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록관리 전문인력의 자격요건에 관한 비교연구

        유혜정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31

        우리나라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지수는 OECD 23개국 중 65.98점으로 3년 연속 최하위에 머물렀다(방정환재단-연세대학교연구소, 2011). 또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보고서(2012)에 따르면, 우리나라 아동·청소년 4명 중 1명은 행복하지 않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이유로 학업부담(36.3%), 미래에 대한 고민(18.6%), 화목하지 않은 가정(11%) 등을 들었다. 최근 1년 동안 받은 스트레스의 원인으로는 학업(87.1%), 미래에 대한 불안(58.4%), 외모·신체조건(45.4%) 등을 꼽았으며, 일반고 학생 10명 중 9명, 초등학생 2명 중 1명 이상이 학업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답했다. 서울에 거주하는 학생의 행복지수는 5점 만점에 3.83점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행복지수는 낮아지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서울시교육청, 2012). 이러한 주관적 행복감이 낮은 것이 ‘덜 행복하다’는 심리적인 상태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청소년들의 사회적 적응문제나 위기상황으로 발전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은 더욱 강조된다. 따라서 이제 청소년의 행복에 대한 문제는 비단, 개인의 삶의 대한 만족 수준에서의 문제가 아닌 사회전체의 문제로써 인식하고 국가에서도 여러 정책적 방법에서의 접근이 시도되고 있는 바이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들의 경우 준비과정에서는 청소년들에게 주어지는 자유시간의 의미에 대한 이해부족과 그 시간의 효율적 이용에 대한 대안 부족, 그리고 정책 실현에 있어서는 학교별-학년별 상황에 맞는 점진적 제도개선이 아닌 급진적 방향전환으로 인해 학교내의 운영자 및 선생님들과 학생에의 혼란으로 고스란히 돌아가고 있다. 또한 청소년의 여가생활의 질에 대한 고려 없이 자유시간의 증가에만 초점을 맞춘 정책으로 인해 늘어난 자유시간을 입시를 위한 고액과외나 주말기숙학원이 성행하는 등의 또 다른 문제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행복한 삶을 위해 여가활동을 증진시키되, 구체적으로 어떠한 여가활동을 활성화시킬 것인가에 대한 문제로부터 출발한다. 특히 청소년의 경우 이러한 여가활동의 증진이 친구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등 사회적 관계에서 어떤 특징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궁극적으로 청소년의 행복수준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 청소년의 행복수준과 관련된 여가활동 및 사회적 관계와 관련된 분야의 학문적·정책적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해 연구대상인 청소년의 범위를 ‘초등학교 4학년 이상 고등학교 이하의 청소년’으로 한정하였으며, 집단의 표집은 성별, 학년별 사전비율 할당에 근거하여 이루어졌다. 조사방법은 1차 인터넷조사와 2차 설문지 수거방식으로 1,046부(최종응답률 83.4%)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우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통해,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여가활동시간, 사회관계, 그리고 주관적 행복감의 특성은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주요변수인 청소년의 사회관계, 여가활동, 주관적 행복감 등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유사성 측정치로는 유클리드 거리를 제곱한 것을 선택하였으며, 우리나라는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배치를 규정하였다. 처음 기록물관리법에서 규정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자격은 기록물관리학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자와 역사학, 문헌정보학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 후, 또는 검찰, 군인 및 군무원, 경찰공무원 중 행정자치부장관이 정하는 기록물관리학 교육과정을 이수한 자를 배치하도록 하였으나 2011년도에 개정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자격은 기록관리학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자와 기록관리학 학사학위 취득자 및 역사학, 문헌정보학 학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자 중 기록관리학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시험에 합격한 자로 전문요원의 학력범위가 확대되었다. 그러나 기록관리 전문인력에 대한 상세한 자격이나 전문성에 대한 내용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관리 선진국들의 사례를 바탕으로 기록관리 전문인력이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여러가지 제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기록물관리 전문인력이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격 요건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전문직의 개념과 특성을 알아보고 전문 직업인으로써 기록관리 전문인력의 개념과 역할을 확립하였다. 다음으로 국내외의 기록관리 전문인력의 자격을 분석하기 위하여 미국과 캐나다, 영국, 호주, 중국의 기록관리 교육과정과 기록관리 교육 인증기준, 전문가 자격인증제도, 실무경력 인정제도를 비교하였다. 교육과정 지침으로 미국 아키비스트 협회(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의 GPAS(Guideline for a Graduate Program in Archival Studies), 캐나다 아키비스트 협회(Associatoin of Canadian Archivists)의 기록학 교과과정 개발 지침서(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a Two-Year Curriculum for a Master of Archival Studies)와 호주 아키비스트 협회(Australian Society of archivists)와 기록 및 정보관리 전문가 협회(Records and information Management Professionals Australasia)의 교육과정 인증 기준을 선정하여 우리나라 국가기록원의 기록교육과에서 실시하고 있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과정과 비교분석하였다. 기록관리 선진국의 기록관리 전문인력의 교육은 각 국의 기록관리 전문가 협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기록관리 교육훈련의 기본계획에 대한 내용은 기록물관리법 상에서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인 국가기록원의 업무로 규정되어 있어 외국의 기록물관리 전문인력의 교육지침 및 교육과정과 국가기록원의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기록관리 전문인력에게 필요한 표준 교육과정을 위한 지식범주를 도출하였다. 그 다음으로 전문가 자격인증제도인 ICRM(Institute of Certified Records Managers)의 기록관리자(Records Manager) 자격시험제도와 ACA(The Academy of Certified Archivists)의 보존기록관리자(Archivists) 자격시험제도, 영국의 전문가 등록제도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기록물관리법에 규정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자격과 비교 분석한 후, 기록관리 인력이 전문가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구체적인 자격에 대한 제도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미국 연방공무원 중 기록관리직군 공무원의 실무 경력에 따른 자격인정제도 사례를 조사하고 중국 기록물관리 전문가의 경력에 따른 등급제도에 관한 문헌을 조사하여 기록관리 전문가의 자격조건 중 경력에 따른 전문성 인정 사례로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국외 사례와 우리나라 국가기록원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교육과정, 기록물관리법으로 규정된 자격요건, 앞으로 시행될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시험범주를 함께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기록관리 전문인력이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요소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기록관리 전문인력은 일정한 수준과 일정한 지식범주를 통해 전문가의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표준화 된 기본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는 기록관리학에 대한 이론적 기반과 실무적 기반을 바탕으로 한 전문성과 관련된 지식을 핵심지식으로 구성하고 보충 지식은 기록관리학과 연관된 학문 지식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기록관리의 특성상 실무에 대한 실습과정을 포함하는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개발 시 필수 구성요소로 기록관리 전문지식과 보충지식으로 지식영역을 구분하고 기록관리 전문지식을 기록관리 이론, 기록관리 업무, 기록관 경영, 기록관리 시스템, 전문가로서의 지식의 5가지 세부영역으로 나누었으며 보충지식은 기록관리와 관련된 학문의 지식영역으로 구분하였다. 기록관리 전문지식은 첫째, 기록관리 이론으로 기록관리의 개념과 역사, 이론, 목적, 특징, 기록관리 원칙의 세부지식이 포함되고 둘째, 기록관리 업무로 기록관리의 실무와 관련된 기록의 수집, 정리·기술, 평가·폐기, 보존, 이용자 서비스를 포함한 기록관리 업무지식과 기록관리 실무실습이 포함되며 셋째, 기록관 경영에는 기록관 행정 및 운영, 시설 및 인프라, 홍보 및 교육에 대한 세부지식이 포함된다. 넷째, 기록관리 시스템에는 전자기록관리와 관련한 기록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활용에 대한 세부지식이 포함되고 다섯째, 전문가로서의 지식에는 전문가 윤리와 실천 강령을 포함하는 세부지식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보충지식으로 법, 경영, 조직, 과학, 정보기술, 역사, 관련 전문직 등 기록관리와 관련이 있는 학문의 세부지식으로 구성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우리나라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자격요건은 기록관리학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자와 기록관리학, 역사학, 문헌정보학 학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사람으로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기록관리학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시험에 합격한 사람, 검찰총장이 정하는 검찰청 소속 공무원, 육군·해군·공군 참모총장이 정하는 군인 또는 군무원, 경찰청장 및 해양경찰청장이 정하는 경찰공무원 중 행정안전부장관이 정하는 기록물관리학 교육과정을 이수한 자로 규정되어 있다. 