에 의해 단백질 대부분이 제거되었음에도 높은 온도에서 살충력을 가지는 것으로 보아 비단백질성 내열성 살충 성분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4. 동결건조법을 이용한 Photorhabdus temperata M1021의 제제화 내열성 살충력이 가장 우수한 P. temperata M1021 균주를 동결건조법을 이용하여 제제화한 다음 저장 안정성 및 살충력 실험을 하여 이들의 생물농약 소재로서의 제품화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동결건조 시 세포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skim milk, starch, sodium alginate, dextrose와 sodium glutamate를 보호제로 첨가하였다. 동결건조 시료에서의 균의 생존율은 skim milk를 7%(w/v) 첨가하였을 때 63%로 가장 높았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다른 보호제는 동결건조 시 세포보호능력이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낸 skim milk 첨가 동결건조 시료는, skim milk 7%일 때 저장 안정성이 75% 이상(4주)으로 나타났으나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그러나 동결건조분말에 대한 주사 독성은 2.02 × 101 세포 이상에서는 주사 후 4일 이내에 100% 살충력을 나타내었으며, 2.02 × 100 세포와 같이 아주 적은 농도에서도 유충의 살충효과가 50%를 나타내었다. 5. 독소 복합체 확보를 위한 genomic cosmid library 제작 및 분석 살충성 공생세균인 P. temperata M1021로부터 이들의 살충 활성에 관여하는 독소 복합체 및 독소 단백질의 존재와 구성을 확인하고 이들의 살충력을 확인하고자 먼저, P. temperata M1021 균주의 genomic cosmid library(PtC)를 구축하여 이들의 유전자원을 확보하였다. 구축한 library로부터 pooling-subpooling PCR 법을 이용하여 독소 유전자를 포함하는 4개의 cosmid clone을 확보하였다. 확보한 cosmid clone의 plasmid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독소 복합체인 tcd locus와 tcc locus에 해당하는 7종의 독소 유전자를 확보하였다. 상동성 분석 결과 기존에 보고된 P. luminescens 및 P. asymbiotica의 독소 복합체 살충 단백질과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6. 독소 복합체의 살충력 검증을 위한 재조합 발현시스템 구축 및 발현 상기에서 확보한 독소 복합체의 살충력을 검증하고자 T7 promoter를 가지는 pET21a(+) 발현 벡터를 이용하여 재조합 발현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TcdA-like를 제외한 대부분의 재조합 단백질은 IPTG에 의해서만 발현되었다. 그러나 TcaC와 TccC-like를 제외한 대부분의 재조합 단백질은 불용성 형태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재조합 단백질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TccB, TcdB2와 TccC-like를 대상으로 온도, IPTG 농도 및 배지 종류를 변화시켜 목적 단백질의 발현형태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발현 강도에만 영향을 줄 뿐 단백질의 용해도 증가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불용성 형태의 refolding 과정에서도 용해도는 증가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arabinose promoter를 가진 pEAra 발현벡터를 제작하여 목적 단백질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각각의 독소 component인 TccB, TcdB2와 TccC-like의 발현 유무를 확인한 결과, TccB는 15℃와 27℃에서 일부 soluble form으로 발현되었으며, TcdB2는 15℃에서 대부분 soluble form으로 발현되었다. 목적 단백질의 정제에는 Ni-Sepharose FF resin을 사용하여 정제하였으나 TcdB2만 정제되었다. 7. 재조합 독소 복합체의 살충력 검증 pET 발현 시스템에 의해 목적 단백질이 발현된 재조합 대장균의 살충력은 꿀벌부채명나방과 갈색거저리 유충에 대한 주사 독성으로 확인하였다.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의 경우 TccB가 발현된 재조합 대장균이 가장 높은 살충력을 나타내었으며 주사 후 5일 때에 유충의 살충력은 85%를 나타내었다. TccC-like와 TccC는 각각 37.5%와 52.5%의 살충력을 나타내었다. 갈색거저리 유충의 경우 TccB가 발현된 대장균을 주사한 경우 가장 높은 살충력을 나타내었고, 주사 후 5일 때에 100% 살충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TccC-like는 57.5%, TcdB2가 35%의 살충력을 나타내었다. pEAra 발현 시스템은 TccB와 TcdB2의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에 대한 살충력 검증에는 목적 단백질이 발현된 대장균 세포를 파쇄하여 유충에 주입하였다. 그 결과 TccB가 발현된 대장균을 주사한 후 2일 만에 유충이 모두 죽었지만 TcdB2가 발현된 대장균과 정제된 TcdB2는 유충에 대한 살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8. 독소 복합체 및 살충성 유전자원 확보를 위한 염기서열 분석 마지막으로 P. temperata M1021 균주의 cosmid library로부터 확보한 독소 복합체 관련 유전자 이외에, 나머지 독소 복합체 locus와 그 외의 독소 유전자 및 항균·항생물질 관련 유전 정보를 더욱 더 효율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차세대 염기서열시험법(NGS)을 이용하여 염기서열 분석을 하였다. 이들로부터 확보한 357개의 contig를 re-assembly 하여 최종적으로 237개의 contig를 확보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annotation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tcb locus를 제외한 tca, tcc, tcd locus의 존재와 구성을 확인하였으며, 그밖에 mcf locus와 여러 개의 cytotoxin, 항균 및 항생물질 합성에 관여하는 수많은 NRPS의 존재도 확인하였다. 