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축사표준설계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가금농가를 중심으로

        박세영 강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1980년대 양축농가의 열악한 사육환경을 개선하고 불필요한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처음 도입된 축사표준설계도는 1989년을 시작으로 2017년까지 총 12회에 걸쳐 개발되고 보급되어왔다. 축사표준설계도는 법 및 법률 검토와 운영 규칙에 의거하여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관장하는 축사표준설계기술자문위원회의 운영 하에 자문 및 작성되어 보급이 된다. 이러한 축사표준설계도의 장점은 관련 전문가에 의해 작성되고 정부가 무료로 배포하고 있어 누구나 사용할 수 있으며, 농가에서 별도로 설계비를 부담하면서 건축사에게 축사 설계를 의뢰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축사표준설계도는 축사 설계와 그에 따른 축산 환경 개선에 있어 선진적 축사 설계와 환경 개선을 선도해왔으며, 신축 축사 건설 및 노후 축사의 개·보수에 있어 설계비 절감을 통한 농가 부담완화에도 일정부문 기여한 성과가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양축 환경의 변화와 소비자 요구의 변화에 따른 설계도의 관리 및 현행화가 미흡하였다. 이로 인해 그간 표준설계도의 작성과 배포기간에 비해서 양축 현장에서 농가의 표준설계도 이용률은 높지 않았다. 따라서 공적자금과 정부 예산 및 많은 전문 인력이 투입되어 개발되는 설계도면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실사용자인 농가와 가금 산업계에서는 현장의 요구가 반영되어 실제로 양축현장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설계도면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축사표준설계도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축사 또는 축사시설의 개선, 축사관리, 가금류 사양관리, 축사 내 환기 및 단열, 동물복지 및 동물복지형 축산, 축산업의 산업 융복합 등 다양한 분야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사회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축산 현안들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실 예로 최근에 발생한 다양한 사건들로 인하여 동물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가축 질병 예방 및 방역, 그리고 중앙 정부의 정책 기조인 ICT융복합 등과 같인 이슈들이 축산업계에의 관심을 고조시켰다. 그리고 무허가축사 양성화에 따른 정부의 행정지침 또한 가금 사육을 하고 있는 농장주들의 축산업 지속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압박을 가하고 있다. 이처럼 축산업 전반적인 사건과 이슈들은 축사표준설계도의 향후 수요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된다. 단 현실성이 반영된 설계도면을 전제할 경우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금류를 중심으로 축사표준설계도의 이용률이 낮은 원인을 찾아내고 개선점을 도출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농림축산식품부의 2017년도 가금농가 목록을 기초로 농가 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축사표준설계도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와 축사표준설계도에 대한 농가의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향후 개정될 축사표준설계도에 대한 사용의향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분석에서는 축사표준설계도를 사용하지 않는 9가지 이유를 활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추출된 요인들을 활용하여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280 농가 전체를 대상으로 추출된 요인 및 군집과 축종별로 추출된 요인 및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파악된 군집의 특성을 바탕으로 향후 축사표준설계도의 개발에 있어 개선되어야 할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농가에서 축사표준설계도를 사용하지 않은 주된 요인과 그에 따른 군집의 형성에 있어 가장 크게 작용한 것은 축사표준설계도를 사용할 경우 건축비를 비롯한 비용의 증가와 축사표준설계도 자체를 몰라 사용할 기회가 없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축사표준설계도를 활용할 때, 건축비를 비롯한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축사표준설계도를 지속적으로 홍보하여 농가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The Poultry house Standard Design, which was first introduced to improve the poor breeding environment of the livestock farm in the 1980s and to reduce the unnecessary economic burden, has been developed and distributed over a total of 12 times from 1989 to 2017. In accordance with law and legal review and operating rules, the Poultry house Standard Design is produced and distributed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Advisory Committee on Standardization of Design Technology, which is administered by the Minister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Livestock. The benefit of Poultry house Standard Design is that it is written by experts and distributed by the government free of charge and it is not necessary for the farmer to ask the architect to design the barn. The Poultry house Standard Design has led the development of housing design and improvement of environment in housing design and improvement of livestock environment, and has contributed to certain parts in reducing the burden of farmers by reducing the design cost in construction of new housing facilities and repairmen of old housing. Due to the incessant changes in farming environment and the changes in consumer demand, however, the management and currentization of the design were insufficient. As a result, the utilization rate of the standard design of the farm household was not high compared to the period of preparing and distributing the standard desig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 plan to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of the design drawings that are developed with the input of public funds, the government budget, and many professional workers. In the real farmers and poultry industry, the needs of the field were reflected. In fact,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design drawings that can be more actively used in the farming field. In order to develop Poultry house Standard Desig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aspects such as improvement of housing or housing facilities, housing management, management of poultry specification, ventilation and insulation in housing, animal welfare and animal welfare type livestock, etc.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fully consider the issues of the livestock industry. As a practical example, recent events have raised interest in animal welfare and issues such as repetitive livestock disease prevention and disinfection and ICT fusion the central government's policy keynote have heightened interest in the livestock industry. And the government's administrative guidelines on the legalization of unauthorized housing are also putting pressure on farmers who are raising poultry to make decisions about the continuation of livestock farming. As such, the overall events and issues in the poultry industry are expected to drive future demand for Poultry house Standard Design. However, this assumes a design drawing that reflects re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ause of low utilization rate of Poultry house standard design focused on poultry to find a way to improve utiliz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farmer survey on the basis of the list of poultry farmers in 2017 provid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Livestock. In addition, the reason for not using Poultry house Standard Design and the farmers' perception about Poultry house Standard Design were investigated. Lastly, the intention to use Poultry house Standard Design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For analysis,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9 reasons of not using Poultry house Standard Design, and K-average cluster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extracted factors. And the extracted fact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tors and groups extracted by group and species were observ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ntified group, the improvement of Poultry house Standard Design in the future is suggested. The main reason for not using Poultry house Standard Design in farming household and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formation of the group is that there was no opportunity to use Poultry house Standard Design because of the increase in costs including construction costs and Poultry house Standard Design itself. Therefore, when using Poultry house Standard Design, there is a need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other expenses, and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proactively utilize the Poultry house Standard Design by promoting it in the farmhouse