이렇게 우리나라의 기록관리 전문요원에 대한 요건은 학력에 대해서만 규정되어 있고 기록관리과정에 따른 업무 및 역할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역할별 시험과목의 개발 및 학력과 경력을 바탕으로 한 기록관리 전문인력의 등급을 설정하는 등 기록관리 분야별, 전문지식 또는 경력별 전문가로 공식인정을 받을 수 있는 인증제도를 제안하였다. 셋째, 실무경력을 기록관리 전문요원의 자격요건에 포함시킴으로써 경력에 따른 전문성을 인정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기록물관리업무를 표준화하고 전문인력의 채용이나 승진 시 업무별 전문가의 구체적인 실무경력의 내용이나 수준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의 직급을 구분하고 등급별로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Our nation has enacted a provision to assign archives and Records manager under the Act of Public Archives Management for public institution in 1999. The qualifications regulated for archives and Records manager under the Act of Public Archives Management at first were the assignment of the persons having master's or higher degrees in archives management, and the persons who completed the archives management curriculum regulated by the Minister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fter had acquired master's or higher degrees in history,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or those who completed the same curriculum among cutors, service persons, civilian workers in the military, police officers. But, the qualifications revised in 2011 for the archives and Records manager expanded in the scope of their education level such as they need to have master's or higher degrees in archives and Records manager, or need to complete archives management curriculum and pass the exams recruiting the experts as the persons already having master's or higher degrees in history,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However, the archivists are not much recognized in our country under the condition that there isn't definite regulation for the experts in the field due to the people ill-informed on the necessity of their existenc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put forth the development of their qualification. First, I looked into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fession through the documentary research, and then set up the concepts and roles of the experts in archives management as the profession. Then, I examined the education guide for archives management & certification for curriculum, system of certifying experts, and system of certifying working experience through oversea case studies. Compared between the US Canada, the UK, Australia and China on curriculum in archives management, certification of experts and system of certifying working experience to analyze the qualifications of the experts in archives management home and oversea in here. Selected GPAS(Guideline for a Graduate Program in Archival Studies)by the US SAA(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a Two-Year Curriculum for a Master of Archival Studies by Canadian ACA(Associatoin of Canadian Archivists), and the criteria for certifying curriculum of ASA(Australian Society of Archivists) as the education guides to compare them with the curriculum for Korean archivist conducted by the Dept. of archival educati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With the help of this, drew out the knowledge categories for standard training of archivists. Next, I analyzed the system of qualifying exam for Records Manager of ICRM(Institute of Certified Records Managers), that for (Archivists) of ACA(The Academy of Certified Archivists) and the British registration system for archivists as the system of certification of experts to compare them with the korean archivists qualifications regulated under the Act of Public Archives Management and then to suggest concrete qualification for the archivists to be acknowledged as what they are. Finally, I compared the US qualification system for the archivists as civil servants and rating system for Chinese archivists to select the cases of certified expertise according to their career among the archivists' qualifications. And Oversea cases and the curriculum for the archivists by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qualifications regulated by law and exam categories that will be conducted were analyzed to draw out the plans for developing qualification to secure archivists' expertise. Initally, it is necessary to regulate a basic curriculum for the archivists to be equipped with professional qualities through certain level and knowledge categories. The knowledge related to the expertise based on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es on archives management to be formed as the core knowledge and other supplementary knowledge shall be formed with developed expertise in special expertise and other studies related to archives management in here. And proposed to form an education guide including the process in practicing actual work considering the feature of archives management. Divided the he elements to form the education guide largely into archives management expertise and supplementary knowledge, and proposed those followings as the expert knowledge, first the concept and theory of the archives management, the infrastructures of facilities and manpower for archives centers, second, collection, arrangement skills, assessment disposal and preservation and user service of practical work of archives management, third, setup and use of archives management system, fourth, archives management history and expert ethics as the experts, fifth, the practice of actual archives management work. And the knowledge of other disciplines related to archives management was suggested as supplementary knowledge. Then, it was suggested the qualified archivists in our country such as the persons passed the exam recruiting the archivists among those with master's or higher degrees in archives management, history,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the civil servants belong to public prosecutor´s office regulated by the public procurator general, servicepersons, civilian workers in the military regulated by the Chief of Staffs in the army, in the navy and in the air force, and police officers regulated by the chief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the chief of the National Marine Police Agency among those completed the curriculum in archives management regulated by Minister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the subjects for the rating in archivists based on development of exam subjects by the necessity of work classification & educational background and career, and proposed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archivists to get formally certified by archives management, expert knowledge or by career. Third, it is suggested to include working experience to the archivists' qualification as a way to acknowledge career-based expertise. Like this, if detailed working experience and level should be used for the hiring, promoting of the experts classifying their ranks as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the expertise by class rate would be secured.