현재, 그 유전 정보가 알려지지 않은 P. temperata에 대한 유전정보를 분석하고 해독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기존에 보고된 Photorhabdus 속과의 genome 비교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Entomopathogenic bacteria such as Photorhabdus spp. are virulent pathogen of a wide range of insect larvae when entomopathogenic nematodes invade the larvae of susceptible insects, Photorhabdus spp., living in the gut of the nematodes, are released into the insect hemolymph and produce a variety of toxins that are causes of death of the victim. In order to develop the Photorhabdus as biological control agent for agriculture, entomopathogenic nematodes were collected from soil of local forest and several entomopathogenic symbiotic bacteria were isolated. Five Photorhabdus temperata strains showing thermostable toxicity against Galleria mellonella larvae were isolated. To develop the strains for biological agents, P. temperata M1021, showed one of the best toxicity from the isolates, was lyophilized. The freeze-dried bacterial cell was tested its viability, storage stability and insecticidal ability. The genomic cosmid library of the strain M1021 was constructed genomic DNA sequencing was performed to obtain the genetic resources of toxin complexes, insecticidal toxins and antibiotics. In this paper,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ymbiotic bacteria from entomopathogenic nematodes Five symbiotic bacteria were isolated from the entomopathogenic nematode, Heterorhabditis sp., which were collected from soil samples in various fields in Korea. All isolates produced bright-pink to red colonies when they were on MacConkey agar media. Upon NBTA agar, primary colonies showed mucoid, convex and greenish or dark yellow colonies with a clear zone around the colonies due to bromothymol blue absorption and tetrazolium chloride reduction. The 16S rDNA of the five isolates were sequenced in a length of 1,505 nucleotides. Phylogenetic analysis of 16S rDNA showed that bacteria can be classified as Photorhabdus temperata. Sequence alignment with those of Photorhabdus spp. indicated that the five isolates had the highest sequence similarity with Photorhabdus temperata subsp. temperata. Five of symbiotic bacteria J3, J5, J6, J7 and M1021 were identified as P. temperata. A characteristic sequence of Photorhabdus was found in 199-204 as ‘TGAAAG’. 2.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isolated symbiotic bacteria The growth conditions of the isolates like culture temperature, media,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s phenotype, pigmentation, catalase, lipase, proteinase and antibiotic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All of the isolates had catalase activity and they were shown to be gram negative. They showed orange pigments in TSB media, lipase activity on Tween 20∼80, and protease activity on skim milk. In addition, they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and Micrococcus luteus. The growth of the five bacterial isolates and reference strains P. luminescens TT01 showed the long exponential phase of 2∼4 days and stationary phase of 5∼6 days. The growth conditions were optimized at 3∼5% of yeast extract and 28∼30℃ of temperature, they didn’t grow above 35℃ or 36℃. 3. Verification of the insecticidal activity and heat stability of culture supernatant The culture supernatant of isolates showed high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Galleria mellonella, especially when the culture was harvested at late exponential growth phase (3∼4 days). The heat stability of insecticidal activity was tested by heat treatments for 30 min at various temperature range. The supernatants extracted from the cultures of P. temperata J5 and M1021 showed 95% of remaining insecticidal activity after heat treatment at 80℃ for 30 min. The insecticidal activities of all culture supernatants were remained after proteinase K treatment. 