      • 한국 아파트와 표준화에 관한 연구 : 1980년대 건설자재의 부품화와 공간적용을 중심으로

        엄광명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1962년,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시작과 함께, 제3공화국은 공업화 생산을 통한 수출의 증대와 동시에 근대적 체계를 가진 국가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근대화의 근간인 표준화는 이러한 배경에서 정책의 수단임과 동시에 목표가 되었다. 같은 시기, 대한주택공사의 발족과 함께 아파트는 새로운 주거형식으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아파트는 국가의 주택정책, 건설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부품화된 건설자재를 받아들이며 오늘날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주거유형이 되었다.본 연구는 이와 같은 배경에서, 국가가 주도한 표준화의 의도와 전개과정을 살피고 표준화된 건설자재와 건설산업의 변화가 아파트 생산에 미친 영향을 탐구하였다. 생산의 측면에서 표준화는 공업표준화법으로 대표될 수 있다. 국가는 수출품 위주의 공업화 생산을 위해 표준국을 설치하여 국가 차원에서 표준을 제정하고 관리하였다. 표준의 제정 초기에는 주로 품질을 규정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으나, 부엌가구나 욕조와 같이 공간 내부에 시공되는 자재들이 표준화되면서 치수의 중요성이 부각 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제품들은 부품화되어 아파트를 비롯한 주택에 시공되었지만 실(室) 내부치수가 표준치수와 호환되지 않았다. 벽식구조아파트가 확산되는 시점에, 대한주택공사는 개포주공아파트를 시작으로 모듈정합(MC, Modular Coordination)의 모듈 단위 개념을 시범 적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당시의 주택건설기준에 관한 법률은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였기 때문에, 실 내부 치수를 표준단위로 만들지 못했다. 원활한 부품의 호환을 위해선 아파트의 설계방식부터 시공(생산)방식까지 변경해야 했지만, 민간주도의 벽식구조-습식공법이 보편화된 상태에서 건설산업을 단번에 변화시킬 수는 없었다. 결국, 국가는 주택의 빠른 보급이 시급했기 때문에 일률적이고 보편적인 아파트를 생산하도록 유도했던 것이었다. 이 시기의 “표준설계도”는 아파트를 하나의 제품으로 여기고 동일 도면으로 반복생산한 것이었다. 건설산업은 보편화된 벽식구조와 습식공법으로 인해 쉽게 표준화되지 못했다. 하지만, 표준자재의 보급화로 인해 국제 모듈치수를 적용한 사물들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안목치수의 개념이 도입되며 “설계표준화”가 이루어졌다. 건설자재가 먼저 표준화되고 표준자재와 호환을 위해 아파트의 실 치수가 나중에 변화된 점, 그리고 건설산업의 표준화가 벽식구조 공동주택에 우선 적용된 것은 한국의 특수한 산업환경에 의한 결과라 볼 수 있다. 또한, 아파트의 설계단계에서 표준치수를 비롯한 사물의 정합성을 고려한 것을 통해 국가가 아파트를 ‘체계’로 이해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With the start of the first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in 1962, the Third Republic aimed to increase exports through industrial production and become a modern state. Standardization, the basis of modernization, was not only a tool of policy but also a goal against this backdrop. At the same time, apartments were presented in a new residential form with the launch of the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KNHC). Then, apartments have become Korea's most representative residential type today, accepting modularized construction materials as well as national housing policies and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This study examined the intentions and development of state-led standardization, against this backdrop, and explored the impact of changes in standardized construction materials and the construction industry on apartment space. In terms of production, standardization can be represented by the ‘Industrial Standardization Act.’ The nation established the National Bureau of Standard for export-oriented industrial production. This Bureau established and managed standards at the national level. Early in the enactment of standards, the nation focused primarily on defining quality, but the importance of dimension began to emerge as the interior materials such as kitchen furniture and bathtubs became standardized. These products have been modularized and set up in apartments and other houses, but the interior dimensions of the house were incompatible with the standard dimensions of construction materials. At the time of the proliferation of wall-slab structural apartments, the KNHC began to test-apply the concept of MC(modular coordination), starting with Gaepo Jugong Apartment. However, the provisions of the ‘Rules on Standards, etc. of Housing Construction’ based on the centerline did not make the interior dimensions standard. In fact, for the smooth compatibility of parts, it had to be changed that the design method of apartments to the construction(production) method, but the construction industry could not be changed at once because of the private-led industry with wall-slab and wet-construction method becoming common. In the end, the early state encouraged the production of uniform and universal apartments because of the urgent need for a rapid supply of housing. The “standard plan” of this period was to consider apartments as a product and produce them repeatedly with the same drawings. The construction industry was not easily standardized due to its generalized wall-slab structure and wet-construction method. However, due to the dissemination of standard materials, “design standardization” was achieved in the application of materials with international module dimensions. It is the result of a special industrial environment in Korea that construction materials were standardized and produced first, then the interior dimensions of apartments changed to be compatible with standard things, and the standardization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was applied first to wall-slab structured apartment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convergence of objects, including standard dimensions, in the design phase of apartments, it can be seen that the country has begun to understand apartments as a system.