      • 기록관리학 연구자의 학문적 연계 분석에 관한 연구 : 국내 학술지를 대상으로

        김예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기록관리학은 문헌정보학, 역사학, 행정학 등의 학문간 교류와 상호보완을 통하여 발전해온 복합학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제적 특성을 가지는 기록관리학이라는 학문과 타 학문 분야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기록관리학의 정의와 학문적 개념을 살펴보고, 학문분류표와 주요 문헌분류표를 선정하여 기록관리학과 타 학문의 학문적 범주를 분석하여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였다. 또한 기록관리 협회의 지침서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기록관리학의 학문적 범주를 설정하였다. 주요 대학원 기록관리학 석⋅박사 과정의 커리큘럼과 기록법을 살펴보고 법제적 기준을 관점으로 기록관리학에 대한 학제성과 이에 기반한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국내 기록관리학 대표 학술지인 「기록관리학회지」와 「기록학연구」에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635편의 논문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록관리학과 연계되어 있는 주요 학문 분야를 제시하고, 연구자들의 분포 및 연관도와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기록관리학 분야 연구자들의 연구 활동에 있어서 연계되는 타 학문 분야에 대해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타 학문 분야와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연구자들의 미래 정보 요구 행태에 대해 예측해 볼 수 있을 것이다.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is a complex study that has developed through interdisciplinary exchanges and complementary studi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history, and administr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link between the academic and other academic fields of record management with academ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definition and academic concept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nd selected the academic classification table and the major literature category to analyze the academic categories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nd other studies and expla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addition, the academic categor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guidelines of the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ssociation(SAA, ACA). We looked at the curriculum of major graduate archives and record management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and archives and record management law. And we analyzed the educational system based on the academic system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legal standards. To this end, 635 papers published from 2010 to 2019 were analyzed i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nd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Based on this, major academic fields linked to the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were presented, and the researchers' distribution and associations and research trends were examined. This study not only identifies the other academic areas connected to the research activities of researchers in the field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but also allows us to predict future information needs of researchers by looking at their relevance to other disciplines.

      • 기록관리학과 문헌정보학의 연구동향 비교 분석

        배수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This study aims to find correlations and differences betwee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trends of two sciences, based on them. For this purpose, basic attributes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their curriculums and professional qualifications were investigated. Moreover, representative journals of archives and records society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ociety were chosen, and quotations between two societies were analysed, in order to find correlations of academic activities between them. In order to see research trends in academic journals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ociety, also, subject areas in related journals were explored, and in relation to used information sources, references of papers were analysed. In addition, affiliations of researchers, or types of authors who contributed papers to journals, were examined and analys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ociety had interdisciplinarities, and were sensitive to social changes. Second, while there was a shortage of required standards for archivists, qualifications of librarians were subdivided. Thir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had about 40 times more information sources tha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Fourth,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was mainly focused on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archives, but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re were the most active studies on informatics. Fifth, studies o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were highly dependent on international standards, or data of National Archives & Records Service, whereas studies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epended on academic journals the most. Sixth, although there were more single author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an those i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t the moment, single authors are decreasing, and co-authors are increasing, due to subdivision and professionalism of subjects. With the professionalism of subjects, i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by professors, researchers, professors i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nd in other departments. On the contrary,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int researches between professor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between professors and librarians are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research on basic studies and service area. Seventh, while professor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ere conducting a lot of studies o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rofessors i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were only focusing on studies on this field rather than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이 연구에서는 기록관리학과와 문헌정보학의 연관성과 차이점을 찾고 이를 바탕으로 두 학문의 특징과 그에 따른 연구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기록관리학과 문헌정보학의 기본적 속성을 파악하였다. 기록관리학과 문헌정보학의 커리큘럼과 전문자격에 대해 조사하였다. 기록관리학과 문헌정보학의 학술활동의 연관성을 찾기 위해 기록관리학회지와 문헌정보학회지의 대표 학회지를 선정하여 두 학회지간의 인용정도를 분석하였다. 기록관리학과 문헌정보학의 학술지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학술지 논문에 나타난 주제 영역을 알아보았고 활용정보원을 알아보기 위해 논문의 참고문헌을 분석하였다. 연구자의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한 연구자의 소속이나 저자 유형을 조사•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록관리학과 문헌정보학은 학제성을 가지며 사회변화에 민감한 학문이다. 둘째, 아직 기준이 미흡한 기록연구사와는 달리 사서의 경우 자격조건이 세분화되어 있다. 셋째, 기록관리학의 정보원보다 문헌정보학의 정보원이 40배 정도 많았다. 넷째, 기록관리학은 주로 기록의 보존, 관리 측면에 중점을 두었으나 문헌정보학의 경우 정보학 영역의 연구가 가장 활발했다. 다섯째, 기록관리학 연구는 국제 표준이나 국가기록원의 자료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았으나 문헌정보학 연구는 학술지 의존도가 가장 높았다. 여섯째, 문헌정보학의 단일저자비율이 기록관리학보다 높았으나 주제의 세분화와 전문성이 요구되면서 단일저자의 비율은 줄어들고 공동저자의 비율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기록관리학은 학과 초기의 연구에서 벗어나 주제가 전문화되면서 교수와 연구원, 기록관리학교수와 타 학과 교수의 연구 등이 증가하고 있다. 문헌정보학은 기초학문과 서비스영역에 대한 연구가 많아지면서 문헌정보학 교수들 간의 연구와 교수와 사서의 공동연구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일곱째, 문헌정보학과의 교수들은 기록관리학관련 연구를 많이 하고 있었으나 기록관리학과의 교수들은 문헌정보학관련 연구보다는 기록관리학만의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핵심어 : 기록관리학, 문헌정보학, 학술지, 연구동향

      • 국내·외 기록관리학 연구동향 비교 : 온라인 공개 저널을 중심으로

        김성환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15

        본 연구의 목표는 국내·외 기록관리학 동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각 나라별 연구 주제의 동향과 그 차이를 파악하는데 있다. 기존 수행된 기록관리학 분야에서 연구동향 분석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그 범위를 국제적으로 확대하여 적합한 8종의 국제 학술지를 선정하고, 2000년부터 2017년까지 게재된 논문의 저자정보를 통해 국가별 기록관리학 연구논문 게재 영향력을 지리적으로 시각화 하였다. 또한 시계열 기반의 내용분석 통해 기록관리학 분야의 국제적 연구동향의 흐름을 파악하였다. 나아가 국내 연구동향과의 연계분석을 위해 국내 기록관리학 관련 학술지 6종을 선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기록관리학 연구동향의 거시적 흐름과 나라별 차이를 규명하고 나아가 앞으로의 학문적 방향을 예측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trends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To overcom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trends analysis, we selected 8 international journals and visualized impact factors geographically based on published articles from 2000 to 2017. And then we performed timeline based contents analysis. To compare with domestic and overseas trends, we selected 6 domestic journals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nd analyzed by same ways. Based on the results, we investigated the marco trends i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identified the difference among countries, and finally predicted the future research trends.