4. Insecticidal activity of freeze-dried P. temperata M1021 P. temperata M1021 was lyophilized using the freeze-drying. Protective agents such as skim milk, starch, sodium alginate, glucose and sodium alginate of various concentrations were tested to protect cells during freeze-drying and confirmed the cell viability after freeze-drying. Lyophilized P. temperata M1021 containing skim milk 7% (w/v) showed the highest survival rate of 63%. While other protective agents had no effect on the viability of the cells. The freeze-dried powder made of 7% (w/v) skim milk containing P. temperata M1021 showed good survival stability (above 75%) for 4 weeks at 4℃. Exhibited marked insecticidal activity was marked when the lyophilized cell were injected to larvae of G. mellonella. All of the G. mellonella larvae were killed within 2 days post infection at a dose of above 2.02 × 101 cells of P. temperata M1021. More than 50% mortality was shown at lower bacterial concentration (2.02 × 100 cells). 5.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genomic cosmid library to screen the toxin complexes A genomic cosmid library was constructed to assure the existence and composition of toxin genes. Cosmid clones including toxin genes obtained from the library by using pooling-subpooling PCR method. Purified cosmids from the clones were sequenced, analysed and verified. Seven species of toxin gene, applicable to toxin complex tcd locus and tcc locus were found. 6. Production and validation of recombinant toxin proteins To validate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toxin protein, a the recombinant expression system using pET21a(+) was construct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most of recombinant proteins were expressed by IPTG except from TcdA-like. But the most part of recombinant protein was found from insoluble fraction except TcaC and TccC-like. To increase the solubility of the recombinant toxin protein, various expression conditions were tried under different temperature, IPTG concentration, and media. But the solubility of the recombinant protein was not improved in any cases. When the promoter of the expression vector was changed from T7 promoter to E. coli araBAD promoter, the solubilities of the recombinant protein TccB and TcdB2 were increased at 15℃ or 27℃. 7. Bioassay of recombinant toxin complex protein The toxicity of E. coli harboring toxin genes was tested by hemocoel injection into larvae of G. mellonella and Tenebrio molitor. E. coli expressing recombinant TccB showed high toxicity after 5 days of injection to G. mellonella larvae. Eighty five percent of larvae were died by TccB expressing E. coli. In case of TccC-like and TccC protein, 37.5% and 52.5% of mortality to G. mellonella larvae were shown, respectively. All of the T. molitor larvae were died after 5 days of injection of E. coli expressing TccB. Mortalities of TccC-like and TcdB2 protein toward T. molitor larvae were showed 57.5% and 35%, respectively. When concentrated crude extract of E. coli harboring TccB gene was injected to T. molitor larvae, all of the victim were died after only two days. While extract of E. coli harboring TcdB2 protein didn't show the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larvae of G. mellonella. 8. Genome sequencing of P. temperata M1021 for securing genetic resources of toxin complexes and insecticidal components In order to genetic resources of toxin complexes, insecticidal components and antibacterial components, full genomic sequence analysis was performed. Total 237 contigs were obtained after annotation of the raw sequence data. From the contigs, tca, tcc, and tcd locus as well as mcf locus, multiple cytotoxin and numerous NRPS (Non-ribosomal peptide synthases) involved in the synthesis of antibacterial and antibiotic, were found. Genetic information related the insecticidal activity and pathogenicity of P. temperata M1021 will be useful for development of biological control agent.