      • 표준 식쌍성의 절대량

        정태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7

        표준 식쌍성 28개를 선정하여 각 표준 식쌍성의 절대량을 제시하였다. 총 28개의 표준 식쌍성은 7개의 원궤도 분리형 식쌍성, 4개의 타원궤도 분리형 식쌍성, 7개의 반분리형 식쌍성, 3개의 근접촉형 식쌍성, 2개의 접촉형 식쌍성, 그리고 5개의 초과 접촉형 식쌍성을 포함하고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식쌍성 광도곡선을 대표할 수 있다. 표준 식쌍성은 식쌍성의 광도곡선이 적어도 두 파장 영역 이상에서, 그리고 모든 위상에서 골고루 관측되어 발표되었고, 쌍성의 두 구성원 별에 대하여 시선속도 곡선이 발표된 식쌍성, 즉, 이중분광선 식쌍성 (Double line spectroscopic eclipsing binary)으로 정의하였다. 표준 식쌍성의 후보는 총 370 개의 식쌍성을 문헌에서 조사하여 위 조건에 만족하는 80여개의 식쌍성에서 대하여 측광 및 분광 관측 자료를 수집하여 표준 식쌍성의 Database를 구축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구축된 Database에서 측광 및 분광 관측 오차가 작은 것 28개 표준 식쌍성으로 채택하였다. 표준 식쌍성으로 선택된 식쌍성의 시선속도곡선과 광도곡선은 Wilson & Devinney 차등보정 법으로 균일한 측광 및 분광학적인 해를 구하고 표준 식쌍성의 각 구성원별의 절대량을 산출하였다. 28개의 표준 식쌍성 중에서 25개는 오차 범위 내에서 기존의 연구자들이 발표한 절대량과 잘 일치하나 8개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검토결과 시선속도고선의 정밀도에 따라서 절대량에서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에서 선정한 표준식쌍성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소마젤란은하에서 발견된 식쌍성 20 여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식쌍성의 광도곡선을 표준식쌍성의 광도곡선과 비교하여 그 형태가 가장 유사한 표준식쌍성으로 측광학적인 인자를 분석할 식쌍성의 초기 인자 값으로 사용하여 측광학적인 해를 반복적인 차등보정 법 을 사용하여 구하였다. 대부분의 광도곡선은 7회의 반복적인 차등보정 법으로 관측과 이론적인 곡선이 잘 일치하였다. 이는 표준 식쌍성의 여러 종류의 식쌍성들이 SMC 에서 발견된 식쌍성들의 광도곡선의 형태를 대부분의 포함하는 다양한 분포로 형성되어 있고 앞으로 탐사관측에서 수행된 많은 양의 광도곡선을 분석하는데 큰 공헌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I present absolute dimensions of twenty eight standard eclipsing binary stars which include eight circular orbit detached eclipsing binaries, three elliptical orbit detached eclipsing binaries, seven semi-detached eclipsing binaries, three nearly contacted binaries, two contacted binaries, and five over-contacted binaries. Each of the standard eclipsing binaries mentioned above represents most various group of eclipsing binaries. The standard eclipsing binaries are defined as eclipsing binary stars, whose double line of radial velocity curves and multi-color light curves have been published in good quality of observation. I investigated literatures to find original observation data for 370 candidates of the standard eclipsing binaries. I have collected observation data of the radial velocity curves and light curves approximately for 80 standard eclipsing binaries under the same condition of the standard eclipsing binaries widely-defined in public. In this study I selected 28 eclipsing binaries of 80 mentioned above as the standard eclipsing binaries considered on the observation quality. I estimated absolute dimension of O.D.(outer dimension) for the 28 standard eclipsing binaries and compared them with the absolute dimensions published by previous investigators. In order to confirm usefulness of the standard eclipsing binaries I suggested photometric solutions for 20 eclipsing binaries discovered in the Small Magellan Cloud by the method of the Iterated Differential Correction where the initial values of the photometric parameters were determined by the comparison with the SMC light curves and the standard eclipsing binaries. This study shows my observation data of 20 eclipsing binaries collected through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Iterated Differential Correction program are well-fitted into the range of most theoretical light curves of standard eclipsing binary stars.