      • 국내 기록관리학분야 석·박사학위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2001∼2010

        신준성 한성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15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고 2000년에 한국기록관리학회가 창설되면서 국내에서도 기록관리학분야가 학문으로서 자리잡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런 연유로 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협동과정으로 전문학위과정이 개설된 것을 비롯하여 전국에 20개 대학원에 기록관리학 전공과정이 개설되어 약 10년동안 운영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록관리학 전공 대학원에서 간행된 학위논문의 주제 및 인용분석을 통하여 연구동향과 학문의 추이를 살펴보고자 2001년 2월부터 2010년 2월까지 간행된 국내 기록관리학분야의 석·박사학위논문 총 560편(석사학위논문 558편, 박사학위논문 2편)을 조사 분석하였다. 첫째, 학위논문에 대한 일반현황 분석을 위하여 연도별 간행 현황, 주제영역, 지도교수의 전공 분야, 연구방법, 자료수집방법, 연구대상기관을 조사하였다. 그 다음 국내 기록관리학분야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한 선행연구 3편과 본 연구를 비교분석하였다. 둘째, 학위논문의 인용문헌 분석을 위하여 최근 2년간(2008.8∼2010.2) 간행된 학위논문 262편을 대상으로 인용문헌의 인용빈도와 인용문헌의 수명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인용된 학술지 중 인용빈도의 순위가 높은 국내외 학술지를 열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위논문의 간행 현황을 살펴보면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최근 3년동안 간행된 학위논문이 74.7%(429편)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자의 수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위논문의 주제영역은 ‘아카이브즈 및 기록물관리’, ‘기록정보서비스’, ‘기록물 및 기록매체’, ‘조직화’의 주제영역에 60.5%의 학위논문이 집중되어 있었다. 셋째, 학위논문의 연구대상기관을 대학이 위치한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경기도 지역의 대학들은 중앙행정부처의 기록관에 대한 연구를 많이 다루고 있는 반면에 경상도, 충청도 및 전라도 지역의 대학들은 지방자치단체의 기록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용문헌의 자료유형별 인용빈도는 학술지, 단행본, 웹자료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문헌은 학술지를 가장 많이 인용하고 있었고 국외 문헌은 웹자료를 가장 많이 인용하고 있었다. 다섯째, 인용빈도가 높은 학술지를 살펴보았는데 국내 학술지의 경우 상위순위 3개의 학술지가 기록관리학분야의 학술지였고 그 다음순위 4개의 학술지가 문헌정보학분야의 학술지인 것으로 분석되어 두 학문간의 유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인용된 학술지, 단행본 및 학위논문의 수명을 분석하였는데 국내의 경우 간행연도를 기점으로 10년이 지나면 이용가치가 점차 감소하였다. 국외의 경우에는 간행된지 10년이 지난 자료들도 상당수 인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s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was enacted in 1999 and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was founded in 2000, the field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came to place itself as a science in Korea. For this reason, a professional degree program was established as a interdisciplinary course in the Graduate School of Mokpo University, and the major course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were established in 20 graduate schools nationwide, which have been operated for about 10 years. This study inquired into and analyzed total 560 papers (558 master's theses and 2 doctoral dissertations) in the field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published in Korea from February 2001 through February 2010 in order to examine the trend of research and changes of the study through the topics and cited analyses of the papers for a degree published in graduate schools for the major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in Korea. First, for the analysis of the general situations of the theses for a degree, the status of publication per year, subject fields, the major fields of the academic advisors, research methods, data collection methods, and the target institutions of the research were surveyed. Next, 3 precedents studies that analyzed the trend of the research for domestic journals in the field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is study. Second, for the analysis of the cited literatures of the theses for a degree, for 262 theses published in recent 2 years (Aug. 2008∼Feb. 2010), the frequency and life span of the cited literatures, etc.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domestic/foreign journals at the high ranking of citation among the cited journals were li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situations of publication of the theses for a degree, those published for the recent 3 years from 2007 through 2010 took 74.7%(429 pieces), so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researchers increased. Second, the subject fields of 60.5% of the theses were concentrated o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rchival Reference Services’, ‘Archives and Recording Medium’, ‘Arrangement for Archives and Records’. Third, to examine the target institutions of the theses by the region in which the colleges are located, colleges in Seoul and Gyeonggi mostly dealt with the archives of the central administrative departments while those in Gyeongsang,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with the archives of municipalities. Fourth, the frequency of cited literatures for each type of data among the cited literatures was in the order of journals, books, and web materials. They mostly cited journals for domestic literature while foreign ones web materials the most. Fifth, it examined the journals with more than higher frequency of cited literatures, and for the domestic journals, the top 3 journals were those from the field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followed by 4 journals from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which showed high relevance between the two studies. Sixth, it analyzed the life span of the cited journals, books, and theses, and for the domestic ones, the use value decreased gradually from 10 years after the year of publication. For foreign ones, numerous materials past 10 years from publication were still being cited.

      • 기록관리학 대학원 실습교육 방안 연구 : 인턴십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정정미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83