      • 오브제의 조형적 표현에 관한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장은경 숙명여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Whether the spirit of a work is expressed in any way, the art is a creation of mixture of human`s inner world and outer world which surrounds it. Artists express the nature of objects as formative ways through their inner visions. Human, existences who are created and ended within nature as life base, come and go withi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world endless, perceive pure inner world and desire spiritual exaltation. As we came to modern civilization, human felt indigence once more along with rich and comfortable life and we were placed in crises of losing our spirtitual values in front of egocentric modern civilization which we built on. In such situation, it was needed to regain our values and rediscover our independences through self-critisism, artists began to search for philosophic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ings and were faced to find new art form because human fell into nihility called illusionism. Therefore mordern art began to develop based on diverse ideals and logical approaches and,in process of it,illusion-aestheticses being refused, object spirit began to bud. Object Art selects as the Object in daily life, so it concurrently identified daily life and arts, and presents a view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m. In this thesis, I am trying to look into the object in modern art history. I choose some artists for the target of my research who express the object as formative and individual way, and recognize the object as a material. They are 'Kurt Schwitters', 'Antoni Tapies'and 'Jim Dine'. I am to study their performance and to compare them with those of mine. There are many meanings of 'Formative and Individual object'. In this study, it means rather concentrating on symbolic sense than the formative for making performances. 'Individual Object' means to choose, synthesise, and make the object that is influenced by personal circumstances when we select the object. The reason of studying their performances by comparing those of mine is similar focus of expressing the object. They and I are focusing on the materiality for recognizing the concept of the object, and Their performances are similar to those of mine as selecting and making the object by individual circumstances for selection of the object. Therefore I am trying to compare and analyze my performances with those of three other selected artist, regardless of periods, and isms in this thesis. I am going to concentrate more on the formative expression of material object which reveals individual inclination when they and I use the object for our performances. 작품에 내재된 정신성이 어떤 방식으로 표현되던 간에 예술은 인간의 내면세계와 그것을 둘러싼 외부세계와의 만남을 통해서 나타나는 결정체이다. 예술가는 자신의 내면세계를 사물을 통해서 조형적 방법으로 표출 시켜 나타내고 또한 인간은 자연을 그 삶의 터전으로 하여 자연과 더불어 그 질서 속에서 생성되고 소멸해가는 존재로써 의식과 무의식의 세계를 끊임없이 넘나들며 순수한 내면의 세계를 인식하고 정신적 고양을 갈구한다. 현대 문명에 이르러 풍족해진 삶과 더불어 인간은 또 하나의 빈곤을 느끼게 되었는데 그것은 문명의 利己에서 정신적 가치를 상실하는 위기에 처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체비판을 통해 주체의 재인식과 인간의 재발견이 요구되었고 예술가는 인간과 사물과의 철학적인 관계를 탐구하기 시작하였으며 더욱이 일루젼(Illusion) 이라는 허무에 부딪혀 새로운 미술체계를 세우지 않으면 안되었다. 따라서 현대미술은 다양한 이념과 논리의 전개로 발전하게 되었고 그 전개과정에서 일루젼 미학을 거부하면서 오브제 정신이 싹트기 시작하였다. 오브제 미술은 일상생활에서 사물을 선택하여 나타냄으로써 일상과 예술의 동일화를 가져옴과 동시에 일상과 예술이 만나는 새로운 장으로서의 관점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오브제를 현대미술사 속에서 살펴보고 오브제 표현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오브제를 물질로 인식하고 조형적이며 개인적인 오브제로 표현한 슈비터츠(Kurt Schwitters) , 타피에스(Antoni Tapies) , 짐다인(Jim Dine) 등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작품을 연구하고 본인의 작품을 이들의 작품과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여기서 조형적이며 개인적인 오브제라 함은 여러 가지 뜻이 있겠으나 오브제를 사용함에 있어 상징적 의미보다는 조형성에 초점을 맞추어 작품을 제작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오브제의 선택에 있어서 개인적인 환경으로부터 영향 받은 것들을 선택, 취합, 제작한 것을 뜻한다. 이들의 작품을 본인의 작품과 비교 연구한 이유는 사물의 실재를 가시화 시키는 방법에서 사용되어진 오브제 개념이 물질성에 초점을 두었고, 오브제의 선택에 있어서도 본인의 작품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섬유 소재의 선택이나 바느질 처리를 한 오브제의 볼륨 등은 본인이 여성이라는 개인적 환경에서 취합, 제작했다는 점에서 유사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대나 이즘에 관계없이 선별한 세 명의 작가와 본인의 작품을 비교, 분석하여 오브제를 작품에 이용함에 있어 개인적 성향을 나타내는 오브제의 조형적인 표현에 중점을 두어 고찰하고자 한다.