      • 경남 지역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 활용 실태 및 지원 요구

        임선미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2007년 고시·시행된 표준보육과정의 활용 실태 및 지원에 대한 요구를 경상남도 내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사전 면담, 전문가의 의견 수렴, 설문 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여 보육교사들의 표준보육과정 실행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내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SPSS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배치 변량분석(One-way ANOVA)과 -검정, Scheffe 검증을 이용하여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상남도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표준보육과정 활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표준보육과정에 대해 대부분 인지하고 있으며 현재 근무하고 있는 보육시설에서 대부분 표준보육과정을 활용하고 있었다. 경상남도의 보육교사들은 대부분 표준보육프로그램을 참고로 보육활동을 계획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실행하고 있으며, 이것은 표준보육과정이 제시하는 목적에 평균 이상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표준보육과정의 영역 중 가장 실행하기 쉬운 영역은 기본생활영역이며 가장 실행하기 어려운 영역은 자연탐구영역으로 나타났으며 보육활동 실행의 난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영유아의 흥미와 요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남도 보육교사들은 다음 보육과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영역 활동을 평가하고 있었다. 둘째, 경상남도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표준보육과정 각 영역별 내용범주에 따른 적용실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평균 이상의 높은 실행도를 보였다. 기본생활영역의 실행도가 매우 높았고 상대적으로 자연탐구영역의 실행도가 조금 낮았다. 셋째, 경상남도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표준보육과정 활용을 위한 지원에 대한 요구를 조사한 결과 보육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재·교구의 개발 보급 및 연령별 보육프로그램의 무상보급을 요구하였고 보수교육 프로그램에 표준보육과정의 내용을 포함하여 표준보육과정에 근거한 보육활동을 계획하고 연령별 보육활동에 대한 이해를 도와주기를 원하였다. 보육활동의 실행을 위해 개발·보급되어 지원되기 원하는 자료를 영역별로 살펴보면 기본생활영역은 영상자료, 신체운동영역은 게임자료, 사회관계 활동은 영상자료, 의사소통영역은 도서자료를 원하였으며 자연탐구영역은 실물자료, 예술경험영역은 실물자료가 개발·보급되기를 요구하였다. This study revolves around the conduct of a survey on the actual state of the use of the National Standard Educare Curriculum announced and implemented in 2007, and of the requests for support made by the child care teachers in preschools located in the kyungnam area. An effort is made herein to identify measures to help child care teachers properly implement the National Standard Educare Curriculum. As mentioned above, a survey was conducted of the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preschools in the kyungnam area. While the SPSS 14.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turned surveys, a one-way ANOVA, -test, and Scheffe Test were employed to verify the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rvey on the actual state of the use of the National Standard Educare Curriculum by child care teachers in the kyungnam area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teachers were aware of the National Standard Educare Curriculum, and actually employed it in their activities. The child care teachers in the kyungnam area not only referred to the National Standard Educare Curriculum when planning their educare activities, but also actively implemented such activities. The rate of achievement of the goals suggested in the National Standard Educare Curriculum was found to be average or higher. The survey also revealed that the easiest portion of the National Standard Educare Curriculum was the basic life section. Conversely, the nature exploration section of the National Standard Educare Curriculum was identified as the most difficult to implement. The factors which most influenced the degree of difficulty associated with implementing the educare activities were found to be the interests and requests of preschool children. The child care teachers in the Gyeongnam area implemented assessments of the activities in each section so that these could be used as the basic materials for future educare activities. Second, the analysis of the actual state of the employment of the National Standard Educare Curriculum by content category for each section also wielded some interesting results. For instance,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found to exhibit higher than average levels of implementation for all the sections. To this end, while the basic life section exhibited the highest level of implementation, the nature exploration section featured a relatively lower level of implementation. Third, the analysis of the requests for support with regards to the use of the National Standard Educare Curriculum revealed that the child care teachers in the kyungnam area called for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various easily usable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and for the educare programs designed by children's ages to be made available free of charge. They also petitioned for help with the planning of educare activities based on the National Standard Educare Curriculum, and with the comprehension of the age-specific educare activities.