        <Abstract> The field of Korean records management has greatly grown in quantitative respect as compared with its short history, but it did not achieve qualitatively great performance in the education to foster an expert for records management. That is, a systemic practice was not done due to absence of a standard curriculum, insufficiency of a subject and a practice for a field training. If a specialist is arranged at an institution and then takes part in a practical affair, so, they becomes feel difficulty because of the job which it is difficult for the theoretical knowledge to apply or an unfamiliar working environment. Records management should combine academic knowledge with practical skills because of the nature of a job. Thus, the graduate school of Archives & Records becomes keenly aware of the necessity that the task to fulfill and learn a practical affair should be strengthened. This study suggests the operation of an internship program via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as a plan in order to strengthen the practical training of the graduate school majoring in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which can be regarded as the main body to foster a specialist of records management.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us of a practical training of records management, this study practic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graduate students and workers in charge.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could understand problems such as insufficiency of a training organization, insufficiency of practice hours, poorness of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a training program, insufficiency of the task force of a training and specialists and etc. In addition, it could get the opinion that an internship is very necessary and should be appointed as a compulsory subject as strong demand of respondents about strengthening and necessity of a practical training and the method through the questionnaire for the issue that the operation of an internship is decided as a way of a practical training. An internship program still has not been operated as a practical training in Korea. So, this study investigated foreign cases for an internship program in order to seek the operation solution. Especially, the whol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about the internship programs of University of Michigan (USA) and UBC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Canada) were studied. It could know that students, a school and an institution have thorough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during the period of an internship as the main body and an internship program is systematically operated based on such mutual effort. The key issues which should refer to on above foreign cases to operate an internship program at Korean graduate schools are to appoint an internship as a compulsory subject, offer an institution list operating an internship to graduate students by constructing an organic cooperate system between an institution in charge of records management and a school, make a school support step by step a systematic system for the whole internship process, make a school play an active and leading role in operating an internship, make students select an institution which is suitable for their interest through an interview with a tutor, make an institution operate an internship program so that a student is able to learn a practical affair and expertise through qualified specialists and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rogram and make an institution feedback a school the result of an internship.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n internship program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actual condition of Korea that it is possible to supplement and improve the problems discovered by an questionnaire survey based on implications of foreign internship cases. The outline of this study suggests that a curriculum-based internship under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should be practiced for the students who complete 2 semesters or more among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for 2 months during vacation. Also, an internship should be appointed as a compulsory subject of 3 credits during a semester. An internship simply consists of the following processes - 1) issuance of an internship course by a school, 2) enrollment of an internship by a student, 3) selection of an institution operating an internship, 4) operation of an internship under the approval of a tutor, 5) a student submits a final report for an internship to a school and an institution does a final assessment and 6) evaluation of a school (this will be reflected to a score and a credit). For such operation of an internship, an institution in charge of records management should operate an internship program and a government should support financially and administratively. An educational institution can produce the human resource who is excellent for field adaptation of a job and construct a flexible educational system with a field by developing an efficient program through the operation of an internship program. An institution can have actual help for a job through an internship, reduce the cost of job advertisement and use it as an opportunity of talent acquisition. The current practical training should be strengthened more than before in order to foster a qualified specialist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which is a practical study, and an internship program will be able to play satisfactorily the role. <국문초록> 국내 기록관리분야는 짧은 역사에 비해 양적인 부분에서는 많은 성장이 있었지만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을 양성하는 교육의 질적인 부분에 있어서만큼은 큰 성과를 이루지 못했다. 즉, 표준화된 커리큘럼의 부재와 현장실습을 위한 과목의 부족 및 실습의 부족으로 체계적인 실습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로 인해 전문요원으로서 기관에 배치되어 실무를 접했을 때, 이론상 배운 지식을 적용하기 힘든 업무라든가 익숙하지 않은 작업환경으로 어려움을 느끼기에 이르렀다. 기록관리는 업무의 특성상 학문적 지식과 실무능력을 겸비해야 한다. 이에 기록관리학 대학원에서는 학기 중 실습을 통해 실무를 접하고 익히는 일이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게 됐다. 본 연구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양성의 주체라 할 수 있는 기록관리학 대학원의 실습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산학 협력을 통한 인턴쉽 프로그램의 운영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기록관리 실습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대학원생과 실무자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를 통해 실습기관의 부족, 실습시간의 부족, 기관의 실습프로그램 내용 및 구성의 빈약함, 교육 전담부서 및 전문인력 부족 등의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 인턴쉽 운영을 실습의 방안으로 하는 것에 대한 설문을 통해 응답자들의 실습 강화 및 필요성에 대한 강한 요구와 함께 그에 대한 방법으로 인턴쉽은 매우 필요하며 교과과정에 필수로 지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얻을 수 있었다. 인턴쉽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국내 기록관리 분야에서는 아직까지 실습으로 인턴쉽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지 않아 외국 사례를 조사하였다. 미국 University of Michigan과 캐나다 UBC의 인턴쉽 운영사례를 통해 인턴쉽 프로그램 운영의 전반적인 과정과 특징을 연구했다. 인턴쉽 주체인 학생, 학교, 기관은 인턴쉽 기간 동안 철저한 책임과 의무가 부여되고 그러한 상호간의 노력을 통해 체계적으로 인턴쉽 프로그램이 운영됨을 알 수 있었다. 외국 사례의 특징에서 국내 대학원 인턴쉽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참고해야 할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인턴쉽을 교과목에 필수로 지정, 기록관리기관과 학교의 유기적인 연계시스템 구축하여 학생들에게 인턴쉽을 제공하는 기관의 목록을 제공, 학교는 인턴쉽 과정의 전반에 관한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추 단계별 지원을 아끼지 않으며 인턴쉽 운영에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함, 학생은 지도교수와의 면담을 통해 자신의 관심분야에 적합한 기관을 선정 함, 기관에서는 자격을 갖춘 전문요원 및 담당자를 두어 학생이 인턴쉽을 통해 실무를 익히고 전문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공정하고 엄격한 평가를 통해 평가결과를 학교로 피드백 등이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인턴쉽 사례를 통한 시사점들을 토대로 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개선할 수 있는 우리 실정에 맞는 인턴쉽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있다. 본고의 인턴쉽 개요는 산학 협력을 통한 교과과정 기반 인턴쉽으로 기록관리학 대학원 재학생중 2학기이상 수료자를 대상으로 방학중 2개월간에 걸쳐 실시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인턴쉽은 학기 중 필수로 지정하고 3학점의 학점을 부여하도록 한다. 인턴쉽 과정은 간략하게 ①학교의 인턴쉽 과목 개설, ②학생은 인턴쉽 수강신청, ③인턴쉽 대상기관 선정, ④지도교수 승인 후 인턴쉽 실시, ⑤학생은 인턴쉽 최종보고서, 기관은 최종평가서를 학교에 제출, ⑥학교의 평가(성적 및 학점 반영)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턴쉽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기록관리 기관에서는 인턴쉽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야 하고, 정부의 재정적․행정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인턴쉽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교육기관은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현장적응력이 우수한 인력을 배출할 수 있으며, 현장과의 유연한 교육체제를 구축할 수 있다. 기관은 인턴을 통해 업무의 실질적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인력채용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인재확보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 실제적 학문인 기록관리 분야에서 전문가로서 충분한 자질을 갖춘 전문요원을 양성하고, 실제적 업무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실습은 보다 강화되어야 하고 인턴쉽 프로그램은 .충분히 그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포스코 기업 기록물관리에 대한 기록관리학적 분석