      • 시각장애인의 이러닝 사용성 향상을 위한 홈페이지 사이트맵 설계

        장은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화 사회에서 시각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관련 기관들은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 (KWCAG 2.1)을 제정하여 사이트에 접근성을 높였으며, 제도 개선을 위해 각종 지침과 관련법을 제정하였다. 웹사이트에서 접근성을 준수해야 한다는 것은 웹 사이트를 개발하는 개발자와 사용자들에게도 타당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접근성을 준수함으로써 시각 장애인과 노약자도 사이트를 이용할 때 사용상의 어려움이 감소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스크린리더를 사용하는 많은 시각장애인들은 웹 접근성을 지키는 사이트라고 할지라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스크린리더를 사용하는 전맹의 시각장애인과 저시력의 시각장애인들은 마우스 없이 키보드만으로 웹을 탐색한다.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그에 해당하는 페이지에 접근하기까지 많은 키보드의 동작을 거친다. 웹페이지에서 자세한 정보나 다른 페이지를 탐색할 경우, 새로고침 된 페이지 또는 새 탭에서 처음부터 탐색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검색을 통해 나타난 처음 접하는 페이지는 그 페이지의 구조와 위치를 찾아 이동하기 어려워 페이지 탐색을 포기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그 이유로는 첫째, 시각장애인이 키보드를 통해 탐색하는 항목이 페이지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 파악할 수 없어 원하는 정보가 과연 그 페이지에 존재하는지 아닌지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둘째, 검색된 페이지의 정보를 읽고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정안인이 웹 페이지 탐색을 할 때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항목을 순차적으로 읽지는 않는다. 화면을 한눈에 파악하고 원하는 정보를 마우스로 클릭하면 되는데, 스크린리더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은 많은 키보드 동작을 통해 웹 페이지를 순차적으로 일일이 접근하여 읽음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단축하기 위해 스크린리더에서 제공하는 단축키를 사용해야 하고, 이마저도 적용이 되지 않는다면 페이지 탐색은 실패하거나 화면에 보여진 모든 항목의 링크로 이동하거나 텍스트를 거쳐 읽을 수밖에 없다. 초보 사용자의 경우 단축키 사용이 미숙하고, 적용하기 어려워 웹 사이트 첫 방문시 원하는 정보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처럼 스크린리더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의 웹 페이지 탐색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의 웹 접근성 항목에서 권장하고 있는 사이트 맵이 아닌 사용성이 향상된 사이트 맵 페이지를 구현하였다. 사이트 맵은 스크린리더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웹 사이트를 탐색할 때 아래쪽 방향키로 페이지 탐색을 하듯이 아래쪽 방향키와 오른쪽 방향키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스크린리더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들은 웹 접근성이 지켜진 사이트도 탐색시 매우 어려운 환경에 처해 있다. 탐색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접근성 관련 하여 준수사이트를 선정하고, 그에 따라 인증마크를 부여하고 있지만 접근성 인증마크를 부여받은 사이트라고 해서 사용성이 편리하게 구성되어 있다고는 볼 수 없다. 시각 장애인의 웹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 본 연구의 결과 스크린리더를 사용하는 시각 장애인이 구현된 사이트 맵을 통해 웹 사이트에 접근했을 때 사용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시각장애인의 이러닝 사용성 향상을 위한 홈페이지 사이트 맵을 접근성 인증 사이트와 인증 되지 않은 사이트에 적용되고 활용될 것을 전망한다.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gover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have made a lot of efforts to improve the web accessibility of the visually impaired. Web accessibility was enacted to enhance accessibility to the site, and various guidelines and related laws were enacted to improve the system. This is part of the benefit of not only the visually impaired but also Non impaired person, and the developers and users who develop the website are continuously increasing the accessibility compliance site due to the change of the cognition. However, many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who use screen readers are experiencing a lot of difficulties even if they maintain web accessibility. Screen reader users navigate the web with a keyboard without a mouse. At this time, there are inconveniences to search from the beginning when a refresh screen or a new tab or a new window is opened. To solve this problem, we implemented a new sitemap page that is not included in existing web accessibility items. The features of the site map are designed so that users who use screen readers can navigate similar to when browsing an existing website, so that other items at the same level move to the down arrow key while the lower items move to the right arrow ke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