      • 표준직업정보의 가독성 분석 연구

        장지홍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직업정보는 인간이 직업선택을 통해 생애 형태를 결정할 때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 효과적인 직업정보 전달을 위한 직업정보의 가독성 분석은 직업전문가와 상담자 그리고 직업정보 이용자들이 고가치의 직업정보를 선별하고 사용하도록 도울 수 있다. 정보는 이용자가 원하는 형식에 가까우며 쉽게 전달될수록 가치를 가지는데 직업정보의 가독성은 활자 형태 직업정보 매체의 시각적 전달과 중요한 관련성을 가진다. 또한 이용자들의 수준에 적합한 직업정보 생산을 위해서는 활자 형태 표준직업정보 매체의 적합성 평가와 제작 지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이용자 수준에 따른 표준직업정보의 가독성 분석과 직업정보 제공형식이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직업정보 수집에 있어 주체적인 역할은 글로써 구성된 인쇄물이며 표준직업정보인 한국직업사전과 한국직업전망서를 연구자료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직업정보 가독성은 대학생의 학년수준별로 차이가 있는가?, 표준직업정보 가독성은 대학생의 전공수준별로 차이가 있는가?, 표준직업정보의 접촉기간과 대학생의 정보이해도는 관련성이 있는가?, 표준직업정보의 정보제공형식이 대학생의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등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하여 직업정보에 관한 학문적 배경과 시각을 통한 정보처리 이론을 탐색하고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Ⅰ] 대학생의 직업정보 가독성은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Ⅱ] 전공자는 비전공자 보다 전공관련 직업정보에 대한 가독성이 높을 것이다. [가설Ⅲ] 일 경험 및 활동이 있는 집단은 없는 집단 보다 직업정보의 가독성이 높을 것이다. [가설Ⅳ] 직업정보 제공 형식에 따라 직업정보 가독성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또한, 연구 가설 검증외에도 표준직업정보 형식의 적합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332명의 대학교 재학생 1학년, 4학년과 기업에서 근무하는 대졸 취업자중 경력 3년 이하자를 대상으로 표집하였고 컴퓨터 관련학과 전공자와 비전공자로 구분하였다. 조사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통계처리는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교차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석,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얻어진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학년 차이가 표준직업정보의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검증되었고 고학년일수록 가독성 점수가 높아 학력수준별 직업정보의 가공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전공자와 비전공자간 가독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전공자의 가독성 점수가 비전공자에 비해 높게 나타나 표준직업정보가 비전공자에게 어렵게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일 경험 및 활동이 있는 집단의 가독성 점수가 없는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일 경험 및 활동이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다. 넷째, 직업정보 제공 형식은 객관성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직업정보 가독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표준직업정보의 본문이 직업 이해에 있어 높은 학력 수준이 요구되는 반면 직업 이해 도움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본문의 구성 형식도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력간, 전공자간, 일 경험의 유무간에 차이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력수준별로 직업정보의 가공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며 직업에 관한 지식이 전혀 없는 이용자들을 위한 직업정보 제공방법 연구가 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표준직업정보 본문에 적합한 문체와 구성 형식의 적용을 위한 재검토가 요구된다. Ⅰ. Purpose of the study Occupational information has significant influences on people's decision of their occupation and, consequently, their whole life. The effective conveyance of occupational information through analyzing legibility can help occupation specialists, consultants and occupational information users to sort out and use highly valuable occupational information. The value of information increases when it is conveyed effectively in a form preferred by the user. Occupational information generally assumes the form of printing type. Thus the media of occupational information should be effective in visual conveyance and be appropriate to users' level. In order for the media of standard occupational information in the form of printing type to be appropriate to users' level,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ir appropriateness and to prepare guidelines for the production of the media. Thus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legibility of standard occupa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s' level and to examine factors that affect the legibility of the forms of occupational information provision. Because printed matters play the key role in people's collection of occupational information, this study used as its research materials the Korean Occupation Dictionary and the Korean Occupation Prospect, which are standard occupational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t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Is the legibility of standard occupational information different according to the school year of college students? Is the legibility of standard occupational information different according to the major of college students? Is the contact period of standard occupa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college students'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Does the form of provision of standard occupational information affect college students' legibility? Ⅱ. Method of the study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inquired into theories of information processing through the academic background and views of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formulated hypotheses as follows through reviewing previous researches: [Hypothesis Ⅰ] College students' legibility of occupational information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school year. [Hypothesis Ⅱ] The legibility of occupational information on a specific subject will be higher in students who major in the subject than in those who do not. [Hypothesis Ⅲ] The legibility of occupational information will be higher in students with experiences in works and activities than in those without. [Hypothesis Ⅳ] The legibility of occupational information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form of occupational information provision. In addition to testing the hypothes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forms of standard occupational inform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2 people selected from college students in their 1^(st) year or 4^(th) year and company workers who were college graduates and had been working less then three year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ose who majored in computer-related subjects and those who did not. The results of surve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WIN 10.0 through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Ⅲ.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year of college students was found to affect the legibility of standard occupation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core of legibility was higher in senior students. This suggests that occupational information need to be processed differently according to school yea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legibility between major students and non-major students. The score of legibility was higher in major students than in non-major students. This suggests that standard occupational information is not understandable to non-major students. Third, the score of legibility was higher in those with experiences in works and activities than in those without, and the effect of experiences in works and activities on legibility was significant. Fourth, among the factors of the form of occupational information, only objectivity was found to affect legibility. In general, the legibility of occupational information was not affected by the form of occupational information. Fifth, high academic level was required for students to understand standard occupational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standard occupational information appeared not to be much helpful for students to understand occupations and its structure was found to be inappropriate. Ⅳ. Conclusion In conclusion, legibility was different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school year, major ad work experience. The result suggests that occupational information should be processed differently according to school year and it is necessary to research how to provide occupational information to users without occupational knowledge. Moreover, it is required to reexamine current standard occupational information in order to apply appropriate writing style and structure to standard occupational information.