        고선미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67

        현대사회에서 공공기록물은 관리기관에서 표준화된 방법으로 국민의 열람권을 보장해야 할 대상으로 인식되었고, 이를 관리하는 기록관리학의 원칙(principles)과 기술(techniques)이 하나의 학문으로 발전하였다. 이와 달리, 기업기록물은 현재적 가치에 주안점을 두는 사적영역(私的領域)의 기록물이고, 그 관리현실은 이익형성효과를 기대하는 기업의 특성 때문에 상대적으로 열악하다. 최근에 기록관리학이 도입된 국내의 경우, 그 이론에 기반하여 기업의 일반기록물 관리(records management)와 보존기록물 관리(archival management)를 통합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는 기업기록물 관리모델을 찾는 것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글은 기록관리학을 기업기록물 관리에 도입하는 차원에서 공사적(公社的) 성격을 갖는 포스코(POSCO)를 대상으로 기록관리학의 일반원칙 및 기술과 미국의 기업기록물 관리에 관한 사례연구를 통해 보존기록물 관리와 일반기록물 관리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업기록물의 관리유형 가운데 일반기록물 관리와 보존기록물 관리를 연계하여 기록물의 완전성(integrity)을 추구하고, 정보관리를 집중시켜 보존기록물의 능동적인 활용을 도모할 수 있는 형태는 상업적 기록관(commercial archives)과 기업내 기록관(in-house corporate archives)으로 국한된다. 기업기록물을 어떤 형태로 관리할 것인가는 각 기업의 상황이나 여건에 달려있다. 다만 이 글에서는 포스코기록관을 상정하여 보존기록물 관리방법을 평가, 정리·기술, 이용으로 구분하고 각각을 일반기록물 관리와 연계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포스코 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관리대상 기록물의 범주와 관리부서를 살펴보고, 포스코역사관이 바람직한 기록관을 지향할 수 있는 조직내 위상과 이를 보완하고 일반기록물 관리와의 연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행정적 조치를 구상하였다. 포스코의 기록물 평가활동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기록물의 입수방법을 두 가지로 고안하였다. 하나는 기록물 처리예정표 항목을 업무로 재구성하고 작성주체와 역할을 조정하여, 정상적으로 기록물을 이관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었고, 또 하나는 일반기록물 관리에서 누락되었거나 부득이 산실(散失)된 기록물 또는 외부에서 생산된 기업관련 기록물을 수집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것이었다. 포스코 기록물의 정리와 기술에서는 개별기록물이 등록과정을 통해 생산여부를 확인하고, 관련 조치(transaction)나 활동(activity), 기능(function)에 연결할 수 있는 고유한 식별자를 형성하는지 살펴보았다. 또, 분류틀인 ‘문서분류및보존연한책정기준표’가 행위(action)나 조직(organizational structure)에 기초하여 기록물을 분류할 수 있는 체계인지 확인한 후, 이를 출처와 기능에 따른 정리체계로 재구성하고 무의미한 문자와 숫자를 조합하여 코드화하였다. 기록물 정리체계에 따라, 가이드 수준의 조직·기능에 대한 기술요소와 실제 기록물에 대한 상세한 기술요소를 구성하여 홍보실 역사관팀의 업무와 기록물에 적용해 보았다. 포스코 기록물의 이용에서는 기업이 외부의 기록물 열람요구를 무시하기보다는 강하고 방어적인 열람정책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해진 상황의 변화를 살펴보고, SAA의 열람표준에서 열람정책에 반영할 사항을 추출하였다. 포스코역사관에서 보존기록물을 활용하는 주요활동은 기업사 편찬과 전시관 운영에 한정되어 있으나, 다른 기업에서는 보존기록물 관리를 기업의 현재활동과 연계하여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기업의 보존기록물을 현업에 활용할 수 있는 현재적 가치를 개발하여 기업기록물 관리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In modern society, we understand public records to guarantee the people's right to archives access by the standard management method in the records and archives administrations. The principles and techniques of archival science to manage public records have become independent studies. However, the business records and archives are in private sector for their great importance of current value. The corporates expect cost-benefit effect, management of the business records and archives are relatively inferior. Recently, the archival science is introduced in our country, therefore we can't find the business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models to realize integrated the business records management on the basis of the archival theory. Accordingly, in this article, I will study concretely the records management and the archival management in the POSCO, a similar public corporation, through the archival theory and the research papers for the business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in the United States. The types of corporate archives pursuing integrity of the records to contact the business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al management are limited 'commercial archives' and 'in-house corporate archives'. Both of them, which type does a corporation manage the business records and archives, depend rest with situation of each corporation. Only, I suppose the POSCO's archives and will study archival management method to be devided appraisal, arrangement·description and access·usage to contact the records management. First, I examined the POSCO's records category and management department to prescribe in the POSCO's rules. And I map out organizational status of the POSCO Museum in the POSCO and administrative complementary measures to secure the connection of the records management. I examined activities of the POSCO's records appraisal, and devised two method of archives receipt. One method is the archives accession scheme to reconstruct the elements of the POSCO's records disposal schedule. The other is the archives acquisition method about the records which left out the records management rules, unavoidably scattered and lost, or the records related the POSCO are created outer the corporation. In the POSCO's archives arrangement and description, I examined the records item to define whether or not creation of it and to make up the unique identifier to contact related transactions, activities and functions. I defined 'the records classification and disposal schedule' in the POSCO whether it is the scheme to classify the records on the basis of actions or organizational structure. After I made up arrangement scheme of the archives with it and gave the code to mix the character and the figure. In accordance with the arrangement scheme of archives, I extracted the description element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function and of real records. The former is guide level and the latter is in detail. I applied the POSCO Public Affairs and the records in these description elements. In the POSCO's records access, I considered the situation to be essential for the corporation to present the access policy rather than the corporation ignore a request of its records of an outsider. I extracted the elements of the records access policy from the SAA's access standards. The POSCO Museum used the business archives to publish the corporate history and to exhibit, but in another corporation, usage of the business archives was various, it is contacted current activities of the corporation. Through the case study, the archivist in the corporate archives developed the contemporary values to use the archives of the corporation. And I presented the potential to widen the activity domain of the corporate archives.