      • 병원간호사의 감염예방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김혜진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표준주의지침 지식, 표준주의지침 인지도, 감염관리 조직문화가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 광역시에 소재한 100병상 이상의 3개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46명이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8월 17일부터 8월 31일까지 연구자가 직접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표준주의지침 지식은 조귀례(2007)의 표준주의지침 지식 도구를 서영희(2009)가 수정, 보완하여 구성한 도구로 사용하였고, 표준주의지침 인지도는 김양수(2008)가 번안한 도구를 정은희(2011)가 수정, 보완하여 구성한 도구로 사용하였다. 감염관리 조직문화는 문정은(2015)이 환자안전문화측정 도구를 감염관리 조직문화로 수정, 보완하여 구성한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는 이미정(2013)이 CDC(2007)의 표준주의 지침을 병원간호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구성한 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표준주의지침 지식은 20.15±2.82점(25점 만점), 표준주의지침 인지 도는 3.74±0.37점으로(4점 만점) 나타났다. 표준주의지침 인지도의 하부 영역에 대 한 점수는 4점 만점에 호흡기 에티켓 3.82±0.45점, 손씻기 3.81±0.41점, 린넨 및 환 경 3.79±0.42점, 보호장비 3.78±0.45점, 날카로운 도구 3.51±0.53점으로 나타났다. 감염관리 조직문화는 5.79±0.85(7점 만점),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는 4.59±0.44점으로 (5점 만점) 나타났다. 2.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표준주의지침 지식은 근무부서에 따라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6.21, p<.001). 병동(M=20.50±2.73), 중환자실(M=20.39±2.35), 응급실(M=20.33±2.17) 간호사가 기 타 부서인(M=17.21±3.29) 경우보다 표준주의지침 지식이 높게 나타났다. 3.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조직문화는 표준주의지침 교육 유무, 개인보호구 용이성, 의료폐기물 교육 유무, 손위생 시행률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주의지침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t=-2.72, p=.007), 개인보호구 용이성이 쉬운 경우(F=4.12, p=.018), 의료폐기물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t=3.14, p=.002), 손위생 수행률이 61∼100%인 경우(F=5.12, p=.007) 감염관리 조직문화가 높게 나타났다. 4.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는 지난 1년 동안 상처경 험이 없는 경우와(t=-2.43, p=.017), 손위생 시행률 61∼100%인 경우에(F=7.30, p<.001) 따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는 표준주의지침 지식(r=0.23, p=.005), 표준주의지침 인지도 (r=0.51, p<.001), 감염관리 조직문화(r=0.66,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주의지침 인지도 하부영역인 손씻기(r=0.52, p<.001), 보호장비(r=0.46, p<.001), 날카로운 도구관리(r=0.37, p<.001), 린넨 및 환경(r=0.39, p<.001), 호흡기 에티켓(r=0.34, p<.001)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6.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감염관리 조직문화(β=0.48, p<.001), 표준주의지침 인지도(β=0.37, p<.001)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57%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감염관리 조직문화, 표준주의지침 인지도가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의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병원간호사의 의료관련감염을 최소화하고 표준 주의지침의 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감염관리 조직문화와 인지도를 높일수 있는 지속적이고 실무적인 교육 프로그램, 부서장의 조직적 지원 및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

      • 만3~5세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인식과 운영실태

        정수미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 문 요 약 만3~5세 보육교사의「표준보육과정」인식과 운영실태 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 고시된 국가수준에서의 표준보육과정이 현장에서 얼마나 적용되고 있으며, 보육교사들의 관심과 이해정도, 보육계획 시 적용 여부와 보육활동 실시 여부를 알아 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인식과 이해정도는 어떠하며, 이는 근무시설유형,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보육현장에서 표준보육과정에 준하여 보육과정 운영의 실태는 어떠 하며, 이는 근무시설유형,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교육 및 연수의 요구도는 어떠 하며, 이는 근무시설유형,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와 서울특별시에서 국공립어린이집, 직장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운영 실태에 관한 질문지는 이훈희(2007), 정을순(2007)의 연구와 표준보육과정을 기초로 하여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for Windows 15.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내용의 이해정도를 알아본 결과, 응답자의 대부분이 표준보육과정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시설 유형에서 국공립어린이집과 직장어린이집의 경우가 민간어린이집에 비해 표준보육과정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들의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내용은 대부분이 잘 이해하고 있었으며, 근무시설 유형에서는 민간어린이집의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인식하고 있는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이 높을수록 인식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력이 낮을수록 인식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현장에서 표준보육과정에 준하여 보육과정 운영의 실태를 알아 본 결과, 대부분이 표준보육과정을 보육프로그램에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시설 유형에서 민간어린이집의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또 경력이 많을 수록 적용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보육과정의 내용별 실시정도에 대해서는 기본생활이 실시하고 있는 정도 가 가장 높았으며, 계획된 보육과정의 적용 시 어려운 점을 살펴보면 활동자료와 교구의 부족을 선택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육과정을 계획할 때 교육 정보원으로는 표준보육과정을 선택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표준보육과정」교육 및 연수와 관련하여 필요성에서는 높은 비율로 필요하다고 나타났으며, 교육 및 연수의 내용에서는 표준보육과정의 구체적 보육내용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교육 및 연수의 방법에서는 현장 사례발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서울지역의 표준기상데이터 산출방법론 비교