      • LDA알고리즘을 활용한 국내 기록관리학의 연구동향 분석

        정인수 중부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67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기록관리학의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목적으로 토픽모델링 방법 중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LDA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기록관리학의 연구 활동을 대표할 수 있는 6개의 학술지를 선정하여 학회지에 등록된 논문들을 논문검색 홈페이지 RISS에서 수집했으며, 정리하는 과정에서 기록관리와 관련이 없거나 초록 및 제목이 없는 자료는 제외하여 1,083개의 논문을 최종 수집하였다. 분석 절차는 크게 자료 수집 → 자료 전처리 → 분석 → 시각화 및 해석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은 NetMiner(version 4.4.3.b)와 개방용 프로그램인 R(Stm package 포함)을 이용하였다. 자료 전처리에서는 특수문자 및 기호, 조사 등과 같은 분석에 필요하지 않은 요소들을 제외하고, 일반명사를 추출하였다. 분석 방법은 키워드 빈도분석, LDA분석, 추세분석(전체기간 분석, 기간별 및 토픽별 구간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분석을 통한 상위키워드 20개를 추출하였다. 둘째, 관련 연구 활동을 2012년을 기준으로 나누었을 때, 2012년 이후의 연구 활동이 그 이전보다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LDA분석을 통해 중요 키워드들과 토픽들을 발견하였는데, 이를 위한 사전작업으로 토픽 수(K)를 결정하기 위해 Log-Likelihood값을 구하여 가장 높은 값에 해당하는 토픽 수를 본 연구를 위한 토픽 수로 지정하기로 하였는데, 최종 29개로 결정하였다. 넷째, LDA분석 후 전체 기간 (2002~2019), 기간별(1구간 ~ 3구간) 및 토픽별 구간분석을 수행하였는데, 전체 기간에서는 Topic 29(기록물 보존 및 대책), Topic 20(해외기관 기록관리), Topic 4 (민간기록물 관리), Topic 13(기록관리제도 전문화 및 활용), Topic 6(공공기관 기록물 관리)의 순으로 연구 활동이 많았고, Topic 1(민간기록물 구축), Topic 2(민간기록물 수집), Topic 8(전자기록물 생산 및 관리), Topic 7(기록정보서비스 이용), Topic 10(역사기록물 생산)은 상대적으로 연구 활동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간별(1구간 ~ 3구간) 및 토픽별 구간분석을 수행한 결과, Topic 1 ~ Topic 6에서는 전 구간에 걸친 Topic 1(민간기록물 구축), Topic 4(민간기록물 관리)의 급격한 하락세와 2구간까지 하락 후 급격한 상승세를 보여준 Topic 2(민간기록물 수집)와 2구간까지 급격한 하락세였지만, 이후 완만하게 증가하는 Topic 6(공공기관 기록물 관리)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pic 7 ~ Topic 12에서는 Topic 8(전자기록물 생산 및 관리)이 모든 구간에서 상승한 반면, Topic 12(기록물 생산 및 관리)는 계속 하락세였다. Topic 10(역사기록물 생산)과 Topic 11(기록관리시스템 구축)은 비슷한 형태의 상승과 하락세가 나타났다. Topic 13 ~ Topic 18에서는 전 구간에서 Topic 13(기록관리제도 전문화 및 활용)에서 급격하게 상승한 것과 2구간까지 상승하였지만 이후 급격한 하락세를 보인 Topic 18(기록관리체계 도입방안), 완만한 상승에 이어 2구간 이후 급격한 상승세가 나타난 Topic 17(기록물 정보공개)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opic 19 ~ Topic 24에서는 Topic 19(민간기관 기록물 운영)와 Topic 21(시스템 도입)이 모든 구간에서 하락하였지만, Topic 22(전자기록물 구축 및 활용) 및 Topic 24(기록관리학 현황 및 동향)은 지속적인 상승세가 나타났다. 한편, Topic 20(해외기관 기록관리)과 Topic 23(대통령기록물 현황)은 2구간을 기점으로 각각 하락과 상승세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Topic 25 ~ Topic 29를 통해서는 Topic 26(기록물관리기관 기록정보 활용)과 Topic 29(기록물 보존 및 대책)가 큰 상승세인 반면, Topic 25(기록물 생산 및 운영)는 모든 구간에서 변화가 거의 없었고, Topic 27(민간기록물 활용) 및 Topic 28(기록정보서비스 활용)은 비슷한 형태의 하락세가 나타났다. 다섯째, 각 토픽별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독립변수는 연도, 종속변수는 각 토픽의 연도별 비중 평균값을 이용하였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가지면서 회귀계수 값을 양수(+), 음수(-)에 따라 각각 상승 토픽(Hot Topic), 하락 토픽(Cold Topic)로 지정하였으며, 유의하지 않은 값을 가진 토픽들은 중립 토픽 (Neutral Topic)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상승 토픽(Hot Topic)은 Topic 3(전자기록물 인증 및 보존), Topic 13 (기록관리제도 전문화 및 활용), Topic 17(기록물 정보공개), Topic 22(전자기록물 구축 및 활용), Topic 24(기록관리학 현황 및 동향), Topic 26(기록물관리기관 기록정보 활용)이었으며, 하락 토픽(Cold Topic)은 Topic 1(민간기록물 구축), Topic 4(민간기록물 관리)로 나타났다. 또한 상승 토픽 및 하락 토픽이 아닌 중립 토픽은 Topic 2(민간기록물 수집), Topic 5(기록물 열람 및 활용), Topic 6(공공기관 기록물 관리), Topic 7(기록정보서비스 이용), Topic 8(전자기록물 생산 및 관리), Topic 9(기록물 관리 및 일반), Topic 10(역사기록물 생산), Topic 11(기록관리시스템 구축), Topic 12(기록물 생산 및 관리), Topic 14(전자기록물 활용), Topic 15(기록물관리기관 구축), Topic 16(메타데이터 표준 및 구축), Topic 18(기록관리체계 도입방안), Topic 19(민간기관 기록물 운영), Topic 20(해외기관 기록관리), Topic 21(시스템 도입), Topic 23(대통령기록물 활용), Topic 25(기록물 생산 및 운영), Topic 27(민간기록물 활용), Topic 28(기록정보서비스 활용), Topic 29(기록물 보존 및 대책)로 확인되었다. 여기서 확인된 상승 토픽(Hot Topic)들을 적절히 이용한다면, 향후 새로운 연구 활동들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연구자들의 연구 활동 재료와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 방법론들을 통해 타 분야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향후에 국외 논문을 대상으로 LDA분석과 네트워크분석을 추가로 진행한다면 보다 세밀한 연구 활동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s of the domestic record management system, using LDA Algorithm, which is most actively used among the topical modeling methods. To this end, six academic journals were selected to represent research activities of the domestic records management, and theses registered in the academic journals were collected on the research website RISS, and 1,083 papers were collected in the process of compiling, excluding data that were not related to records management or were not related to green and untitled. The analysis procedure was conducted in large order: data collection, data processing, analysis, visualization, and interpretation. Programs for analysis used NetMiner(version 4.4.3.b) and R(including Stm package), an open-ended program. In data preprocessing, generic nouns were extracted, except for special characters and elements not required for analysis such as symbols, surveys, etc. The analysis method was conducted by keyword frequency analysis, LDA analysis, trend analysis(full period analysis, period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20 top keywords were extrac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Second, when the relevant research activities were divided into 2012 criteria, it was confirmed that research activities since 2012 were more active than ever before. Third, important keywords and topics were discovered through LDA analysis, and in order to determine the number of topics in the Topics(K), the Log-Likelihood value was obtained and the number of topics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value was decided to be the number of topics for this study, which was decided to be the final number of topics for this study. Fourth, after LDA analysis, the analysis of the total period(2002-2019), period by period(1 section - 3), and topic was conducted. In the whole period, Topic 29(Preservation and Countermeasures of Records), Topic 20(Record Management of Foreign Agencies), Topic 4(Management of Civil Records), Topic 13(Specialization and Utilization of the Record Management System), and Topic 6(Management of Public Records). Meanwhile, the analysis of intervals by period(1 to 3 sections) and topic was conducted. Topic 1 ~ Topic 6 showed a sharp decline in Topic 1(Construction of Civil Records), Topic 4(Management of Civil Records) over the entire section, and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holes(collection of private records) and 2(post-recordings) after the fall. In Topic 7 ~ Topic 12, Topic 8(Electronic Records Production and Management) increased across all sections, while Topic 12(Production and Management of Records) continued to decline. Topic 10 (Production of Historical Records) and Topic 11(Construction of Record Management System) showed similar forms of rise and fall. Topic 13 ~ Topic 18 was able to identify Topic 17(Disclosure of Records), which showed a sharp rise in Topic 13(Specialization and Utilization of the Record Management System) throughout the entire section, up to two sections, but has since been on a steep decline, followed by a gradual rise in the record management system, and a rapid rise in the second section. Topic 19 ~ Topic 24 saw Topic 19 (Operation of Records of Private Institutions) and Topic 21(System Introduction) fall across all sections, but Topic 22(Building and Utilizing Electronic Records) and Topic 24(Current and Trend of Records Management) showed a steady rise. Meanwhile, Topic 20(Record Management of Foreign Agencies) and Topic 23 (Use Presidential Records) showed a decline and an upturn, respectively, from the beginning of the second period. Finally, Topic 25 ~ Topic 29 shows a significant increase in Topic 26(Utilizing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 Records) and Topic 29(Preservation and Countermeasures of Records), while Topic 25(Production and Operation of Records) showed little change in all sections, and Topic 27(Using Private Records) and Topic 28(Using Record Information Service) in similar form. Fifth,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topic. For this purpose, independent variables used the year-by-year and dependent variables used the weighted average value of each topic, with the regression coefficients values specified as the rising topic(+) and the negative(-), respectively, and topics with the non-significant values were divided into neutral(Neutral Topic).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ising topic is Topic 3(Certification and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Topic 13(Specialization and Utilization of the Record Management System), Topic 17(Disclosure of Records), Topic 22 (Building and Utilizing Electronic Records), Topic 24(Current and Trend of Records Management), Topic 26(Utilizing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 Records). The falling topic is Topic 1(Construction of Civil Records) and Topic 4(Management of Civil Records). Also, for neutral topics other than rising and falling topics, Topic 2(Collecting Private Records), Topic 5(Viewing and Utilizing Records), Topic 6(Management of Public Records), Topic 7(Using the Record Information Service), Topic 8(Electronic Records Production and Management), Topic 9(Recording Management and General), Topic 10(Production of Historical Records), Topic 11(Construction of Record Management System), Topic 12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Records), Topic 14(Use of Electronic Records), Topic 15(Establishment of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 Topic 16(Metadata Standard and Implementation), Topic 18(Record Management System Introduced), Topic 19(Operation of Records of Private Institutions), Topic 20(Record Management of Foreign Agencies), Topic 21(System Introduction), Topic 23(Use Presidential Records), Topic 25(Production and Operation of Records), Topic 27 (Using Private Records), Topic 28(Using Record Information Service), Topic 29 (Preservation and Countermeasures of Records) has been identified. If the hot topics identified here are used properly, it is believed that they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new research activities in the future. On the other hand, it is considered meaningful that the analysis methodologies used in this study suggest the same methods for application in other areas. If additional LDA and network analysis are carried out for foreign paper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be a more detailed research activity.