        김경률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건물에너지 성능평가를 위한 국내 시간별 표준기상데이터를 산정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며, 표준기상데이터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산출방법론을 비교, 검토 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표준기상데이터는 1989년도에 작성된 표준기상데이터를 사용하고 있다. 이 데이터는 최근 기후변화와 다양한 지역을 고려하지 못하여 이를 보완한 국내 표준기상데이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며, 국제기준에 따른 시뮬레이션 입력양식이 국내에서 사용하는 양식과 달라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국내 기상청은 광범위한 연구와 실생활에 도움을 주기 위해 기상관측 및 기상 통계법을 주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는 건물의 에너지 성능 분석에 적합하지 않아 적정한 산출방법론에 따른 표준기상데이터로 산정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적용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형식은 TRY, TMY, WYEC, HASP/ACLD-8001용 표준기상데이터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에서 주로 연구되어진 HASP용 표준기상데이터 산출방법론과 영국 CIBSE(Chartered Institution of Building Services Engineers)에서 개발한 UK CIBSE TRY 산출방법론 그리고 냉난방 장치의 연간 에너지 요구량을 평가하기 위한 국제기준인 prEN ISO 15927-4 표준 방법론(ISO TRY) 등으로 비교 분석 하였다. 또한, 서울지역을 대상으로 1985~2005년까지의 기상청 실측데이터를 통계 처리하여 산출방법론에 따라 표준년을 산출하였고 산출된 표준년의 기상데이터를 실측데이터와 비교하였다. 이때 MBE, RMSE, t-Statistic의 비교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HASP용 표준기상데이터로 비교한 결과, 평균년 방법이 대표년으로 산출하는 것보다 우수하였고, ISO TRY와 UK CIBSE TRY의 경우는 ISO TRY가 다소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TRY 산출 기준인 대표월과 대표년을 비교한 결과 대표월로 산출하는 방법이 실측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HASP용 평균년과 ISO TRY 표준년을 비교한 결과는 HASP용 평균년과 ISO TRY 표준년의 값이 오차범위에서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최근 시뮬레이션에 요구하는 입력양식이 TRY와 같은 국제기준 형식이므로 TRY 산출방법론의 정확성을 보완하고 그에 따른 우리나라의 표준기상데이터를 산출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paper aims to figure out typical meteorological data according to Korean time in order to evaluat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Various methods of calculating typical meteorological data were compared and examined to improv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is paper. The current Korean typical meteorological data is the only data approved in 1989 and is based on typical meteorological data of Seoul. However, since this data does not consider recent climate changes and many different area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ypical meteorological data for Korea, compensating this current one. Moreover, simulation input format is different between international standard and Korean standard, requiring further studies in this field. KR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akes charge of climate observation and climate statistics laws to help a wide range of researches and our lives. Unfortunately, however, data provided by KRA are not appropriate for analysis of building energy performance. Therefore, the data must be calculated according to typical meteorological data and applied to a simulation program.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typical meteorological data for TRY(Test Reference Years), TMY(Typical Meteorological Years), WYEC(Weather Year for Energy Calculations) and HASP/ACLD-8001. Accordingly, this paper analyzed and examined such methodologies as typical meteorological data for HASP/ACLD-8001 mainly studied in Korea, UK CIBSE TRY developed by CIBSE(Chartered Institution of Building Services Engineers) and prEN ISO 15927-4, an international standard to evaluate annual energy demand of cooling and heating devices. In addition, actual data of KRA corresponding to Seoul in 1985∼2005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ccording to calculation methodology. The calculated typical meteorological data were compared to actual data using MBE(Mean Bias Error), RMSE(Root Mean Squares for Error) and t-Statistic. The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with typical meteorological data for HASP/ACLD-8001, average annual-based method is better than representative annual-based method. ISO TRY is better than UK CIBSE TRY. From the result of comparing TRY calculation standards: representative month and representative year, representative month-based method is more similar with actual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between average annual for HASP/ACLD-8001 and ISO TRY standard year, the average annual for HASP/ACLD-8001 is closer to actual measurement, showing that the use of typical meteorological data for HASP/ACLD-8001 is preferred. However, since the input format requested by current simulation is the same international standard as 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accuracy of TRY calculation methodology and accordingly figure out Korean typical meteorological data based on average year.

      •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정서지능 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최은주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정서지능 교육활동을 실시 후 효과검증을 통하여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정서지능 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살펴봄으로써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정서지능 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존중감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북 포항시에 소재한 사회, 경제적 수준 중류계층이 밀집되어 있는 P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50명으로 이를 대상으로 5주 동안 15개의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정서지능 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정서지능 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실험집단 유아가 통제집단 유아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얻음으로써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정서지능 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정서지능 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정서지능 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얻을 수 있는 결론은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정서지능 교육활동은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과 자기감정 조절, 대인관계능력 및 인지적, 신체적 수용과 자신과 또래와 부모에 이르는 사회적 관계를 증진 시킬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analyze whether emotional intelligence activities based o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cane a used to improtelthe social behavior and self-esteem of children by conducting emotional intelligence activities on the subjects and verifysubjectir effec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children aged 5 from the P Daycare Center, which is situated in a dense population of middle socioeconomic families in Pohang of Gyeongsangbuk-do. Fifteen emotional intelligence activities based o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were conducted on the subjects for 5 week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which suggests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activities based o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m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ocial behavior of children. Second, the impac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activities based o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on the social behavior of childre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us, it can be deemed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activities have an effect on the self-esteem of childre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emotional intelligence activities based o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can be utilized as basic materials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environment. Furthermore, they help children adapt to daycare centers, control their emotions, and improve their interpersonal skills, cognitive and physical capacity, and their social relationships with their peers and par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