      • 한국의 가문기록물 현황 및 관리에 관한 연구

        김희진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766

        한국의 기록물관리학(Archival Studies) 분야는 현재 10년을 넘게 이어오고 있다. 이제는 기록관리(Archival Management) 패러다임의 결과로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연구가 미국의 UCLA, 중국의 Lenin University, 호주의 Monash University, 영국의 UCL 등에서 진행되었으며, 국내에서도 기록관리의 패러다임을 수용하여 이를 연구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이와 관련되는 기록물인 'community archives'는 해당 커뮤니티의 구성원에 의해 수집되어 일정 수준의 통제 하에서 관리된다고 한다. 공동체의 기록물은 해당 공동체의 역사 연구에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동기부여, 해당주제와 기록물의 측면에서 관련된다. 이에, 공동체의 역사와 마찬가지로 가문의 역사(family history)나 지역사(local history)에 대한 연구도 마찬가지로 밀접하게 연관되면서 긴밀한 연결고리를 형성한다. 이중에서 가문의 경우, 공동체 아카이브(community archive)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가문의 역사를 보여주는 가문기록물(Family's Historical Manuscripts)에도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해당 가문에서 생산되는 가문기록물이 존재한다고 할 때,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족보를 들 수 있다. 하지만, 족보만으로는 해당 가문의 시조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계보에 대한 정보와 그 가문의 선조들이 어떠한 벼슬을 지냈는지만 알게 될 뿐이다. 물론 족보에는 서문을 써서 해당 족보를 생산하게 된 취지 등을 기록하기도 하지만, 해당 가문 전체에 대한 정보는 알 수 없다. 현대 이전, 신분제 사회제도가 존재했던 시기에 가문의 구성원은 부모와 자녀만으로 이루어진 가족으로만 구성되지 않았으며, 노비도 포함되었다. 노비는 재산상속에 있어 그 대상이 된 유형으로 볼 수 있으며, 재산상속은 노비와 전지에 한하여 해당 자녀에게 상속되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상속문서로 남겨져서 존재한다. 현대 이전의 시기는 농업을 중시하는 시기이며, 이와 관련하여 매년 토지의 소출 및 사용, 곡식을 사들인 상황 등을 정리한 기록물(분재기(分財記)라고 한다)이나 농가에서 인부들을 동원하여 쓰고 그 대가를 지불하기 위해, 노동시간과 노동의 종별, 대가의 종류 및 지급여부를 작성한 기록물(고역기(雇役記)라고 한다) 등이 존재하였으며, 향후에 이를 증명할 수 있는 기록물로 관리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해당 시기의 역사적 사건과 연관하여 살펴볼 수 있으며, 그 시대에 존재했던 가문의 일상사나 경제사 등을 연구할 수 있는 가문기록물로써 기능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고에서는 이들과 관련된 가문기록물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국의 가문기록물에 대해 기록물관리학적 측면에서 이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가문의 형성과 배경을 바탕으로 가문기록물에 대한 정의를 내리면서 가문기록물의 대상범위를 지정하려 한다. 역사학, 문헌정보학 분야 등의 관련기관을 선정하여 가문기록물의 현황을 분석하고, 사례 연구로써‘문화류씨 운조루 종택(Munhua Liu Family's Unjoru Jongtaek)’에 소장되었던 가문기록물의 현황을 통하여 이에 대한 관리방안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공동체 아카이브가 연구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한국의 가문기록물이 기록물관리학 분야에서 얼마만큼의 성과를 보여줄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 본고의 요지이다. The field of archival studies in Korea has been continued over a decade. Currently, as a results from archival management, studies on community archive have been carried out in UCLA of the US, Lenin University of China, Monash Univeristy of Australia and UCL of the UK, Further, Korean researchers have also adopted such management paradigm and are carrying out studies on it. Based on such studies, the‘community archives’which is the related records are being managed under control at particular level after collected from related community. The community archives are closely related to studying the community’s history therefore has connection with motivation, related them and records as well. Accordingly, the studies on family and local histories are interconnected to each other. The family history, among them, can be connected to Family’s historical manuscripts which indicates history of the family taking into account community archive. One of the Family’s historical manuscript can be genealogy. However, genealogy only can show the information on pedigree including progenitor, current state and ancestors’government post. The genealogy, of course, contains the document’s objective but not the information on entire family tree. The family of the past, in which estate system existed, included not only parents and children but also slaves. The slaves have been included in properties. Further the slaves and lands have been inherited to descendants. The contents are maintained through inheritance document. Agriculture has been the core business of the past and documents, which records crops and usage of lands annually (called 分財記), and a document (called 雇役記), which records working hours, type, rewards and payment to pay for the labour, existed. Further, this means the documents have been for verifying the works in the future. We can review the historical incidents of certain period through these records which can play a role as Family’s historical manuscripts for studying everyday affair of a family and history of economy. This paper, in regard to this, examines the Family’s historical manuscripts of Korean families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advance research on Family’s historical manuscripts. Further, this article defines the concept of Family’s historical manuscripts based on formation and background of family and set the range of Family’s historical manuscripts. Finally,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the implications of Family’s historical manuscripts on entire fields of Archival Studies as there are various studies carried out on community archive through analysis on the current state of family archive management for selected organization and the current state of Family’s historical manuscripts of Munhua Liu Family's Unjoru Jongtaek which has been selected for cas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